KR20120001450A -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450A
KR20120001450A KR1020100062239A KR20100062239A KR20120001450A KR 20120001450 A KR20120001450 A KR 20120001450A KR 1020100062239 A KR1020100062239 A KR 1020100062239A KR 20100062239 A KR20100062239 A KR 20100062239A KR 20120001450 A KR20120001450 A KR 20120001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lens mold
fixing
lens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환
김경태
정우석
Original Assignee
배성환
정우석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환, 정우석, 김경태 filed Critical 배성환
Priority to KR102010006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450A/ko
Publication of KR2012000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chanical ejector or drive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usin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1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e.g. toric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상하 몰드를 이격시킨 공간으로 모노머를 주입, 경화시켜 서 렌즈의 상하에 각각 몰드가 부착된 반제품 상태를 형성한 렌즈 몰드를 렌즈와 몰드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렌즈 몰드를 자동 공급한 후, 상하부의 몰드 사이에 게재되어 있는 렌즈만을 별도로 분리하기 위해 좌우측부에 분리칼날을 갖는 분리수단을 두고 상기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렌즈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몰드를 작업의 우수성을 확보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우수하고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THE LENS-MOLD AUTOMATIC SEPAR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상하 몰드를 이격시킨 공간으로 모노머를 주입, 경화시켜 렌즈의 상하에 각각 몰드가 부착된 반제품 상태를 형성한 렌즈 몰드를, 렌즈와 몰드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렌즈 몰드를 자동 공급한 후, 상하부의 몰드 사이에 게재되어 있는 렌즈만을 별도로 분리하기 위해 좌우측부에 구비되는 분리수단을 두고 상기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렌즈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몰드와 렌즈를 자동 분리되도록 하여, 작업의 우수성을 확보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효율적 분리에 의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렌즈는 렌즈 형태와 같은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는 것으로, 두 개의 유리로 된 몰드를 수지로 된 가스켓에 맞춰 끼운 후(렌즈의 가장자리 두께와 측면두께) 몰드 사이에 모노머를 주입시키고 모노머가 경화되면 가스켓을 잘라내어 안경렌즈를 제조하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더 개량된 방법으로서, 두 장의 상하면 형태로 형성된 상하부 몰드를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만큼 이격시켜서 외주연을 전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감아서 밀폐시키고 그 상하 몰드의 이격 공간 내부에 렌즈를 형성하는 렌즈용 모노머액을 주입하여 냉각 경화시킨 후, 테이프를 떼어내고 상기 상하부 몰드를 분리하여 안경렌즈를 제조하게 된다.
위와 같이, 몰드의 외측을 테이프로 감아주는 방법은 몰드가 곡면을 갖게 되어 중앙 부위의 이격거리를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몰드의 측면 이격거리를 알아낸 후 이를 몰드의 곡률반경과 연산시킴으로써 몰드 사이의 중심두께를 맞추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 등을 통하여 제조된 렌즈는 반제품 상의 렌즈로서 즉, 상하부 몰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외주면으로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테이프를 분리한 후, 상하부 몰드를 렌즈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그러나, 상하부 몰드를 렌즈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일일이 사람의 손에 의한 작업이 뒤따랐다.
즉, 사람의 손을 이용하여 상기 상하부 몰드에 힘을 주어 렌즈로부터 상하부 몰드를 들어내어 박리하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 현재의 실정이었다.
이러한 수작업의 렌즈몰드 분리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상하부 몰드가 파손되거나 렌즈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되었고, 그에 따라 고가의 상하부 몰드 및 렌즈가 손상되어 수작업의 렌즈 분리시 발생하는 불량률이 증가되고 그로 인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 및 손실비용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의 특성상 시간당 렌즈를 분리하는 수량이 적어서 비효율적 작업방식에 의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렌즈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고, 표면 정밀도가 떨어지는 렌즈인 경우, 기존의 방식으로는 손쉽게 분리해내지 못하였으므로 상하부 몰드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대책이 시급하고 필요한 문제로 도출되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이유로 상기와 같은 렌즈 생산시에도 상하부 렌즈몰드 사이에 존재하는 렌즈를 보다 간편하고 빠르고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장치를 자동분리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경 렌즈의 제작시 렌즈의 상하부에 부착된 상하부 몰드를 기존의 수작업으로 분리하는 방식에서 뒤따르는 문제점인 렌즈 및 몰드의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성을 개선하여, 상기 렌즈의 상하부에 부착된 몰드를 효과적이며 빠르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렌즈를 렌즈몰드로 분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렌즈를 렌즈몰드로 분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100)와;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렌드몰드를 이송시키기 위해 설치된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 렌즈몰드를 집어서 이동시키는 픽업부(300)와;
상기 픽업부에 의해 이동된 렌즈몰드가 안착되는 안착부(400)와;
상기 안착부(400)에 안착된 렌즈몰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흡착 고정하는 흡착부(500)와;
상기 흡착부(500)에 안착된 렌즈몰드를 분리롤링부(135)를 이용하여 렌즈몰드로부터 렌즈를 분리하는 분리부(600)와;
상기 분리부(600)에 위치한 렌즈몰드를 흔들리지 않도록 눌러주는 누름부(700)와;
상기 분리부(600)에서 분리롤링부(135)에 의해 렌즈가 분리된 상태의 렌즈몰드를 배출하는 베출부(8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는 렌즈를 상하부 몰드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호환성과 작업성이 우수하게 향상되고,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는 렌즈의 상하부에 부착된 렌즈몰드를 훼손시키거나 파손, 크랙 등의 제품 손상으로부터 벗어나서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키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이송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이송부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픽업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픽업부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안착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흡착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흡착부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렌즈몰드 분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렌즈몰드 