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153B1 -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153B1
KR100976153B1 KR1020080083023A KR20080083023A KR100976153B1 KR 100976153 B1 KR100976153 B1 KR 100976153B1 KR 1020080083023 A KR1020080083023 A KR 1020080083023A KR 20080083023 A KR20080083023 A KR 20080083023A KR 100976153 B1 KR100976153 B1 KR 100976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act lens
lens
manufacturing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254A (ko
Inventor
김쌍호
백상석
Original Assignee
김쌍호
백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쌍호, 백상석 filed Critical 김쌍호
Priority to KR102008008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1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40Plastics, e.g. foam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 material
    • B29K2867/006PBT, i.e. polybut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형몰드와 수형몰드로 이루어지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있어서, 암형몰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지고, 수형몰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지고 콘택트렌즈의 엣지를 가공하기 위한 단턱의 외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는 암형몰드와 수형몰드의 재질을 다르게 구성하여 각각 수지의 화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효과로 콘택트랜즈의 재료인 단량체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열을 사용하여 중합시킬 때 온도변화에 의해 제품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안정화되고, 화학반응시 완전하게 반응하도록 하여 표면 상태가 양호한 렌즈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지들은 렌즈의 재료인 단량체와 상호작용에 내성이 있어서 중합반응시 금형과 중합된 콘택트렌즈가 서로 부착되는 것을 막고, 렌즈의 제조 후 이들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여 미용렌즈 제작시 색상구분 및 중심(센타)을 정확히 잡을 수 있게 하고, 완전몰드의 최대단점인 엣지부분의 파손 오류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콘택트렌즈, 몰드, 금형,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mold for contact len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형몰드와 수형몰드로 이루어지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있어서, 암형몰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지고, 수형몰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지고 콘택트렌즈의 엣지를 가공하기 위한 단턱의 외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는 암형몰드와 수형몰드의 재질을 다르게 구성하여 각각 수지의 화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효과로 콘택트랜즈의 재료인 단량체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열반응으로 중합시킬 때 온도변화에 의해 제품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안정화되고, 화학반응시 완벽하게 반응하도록 하여 표면 상태가 양호한 렌즈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한번의 성형으로 완전한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어 후가공이 필요없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에서 눈이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절대적이라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닌 듯하다. 사람이 앞을 볼 수 없는 상태로는 모든 일을 스스로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각자 자신의 시력보호를 위해 애쓰는 것은 의무에 가깝다고 하겠으며 이미 굴절이상이 있을 경우의 시력교정을 위한 수단으로는 콘택트렌즈와 안경일 것이다.
여기서, 콘택트렌즈는 안구 즉, 각막표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빛을 원하는 형태로 굴절시켜 시력교정을 하는 것으로 각막 상의 눈물층과 결합하고 있으며, 안경과는 달리 얼굴에 고정되지 않고 안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으로서는 해결할 수 없는 광학적인 장점이 있다. 즉, 각막 표면의 요철로 인해 생기는 부정난시의 교정, 온도와 습도 차에 의한 환경조건의 변화에도 착용중인 렌즈가 흐려지지 않고, 프리즘작용이 없으며, 시야가 넓고, 상의 배율차도 훨씬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주조법과 선반절삭법이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주조법은 다시 고정주조법과 회전주조법으로 나뉜다.
여기서 고정주조법은 암형몰드와 수형몰드 사이에 콘택트렌즈의 원료인 단량체를 넣고 자외선으로 광중합을 시켜 콘택트렌즈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이 고정주조법에서는 주로 자외선 투과성이 좋고, 비교적 가격이 낮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이나, 폴리스티렌(PS, Polystylene)을 금형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 재료들은 투과성은 좋지만 비교적 낮은 치수 안정성 때문에 금형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때문에 등록특허공보 제10-0611020호에 기재된 발명처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를 몰드로 사용했다.
