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801B1 - 천정 점검구 - Google Patents

천정 점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801B1
KR101156801B1 KR1020110088788A KR20110088788A KR101156801B1 KR 101156801 B1 KR101156801 B1 KR 101156801B1 KR 1020110088788 A KR1020110088788 A KR 1020110088788A KR 20110088788 A KR20110088788 A KR 20110088788A KR 101156801 B1 KR101156801 B1 KR 101156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elastic member
elastic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김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102011008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는 틀 형태를 갖고 상부면에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어 천정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동일한 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서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마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갈라진 양측이 확개된 상태로 탄성력을 발휘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중심 부분을 상기 제2프레임에 힌지 결합시키고 탄성부재의 갈라진 양측이 구멍에 걸림되게 설치시켜, 상기 제2프레임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제1프레임의 틀 내부를 개폐시킬 때 탄성부재의 갈라진 양측이 확개되거나 좁혀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하여 제2프레임의 개폐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프레임에서 제2프레임을 분리할 때에는 탄성부재의 좁혀진 양측을 가압하여 모아서 구멍에서 탄성부재 양측이 이탈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천정 점검구{Checking door for ceiling}
본 발명은 천정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설치될 점검구의 안전한 밀폐 상태 유지, 개방 상태로의 전환 및 분리 상태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천정 점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각층 천정내부에는 천정슬라브의 하부에 앵커를 매립하여 각종 설비, 예를 들면 상ㆍ하수도 배관이나 전기배선 등의 시설물들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 천정패널로 마감 처리하여 천정의 외관을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천정패널의 내측에 설치된 시설물들은 정기적으로 혹은 필요에 따라 시설물들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바, 작업자가 천정패널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쉽게 배관 및 배선 등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종래 점검구를 구성하는 프레임 및 도어는 단순한 행태의 앵글재 또는 철판재로 제작하였으므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유발되었다.
우선, 점검구 프레임의 경우에는 천정슬라브에 고정된 앵커에 철재 앵글재의 프레임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경우 재질 특성에 의해 프레임의 전체 중량이 과대해지고, 프레임에 천정판을 고정시키면 그 체결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작업자의 부상우려가 높음은 물론 작업복이 찢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유발된다.
또한 점검구 도어의 경우에는 철판재를 필요규격으로 절단하고 양 모서리를 절곡시킨 후, 또 하나의 금속 판재를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접착시키게 되므로, 제작이 매우 번거롭고, 상당한 제품 중량을 갖게 되므로 안전상의 문제점이 유발되며, 특히 제품의 규격화가 어려워 대량생산 및 원가절감이 구현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천정에 설치된 점검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천정마감재 10로 이루어진 천정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 20을 설치하고, 이 메인 프레임 20에 대해 도어프레임 30이 회전개폐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도 2에는 종래의 점검구의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는데, 대략 사각의 메인프레임 20이 나사 12에 의해 마감재 10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부재 14에 체결되고, 메인프레임의 내측에는 도어프레임 30이 회전축 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어프레임 30의 회전구조는 회전축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어느 일측에 개폐장치를 두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잘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어프레임 30의 내측에는 걸림턱 34이 연장 형성되고, 그 상부로 대략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부합하는 마감부재 40가 얹혀지게 된다. 마감부재 40는 통상의 마감재와 동일한 것으로서 주로 석고보드 등이 이용되고 있다. 도어프레임 30에 얹혀진 마감재는 고정클립 36 및 나사 38를 이용하여 도어프레임 상에 체결하여 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 천정 점검구 구조는 도어프레임 30의 내측에 걸림턱 34을 이용하여 마감부재 40를 고정함에 있어 주변의 마감재와 동일한 재질의 석고보드 등을 얹고, 이를 고정클립 36 및 나사 38를 이용하여 체결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하의 몇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나사와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마감재의 체결을 이루므로 고정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것은 물론 석고보드 등이 제공되는 현장에서 마감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외관상 점검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즉, 메인프레임 20 및 도어프레임 30이 천정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마감부재의 상에 도색 또는 도배 등의 마감처리를 마친후에도 이들 메인프레임 20 및 도어프레임 30이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외부에서 쉽게 확인 가능하게 되는 등 천정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마감부재로서 중량물인 석고보드 등을 이용하게 되므로 도어프레임의 변형우려를 갖게 하고, 나아가서 전체적인 점검구의 무게를 증가시켜 주변의 마감재의 변형을 유발할 우려를 갖고 있는 것이다.