분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분리부의 고정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누름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배출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4 b,c는 배출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분리로울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의 렌즈몰드를 분리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은 렌즈를 렌즈몰드로 분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100)와;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렌드몰드를 이송시키기 위해 설치된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 렌즈몰드를 집어서 이동시키는 픽업부(300)와; 상기 픽업부에 의해 이동된 렌즈몰드가 안착되는 안착부(400)와; 상기 안착부(400)에 안착된 렌즈몰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흡착 고정하는 흡착부(500)와; 상기 흡착부(500)에 안착된 렌즈몰드를 분리롤링부를 이용하여 렌즈몰드로부터 렌즈를 분리하는 분리부(600)와; 상기 분리부(600)에 위치한 렌즈몰드를 흔들리지 않도록 눌러주는 누름부(700)와; 상기 분리부(600)에서 분리롤링부에 의해 렌즈가 분리된 상태의 렌즈몰드를 배출하는 베출부(8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체적 구성을 이루는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90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10)를 하부에 구비한 고정 베이스(100)가 상면에 받침판(12)이 형성되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9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렌즈몰드 분리장치(900)는 렌즈가 결합되어 있는 렌즈몰드가 전면부에 올려져서 이송되는 이송부(200)가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면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200)의 전면 우측부에 렌즈몰드가 이송됨과 동시에 잡아서 이동시킬 수 있는 픽업부(3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업부(300)의 전면에는 상기 픽업부(300)에 의해 이송된 렌즈몰드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4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400)에 렌즈몰드가 위치하면 상기 안착부(400)의 하부에 설치된 흡착부(500)가 상기 렌즈몰드를 흡착하여 안정되게 흡착 고정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착부(500)에 의해 흡착된 렌즈몰드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600,602)가 좌우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400)에 위치한 렌즈몰드의 상부에는 누름부(7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400)의 후부에는 렌즈몰드가 배출되는 배출부(8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렌즈몰드 분리장치(900)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본 발명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부(2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고정 베이스(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베이스(14)의 상부에는 컨베이어 벨트(16)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16)의 하부면에는 구동풀리(18)를 구비한 이송모터(2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풀리(18)에는 구동벨트(22)의 일단이 감겨져 있고, 구동벨트(22)의 타단은 미도시된 종동풀리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16)의 단부에는 상기 렌즈몰드가 정지되도록 스토퍼(26)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6)의 후부 상부에는 좌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플레이트(28)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28)의 상부에는 렌즈몰드를 밀어주는 푸셔팁(30)을 구비한 푸셔 실린더(3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부(200)는 우선, 상기 컨베이어 벨트(16)의 상부에 상기 렌즈몰드가 얹혀지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6)에 설치된 이송모터(20)가 동작함에 따라 렌즈몰드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스토퍼(26)에 의해 렌즈몰드가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푸셔 실린더(32)가 동작하여 상기 푸셔팁(30)이 화살표방향으로 렌즈몰드를 밀어낸다.
상기 푸셔 실린더(32)에 의해 이동된 렌즈몰드는 상기 픽업부(300)로 이동된다.
상기 픽업부(300)는 픽업 베이스(34)가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픽업 베이스(34)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몰드가 얹혀지는 상판(36)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판(36)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몰드를 집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후술되는 픽커(56)가 위치된다.
상기 픽업부(3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8)과, 상기 고정 브라켓(38)의 전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고정 레일(40) 및 이동 레일(42)과, 상기 이동 레일(4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레일(42)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는 이동 실린더(43)와, 상기 이동 레일(42)의 전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44)과, 상기 고정 브라켓(44)의 전부에 고정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고정 레일(46) 및 이동 레일(48)과, 상기 고정 브라켓(4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44)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실린더(50)와, 상기 이동 레일(48)의 전부에 고정되어 있는 픽커 브라켓(52)과, 상기 픽커 브라켓(5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픽커 실린더(54)와, 상기 픽커 실린더(5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렌즈몰드를 잡도록 구성된 픽커(5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픽업부(300)는 상기 이송부(200)의 푸셔 실린더(32)에 의해 상기 렌즈몰드가 상판(36)에 위치되어 진 후, 상기 이동 실린더(50)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렌즈몰드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실린더(43)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렌즈몰드를 잡을 수 있는 위치로 내려와서 위치되고 상기 픽커 실린더(54)가 동작하여 상기 픽커(56)를 오무려서 상기 렌즈몰드를 파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이동 실린더(43)가 상승하고 상기 이동 실린더(50)가 후진하여 상기 픽커(56)가 상기 렌즈몰드를 잡은 상태에서 다음 작업의 진행을 위해 상기 안착부(400)로 이동한다.
상기 픽커(56)에 의해 이동된 렌즈몰드는 상기 안착부(400)의 안내공(64)이 형성된 안내 플레이트(62)에 놓여지는바, 상기 안착부(40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 브라켓(58)과, 상기 고정 브라켓(58)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안내 플레이트(6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60)와, 상기 실린더(60)의 타측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레일(66) 및 이동 레일(6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안착부(400)의 안내공(64)에는 후술하는 흡착부(500)의 흡착수단이 상하로 이동하며 끼워져서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렌즈몰드가 상기 안착부(400)로 이동되면 상기 흡착부(500)에 의해 상기 렌즈몰드가 흡착 고정되어 진다.
