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741B1 - 연삭 휠 - Google Patents

연삭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741B1
KR102031741B1 KR1020180030990A KR20180030990A KR102031741B1 KR 102031741 B1 KR102031741 B1 KR 102031741B1 KR 1020180030990 A KR1020180030990 A KR 1020180030990A KR 20180030990 A KR20180030990 A KR 20180030990A KR 102031741 B1 KR102031741 B1 KR 102031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grinding wheel
shank
grind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071A (ko
Inventor
박재우
김택상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큐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3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74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3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8/00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연삭 휠에 관한 것으로, 디스크 일면 가장자리 둘레에 수직상방으로 돌출된 단차부와 디스크 외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된 링형상의 결합돌기를 갖춘 베이스와; 안착면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된 링형상의 걸림턱을 갖춘 생크;로 이루어지고, 베이스의 결합돌기와 생크의 걸림턱을 통해 상호 동일 축선상에서 정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생크 사이에 탄성 패드를 개재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삭 휠 {Grinding wheel}
본 발명은 표면처리용 연삭 휠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연삭 휠은 연삭공구(예컨대,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석재, 목재, 철재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의 피삭재 표면, 다시 말하자면 피삭면과 연접된 상태에서 그라인더의 회전으로 피삭면과의 마찰을 통해 표면 조도를 향상시키는 도구이다.
연삭 휠은 전술된 바와 같이 피삭면을 연삭하는 과정 중에 마모되어 교체할 수 밖에 없는 소모품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연삭휠은 환상 지지부재의 하단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재하는 다수의 매설구를 형성하고, 매설구에 연삭숫돌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연삭휠은 매설구에 대한 연삭숫돌의 견고한 접착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매설구의 내측벽에 걸림홈부를 형성하는 한편 매설구 내에 삽입될 연삭숫돌의 매설부는 걸림홈부와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삭휠의 구조는 전술된 바와 같이 연삭숫돌의 매설부와 매설구 간의 맞물림을 통해 지지부재로부터 연삭숫돌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반면에 매설구의 걸림홈부와 연삭숫돌의 매설부를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공정 상의 어려움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작업자는 연삭숫돌을 지지부재의 매설구에 억지끼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연삭휠은 피삭면과 연삭숫돌의 신뢰할 수 있는 연접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탄성 변형을 염두해 두지 않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8124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피삭재를 표면 연삭하는 동안에 피삭재의 피삭면과 연삭면 간의 밀착성을 부여할 수 있게 탄성변형을 보장할 수 있는 연삭 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적층배열된 각 구성부재들 간의 신뢰할 수 있는 결합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삭 휠은 디스크 형상부와, 이 디스크 형상부의 일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수직상방으로 돌출된 단차부, 및 디스크 형상부의 타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된 링형상의 결합돌기를 구비한 디스크를 포함하고, 단차부 상에 다수의 연삭 팁을 이격 배치한 베이스와; 디스크형상의 안착면과, 연삭공구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가이드 홈, 안착면과 가이드 홈 사이에 배치된 원뿔대 형상부, 및 안착면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된 링형상의 걸림턱을 구비한 생크;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베이스는 생크 상에 적층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크 형상부와 안착면 사이에 고무 재질의 탄성 패드를 개재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탄성 패드의 양면에 점착층을 도포하여 베이스와 생크 사이의 양호한 결합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결합돌기의 내경을 안착면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하는 한편 걸림턱의 외경을 디스크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하여, 베이스와 생크 간에 신뢰할 수 있는 정합을 가능하게 한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단차부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만곡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단차부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만곡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스크 형상부는 일면에 중심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과 타면에 편평면으로 한정된 직각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베이스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생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생크를 리벳으로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생크의 동축배열과 함께 베이스와 생크의 정합을 통해 양호한 체결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연삭 휠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분진 또는 연삭 찌꺼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생크의 탄성 변형을 통해 연삭시 피삭면과 베이스 간의 연접상태를 유지하여 연삭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패드를 수단으로 하여 연삭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여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와 생크 간의 신뢰할 수 있는 접합 상태를 유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삭 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삭 휠을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으로 절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 휠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삭 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삭 휠을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B-B 선으로 절취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 휠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 휠은 그라인더와 같은 연삭공구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삭재의 피삭면을 연삭할 수 있는 연삭 휠(1)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콘크리트(또는 몰탈) 바닥 표면 위에 페인트, 에폭시, 우레탄 도장 등으로 표면 처리된 바닥면의 도막을 연삭 제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 휠(1)은 다수의 연삭 팁(T)을 구비한 베이스(100;base)와, 베이스의 안착과 연삭공구와의 결합을 돕는 생크(300;shank)로 이루어진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베이스(100)와 생크(300) 사이에 탄성 패드(200)를 개재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디스크(110)와 이 디스크(110)의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연삭 팁(T)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디스크(110)는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서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연삭 팁(T)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다결정 다이아몬드(PCD)일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연삭 작업가능한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디스크(110)는 디스크 형상부(111)와, 이 디스크 형상부(111) 일면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상방으로 돌출된 단차부(112), 디스크 형상부(111) 타면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된 링형상의 결합돌기(113)를 구비한다. 결합돌기(1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O-링(ring)과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불연속적으로 환형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디스크 형상부(111)의 일면은 중심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도록 테이퍼(tapered)져 있는 경사면(111a)을 구비하는 반면에, 디스크 형상부(111)의 타면은 생크(300)의 일면 및/또는 탄성 패드(200)의 일면 상에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안착될 수 있게 편평면(111b)을 구비한다. 즉, 디스크 형상부(111)는 전반적으로 직각사다리꼴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 형상부(111)는 또한 내부영역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제1 관통공(111c)을 구비하는데, 제1 관통공(111c)은 경사면(111a)에서 편평면(111b)까지 천공하여 형성된다.
