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274B1 -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274B1
KR101283274B1 KR1020110090597A KR20110090597A KR101283274B1 KR 101283274 B1 KR101283274 B1 KR 101283274B1 KR 1020110090597 A KR1020110090597 A KR 1020110090597A KR 20110090597 A KR20110090597 A KR 20110090597A KR 101283274 B1 KR101283274 B1 KR 10128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uel inlet
closing device
catch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180A (ko
Inventor
공성식
김정대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2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유동 및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내측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힌지 결합을 이루는 커넥팅 암으로 이루어진 도어를 구비하는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주입구 측을 향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도어 록커, 상기 도어 록커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연료 주입구의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캐처, 상기 도어 캐처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를 상측 방향과 측 방향으로 안착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 및 상기 지지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 록커에 형성되는 안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FUEL INLET DOOR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유동 및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연료 보충을 위한 연료 주입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료 주입구는 대체적으로 자동차의 본체 측면에 형성되며 전체적인 외관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연료 주입구 도어에 의해 가려지도록 설계된다.
종래와 같은 연료 주입구 도어는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는 소정 깊이 연장되면서 굴곡된 단부를 갖는 커넥팅 암이 구성되며, 커넥팅 암의 굴곡 단부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브래킷 또는 본체의 일부에 닿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연료 주입구 부위의 본체 또는 그 부위에 설치한 브래킷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구성을 이루게 된다.
상기 도어의 커넥팅 암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일방향으로 도어를 밀어서 열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는 운전석 등에서 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연료 주입구 도어에 대한 단속을 해제하면 탄성편의 탄성력이 커넥팅 암에 작용하고 그에 따라 도어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열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이 반복적인 개폐, 물리적인 외압 또는 자중에 의하여 그 형상이 변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탄성편의 탄성력이 약화되어서 원활히 도어가 개폐되기 어려워진다.
즉, 도 1의 간격 d1 또는 d2가 변형을 일으키게 되므로 연료 주입구 도어(1)의 형상 변형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본체(V)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찌그러진 형상을 초래하므로 자동차의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본체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와류시켜 그 주위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등록실용신안실0140173, 도 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의 도어를 열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의 형상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는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내측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힌지 결합을 이루는 커넥팅 암으로 이루어진 도어를 구비하는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주입구 측을 향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도어 록커, 상기 도어 록커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연료 주입구의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캐처, 상기 도어 캐처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를 상측 방향과 측 방향으로 안착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 및 상기 지지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 록커에 형성되는 안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 주입구의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캐처, 상기 도어 캐처에 형성되고 중앙이 돌출되는 봉 지지부 및 상기 봉 지지부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 봉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캐처 봉에 근접하는 위치에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돌기는 횡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 및 측면에 각각 상측 지지면 및 측부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 돌기는 상기 도어 록커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측부 지지면과 면접촉하는 측부 안내 돌기 및 상기 상측 지지면과 면 접촉하는 상측 안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가 최초 위치로부터 하측 및 측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 재차 최초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상측 안내 돌기가 상측 지지면을 따라 상측으로 안내되고 상기 측부 안내 돌기가 측부 지지면을 따라 측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 봉에 의해 걸림 고정되도록 걸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봉이 인출 및 인입 시 상기 걸림 홈과 결합 및 해제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잠금 및 해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구성되는 탄성편의 형상의 변화에 의해 도어가 처지거나 측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형상 변형에 의하여 자동차의 상품적 가치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적용되는 도어 