상기 흡착부(50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하부에 고정 브라켓(70)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70)의 전면부에는 평행하게 마주보는 한 쌍의 고정레일(7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72)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레일(74)이 고정레일(72)과 맞물리며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이동레일(74)은 고정레일(72)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74)의 일측부에는 고정 브라켓(7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76)의 일측부에는 평행하게 마주보는 한 쌍의 고정레일(78)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78)에는 이동레일(80)이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이동레일(80)도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레일(78)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블럭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80)의 일측부에는 고정판(82)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76)과 고정판(82)의 측면부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76)과 고정판(82)을 연결 고정하는 측부 고정판(84)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76)의 측면부에는 실린더(86)의 사각로드(88)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린더(86)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76)이 화살 표방향으로 좌우 이동된다.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76)의 하부에는 승강 실린더(90)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82)의 하부에는 실린더 로드가 상기 고정 브라켓(76)의 하부를 관통하여 연결 설치된 승강 실린더(9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82)의 전부 상측부에는 흡착유닛(9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착유닛(94)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몰드를 흡착 고정시키기 위한 흡착구(9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유닛(94)의 하부에는 종동풀리(98)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종동풀리(98)의 하부에는 길게 연장된 에어호스(10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종동풀리(98)에는 벨트(104)의 일단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벨트(104)의 타단은 구동풀리(106)에 감겨져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풀리(106)는 구동모터(108)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108)가 동작함에 따라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풀리(106)의 회전동력이 상기 벨트(104)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풀리(98)가 회전하고 상기 종동풀리(98)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흡착구(96)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여 동작된다.
상기와 같이 흡착구(96)를 승하강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08)는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110)은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400)에 도착된 렌즈몰드가 상기 안착부(400)의 안내공(64)에 위치되면 상기 흡착부(500)의 흡착구(96)가 상기 안내공(64)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몰드를 진공으로 흡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흡착부(500)의 흡착구(96)에 의해 렌즈몰드가 흡착 고정되면 상기 분리부(600,602)가 이동하여 상기 렌즈몰드로부터 렌즈를 분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렌즈를 렌즈몰드에서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600)는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측에 분리롤링부(135)를 이격 구비하여, 렌즈몰드의 자동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분리롤링부(135)는 일측에 실질적으로 렌즈몰드에서 렌즈와 몰드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분리로울러(136)와 상기한 분리로울러(136)가 렌즈와 몰드를 분리되어질 때 렌즈와 몰드 전체를 롤링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딩로울러(137)로 구분된다.
먼저 분리부(600)를 이루기 위한 전체적 구성은,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베이스(112)와, 상기 고정 베이스(112)의 상부에 니은자(ㄴ)형상의 고정 브라켓(11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114)의 상부에는 고정레일(11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116)의 상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한 이동블럭(1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114)의 좌측부에는 전후진 실린더(120)가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블럭(118)의 상부에는 고정 브라켓(122)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122)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고정레일(12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124)의 상부에는 이동레일(126)이 설치되어, 상기한 전후진 실린더(120)의 동작에 따라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된 고정 브라켓(122)의 측면으로는 전진 실린더(1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124)과 이동레일(126)의 측부에는 측부 고정블럭(13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측부 고정블럭(134)은 상기 전진 실린더(128)의 로드와 연결되어 전진 및 후진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126)의 상부측으로 고정플레이트(132)가 구비되는데, 그 고정플레이트(132) 전부측에는 상기 렌즈몰드로부터 렌즈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롤링부(135)가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한 분리롤링부(135)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각 구성을 동일하게 갖는 분리부(600)의 구성에서, 전술한 이동레일(126)이 각각 마주보는 대향 단부측에 상기 분리롤링부(135)가 형성된다.
상기한 분리롤링부(135)는 도 9에서 보듯이 분리로울러(136)와 가이딩로울러(137)가 상호 대향 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리부(600)의 각 이동레일(126) 및 그 상방으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32)의 우측부에는 상기 이동레일(126) 및 이와 연동하는 고정플레이트(132)의 이동시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유닛(13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유닛(138)의 일측부에는 고정블럭(140)이 위치되고 상기 고정블럭(140)은 상기 이동레일(1262) 및 고정플레이트(132)의 측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블럭(140)과 고정유닛(138)의 사이에는 스프링(142)이 개재되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진실린더(120)에 의해 이동블럭(118)이 이동하여 전체적으로 분리로울러(136)를 구비하고 있는 고정플레이트(132)가 전후진되며 위치고정되면, 즉 분리하고자 하는 렌즈몰드의 직경에 따라 그 위치가 정해지면 상기한 고정유닛(138)의 실린더(138a) 작동에 의해 이와 연동하는 승강판(138c)에 의해 로드(138b)를 잡아주거나 해지하게 된다.
상기 로드(138b)의 선단측에는 상기한 스프링(142)이 고정블럭(140)과 승강판(138c) 사이에 탄력적으로 지지 되어 있어, 고정플레이트(132)가 최초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42)의 탄발력에 의해 전방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분리로울러(136)와 한 조를 이루는 가이딩로울러(137) 사이에 게재되는 렌즈몰드의 외측에 분리로울러(136)가 접하는 상태에서 회전할 때 렌즈몰드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며, 렌즈와 몰드를 분리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분리로울러(136)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향 되는 측에 구비되는 가이딩로울러(137)와 함께 렌즈몰드의 렌즈와 몰드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된다.
