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948A -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948A
KR20100106948A KR1020100090090A KR20100090090A KR20100106948A KR 20100106948 A KR20100106948 A KR 20100106948A KR 1020100090090 A KR1020100090090 A KR 1020100090090A KR 20100090090 A KR20100090090 A KR 20100090090A KR 20100106948 A KR20100106948 A KR 20100106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prevention
fixing part
safety device
fix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영
Original Assignee
(주)미광이엔씨
김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광이엔씨, 김광영 filed Critical (주)미광이엔씨
Priority to KR1020100090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6948A/ko
Publication of KR2010010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설치 가능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시 별도의 공구 없이 쉽게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분리시 분실 위험이 없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창호프레임 또는 벽체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와; 제1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창호프레임 또는 벽체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와; 제1 고정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와; 탄성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결합되는 안전봉; 및 한쪽은 제1 고정부에 고정되고, 다른쪽은 지지부에 고정되는 이탈방지와이어; 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추락방지용 안전장치{SAFETY GUARD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설치 가능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시 별도의 공구 없이 쉽게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분리시 분실 위험이 없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에는 환기 등을 목적으로 창호가 설치되며, 이를 통해 사람 또는 물건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난간이나 추락방지용 안전봉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특히 학교, 예를 들어 초등학교나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교실 증축 및 신축시 학생들이 창호를 통해 추락하는 인명사고를 방지하고자 추락방지용 안전봉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추락방지용 안전봉은 소방서와 소방협의시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시행령의 규정에 의해 화재 등 기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비상 탈출과 소화활동 및 인명구조 활동의 어려움이 있어 소방협의가 쉽지 않았으므로 일선에서는 학교 자체적으로 건축물 준공검사 후 불법으로 창호에 추락방지용 안전봉을 설치하여 왔다.
이에 최근 「학교사고안전관리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그동안 창호에 관행적으로 설치하던 추락방지 안전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개정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방법령에 저촉되어 추락방지용 안전봉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0-0006602호 "창문용 조립식 난간대" 와 같이 별도의 공구 없이 안전봉을 조립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창문용 조립식 난간대"의 경우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발생하여 급박한 경우 쉽게 난간대를 분리하기가 어렵고, 난간대를 분리했을 경우 이를 따로 보관하거나 챙겨두기가 곤란하여 분실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설치 가능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시 별도의 공구 없이 쉽게 분리가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시 분실 위험이 없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창호프레임 또는 벽체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와; 제1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창호프레임 또는 벽체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와; 제1 고정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와; 탄성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결합되는 안전봉; 및 한쪽은 창호프레임, 벽체, 제1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다른쪽은 지지부에 고정되는 이탈방지와이어; 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수평선상에 기둥프레임을 중심으로 이웃하여 배치된 창호와 다른 창호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창호 및 다른 창호의 창호프레임 또는 벽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고정부와; 제1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기둥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제2 고정부와; 제1 고정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탄성체와, 기둥프레임 및 제2 고정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부와;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에 의해 각각 탄성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가 양측 내부에 수용되고, 창호의 제1 및 제2 고정부와 다른 창호의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안전봉; 및 한쪽은 제1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고, 다른쪽은 제2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지지부에 고정되는 이탈방지와이어; 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지지부와 안전봉을 결합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몸체; 및 몸체의 한쪽말단에 형성되되, 직경이 몸체의 직경보다 크고, 안전봉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걸림구;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와이어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간단하게 설치 가능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시 별도의 공구 없이 쉽게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분리시 분실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안전봉을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는 크게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 탄성부(130), 지지부(140), 안전봉(150) 및 이탈방지와이어(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는 창호프레임(210) 또는 창호프레임(210)이 설치되는 벽체(W)에 설치가 가능하나, 여기에서는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가 벽체(W)에 장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고정부(110)는 벽체(W)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써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0)의 한쪽은 하기에 서술하는 안전봉(150)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쪽은 창호프레임(210) 또는 벽체(W)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유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고정부(120)는 제1 고정부(110)와 동일한 형상, 재질로 형성되며, 제1 고정부(110)와 마주볼 수 있도록 벽체(W)에 장착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고정부(110, 120)는 벽체(W)로부터 돌출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벽체(W) 내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부(130)는 제1 고정부(110)에 인입되어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며, 다양한 형상의 탄성부(130)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하게 된다.
