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210B1 -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체크 패턴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체크 패턴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210B1
KR102033210B1 KR1020160065204A KR20160065204A KR102033210B1 KR 102033210 B1 KR102033210 B1 KR 102033210B1 KR 1020160065204 A KR1020160065204 A KR 1020160065204A KR 20160065204 A KR20160065204 A KR 20160065204A KR 102033210 B1 KR102033210 B1 KR 102033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ecording
color
color materia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477A (ko
Inventor
다쿠야 후카사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08439A external-priority patent/JP65129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08411A external-priority patent/JP65129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43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6598711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03Features not dealing with the colouring process per se, e.g. construction of printers or heads, driving circuit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79Detection means therefor, e.g. for nozzle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07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characterised by the ink properties
    • B41J2/2114Ejecting specialized liquids, e.g. transparent or proces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32Print quality control characterised by dot disposition, e.g. for reducing white stripes or banding
    • B41J2/2142Detection of malfunctio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젯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잉크젯 기록 장치는, 체크 처리를 실행시키는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접수 유닛, 및 기록 유닛이 제1 색재 잉크, 제2 색재 잉크, 및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게 하여 체크 처리에 사용되는 체크 패턴을 기록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기록 유닛은 클리어 잉크, 제1 색재 잉크, 및 제2 색재 잉크가 이 순서로 기록 매체의 체크 패턴 형성 영역에 부여되는 체크 패턴을 기록하고, 체크 패턴에서, 클리어 잉크는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기록 매체의 이면으로의 방향으로 제2 색 및 제1 색으로 이 순서로 착색된다.

Description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체크 패턴 기록 방법{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CHECK PATTERN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체크 패턴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록을 수행하도록 색재 잉크와 함께 기록 매체에 부여되는 색재를 갖지 않는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색재 잉크와 함께 클리어 잉크를 사용하면 기록물의 견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록 농도(OD)를 증가시킬 수 있다. 클리어 잉크의 토출을 조정하기 위해, 토출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체크 패턴을 기록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패턴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0-141624는 클리어 잉크의 상대적 기록 위치가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와 어긋나는 몇 가지 패턴을 기록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2개 잉크의 패턴이 서로 중첩되는 경우에 색재 잉크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의 색이 2개 잉크의 패턴이 서로 중첩되지 않은 경우에 색재 잉크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의 색이 상이하며, 이러한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이 검출되고 기록 위치가 검출된 어긋남 양을 기초로 조정된다.
또한, 클리어 잉크의 토출 상태를 체크하는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5-22216은 클리어 잉크의 토출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패턴을 기록할 때 클리어 잉크를 중첩하도록 색재 잉크를 기록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클리어 잉크가 만족스럽게 토출되는 영역에서는, 농도의 변화가 색재 잉크의 중첩에 의해 발행하고, 이러한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클리어 잉크의 토출 상태가 체크된다.
또한, 색재 잉크의 경우에서와 같이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 내에서, 토출의 양은 노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이는 기록 헤드에 있어서의 변경이 제조할 때 발생하고 기록 헤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경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색재 잉크에 대해서 공지된 소위 헤드 쉐이딩(HS) 보정이 수행되어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을 조정한다. HS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클리어 잉크는 HS 패턴을 기록하도록 토출된다. 이 패턴으로 인해 색재를 포함하지 않는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에 따라 변경되는 농도의 차를 검출할 수 있다는 점이 바람직하다. HS 패턴과 관련하여,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5-22216은 상술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를 부여함으로써 유발되는 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0-141624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색재 잉크 및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과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 사이에서 색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가 존재한다. 이 경우, 기록 위치의 어긋남이 만족스럽게 검출되지 못하고, 그 결과 기록 위치의 고정밀 조정이 수행될 수 없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5-22216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클리어 잉크 및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하는 영역과 색재 잉크만이 기록되는 영역 사이에서 농도 또는 색의 변화량이 작은 경우가 존재한다. 이 경우, 높은 정밀도로 토출 상태를 체크하는 것이 곤란하다. 예컨대, 색재 잉크가 기록 매체의 상위 층에 잔류하기 쉬운 속성을 색재 잉크가 갖는 경우, 또는 색재 잉크가 기록 매체에 스며들기 쉽지 않은 속성을 기록 매체 자체가 갖는 경우, 농도 또는 색의 변화량은 클리어 잉크가 색재 잉크를 중첩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색재 잉크를 중첩하지 않는 경우 사이에서 작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5-22216에 개시된 기술이 HS(부여량의 보정)를 위한 패턴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도,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의 차를 검출하기 위한 농도의 충분한 변화가 잉크 및 패턴으로 기록되는 기록 매체의 종류의 조합에 따라 획득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높은 정밀도로 부여량을 보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리어 잉크의 토출을 조정하기 위해 체크 패턴을 기록하는 경우에, 종래의 기술은 색재 잉크가 색 또는 농도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클리어 잉크를 중첩하도록 기록되는 경우에도 색 또는 농도의 충분한 차이가 클리어 잉크가 기록되는 영역과 클리어 잉크가 기록되지 않는 영역 사이에서 획득될 수 없다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로 체크 패턴을 기록할 때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하는 영역과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 간의 색 또는 농도의 변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체크 패턴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제1 색의 제1 색재 잉크 및 색재가 상기 제1 색재 잉크와 유형이 상이한 제2 색의 제2 색재 잉크와, 적어도 제1 색재 잉크를 기록 매체의 표면에 정착시키기 위한 투명한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유닛을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을 행하고 기록 헤드로부터의 상기 클리어 잉크의 토출 동작을 체크하기 위한 체크 처리를 행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잉크젯 기록 장치는, 상기 체크 처리를 실행시키는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접수 유닛, 및 상기 접수 유닛이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유닛이 상기 제1 색재 잉크, 상기 제2 색재 잉크, 및 상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게 하여 상기 체크 처리에 사용되는 체크 패턴을 기록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 패턴을 기록할 때,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록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클리어 잉크,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가 상기 클리어 잉크,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의 순서로 상기 기록 매체의 체크 패턴 형성 영역에 부여되는 체크 패턴을 기록하게 하고, 상기 체크 패턴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재 잉크와 상기 클리어 잉크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이면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제2 색 및 상기 제1 색의 순서로 상기 제2 색 및 상기 제1 색으로 착색되며,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클리어 잉크가 서로 접하지 않는 부위에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방향으로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의 순서로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으로 착색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있어서, 제1 색의 제1 색재 잉크 및 색재가 제1 색재 잉크와 유형이 상이한 제2 색의 제2 색재 잉크와, 적어도 상기 제1 색재 잉크를 기록 매체의 표면에 정착시키기 위한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유닛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을 행함으로써 기록 헤드로부터의 투명한 클리어 잉크의 토출 동작을 체크하기 위한 체크 패턴을 기록하는 체크 패턴 기록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체크 패턴 기록 방법은, 상기 제1 색재 잉크, 상기 제2 색재 잉크, 및 상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여 상기 체크 처리에 사용되는 상기 체크 패턴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기록 단계에서, 상기 체크 패턴을 기록할 때, 상기 클리어 잉크,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가 상기 클리어 잉크,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의 순서로 상기 기록 매체의 체크 패턴 형성 영역에 부여되는 체크 패턴이 기록되고, 상기 체크 패턴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재 잉크와 상기 클리어 잉크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이면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제2 색 및 상기 제1 색의 순서로 상기 제2 색 및 상기 제1 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클리어 잉크가 서로 접하지 않는 부위에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방향으로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의 순서로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으로 착색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색재 잉크 및 클리어 잉크로 체크 패턴을 기록할 때 색재 잉크 및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하는 영역과,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 간의 색 또는 농도의 변화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의 후속하는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잉크젯 기록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록 헤드의 노즐이 배열된 기록 칩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특히 도 2에 도시된 각 기록 칩의 노즐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광학 센서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K 도트 및 C 도트의 기록 위치가 4개의 어긋남 양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도 6에 도시된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패턴을 이용할 때 기록 위치 어긋남 양과 반사 농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는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레지스트레이션 조정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클리어 잉크 및 K 잉크의 기록 위치가 4개의 어긋남 양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도 9에 도시된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을 이용할 때 기록 위치 어긋남 양과 반사 농도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단계(100)에서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을 기록 매체(P) 상에 기록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단계(200)에서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을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부에 사용되는 R, G 및 B 발광 다이오드의 색-파장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학 특성을 이용하는 측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측정 결과 및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블랙(K) 색재 잉크의 도트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측정 결과 및 기록 매체 상에 유사하게 기록된 시안(C) 색재 잉크의 도트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측정 결과 및 기록 매체 상에 유사하게 기록된 마젠타(M) 색재 잉크의 도트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측정 결과 및 기록 매체 상에 유사하게 기록된 옐로우(Y) 색재 잉크의 도트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3a 내지 도 23e는 클리어 잉크 및 단색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되게 기록되는 경우 및 클리어 잉크 및 단색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되지 않게 기록되는 경우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색 1 및 색 2의 색재 잉크가 순서대로 기록 매체 상에 착탄된 경우 색 1 및 색 2의 색재 잉크가 어떻게 기록 매체에 침투하는 지를 설명하기 위한 기록 매체의 단면도이다.
도 25a 내지 도 25f는 클리어 잉크 및 색 1 및 색 2의 잉크가 순서대로 기록 매체에 착탄되는 경우 클리어 잉크 및 색 1 및 색 2의 잉크가 어떻게 기록 매체에 침투하는 지를 설명하기 위한 기록 매체의 단면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k는 클리어 잉크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사용된 경우 간의 광학 특성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8a 내지 도 28h는 도 27에 도시된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패턴의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기록 매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 및 그 기록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에 있어서 각 패치의 반사 농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1a 내지 도 31h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검출 보조 패턴 및 기준 패턴의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1a 내지 도 31h에 도시된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을 기록하는 기록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단계(400)에서 체크 대상 잉크 및 광원색을 선택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체크 대상 잉크 및 광원색을 선택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기록 헤드의 잉크를 위한 노즐 어레이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a 및 도 38b 각각은 특히 도 37에 도시된 기록 헤드(21, 22)의 노즐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제2 실시예의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도 40a 내지 도 40d는 클리어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간의 광학 특성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토출을 체크하는데 사용되는 토출 검사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토출 검사 패턴을 구성하는 패치의 도트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의 토출을 결정하기 위한 패턴에서 패치와 노즐 간의 대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의 토출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를 위한 Pth 검사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6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히터 구동 펄스의 펄스 폭 및 헤드 랭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를 위한 Pth 검사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를 위한 Pth 결정 패치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기록 헤드의 노즐들 간의 토출 특성의 차이로 인해 유발되는 농도 불균형의 일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HS)의 부여량을 보정하기 위한 표를 생성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HS 패턴을 기록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 및 그 기록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칩에 의해 기록된 검사 패치의 측정 결과의 일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6은 도 55에 도시된 측정 결과에 대해 칩을 이용하여 측정된 농도 변화량 및 농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7은 도 55에 도시된 측정 결과에 대해 상기 칩과 다른 칩에 의해 기록된 검사 패치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8은 도 57에 도시된 측정 결과에 대해 칩을 이용하여 측정된 농도 변화량 및 농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9는 비교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에 대해 HS 패턴을 기록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0은 도 55 및 도 56에 도시된 측정 결과가 획득되는 클리어 잉크에 대한 칩에 의해 도 59를 참조하여 상술된 처리에 따라 기록된 검사 패치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1은 도 60에 도시된 측정 결과에 대해 칩을 사용하여 측정된 농도 변화량 및 농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2는 도 57 및 도 58에 도시된 측정 결과가 획득되는 클리어 잉크에 대한 칩에 의해 도 59를 참조하여 상술된 공정에 따라 기록된 검사 패치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3은 도 62에 도시된 측정 결과에 대해 칩을 이용하여 측정된 농도 변화량 및 농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4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사용되는 라인 스캐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5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에 대한 HS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6은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에 대해 HS 패턴을 기록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7은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3개의 검사 패치의 반사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중첩 방식으로 클리어 잉크 및 색재 잉크로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을 체크 패턴으로서 기록하는 모드에 관한 것으로서,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과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 사이에서 색 변화량이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잉크젯 기록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기록 장치(1)는 노즐이 기록 매체의 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는 소위 풀 라인형 기록 헤드(2)를 포함한다. 기록 헤드(2)로서, 기록 장치(1)는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21) 및 색재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헤드(22)(C, M, Y 및 K 잉크에 대해 하나의 헤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록 헤드들은 기록 매체(P)의 반송 방향(부주사 방향: X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노즐 어레이 방향: Y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또한,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1)는 반송 방향으로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2)의 상류에 위치 설정되고, 따라서 클리어 잉크는 색재 잉크보다 쉽게 기록 매체로 토출 및 부여된다. 기록 헤드(2)는 반송 벨트(5)를 가로질러 플래튼(6)과 대면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헤드 이동부(10)는 플래튼(6)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기록 헤드(2)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한다. 제어부(9)는 헤드 이동부(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기록 헤드(2)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 잉크 탱크(3) 내의 잉크가 공급되는 공통 액실 및 공통 액실로부터 노즐로 잉크를 유도하기 위한 잉크 경로를 포함한다. 각각의 노즐은 예컨대, 잉크 내에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열 저항 소자(히터)를 구비하고, 헤드 드라이버가 상기 히터를 구동하여,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한다. 노즐의 히터는 헤드 드라이버(2a)를 통해 제어부(9)에 전기 접속되고, 히터의 구동은 제어부(9)로부터의 온/오프 신호(토출/불토출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는 연결 파이프(4)를 통해 개별적으로 클리어 잉크, 시안(C) 잉크, 마젠타(M) 잉크, 옐로우(Y) 잉크 및 블랙(K)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5개의 잉크 탱크(3R, 3C, 3M, 3Y, 3K)(이하 잉크 탱크(3)로서 통칭됨)에 연결된다. 또한, 잉크 탱크(3)는 개별적으로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제어부(9)는 기록 장치(1) 내에서 다양한 유형의 처리를 집합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9)는 예컨대, CPU(33), ROM(34) 및 RAM(35)과 같은 메모리, ASIC 등을 포함한다.
캡(7)은 기록 헤드(2)로부터 기록 헤드(2) 사이의 간격의 피치 절반의 거리에서 기록 헤드(2) 옆에 위치 설정된다. 동작이 제어부(9)에 의해 제어되는 캡 이동부(8)는 캡(7)을 기록 헤드(2) 옆 위치와 기록 헤드(2) 바로 아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록 헤드(2)를 캡처리하고(cap) 예비 토출과 같은 회복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될 반사형 광학 센서(30)가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으로 기록 헤드(2)의 하류에 제공된다. 반사형 광학 센서(30)를 위한 캐리지는 반사형 광학 센서(30)가 Y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게 하고 반사형 광학 센서(30)의 이동은 모터 드라이버(17)를 통해 제어된다.
반송 벨트(5)는 벨트 구동 모터(11)에 결합된 구동 롤러 둘레에 걸쳐지고, 기록 매체(P)는 구동 롤러를 회전 및 구동함으로써 반송된다. 반송 벨트(5)의 동작은 모터 드라이버(12)를 통해 제어된다. 대전 장치(13)는 반송 벨트(5)의 상류에 제공된다. 대전 장치(13)는 반송 벨트(5)를 대전시켜서, 기록 매체(P)를 반송 벨트(5)와 밀접하게 접촉시킨다. 대전 장치(13)는 대전 장치 드라이버(13a)를 통해 온/오프 된다. 한 쌍의 급송 롤러(14)가 반송 벨트(5) 상으로 기록 매체(P)를 공급한다. 급송 모터(15)는 급송 롤러(14)의 쌍을 구동 및 회전시킨다. 급송 모터(15)의 동작은 모터 드라이버(16)를 통해 제어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장치의 구성은 단지 일 예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본 발명은 기록 헤드 및 기록 매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갖기만 하면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특정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은 기록 헤드가 기록 매체에 대해 이동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록 헤드(2)의 노즐이 배열되는 기록 칩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1) 및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2)는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예로서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2)가 기술될 것이다. 기록 헤드(22)는 예컨대 약 1인치의 유효 토출 폭을 가지며, 실리콘으로 형성된 10개의 기록 칩(H200)(H200a 내지 H200j)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베이스 기판(지지 부재) 상에 배열된다. Y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기록 칩(H200)은 노즐 어레이 방향(Y 방향)으로 사전에 결정된 중첩 폭을 갖도록 배열되고, 이는 인접한 기록 팁들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도 연속적인(seamless) 기록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특히 도 2에 도시된 각 기록 칩(H200)의 노즐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록 칩(H200)은 8개의 노즐 어레이(H201 내지 H208)를 포함한다. 노즐 어레이(H201, H202)는 시안 잉크에 대응하고, 노즐 어레이(H203, H204)는 마젠타 잉크에 대응하고, 노즐 어레이(H205, H206)는 옐로우 잉크에 대응하고, 노즐 어레이(H207, H208)는 블랙 잉크에 대응한다. 각 노즐 어레이의 노즐 배열 피치는 600 dpi이며, 각 색의 2개의 노즐 어레이는 반 피치만큼 서로로부터 어긋나게 배열된다. 이로 인해, Y 방향으로 1200 dpi의 해상도로 기록을 수행하도록 각각의 색 잉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노즐 어레이는 600개의 노즐로 형성되고, 따라서 1200개의 노즐이 각 색 잉크를 위해 제공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1) 내의 기록 칩에는, 2개의 노즐 어레이(H207, H208)가 제공된다. 이들 2개의 노즐 어레이 역시 반 피치만큼 서로로부터 어긋나게 배열되어, Y 방향으로 1200 dpi의 해상도로 기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의 수 역시 1200개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2)와 마찬가지로,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칩은 8개의 노즐 어레이가 제공되지만 2개의 노즐 어레이(H207, H208)만이 사용되고 노즐 어레이(H201 내지 H206)는 사용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강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든 노즐 어레이로 기록을 수행하는 것 또는 불토출에 대한 보완을 위해 보조 노즐로서 다른 노즐 어레이를 사용하는 것에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광학 센서(30)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반사형 광학 센서(30)는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캐리지(도시 생략) 상에 장착되고, 발광부(31) 및 수광부(32)를 갖는다. 발광부(31)로부터 방출된 광(입사광)(31A)은 기록 매체(P)로부터 반사되고, 반사광(32A)은 수광부(32)에 의해 검출된다. 반사광(32A)에 대한 검출 신호(아날로그 신호)는 가요성 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해 제어부(9)(도 1)로 전송되고, 제어부에서 A/D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갖는 광학 센서가 광학 센서(30)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며, 주로 도 1에 도시된 제어부(9)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컨트롤러(제어부)(9)는 기능적 요소로서 CPU(33), ROM(34), RAM(35), 화상 처리부(36) 및 기록 위치 조정부(37)를 갖는다. CPU(33)는 본 실시예의 기록 장치의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예컨대, CPU(33)는 ROM(34)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34)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ROM(34)은 예컨대, 기록 매체의 유형에 관한 정보, 잉크에 관한 정보,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주위 환경에 관한 정보 및 다양한 유형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화상 처리부(36)는 인터페이스(100a)를 통해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처리를 수행한다. 예컨대, 다중 값 화상 데이터는 각 화소에 대해 N-값 화상 데이터로 양자화되고, 각각의 양자화된 화소에 의해 표시되는 계조 값에 대응하는 도트 배열 패턴이 할당된다. 마지막으로, 각 노즐 어레이에 대응하는 토출 데이터(기록 데이터)가 생성된다. 기록 위치 조정부(37)는 도 27 등을 참조하여 후술될 기록 위치 조정 처리(레지스트레이션 조정 처리)를 수행한다.
