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423B1 -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423B1
KR102033423B1 KR1020180068737A KR20180068737A KR102033423B1 KR 102033423 B1 KR102033423 B1 KR 102033423B1 KR 1020180068737 A KR1020180068737 A KR 1020180068737A KR 20180068737 A KR20180068737 A KR 20180068737A KR 102033423 B1 KR102033423 B1 KR 102033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levator door
longitudinal direction
doo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청우
김황남
Original Assignee
(주)금하테크
코디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하테크, 코디텍(주) filed Critical (주)금하테크
Priority to KR102018006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스크린부재가 벽체에 설치되는 메인바디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면부 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승객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10)와 벽체(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인입출되는 방향의 상기 벽체(20) 단부면에 장착되되 내부에 설치공간부(110)가 마련된 메인바디(100);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내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틈새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스크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SAFETY DEVICE OF ELEVATOR FOR HAND PROTEC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스크린부재가 벽체에 설치되는 메인바디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면부 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승객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수직 승강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대부분의 아파트, 고층건물 등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도어의 원활한 개폐동작을 위해 도어와 문틀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고 있는데,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승객이 손을 도어 표면에 대고 있는 경우 도어가 열리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손을 도어 표면에 대고있는 상태에서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로 손이 끼어 상해를 입게되는 사고가 흔하게 발생한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주의력이 부족하여 이런 손끼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국민안전처가 발행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지난 10년간 총 319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365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이중 사망자는 91명이었다 이중 손끼임 사고의 경우 3주 이상 치료가 필요한 중대사고는 매년 1건 정도 발생하였으며, 한국소비자원에 신고된 경미한 사고는 '13년 79건, '14년 103건, '15년 92건에 달하였다 이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 승강기법은 엘리베이터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새기준을 종전의 10mm에서 5mm로 강화하기도 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 틈새로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가락 감지 센서를 설치하거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2674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2738호에는 위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손가락 감지 센서는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부주의한 어린 아이들에게는 실질적인 효력을 도모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예를 들어 적어도 부품 수가 많아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벽체에 설치하되, 외관상의 이유로 도어와 마주하는 배면에 설치하고 있으나, 틈새는 모든 건물에 대해 일정하지 않으며, 설치된 건물에 따라 틈새의 폭은 제각기 다르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틈새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설치 구조, 외부의 원인 및/또는 노후 등에 따라 위가 좁고 아래가 넓거나, 이와는 반대의 경우도 있다.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제조함에 있어, 예를 들어 위쪽은 가늘고 아래쪽은 두꺼운 두께로 제조(성형)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범용성이 떨어지고 성형성에도 제약이 따른다 즉, 성형 방법 중에서 압출 성형이 대량 생산성 및 경제성 등에서 유리한데, 위와 같이 두께 차이를 갖게 한 경우에는 압출 성형이 어려워 대량 생산성 및 경제성 등인 낮은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에 근접하는 ㄷ자형 고무를 설치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여전히 틈새가 존재하고 강한 힘으로 틈새로 문과함께 끼어 들어가는 손가락을 탄성고무로 차단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스크린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면부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틈새의 폭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승객의 손가락이 틈새에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한 대량 생산을 가능케 하여 제품의 가격 경잭력 확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10)와 벽체(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인입출되는 방향의 상기 벽체(20) 단부면에 장착되되 내부에 설치공간부(110)가 마련된 메인바디(100);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내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틈새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스크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는,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1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21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왕복이동유닛(220)과,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의 길이방향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에 간섭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개폐시 회전되는 롤러부재(2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21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편(221)과, 상기 연장편(221)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2분기편(223,224)으로 이루어진 분기부(2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분기편(223)의 단부에는 상기 롤러부재(2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분기편(224)은 상기 제1분기편(223)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롤러부재(230)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에 인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분기편(224)의 단부에는 탄성러버(3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바디에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면부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차단스크린부재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와 벽체 사이에 형성된 틈새의 폭 변화에 용이하여 대응하여 상기 틈새를 효과적을 차단하여 손가락 끼임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유지 및 보수를 손쉽게 이룰 수 있고, 대량생산을 통한 가격경쟁력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탄성러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탄성러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10)와 벽체(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30)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20)의 단부면에 장착되는 메인바디(100)와 상기 메인바디(100)에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 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틈새(30)를 차단하는 차단스크린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10)와 벽체(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30)로 승객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가 상기 메인바디(100)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 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개폐시 발생하는 흔들림으로 인한 틈새 폭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 인한 대량 생산을 가능케 하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인입출되는 방향의 상기 벽체(20) 단부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바디(100)는 상기 벽체(2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메인바디가 상기 벽체(2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00)에는 후술되는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부(11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를 바라보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설치공간부(110)로 관통되는 관통공(120)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후술되는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의 왕복이동을 가능토록 한다.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는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내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틈새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는 상기 메인바디(10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와 벽체(20)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틈새(30)의 폭은 엘리베이터의 설계, 설치 구조, 외부의 원인 및/또는 노후 등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의 길이방향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경우 및 엘리베이터 도어의 길이방향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경우가 있는데, 본원 발명의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는 상기 메인바디(100)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틈새의 폭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사용 중 탑승객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를 기대거나 밀게 되는 경우 상기 틈새의 폭이 넓어지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탑승객에 의한 상기 틈새(30)의 폭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탑승객의 손 끼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는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1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21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왕복이동유닛(220)과,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의 길이방향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에 간섭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개폐시 회전되는 롤러부재(2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와 벽체(20) 사이에 형성된 틈새 폭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이 상기 탄성스프링(210)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틈새를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개폐되더라도 상기 롤러부재(230)로 인해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의 차단위치가 변경되지 않아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과정에서도 상기 틈새를 지속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엘리베이터 내부에 어린아이가 탑승한 상태에서 어린아이가 엘리베이터에 기대거나 밀게 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밀려나 상기 틈새가 벌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개폐되면 어린아이의 손가락이 벌어진 틈새로 더욱 쉽게 끼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어린아이가 엘리베이터 도어를 밀거나 기대어 틈새(30)가 벌여지더라도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이 상기 탄성스프링(2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방향으로 밀려나 상기 틈새를 지속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어린아이의 손가락 끼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21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편(221)과, 상기 연장편(221)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2분기편(223,224)으로 이루어진 분기부(2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분기편(223)의 단부에는 상기 롤러부재(2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분기편(224)은 상기 제1분기편(223)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롤러부재(230)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에 인접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재(230)는 상기 제1분기편(223)의 단부에 롤러고정핀(231)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분기편(224)의 단부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에 인접되게 형성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제2분기편(224)의 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에 닿게 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개폐시 소음이 유발되어 탑승객에게 불편함을 주게 됨은 물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지속적인 개폐로 인해 상기 제2분기편(224)에 하중이 전달되어 상기 제2분기편(224)의 파손이나 손상을 유발하게 되어 제품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분기편(224)의 단부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에 닿지 않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단부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인접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롤러부재(23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여 상기 롤러부재(230)로의 이물질 유입의 차단을 통한 제품의 장기간 사용을 가능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00)의 일측에는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편(130)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편(130)으로 인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닫힘시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측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분기편(224)의 단부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에 간섭되는 탄성러버(30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에 이물질 이나자석에 의해 홍보책자 등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개방시 상기 탄성러버(300)에 의해 이물질이나 홍보책자가 상기 롤러부재(230)방향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엘리베이터 도어에 이물질 부착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상기 제2분기편(224)의 단부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면부 사이의 미세틈을 통과하여 상기 롤러부재(230)에 묻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면 상기 롤러부재(230)의 회전운동을 방해하게 됨은 물론 롤러부재에 묻은 이물질로 인해 상기 제2분기편(224)의 단부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면부 사이 틈이 더욱 벌어져 유아의 손이 벌어진 틈으로 유입되는 2차 인사사고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분기편(224)의 단부에 상기 탄성러버(300)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장치는 엘리베이터 내측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내측 벽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외측 벽체나 내측 벽체에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롤러부재(230)는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되게 설치되거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엘리베이터 도어 20: 벽체
30: 틈새 100: 메인바디
110: 설치공간부 120: 관통공
130: 가이드편 200: 차단스크린부재
210: 탄성스프링 220: 왕복이동유닛
221: 연장편 222: 분기부
223: 제1분기편 224: 제2분기편
230: 롤러부재 231: 롤러고정핀
300: 탄성러버