지지부(140)는 전술한 제1 고정부(110)에 인입되는 탄성부(13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구성요소이며, 제1 및 제2 고정부(110, 1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40)는 내부가 비어있는 일종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42)와 걸림구(14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몸체(142)는 지지부(140)의 대부분의 형상을 이루는데, 이러한 몸체(142)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결합수단(152)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142a)과, 역시 하기에 서술하는 이탈방지와이어(160)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공(142b)이 형성된다. 걸림구(144)는 몸체(142)의 한쪽말단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직경이 몸체(142)의 직경보다 크고, 하기에 서술하는 안전봉(150)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부(130)는 제1 고정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길이와 지지부(140)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길이를 비교하여 더 길게 삽입되어 있는 구성요소, 예를 들어 도시된 도면과 같이 제1 고정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탄성부(130)의 길이보다 지지부(140)에 삽입되어 있는 길이가 더 길 경우 지지부(14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 안전봉의 분리시 더 빠르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안전봉(150)은 내부가 비어있는 봉 형상으로, 일측에 지지부(140)의 몸체(142)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 사이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써, 실질적으로 사람이나 물건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부(140)의 몸체(142)는 안전봉(150) 내에 억지끼움되는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안전봉(150) 내에 수용된 후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14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40)의 걸림구(144)는 안전봉(150) 내에 수용되지 않고 안전봉(150)의 일측에 접하여 지지부(140) 전체가 안전봉(150) 내에 수용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고정부(110, 120) 사이에 결합되는 안전봉(150)의 직경이 제1 및 제2 고정부(110, 120)에 딱 맞게 삽입이 가능한 직경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안전봉(150)의 원활한 조립 및 분리를 위해서 안전봉(150)의 직경이 도시되어 있는 것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된다.
그리고, 안전봉(150) 내에 수용되는 지지부(140)는 억지끼움되어 있더라도 유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지지부(140)의 몸체(142)에 형성된 결합공(142a)에 대응되도록 안전봉(150)에도 결합공(150a)을 형성한 후 이를 통해 결합수단(152), 예를 들어 리벳을 사용하여 결합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이탈방지와이어(160)는 한쪽이 제1 고정부(110)가 장착된 창호프레임(210)이나 벽체(W), 또는 제1 고정부(110)에 고정되고, 다른쪽이 안전봉(15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부(140)의 관통공(142b)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이탈방지와이어(160)는 화재 등이 발생하여 비상 탈출이 필요하거나 소방관의 소화활동 및 인명구조 활동을 위해 안전봉(150)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 안전봉(150)이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분실 위험이 없도록 하게 된다. 이에, 이탈방지와이어(160)는 제1 고정부(110)와 지지부(140) 사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제1 고정부(110)와 지지부(140)를 관통한 양측 끝단을 각각 묶어 매듭을 짓거나, 관통공(142b)의 직경보다 큰 별도의 분리방지부재(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접착이나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탈방지와이어(16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데, 안전봉(150)이 원활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도시된 도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늘어져있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고정부(110)와 지지부(140) 사이에 하나의 탄성부(130)가 사용됨으로써 안전봉(15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안전봉(150)을 한 방향, 즉 제1 고정부(110)측으로 밀어야만 분리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탄성체(132, 134)를 사용함으로써 안전봉(150)을 제1 고정부(110)측이나 제2 고정부(120)측 어느 방향으로 밀더라도 안전봉(150)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창호를 가로질러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가 설치되나, 제2 실시예에서는 동일 수평선상에 기둥프레임(220)을 중심으로 이웃하여 배치된 창호(200)와 다른 창호(200')를 가로질러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가 설치된다. 여기서, 기둥프레임(220)은 창호프레임(210)과 일체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창호프레임(2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 또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 탄성부(130), 지지부(140), 안전봉(150) 및 이탈방지와이어(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1 고정부(1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창호프레임(210) 또는 창호프레임(210)이 설치되는 벽체(W)에 설치가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벽체(W)에 장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1 고정부(110)는 창호(200) 및 다른 창호(200')의 벽체(W)에 각각 장착된다.