호스트 장치(100)는 화상 데이터의 공급원이며, 기록에 관한 화상과 같은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화상 등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기일 수 있다. 화상 데이터, 다른 명령, 상태 신호 등이 인터페이스(I/F)(100a)를 통해 컨트롤러(9)로 전송되고 그로부터 수신된다. 일 그룹의 센서들은 장치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일 그룹의 센서이며, 반사형 광학 센서(30), 홈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포터 커플러(32)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주변 환경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적절한 부분에 제공되는 온도 센서(310)를 갖는다. 헤드 드라이버(2a)는 기록 데이터 등에 따라 기록 헤드(2)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이다. 헤드 드라이버(2a)는 토출 히터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기록 데이터를 정렬하기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와, 적절한 타이밍에 래칭을 수행하기 위한 래치 회로, 구동 타이밍 신호와 동기화 하여 토출 히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논리 회로 소자, 기록 위치 등의 조정을 위해 구동 타이밍(토출 타이밍)을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한 타이밍 설정부를 갖는다. 모터 드라이버(16)는 급송 모터(1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이며, 기록 매체를 급송하는데 사용된다. 모터 드라이버(12)는 반송 벨트(5)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구동 모터(1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이며, X 방향으로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데 사용된다. 모터 드라이버(17)는 반사형 광학 센서(30)를 위한 캐리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이다. 대전 장치 드라이버(13a)는 기록 매체(P)를 반송 벨트(5)와 밀접하게 접촉시키기 위해 반송 벨트(5)를 대전시키도록 대전 장치를 구동한다.
<색재 잉크 및 클리어 잉크>
클리어 잉크는 색재를 포함하지 않는 액체이며, 그 성분은 색재 잉크가 안료 잉크인 경우에는 안료 색재를 응집 또는 석출하고, 색재 잉크가 염료 잉크인 경우에는 염료 색소를 석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리어 잉크는 질산칼슘 4수화물, 글리세린, 계면 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고, 안료를 포함하는 안료 잉크가 색재 잉크로서 사용된다. 클리어 잉크가 사전에 부여된 기록 매체의 영역에 클리어 잉크가 착탄되는 경우, 다가 금속염이 색재 잉크 내의 색재인 안료 또는 염료에 작용하고, 불용성 또는 난용성의 금속 복합체를 응집 또는 석출한다. 그 결과, 색재 잉크 내의 색재 성분이 기록 매체에 침투하는 것이 억제되고, 기록 매체의 표면 층 부근에 잔류하기 쉬워진다.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위치 조정 패턴>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록 매체 상의 사전에 결정된 부분에 대한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 기록 매체 상의 부분의 비율이 "에어리어 팩터(area factor)"로 지칭된다. 예컨대, 도트가 기록 매체 상의 사전에 결정된 부분 전체에 걸쳐 기록된 경우 에어리어 팩터는 100%이고, 도트가 전혀 기록되지 않은 경우 에어리어 팩터는 0%이고, 기록된 부분의 영역이 사전에 결정된 부분의 영역의 절반인 경우 에어리어 팩터는 50%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패턴(레지스트레이션 조정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색재 잉크들인 C, M, Y 및 K 잉크에 대한 기록 위치 조정 패턴들 중 블랙(K) 잉크의 기록 위치와 일치하도록 동일한 기록 칩 내에서 X 방향으로 시안(C)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록 위치 조정(색간 X 방향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을 도시한다. 도 6에서, 상대적으로 어둡게 쉐이딩된 도트가 K 잉크를 위한 노즐 어레이의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로 기록된 도트이고, 상대적으로 옅게 쉐이딩된 도트는 동일한 방식으로 C 잉크로 기록된 도트이다. X 및 Y 방향으로의 도트의 간격은 양자 모두 1200 dpi이고, 4개의 K 잉크 도트 및 4개의 C 잉크 도트가 X 방향으로 교호식으로 배열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K 잉크 및 C 잉크의 기록 위치가 4개의 어긋남 양만큼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도 6에 도시된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간략한 도시를 위해, K 도트가 기록된 영역은 어둡게 쉐이딩된 장방형에 의해 표시되고, C 도트가 기록된 영역은 옅게 쉐이딩된 장방형에 의해 표시된다.
도 7a는 K 잉크 및 C 잉크의 상대적 기록 위치가 이상적으로 서로 일치하는(어긋남 양이 제로인) 상태의 패턴을 도시한다. 한편, 도 7b는 사전에 결정된 양만큼 상대적 기록 위치들이 변위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c 및 도 7d는 상대적 기록 위치들이 추가로 변위된 상태의 패턴을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의 상대적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이 커질수록, 전체 패턴의 농도는 낮아진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7a에 도시된 패턴에서, K 도트 및 C 도트의 조합에 대한 에어리어 팩터는 약 100%이다. 도 7b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이 커질수록, K 도트 및 C 도트가 서로 중첩하는 영역이 커지게 되고, 도트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즉, 도트가 덮이지 않은 영역이 커지게 된다. 전체 패턴의 농도는 도트의 중첩에 의해 유발되는 농도의 변화보다는 에어리어 팩터의 변화에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에어리어 팩터가 낮아질수록, 전체 패턴의 농도가 낮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은 사전에 결정된 양만큼 K 잉크 노즐 어레이로부터의 토출 타이밍에 대해 C 잉크 노즐 어레이로부터의 토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기록된다.
또한, Y 방향으로의 기록 위치 조정을 위한 패턴은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패턴을 90도 회전시킴으로써 획득되는 패턴일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각각의 색 잉크에 대해 사전에 결정된 수의 연속 노즐들로 기록되며, 패턴을 기록하는데 사용된 사전에 결정된 수의 연속 노즐들의 범위를 변위시킴으로써 기록될 수 있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9개의 패턴을 이용하는 경우에 기록 위치 어긋남 양과 반사 농도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에서, 수직축은 반사 농도(OD 값)를 나타내고, 수평축은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을 나타낸다. 광학 센서(30)(도 4)를 사용하는 경우에, 반사율(R)은 R = Iref/Iin으로 표시되며, 투과율(T)은 T = 1 - R로 표시된다. 반사 농도(d)는 관계식 d = - Log(R)을 만족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C 도트 및 K 도트의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이 "제로"인 경우에, 에어리어 팩터는 100%이고, 따라서 반사율(R)은 최저가되고, 즉 반사 농도(d)가 최고가 된다. 또한, 반사 농도(d)는 C 도트 또는 K 도트의 기록 위치가 + X 방향으로 또는 - X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에 낮아지게 된다.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값을 획득하기 위한 처리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상대적인 어긋남 양을 갖는 9개의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이 기록되고, 이들의 농도가 측정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위치의 변위에 대응하는 곡선이 예컨대, 최소제곱법에 의한 곡선 근사를 수행함으로써 4개의 측정된 농도로부터 획득되고, 최대 농도의 위치가 상기 곡선으로부터 획득된다. 최대 농도에 대응하는 X 방향으로의 어긋남 양은, 기록 위치들이 서로 가장 잘 일치하는 기록 타이밍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러한 어긋남 양에 대응하는 기록 타이밍은 조정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동일한 기록 칩 내에서 X 방향으로 C 잉크의 기록 위치가 K 잉크의 기록 위치와 일치하도록 색간 X 기록 위치 조정에 사용되는 조정 패턴의 일 예가 설명되었다. 하지만, 동일한 방식으로 Y 방향 색간 기록 위치 조정(색간 Y 기록 위치 조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접한 기록 칩의 중첩 영역과 관련하여, 기록 칩의 K 잉크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방식으로 인접한 기록 칩에 대한 기록 위치 조정(칩간 기록 위치 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위치 조정 패턴>
도 9는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레지스트레이션 조정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패턴은 X 방향으로 색재 잉크 및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이다. 예로서 블랙(K) 잉크의 기록 위치에 기초하여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을 취함으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9에서, 옅은 화이트 도트는 클리어 잉크의 도트를 나타내고, 어둡게 쉐이딩된 도트는 K 잉크의 도트를 나타낸다. 도트 간격은 X 및 Y 방향 모두에서 1200 dpi이고, 도트로 형성되고 한변에 18개 도트를 갖는 정사각형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어, 상기 정사각형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여기서 하나의 도트가 1200 dpi의 각 화소 내에 형성된 상태가 "솔리드" 기록으로 지칭된다. 표준의 보통 종이에서, 솔리드 기록을 수행하는 경우의 에어리어 팩터는 약 100%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클리어 잉크 및 K 잉크의 기록 위치가 4개의 어긋남 양만큼 상대적으로 변위된 도 9에 도시된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간략하게 도시하기 위해, 클리어 잉크 도트가 기록된 영역(클리어 잉크 영역)은 화이트 정사각형에 의해 표시되고, K 도트가 기록된 영역(K 솔리드 영역)은 쉐이딩된 정사각형으로 표시된다.
도 10a는 클리어 잉크 및 K 잉크의 상대적 기록 위치가 이상적으로 서로 일치하는(어긋남 양이 제로인) 상태의 패턴을 도시한다. 한편, 도 10b는 상기 상대적 기록 위치가 작은 양만큼 변위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0c는 상기 상대적 기록 위치가 약간 더 큰 양만큼 변위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0d는 상기 상대적 기록 위치가 더 큰 양만큼 변위된 상태를 도시한다. 기록 위치 조정 패턴에서,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이 커질수록, 클리어 잉크 도트 및 K 잉크 도트가 서로 중첩하는 영역이 증가되고, 그러한 중첩 영역에서 K 잉크는 응집되어 그 농도가 증가하여, 전체 패턴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10a에 도시된 상태에서, 중첩 비율은 약 0%이다.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이 더 커질수록, 중첩 비율이 더 높아지고, 도 10d에서 중첩 비율은 약 100%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첩 비율 및 상술된 에어리어 팩터는 서로 상반 관계이다. 클리어 잉크가 색재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될 때 클리어 잉크는 에어리어 팩터가 증가된 경우에도 농도에 기여하지 않는다. 하지만, 클리어 잉크가 K 잉크와 중첩되는 경우, 중첩 영역 내의 K 잉크는 응집되어 농도를 증가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색재 잉크를 위한 잉크간 기록 위치 조정과 달리, 클리어 잉크 도트 및 K 잉크 도트의 중첩 비율이 커질수록, 전체 패턴의 농도가 높아진다.
또한, Y 방향으로의 기록 위치 조정을 위한 패턴은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패턴을 90도 회전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는 패턴일 수 있다. 이러한 패턴들은 각 색 잉크에 대해 사전에 결정된 수의 연속 노즐로 기록되고, 상기 패턴을 기록하는데 사용된 상기 사전에 결정된 수의 연속 노즐의 범위를 변위시킴으로써 기록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 중 7개를 이용하는 경우에 기록 위치 어긋남 양과 반사 농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클리어 잉크 도트 및 K 잉크 도트의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이 "제로"인 경우, 중첩 비율은 약 0%이고, 반사율(R)은 최고가 되고, 즉 반사 농도(d)는 최저가 된다. 또한, 반사 농도(d)는, 클리어 잉크 도트 또는 K 잉크 도트의 기록 위치가 + X 방향 또는 - X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에 증가한다.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값을 획득하기 위한 처리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이한 상대적인 어긋남 양을 갖는 7개의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이 기록되고, 그 농도가 측정된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위치의 변위에 대응하는 곡선이 예컨대 최소제곱법에 의한 곡선 근사를 수행함으로써 4개으 측정된 농도로부터 획득되며, 최소 농도의 위치가 상기 곡선으로부터 획득된다. 최소 농도에 대응하는 X 방향으로의 어긋남 양은 기록 위치들이 서로 일치하는 기록 타이밍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 어긋남 양에 대응하는 기록 타이밍은 조정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기록 위치는 K 잉크를 토출하는 타이밍에 대해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는 타이밍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X 방향으로 변위된다. 기록 위치는 색재 잉크를 위한 잉크간 기록 위치 조정과 같이 노즐에 대한 기록 데이터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Y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도트 크기, 기록 위치 조정의 정밀도 등에 따라 패턴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 위치 조정>
도 12는 기록 위치 조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100)에서,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위치 조정(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이 수행된다.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위치 조정은 인접한 기록 칩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칩간 기록 위치 조정과, 동일 칩 내에서 다른 색의 잉크의 기록 위치와 일치하도록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색간 기록 위치 조정을 포함한다. 칩간 기록 위치 조정에서, 인접한 기록 칩의 기록 위치는 기록 칩(H200a)(도 2)에 대해 조정된다.
칩간 기록 위치 조정에서,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은 기록 팁의 K 잉크로 기록되고, 그 측정 값은 기록 칩의 대표 값으로 사용된다. X 방향으로의 기록 위치의 조정은 각 기록 칩에 대한 토출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되고, Y 방향으로의 기록 위치의 조정은 Y 방향으로 각 기록 칩에 대한 토출 데이터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수행된다. 색간 기록 위치 조정에서, C, M 및 Y 잉크를 위한 노즐 에레이에 대한 기록 위치는 K 잉크를 위한 노즐 어레이(H207, H208)에 대하여 각 기록 칩에 대해 조정된다. 조정 값과 관련하여,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은 기록 칩 내의 블랙 및 관련 색으로 기록되고, 그 측정 값은 상기 관련 색을 위한 노즐 어레이에 대한 조정 값으로 사용된다. X 방향으로의 기록 위치의 조정은 각각의 색 및 각각의 기록 칩에 대한 토출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되고, Y 방향으로의 기록 위치의 조정은 Y 방향으로 각각의 색 및 각각의 기록 칩에 대한 토출 데이터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200)에서,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가 조정된다.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은 Y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기록 칩의 기록 위치들을 조정하는 것이며, 각각의 기록 칩에 대해 수행된다. 예컨대, 기록 위치 조정은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2)의 기록 칩(H200a) 및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1)의 기록 칩(H200a)에 대해 수행된다.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에서, 클리어 잉크를 위한 노즐 어레이에 대한 기록 위치는 K 잉크를 위한 노즐 어레이(H207, H208)를 기준으로 각각의 기록 칩에 대해 조정된다. 조정 값과 관련하여,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이 클리어 잉크 및 색재 잉크로 기록되며, 그 측정 값은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칩에 대한 조정 값으로 사용된다. X 방향으로의 기록 위치의 조정은 각각의 기록 칩에 대해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되고, Y 방향으로의 기록 위치의 조정은 Y 방향으로 각각의 기록 칩에 대해 클리어 잉크에 대한 토출 데이터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즉, 사용되는 노즐의 범위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수행된다. Y 방향으로 기록 위치의 조정을 위한 해상도는 1200 dpi이며, 이는 노즐의 실질적인 해상도이며 X 방향으로의 기록 위치의 조정이 토출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최대 4800 dpi의 해상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단계(100)에서의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101)에서 색재 잉크에 대한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은 X 방향 및 Y 방향 각각에 대해 기록된다. 색재 잉크에 대한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은 칩간 기록 위치 조정 패턴 및 색간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단계(102)에서, 광학 센서(30)는 이러한 패턴의 광학 특성(본 실시예에서는 농도)를 측정한다. 단계(103)에서,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적절한 조건(조정 값)이 상기 패턴의 측정된 광학 특성을 기초로 X 방향 및 Y 방향 각각에 대해 획득된다.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건은 예컨대, 상술된 바와 같이 최소제곱법에 의해 수행되는 곡선 근사에서 피크 값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단계(104) 및 단계(105)에서, 토출 데이터의 어긋남 양은 획득된 기록 위치 조정 조건에 기초하여 Y 방향에 대해 설정되고(단계(104)), 토출 타이밍의 변화는 X 방향에 대해 설정된다(단계(105)).