도 3은 또 다른 천정 점검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도어프레임 50의 내측하단에 하부걸림턱 52을 형성하고, 상단에 상부걸림턱 54을 형성하며, 장식부 62의 사변에 탄성을 보유하도록 상부로 절곡되는 복수의 탄성편 64을 갖는 마감부재 60를 상기 도어프레임 50의 내측에 탄성 가압하여, 각각의 탄성편 64 하단이 하부걸림턱 52에 걸리고 상단은 상부걸림턱 54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조립공정을 단순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즉, 도어프레임과 마감부재를 별도로 구성하고 있어 부품수가 증가하고, 메인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의 노출로 인해 여전히 디자인 특성이 떨어지게 되고, 중량도 여전히 무거운 문제를 갖고 있어 처짐이 발생할 우려를 갖고 있었다. 또한, 마감부재가 판재의 주변부를 탄성을 보유하도록 상부로 절곡하여 탄성부를 형성하므로 공차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나아가서 제품 불량율이 높아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에 설치될 점검구의 안전한 밀폐 상태 유지, 개방 상태로의 전환 및 분리 상태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어 선택적인 개방 및 밀폐를 가능하게 하는 제2프레임이 상호 결합시 제1프레임이 제2프레임에 의해 외부에서 육안을 확인되지 않도록 하여 천정에 설치되는 점검구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틈새 발생을 방지하여 먼지의 실내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에 설치되는 패널의 무게에 맞추어 안전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의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는 틀 형태를 갖고 상부면에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어 천정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동일한 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서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마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갈라진 양측이 확개된 상태로 탄성력을 발휘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중심 부분을 상기 제2프레임에 힌지 결합시키고 탄성부재의 갈라진 양측이 구멍에 걸림되게 설치시켜, 상기 제2프레임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제1프레임의 틀 내부를 개폐시킬 때 탄성부재의 갈라진 양측이 확개되거나 좁혀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하여 제2프레임의 개폐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프레임에서 제2프레임을 분리할 때에는 탄성부재의 좁혀진 양측을 가압하여 모아서 구멍에서 탄성부재 양측이 이탈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프레임은 4개로 마련된 고정프레임을 한 개조로 조합하여 4각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수직의 기본부재 상부에 일측 방향으로 절곡시킨 제1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에 길이를 갖는 구멍을 형성시키고, 상기 기본부재 하부에는 타측으로 절곡시킨 제2부재를 형성시켜 천정의 패널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프레임은 4개로 마련된 결합프레임을 한 개조로 조합하여 4각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의 기본부재에 밀착되게 수직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밀착부재 하단부 양측에 제1단턱 및 제2단턱을 형성시켜 상기 제1단턱에는 천정 패널을 설치하여 틀 형태를 갖는 제2프레임 내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2단턱에는 제1프레임의 제2부재를 안착시키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조합한 점검구를 천정에 설치하면 외부에서 제2프레임만이 보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에는 힌지공을 갖는 경첩을 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프레임의 밀착부재에는 상단부에 결합홈을 형성시켜 경첩의 상부는 결합홈에 위치되면서 경첩 하부가 밀착부재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공에는 탄성부재의 중심 부분이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경첩에 결합되는 막대 모양의 탄성부재 중심에 위치한 수평의 길이를 갖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속으로 이어져 결합부를 기준으로 둔각 범위로 경사를 갖도록 구부려진 탄력부와, 상기 탄력부와 연속으로 이어져 수평방향으로 구부려지고 말단은 환형 형태로 구부려진 마감부로 형성시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결합부와 탄력부의 사이 경계에 원형의 토션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션부는 탄성부재의 양측의 결합부와 탄력부 사이 경계에 각각 형성시켜 토션부가 동심원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의 마감부가 탄력부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부가 구멍에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멍의 중앙에 이탈홈을 직립되게 더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멍은 하나 이상으로 마련하되, 상기 구멍이 간격을 두고 상호 수평선상으로 연속 배치하되, 하나 이상의 구멍은 상호 다른 길이를 갖도록 한 다음 상기 구멍과 구멍 사이에 형성시킨 이탈홈을 통해 하나 이상의 구멍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시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부재에는 절개시킨 분리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프레임의 제2단턱에는 상부면에 걸림홈을 형성시키되, 상기 분리홈과 걸림홈이 상호 대응된 위치로 배치하여 제1프레임에 결합된 제2프레임을 하강시킬 때 걸림홈을 파지한 다음 잡아 당겨 제2프레임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는 천정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 내부에 천정용 패널을 설치한 제2프레임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천정에 설치될 점검구의 안전한 밀폐 상태 유지, 개방 상태로의 전환 및 분리 상태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연결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코스트가 절감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의 확개 및 축소에 의한 탄성력을 통해 제2프레임의 승하강 동작을 도와 간단하면서 손쉽게 점검구의 밀폐, 개방 및 분리를 이룰 수 있는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는 