하지만,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는 자외선 투과성이 좋지않아 중합시 완전한 화학반응을 기대하기 어렵고, 반응시간 또한 많이 걸려 단위시간당 생산량도 감소하고, 여전히 불량 콘택트렌즈가 생산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조법을 사용하여 콘텍트렌즈를 제조할 때 암형몰드와 수형몰드를 각각 다른 재질인 P.P와 PBT로 구성하여 중합시 온도변화에 의해 제품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안정화되게 하고, 화학반응(광중합반응, 열중합반응)시 완전하게 반응하도록 하여 렌즈표면 상태를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엣지부분의 파손 오류를 극복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암형몰드와 수형몰드로 이루어지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있어서, 암형몰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지고, 수형몰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형몰드에는 콘택트렌즈의 엣지를 형성하기 위한 쐐기 형태의 엣지단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형몰드에는 콘택트렌즈의 엣지를 형성하기 위한 쐐기 형태의 엣지단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암형몰드와 수형몰드 사이에 공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엣지단턱에서 제1경사면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의 각도는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에서 제2경사면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2경사면의 각도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암형몰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이루어지고, 수형몰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로 구성되 고 콘택트렌즈의 엣지를 가공하기 위한 단턱의 외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각각 수지의 화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효과로 콘택트렌즈의 재료인 단량체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열을 사용하여 중합시킬 때 온도변화에 의해 제품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안정화되고, 화학반응시 완전하게 반응하도록 하여 표면 상태가 양호한 렌즈를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미용렌즈 제작시 색상구분 및 중심(센타)을 정확히 잡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부틸렌테레브탈레이트(PBT)수지는 렌즈의 재료인 단량체와 상호작용에 내성이 있어 중합반응시 금형과 중합된 콘택트렌즈가 서로 부착되는 것을 막고, 렌즈의 제조 후 이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완전몰드의 최대 단점인 엣지 부분의 파손 오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따른 엣지단턱이 없는 암형몰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엣지단턱이 형성된 수형몰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형몰드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따른 수형몰드와 암형몰드가 결합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엣지단턱이 형성된 암형몰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엣지단턱이 없는 수형몰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형몰드의 B-B선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따른 수형몰드와 암형몰드가 결합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암형몰드(110,210)와 수형몰드(120,22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암형몰드(110,210)와 수형몰드(120,220)는 각각 다른 재질의 수지로 구성되는데, 암형몰드(110,21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지고, 수형몰드(120,220)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 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폴리프로필렌(P.P)으로 암형몰드(110,210)를 형성하는 것은, 고정주조법에서는 암형몰드(110,210)와 수형몰드(120,220) 사이에 콘택트렌즈의 원료가 되는 단량체를 주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하여 콘택트랜즈를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 암형몰드(110,210)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자외선 투과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P.P)을 사용하여 암형몰드(110,21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P.P)은 콘택트렌즈의 원료인 단량체와의 상호작용에 내성이 있는데, 이렇게 화학적 상호작용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은 금형과 중합된 콘택트렌즈가 서로 부착되는 것을 막고, 렌즈의 제조 후 이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 수형몰드(120,220)를 형성하는 것은 직접 자외선이 조사되는 부분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의 투과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여도 제품에 미치는 영향이 없게 되고, 오히려 자외선 투과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수형몰드(120,220) 부분으로 자외선이 투과되는 것을 막아 단량체와의 중합반응에 사용되는 자외선의 양이 많아져서 반응시 완전한 반응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치수 안정성도 높아 양질의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콘택트렌즈의 원료인 단량체와의 상호작용에 내성도 있어, 금형과 중합된 콘택트렌즈가 서로 부착되는 것을 막고, 렌즈의 제조 후 이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광중합이 아니라 열중합으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경우에는, 암형몰드 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P)의 약점인 낮은 치수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두껍게 몰드를 형성하여도 두꺼운 두께 때문에 자외선의 투과성이 좋지않아 중합반응이 느려지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고, 수형몰드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을 사용하게 되면 단량체의 반응성이 좋아지게 되고, 열중합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의 약점인 광투과성이 나쁜점은 문제가 되지 않게 되어 양질의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열중합에 의해 성형되어도 콘택트렌즈의 원료인 단량체와의 상호작용에 내성이 있어, 암형몰드 및 수형몰드와 중합된 콘택트렌즈의 분리가 용이하다.