도 14는 기록 매체(P) 상에 도 6에 도시된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을 기록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4개의 예와 달리, 도시된 예는 K 잉크와 C 잉크의 상이한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을 갖는 9개의 기록된 패턴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패턴은 패치로도 지칭된다. 예컨대, 9개의 패치에 대한 K 잉크 및 C 잉크를 위한 기록 개시 타이밍과 관련하여, K 잉크의 기록 시작 타이밍은 고정되고, 총 9개의 타이밍 즉, 하나의 현재 설정된 개시 타이밍, 4개의 더 이른 개시 타이밍 및 4개의 더 늦은 개시 타이밍이 기록을 수행하기 위해 C 잉크에 대한 개시 타이밍으로 사용된다. 기록 개시 타이밍의 설정 및 기록 개시 타이밍에 기초한 9개의 패치의 기록은 사전에 결정된 지시의 입력에 응답하여 개시되도록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패치(a) 내지 패치(i)가 이러한 방식으로 기록 위치 조정 패턴으로서 기록된 후에, 기록 매체(P) 및 캐리지는 캐리지 내에 장착된 반사형 광학 센서(30)가 상기 패치와 대면하도록 위치 설정되도록 이동되고, 각 패치의 광학 특성(농도)이 측정된다. 측정 결과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조정할 때 기록 위치의 변위의 상태에 대응하며, 중심에서의 농도가 가장 높을 필요가 없다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노이즈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캐리지를 정지시키고 더 큰 스폿 직경을 갖는 센서를 사용하고 복수 지점의 측정 결과를 평균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기록된 패턴의 불균일한 국지적 광학 특성(예컨대, 반사 광학 농도)의 평균을 내고 높은 정밀도로 반사 광학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5는 단계(200)에서의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201)에서, 클리어 잉크에 대한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은 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해 기록된다. 다음으로, 단계(202)에서, 광학 센서(30)는 상기 패턴의 광학 특성(농도)을 측정한다. 이후, 단계(203)에서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적절한 조건(조정 값)이 상기 패턴의 측정된 광학 특성을 기초로 X 방향 및 Y 방향 각각에 대해 획득된다.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건은 예컨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최소제곱법에 의해 수행되는 곡선 근사에서 피크 값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후, 클리어 잉크에 대한 토출 데이터의 어긋남 양은 획득된 기록 위치 조정 조건에 기초하여 Y 방향에 대해 설정되고(단계(204)), 토출 타이밍의 변화는 X 방향에 대해 설정된다(단계(205)).
도 16은 기록 매체(P) 상에 도 9를 참조하여 상술된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을 기록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4개의 패치 패턴과 달리, 도 16에 도시된 예는 상이한 기록 위치 상대 어긋남 양을 갖는 7개의 패치의 일 예이다. 7개의 패치에 대한 클리어 잉크 및 K 잉크를 위한 기록 개시 타이밍과 관련하여, 기준의 역할을 하는 K 잉크에 대한 기록 개시 타이밍은 고정되고, 총 7개의 타이밍 즉, 하나의 현재 설정된 개시 타이밍, 3개의 더 이른 개시 타이밍 및 3개의 더 늦은 개시 타이밍이 클리어 잉크를 위한 개시 타이밍으로 사용된다. 기록 개시 타이밍의 설정 및 기록 개시 타이밍에 기초한 7개의 패치의 기록은 사전에 결정된 지시의 입력에 응답하여 개시되도록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센서 광원 및 반사 농도>
다음으로, 광학 센서(30)를 사용함으로써 클리어 잉크에 대한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을 측정하는 세부 사항이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반사형 광학 센서(30)는 기록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클리어 잉크 및 색재 잉크의 색조, 기록 헤드의 구성 등에 따라 3개 유형의 레드 발광 다이오드(R 광원), 그린 발광 다이오드(G 광원) 및 블루 발광 다이오드(LED)(B 광원) 중 임의의 하나를 발광부(31)로 사용한다.
도 17은 발광부(31) 내에 사용되는 R, G 및 B 발광 다이오드의 색-파장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로서, 각각의 색 및 각각의 파장에 대해 광원의 광 강도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블루 발광 다이오드(B 광원)는 피크 파장이 약 470 nm인 파장 특성을 가지며, 그린 발광 다이오드(G 광원)은 피크 파장이 약 530 nm인 파장 특성을 가지며, 레드 발광 다이오드(R 광원)은 피크 파장이 약 620 nm인 파장 특성을 갖는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발광부(31)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학 특성을 이용하는 측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8a는 발광부(31)의 R, G 및 B 광원으로부터 R 광원 하의 파장 특성을 도시한다. 도 18b는 도트가 형성되지 않은 기록 매체의 파장 특성(반사율)을 도시하고, 기록 매체 자체의 도트 비형성 부분의 색의 반사율을 도시한다. 도 18c는 기록 매체 자체의 파장 특성(광흡수율)을 도시하며, 광흡수율은 100%로부터 상기 반사율을 차감함으로써 획득된다. 도 18d는 R 광원으로부터 방출되고 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파장 특성을 도시하며, 파장과 광 강도(반사광 강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8b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기록 매체는 전체 가시 파장 영역에 걸쳐 높은 반사율 및 낮은 흡수율을 갖는다. 따라서, 도 18d에 도시된 R 광원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광학 특성과 관련하여, 광 강도는 기록 매체에 의한 광의 흡수로 인해 약간 감소한다. 하지만, 파장 특성은 도 18a에 도시된 R 광원 하에서의 파장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도 18d의 쉐이딩된 부분은 가시 파장 영역 내의 광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소자의 측정 출력에 기여하는 부분이다. 실제로는, 측정 소자의 감도 특성이 영향을 받지만, 간단한 설명을 위해 아래에서는 쉐이딩된 부분의 영역이 광학 센서의 측정 결과(반사 농도)에 직접적으로 대응한다고 가정된다. 쉐이딩된 부분의 영역이 큰 경우에, 반사 농도는 낮고, 쉐이딩된 부분의 영역이 작은 경우에 반사 농도가 높다.
다음으로, 광원색과 색재 잉크의 색조 사이의 관계가 설명될 것이다. R 광원이 광원색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일 예로서 취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9a 내지 도 22d는 광학 센서를 사용하여 획득된 측정 결과 및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블랙(K),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 색재 잉크의 도트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9a, 도 20a, 도 21a 및 도 22a는 R 광원 하에서의 파장 특성을 도시한다. 도 19b, 도 20b, 도 21b 및 도 22b는 기록 매체의 각 색 잉크에 대한 도트 형성부(기록 부분)의 반사율을 도시하며, 이는 색 잉크로 도트 형성부의 발색에 의한 것이다. 도 19c, 도 20c, 도 21c 및 도 22c는 각 잉크에 대한 기록 매체의 도트 형성부의 흡수율을 도시하며, 흡수율은 100%로부터 반사율을 감산하여 획득된다. 도 19d, 도 20d, 도 21d 및 도 22d는 R 광원으로부터 방출되고 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파장 특성을 도시하며, 반사광의 강도와 파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 19a 내지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K 잉크의 경우에는,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율이 전체 파장 범위에 걸쳐 낮으며, 반대로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율은 전체 파장 범위에 걸쳐 높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K 도트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강도는 레드 영역인 약 620 nm의 파장에서 낮으며, 따라서 반사 농도가 높게 된다. 그 결과, 도 18d에 도시된 (기록 매체의) 종이 백색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강도와 K 도트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강도 사이의 차이가 커진다.
도 20a 내지 도 20d에 도시된 C 잉크의 경우에,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색조에 대응하는 약 460 nm의 파장에서 반사율 피크가 있고 반대로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색조에 대응하는 파장 이외의 가시 영역 내에서 흡수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도트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강도는 레드 영역인 약 620 nm의 파장에서 낮으며, 따라서, 반사 농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C 도트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강도와 K 잉크의 경우에서와 같이 종이 백색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강도 사이의 차가 상대적으로 커진다.
도 21a 내지 도 21d에 도시된 M 잉크 및 도 22a 내지 도 22d에 도시된 Y 잉크는 각각 도 21b 및 도 22b에 도시된 파장 특성(반사율)을 가지며, 그 결과 흡수율은 도 21c 및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M 잉크 및 Y 잉크의 흡수율이 레드 영역인 약 620 nm의 파장에서 낮다. 따라서, M 도트 및 Y 도트로부터 반사되고 R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 비임의 강도는 도 21d 및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반사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그 결과,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백색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강도와 M 도트 및 Y 도트로부터 반사된 광 비임의 강도 사이의 차이가 작아진다.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의 반사 농도>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는 기록 위치의 변위에 대응하는 에어리어 팩터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패턴을 이용하여 조정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종이 백색부(기록 매체의 백그라운드 부분)와 도트 형성부 사이의 광원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강도 차이가 커질수록, S/N 비율이 향상되고 검출 정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조정되는 2개의 잉크로부터 반사된 광 비임의 강도가 종이 백색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상대적으로 큰 강도보다 낮아지도록(반사 농도가 더 높아지도록) 광원색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K 잉크 및 C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 광원색으로 레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K 잉크 및 C 잉크의 기록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K 도트 및 C 도트의 총 에어리어 팩터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00%이다. 그 결과, R 광원 하에서, 도 19d 및 도 20d에 도시된 반사광 비임의 강도는 혼합 방식으로 존재하고, 그에 따라 반사 농도가 높아진다. 한편, 잉크들의 기록 위치가 상대적으로 큰 양만큼 서로로부터 변위되고 에어리어 팩터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경우에, 기록 매체의 노출 영역은 커지게 된다. 그 결과, R 광원 하에서, 반사광의 강도는 도 18d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백색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강도와 동일한 수준이 되고 전체 기록 부분의 반사 농도는 낮다.
유사한 이유로, K 잉크 및 M 잉크의 기록 위치가 조정되는 경우에, 광원색으로 그린을 선택 및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K 잉크 및 Y 잉크의 기록 위치가 조정되는 경우에, 광원색으로 블루를 선택 및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랙 잉크 이외의 색(CMY) 잉크의 기록 위치는 예컨대, 블랙 잉크의 기록 위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색의 기록 위치 모두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모든 RGB 광원으로부터 방출되고 블랙 잉크로부터 반사된 광의 강도가 낮기 때문에, 기록 위치가 블랙 잉크의 기록 위치와 일치하도록 조정되는 다른 색재 잉크의 색조에 따라 우수한 광흡수 특성을 갖는 광원색이 레드(R 광원), 그린(G 광원) 및 블루(B 광원)으로부터 선택되어, 광학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는 높은 정밀도로 패치의 색재 잉크 도트의 총 에어리어 팩터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함에 있어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색과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색재 잉크(색재 잉크의 색조) 사이의 관계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d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는 클리어 잉크와 기준의 역할을 하는 색재 잉크의 상대적 어긋남 양을 변경함으로써 기록을 수행하고 광학 특성의 변화로서 중첩 부분의 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조정된다.
도 23a 내지 도 23e는 클리어 잉크 및 단색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되게 기록된 경우 및 클리어 잉크와 단색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되지 않게 기록된 경우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3a는 상술된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도면들과 같이 R 광원 하의 파장 특성을 도시한다.
도 23b는 K 잉크가 클리어 잉크를 중첩하는 경우 또는 K 잉크가 기록 매체 상에 단독으로 기록된 경우에 도트 형성부의 파장 특성(반사율)을 도시한다. 도 23b에서, 실선은 K 잉크가 클리어 잉크를 중첩하는 경우의 특성을 나타내며, 점선은 K 잉크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23c 및 도 23d도 동일하다. 도 23a에서, 실선으로 표시되는, K 잉크가 클리어 잉크를 중첩하는 경우의 반사율은 점선으로 표시되는, K 잉크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반사율보다 전체 파장 범위에 걸쳐 낮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K 잉크가 클리어 잉크를 중첩하는 경우에, 농도가 높아진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도 23c는 기록 매체 상에 K 도트 형성부의 파장 특성(흡수율)을 도시한다. 이 흡수율은 100%로부터 상술된 반사율을 감산함으로써 획득된다. 도 23d는 R 광원 하에서 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파장 특성을 도시하고, 반사광의 강도와 파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23e는 도 23d에 도시된 반사광의 파장 특성(반사광의 강도)과의 차이를 도시한다. 이는 K 잉크가 단독으로 사용된 경우와 K 잉크가 클리어 잉크를 중첩하는 경우 간의 반사광의 파장에 대한 반사광의 강도의 차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는 상기 차이를 이용하여 조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클리어 잉크 도트 및 K 도트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하지 않는 기록 위치 관계에서, 도 18d에 도시된 반사광의 강도 및 도 23d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반사광의 강도는 혼합 방식으로 존재한다. 또한, 클리어 잉크 도트 및 K 도트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완전히 중첩하는 기록 위치 관계에서, 도 18d에 도시된 반사광의 강도 및 도 23d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반사광의 강도는 혼합 방식으로 존재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클리어 잉크 및 K 잉크가 간단하게 서로 중첩하는 구성을 사용하는 기록 위치의 상술된 조정에서, 클리어 잉크와 K 잉크가 서로 중첩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와 K 잉크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경우 사이에, 반사광의 강도 즉, 측정되는 농도에 있어서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 기록 위치의 변위에 의해 유발되는 에어리어 팩터의 변화에 따른 농도 변화를 유의미하게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클리어 잉크 도트의 단독 사용은 R, G 및 B 광원의 파장 영역 중 어느 것에서도 흡수에 거의 기여하지 않으며,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과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반사광의 강도 변화로서 에어리어 팩터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은 클리어 잉크에 의한 색재 잉크의 응집을 이용하고, 광학 특성의 차이로서 클리어 잉크 및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와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경우 사이의 농도 차이를 검출하여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클리어 잉크에 대한 기록 위치 조정을 이용하는 응집에 의해 유발되는 반사 농도의 변화량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색재 잉크에 대한 기록 위치 조정 패턴에서와 같이 에어리어 팩터 변화를 검출하는 경우에 비해 작으며, 검출 정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변화량이 사용되는 잉크 및 매체의 특성과 전기 회로 및 반사형 광학 센서와 같은 장치의 비용 절감에 의해 낮아지는 경우, 검출되는 차이가 노이즈에 매립되어 검출이 곤란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클리어 잉크와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와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경우 간의 반사 농도의 차이가 큰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을 기록한다. 몇 개의 실시예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 24a 내지 도 24d 및 도 25a 내지 도 25f는 2개의 상이한 색조의 색재 잉크가 기록 매치의 동일 위치 상에 착탄되는 경우의 침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기록 매체의 단면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색 1 및 색 2의 색재 잉크가 순서대로 기록 매체에 착탄되는 경우를 도시하며, 도 25a 내지 도 25f는 클리어 잉크 및 색 1 및 색 2의 잉크가 순서대로 기록 매체에 착탄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 1의 잉크 액적(241)이 기록 헤드로부터 토출된다. 이 잉크 액적은 기록 매체의 종이 백색부에 착탄되어, 잉크 내의 용제가 기록 매체에 침투하고 잉크 내의 고형분인 색재가 기록 매체의 표면 층에 정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242)가 형성된다. 이후,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 2의 잉크 액적(243)이 기록 헤드로부터 토출된다. 이 잉크 액적은 중첩 방식으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도트(242) 상에 착탄된다. 잉크 액적이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도트를 형성하도록 기록 매체 상에 착탄된 경우, 잉크 액적(243)은 이후 동일한 위치에 착탄되고 도트(242)의 깊이까지 하향 침투하고 도트(244)의 위치까지 하향 침투한다. 이는 처음 착탄된 잉크가 기록 매체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고 후속하여 착탄된 잉크가 쉽게 침투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2개의 상이한 색조의 잉크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상에 착탄되는 경우, 후속하여 착탄되는 색 2의 잉크 액적(243)은 기록 매체의 깊이까지 하향 침투되어, 색 1의 먼저 착탄된 잉크 액적(241)의 도트(242)는 기록 매체의 상위 표면에 잔류한다. 그 결과, 색 1은 도트들이 서로 중첩하는 부분에서 주로 관찰된다. 또한, 도 24a 내지 도 24d는 도트(242) 및 도트(244)를 도시하는데, 도트(242) 및 도트(244)는 간단한 방식으로 침투 위치를 도시하기 위해 분리되었지만, 색 2의 후속하여 착탄된 잉크 액적(243)의 색재의 일부 역시 상기 표면 층에 잔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 및 2 종류의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 클리어 잉크의 잉크 액적(245)이 기록 헤드로부터 토출된다.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잉크 액적은 기록 매체의 종이 백색부에 착탄되고 도트(246)를 형성하도록 기록 매체의 표면 층에 정착된다. 다음으로,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 1의 잉크 액적(247)이 기록 헤드로부터 토출되고, 중첩 방식으로 기록 매체 내에 형성된 클리어 잉크의 도트(246)에 착탄된다. 색 1의 잉크가 클리어 잉크와 접촉하여 응집하는 경우, 잉크 내의 용제는 기록 매체에 침투하고, 도 2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액적(247) 내에 포함된 색재가 도 24a 내지 도 24d에 도시된 경우와 비교할 때 기록 매체의 표면 층에 더 근접한 영역에 정착되고 도트(248)를 형성한다. 이후, 도 2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 2의 잉크 액적(249)이 기록 헤드로부터 토출되고, 도 2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착탄된 잉크 1의 도트(248)가 중첩 방식으로 착탄된다. 처음 착탄된 클리어 잉크 도트(246)의 성분은 기록 매체의 표면 층에 잔류하기 때문에, 색 2의 잉크 액적(249)의 색재는 도 24a 내지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의 깊이까지 침투하지 않으며 색 1의 도트(248)의 상위측에 정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2 종류의 잉크 및 클리어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 색 1 및 색 2의 잉크의 색재는 도 24a 내지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기록 매체의 표면 층에 더 근접한 부분에 정착된다. 그 결과, 도트 부분의 농도가 향상되며, 그 색조로서 상위 층에 정착된 색 2가 주로 관찰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k는 도 24a 내지 도 24d 및 도 25a 내지 도 25f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사용된 경우 사이의 광학 특성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색 1로 옐로우(Y) 잉크가 사용되고 색 2로 블랙(K) 잉크가 사용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26a, 도 26b 및 도 26c는 발광부(31)의 R, G 및 B 광원의 발광 다이오드의 파장 특성을 각각 도시한다.