천정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이 제2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게 결합시켜 실내공간에서 제1프레임을 육안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천정에 설치되는 점검구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종래의 점검구의 경우 외측 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이 모두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상호 중첩되지 않은 상태로 단부가 상호 마주보게 마감처리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프레임의 내주면과 내측 프레임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천정의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틈새로 유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은 천정 점검구는 제2프레임의 제2단턱에 제1프레임 제2부재가 수용되면서 안착되도록 중첩시켜 틈새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천정에 존재하는 이물질 또는 먼지가 틈새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는 제1프레임에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구멍을 각각 형성시키고, 탄성부재의 형상 변화를 꾀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확개 및 축소에 대한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천정에 설치되는 패널의 무게에 맞추어 안전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는 제1프레임을 이루는 4개의 제1부재에 길이를 갖는 구멍을 각기 형성시켜 탄성부재를 설치한 제2프레임을 제1프레임에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시킬 때 제2프레임의 방향에 관계없이 탄성부재를 구멍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장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정에 설치된 점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점검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점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점검구를 천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점검구를 천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점검구의 일부분을 확대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점검구 밀폐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점검구 개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점검구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의 구멍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의 개폐를 위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의 결합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계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점검구를 천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점검구를 천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점검구의 일부분을 확대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점검구 밀폐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점검구 개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점검구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의 구멍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의 개폐를 위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의 결합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계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정 점검구는 건축물 천정에 설치된 배관, 전기배선 등의 시설물을 보이지 않도록 설치된 석고보드 또는 판재 등으로 이루어진 천정 패널에 설치된다.
삭제
즉, 상기 점검구는 크게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탄성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은 4개의 프레임이 한 개조로 조합되어 틀 형태를 갖는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천정에 설치된 패널 중 형성된 빈 공간에 제1프레임(100)이 설치되되, 상기 제1프레임(100) 바깥 테두리에 빈 공간의 패널 단부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천정 패널에 제1프레임(100)을 설치하고 난 후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제2프레임(200)을 마련하되, 상기 제2프레임 (200) 내부에는 천정 패널을 설치하여 제1프레임(100)에서 제2프레임(200)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제1프레임(100)이 개방 또는 밀폐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천정 점검구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1프레임(100)은 4개의 고정프레임 110이 한 개조로 조합되어 4각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압출 형태로 제조되며 형상은 아래와 같다.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기본부재(112) 상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제1부재 (113)를 형성시키면서 상기 제1부재(113) 중심 부근에는 길이를 갖는 구멍(111)을 형성시키고, 상기 기본부재(112) 하부에는 외측으로 절곡시킨 제2부재(114)를 형성시켜 천정의 패널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200)은 상기 제1프레임(100)과 동일한 틀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내부에 상기 패널을 설치하여 마감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프레임 (100)의 내측에서 배치된다.
즉, 상기 제2프레임(200)은 4개의 결합프레임(210)이 한 개조로 조합되어 4각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100)의 기본부재(112)에 맞닿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밀착부재(211)의 중심 부근 상단부에 결합홈(212)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결합홈(212)은 후술 될 경첩(310)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다.
