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513Y1 - 창문용 안전 난간대 - Google Patents

창문용 안전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513Y1
KR200456513Y1 KR2020100006747U KR20100006747U KR200456513Y1 KR 200456513 Y1 KR200456513 Y1 KR 200456513Y1 KR 2020100006747 U KR2020100006747 U KR 2020100006747U KR 20100006747 U KR20100006747 U KR 20100006747U KR 200456513 Y1 KR200456513 Y1 KR 200456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window
guide groove
bar
safet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만
Original Assignee
김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만 filed Critical 김형만
Priority to KR2020100006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2Detachabl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순한 구성으로 기존 창틀에도 쉽게 장착이 가능하고 긴급 상황에서는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창문용 안전 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창문용 안전 난간대는 창틀의 내 측면 중 제1 면에 구비되고 제1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 고정 브라켓; 창틀의 내 측면 중 제1 면에 마주하는 제2 면에 구비되고 제2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 브라켓; 및 제1 및 제2 삽입홀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되며 신축 가능한 안전바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전바는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된 바 형상의 제1 몸체; 안전바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안내홈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형상의 제2 몸체; 및 안전바의 길이가 원상 복귀되도록 제2 몸체를 제1 몸체에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문용 안전 난간대{SAFETY GUARDRAIL FOR WINDOW}
본 고안은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창문용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축물에서 개방된 벽면에 설치한 문으로, 건축물의 벽면에 직접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 측면에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개폐 역할을 하는 창짝을 포함한다.
이러한 창짝은 그 개폐 방식에 따라, 창틀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는 미서기창과, 창틀의 일정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창과, 그리고 창틀에 대해 직각 방향(실내에서 실외로, 또는 실외에서 실내로)으로 이동하는 평행 밀창 등으로 구분된다.
나아가, 부주의로 인해 개방된 창문으로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 창틀에 안전 장치로서 난간이 더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난간은 고정된 상태에 있으므로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 탈출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하 슬라이딩 방식의 난간이 실용신안등록 제20-0423291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슬라이딩을 위한 메커니즘이 번잡하고, 상부로 슬라이딩이 된 난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 유닛을 더 포함함에 따라, 비용 및 설치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단순한 구성으로 기존 창틀에도 쉽게 장착이 가능하고 긴급 상황에서는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창문용 안전 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는 창틀의 내 측면 중 제1 면에 구비되고 제1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 고정 브라켓; 상기 창틀의 내 측면 중 상기 제1 면에 마주하는 제2 면에 구비되고 제2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되며 신축 가능한 안전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바는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된 바 형상의 제1 몸체; 상기 안전바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내홈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형상의 제2 몸체; 및 상기 안전바의 길이가 원상 복귀되도록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에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고정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안내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가 구비되는 장착판; 및 상기 제2 몸체 중 상기 안내홈에 마주하는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타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판이 상기 안내홈에 억지 끼워지도록 상기 장착판의 외경은 상기 안내홈의 내경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장착판이 상기 안내홈에 억지 끼워지도록 상기 장착판은 다각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대각선의 길이가 상기 안내홈의 내경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 브라켓 및 신축 가능한 안전바의 구비로, 고정 브라켓을 통해 기존 창틀에도 쉽게 장착이 가능하고 긴급 상황에서는 안전바의 길이를 줄여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가 창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안전바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 및 안전바가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에서, 장착판의 억지 끼움을 위해 장착판의 외경과 안내홈의 내경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에서, 장착판이 다각 형상을 할 경우, 장착판의 대각선의 길이와 안내홈의 내경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가 2중 창을 갖는 창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가 창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안전바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 및 안전바가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브라켓(100)과, 제2 고정 브라켓(200)과, 그리고 안전바(300)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브라켓(100)은 창틀(10)의 내 측면 중 제1 면(11)에 구비된다. 또한, 제1 고정 브라켓(100)의 중심부는 창틀(10)의 내 측면 중 제1 면(11)과 이격되도록 볼록한 형상을 하고, 그 볼록한 중심부에는 안전바(3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110)이 형성된다.