도 26d는 Y 잉크 및 K 잉크가 거론된 순서로 중첩 방식으로 기록 매체에 부여되는 경우(점선)와, 클리어 잉크, Y 잉크 및 K 잉크가 거론된 순서로 중첩 방식으로 기록 매체에 부여되는 경우(실선)에 도트가 형성되는 영역의 파장 특성(반사율)을 도시한다. 또한, 도면에서 점선 및 실선은 도 26e 내지 도 26h에서도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도 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실선), 반사율은 전체 파장 범위에 걸쳐 낮다(반사 농도가 높다). 또한,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실선)를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점선)와 비교하면, 반사율을 나타내는 곡선의 형상이 사전에 결정된 파장 범위에 걸쳐 변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색 1 잉크와 색 2 잉크 사이의 정착 위치 관계가 클리어 잉크의 존재 유무에 따라 변경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색조는 도 24a 내지 도 24d 및 도 25a 내지 도 25f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변경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에, 후속하여 착탄된 K 잉크가 상위 층에 정착되고 주 색조를 형성하며, 따라서 반사율은 전체 파장 범위에 걸쳐 낮고, 상기 곡선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한편,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음 착탄된 Y 잉크가 상위 층에 정착되고 주 색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반사율은 도 26c에 도시된 B 광원의 피크 파장에 근접한 범위에 걸쳐 상대적을 낮으며, 반면에 반사율은 도 26a 도 26b에 도시된 R 및 G 광원의 피크 파장에 근접한 범위에 걸쳐 상대적으로 높다. 도 26e는 기록 매체의 도트 형성부의 파장 특성(흡수율)을 도시한다. 이 흡수율은 100%로부터 상술된 반사율을 감산하여 획득된다.
도 26f, 도 26g 및 도 26h는 R, G 및 B 광원 하에서 기록 매체의 도트 형성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 비임의 파장 특성을 도시한다.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실선), 블랙이 주 색조이며, 따라서 임의 광원 하에서 반사광의 강도가 낮고 반사 농도가 높다. 한편,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점선), 옐로우가 주 색조이며 따라서 반사광의 강도는 R 및 G 광원 하에서 높고(반사 농도가 낮고) 반사광의 강도는 B 광원 하에서 낮다(반사 농도가 높다). 이러한 측면에서,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이의 반사 농도의 차이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도트 형성부의 반사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R 및 G 광원을 선택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도 26i, 도 26j 및 도 26k는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변경되는 R, G 및 B 광원 하의 반사광 비임의 파장 특성의 차이를 도시한다. 각 도면에서, 쉐이딩된 부분의 영역은 반사광의 강도의 차이를 나타내며, R 및 G 광원의 경우에 쉐이딩된 부분의 영역은 B 광원의 경우의 쉐이딩된 부분의 영역보다 크다. 쉐이딩된 부분의 영역이 커질수록, 반사 농도의 차이가 커지며,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예에서, Y 잉크 및 K 잉크가 순서대로 기록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지만, 색재 잉크의 색조, 기록 순서 및 광원색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유사하게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정 광원색에 대해 반사 농도가 낮은 색조가 처음 착탄된 색 1 잉크로서 선택되고, 반사 농도가 높은 색조가 후속하는 색 2 잉크로서 선택된다. 이로 인해, 한 종류의 색재 잉크(단색)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반사 농도의 변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간의 차이의 검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28a 내지 도 28h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패턴의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기록 매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은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고, K 잉크는 그 기준 위치의 잉크로 사용되고 Y 잉크는 검출 보조 잉크로 사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5a 내지 도 25f를 참조하여 상술된 색 1 잉크 및 색 2 잉크는 Y 잉크 및 K 잉크에 각각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레드(R 광원)는 광원색으로 사용된다.
도 27에서는, 우선 단계(301)에서 기록 위치 조정 패턴(281)(도 28a)이 클리어 잉크(조정 대상 잉크)로 기록된다. 본 실시예의 조정 패턴(281)는 도 9 및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상술된 패턴과 같이 지그재그 패턴이다. 도 28a 및 도 28e는 도 10a 및 도 10d에 도시된 클리어 잉크로 조정 패턴을 기록하는 것을 각각 도시한다.
다음으로, 단계(302)에서 검출 보조 패턴(282)(도 28b)은 검출 보조 잉크인 Y 잉크로 기록된다. 본 실시예의 검출 보조 패턴(282)은 이후 K 잉크로 기록되는 기준 패턴(283)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패턴을 기록함으로써 기록된다. 도 28b 및 도 28f는 검출 보조 패턴(282)이 기록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다음으로, 단계(303)에서 기준 패턴(283)(도 28c)은 기준 잉크의 역할을 하는 K 잉크로 기록된다. 본 실시예의 기준 패턴(283)은 도 9 및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설명된 패턴과 같이 기록되고, 도 28c 및 도 28g는 도 10a 및 도 10d에 도시된 기준 패턴이 K 잉크로 기록되는 방식을 각각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준 패턴(283)은 단계(302)에서 Y 잉크로 기록된 검출 보조 패턴(282)의 기록 부분상에 중첩 방식으로 기록된다.
도 29는 도 27 및 도 28a 내지 도 28h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 및 그 기록 순서를 조정하기 위한 기록된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의 조정 패턴(281), Y 잉크의 검출 보조 패턴(282) 및 K 잉크의 기준 패턴(283)은 순서대로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다. 그러한 패턴들은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 방식으로 기록된다. 상기 처리는 X 방향 및 Y 방향 각각에서 수행된다.
도 27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기록 후, R 광원 하의 광학 특성은 단계(304)에서 측정되고, 적절한 기록 위치 조정 조건(조정 값)이 단계(305)에서 획득된다. 또한, 단계(306)에서 획득된 조정 값을 기초로, Y 방향으로의 클리어 잉크의 토출 데이터의 어긋남 양이 설정되고(단계(306)), X 방향으로의 토출 타이밍의 변화가 설정된다(단계(307)).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의 측정 값의 비교>
도 30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된 비교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 조정에서 각 패치의 반사 농도(점선)와의 비교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 조정 시의 각 패치의 반사 농도(실선)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0에서, 점선은 K 잉크(기준 잉크)가 색재 잉크로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기록 위치의 변위에 다른 반사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며, 실선은 Y 잉크(검출 보조 잉크) 및 K 잉크(기준 잉크)가 색재 잉크로 사용되는 경우에 반사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반사 농도가 최소인 지점에 대응하는 어긋남 양(X 축)이 제로인 상태는 도 10a 또는 도 28d에 도시된 상태 즉,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가 기준 잉크인 K 잉크의 기록 위치와 일치하는 상태에 대응한다. 한편, 반사 농도가 최대인 어긋남 양을 갖는 지점은 도 10d 또는 도 28h에 도시된 상태 즉,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가 기준 잉크인 K 잉크이 기록 위치로부터 크게 변위된 상태에 대응한다.
K 잉크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에 있어서, 반사 농도의 변경 폭이 1.0이라고 가정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에서, 반사 농도의 변경 폭은 약 1.8이며, 이러한 변경 폭은 더 커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색의 색재 잉크의 조합, 기록 순서 및 측정에 사용되는 광원색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간의 광학 특성의 차이를 증가시키고, 상기 차이의 검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센서 광원색, 검출 보조 잉크 및 기준 잉크의 조합>
실시예의 상기 설명에서, 레드(R) 광원이 광원색으로 사용되고, Y 잉크가 기록 매체에 처음으로 부여되는 검출 보조 색재 잉크로 사용되고, K 잉크가 후속하여 부여되는 기준 색재 잉크로 사용된다. 하지만, 동일하게 유리한 결과를 얻는 다른 조합도 존재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검사를 위해 사용된 광원색에 대해, 본 발명은 처음으로 부여되는 검출 보조 색재 잉크로 반사 농도가 낮은 색조를 갖는 잉크를 선택하고, 후속하여 부여되는 기준 색재 잉크로서 반사 농도가 높은 색조를 갖는 잉크를 선택한다. 대표적인 조합으로서 R, G 및 B가 센서 광원색으로 사용되고 C, M, Y 및 K가 색재 잉크의 이상적인 색인 것으로 가정하면, 레드(R) 광원 하에서 Y 잉크 또는 M 잉크가 검출 보조 잉크로 선택되고, K 잉크 또는 C 잉크는 기준 잉크로 선택된다. 그린(G) 광원 하에서, C 잉크 또는 Y 잉크는 검출 보조 잉크로 선택되고, K 잉크 또는 M 잉크는 조합을 위한 기준 잉크로 선택된다. 또한, 블루(B) 광원 하에서, M 잉크 또는 C 잉크는 검출 보조 잉크로 선택되고, K 잉크 또는 Y 잉크는 조합을 위한 기준 잉크로 선택된다. 또한, 잉크젯 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C, M, Y 및 K 색재 잉크가 이상적인 C, M, Y 및 K가 아닌 많은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록 매체의 발색 및 기록 장치의 구성 역시 도트 중첩 순서에 제한을 가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적의 조합을 사전에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조건 하에서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 상에 패턴을 실제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특성의 검출에 대하여>
실시예의 상기 설명에서, 사전에 결정된 피크 파장을 갖는 색(R, G 또는 B)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방출하고 그 반사광의 강도(반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반사형 광학 센서가 광학 특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다른 검출 유닛이 특정 파장 범위에 걸쳐 광학 특성을 검출하기만 한다면 다른 검출 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연하다. 예컨대, 화이트 광원으로부터 화이트 광을 방출하고, RGB를 위한 색 필터를 사용하여 증폭된 반사광을 분광하고, 촬상 소자인 CCD 센서를 이용하여 분광된 반사광을 판독하여, RGB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RGB 정보는 촬상 장치인 CMOS 센서로 RGB 광원으로부터의 반사광을 판독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된 반사 농도로서 취득된 RGB 정보의 적절한 채널의 휘도 값을 판독함으로써 동일하게 유리한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모드에서 검사가 시각적 관찰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 반사 농도가 화이트 광 하에서 낮은(명도가 높은) 색조를 갖는 잉크가 처음으로 부여되는 검출 보조 색재 잉크로 선택되고, 반사 농도가 화이트 광 하에서 높은(명도가 낮은) 색조를 갖는 잉크가 후속하여 부여되는 기준 색재 잉크로서 선택된다. 이는 클리어 잉크 및 기준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와 기준 색재 잉크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 간의 반사 농도(명도)의 변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6에 도시된 상기 방식으로 기록된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을 관찰하고,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9개의 패치로부터 최저 농도 패치를 선택하고, 조정 값으로 선택된 패치에 대응하는 어긋남 양을 입력한다. 잉크의 특정 조합의 일 예로서, Y 잉크는 검출 보조 색재 잉크로 사용되고, K 잉크는 기준 색재 잉크로 사용된다.
<검사 패턴의 변형예>
또한, 본 실시예에서, 검출 보조 패턴으로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 패턴이 기준 패턴과 동일한 위치에 기록된다. 하지만, 검출 보조 패턴이 기준 패턴의 전체 기록 부분을 포함하기만 한다면, 본 발명의 유리한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31a 내지 도 31h는 본 변형에에 따른 기준 패턴(283) 및 검출 보조 패턴(284)가 기록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28a 내지 도 28h와 유사하다. 또한, 도 32는 도 31a 내지 도 31h에 도시된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을 기록하는 기록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검출 보조 패턴(284)은 전체 기준 패턴(283)을 포함하도록 기록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Y 잉크로 기록되는 부분의 반사 농도가 R 광원 하에서 낮기 때문에, Y 잉크가 K 잉크 기준 패턴(283) 이외의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반사 농도에 대한 전체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의 효과는 작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광원색에 대해 반사 농도가 낮은 잉크가 검출 보조 색재 잉크로 선택되고 반사 농도가 높은 잉크가 기준 색재 잉크로 선택되는 경우에, 도 31d와 도 31h에 도시된 상태의 검출 값들 간의 차이는 도 28a 내지 도 28h를 참조하여 설명된 경우에서와 같이 기준 잉크로서 하나의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의 것보다 크게 된다. 검출 보조 패턴(284)을 사용함으로써,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가 정밀하게 조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예컨대 기록 위치의 조정으로서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만을 수행하고,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 전에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 값을 피드백하기 위한 단계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어 부하 및 요구되는 시간을 감축할 수 있다. 또한, 색재 잉크에 대한 기록 위치 조정 패턴 및 클리어 잉크에 대한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은 일련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한번에 기록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록 매체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기록 위치는 X 방향(반송 방향) 및 Y 방향(노즐 어레이 방향)으로 조정되지만, 본 발명은 당연히 이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기록 위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 풀-멀티 헤드(full multi-head)가 사용되고, 시리얼 주사형 기록 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예컨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리지의 기록 위치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리지의 기록 위치의 조정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패턴은 예컨대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에 사용되는 괘선일 수 있으며, 중첩 비율이 어긋남 양에 따라 변경하기만 한다면 패턴을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행되는 기록 장치의 조정 범위에 따라 패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광원 및 2개 색의 색재 잉크의 최적의 조합 선택>
상술된 제1 실시예에서, 레드는 광원색(R 광원)으로 사용되고, Y 잉크는 색 1 잉크로 사용되고, K 잉크는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색 2로 사용된다. 검사를 위한 최적의 조합은 기록 위치의 조정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의 특성(예컨대, 침투성 및 발색), 장착된 색재 잉크의 색조(예컨대, 어두움 및 옅음), 장착된 광원의 색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에서, 검출성이 최고인 2개 색의 색재 잉크의 조합 및 광원색이 기록 위치 조정 패턴의 기록에 앞서 선택된다(단계(400)). 이 선택 후, 단계(401) 내지 단계(407)의 처리는 상술된 제1 실시예에 다른 단계(301) 내지 단계(307)에서의 처리와 동일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4는 단계(400)에서 광원색 및 체크되는 잉크를 선택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501)에서, 색재 잉크의 2개의 색이 선택되고, 이들 잉크는 클리어 잉크를 이용하지 않고 패치를 기록하도록 중첩 방식으로 기록된다. 이때 도트 배열 패턴은 하나의 도트가 각 색에 대해 1200 dpi의 하나의 화소에 배열되는 소위 솔리드 패턴이다. 본 실시예에서, 4 색(C, M, Y 및 K)의 잉크는 색재 잉크로 장착되고, 색 잉크들이 서로 중첩하는 솔리드 패치는 모두 6개의 추정 가능한 조합(CM, CY, CK, MY, MK 및 YK)로 기록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풀파인형 기록 헤드가 사용되고, 기록 매체는 하나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따라서, 상술된 6개의 조합이 기록 순서를 포함하는 기록 동작에서 구현될 수 있는 2개 색의 잉크의 모든 조합이다. 다음으로, 단계(502)에서 상술된 단계(501) 내의 색재 잉크의 동일한 조합이 동일한 솔리드 패치를 기록하도록 클리어 잉크와 추가로 조합된다.
다음으로, 단계(503)에서, 총 12개의 기록된 솔리드 패치의 광학 특성이 장착된 광원의 색(R, G 및 B)으로 측정된다. 단계(504)에서,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이에서 반사 농도의 차이가 최대인 2개 색의 잉크의 조합 및 광원색의 조합이 선택된다. 단계(505)에서, 반사 농도가 낮은 색재 잉크 및 반사 농도가 높은 색재 잉크가 거론된 순서대로 토출되는지 여부는 2개 색의 잉크의 선택된 조합으로 통상의 기록 동작에서 결정된다. 반사 농도와 관련하여, 색재 잉크가 상술된 순서로 토출되지 않는 경우에, 선택된 조합이 단계(506)에서 제외되고, 단계(504)에서 광원색 및 2개 색의 색재 잉크의 조합이 다시 선택된다. 단계(505)에서, 반사 농도의 색재 잉크가 상술된 순서로 토출되는 경우, 단계(507)에서 광원색 및 상기 2개 색의 색재 잉크의 선택된 조합은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조합으로 설정된다.