먼저 분리로울러(136)는 상기한 고정플레이트(132)를 관통하는 회동축(136a)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축(136a) 하단에 종동로울러(136b)를 구비하고 상기 종동로울러(136b)와 벨트(136c)로 연결되는 구동로울러(136d)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136e)가 구비된다.
상기한 모터(136e)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구동로울러(136d)의 구동에 의해 벨트(136c)와 연결되어 있는 종동로울러(136b)를 회전시키며 이와 연동하는 회동축(136a)에 의해 분리로울러(136)가 회전된다.
상기한 분리로울러(136)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분리로울러(136)는 중앙으로 축공(136f)가 형성되어 전술한 회동축(136a)과 결합되도록 하고, 분리로울러(136) 외주면 상단측을 따라 마치 띠형상을 갖으며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분리유도돌기(136g)가 형성된다.
상기한 분리유도돌기(136g)는 시작점에서는 그 폭이 가늘게 형성되고 마감부(136i)측으로 다다를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하였다.
아울러 분리유도돌기(136g)가 시작되는 시작점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리로울러(136)의 원주면보다 돌출되는 단턱돌출면(136h)을 형성하여 렌즈몰드가 최초로 접하는 부분이 상기한 단턱돌출면(136h)과 접하도록 셋팅되어진다.
이와 같이 단턱돌출면(136h)에 렌즈몰드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하는 것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몰드와 몰드 사이에 존재하는 렌즈의 위치를 찾기 위한 것이다.
즉, 분리로울러(136)가 전진하며 흡착부(500)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있는 렌즈몰드측으로 근접할 때 분리로울러(136)의 외주면에서 상기한 단턱돌출면(136h)이 먼저 렌즈몰드의 외주면 중 도 16과 같이 하단측 몰드 외주면에 접한 상태에서 후술하게 되는 누름부(700)의 동작에 따라 렌즈몰드가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부(700)의 동작에 의해 하강되는 렌즈몰드는 분리로울러(136)의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하게 되는데, 최초 접하고 있던 단턱돌출면(136h)에 위치되어 있던 렌즈몰드의 하부측 몰드의 외면에서 상부와 하부측 몰드 즉 렌즈의 외면측으로 단턱돌출면(136h)과 분리로울러(136) 외주면에 동일하게 돌출되어 있는 분리유도돌기(136g)가 삽입되는 형태를 띠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로울러(136)의 분리유도돌기(136g)가 렌즈몰드의 몰드와 몰드 사이로 삽입되기 위한 동력은, 전술한 도 9에서의 고정유닛(138) 구성을 이루는 승강판(138c)에 의해 위치고정되면서 고정블럭(140)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138b)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142)의 탄발력에 의해 가능하다.
즉, 분리로울러(136)가 위치되는 고정플레이트(132)는 전후진실린더(120)에 의해 전진 배치되어 렌즈몰드의 최외경(즉 몰드의 외경측과 접하는 부분)과 접하는 상태에서 승강판(138c)이 로드(138b)를 강하게 파지하게 되고, 이러한 승강판(138c)과 상기 고정블럭(140) 사이의 로드(138b) 외주면에 탄성 구비되는 스프링(142)의 탄발력은 항상 고정플레이트(132)를 전진시키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로울러(136)의 분리유도돌기(136g)가 몰드와 몰드 사이의 움푹패인 공간측으로 유도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분리유도돌기(136g)가 렌즈몰드의 상하부 몰드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후에 지속적으로 분리로울러(136)가 회전하게 되는데, 그 분리유도돌기(136g)는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하게 되므로 분리로울러(136)의 회전에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분리유도돌기(136g)에 의해 렌즈몰드의 상하부 몰드를 강제로 분리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도 5 및 도 18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리유도돌기(136g)에 의해 렌즈몰드의 상하 몰드가 렌즈로부터 분리되는 시점에 이르게 되면, 몰드가 각각 상하로 벌어지게 되는데 그 벌어지는 현상을 누름부(700)에서 감지하여, 분리로울러(136)의 회전을 멈추도록 상기 모터(136e)에서 정지 제어하게 된다.