아울러, 상기 밀착부재(211) 하단부 양측에는 돌출되게 제1단턱(213) 및 제2단턱(214)을 각각 형성시켜 밀착부재(211) 내측에 위치한 제1단턱(213)에는 천정 패널을 고정시켜 제2프레임(200) 내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밀착부재(211)의 제2단턱(214)에는 제1프레임(100)의 제2부재(114)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정패널(미부호)에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이 조합된 점검구를 설치하면 제2프레임(200) 의해 제1프레임(100)이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천정에 설치된 점검구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킨다.
결국, 종래의 점검구의 경우 외측 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이 모두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상호 중첩되지 않은 상태로 단부가 상호 마주보게 마감처리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프레임의 내주면과 내측 프레임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천정의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틈새로 유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삭제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은 천정 점검구는 제2프레임(200)의 제2단턱(214)에 제1프레임(100)의 제2부재(114)가 수용되면서 안착되도록 중첩시켜 틈새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천정에 존재하는 이물질 또는 먼지가 틈새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00)의 제2부재(114)에는 절개시킨 분리홈(116)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프레임(200)의 제2단턱(214)에는 상부면에 걸림홈(215)을 형성시키되, 상기 분리홈(116)과 걸림홈(215)이 상호 대응된 위치로 배치하여 제1프레임(100)에 결합된 제2프레임(200)을 하강시킬 때 걸림홈(215)을 파지한 다음 잡아당겨 제2프레임(200)을 손쉽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은 후술 될 탄성부재 (300)에 의해 연결되어 제1프레임(100)에서 제2프레임(200)이 개방 또는 밀폐 상태를 유지하거나 제1프레임(100)에서 제2프레임(200)을 완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300)는 비틀었을 때 강성(剛性)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이용한 막대 모양의 스프링 강재인 토션바스프링(torsion bar spring) 방식을 채택되나, 토션바스프링과 동일한 형상은 아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00)에는 경첩 (310)을 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는, 경첩(310)은 상부가 구부려져 형성되는 힌지공(311)이 마련되고, 하부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제2프레임(200)의 밀착부재(211)에 리벳, 용접 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경첩(310)의 상부는 밀착부재(211) 상단부에 형성시킨 결합홈(212)에 위치되도록 하여 밀착부재(211)와 경첩(310)의 결합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6에서 도시된 기본적인 탄성부재(300)의 형상은 아래와 같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경첩(310)에 결합되는 막대 모양의 탄성부재(300) 중심에 위치한 수평의 길이를 갖는 결합부(301)와, 상기 결합부(301)와 연속으로 이어져 결합부(301)를 기준으로 둔각 범위로 경사를 갖도록 구부려진 탄력부(302)와, 상기 탄력부(302)와 연속으로 이어져 수평방향으로 구부려지고 말단은 환형 형태로 구부려진 마감부(304)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301)는 상기 힌지공(311)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301) 양측에 각각 연속적으로 이음되어 있는 한 쌍의 탄력부(302)는 항상 확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탄력부(302)가 좁혀질 경우 탄성력을 발현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결합부(301)가 힌지공(311)에 결합되고, 상기 탄력부(302)는 구멍(111)의 양측 내주연 단부에 항시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어 확개 또는 좁혀지는 동작을 행하여 탄성력이 발생되고, 상기 탄력부(302)의 끝단에 절곡되어 형성된 마감부(304)는 구멍 (111)의 단부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여 구멍(111)에서 탄성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여 제2프레임(20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프레임(100)을 이루는 4개의 제1부재(113)에 길이를 갖는 구멍 (111)을 각기 형성시켜 탄성부재(300)를 설치한 제2프레임(200)을 제1프레임(100)에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시킬 때 방향에 관계없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점검구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먼저, 제1프레임(100)에 제2프레임(200)이 결합되어 밀폐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제1프레임(100)을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손 또는 송곳 등의 기구를 제2프레임(200)의 걸림홈(215)으로 침투시켜 제2단턱(214)에 걸림시킨 다음 하부로 잡아당겨 제2프레임(200)을 하강시킨다.