다른 모드로서, 선택되는 색재 잉크의 조합의 수를 감소시키는 모드가 존재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록 매체에서, 검출 보조 색재 잉크와 기준 색재 잉크 사이의 솔리드 기록의 반사 농도의 더 큰 차이는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이에 더 큰 양의 변화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을 이용하여, 광원색 및 상기 2개 색의 색재 잉크의 최적의 조합을 더욱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R, G 및 B 광원과 같은 2개 이상의 광원 및 C, M, Y 및 K 잉크와 같은 3개 이상의 색재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에,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의 조정 이전에 단색 솔리드 패치가 색재 잉크로 기록되고, 반사 농도는 각 색 광원 하에서 측정된다. 이후, 동일한 광원의 조건 하에서 반사 농도의 차이가 최대인 상기 2개 색의 색재 잉크 및 색재 잉크의 조합이 클리어 잉크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선택된다.
도 3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색 및 체크 대상인 잉크를 선택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선택 처리가 사용되고, 그로 인해 잉크 및 광원의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솔리드 기록에 대한 패치의 수는 4개(C, M, Y 및 K)이며, 장착된 잉크의 수가 큰 경우, 잉크와 광원의 조합을 선택하기 위해 기록되는 패치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체크 패턴으로서의 클리어 잉크의 토출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패턴을 클리어 잉크와 색재 잉크를 중첩하는 상태로 기록하는 모드에 관한 것으로,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하는 영역과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과의 사이의 농도 또는 색의 변화량을 증가시킨다. 이하의 제2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는 프린트 헤드가 기록 매체를 주사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을 하는 소위 시리얼 타입 기록 헤드(200)인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와 상이하다. 기록 헤드(200)는, 2개의 기록 헤드, 즉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210)와, 색재 잉크, 즉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220)를 일체로 포함한다. 이들 기록 헤드에서, 기록 매체(P)의 반송 방향(부-주사 방향:Y 방향)을 따라 각각의 잉크의 복수의 노즐이 배열된다. 또한, 기록 헤드(200)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 잉크 탱크(3)의 잉크가 공급되는 공통 액실, 및 이 공통 액실로부터 노즐에 잉크를 유도하는 잉크 유로를 포함한다. 각 노즐에는, 예를 들어 잉크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열 저항 소자(히터)가 제공되고, 헤드 드라이버는 토출 히터를 구동함으로써,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킨다. 노즐의 토출 히터는, 헤드 드라이버(2a)를 통해 제어부(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9)로부터의 온/오프 신호(토출/불토출 신호)에 따라서 히터의 구동이 제어된다.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00)는, 각각 튜브 등의 접속 배관(4)을 통해 클리어 잉크, 시안 잉크(C 잉크), 마젠타 잉크(M 잉크), 옐로우 잉크(Y 잉크), 및 블랙 잉크(K 잉크)를 저장하는 5개의 잉크 탱크(3R, 3C, 3M, 3Y, 및 3K)(이하, 통합해서 잉크 탱크(3)라 칭한다)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잉크 탱크(3)는 개별적으로 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기록 헤드(2)는, 반송 벨트(5)를 가로질러 플래튼(6)과 대향하는 기록 영역에서 X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기록 헤드(2)는 기록 매체를 주사할 수 잇다. 헤드 이동부(10)가 주사를 실행하기 위해 기록 헤드(2)를 이동시킨다. 제어부(9)는 헤드 이동부(1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상술한 반사형 광학 센서(30)는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서 기록 헤드(2)의 하류 측에 제공된다. 반사형 광학 센서(30)를 위한 캐리지는 반사형 광항 센서(30)가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반사형 광학 센서(30)의 동작은 모터 드라이버(17)를 통해 제어된다.
반송 벨트(5)는 벨트 구동 모터(11)에 연결된 구동 롤러 주위에 배치되고, 기록 매체(P)는 구동 롤러를 회전 및 구동시킴로써 반송된다. 반송 벨트(5)의 동작은 모터 드라이버(12)를 통해 제어된다. 반송 벨트(5)의 상류에는 대전기(13)가 제공된다. 대전기(13)는 반송 벨트(5)를 대전함으로써, 기록 매체(P)를 반송 벨트(5)와 밀착시킨다. 대전기(13)는 대전기 드라이버(13a)를 통해 온/오프가 전환된다. 급송 롤러(14) 쌍은 반송 벨트(5) 위로 기록 매체(P)를 공급한다. 급송 모터(15)는 급송 롤러(14) 쌍을 구동 및 회전시킨다. 급송 모터(15)의 동작은 모터 드라이버(16)를 통해 제어된다.
부수적으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기록 장치의 구성은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기록 헤드와 기록 매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가지기만 하면 되고, 본 발명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송되는 기록 매체의 폭에 걸쳐 노즐을 배열한, 소위 풀 라인 타입 기록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도 명확하다. 풀 라인 타입 기록 장치의 일례에서는, 배열된 노즐의 어레이는 기록 동작 중에 장치에 고정되고, 노즐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이 행해진다.
도 37은 도 36에 나타내는 기록 헤드(200)의 잉크를 위한 노즐 어레이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a 및 도 38b이 기록 헤드(210)의 상세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10)는 2개의 노즐 어레이를 갖는다.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20)는, C, M, Y, 및 K 잉크 각각에 대해 마찬가지로 2개의 노즐 어레이를 갖는다.
도 38a 및 도 38b는, 특히 도 37에 나타내는 각각의 기록 헤드(210 및 220)의 노즐 어레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헤드(210)의 노즐 어레이는 2개의 노즐 어레이(H201 및 H202)에 의해 형성된다. 노즐 어레이(H201)에서, 256개의 노즐(#0, #2, ..., #510)이 배열되고, 노즐 어레이(H202)에서, 256개의 노즐(#1, #3, ..., #511)이 배열된다. 노즐 어레이(H201 및 H202)에서, 노즐은 600dpi의 밀도로 배열되고, 노즐 어레이는 피치의 절반만큼 서로 어긋난다. 512개의 노즐의 어레이가 1200dpi의 배열 밀도로 배열된다.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20)에서의, C 잉크를 위한 노즐 어레이(H203 및 H204), M 잉크를 위한 노즐 어레이(H205 및 H206), Y 잉크를 위한 노즐 어레이(H207 및 H208) 및 K 잉크를 위한 노즐 어레이(H209 및 H21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512개의 노즐의 어레이가 1200dpi의 배열 밀도로 배열된다.
도 39는 본 실시형태의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9는 도 36에 도시된 제어부(9)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9에 도시된 구성은, 제2 실시형태가 토출 상태 검사부(370)를 포함하고 제2 실시형태가 도 44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토출 상태의 검사를 행한다는 점에서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상이하다.
모터 드라이버(12)는, 반송 벨트(5)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구동 모터(11)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버이며, 기록 매체(P)를 X 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모터 드라이버(17)는 반사형 광학 센서(30)를 위한 캐리지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버이다. 대전기 드라이버(13a)는, 반송 벨트(5)를 대전하고, 기록 매체(P)를 반송 벨트(5)에 밀착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클리어 잉크는 제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클리어 잉크와 동일하다.
<센서 광원과 반사 농도>
클리어 잉크의 토출 상태 검사 패턴의 체크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반사형 광학 센서(30)는, 본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클리어 잉크 및 색재 잉크의 색조, 기록 헤드의 구성 등에 따라, 발광부(31)로서, 레드(R 광원), 그린(G 광원), 및 블루(B 광원)의 3종의 발광 다이오드(LED) 중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기록 매체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 18b 또는 도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가시 파장 영역에 걸쳐 높은 반사율을 갖고, 따라서 낮은 흡수율을 갖는다. 그 결과, 도 18d에 나타내는, R 광원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광학 특성과 관련하여, 광의 강도는 기록 매체에 의한 광의 흡수에 의해 약간 감소하지만, 광학 특성은 도 18a에 나타내는 R 광원 자체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도 18d의 쉐이딩된 부분은, 가시 파장 영역의 광의 강도를 측정하는 소자의 측정 출력에 기여한다. 실제로는, 도 18d의 쉐이딩된 부분은 측정 소자의 감도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간단한 설명을 위해서, 쉐이딩된 부분의 면적은 광학 센서의 측정 결과(반사 농도)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쉐이딩된 부분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반사 농도는 낮고, 쉐이딩된 부분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반사 농도는 높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 클리어 잉크의 토출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 검사 패턴을 기록하기 위해 2개의 상이한 색조의 잉크가 사용된다.
2 종류의 잉크와 클리어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 24a내지 도 24d 및 도 25a내지 도 25f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2종류의 컬러 잉크의 색재가 기록 매체의 표층에 더 가까운 위치에 정착된다. 그 결과, 도트가 기록되는 부위(기록 부위)의 농도가 향상되며, 상층부에 정착된 컬러(2)가 기록된 부위의 색조로서 지배적이 된다.
도 40a내지 도 40d는, 도 24a내지 도 24d 및 도 25a내지 도 25f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의 사이의 광학 특성의 차이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며, 컬러 1 잉크로서 옐로우(Y) 잉크를 사용하고, 컬러 2 잉크로서 블랙(K)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0a는, 발광부(31)의 R, G, 및 B 광원의 발광 다이오드의 파장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0b는, Y 잉크 및 K 잉크가 기재된 순서로 중첩 방식으로 기록 매체에 부여되는 경우(파선)와, 클리어 잉크, Y 잉크, 및 K 잉크가 기재된 순서로 중첩 방식으로 기록 매체에 부여되는 경우(실선)에, 도트가 형성되는 영역의 파장 특성(반사율)을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도면에서의 파선 및 실선은 도 40c 및 도 40d에서도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도 4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실선)에는, 전체 파장 범위에 걸쳐 반사율이 낮다(반사 농도가 높다). 또한,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파선)를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실선)와 비교하면,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파선)에는 반사율을 나타내는 곡선의 형상이 미리 결정된 파장 범위에 걸쳐 변화하는 것이 발견된다. 이는, 도 24a내지 도 24d 및 도 25a내지 도 25f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컬러 1 잉크와 컬러 2 잉크와의 사이의 정착 위치 관계가 변화되고, 이에 의해 색조가 변화되기 때문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클리어 잉크가 있는 경우에는, 후에 착탄된 K 잉크가 상층에 정착되어 메인 색조를 형성하고, 따라서 전체 파장 범위에 걸쳐서 반사율이 낮고, 곡선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편평해진다. 한편,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먼저 착탄된 Y 잉크가 상층에 정착되고 메인 색조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약 500nm 이하의 파장의 범위에 걸쳐 반사율이 비교적 낮은 반면, R 광원의 피크 파장(620nm) 부근의 범위에 걸쳐 반사율이 비교적 높다. 도 40c는, 기록 매체의 도트 형성부의 파장 특성(흡수율)을 나타낸다. 이는 상술한 반사율을 100%로부터 감산하여 얻어진다.
도 40d는, R 광원 하에서의, 기록 매체의 상기 도트 형성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파장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실선)에는, 블랙이 메인 색조이고, 따라서 R 광원 하에서, 그 피크 파장 부근의 범위에서는,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파선)와 비교하여, 반사광의 강도는 약하고, 반사 농도는 높다. 한편,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파선)에는, 옐로우가 메인 색조이고, 따라서 반사광의 강도는 보다 높다(반사 농도가 보다 낮다). 이러한 점에서,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도트 형성부의 반사 농도가 비교적 낮아지는 R 광원을 선택함으로써,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의 사이의 반사 농도의 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예에서는, Y 잉크와 K 잉크를 이 순서로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색재 잉크의 색조, 기록 순서, 광원색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마찬가지의 유리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소정 광원색에 대하여, 먼저 착탄하는 컬러 1 잉크로서는 반사 농도가 낮은 색조를 선택하고, 후에 착탄하는 컬러 2 잉크로서는 반사 농도가 높은 색조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1 종류의 색재 잉크(단색)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반사 농도의 변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의 사이의 차분 검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Y 잉크와 K 잉크를 사용하는 예는, 도 4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록 매체의 도트 형성부의 흡수율의 파장 특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피크 파장이 약 550nm인 그린(G) 광원을 사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피크 파장이 약 470nm인 블루(B)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사광 빔 사이의 특성차가 작은 영역에서 반사 농도를 측정하고,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의 사이에서 농도 또는 색의 차이를 증대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클리어 잉크의 토출 상태 체크>
도 4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토출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토출 검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토출 검사 패턴(P)은 클리어 잉크의 토출 판정 패턴(101), 색재 잉크(1)의 검출 보조 패턴(201), 및 색재 잉크(2)의 검출 보조 패턴(202)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색재 잉크 1로서는 Y 잉크를 사용하고, 색재 잉크 2로서는 K 잉크를 사용한다.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크기를 갖는 기록 매체의 장방형 영역에 토출 검사 패턴(P)이 형성되고, 전체 장방형 영역에 색재 잉크(1)의 검출 보조 패턴(201)과 색재 잉크(2)의 검출 보조 패턴(202)이 중첩 방식으로 기록된다. 클리어 잉크의 토출 판정 패턴(101)은, 전체 장방형 영역에 기록되지 않고, 도면의 장방형 블랙 블록(패치)(102)이 16열 × 32행으로 배열되도록 기록된다.
블록 형상 패치(102)는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는 개개의 노즐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21)를 X 방향으로 주사하고, Y 방향으로 배열되는 노즐 어레이 중 16개의 노즐 #0, #32, ..., #448, 및 #460로부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여, 도 41에 나타내는 가장 좌측에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16개의 패치(102)를 기록한다. 이 기록에서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록 헤드의 주사 중에, X 방향으로 80개의 도트를 기록한다. 이어서, 기록 매체는 Y 방향으로 1 도트씩 반송된다. 그리고, 기록 헤드가 주사되는 동안, 기록된 80개의 도트의 어레이에 인접하여 80개의 도트의 어레이가 마찬가지로 기록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주사 및 반송을 반복함으로써, 행으로 80개의 도트 및 열로 48개의 도트를 갖는 패치(102)를 기록할 수 있다. X 방향에는 1200dpi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80개의 도트가 기록되고, Y 방향으로는 1200dpi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48개의 도트가 기록된다. 또한, 1개의 패치(102)는 약 1.7mm의 X 방향 길이 및 1.0mm의 Y 방향 길이를 갖는 장방형이다.
도 41을 다시 참조하면, Y 방향의 16개의 패치(102)를 기록한 후, 기록 매체를 Y 방향과 역방향으로 반송하여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여 16개의 노즐(#1, #33, ..., #449, 및 #461)을 사용하여 패치(102)를 기록한다. 상기 기록을 반복함으로써,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6개의 열 × 32개의 행으로 배열된 패치(102)를 기록할 수 있다.
도 4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토출 판정 패턴(101)에서의 패치(102)와 노즐과의 사이의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에서, 블록(103)은,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는데 실패함으로써 기록되는 패치(102)의 반사 농도가 클리어 잉크를 만족스럽게 토출함으로써 기록되는 다른 패치(102)의 것보다 낮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색의 색재 잉크 사이의 관계와 관련하여, 패치의 농도는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변한다. 도 43은, 클리어 잉크로 블록(103)을 기록하는 노즐이 노즐 #37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부가적으로, 반사 농도가 다른 패치의 것보다 낮은 블록(103)과 같은 영역은 클리어 잉크를 노즐로부터 토출하는데 완전히 실패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클리어 잉크의 토출량이 규정된 양보다 적은 경우 또는 토출 방향이 정상 방향으로부터 어긋나서 클리어 잉크가 특정 위치에 착탄되지 않는 경우에도, 반사 농도는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않는 경우와의 사이의 패치의 농도의 차가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토출 실패를 검출할 수 있다.
Y 잉크의 검출 보조 패턴(201)과 K 잉크의 검출 보조 패턴(202)은 이상 설명한 클리어 잉크의 토출 판정 패턴(101)에서의 중첩 방식으로 기록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들 검출 보조 패턴(201 및 202)은 도 41에 나타내는 전체 장방형 영역에 기록되는 패턴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검출 보조 패턴(201 및 202)은 도트가 X 및 Y 방향으로 1200dpi로 배열되도록 기록된다. 이에 의해, 이들 패턴은 클리어 잉크의 전체 토출 판정 패턴(101)을 덮는다.
도 4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토출 상태를 체크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701에서, 도 41등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에 의해 토출 판정 패턴(101)을 기록한다. 이어서, 도 41 등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702에서 Y 잉크에 의해 검출 보조 패턴(201)을 기록하고, 다음에 단계 703에서 K 잉크에 의해 검출 보조 패턴(202)을 중첩 방식으로 기록한다. 사용될 레드(R) 광원 하에서는, 먼저 기록되는 Y 잉크의 반사 농도는 후에 기록되는 K 잉크의 것보다 낮다.