캐처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적용되는 캐처 브래킷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적용되는 도어 캐처와 캐처 브래킷이 상호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적용되는 걸림 홈 및 걸림 봉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10), 커넥팅 암(20), 브래킷(30), 도어 캐처(50) 및 도어 록커(11)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10)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본체 측면(V)에 형성된 연료 주입구에 형성되어서 상기 연료 주입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10)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료 주입구를 향하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고리 모양으로 굽은 형상의 커넥팅 암(20)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팅 암(20)의 일단에는 상기 브래킷(30)과의 사이에 탄성편(40)이 배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탄성편(40)은 상기 커넥팅 암(20)과 브래킷(30) 사이에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탄성편(40)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커넥팅 암(20)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도어(10)가 개방되는 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팅 암(20)의 브래킷(30)을 바라보는 면에는 고정 돌기(20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편(40)이 이동되지 않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적용되는 도어 캐처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캐처(50)가 연료 주입구(미도시)의 내측에 고정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캐처(50)는 상기 연료 주입구의 내측에 견고하게 볼트 결합되거나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연료 주입구 내부에서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캐처(50)는 후술하는 캐처 브래킷(30)의 고정을 위하여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적용되는 도어 록커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적용되는 도어 캐처와 도어 록커가 상호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적용되는 걸림 홈 및 걸림 봉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록커(11)는 상기 연료 주입구를 향하도록 상기 커넥팅 암(20)의 반대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도어 록커(11)는 상기 도어 캐처(50)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 캐처(50)에는 봉 지지부(51)가 형성된다. 이러한 봉 지지부(51)는 중간에 걸림 봉(51a)이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걸림 봉(51a)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봉 지지부(51) 상에는 지지 돌기(52)가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 돌기(52)는 도어 록커(11)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내 돌기(12)의 상측 안내 돌기(121) 또는 측부 안내 돌기(122)와 면 접촉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돌기(52)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 돌기(52)의 삼각형의 장변을 이루는 측면에는 상기 도어 록커(11)의 측부 안내 돌기(122)에 대응되어 면 접촉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돌기(52)의 상면에는 상기 상측 안내 돌기(121)에 대응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한다.
즉, 상기 도어(10)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도어 록커(11)의 상측 안내 돌기(121) 및 측부 안내 돌기(122)가 상기 상측 지지면(521) 및 측부 지지면(522)과 각각 면접촉 함과 동시에 상기 상측 지지면(521)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상기 도어(10)의 최초 폐쇄 위치까지 소정 거리만큼 상승하게 되고, 상기 도어 록커(11)의 측부 안내 돌기(122)가 상기 측부 지지면(522)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상기 도어(10)의 최초 폐쇄 위치까지 소정 거리만큼 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상기 자중에 의해 또는 탄성편(40)의 탄성력 감소로 인하여 상기 도어(10)가 하측 또는 측 방향으로 위치를 보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 요소 중 종래 기술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연료 주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탄성편(40)에 의해 도어(10)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받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도어(10)의 간격인 d1 및 d2를 유지하게 되며 사용자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도어 록커(11)를 걸림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걸림 봉(51a)을 상기 봉 지지부(51)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면 상기 도어 록커(11)의 걸림 홈(13)과 걸림 봉(51a)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도어(10)는 상기 탄성편(40)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개방된다.
주유를 완료한 후, 상기 도어(10)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 상기 도어(10)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도어 록커(11)의 안내 돌기(12)가 상기 도어 캐처(50)의 지지 돌기(52)와 상호 면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측 안내 돌기(121) 및 측부 안내 돌기(122)가 각각 상측 지지면(521) 및 측부 지지면(522)에 동시에 면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상측 안내 돌기(121)는 상기 탄성편(40)의 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도어(10)가 편향되어서 간격 d2이 작아진 경우, 또는 탄성편(40)의 탄성력이 약화되어 자중에 의해 도어(10)가 하측으로 처진 경우에도 상기 상측 지지면(521)을 따라 최초 장착 시의 위치로 상향 이동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측부 지지면(522)에 의해 상기 측부 지지면(522)을 따라 최초 장착 시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측 안내 돌기(121) 및 측부 안내 돌기(122)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도어(10)가 상기 탄성편(40)의 탄성력이 약화되어 하측으로 처지거나 측면으로 밀려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도어
11: 도어 록커
12: 안내 돌기
13: 걸림 홈
20: 커넥팅 암
20a: 고정 돌기
30: 브래킷
40: 탄성편
50: 도어 캐처