상기 제2프레임(200)의 하강에 의해 연동하는 탄성부재(300)는 제1프레임 (100)의 구멍(111)에서 한 쌍의 탄력부(302)가 좁혀지면서 하부로 슬라딩되면서 탄성부재(300)에 탄성력이 부여된다.
상기 탄성부재(300)의 마감부(304)가 구멍(111)의 단부에 걸림되면 제2프레임(200)의 하강을 멈추게 하여 제1프레임(100)의 내부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200)은 걸림홈(215)을 통해 양쪽을 모두 같이 하강시킬 수도 있고, 상기 제2프레임(200)의 한 쪽 방향을 먼저 하강시킨 후 다음 차순으로 반대쪽을 하강시킬 수 있다.
반대로, 개방된 상태의 제1프레임(100)을 밀폐시킬 때에는 제2프레임(200)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탄성부재(300)의 탄력부(302)는 확개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되고, 상기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탄력부(302)가 구멍(111)의 양측 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탄력적으로 제2프레임(200)을 제1프레임(100) 내측에 위치시켜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또한,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분리단계는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00)에서 하강한 제2프레임(200)의 사이 공간에 노출된 탄성부재(300)의 한 쌍의 탄력부(302)를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여 모아지도록 하면 구멍(111) 단부에 걸림된 상태의 탄성부재(300)의 마감부 (304)를 구멍(111) 내부로 위치시킨 후 탄성부재(300)를 하강시켜 구멍(111)에서 탄성부재(300)를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제2프레임(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00)을 제1프레임(100)에 결합하는 방법은 분리방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상기 탄성부재(300)의 다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먼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제1실시예는 상기 탄성부재(300)의 결합부(301)와 탄력부(302)의 사이 경계에 원형의 토션부(305)가 각각 형성된다.
즉, 결합부(301) 양측에 이음되는 원형의 토션부(305)를 각각 절곡시킨 다음 대칭되게 확개된 경사를 갖는 탄력부(302)를 연속 이음시켜 상기 토션부(305)가 대칭되는 배치상태로 형성시켜 탄성력의 강성을 한 층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제2실시예는 상기 토션부(305)는 탄성부재(300)의 양측의 결합부(301)와 탄력부(302) 사이 경계에 각각 형성시켜 토션부 (305)가 동심원으로 중첩되게 배치시킨다.
즉, 결합부(301) 양측에 이음되는 원형의 토션부(305)를 각각 절곡시키되, 상기 토션부(305)가 동심원으로 상호 중첩되게 결합부(301) 상부로 배치시킨 다음 확개된 각도를 대칭적으로 갖는 탄력부(302)를 연속 이음시켜 탄성력의 강성을 높이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제3실시예는, 상기 탄성부재(300)의 마감부(304)가 탄력부(302)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더 포함한다.
즉, 마감부(304)의 수직방향으로의 절곡은 제1프레임(100)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시켜 구멍(111)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한다.
이는 강력한 힘으로 제2프레임(200)을 잡아당겨 하강시킬 때 절곡된 상태의 마감부(304)가 외부적 손상을 입어 절곡된 상태가 펴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오작동에 의해 탄성부재(300)의 탄력부(302)를 상호 압박하는 상태로 하강시킬 때 자칫 하강 순서를 거치지 않고 분리될 수 있어 이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위험성을 방지하고자 탄성부재(300)를 구멍(111)에서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멍(111)의 중앙에 이탈홈(115)을 더 형성시킨다.
결국, 한 쌍의 탄력부(302)를 손으로 모아 마감부(304)가 이탈홈(115)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마감부(304)가 빠져나갈 공간인 이탈홈(115)을 통해 탄성부재(300)를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멍 111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구멍(111)은 하나 이상으로 마련하되, 상기 구멍(111)이 간격을 두고 상호 수평선상으로 연속 배치하되, 하나 이상의 구멍(111)은 상호 다른 길이를 갖도록 한 다음 상기 구멍(111)과 구멍(111) 사이에 형성시킨 이탈홈(115)을 통해 하나 이상의 구멍(111)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시킨다.