이어서, 단계 704에서, 반사형 광학 센서(30)는 클리어 잉크의 토출 판정 패턴(101)의 광학 특성을 측정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반사형 광학 센서(30)는 클리어 잉크의 토출 판정 패턴(101)에서의 각각의 패치(102)의 반사 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계 705에서는, 측정한 패치(102)의 반사 농도를 클리어 잉크 패턴이 없고 검출 보조 패턴(201 및 202)만으로 기록된 영역의 반사 농도와 비교함으로써, 클리어 잉크가 토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706에서는, 단계 705의 판정에 기초하여, 불토출 노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불토출 노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처리를 종료한다. 불토출 노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707에서 회복 동작을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리어 잉크에 대하여, R 광원 하에서 반사 농도가 낮은 Y 잉크 및 R 광원 하에서 반사 농도가 높은 K 잉크를 이 순서로 중첩 방식으로 기록함으로써 검사 패턴을 기록하고, R 광원 하에서 기록된 검사 패턴을 측정한다. 이에 의해,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의 사이의 반사 농도의 차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차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광원으로서 레드(R) 광원을 사용하고, 먼저 토출될 색재 잉크 1로서 Y 잉크를 사용하여, 후에 토출될 색재 잉크 2로서 K 잉크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센서 광원색과 반사 농도와의 사이의 관계가 만족되는 한은, 본 발명의 유리한 결과는 임의의 다른 조합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 광원의 경우에는, 색재 잉크 1로서 Y 잉크 또는 M 잉크가 바람직하고, 색재 잉크 2로서 K 잉크 또는 C 잉크가 바람직하다. G 광원의 경우에는, 색재 잉크 1로서 C 잉크 또는 Y 잉크가 바람직하고, 색재 잉크 2로서 K 잉크 또는 M 잉크가 바람직하다. B 광원의 경우에는, 색재 잉크 1로서는 M 잉크 또는 C 잉크가 바람직하고, 색재 잉크 2로서는 K 잉크 또는 Y 잉크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잉크젯 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C, M, Y 및 K 등의 색재 잉크의 색은 이상적인 색이 아니고, 사용될 기록 매체의 발색성 및 기록 장치의 구성에 따라 도트 중첩 순서에 대한 제한이 상이하다. 따라서, 표준적인 기록 매체에 대하여 최적인 조합을 미리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특성의 검출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특성을 검출하기 위해서, 미리 결정된 피크 파장을 갖는 색(R, G 또는 B)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의 강도(반사 농도)를 측정하는 반사형 광학 센서를 사용한다. 그러나, 다른 구성이 특정 파장 범위에 걸쳐 광학 특성을 검출하는 한은 다른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이트 광원으로부터의 화이트 광을 조사하고, 그 증폭된 반사광을 RGB를 위한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분광하며, 분광된 반사광을 촬상 소자인 CCD 센서를 사용하여 읽어들임으로써 RGB 정보를 취득하는 CCD 스캐너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RGB 광원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촬상 소자인 CMOS센서에 의해 읽어들임으로써 RGB 정보를 취득하는 CIS 스캐너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경우, 취득된 RGB 정보의 적절한 채널에서의 휘도값을, 상술한 반사 농도로서 읽어드림으로써 동일한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모드에서, 육안 관찰을 통해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먼저 토출될 검출 보조 색재 잉크로서 화이트 광 하에서 반사 농도가 낮은(명도가 높다) 색조를 갖는 잉크를 선택하고, 후에 토출될 검출 보조 색재 잉크로서 화이트 광 하에 반사 농도가 높은(명도가 낮다) 색조를 갖는 잉크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 및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의 사이의 반사 농도(명도)의 변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조합으로서는, 먼저 토출될 검출 보조 잉크로서는 Y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에 토출될 검출 보조 잉크로서는 K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는, 기록 헤드의 각 노즐에 대한 토출 히터에 대해서, 적절한 구동 에너지(전기 에너지)를 설정하기 위한 구동 조건 설정 처리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는, 통상의 기록 모드 이외의 잉크젯 기록 장치의 기록 모드로서, 토출 히터에 공급될 전압 펄스의 펄스폭을 설정하기 위한 구동 조건 설정 처리(이하, Pth 검사라고도 칭한다)에서 사용될 검사 패턴을 기록한다. 기록 모드는 잉크젯 기록 장치 자신에 제공된 인터페이스 또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에서 설정될 수 있다.
Pth 검사에서는, 기록 헤드에 공급될 구동 에너지(본 실시형태에서는, 펄스폭)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면서, 구동 에너지를 측정하는 패치를 기록 매체 위에 기록하고, 그 패치의 농도에 기초하여 잉크를 토출하는데 실패하는 구동 에너지를 임계치로서 설정한다. 이 설정된 임계치에 미리 결정된 계수(k)를 곱하여 얻은 값을 이후의 기록 동작에서 사용되는 구동 에너지로서 설정한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는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구동 에너지의 Pth 검사에서 사용되는 검사 패턴의 기록에 관한 것이다.
도 4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Pth 검사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Pth 검사가 개시되는 경우, 단계 801에서, 클리어 잉크의 검사 패턴을 기록할 때의, 토출 히터의 구동 펄스의 전압(이하, 구동 전압이라고도 칭한다)을 설정한다. 이 구동 전압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통상의 기록 동작에서 사용되는 구동 펄스의 구동 전압(VH)을 상기 값 k(예를 들어, 2>k>1)으로 나누어서 구한 임계치 전압(Vth)이다. 값 k는 1.15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단계 802에서, 클리어 잉크를 위한 각 노즐에 대한 토출 히터에 공급될 구동 펄스의 펄스폭을 최대 펄스폭으로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기록 헤드의 토출 히터의 표면성 등의 변동이 제조 시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변동으로 인해,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는데 필요한 최소 구동 펄스폭(이하, 이 구동 펄스폭을 임계치 구동 펄스폭(Pth)이라고도 칭한다)에서도 변동이 발생한다. 이 단계에서는,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에 이르는 이 임계치 구동 펄스폭의 변동에서, 최대값을 토출 히터에 인가될 구동 펄스의 펄스폭 초기값으로서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의 메모리(ROM)는,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의 임계치 구동 펄스폭(Pth)의 변동의 범위가 소정 폭의 단위로 분할되어 복수의 펄스폭이 얻어지고, 펄스폭에 이른바 헤드 랭크가 할당되는 테이블을 저장한다. 도 46은 이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6에 나타낸 예에서는, 복수의 임계치 구동 펄스폭(0.59μsec 내지 1.21μsec)이 0.01μsec의 단위로 설정되고, 헤드 랭크(1 내지 63)가 임계치 구동 펄스폭에 할당된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기록 헤드의 토출 히터에 공급될 구동 펄스의 펄스폭을 헤드 랭크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802에서는, 헤드 랭크 중 최대 헤드 랭크(63)에 대응하는 임계치 구동 펄스폭(Pth)(1.21μsec)이 초기값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기록 헤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제조된 기록 헤드에 적합한 구동 펄스폭이 측정된다. 상기 측정에 의해 구한 임계치 구동 펄스폭에 기초하여,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인 테이블을 참조하여 기록 헤드의 헤드 랭크를 설정한다. 헤드 랭크는 기록 헤드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기록 헤드가 출하된다. 기록 헤드를 구비한 프린터는, 기록 헤드의 메모리로부터 헤드 랭크를 판독할 수 있고, 헤드 랭크에 기초하여 임계치 구동 펄스폭(Pth)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전압의 변동과 같은 프린터가 실제로 사용되는 환경으로 인해 적절한 구동 에너지에 오차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도, 본 실시형태의 Pth 검사가 유효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계 803 이후의 처리에서는, 기록 장치 또는 그 사용 환경에 따라 임계치 구동 펄스폭(Pth)을 새롭게 설정한다.
다시 도 45를 참조하면, 단계 803에서는, 단계 801에서 설정한 구동 임계치 전압 및 단계 802에서 설정된 구동 펄스폭의 초기값을 갖는 구동 펄스를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의 노즐에 대응하는 히터에 공급하고, 기록 매체 위에 검사 패턴을 기록한다.
도 47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에 대한 Pth 검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에서, Pth 검사 패턴(300)은, 클리어 잉크의 Pth 판정 패치(301), 색재 잉크 1의 검출 보조 패턴(401), 및 색재 잉크 2의 검출 보조 패턴(402)에 의해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색재 잉크 1로서 Y 잉크를 사용하고, 색재 잉크 2로서 K 잉크를 사용한다.
클리어 잉크의 Pth 판정 패치(301)는 클리어 잉크를 위한 512개의 노즐 중 중앙부의 192개의 노즐을 사용하여 기록 헤드를 1회 주사함으로써 기록된다. 기록될 영역은 1 행에 대한 영역의 일부이며 도 47에서 행 번호가 할당되는 영역의 일부이다. 1 행에 대한 영역은 약 8.2mm의 Y 방향 길이 및 약 50 mm의 X 방향 길이를 갖는다.
도 48은 클리어 잉크에 대한 1개의 Pth 판정 패치(301)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에서 600dpi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384개의 도트를 기록하고, Y 방향에서 600dpi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96개의 도트를 기록함으로써, Pth 판정 패치(301)를 형성한다. 이들 384×96개의 도트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기록된다. Pth 판정 패치(301)는 약 16.3mm의 X 방향 길이 및 약 4.1mm의 Y 방향 길이를 갖는 장방형이다.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식으로 형성된 최대 17개의 Pth 판정 패치(301)가 Y 방향의 임계치 구동 펄스폭(Pth)에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기록된다. 도 47의 Pth 판정 패치(301)의 행 번호(1 내지 17)가 높아짐에 따라, 기록을 위해 토출 히터에 공급될 구동 펄스의 펄스폭은 작아진다. 최대 구동 펄스폭이 초기값으로서 설정되는 경우에, 제1 행에 속하는 패치가 기록된다.
도 45를 다시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구동 펄스폭으로 클리어 잉크에 대한 Pth 판정 패치(301)를 기록한 후, 단계 804에서, Pth 판정 패치(301)를 기록한 행(Pth 판정 패치(301)를 기록한 행이 제k 행인 경우, 그 제k 행)에, 클리어 잉크로 기록한 Pth 판정 패치에 중첩하도록 Y 잉크의 검출 보조 패턴(401)을 기록하고, 단계 805에서 Y 잉크의 패턴에 중첩하도록 K 잉크의 검출 보조 패턴(402)을 기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Pth 판정 패치(301) 및 검출 보조 패턴(401 및 402)은 기록 헤드(2)를 1회 주사함으로써 기록된다.
검출 보조 패턴(401 및 402)은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형상을 가지며 약 50mm의 X 방향 길이 및 8.1mm의 Y 방향 길이를 갖는다. 또한, 검출 보조 패턴(401 및 402)에서, X 및 Y 방향의 1200dpi에 대응하는 간격의 화소에 대해 100%의 밀도로 도트를 배열한다. 이에 의해, Y 잉크와 K 잉크의 기록 위치가 소정의 요인에 의해 서로 변위되는 경우에도, 클리어 잉크의 전체 Pth 판정 패치(301)를 덮도록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통상의 기록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구동 펄스가 Y 잉크 및 K 잉크의 검출 보조 패턴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상술한 예에서는, 검출 보조 패턴(401 및 402)은 Pth 판정 패치의 경우와 동일한 주사를 1회 행함으로써 기록되지만 다른 주사를 행함으로써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사를 행함으로써 Pth 검사 패턴이 기록될 수 있으며, 제2 주사를 행함으로써 검출 보조 패턴(401 및 402)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제2 주사에서의 기록 헤드의 주사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색재 잉크의 색 배열 순서에 관계없이 원하는 중첩 순서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Pth 판정 패치(301) 및 검출 보조 패턴(401 및 402)을 기록하는 시간 간격은, 도 25a내지 도 25f를 참고하여 상술한 현상이 발생하는 시간 간격일 필요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k 행에 패치(301) 및 검출 보조 패턴(401 및 402)을 기록한 후, 이어서 단계 806에서, 반사형 광학 센서(30)가 검사 패턴(300)을 X 방향으로 주사하고 R 광원 하에서의 패치(301)의 광학 특성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반사형 광학 센서(30)는, 클리어 잉크에 대하여, R 광원 하에서 반사 농도가 낮은 Y 잉크, 및 R 광원 하에서 반사 농도가 높은 K 잉크를 이러한 순서로 중첩 방식으로 기록하여 형성된 검사 패턴을 R 광원 하에서 측정한다. 그 결과, 도 24a 내지 도 24d 및 도 25a 내지 도 25f 등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의 사이에서 반사 농도의 차분을 크게 할 수 있고, 차분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다음 단계 807에서는, Pth 판정 패치(301)의 반사 농도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측정된 반사 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경우, 즉 클리어 잉크가 현재 설정된 구동 펄스폭(S802 또는 S808)으로 양호하게 토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808에서 헤드 랭크를 1레벨만큼 낮춤으로서 구동 펄스폭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도 47에 나타낸 제1 행에 기록된 Pth 판정 패치(301)의 반사 농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펄스폭은 도 45에 나타낸 헤드 랭크(62)에 대응하는 1.2μsec로 설정되고, 처리는 단계 803로 이행된다. 그리고, 단계 804에서는, 미리 기록된 제k 행과 상이한 제k+1 행에 클리어 잉크의 Pth 판정 패치(301)를 기록하고, 단계 804 및 805 및 이후의 단계에서,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807에서, 측정된 반사 농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낮다고 판정되는 경우, 즉 클리어 잉크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구동 펄스폭(S802 또는 S808)으로 토출되지 않음으로 해서, 클리어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와 클리어 잉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와의 사이에 Pth 판정 패치(301)의 농도 또는 색에 차이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단계 809에서, 대응하는 헤드 랭크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펄스폭에 대응하는 헤드 랭크보다 1 레벨 더 높은 구동 펄스폭을 임계치 구동 펄스폭(Pth)으로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47에서, 제14 행에 기록된 Pth 판정 패치(301)를 형성하는 구동 펄스폭, 즉 헤드 랭크(50)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폭으로 기록된 패치(301)의 농도가 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도 47에서 제13 행에 패치(301)를 기록하는 펄스폭, 즉 헤드 랭크(51)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폭(1.09μsec)을 클리어 잉크의 임계치 구동 펄스폭(Pth)으로서 설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된 임계치 펄스폭(Pth)에 임계치 전압(Vth)을 곱하여 구한 구동 에너지가, 기록 헤드의 색재 잉크를 토출할 수 없는 구동 에너지의 경계 값, 즉 임계치 구동 에너지이다. 이 측정 동작 후, 구동 전압은 임계치 전압(Vth)으로부터 통상의 기록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Vop)으로 변화한다. 이 구동 전압(Vop)은 임계치 구동 전압(Vth)의 k 배이기 때문에, 통상의 구동 전압(Vop)에 측정된 임계치 펄스폭(Pth)을 곱하여 구한 구동 에너지는 임계치 구동 에너지에 값 k를 곱하여 구한 최적 구동 에너지이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체크 패턴으로서의,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을 보정(HS)하기 위한 패턴에 관한 것이며,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서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의 차에 대응하는 농도의 차를 증가시킨다. 이하의 제3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할당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기록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주로 도 1에 도시된 제어부(9)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3 실시형태가 HS 처리부(371)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상이하다. HS 처리부(371)는 도 51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을 보정(클리어 HS)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부(36)는, 화상 데이터의 미리 결정된 색 변환을 행하고, 클리어 잉크 및 C, M, Y 및 K 색재 잉크에 대한 색 신호 데이터를 얻는다. 각각의 잉크에 대한 HS 테이블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각각에 대해 부여량 보정(HS 보정)이 행해진다. 클리어 잉크의 색 신호는 도 51 등을 참조하여 수술하는 패턴을 기록함으로써 얻어지는 HS 테이블에 기초하여 보정된다. 화상 처리부(36)는 HS 보정 후에 색 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양자화한다.
<색재 잉크와 클리어 잉크>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클리어 잉크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클리어 잉크의 부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서, 클리어 잉크를 색재 잉크에 앞서 화상이 기록될 기록 매체의 영역에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P)의 반송 방향의 상류에 위치하는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1)가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고, 하류에 위치하는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2)가 각각의 색재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클리어 잉크 및 색재 잉크를 부여한다.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과 관련하여, 본 실시형태는, X 및 Y 방향(도 1)으로 600dpi에 대응하는 크기의 화소에 약 10ng의 클리어 잉크가 부여되도록 설계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는, 화상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는 클리어 잉크의 기록 듀티가 100%인 경우에, 600dpi의 화소에 약 10ng의 클리어 잉크가 부여되도록 설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 및 Y 방향으로 1200dpi의 밀도를 갖는 화소를 기록하고, 기록 듀티가 100%인 경우, 1200dpi의 4개(2×2)의 화소 중 2개의 화소의 각각에 클리어 잉크의 도트(클리어 잉크 액적)가 기록(부여)되는 경우, 이들 액적의 합계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약 10ng이다. 부여량 보정부(371)에서는, 클리어 잉크의 화상 데이터(색신호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는 계조값이 128인 경우, 이 값은 100%의 기록 듀티에 대응한다. 그러나, 상기 설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기록 헤드의 토출량에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과도한 클리어 잉크의 양은, 예를 들어 과도한 수분량에 의해 유발되는 시트 변형, 잉크 번짐, 및 클리어 잉크의 과도한 소비에 의해 유발되는 러닝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한편, 반대로 토출량이 감소하고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색재 잉크는 충분히 응집되지 않고, 밀도가 저하되며, 화상 품위가 저하된다. 또한, 동일한 기록 헤드의 노즐들에서 혼합된 방식으로 이들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문제들 외에 농도의 변동이 발생하고, 기록된 화상의 품위가 더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을 보정(클리어 잉크 HS 보정)하는 처리를 실시하여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을 관리한다.
부가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색재 잉크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에 소정량의 클리어 잉크가 균일하게 부여되는 것을 상정한다. 그러나, 클리어 잉크를 부여하는 방법에서, 클리어 잉크는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뿐만 아니라 기록 매체의 전체 표면에도 부여될 수 있다. 또한, 화상 기록부로부터의 색재 잉크의 부여량에 따라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이 변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클리어 잉크가 부여되는 영역에 관한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클리어 잉크의 과도한 소비를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서, 색재 잉크가 부여되기 전에 클리어 잉크가 부여된다. 그러나, 부여 순서는 상기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클리어 잉크는 색재 잉크가 부여된 후에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복수 종류의 색재 잉크가 부여되는 동안 클리어 잉크가 부여될 수 있다.