이후에는 모든 구성부분이 초기로 원위치 복귀하여 최초의 공정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분리로울러(136)와 대향되면서 렌즈몰드의 타측면을 지지하며 롤링되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9와 도 10 내지 도 11에서 보듯이 가이딩로울러(137)를 구성하여 렌즈몰드가 분리로울러(136)에 의해 분리되어질 때 렌즈몰드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가이딩로울러(137)가 구비되는 구성은 전술한 분리로울러(136)의 지지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분리로울러(136)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136e), 구동로울러(136d), 벨트(136c), 종동로울러(136b) 및 회동축(136a)와 같이 분리로울러(136)를 회동시키는 것과 같은, 가이딩로울러(137)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이딩로울러(137)는 단지 분리로울러(136)가 렌즈몰드의 렌즈와 몰드를 분리할 때 렌즈몰드의 타측에서 롤링되며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딩로울러(137)는 전술한 도 9, 도 10 내지 도 11에서 보듯이 고정플레이트(132)의 선단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37a)에 의해 자유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렌즈몰드가 흡착부(500)에 이르러 흡착고정이 완료되면 상기한 분리로울러(136)와 가이딩로울러(137)가 전진 이송되며 렌즈몰드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로울러(136)의 작동에 의해 렌즈몰드에서 렌즈와 몰드가 분리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리로울러(136)는 고정유닛(138)에 의해 전진하거나 후진하고 또는 정지되는 등으로 제어되는바, 상기 고정유닛(138)은 상기 이동레일(126)의 일측부에 반원형태의 안착홈(172)이 형성되는 고정구(17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170)와 이격되며 슬릿틈새(17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승강판(138c)이 구비되어지되 상기한 승강판(138c)의 일측부에도 반원형태의 안착홈(138d)가 형성되어, 상기의 고정구(170) 안착홈(172)과 대응하여 원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그 중공의 원형태를 이루는 안착홈(172,138d) 사이에는 전술한 로드(138b)가 끼워지고 상기 고정구(170)와 직교 되는 방향으로 실린더 가이드(180)의 누름봉(182)을 구비한 고정구 실린더(18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렌즈몰드를 분리하기 위해 상부에서 눌러주는 누름부(700)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고정 베이스(19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베이스(190)의 상부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부 고정판(192)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고정판(192)의 전부 상측부에는 레일 고정판(19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일 고정판(194)의 상부에 고정레일(196)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레일(196)의 상부에는 이동레일(198) 및 이동레일 고정판(202)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레일(198) 및 이동레일 고정판(202)은 상기 고정레일(196)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 고정판(202)의 전면부에는 고정 브라켓(20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204)의 전면부에는 고정블럭(206)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204)의 상부에는 승강 실린더(208)가 수직한 방향으로 하향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블럭(206)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 실린더(208)와 연결 설치되는 누름봉(210)이 하향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누름부(700)는 렌즈몰드가 흡착부(500)의 흡착구(96)에 의해 흡착되며 안착 된 후 이동레일 고정판(202)이 고정레일(196)을 따라 전진 이동되어 승강실린더(208)의 누름봉(210)이 렌즈몰드의 정중앙 상방향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승강실린더(208)의 작동에 따라 누름봉(210)이 하강하여 그 단부가 흡착구(96)에 흡착되며 안착되어 있는 렌즈몰드의 상측 몰드의 중앙 상면을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부(700)의 누름봉(210)이 렌즈몰드의 상측 몰드를 눌러주고 있는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부(600)의 분리로울러(136)와 가이딩로울러(170)의 작동에 따라 분리로울러(136)의 폭이 확장되는 분리유도돌기(136g)에 의해, 렌즈몰드의 렌즈와 상하 몰드가 각각 분리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의 상하 몰드가 각각 분리되는 순간, 상기한 누름봉(210)이 상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 위치 이동 순간을 센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봉(210)이 상방향으로 위치 이동 하는 즉시 본 발명의 모든 장치의 구성들은 모두 원위치 복귀되어 다음 렌즈몰드가 이송부(200)를 통해 이송되기 위한 단계에서 대기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부(600)와 누름부(700)의 상호 동작에 의해 렌즈몰드가 렌즈와 상하 몰드로 각각 분리되면 배출부(800)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배출부(800)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즉,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211)과, 상기 고정 브라켓(211)에 고정 설치되는 배출 컨베이어(2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11)은 직사각형상의 윈도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 중간부에 배출 컨베이이어(212)가 설치되는바, 상기 배출 컨베이어(212)는 양측면에 측면 고정판(214)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측면 고정판(214)과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컨베이어 벨트(216)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211)의 상부면에는 고정레일(218)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레일(218)의 상부에는 이동레일(220)이 고정되어 좌우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레일(220)의 전면에는 세로 고정판(22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세로 고정판(222)의 전면부에는 실린더 로드(226)를 구비한 승강 실린더(224,225)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 실린더(224,225)의 실린더 로드(226) 하부에는 고정 플레이트(228)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승강 실린더(224,225)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228)의 하부에는 픽커 실린더(23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픽커 실린더(230)의 하부에는 좌우 한 상을 이루면서 좌우로 움직여서 렌즈몰드를 잡을 수 있는 픽커(23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28)의 전면부 아래 방향으로는 흡착분리부(234)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착분리부(234)의 하부에는 