Claims (4)

  1. 엘리베이터 도어(10)와 벽체(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인입출되는 방향의 상기 벽체(20) 단부면에 장착되되 내부에 설치공간부(110)가 마련된 메인바디(100);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내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틈새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스크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단스크린부재(200)는,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1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21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왕복이동유닛(220)과,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의 길이방향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에 간섭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개폐시 회전되는 롤러부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유닛(22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21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편(221)과, 상기 연장편(221)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2분기편(223,224)으로 이루어진 분기부(222)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분기편(223)의 단부에는 상기 롤러부재(2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분기편(224)은 상기 제1분기편(223)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롤러부재(230)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면부에 인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기편(224)의 단부에는 탄성러버(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4. 삭제
KR1020180068737A 2018-06-15 2018-06-15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2033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737A KR102033423B1 (ko) 2018-06-15 2018-06-15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737A KR102033423B1 (ko) 2018-06-15 2018-06-15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423B1 true KR102033423B1 (ko) 2019-10-17

Family

ID=6842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737A KR102033423B1 (ko) 2018-06-15 2018-06-15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4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9160A (ja) * 1995-03-29 1996-10-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2003073059A (ja) * 2001-09-06 2003-03-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扉安全装置
KR101761160B1 (ko) * 2017-04-14 2017-08-07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KR200485697Y1 (ko) *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9160A (ja) * 1995-03-29 1996-10-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2003073059A (ja) * 2001-09-06 2003-03-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扉安全装置
KR200485697Y1 (ko) *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KR101761160B1 (ko) * 2017-04-14 2017-08-07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5798B2 (en) Movable barrier seal assembly
US20150121766A1 (en) Safety door
KR102033423B1 (ko) 엘리베이터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1912838B1 (ko) 승강기 도어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US11939810B2 (en) Shower door sliding mechanism for soft positioning
JP2016138372A (ja) 防水シャッター
KR102347346B1 (ko)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KR20160106301A (ko) 방화문 시스템
JP3183380U (ja) 改良型外開き窓用スライド式網戸装置
KR20160054225A (ko) 문틀의 측벽용 모헤어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20080076475A (ko) 스윙 도어
JP5312245B2 (ja) 自動開閉ドアにおける手指等の挟み事故防止装置
KR200485400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KR200488078Y1 (ko) 승강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JP5284010B2 (ja) 建具
JP2007320696A (ja) エレベーター扉への引き込み防止装置、エレベーター装置
EP2924210B1 (en) Door or window with shutter-like opening, tilt-and turn opening or the like comprising perimeter hardware and a coupling element
KR101548663B1 (ko) 미닫이 도어 시스템
KR200456513Y1 (ko) 창문용 안전 난간대
JP5583380B2 (ja) 自動扉の障害物感知構造
IT201800009410A1 (it) Barriera anti-spiffero per porte
CN204081748U (zh) 一种钩锁
JP6009861B2 (ja) タッチセンサー構造体
KR20150000481U (ko) 내구성 증대 및 제작이 용이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JP3089711U (ja) 曲面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