이는, 천정 패널 무게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200)이 제1프레임 (100)에서 오류 없이 탄력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2프레임(200)에 결합된 패널이 가벼울 경우 제 길이가 상호 다른 복수개의 구멍(111) 중 길이가 긴 구멍(111)에 탄성부재(300)를 결합하여 탄성부재 (300)의 확개력이 약하게 발생하도록 하고, 패널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길이가 가장 짧은 구멍(111)에 탄성부재(300)를 결합시키면 확개 및 축소 작동에 대한 탄성력이 강력하게 발생하여 무거운 패널을 고정한 제2프레임(200)이 제1프레임(100)에서 결합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제1프레임 110 : 고정프레임
111 : 구멍 112 : 기본부재
113 : 제1부재 114 : 제2부재
115 : 이탈홈 116 : 분리홈
200 : 제2프레임 210 : 결합프레임
211 : 밀착부재 212 : 결합홈
213 : 제1단턱 214 : 제2단턱
215 : 걸림홈 300 : 탄성부재
301 : 결합부 302 : 탄력부
304 : 마감부 305 : 토션부
310 : 경첩 311 : 힌지공

Claims (9)

  1. 4개로 마련된 고정프레임(110)을 한 개조로 조합하여 4각형의 틀 형상으로 이루도록 하여 천정 패널에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기본부재(112), 제1부재(113), 제2부재(114)로 구성되어 상기 기본부재(112)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기본부재(112)의 상부에 일측 방향으로 제1부재(113)를 절곡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제1부재(113)에는 내주연이 길이가 긴 구멍(111)을 형성시키며 상기 기본부재(112) 하부에는 타측으로 제2부재(114)를 절곡되게 형성시키도록 하는 제1프레임(100)과,
    4개로 마련된 결합프레임(210)을 한 개조로 조합한 4각형의 틀 형상으로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시키되 상기 결합프레임(210)은 밀착부재(211), 제1단턱(213), 제2단턱(214)으로 구성하고, 상기 밀착부재(211)는 상기 기본부재(112)에 근접되게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밀착부재(211)의 하단부 양측에는 제1단턱(213)과 제2단턱(214)을 형성시켜 상기 제1단턱(213)에는 천정패널 결합하고 상기 제2단턱(214)은 제1프레임(100)의 제2부재(114)의 하부에 안착시키도록 구성하여 결합된 상기 제1프레임(10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제2프레임(200)과,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00)를 마련하되,
    상기 탄성부재(300)는 갈라진 양측이 확개된 상태로 탄성력을 발휘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300)의 중심 부분을 상기 제2프레임(200)에 힌지 결합시키고 탄성부재(300)의 갈라진 양측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구멍(111)에 관통되어 걸림되게 설치시키며
    상기 제2부재(114)에 분리홈(116)을 절개되게 형성하면서 상기 제2단턱(214) 상부면에 걸림홈(215)을 상기 분리홈(116)과 상호 대응되게 형성하여 제1프레임(100)에 결합된 제2프레임(200)을 분리할 때 상기 걸림홈(215)을 이용하여 제2프레임(200)을 하부로 잡아당겨 제1프레임(100)에서 하강시킨 다음 상기 탄성부재(300)의 좁혀진 양측을 가압하여 모아서 상기 제1프레임(100)의 구멍(111)에서 탄성부재(300) 양측을 이탈시켜 제1프레임(100)에서 제2프레임(200)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재(300)에는 힌지공(311)을 갖는 경첩(310)을 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프레임(200)의 밀착부재(211)에는 상단부에 결합홈(212)을 형성시켜 경첩(310)의 상부는 결합홈(212)에 위치되면서 경첩(310) 하부가 밀착부재(211)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공(311)에는 탄성부재(300)의 중심 부분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점검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경첩(310)에 결합되는 막대 모양의 탄성부재(300) 중심에 위치한 수평의 길이를 갖는 결합부(301)와,
    상기 결합부(301)와 연속으로 이어져 결합부(301)를 기준으로 둔각 범위로 경사를 갖도록 구부려진 탄력부(302)와,
    상기 탄력부(302)와 연속으로 이어져 상기 결합부(301)와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말단이 환형 형태로 구부려져 상기 제1프레임(100)의 구멍(111)에 관통되어 단부에 걸림되는 마감부(304)로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점검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결합부(301)와 탄력부(302)의 사이 경계에 원형의 토션부(305)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점검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부(305)는 탄성부재(300)의 양측의 결합부(301)와 탄력부(302) 사이 경계에 각각 형성시켜 토션부(305)가 동심원으로 중첩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점검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304)는 탄력부(302)에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제1프레임(100) 구멍(111)의 종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구멍(111)을 가로질러 걸림되도록 하고,
    상기 구멍(111)의 중앙부분에서 바깥방향으로 이탈홈(115)을 연통되게 형성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점검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0)의 구멍(111)은 하나 이상으로 마련하되, 상기 구멍(111)이 간격을 두고 상호 수평선상으로 연속 배치하되,
    하나 이상의 구멍(111)은 상호 다른 길이를 갖도록 한 다음 상기 구멍(111)과 구멍(111) 사이에 형성시킨 이탈홈(115)을 통해 하나 이상의 구멍(111)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점검구.