이렇게 암형몰드(110,210)와 수형몰드(120,220)를 각각 다른 재질의 수지로 구성하게 되면, 전술된 각각 수지의 특성 외에 부가적인 효과로 중합시 온도변화에 의해 제품형태가 변하지 않게 되어 안정화되고, 화학반응시 완전하게 반응하여 렌즈표면의 상태가 양호하게 형성되어 표면 조도가 높은 양질의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미용렌즈 제작시 색상구분 및 중심(센타)을 정확히 잡을 수 있게 하고, 완전몰드의 최대 단점인 엣지부분의 파손 오류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암형몰드(110)는 전술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P.P)으로 형성되는데, 콘택트렌즈의 외부면을 형성하기 위해 그 형상은 내측이 반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콘택트렌즈의 원료인 단량체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암형몰 드(110)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115)가 형성되어 암형몰드의 내부에 수용된 단량체를 중합한 후 암형몰드(110)를 수형몰드(120)에서 분리할 때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수형몰드(120)는 상기 암형몰드(110)와 한쌍을 이루는데, 콘택트렌즈의 내부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형몰드(120)의 상부는 외측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쐐기 형태의 엣지단턱(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엣지단턱(130)은 광중합하여 형성된 콘택트렌즈의 엣지를 깔끔하게 다듬어진 형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엣지를 별도의 가공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그래서 제조 공정이 줄어들어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형몰드(120)의 상부 외주연에는 암형몰드(110)에 삽입될 때 암형몰드(110)의 플랜지(115)가 걸리는 단턱부(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형몰드(120)의 하부면에는 선반지그(미도시)가 삽입되는 지그끼움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끼움공(150)에는 선반지그(미도시)가 걸리는 지그걸림턱(160)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형몰드(110)에 렌즈의 원료인 단량체를 주입할 때 콘택트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양만큼만 넣기는 불가능하다. 조금씩 많이 넣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공간부(17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여분의 단량체가 엣지단턱(130)의 밖으 로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필요양보다 많은 단량체로 렌즈가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조된 렌즈는 필요양보다 많은 단량체 때문에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되고, 표면 또한 균일한 조도의 제품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엣지단턱(130)의 외측, 상기 암형몰드(110)와 수형몰드(120)가 결합되는 측면부 사이에는 공간부(170)가 형성되어 암형몰드(110)와 수형몰드(120)가 결합되어 렌즈 형성부 내부에 수용된 단량체가 넘치거나, 중합반응시 발생할 수 있는 가스를 배출할 때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양호한 상태의 렌즈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5에 도시된 암형몰드(210)는 콘택트렌즈의 외부면을 형성하기 위해 그 형상은 내측이 반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콘택트렌즈의 원료인 단량체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암형몰드(210)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215)가 형성되어 암형몰드(210)의 내부에 수용된 단량체를 중합한 후 암형몰드(210)를 수형몰드(220)로 부터 분리할 때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암형몰드(210)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쐐기 형태의 엣지단턱(2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엣지단턱(230)은 광중합하여 형성된 콘택트렌즈의 엣지를 깔끔하게 다듬어진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엣지를 별도의 가공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수형몰드(220)는 상기 암형몰드(210)와 한쌍을 이루는 데, 콘택트렌즈의 내부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형몰드(220)의 상부는 외측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형몰드(220)의 상부 외주연에는 암형몰드(210)에 삽입될 때 암형몰드(210)의 플랜지(215)가 걸리는 단턱부(2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형몰드(220)의 하부면에는 지그(미도시)가 삽입되는 지그끼움공(250)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끼움공(250)에는 지그(미도시)가 걸리는 지그걸림턱(260)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엣지단턱(230)의 외측, 상기 암형몰드(210)와 수형몰드(220)가 결합되는 측면부 사이에는 공간부(270)가 형성되어, 암형몰드(210)와 수형몰드(220)가 결합될 때 내부에 수용된 단량체가 넘치거나, 중합반응시 발생할 수 있는 가스를 배출할 때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양호한 상태의 렌즈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270)를 형성하기 위해 암형몰드(210)의 내부 가장자리에 제1경사면(280)과 제2경사면(290)이 형성된다. 그리고, 엣지단턱(230)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경사면(280)의 각도(t1)는 4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1경사면(280)의 각도(t1)가 45°보다 더 크게면 단량체가 고르게 분포가 되지 않고, 반대로 제1경사면(280)의 각도(t1)가 45°보다 작게 되면 콘택트렌즈의 엣지의 끊김이 좋지 않아 양질의 렌즈를 제작할 수가 없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면(280)에서 연장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면(290)의 각도(t2)는 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2경사면(290)의 각도(t2)가 15°보 다 더 크게 되면 엣지의 끊김이 좋지 않아 추가로 가공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더 늘어나게 되고, 반면에 제2경사면(290)의 각도(t2)가 15°보다 더 작으면 수형몰드(220)와의 결합에 간섭을 받게 되기 때문에 수형몰드(220)와 분리가 용이하지 않는 등 작업성이 좋지 않게 된다.
상기 전술된 본 발명을 종래의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시한 결과, 암형몰드와 수형몰드가 모두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깨끗한 몰드에 콘택트렌즈의 원료인 단량체를 주입하여 광중합반응으로 콘텍트렌즈를 제조하면, 렌즈가 뿌옇게 되는 증상이 나타나고, 금형과의 분리저하 및 엣지부분 오류로 발생되는 불량품은 40% 정도로 많았다.