<부여량 보정(HS)>
부여량 보정부(371)에 의한 처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2)에서의 1개의 색 잉크의 노즐 어레이를 일례로서 하여 설명한다. 도 50은, 기록 헤드의 노즐 어레이의 노즐간의 토출 특성의 차에 기인한 농도 불균일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부가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기록 헤드는, 헤드 칩이 일부 노즐과 중첩하도록, 노즐이 제공된 복수의 헤드 칩을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기록 헤드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 노즐의 중첩부의 절반은 마스크 처리에 의해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기록 헤드의 1개의 색을 위한 노즐 어레이의 노즐은 동일한 신호값(계조값)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농도 d0을 갖는 균일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부여량 보정 처리부(371)에 의한 처리를 행하지 않고 화상 데이터를 양자화하여 토출 데이터를 구하고, 1개의 색의 노즐 어레이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여 기록을 행하며, 얻어진 화상의 농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도 50에 나타낸 농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부여량 보정 처리부(371)가 HS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도, 기록 헤드의 경시 변화 등으로 인해 도 50에 도시된 농도 분포가 얻어질 수 있다. HS 보정은 예를 들어 모든 노즐이 목표인 일정한 농도(d0)를 갖도록 이러한 농도 분포를 보정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HS 처리부(371)는, 도 50에 나타내는 목표 농도 d0보다 높은 농도(예를 들어, d1 또는 d3)를 나타내는 칩의 노즐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신호값(계조값)을 감소시키는 보정을 행한다. 한편, HS 처리부(371)는 목표 농도(d0)보다 낮은 농도(예를 들어, d2)를 나타내는 칩의 노즐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신호값(계조값)을 증가시키는 보정을 행한다. 즉, 칩의 토출 특성과 목표 토출 특성과의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칩에 부여되는 신호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이러한 각 칩에 대한 HS 처리를 위한 데이터는 테이블 데이터로서 ROM(34)에 저장된다.
부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칩 사이의 농도 분포(농도 불균일)를 보정하기 위한 HS 보정에 관한 것이다. 이는, 미시적인 관점으로부터, 농도 분포가 노즐에 기초하여 발생하고, 칩의 제조 방법으로 인해, 상이한 칩 사이의 농도 분포는 동일한 칩에서의 농도 분포에 비해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후술하는 1개의 노즐에 대한 농도 분포 또는 복수의 노즐군에 대한 농도 분포에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센서 광원색과 반사 농도>
이어서, 센서 광원색과 반사 농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반사형 광학 센서(30)는, 기록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클리어 잉크 및 색재 잉크의 색조, 기록 헤드의 구성 등에 따라, 발광부(31)로서, 레드(R 광원), 그린(G 광원), 및 블루(B 광원)의 3종의 발광 다이오드(LED) 중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한 제1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 실시형태에도 적용된다.
<클리어 잉크와 색재 잉크의 기록부의 반사 농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와 색재 잉크의 기록부의 반사 농도 및 광학 특성은 도 19a 내지 도 24d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 보정(클리어 잉크 HS)>
도 5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을 보정(HS)하기 위한 테이블을 작성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HS용 테이블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여량을 보정하는 보정 처리부(371)(도 49)를 위해 사용된다.
우선,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 보정 테이블을 취득하기 위한 패턴(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을 기록한다(S901). 이어서, 기록된 HS 패턴의 광학 특성을 측정한다(S902). 그리고, 측정된 광학 특성으로부터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에 관한 보정 계수를 구하고(S902),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 보정 테이블을 작성한다(S904). 각 단계의 상세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S901: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 기록>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은 클리어 잉크와 미리 결정된 2종류의 색재 잉크를 사용하여 기록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색재 잉크로서 옐로우(Y) 잉크를 사용하고, 제2 색재 잉크로서 블랙(K) 잉크를 사용한다. 도 5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은, 클리어 잉크에 의해 상이한 부여량으로 형성된 복수의 검사 패치(61)에 대하여, 소정 부여량의 제1 색재 잉크(Y)와 제2 색재 잉크(K)를 이 순서로 중첩 방식으로 기록(검출 보조 패턴(62))함으로써 기록된다. 도 53은 이 HS 패턴을 기록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기록 헤드(21)로부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고, 부여량이 상이한 복수의 패치(61(a) 내지 61(i))를 기록한다(S1001). 현재 설정되어 있는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을 100%로 간주할 경우에, 이들 검사 패치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부여량이 중간이 되는, 0%, 25%, 50%, 75%, (100%), 125%, 150%, 175%, 및 200%의 총 9종류의 부여량으로 형성된다. 도 52에서, 9개의 열(61(a) 내지 61(j))이 이들 부여량을 갖는 패치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들 검사 패치는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1)의 각 칩에 대해 기록된다. 도 52에서, 행 a 내지 j가 이들 검사 패치로서 도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기록 헤드(21)에 배열되는 칩 H200a 내지 H200j의 각각의 중앙부의 512개의 노즐을 사용하여 패치 행 a 내지 j의 패치로서 512 화소×512 화소(약 108mm×약 108mm)를 갖는 패치가 기록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 각 칩의 토출 특성이 검출되고, 각 칩의 부여량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보정된다. 이러한 점에서, 중앙부의 512개의 노즐의 토출 특성은 그 칩의 토출 특성을 대표하는 것로서 다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록 헤드(22)에 의한 색재 잉크의 패치를 기록하기 위해 클리어 잉크의 경우에서와 같이 각 칩의 중앙부의 512개의 노즐이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패치 이외의 영역을 기록하기 위해 중앙부의 512개의 노즐 이외의 노즐이 사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클리어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1)와 색재 잉크를 위한 기록 헤드(22)가 Y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중앙부의 노즐 이외의 노즐을 사용하여 색재 잉크로 패치를 기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0%으로부터 200%까지의 9개의 부여량은, 구체적으로는, 8비트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에 의해 표현되며, 예를 들어 계조값이 255인 경우에는, 부여량은 패치를 구성하는 512 화소×512 화소의 각각의 화소에 1개의 클리어 잉크의 도트가 형성되도록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설정되어 있는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계조값)이 128인 경우, 이 부여량이 중간이고, 계조값은 0, 32, 64, 96, (128), 160, 192, 224, 및 255이다.
다시 도 53을 참조하면, 상기 방식으로 클리어 잉크에 의해 검사 패치가 기록된 후, 이어서 미리 결정된 부여량(계조값)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방식으로 기록된 각각의 검사 패치 및 패치 이외의 영역에 대해 중첩 방식으로 제1 색재 잉크(Y)에 의해 검출 보조 패턴(62)이 기록된다(S1002). 그리고, 제1 색재 잉크의 경우에서와 같이, 미리 결정된 부여량(계조값)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검사 패치 및 패치 이외의 영역에 대해 중첩 방식으로 제2 색재 잉크(K)에 의해 검출 보조 패턴(62)이 기록된다(S1003).
도 54는 상술한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 및 그 기록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P)에 대하여, 우선 클리어 잉크에 의해 검사 패치(61(a) 내지 61(i))를 기록한다. 그리고, 검사 패치 및 다른 영역에 대해 Y 잉크의 검출 보조 패턴(62(a)) 및 K 잉크의 기준 패턴(62(b))을 이 순서로 기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검출 보조 패턴(62(a))은,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부여량)에 기초하여, 600dpi×600dpi에 대응하는 영역에 약 20ng의 Y 잉크를 부여하여 얻은 균일 농도 솔리드 패턴이며, 검출 보조 패턴(62(b))은 또한 600dpi×600dpi에 대응하는 영역에 약 20ng의 K 잉크를 부여하여 얻은 균일 농도 솔리드 패턴이다. 이 부여량은 본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에 의한 기록시에 사용되는 색재 잉크의 최대 부여량(듀티)에 일치하다. 또한, 패턴의 기록과 관련하여, 색재 잉크의 부여량의 변동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미리 색재 잉크의 부여량을 보정한 후에 클리어 잉크의 HS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902: 광학 특성 측정>
기록된 검사 패치(61(a) 내지 61(i))의 광학 특성을 측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을 기록한 후, 캐리지에 장착된 반사형 광학 센서(30)가 검사 패치(61(a) 내지 61(i))에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기록 매체(P)와 캐리지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각 패치의 광학 특성으로서의 반사 광학 농도를 측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형 광학 센서(30)의 광원으로서 레드(R 광원)를 사용한다. 부가적으로,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캐리지를 정지시킨 후 측정을 행하거나, 스폿 직경이 큰 센서를 사용하거나, 복수 점의 측정 결과를 평균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기록된 패턴 상의 국소적인 불균일을 평균을 내고 높은 정밀도로 반사 광학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S903: 보정된 부여량 산출>
도 55는, 1개의 칩에 의해 기록된 검사 패치(61(a) 내지 61(i))의 측정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5에서,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이 0%인 패치 (a)로부터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이 100%인 패치 (e)까지 반사 농도 D가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에,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이 100%인 패치 (e) 이후에는 반사 농도 Dn는 거의 일정하다. 이는, 색재 잉크를 응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한의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 즉 최적의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이, 이 예의 검사 패치를 기록한 칩의 경우에는 약 10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사 패치 사이의 반사 농도의 변화량(ΔD)이 3%보다 작은 패치 직전의 패치의 부여량이, 그 칩의 클리어 잉크의 보정된 부여량으로서 설정되고, 반사 농도(Dn)가 거의 일정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사 패치를 기록할 때에 설정되어 있고, 클리어 잉크에 대한 화상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는 부여량이 100%이다. 따라서, 이 칩에 대응하고, 클리어 잉크를 기록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인 100%의 부여량은, 부여량 보정 처리부(371)(도 49)에 의해 보정되고 100%의 부여량을 나타내는 클리어 잉크의 화상 데이터로서의 역할을 한다. 검사 패치(61(a) 내지 61(i))의 일련 번호 n은 1 내지 9이고, ΔDn은 이하의 식으로 표현된다.
ΔDn = (ΔDn-1 - Dn)/Dn(n=2, 3, 4, ..., 9)
여기서, Dn은 반사 농도 측정값이다.
도 56은, 도 55에 나타낸 측정 결과의 칩을 사용하여 측정된 농도(Dn) 및 농도 변화량(ΔD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도 변화량(ΔDn)이 최초에 3%보다 작아지는 경우에, n=6이다. 따라서, n=5(검사 패치 e)인 100%의 부여량을 이 예의 칩의 클리어 잉크의 보정된 부여량으로서 산출한다.
도 57은, 도 55에 나타낸 측정 결과에 대한 칩과 상이한 칩에 의해 기록된 검사 패치(61(a) 내지 61(i))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이 0%인 패치 (a)로부터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이 150%인 패치 (g)까지는 반사 농도(D)가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이 150%인 패치 (g) 이후에는 반사 농도 D는 거의 일정하다. 이것은, 이 예의 칩의 최적의 부여량이 약 150%인 것, 즉 부여량이 현재의 설정값인 100%인 경우에는 부여량이 충분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도 58은, 도 57에 나타낸 측정 결과에 대한 칩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농도(Dn) 및 농도 변화량(ΔD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량(ΔDn)이 처음에 3%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n=8이다. 따라서, n=7(검사 패치 g)인 "150%"의 부여량을 이 예의 칩의 클리어 잉크의 보정된 부여량으로서 산출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 칩에 대응하며 클리어 잉크를 기록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인 100%의 부여량은, 부여량 보정 처리부(371)(도 49)에 의해 보정되고, 150%의 부여량을 나타내는 클리어 잉크에 대한 화상 데이터로서의 역할을 한다.
비교예로서 클리어 잉크에 1색(예를 들어, K 잉크)만을 사용하여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을 기록하는 경우의 검사 패치(61)의 측정값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9는 비교예에 따른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을 기록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9에서, 단계 1101에서, 단계 1001에서와 마찬가지로 클리어 잉크에 의해 복수의 검사 패치를 기록한다. 이어서, 단계 1102에서, 검출 보조 패턴(62(b))을 중첩 방식으로 클리어 잉크의 검사 패턴에 대해 제1 색재 잉크 (K)의 미리 결정된 부여량으로 기록한다.
도 60은, 도 59를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에 따라, 도 55 및 도 56에 나타낸 측정 결과가 얻어지는 클리어 잉크의 칩에 의해 기록한 검사 패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61은, 도 60에 나타낸 측정 결과의 칩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농도(Dn) 및 농도 변화량(ΔD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 패치 사이의 검출된 농도 차이는 작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 검사 패치 (f) 후에는 측정된 광학 농도는 일정하고(도 55 및 도 56 참조), 본 비교예에서는, 부여량이 25%인 패치 (b) 후에 반사 농도(D)는 거의 일정하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농도가 거의 일정한 부여량을 검출하는 정밀도가 저하되고 있는 것이 발견된다.
마찬가지로, 도 62는, 도 59를 참고하여 상술 처리에 따라, 도 57 및 도 58에 나타낸 측정 결과가 얻어지는 클리어 잉크를 위한 칩에 의해 기록된 검사 패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63은, 도 62에 나타낸 측정 결과에 대한 칩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농도(Dn) 및 농도 변화량(ΔD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비교예에서도, 검사 패치 사이의 검출된 농도 차는 작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 검사 패치 (h) 후에는 측정된 광학 농도가 일정하고(도 57 및 도 58 참조), 본 비교예에서는, 부여량이 25%인 패치 (b) 이후에 반사 농도(D)는 거의 일정하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이 예에서도, 농도가 거의 일정한 부여량을 검출하는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이 발견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2색의 색재 잉크, 기록 순서, 측정에 사용되는 광원색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검사 패치 사이 또는 클리어 잉크의 양이 많은 경우와 클리어 잉크의 양이 적은 경우와의 사이의 검출된 값의 차이를 증가시키고 그 검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S904:클리어 잉크의 부여량 보정 테이블의 작성, 보정된 부여량 설정>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903에서 산출된 보정된 부여량을 실현하기 위해서, 클리어 테이블을 위한 부여량 보정 테이블이 각 칩에 대해 작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도 55에 나타내는 측정 결과가 얻어지는 칩에 대해서는, 그 칩의 노즐에 대응하는 클리어 잉크의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부여량)(100%)을 변환 전의 계조값에 100%/100%=1.0의 계수를 곱하여 구한 계조값으로 변환하도록 테이블이 설정된다. 또한, 도 57에 나타내는 측정 결과가 얻어지는 칩에 대해서는, 그 칩의 노즐에 대응하는 클리어 잉크의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부여량)(100%)을 변환 전의 계조값에 150%/100%=1.5의 계수를 곱하여 구한 계조값으로 변환하도록 테이블이 설정된다. 또한, 이와 같이 얻어진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테이블은 ROM(34)(도 49)에 저장된다. 클리어 잉크에 의해 기록을 행할 때에, CPU(33)는, ROM(34)에 저장되어 있는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테이블을 부여량 보정 처리부(371)에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부여량 보정 처리부(371)는 송신된 HS 테이블을 사용하여 클리어 잉크의 화상 데이터를 보정한다. 이 제어에 의해, 클리어 잉크의 각 칩에 대한 제조 오차, 내구성 열화 등에 기인하는 잉크의 토출 특성의 변동을 감소시키고, 클리어 잉크를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다.