  9. 삭제
KR1020110088788A 2011-09-02 2011-09-02 천정 점검구 KR10115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88A KR101156801B1 (ko) 2011-09-02 2011-09-02 천정 점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88A KR101156801B1 (ko) 2011-09-02 2011-09-02 천정 점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801B1 true KR101156801B1 (ko) 2012-06-18

Family

ID=4668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788A KR101156801B1 (ko) 2011-09-02 2011-09-02 천정 점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76B1 (ko) * 2019-05-28 2020-05-12 예덕자 탄성구조방식에 의해 지지·개폐되는 천정 점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751A (ja) * 1996-03-29 1997-10-14 Daiken:Kk 天井点検口用蓋体の取付構造
JPH1037447A (ja) 1996-07-19 1998-02-10 Daiwa House Ind Co Ltd 天井裏点検口の構造
JP2000027422A (ja) * 1998-07-15 2000-01-25 Sanyuu:Kk 点検口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7146394A (ja) 2005-11-24 2007-06-14 Naka Ind Ltd 天井点検口における外枠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751A (ja) * 1996-03-29 1997-10-14 Daiken:Kk 天井点検口用蓋体の取付構造
JPH1037447A (ja) 1996-07-19 1998-02-10 Daiwa House Ind Co Ltd 天井裏点検口の構造
JP2000027422A (ja) * 1998-07-15 2000-01-25 Sanyuu:Kk 点検口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7146394A (ja) 2005-11-24 2007-06-14 Naka Ind Ltd 天井点検口における外枠の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76B1 (ko) * 2019-05-28 2020-05-12 예덕자 탄성구조방식에 의해 지지·개폐되는 천정 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KR101156801B1 (ko) 천정 점검구
KR20090003854U (ko) 천장 구조
JP2010216194A (ja) 足場装置
KR101614937B1 (ko) 마감패널 시공용 조립체
KR101300696B1 (ko) 천장 점검구
KR101818073B1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KR200480610Y1 (ko) 외장 패널용 고정구
KR102018001B1 (ko)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1845356B1 (ko)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KR20130116786A (ko) 천장패널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5184405B2 (ja) 天井用目地装置
KR20180109830A (ko) 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JP6609106B2 (ja) 建物ユニットの防水構造
JP2016037750A (ja) 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ドア装置
JP6641229B2 (ja) 面格子構造及びインナーバルコニー
JP2015212503A (ja) 斜め補強部材用取付金具
KR102082610B1 (ko) 특수커넥터를 이용한 논슬립 탈부착식 안전시트
JP5773482B2 (ja) 開口部装置の枠周り部材の設置構造
KR20100104169A (ko) 천장 점검구
JP6877279B2 (ja) 層間耐火材支持金具および層間耐火材支持方法
KR20190100985A (ko) 지진에 대한 안전사고 방지 기능 및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킨 점검구
JP2008095296A (ja) 壁用伸縮継手装置
JP6944029B2 (ja) 軒先構造、建物、軒先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