반면에, 암형몰드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지고, 수형몰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암수 몰드가 다른 재질로 구성된 몰드로 제조하여 콘택트렌즈의 원료인 단량체를 주입하여 열중합반응으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을 때, 콘택트렌즈 금형과의 분리저하 및 엣지부분 오류로 발생되는 불량품은 1000개당 3개 정도로 매우 적었고 콘택트렌즈의 조도도 선명하게 제조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암형몰드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고, 수형몰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하여 각각의 화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효과에 의해 렌즈의 중합시 온도변화에 의해 제품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안정화되게 하고, 화학반응시 완전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하여 렌즈표면 상태가 양호하게 형성되어 표면 조도가 높은 양질의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따른 엣지단턱이 없는 암형몰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엣지단턱이 형성된 수형몰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형몰드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따른 수형몰드와 암형몰드가 결합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엣지단턱이 형성된 암형몰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엣지단턱이 없는 수형몰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형몰드의 B-B선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따른 수형몰드와 암형몰드가 결합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210 : 암형몰드 115,215 : 플랜지
120,220 : 수형몰드 130,230 : 엣지단턱
140,240 : 단턱부 150,250 : 지그끼움공
160,260 : 지그걸림턱 170,270 : 공간부
280 : 제1경사면 290 : 제2경사면
t1 : 제1경사면의 각도 t2 : 제2경사면의 각도

Claims (6)

  1. 암형몰드와 수형몰드로 이루어지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있어서,
    암형몰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이루어지고, 수형몰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로 이루어지되,
    상기 암형몰드에는 콘택트렌즈의 엣지를 형성하기 위한 쐐기 형태의 엣지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암형몰드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암형몰드와 수형몰드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엣지단턱에서 제1경사면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의 각도는 45°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에서 제2경사면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2경사면의 각도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83023A 2008-08-25 2008-08-25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KR100976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23A KR100976153B1 (ko) 2008-08-25 2008-08-25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23A KR100976153B1 (ko) 2008-08-25 2008-08-25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254A KR20100024254A (ko) 2010-03-05
KR100976153B1 true KR100976153B1 (ko) 2010-08-16

Family

ID=4217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023A KR100976153B1 (ko) 2008-08-25 2008-08-25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264B1 (ko) 2018-10-10 2019-10-2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KR20220072281A (ko) 2020-11-25 2022-06-02 김규만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90810B9 (en) 2010-07-09 2023-11-01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Ophthalmic lens molds with low levels of uv light transmittance, ophthalmic lenses molded therein, and related methods
US9193118B2 (en) 2010-07-30 2015-11-24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Ophthalmic lens molds, ophthalmic lenses molded therein,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1205A (en) * 1988-05-17 1990-05-01 Sola Usa, Inc. Lens mold assembly
KR20050043645A (ko) * 2003-11-06 2005-05-11 쿠라레 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컨택트 렌즈용 성형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1205A (en) * 1988-05-17 1990-05-01 Sola Usa, Inc. Lens mold assembly
KR20050043645A (ko) * 2003-11-06 2005-05-11 쿠라레 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컨택트 렌즈용 성형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264B1 (ko) 2018-10-10 2019-10-2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KR20220072281A (ko) 2020-11-25 2022-06-02 김규만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254A (ko) 201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719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xial growth with an ocular lens
RU2484964C2 (ru) Формы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при производстве контактных линз
EP3283008B1 (en) Ophthalmic lens with graded microlenses
US3423488A (en) Process for casting resinous lenses in thermoplastic cast replica molds
KR100976153B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US20220206318A1 (en) Spectacle lens production method and spectacle lens
US8292430B2 (en) Tinted semi-finished lens having impact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248702B1 (en) Method for cast molding toric contact lenses
KR20110020300A (ko) 안내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JP2005138416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の成形型
JP3798147B2 (ja) 眼用レンズの成形型
CN103978593B (zh) 用于形成眼科装置的铸杯组件
TWI404990B (zh) 複曲面隱形眼鏡製造之軸控制
JP5349919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EP2666621B1 (en) Mold assembly for forming ophthalmic lenses
KR100335721B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금형 및 그를 이용한 콘택트렌즈제조방법
US9616598B2 (en) Plastic lens manufacturing method
KR101908858B1 (ko) 홈이 형성되는 콘택트렌즈 몰드
TWI683739B (zh) 隱形眼鏡的模具
WO2016015023A1 (en) Stabilized thin lens
KR200214037Y1 (ko) 콘택트렌즈의 자외선 경화 중합용 주형
KR20240032363A (ko) 센터링 특성이 개선된 콘택트 렌즈 제조 주형
JP2004268596A (ja) 眼用レンズの成形型及びそれを用いた眼用レンズの成形方法
JP2010234807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3028080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