제2 고정 브라켓(200)은 창틀(10)의 내 측면 중 상기 제1 면(11)에 마주하는 제2 면(12)에 구비된다. 또한, 제2 고정 브라켓(200)의 중심부는 창틀(10)의 내측면 중 제2 면(12)과 이격되도록 볼록한 형상을 하고, 그 볼록한 중심부에는 안전바(30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210)이 형성된다.
안전바(300)는 제1 및 제2 삽입홀(110)(210)에 그 양 단부가 각각 삽입되며 신축 가능한 기술 구성을 갖는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신축 가능한 안전바(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신축 가능한 안전바(300)는 제1 몸체(310)와, 제2 몸체(320)와, 그리고 탄성체(330)를 포함한다.
제1 몸체(310)는 바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311)이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안내홈(311)이 제1 몸체(310)의 타단 근처까지 형성될 경우 제1 몸체(310)는 속이 빈 중공 형상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제2 몸체(320)는 바 형상을 가지며, 안전바(300)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안내홈(311)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탄성체(330)는 안전바(300)의 길이가 원상 복귀되도록 제2 몸체(320)를 제1 몸체(310)에 탄성지지 시킨다. 이러한 탄성체(330)는 일예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안전바(300)가 제1 및 제2 고정 브라켓(100)(200)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안전바(300)를 잡고 안전바(300)의 타단부를 제2 고정 브라켓(200)의 제2 삽입홀(210)에 삽입시킨다. 이 후, 사용자가 안전바(300)의 제1 몸체(310)를 잡고 제2 몸체(320) 측으로 제1 몸체(310)를 이동시키면 제2 몸체(320)는 안내홈(311)으로 인입되면서 안전바(300)의 길이가 축소된다. 이 때, 안전바(300)의 일단부가 제1 고정 브라켓(100)의 제1 삽입홀(110)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안전바(300)는 축소되고, 그리고 탄성체(330)는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갖게 된다.
이 후, 사용자가 안전바(300)의 일단부를 제1 고정 브라켓(100)의 제1 삽입홀(110)에 삽입시키고 안전바(300)에서 놓으면, 탄성체(33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몸체(320)는 안내홈(311)에서 인출되면서 안전바(300)의 길이는 원상 복귀되고 안전바(300)는 제1 및 제2 고정 브라켓(100)(200)에 장착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안전바(300)가 제1 및 제2 고정 브라켓(100)(200)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안전바(300)의 제1 몸체(310)를 잡고 제2 몸체(320) 측으로 제1 몸체(310)를 이동시키면 제2 몸체(320)는 안내홈(311)으로 인입되면서 안전바(300)의 길이가 축소된다. 이 때, 안전바(300)의 일단부는 제1 고정 브라켓(100)의 제1 삽입홀(110)에서 완전히 빠진 상태에 있게 되고, 그리고 탄성체(330)는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갖게 된다.
이 후, 사용자가 제1 몸체(310)를 도면상 정면으로 당기면 제1 고정 브라켓(100)에서 완전히 이탈되고, 제1 몸체(310)를 도면상 우측으로 당기면 안전바(300)의 타단부 또한 제2 고정 브라켓(200)에서 완전히 이탈된다. 따라서, 안전바(300)는 제1 및 제2 고정 브라켓(100)(2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탄성체(33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몸체(320)는 안내홈(311)에서 인출되면서 안전바(300)의 길이는 원상 복귀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탄성체(330)는 고정 유닛(340)에 의해 제1 및 제2 몸체(310)(3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고정 유닛(340)은 안내홈(311)에 삽입 고정되며 탄성체(330)의 일단부가 구비되는 장착판(341)과, 그리고 제2 몸체(320) 중 안내홈(311)에 마주하는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체(330)의 타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장착홈(34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에서, 장착판(341)의 억지 끼움을 위해 장착판(341)의 외경(D1)과 안내홈(311)의 내경(D2)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에서, 장착판(341)이 다각 형상을 할 경우, 장착판(341)의 대각선의 길이(L1)와 안내홈(311)의 내경(D2)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341)이 안내홈(311)에 억지 끼워지도록 장착판(341)의 외경(D1)은 안내홈(311)의 내경(D2)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341)이 안내홈(311)에 억지 끼워지도록 장착판(341)은 다각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대각선의 길이(L1)가 상기 안내홈(311)의 내경(D2)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가 2중 창을 갖는 창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 창(21)(22)을 갖는 창문(20)에 장착될 수 있다.
학교나 유치원 등 교육 시설은 일반적으로 2중 창(21)(22)으로 이루어지는데, 2중 창(21)(22)으로 이루어진 창문(20)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 창(21)(22)의 중간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안전바(300)가 2중 창(21)(22)의 중간에 장착되면 안전바(30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이에 부딪칠 염려가 없어 안전하고, 보기도 좋아 향상된 외관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안전 난간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고정 브라켓(100)(200) 및 신축 가능한 안전바(300)의 구비로, 제1 및 제2 고정 브라켓(100)(200)을 통해 기존 창틀(10)에도 쉽게 장착이 가능하고 긴급 상황에서는 안전바(300)의 길이를 줄여 제1 및 제2 고정 브라켓(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창틀 11: 제1 면
12: 제2 면 100: 제1 고정 브라켓
110: 제1 삽입홀 200: 제2 고정 브라켓
210: 제2 삽입홀 300: 안전바
310: 제1 몸체 320: 제2 몸체
330: 탄성체