흡착판(236)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220)의 좌측 후부에는 고정블럭(240)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블럭(240)에 실린더(238)가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238)이 작동하여 이동레일(220)을 이동시킨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배출부(8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전술한 전 단계 즉 분리부(600) 및 누름부(700)에 의해 렌즈몰드의 렌즈와 상하몰드가 각각 분리된 상태가 되면, 모든 구성이 초기화되며 최초 모드로 셋팅된 후 픽업부(300)의 픽커(56)가 도 3의 이송부(200) 컨베이어 벨트(16)를 통해 푸셔실린더(32)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푸셔실린더(32)의 동작에 따라 상판(36)에 안착되어지는 렌즈몰드(이때의 렌즈몰드는 분리하기 전의 렌즈몰드가 된다)를 픽업한 후, 그 픽커(56)가 안착부(400)의 안내공(64)을 관통하게 되는 상기한 흡착부(500)의 흡착구(96)에 분리하기 전의 상기 렌즈몰드를 안착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픽커(56)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푸셔(57)가 이미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렌즈몰드를 전술한 배출부(800)의 컨베이어벨트(216)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푸셔(57)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벨트(216)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분리된 상태의 렌즈몰드는 배출부(800)의 픽커(232) 내측으로 위치하게 되며 픽커실린더(230)의 동작에 따라 픽커(232) 내측에 위치한 렌즈몰드를 가볍게 파지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한 흡착분리부(234)는 승강실린더(224)에 의해 상승 된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실린더(223)는 하강하게 되면서 렌즈몰드에서 상부측 몰드 부분을 흡착판(236)을 이용하여 흡착시킨 다음 승강실린더(223)의 재상승에 의해 분리된 상부 몰드만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후 실린더(238)의 동작에 의해 이동레일(220)이 이동되며 동시에 승강실린더(224) 또한 연동하여 측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는바, 흡착판(236)에 흡착된 상태에 있는 상부 몰드는 그대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몰드만 측방향으로 이송되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렌즈몰드에서 상방의 상부 몰드는 분리되어 컨베이어벨트(216)에 별도로 안착되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 몰드가 컨베이어벨트(216)에 안착 될 때, 한조로 구비되며 연동되는 다른 흡착분리부(234)가 상부 몰드가 픽업되어져 있는 렌즈몰드의 상방향 측에 위치되어지는데, 이 상태에서 상부 몰드를 컨베이어벨트(216)에 안착시킬 때 다른 흡착분리부(234)의 흡착판(236)도 동시에 하강하여, 렌즈몰드 즉 렌즈와 하부몰드만 남아 있는 상태의 렌즈몰드에서 이미 분리되어 있는 렌즈만을 흡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흡착판(236) 중 하나의 흡착판(236)은 상부 몰드는 컨베이어벨트(216)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다른 흡착판(236)은 렌즈만을 흡착한 상태에 있게 되고, 승강실린더(224)의 승강 작동에 따라 두 개의 흡착판(236)이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때에는 하나의 흡착판(236)에는 아무것도 흡착되지 않는 상태이고 다른 하나의 흡착판(236)에는 렌즈가 흡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다시 실린더(238)의 작동에 따라 이동레일(220)이 이송하여 렌즈를 흡착하고 있는 흡착분리부(234)가 픽커(232)의 타측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흡착분리부(234)의 왕복 이송에 의해 각각 렌즈몰드의 상부 몰드와 렌즈를 각각 좌우로 컨베이어벨트(216)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부 몰드, 하부 몰드 및 렌즈가 모두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216)의 작동에 의해 모두 분리되어 있는 렌즈, 상하부 몰드는 배출되어 별도의 적재 트레이 등에 적재 되도록 하므로서, 상품 가치를 갖는 렌즈와 재생 가능한 상하부 몰드를 분리하여 적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0 : 바퀴 12 : 받침판
14 : 고정 베이스 16 : 컨베이어벨트
18; 구동풀리 20 : 이송모터
22; 구동벨트 26; 스토퍼
28; 고정플레이트 30; 푸셔팁
32; 푸셔실린더 34; 픽업베이스
36; 상판 38; 고정브라켓
40; 고정레일 42; 이동레일
43; 이동실린더 44; 고정브라켓
46; 고정레일 48; 이동레일
50; 이동실린더 52; 픽커브라켓
54; 픽커실린더 56; 픽커
57; 푸셔 58; 고정브라켓
60; 실린더 62; 안내플레이트
64; 안내공 66; 고정레일
68; 이동레일 70; 고정브라켓
72; 고정레일 74; 이동레일
76; 고정브라켓 78; 고정레일
80; 이동레일 82; 고정판
84; 측부고정판 86; 실린더
88; 사각로드 90,92; 승강실린더
94; 흡착유닛 96; 흡착구
98; 종동풀리 102; 에어호스
104; 벨트 106; 구동풀리
108; 구동모터 110; 고정브라켓
112; 고정베이스 114; 고정브라켓
116; 고정레일 118; 이동블럭
120; 전후진실린더 122; 고정브라켓
124; 고정레일 126; 이동레일
128; 전진실린더 132; 고정플레이트
134; 측부고정블럭 135; 분리롤링부
136; 분리로울러 136a; 히동축
136b; 종동로울러 136c; 벨트
136d; 구동로울러 136e; 모터
136f; 축공 136g; 분리유도돌기
136h; 단턱돌출면 136i; 마감부
137; 가이딩로울러 138; 고정유닛
138a; 실린더 138b; 로드
138c; 승강판 138d; 안착홈
190; 고정베이스 192; 상부고정판
194; 레일고정판 196; 고정레일
198; 이동레일 202; 이동레일고정판
204; 고정브라켓 206; 고정블럭
208; 승강실린더 210; 누름봉
211; 고정브라켓 212; 배출컨베이어
214; 측면고정판 216; 컨베이어 벨트
218; 고정레일 220; 이동레일
222; 세로고정판 224, 225; 승강실린더
226; 실린더로드 228; 고정플레이트
230; 픽커실린더 232; 픽커
234; 흡착분리부 236; 흡착판
100; 고정베이스 200; 이송부
300; 픽업부 400; 안착부
500; 흡착부 600; 분리부
700; 누름부 800; 배출부

Claims (16)

  1. 렌즈를 렌즈몰드로 분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100)와;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렌드몰드를 이송시키기 위해 설치된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 렌즈몰드를 집어서 이동시키는 픽업부(300)와;
    상기 픽업부에 의해 이동된 렌즈몰드가 안착되는 안착부(400)와;
    상기 안착부(400)에 안착된 렌즈몰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흡착 고정하는 흡착부(500)와;
    상기 흡착부(500)에 안착된 렌즈몰드를 분리롤링부(135)를 이용하여 렌즈몰드로부터 렌즈를 분리하는 분리부(600)와;
    상기 분리부(600)에 위치한 렌즈몰드를 흔들리지 않도록 눌러주는 누름부(700)와;
    상기 분리부(600)에서 분리롤링부(135)에 의해 렌즈가 분리된 상태의 렌즈몰드를 배출하는 베출부(8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렌즈몰드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6)와;
    상기 컨베이어벨트(16)를 구동시키는 이송모터(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6)에 의해 이송되는 렌즈몰드를 상기 픽업부(300)로 보내는 푸셔 실린더(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3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되고 고정레일(40) 및 이동레일(42)이 고정되며 상기 이동레일(42)을 상하로 승강동작시키기 위한 이동 실린더(43)가 연결된 고정 브라켓(38)과;