51: 봉 지지부
51a: 걸림 봉
52: 지지 돌기
121: 상측 안내 돌기
122: 측부 안내 돌기
521: 상측 지지면
522: 측부 지지면

Claims (6)

  1.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내측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힌지 결합을 이루는 커넥팅 암으로 이루어진 도어를 구비하는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주입구 측을 향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도어 록커;
    상기 도어 록커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연료 주입구의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캐처;
    상기 도어 캐처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를 상측 방향과 측 방향으로 안착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 및
    상기 지지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 록커에 형성되는 안내 돌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주입구의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캐처;
    상기 도어 캐처에 형성되고 중앙이 돌출되는 봉 지지부; 및
    상기 봉 지지부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 봉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캐처 봉에 근접하는 위치에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횡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 및 측면에 각각 상측 지지면 및 측부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는
    상기 도어 록커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측부 지지면과 면접촉하는 측부 안내 돌기; 및
    상기 상측 지지면과 면 접촉하는 상측 안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최초 위치로부터 하측 및 측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 재차 최초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상측 안내 돌기가 상측 지지면을 따라 상측으로 안내되고 상기 측부 안내 돌기가 측부 지지면을 따라 측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봉에 의해 걸림 고정되도록 걸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봉이 인출 및 인입 시 상기 걸림 홈과 결합 및 해제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잠금 및 해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KR1020110090597A 2011-09-07 2011-09-07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KR10128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597A KR101283274B1 (ko) 2011-09-07 2011-09-07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597A KR101283274B1 (ko) 2011-09-07 2011-09-07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180A KR20130027180A (ko) 2013-03-15
KR101283274B1 true KR101283274B1 (ko) 2013-07-11

Family

ID=4817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597A KR101283274B1 (ko) 2011-09-07 2011-09-07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1891A1 (en) * 2019-05-14 2022-08-11 Illinois Tool Works Inc. Articulating vehicle energy source do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4060A2 (en) * 1997-01-16 1998-07-2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vehicle sliding door interlock mechanism
KR20020078177A (ko) * 2001-04-06 2002-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캐치
EP1571029A2 (en) * 2004-03-03 2005-09-07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Fuel door housing for automobiles
KR20060044174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신진화학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4060A2 (en) * 1997-01-16 1998-07-2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vehicle sliding door interlock mechanism
KR20020078177A (ko) * 2001-04-06 2002-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캐치
EP1571029A2 (en) * 2004-03-03 2005-09-07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Fuel door housing for automobiles
KR20060044174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신진화학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180A (ko) 201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90582U (zh) 车门的固定装置
US20110089706A1 (en) Absorber element for a motor vehicle lock
KR101077227B1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KR101806622B1 (ko) 차량의 후드래치 조립체 및 그 작동방법
US8246088B2 (en) Cover for fully concealed striker
KR101823899B1 (ko) 연료도어의 개폐구조
KR20120025604A (ko) 슬라이드 보조 기구 및 인입유닛
KR101283274B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KR20180069345A (ko) 연료도어 팝업장치
US20180298654A1 (en) Cabinet assembly
US20170267076A1 (en) Vehicle Having a Slider for Guiding a Displaceable Element
US20160215535A1 (en) Fastener for a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 toggle clamp
KR101156640B1 (ko) 도어 개폐구조
KR20100025254A (ko) 자동차용 후드 잠금장치
KR20130042406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0568745B1 (ko) 카고 스크린의 스토퍼장치
US20140298614A1 (en) Device for slowing and blocking one vehicle element relative to another
KR100602943B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 장치
JP6102580B2 (ja) 車両ドア用ロアサッシュ
CN214170249U (zh) 一种商用车杂物箱开启支撑结构
EP1944223A1 (en) Vehicle bonnet
KR200353440Y1 (ko) 측면상향개폐식 차량문짝용 힌지
KR20070055146A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구조
KR101324111B1 (ko) 안전문
KR102634402B1 (ko) 런업타입 스윙아웃 도어 리테이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