제2 고정부(120)는 제1 고정부(110)와 마주보도록 기둥프레임(220)의 한쪽과 다른쪽에 각각 장착된다.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탄성부(130)는 2개의 탄성체, 즉 제1 탄성체(132)와 제2 탄성체(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탄성체(132)는 제1 실시예의 탄성부(130)와 동일하며, 제2 탄성체(134)는 제1 탄성체(132)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기둥프레임(220) 및 제2 고정부(120)를 관통하여 창호(200)와 다른 창호(200')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2 탄성체(134)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둥프레임(220)에 고정수단(134a), 예를 들어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좋다.
지지부(14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제1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지지부(140)가 사용되는 것에 비해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체(132) 및 제2 탄성체(134)에 의해 각각 탄성지지되게 되어 창호(200)와 다른 창호(200')에 각각 한 쌍씩 총 4개의 개수가 사용된다.
안전봉(150)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140)의 몸체(142)를 내부에 수용하게 되는데,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양측에 지지부(140)를 수용하여 창호(200)의 제1 및 제2 고정부(110, 120)와 다른 창호(200')의 제1 및 제2 고정부(110, 120) 사이에 각각 결합된다.
이탈방지와이어(160)는 한쪽이 창호(200)와 다른 창호(200')의 창호프레임(210)이나 벽체(W) 또는 제1 고정부(110)에 각각 고정된다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다른쪽이 제1 탄성체(132)에 탄성지지되는 지지부(140)의 관통공(142b)을 지나 제2 탄성체(13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지지부(140)에 고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의 비용절감 측면이나 설치환경, 사용환경 등에 따라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1 탄성체(132)와 제2 탄성체(134) 중 제1 탄성체(132)를 생략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안전봉을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고 화염으로 인해 건물 내에 있던 사람이 현관문 등을 통해 밖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 경우라던지, 대형 물건 등을 건물 외부 또는 건물 내부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창호(200)에 설치되어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의 안전봉(150)을 분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도 4와 같이 안전봉(150)을 잡고 한쪽 방향, 즉 제1 고정부(110)측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안전봉(150)의 한쪽이 제1 고정부(110)가 장착되어 있는 벽체(W)에 점차 가깝게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지지부(140)를 탄성지지하고 있는 탄성부(130)가 점차 수축된다.
안전봉(150)이 일정 거리 이상 제1 고정부(110)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공간이 확보되어 안전봉(150)의 다른쪽이 제2 고정부(120)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된다.
다음, 제2 고정부(120)에서 이탈된 안전봉(150)의 다른쪽을 당기거나 밀면서 제1 고정부(110)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줄이게 되면 수축되어 있던 탄성부(130)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봉(150)이 제1 고정부(110)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 고정부(110)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 안전봉(150)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10)와 지지부(140)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이탈방지와이어(160)에 의해 매달리게 되어 분실 위험이 없게 되며, 창호(200)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던 안전봉(150)이 분리됨으로써 비상 탈출이나 소방관의 소화활동 및 인명구조 활동 또는 대형 물건 등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황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안전봉(150)을 조립한다.