    상기 이동레일(42)과 전면에 고정되고 고정레일(46) 및 이동레일(48)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48)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실린더(50)를 구비한 고정 브라켓(44)과;
    상기 이동레일(48)의 전부에 고정되고 하부에는 픽커 실린더(54)가 구비되고 상기 픽커 실린더(54)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며 렌즈몰드를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일측에 푸셔(57)가 장착되는 픽커(56)를 구비한 픽커 브라켓(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4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되고 일측부에는 고정레일(66)과 이동레일(68)이 고정되며 타측부에는 실린더(60)가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58)의 상부에는 안내공(64)이 형성된 안내 플레이트(62)가 상기 실린더(60)와 연결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60)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5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하부에 고정되고 일측부에 고정레일(72)과 이동레일(74)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승강 실린더(90)가 고정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고정 브라켓(70)과;
    상기 이동레일(74)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부에 고정레일(78)과 이동레일(80)이 고정되며 하부에는 승강 실린더(92)가 고정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고정 브라켓(76)와;
    상기 이동레일(80)의 전부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92)가 연결 고정된 고정판(82)과;
    상기 고정판(82)의 상부 전면부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몰드를 흡착 고정시키기 위한 흡착구(96)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종동풀리(98)를 구비한 흡착유닛(94)과;
    상기 흡착유닛(94)의 종동풀리(98)와 벨트(104)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풀리(106)를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10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6. 상기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82)과 상기 고정 브라켓(76)의 측면부를 연결하는 측부 고정판(84)과;
    상기 측부 고정판(84)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76)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연결 고정된 사각로드(88)를 구비한 실린더(8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6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베이스(112)와, 상기 고정 베이스(112)의 상부에 니은자(ㄴ)형상의 고정 브라켓(11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114)의 상부에는 고정레일(11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116)의 상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한 이동블럭(118)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118)의 상부에는 고정 브라켓(122)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122)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고정레일(12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124)의 상부에는 이동레일(126)이 설치되고, 고정 브라켓(122)의 측면으로는 전진 실린더(1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124)과 이동레일(126)의 측부에는 측부 고정블럭(13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측부 고정블럭(134)은 상기 전진 실린더(128)의 로드와 연결되어 전진 및 후진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이동레일(126)의 상부측으로 고정플레이트(132)가 구비되는 구성을 대향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동레일(126) 및 이와 연동하는 고정플레이트(132)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126) 및 고정플레이트(132)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고정유닛(138)을 구비하고, 상기 양측의 고정플레이트(132) 전면부측에는 상기 렌즈몰드로부터 렌즈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롤링부(135)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레일(126) 및 고정플레이트(132)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126) 및 고정플레이트(132)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고정유닛(13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114)의 좌측부에는 전후진 실린더(120)가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블럭(118)의 상부에는 고정 브라켓(122)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122)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고정레일(12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124)의 상부에는 이동레일(126)이 설치되어, 상기한 전후진 실린더(120)의 동작에 따라 이동이 이루어는 것을 포함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138)은 상기 이동레일(126)의 일측부에 반원형태의 안착홈(172)이 형성되는 고정구(17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170)와 이격되며 슬릿틈새(17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승강판(138c)이 구비되어지되 상기한 승강판(138c)의 일측부에도 반원형태의 안착홈(138d)가 형성되어, 상기의 고정구(170) 안착홈(172)과 대응하여 원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그 중공의 원형태를 이루는 안착홈(172,138d) 사이에는 전술한 로드(138b)가 끼워지고 상기 고정구(170)와 직교 되는 방향으로 실린더 가이드(180)의 누름봉(182)을 구비한 고정구 실린더(184)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138)의 일측부에는 고정블럭(140)이 위치되고 상기 고정블럭(140)은 상기 이동레일(126) 및 고정플레이트(132)의 측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블럭(140)과 고정유닛(138)의 사이에는 스프링(142)이 개재되어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고정플레이트(132)가 전후진되며 위치고정되며 분리하고자 하는 렌즈몰드의 직경에 따라 그 위치가 정해지면 상기한 고정유닛(138)의 실린더(138a) 작동에 의해 이와 연동하는 승강판(138c)에 의해 로드(138b)를 해지하거나 고정하여 상기 스프링(142)의 탄발력에 의해 전방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링부(135)는 분리로울러(136)와 가이딩로울러(137)가 상호 대향 되는 고정플레이트(132)의 전면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136)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32)를 관통하는 회동축(136a)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축(136a) 하단에 종동로울러(136b)를 구비하고 