<센서 광원색과 검출 보조 잉크 색의 조합>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광원색으로서 레드(R) 광원을 사용하고, 색재 잉크 중, 기록 매체에 먼저 부여하는 검출 보조 색재 잉크로서 Y 잉크를 사용하고, 이후에 기록 매체에 부여하는 검출 보조 색재 잉크로서 K 잉크를 각각 사용한다. 그러나, 다른 조합이 동일한 유리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부여되는 검출 보조 제1 색재 잉크로서 검사에 사용되는 광원의 색을 사용하는 경우에 반사 농도가 낮은 색조를 갖는 잉크를 선택하고, 이후에 부여되는 검출 보조 제2 색재 잉크로서 검사에 사용되는 광원의 색을 사용하는 경우에 반사 농도가 높은 색조를 갖는 잉크를 선택한다. 대표적인 조합과 관련하여, 센서 광원색으로서의 R, G, 및 B와 색재 잉크 색으로서의 C, M, Y, 및 K가 이상적인 색이라고 가정하면, 레드(R) 광원 하에서는 검출 보조 제1 색재 잉크로서 Y 잉크 또는 M 잉크를 선택하고, 레드(R) 광원 하에서는 검출 보조 제2 색재 잉크로서 K 잉크 또는 C 잉크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린(G) 광원 하에서 제1 색재 잉크로서 C 잉크 또는 Y 잉크를 선택할 수 있고, 그린(G) 광원 하에서 제2 색재 잉크로서 K 잉크 또는 M 잉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블루(B) 광원 하에서 제1 색재 잉크로서 M 잉크 또는 C 잉크를 선택할 수 있고, 블루(B) 광원 하에서 제2 색재 잉크로서 K 잉크 또는 Y 잉크를 선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잉크젯 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C, M, Y, 및 K 등의 색재 잉크의 색은 이상적인 C, M, Y, 및 K가 아닌 많은 경우가 있고, 사용될 기록 매체의 발색성 및 기록 장치의 구성에 의해 도트 중첩 순서에 제약도 있다. 이 점으로부터, 다양한 조건 하에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에 대해 패턴을 실제로 기록하여 최적의 조합을 미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특성의 검출에 대해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광학 특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으로서, 미리 결정된 피크 파장을 갖는 색(R, G, B)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의 강도(반사 농도)를 측정하는 반사형 광학 센서를 사용한다. 그러나, 다른 검출 유닛이 특정 파장 범위에 걸쳐 광학 특성을 검출하는 한 다른 검출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이트 광원으로부터 화이트 광을 조사하고, 그 증폭된 반사광을 RGB를 위한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분광하며, 분광된 반사광을 촬상 소자인 CCD센서를 사용하여 판독함으로써, RGB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RGB 광원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촬상 소자인 CMOS센서에 의해 판독함으로써, RGB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이들 경우, 취득한 RGB 정보의 적절한 채널의 휘도값을 상술한 반사 농도로서 판독함으로써 동일한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모드에서, 시각적인 관찰을 통해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먼저 부여되는 검출 보조 색재 잉크로서 화이트 광 하에 반사 농도가 낮은(명도가 높다) 색조를 갖는 잉크가 선택되고, 이후에 부여되는 기준 색재 잉크로서 화이트 광 하에 반사 강도가 높은(명도가 낮다) 색조를 갖는 잉크가 선택된다. 이에 의해, 검사 패치 사이 또는 클리어 잉크의 양이 많은 경우와 클리어 잉크의 양이 적은 경우와의 사이에서 반사 농도(명도)의 차를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식으로 기록된 클리어 HS 패턴을 관찰하고, 9개의 패치로부터 일정한 농도 패치를 선택하며, 그 패치에서의 부여량을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으로서 입력할 수 있다. 잉크의 구체적인 조합의 일례로서는, 검출 보조 제1 색재 잉크로서 Y 잉크를 사용하고, 검출 보조 제2 색재 잉크로서 K 잉크를 사용한다.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는 광학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판독 장치로서 기록 매체의 폭에 따라 검출을 행할 수 있는 라인 스캐너를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의 라인 스캐너는 CCD 라인 센서를 포함하고, CCD 센서는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1600dpi의 간격으로 배열된다. 비교적 높은 해상도를 갖는 판독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수개의 노즐에 대한 부여량을 보정할 수 있다.
도 64는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라인 스캐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4에서, CCD(40)는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원고로부터의 반사되는 광선(42)은 렌즈(41)를 통과하여 CCD(40)에 도달한다. 이 구성에서, 참조 번호 43은 광선(42)을 작은 공간 안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44는 원고를 조명하기 위한 원고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45는 원고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를 나타내며, 참조 번호 46은 원고를 안내하기 위한 종이 반송 가이드판을 나타낸다. 종이 반송 가이드판(46)에 의해 안내된 원고는 반송 롤러(45)에 의해 미리 결정된 속도로 판독부를 통과한다. 판독부의 원고는 원고 조명 장치(44)에 의해 조명된다. 조명된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선(42)은 미러(43)로부터 반사된 후 렌즈(41)를 통과하여 CCD(40)에 진입한다. CCD(40)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화상 정보는 화상 해석부로 보내져서 해석된다. 본 스캐너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채널의 아날로그 휘도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휘도 데이터는,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R, G, 및 B 광원 하의 반사 농도와 동일한 방식으로 취급될 수 있다.
도 6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테이블을 작성하는 처리는 상술한 제3 실시형태의 처리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이하, HS 패턴(2)이라고 칭한다)은 클리어 잉크의 상이한 부여량으로 복수의 검사 패치(63(a) 내지 63(i))를 형성함으로써 기록된다. 그리고, 이들 검사 패치에 대하여, 소정 부여량의 제1 색재 잉크(Y) 및 제2 색재 잉크(K)를 이 순서로 중첩 방식으로 기록(검출 보조 패턴(62))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설정되어 있는 클리어 잉크의 부여량을 100%로 간주할 경우, 검사 패치(63(a) 내지 63(i))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부여량이 중간인 0%, 25%, 50%, 75%, (100%), 125%, 150%, 175%, 및 200%의 총 9개의 부여량으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클리어 잉크의 패치(63)는, 각 칩의 모든 노즐을 사용하여 기록되고, 거의 기록 매체의 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패턴이다.
도 6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어 잉크를 위한 HS 패턴을 기록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클리어 헤드를 위한 기록 헤드(21)가 상이한 부여량을 갖는 검사 패치(63(a) 내지 63(i))를 기록한다(S1201). 이 검사 패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9종류의 부여량에서 각각 형성된다. 이어서, 제1 색재 잉크(Y)에 의해 복수의 검사 패치에 대하여 중첩 방식으로 균일한 검출 보조 패턴(62)을 기록한다(S1202). 계속해서, 제2 색재 잉크(K)에 의해 복수의 검사 패치(63)에 대하여 균일한 검출 보조 패턴(62)을 이 순서로 기록한다(S1203).
도 6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사 패치(63(a), 63(e), 및 63(i))의 반사 농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라인 스캐너가 400dpi의 해상도로 휘도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렇게 비교적 높은 해상도를 갖는 판독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더 작은 단위로 농도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반사 농도가 측정된 후에, 제3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400dpi의 각 영역에 대해 검사 패치(63(a) 내지 63(i))의 농도가 비교되어 클리어 잉크의 보정된 부여량을 결정한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잉크젯 기록 장치이며,
    기록 매체에 기록을 수행하도록 제1 색의 제1 색재 잉크, 색재 유형이 상기 제1 색재 잉크와는 상이한 제2 색의 제2 색재 잉크, 및 적어도 상기 제1 색재 잉크를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에 정착시키기 위한 투명한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유닛,
    기록 헤드로부터의 상기 클리어 잉크의 토출 동작을 체크하기 위한 체크 처리를 실행시키는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 유닛, 및
    상기 접수 유닛이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유닛이 상기 제1 색재 잉크, 상기 제2 색재 잉크, 및 상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게 하여 상기 체크 처리에 사용되는 체크 패턴을 기록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 패턴의 기록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록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클리어 잉크,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가 상기 클리어 잉크,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의 순서로 상기 기록 매체의 체크 패턴 형성 영역에 부여되는 상기 체크 패턴을 기록하게 하고, 상기 체크 패턴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재 잉크와 상기 클리어 잉크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이면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제2 색 및 상기 제1 색의 순서로 상기 제2 색 및 상기 제1 색으로 착색되며, 상기 제1 색재 잉크와 상기 클리어 잉크가 서로 접하지 않는 부위에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방향으로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의 순서로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으로 착색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패턴은, 상기 제1 색재 잉크, 상기 제2 색재 잉크, 및 상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기록되고,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와 상기 클리어 잉크로 기록된 부위가 서로 중첩하는 부위 및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와 상기 클리어 잉크로 기록된 부위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부위를 갖는 조정 패턴인, 잉크젯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패턴을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제2 색재 잉크의 기록 위치가 상기 클리어 잉크의 기록 위치를 조정하는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패턴은, 상이한 기록 위치 어긋남 양을 갖는 복수의 패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와 상기 클리어 잉크로 기록된 부위가 서로 중첩하는 부위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패치의 각각에 따라 변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패턴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및
    상기 광원에 의해 조사된 상기 조정 패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 패턴의 광학 특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제1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농도는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농도보다 낮은, 잉크젯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잉크, 색재가 종류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복수의 상기 색재 잉크, 및 복수의 상기 광원을 사용하여 상기 조정 패턴을 기록하기 전에, 상기 조정 패턴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와, 상기 조정 패턴을 조사하기 위한 상기 광원의 조합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패턴은, 각각의 노즐로부터 상기 제1 색재 잉크, 상기 제2 색재 잉크, 및 상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기록되며,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와 상기 클리어 잉크로 기록된 부위가 서로 중첩하는 부위 및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와 상기 클리어 잉크로 기록된 부위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부위를 갖는 검사 패턴인, 잉크젯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패턴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및
    상기 광원에 의해 조사된 상기 검사 패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패턴의 광학 특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제1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농도는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농도보다 낮은, 잉크젯 기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패턴은 상기 클리어 잉크를 위한 노즐로부터 상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는 것의 실패를 검출하기 위한 패턴인, 잉크젯 기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잉크는 토출 히터에 구동 펄스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고, 상기 검사 패턴은 상기 클리어 잉크를 위한 노즐로부터 상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구동 펄스의 펄스폭을 검출하기 위한 패턴인, 잉크젯 기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클리어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농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록 유닛은 더 짧은 펄스폭을 갖는 구동 펄스에 의해 상기 검사 패턴을 기록하고,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클리어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농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구동 펄스는 상기 클리어 잉크로 기록될 부위를 기록할 때의 구동 펄스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패턴은,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와 상이한 부여량으로 상기 클리어 잉크로 기록된 복수의 부위가 서로 중첩하는 부위를 갖는 보정 패턴인, 잉크젯 기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패턴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및
    상기 광원에 의해 조사된 상기 보정 패턴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 패턴의 광학 특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제1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농도는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농도보다 낮은, 잉크젯 기록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잉크를 위한 상기 기록 헤드는 복수의 노즐이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기록 칩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패턴이 각각의 기록 칩에 대해 기록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패턴은 상기 검출 유닛의 판독 해상도보다 큰 각각의 폭에 대해 기록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6.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가 상기 클리어 잉크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반사 농도가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가 상기 클리어 잉크와 중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반사 농도보다 낮은 광원인, 잉크젯 기록 장치.
  17. 제2항, 제7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색재 잉크는, 상기 제1 색재 잉크와 상기 클리어 잉크가 서로 접하지 않는 부위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먼저 기록된 상기 제1 색재 잉크의 상층에 정착되고 상기 제1 색재 잉크와 상기 클리어 잉크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제1 색재 잉크의 하층에 정착된 잉크인, 잉크젯 기록 장치.
  18. 제5항, 제8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레드 광원이고, 상기 제1 색재 잉크는 옐로우 잉크 또는 마젠타 잉크이며, 상기 제2 색재 잉크는 시안 잉크 또는 블랙 잉크인, 잉크젯 기록 장치.
  19. 제5항, 제8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그린 광원이고, 상기 제1 색재 잉크는 시안 잉크 또는 옐로우 잉크이며, 상기 제2 색재 잉크는 마젠타 잉크 또는 블랙 잉크인, 잉크젯 기록 장치.
  20. 제5항, 제8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블루 광원이고, 상기 제1 색재 잉크는 마젠타 잉크 또는 시안 잉크이며, 상기 제2 색재 잉크는 옐로우 잉크 또는 블랙 잉크인, 잉크젯 기록 장치.
  21. 제2항, 제7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명도가 상기 제2 색재 잉크로 기록된 부위의 명도보다 높은, 잉크젯 기록 장치.
  22. 기록 매체에 기록을 수행하도록 제1 색의 제1 색재 잉크, 색재 유형이 상기 제1 색재 잉크와는 상이한 제2 색의 제2 색재 잉크, 및 적어도 상기 제1 색재 잉크를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에 정착시키기 위한 투명한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기록 헤드로부터의 상기 투명한 클리어 잉크의 토출 동작을 체크하기 위한 체크 패턴을 기록하는 체크 패턴 기록 방법이며,
    상기 제1 색재 잉크, 상기 제2 색재 잉크, 및 상기 클리어 잉크를 토출하여 상기 체크 처리에 사용되는 상기 체크 패턴을 기록하는 기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단계에서, 상기 체크 패턴을 기록할 때, 상기 클리어 잉크,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가 상기 클리어 잉크, 상기 제1 색재 잉크, 및 상기 제2 색재 잉크의 순서로 상기 기록 매체의 체크 패턴 형성 영역에 부여되는 상기 체크 패턴이 기록되고, 상기 체크 패턴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재 잉크와 상기 클리어 잉크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이면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제2 색 및 상기 제1 색의 순서로 상기 제2 색 및 상기 제1 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제1 색재 잉크와 상기 클리어 잉크가 서로 접하지 않는 부위에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방향으로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의 순서로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으로 착색되는, 체크 패턴 기록 방법.
KR1020160065204A 2015-05-28 2016-05-27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체크 패턴 기록 방법 KR102033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8439A JP6512946B2 (ja) 2015-05-28 2015-05-28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ヘッドの吐出状態検査方法
JPJP-P-2015-108439 2015-05-28
JPJP-P-2015-108411 2015-05-28
JP2015108411A JP6512945B2 (ja) 2015-05-28 2015-05-28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位置調整方法
JP2016043681A JP6598711B2 (ja) 2016-03-07 2016-03-07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付与量補正用のパターン記録方法
JPJP-P-2016-043681 2016-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477A KR20160140477A (ko) 2016-12-07
KR102033210B1 true KR102033210B1 (ko) 2019-10-16

Family

ID=5606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204A KR102033210B1 (ko) 2015-05-28 2016-05-27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체크 패턴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49851B2 (ko)
EP (1) EP3098079B1 (ko)
KR (1) KR102033210B1 (ko)
CN (1) CN106183414B (ko)
BR (1) BR102016012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5502B2 (ja) * 2015-03-18 2018-01-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液吐出量決定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
JP2018069707A (ja) * 2016-11-04 2018-05-10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印刷方法
US10279585B2 (en) * 2017-01-31 2019-05-07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ejectors that eject clear materials in a printer
DE102017217993B3 (de) 2017-10-10 2018-07-26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Schwellwertbestimmung bei der Detektion ausgefallener Druckdüsen
WO2019217878A1 (en) * 2018-05-11 2019-11-14 Entrust Datacard Corporation Card processing system with drop-on-demand print head automated maintenance routines
EP3774345B1 (en) * 2018-05-16 2023-12-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ing reflected light intensities of light sources
WO2020071130A1 (ja) 2018-10-05 2020-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7154929B2 (ja) 2018-10-05 2022-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US11124005B2 (en) * 2019-02-05 2021-09-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3829758B (zh) * 2020-06-23 2022-10-21 深圳市汉森软件有限公司 打印数据修正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164014B (zh) * 2020-10-15 2024-04-09 江西威力固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图层处理方法及喷印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8399A1 (en) 1999-08-23 2001-11-08 Lund Mark D. Clear fluid ink-jet pen alignment
JP2005035043A (ja) 2003-07-16 2005-02-10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吐出検査方法、吐出検査パターンの形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13146922A (ja) 2012-01-19 2013-08-01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補正方法
US20140139583A1 (en) 2012-11-20 2014-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head alignment evalua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1624A (ja) 1998-11-11 2000-05-23 Canon Inc 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方法
JP4496725B2 (ja) * 2003-07-01 2010-07-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4465999B2 (ja) 2003-07-29 2010-05-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吐出検査方法、吐出検査用パターンの形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09286140A (ja) * 2009-09-10 2009-12-10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
JP5871516B2 (ja) 2010-08-25 2016-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2056221A (ja) * 2010-09-10 2012-03-22 Seiko Epson Corp 吐出検査方法、吐出検査装置、描画方法、及び描画装置
JP2012153088A (ja) * 2011-01-28 2012-08-16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US8506038B2 (en) 2011-07-18 2013-08-13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printheads that eject clear ink in an inkjet printer
JP5328965B2 (ja) 2011-10-2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その吐出状態の推定方法
US8827403B2 (en) * 2011-10-20 2014-09-09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9278552B2 (en) 2012-06-06 2016-03-08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584733B2 (ja) 2012-06-08 2014-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印刷物の排出方法
JP2014195891A (ja) * 2013-03-29 2014-10-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補正値の算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8399A1 (en) 1999-08-23 2001-11-08 Lund Mark D. Clear fluid ink-jet pen alignment
JP2005035043A (ja) 2003-07-16 2005-02-10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吐出検査方法、吐出検査パターンの形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13146922A (ja) 2012-01-19 2013-08-01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補正方法
US20140139583A1 (en) 2012-11-20 2014-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head alignment eval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47081A1 (en) 2016-12-01
BR102016012087A2 (pt) 2016-11-29
EP3098079A1 (en) 2016-11-30
CN106183414B (zh) 2018-05-25
US9649851B2 (en) 2017-05-16
BR102016012087B1 (pt) 2022-09-20
EP3098079B1 (en) 2021-01-20
CN106183414A (zh) 2016-12-07
KR20160140477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210B1 (ko)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체크 패턴 기록 방법
RU2641473C2 (ru) Струйное печат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чати проверочного шаблона
US6310637B1 (en) Method of printing test pattern and printing apparatus for the same
CN102555473B (zh) 不良记录元件检测设备和方法,以及图像形成设备和方法
US6832825B1 (en) Test pattern print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and density variation correction method
US9227442B2 (en) Printing apparatus and registration adjustment method
US20100060682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nozzle test pattern
US20100321434A1 (en) Print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20069067A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US20100060691A1 (en) Printing method and printer
US20080152413A1 (en) Printing Method,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on, and Printing System
US92486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1584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ink ejecting elements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62701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ischarged ink,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ink discharged in the printing apparatus
JP6700677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659871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付与量補正用のパターン記録方法
US8529008B2 (en) Fluid ejecting apparatus and fluid ejecting method
JP651294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ヘッドの吐出状態検査方法
US20060262330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correction-value acquiring method, and printing method
JP2020124916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2895728B (zh) 印刷装置的生产方法以及印刷装置
US7619779B2 (en) Method for judging achievability of density correction of image and printing apparatus
US20160176206A1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system, and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method
JP2006305961A (ja) 濃度の補正値の取得方法、及び補正用パターンが印刷された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