즉, 안전봉(150)의 한쪽을 제1 고정부(110)에 삽입하고, 탄성부(130)가 수축되도록 밀어 넣은 후 안전봉(150)의 다른쪽을 제2 고정부(120)에 삽입한 상태로 힘을 빼면 탄성부(130)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봉(150)이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 사이에 결합되므로 사람이나 물건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된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110: 제1 고정부
120: 제2 고정부 130: 탄성부
132: 제1 탄성체 134: 제2 탄성체
134a: 고정수단 140: 지지부
142: 몸체 142a, 150a: 결합공
142b: 관통공 144: 걸림구
150: 안전봉 152: 결합수단
160: 이탈방지와이어 200: 창호
200': 다른 창호 210: 창호프레임
220: 기둥프레임 W: 벽체

Claims (7)

  1. 창호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창호프레임 또는 벽체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창호프레임 또는 상기 벽체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결합되는 안전봉; 및
    한쪽은 상기 창호프레임, 상기 벽체, 상기 제1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다른쪽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이탈방지와이어;
    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2. 동일 수평선상에 기둥프레임을 중심으로 이웃하여 배치된 창호와 다른 창호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호 및 상기 다른 창호의 창호프레임 또는 벽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기둥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탄성체와, 상기 기둥프레임 및 상기 제2 고정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부와;
    상기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탄성체에 의해 각각 탄성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양측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창호의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다른 창호의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안전봉; 및
    한쪽은 상기 창호프레임, 상기 벽체, 상기 제1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고정되고, 다른쪽은 상기 제2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이탈방지와이어;
    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안전봉을 결합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한쪽말단에 형성되되, 직경이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안전봉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걸림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한쪽말단에 형성되되, 직경이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안전봉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걸림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와이어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와이어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100090090A 2010-09-14 2010-09-14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100106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090A KR20100106948A (ko) 2010-09-14 2010-09-14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090A KR20100106948A (ko) 2010-09-14 2010-09-14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948A true KR20100106948A (ko) 2010-10-04

Family

ID=4312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090A KR20100106948A (ko) 2010-09-14 2010-09-14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694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24Y1 (ko) * 2010-09-20 2013-01-10 고영신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KR101230667B1 (ko) * 2010-10-21 2013-02-07 위재호 착탈식 안전봉
CN107610494A (zh) * 2017-08-28 2018-01-19 西北工业大学 基于信息物理融合系统的agv车辆系统及交通控制方法
KR102251611B1 (ko) 2020-11-27 2021-05-12 최을호 소방용 추락방지 안전장치 및 사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24Y1 (ko) * 2010-09-20 2013-01-10 고영신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KR101230667B1 (ko) * 2010-10-21 2013-02-07 위재호 착탈식 안전봉
CN107610494A (zh) * 2017-08-28 2018-01-19 西北工业大学 基于信息物理融合系统的agv车辆系统及交通控制方法
KR102251611B1 (ko) 2020-11-27 2021-05-12 최을호 소방용 추락방지 안전장치 및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291B1 (ko) 내진 및 단열 성능이 구비된 패널구조
KR100892496B1 (ko) 착탈식 추락방지 안전봉이 내설된 창호
KR20100106948A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US6430884B1 (en) Seismic wall and ceiling expansion joint covers
CN102711922B (zh) 火灾避难逃离装置
KR20110067662A (ko) 추락방지 안전창호 구조
KR101328602B1 (ko) 안전난간봉이 설치된 복합이중창
KR100691406B1 (ko) 건축용 안전창문 구조
KR101027040B1 (ko) 추락방지 안전봉
KR101230667B1 (ko) 착탈식 안전봉
JP2017101506A (ja) 吊り足場側壁用扉パネルと、吊り足場側壁と、側壁付き吊り足場
KR102616431B1 (ko) 안전창을 설치한 창호
KR100656854B1 (ko) 공동주택의 개폐가능한 방범창
JP5705504B2 (ja) 手摺
KR100769237B1 (ko) 발코니 난간용 방화유리 고정구
KR102184880B1 (ko) 창틀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안전난간의 결합구조
KR102562471B1 (ko) 길이 가변형 안전봉을 설치한 창호
KR200456513Y1 (ko) 창문용 안전 난간대
CN205858135U (zh) 带有侧卷隐形纱窗的防护栏
JP3015768B2 (ja) 脱出可能な格子状枠組構造体
JP6244224B2 (ja) 中間ブラケット及びスクリーン装置
KR101171780B1 (ko) 건축물의 창문보호난간 비상탈출 안전장치
TWI438333B (zh) 隱形窗
KR101482428B1 (ko) 착탈식 안전봉
KR101156801B1 (ko) 천정 점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