상기 종동로울러(136b)와 벨트(136c)로 연결되는 구동로울러(136d)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136e)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136)는 중앙으로 축공(136f)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136a)과 결합되고, 상기 분리로울러(136) 외주면 상단측을 따라 띠형상을 갖으며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분리유도돌기(136g)가 형성하되, 시작점에서는 폭이 가늘게 형성되고 마감부(136i)로 다다를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하고, 상기 분리유도돌기(136g)의 시작점에는 분리로울러(136)의 원주면보다 돌출되는 단턱돌출면(136h)을 형성하여 렌즈몰드가 최초로 접하도록 하고, 상기 분리로울러(136)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리유도돌기(136g)가 렌즈와 몰드 사이에 삽입되어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분리유도돌기(136g)에 의해 렌즈몰드의 상하부 몰드를 강제로 분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136)와 대향되는 측의 고정플레이트(132) 선단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37a)에 의해 자유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7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상부 고정판(192)과 레일 고정판(194)이 고정된 고정 베이스(190)와;
    상기 레일 고정판(194)의 상부에 평행하게 고정된 고정레일(196) 및 이동레일(198)이 고정 설치된 이동레일 고정판(202)과;
    상기 이동레일 고정판(202)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고 그 전부에 고정블럭(206)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블럭(206)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208)가 구비된 고정 브라켓(20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배출부(800)는 상기 고정 베이스(100)의 상부에 윈도우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211)과;
    상기 고정 브라켓(211)의 내측 중간부에 설치되어 렌즈몰드로부터 분리된 렌즈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 이송하는 배출 컨베이어(212)와;
    상기 고정 브라켓(2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좌우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레일(218) 및 이동레일(220)과;
    상기 이동레일(220)의 측면부에 세로방향으로 고정된 세로 고정판(222)과;
    상기 세로 고정판(222)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부에 고정된 고정 프레이트(228)을 구비하며 상하로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는 승강실린더(224,225)와;
    상기 승강 실린더(224,225)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228)의 하면부에 고정 설치되어 렌즈와 몰드로 분리된 상태의 렌즈몰드로부터 상부 몰드와 렌즈를 각각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측에 흡착판(236)이 고정되는 흡착분리부(234)와;
    상기 승강 실린더(224)의 하부에 고정되어 좌우로 벌어져서 렌즈몰드를 잡을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는 픽커(232)를 구비한 픽커 실린더(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몰드 분리장치.
KR1020100062239A 2010-06-29 2010-06-29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KR20120001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239A KR20120001450A (ko) 2010-06-29 2010-06-29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239A KR20120001450A (ko) 2010-06-29 2010-06-29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50A true KR20120001450A (ko) 2012-01-04

Family

ID=4560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239A KR20120001450A (ko) 2010-06-29 2010-06-29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45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6329A (zh) * 2017-07-11 2017-09-19 丹阳市雷登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辅助镜片灌装的装置
KR101870082B1 (ko) * 2017-05-11 2018-06-21 민병직 몰드 공급장치
CN109514720A (zh) * 2018-12-14 2019-03-26 佛山市南海鑫隆机工机械有限公司 一种分模取坯装置
KR102035264B1 (ko) * 2018-10-10 2019-10-2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CN110539439A (zh) * 2019-09-18 2019-12-06 珠海桑贝思精密科技有限公司 电感模具分离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082B1 (ko) * 2017-05-11 2018-06-21 민병직 몰드 공급장치
CN107176329A (zh) * 2017-07-11 2017-09-19 丹阳市雷登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辅助镜片灌装的装置
KR102035264B1 (ko) * 2018-10-10 2019-10-2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CN109514720A (zh) * 2018-12-14 2019-03-26 佛山市南海鑫隆机工机械有限公司 一种分模取坯装置
CN109514720B (zh) * 2018-12-14 2024-04-02 佛山市南海鑫隆机工机械有限公司 一种分模取坯装置
CN110539439A (zh) * 2019-09-18 2019-12-06 珠海桑贝思精密科技有限公司 电感模具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4186B (zh) 钢圈自动抓取装置及抓取方法
KR20120001450A (ko)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CN107378445B (zh) 一种滤清器的密封圈真空自动装配设备及其方法
CN113725133B (zh) 一种引线框架进料输送装置
CN112046125A (zh) 一种双面撕膜设备
CN113241907A (zh) 一种永磁直流电机自动化组装生产方法
CN113134765A (zh) 全自动镜片生产加工设备
JPH05301302A (ja) タイヤビード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10012152A (ko)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KR101108291B1 (ko)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CN106081228A (zh) 一种抛光砖包装生产线
KR100819567B1 (ko) 몰드 테이핑 장치용 몰드 감지센서 및 이를 구비한 렌즈 제조용 몰드 테이핑장치
CN106628965B (zh) 一种全自动罐瓶盖覆膜设备
CN211895375U (zh) 一种薄板上料机
CN210046489U (zh) 木塑底板自动输送线
CN110451256B (zh) 一种料盘切换装置
CN218973829U (zh) 自动化线圈马达检测性能装置
KR102419208B1 (ko)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제거장치 및 그 방법
CN105845988A (zh) 一种半自动锂电芯卷绕机的自动送片装置
KR20220140185A (ko) 하이브리드 이젝터를 구비한 픽 앤 플레이스 시스템
CN110216469B (zh) 热合机构及热合铆压机
CN112027266A (zh) 一种pcb板智能贴标机构器人以及贴标方法
CN106181984A (zh) 一种玻璃搬运机械手
CN219340774U (zh) 一种圈材的输送装置
CN219565592U (zh) 一种全自动检测摆盘编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