Claims (4)

  1. 창틀(10)의 내 측면 제1 면(11)과 제2면(12)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바(300)는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311)이 형성된 바 형상의 제1 몸체(310)와, 상기 안전바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내홈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형상의 제2 몸체(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바(300)의 길이가 원상 복귀되도록 상기 제2 몸체(320)를 상기 제1 몸체(310)에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체(330)로 이루어진 창문용 안전 난간대에 있어서,
    창틀(10)의 내 측면 중 제1 면(11)에 구비되되 중심부가 상기 제1 면과 이격되도록 볼록한 형상을 하고 그 볼록한 중심부에 제1 삽입홀(110)이 형성되는 제1 고정 브라켓(100)과;
    상기 창틀(10)의 내 측면 중 상기 제1 면(11)에 마주하는 제2 면(12)에 구비되되 중심부가 제2 면(12)과 이격되도록 볼록한 형상을 하고 그 볼록한 중심부에 제2 삽입홀(210)이 형성되는 제2 고정 브라켓(200)과;
    상기 제1 고정브라켓(100)의 제1삽입홀(110)과 제2 고정브라켓(200)의 제2 삽입홀(210)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되며 신축 가능한 안전바(300)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바의 신축가능한 탄성체는 고정 유닛(34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몸체(310)(32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유닛(340)은 안내홈(311)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330)의 일단부가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장착판(341); 및
    상기 제2 몸체(320) 중 상기 안내홈(311)에 마주하는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330)의 타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장착홈(342)과;
    상기 장착판(341)이 상기 안내홈(311)에 억지 끼워지도록 상기 장착판(341)의 외경은 상기 안내홈(311)의 내경 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안전 난간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00006747U 2010-06-25 2010-06-25 창문용 안전 난간대 KR200456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47U KR200456513Y1 (ko) 2010-06-25 2010-06-25 창문용 안전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47U KR200456513Y1 (ko) 2010-06-25 2010-06-25 창문용 안전 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513Y1 true KR200456513Y1 (ko) 2011-11-03

Family

ID=7312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747U KR200456513Y1 (ko) 2010-06-25 2010-06-25 창문용 안전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394B1 (ko) 2019-09-30 2020-03-02 (주)에스엔시 창문용 안전난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96B1 (ko) * 2008-10-10 2009-04-10 이은옥 착탈식 추락방지 안전봉이 내설된 창호
KR100935160B1 (ko) * 2009-03-13 2010-01-06 주식회사 창덕창호 커튼 어셈블리와 안전난간대가 매입된 단열이중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96B1 (ko) * 2008-10-10 2009-04-10 이은옥 착탈식 추락방지 안전봉이 내설된 창호
KR100935160B1 (ko) * 2009-03-13 2010-01-06 주식회사 창덕창호 커튼 어셈블리와 안전난간대가 매입된 단열이중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394B1 (ko) 2019-09-30 2020-03-02 (주)에스엔시 창문용 안전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0720B2 (en) Safety retainer for curtain cord
KR101441504B1 (ko) 분리 착탈 가능한 세그먼트 구조의 레일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방충창 설치 구조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KR20210076562A (ko) 초미세먼지 방지용 나노 방진망을 설치한 창호
KR20130059586A (ko) 방충망이탈방지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창호
KR101533442B1 (ko) 내부 개방형 여닫이 창호용 방충망장치
KR101844446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659267B1 (ko)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바닥 소음방지구조
KR200456513Y1 (ko) 창문용 안전 난간대
KR101655893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1077722B1 (ko)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JP6297422B2 (ja) サッシ
KR101866373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100712936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안전장치
KR20100106948A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JP2011026797A (ja) 補助建具付き建具
KR200471959Y1 (ko) 확장형 창틀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난간대 겸용 손스침 부재
CN209908322U (zh) 一种防撞击且使用寿命长的家用铜门
KR20220000287U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KR100986118B1 (ko) 창문용 이탈방지기구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101584318B1 (ko) 여닫이문 고정 장치
KR102559197B1 (ko) 잠금장치를 갖는 길이 가변형 방범창
JP5705438B2 (ja) 窓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