단차부(112)는 디스크 형상부(111)에 연삭 팁(T)을 위치고정시키는 구성부재로서, 단차부(112)에는 연삭 팁(T)을 수용하는 다수의 고정홈(112a)을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9개의 연삭 팁(T)을 디스크(110)의 단차부(112) 상에 매립하고 있는데, 연삭 팁(T)의 갯수는 달리할 수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다수의 연삭 팁(T)은 단차부(112)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다양한 패턴 배열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차부(112)는 디스크 형상부(111)에서 가장 두꺼운 외주연 내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단차부(112)가 디스크(110)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는 고정홈(112a)의 충분한 깊이를 확보하여 연삭 팁(T)을 확실하게 매립고정시킬 수 있다.
생크(300)는 연삭공구(미도시)의 회전축과 결합시 볼트와 너트 등의 마운트 부재(미도시)를 돌출되지 않도록 돕는 깔대기형상의 구성부재로, 베이스(100)를 지지보유할 수 있게 베이스(100)의 타면에 배치된다. 도시되었듯이, 생크(300)는 디스크형상의 안착면(310)과, 안착면의 중심과 동축선상에서 이격배치된 가이드 홈(320), 및 안착면(310)과 가이드 홈(320) 사이를 연결하는 원뿔대 형상부(330)로 이루어진다.
안착면(310)은 디스크(110)의 타면, 더욱 구체적으로 편평면(111b)을 지지보유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갖도록 디스크(혹은 도넛)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착면(31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예컨대 안착면(310)과 원뿔대 형상부(330)의 교차 부위를 따라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된 링형상의 걸림턱(313)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3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O-링과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불연속적으로 환형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걸림턱(313)의 외주연은 디스크(110)의 중심공 내주연 둘레에 끼워져 안착면(310) 상에서 디스크(110)의 위치선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생크(300)의 안착면(310) 중심과 베이스(100)의 디스크(110) 중심을 동축선상으로 센터링(centering)될 수 있도록 정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삭 휠(1)의 회전 구동시 생크(300)로부터 베이스(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걸림턱(313)의 외경은 디스크(110)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춰야만 할 것이다.
안착면(310)은 디스크(110)의 제1 관통공(111c)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제2 관통공(310c)을 형성하는데, 제2 관통공(310c)은 안착면의 내부영역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배치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 휠(1)은 안착면(310)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공(참조부호 없음)과, 디스크(110)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공(참조부호 없음), 및 가이드 홈(320)의 중심을 동일 축선상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100)의 중심축과 생크(300)의 중심축이 어긋나지 않게 배열하여 연삭 휠의 회전시 회전 진동을 방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연삭 휠(1)을 통한 표면 가공의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걸림턱(313)은 안착면(31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H313)로 상방돌출되는데, 바람직하기로 걸림턱(313)의 높이(H313)는 디스크(110)의 내주연 두께(H111)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커야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하였듯이 디스크(111)의 외주연, 다시 말하자면 편평면(111b)의 외주연 가장자리에서 소정의 높이(H113)로 하방돌출된 결합돌기(113)를 구비하는데, 바람직하기로 결합돌기(113)의 높이(H113)는 안착면(310)의 두께(H310)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커야 한다. 또한, 결합돌기(113)의 내경은 안착면(31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추고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베이스(100)의 결합돌기(113)를 수단으로 하여 생크(300)의 안착면(310) 외주연 둘레를 둘러싸는 동시에 생크(300)의 걸림턱(313)을 수단으로 하여 베이스(100)의 디스크 형상부(111) 내주연 둘레를 둘러싸게 되어, 베이스(100)와 생크(300)를 상호 정합시켜 연삭 휠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의 영향 하에서도 구성부재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삭공구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가이드 홈(320)을 구비하고, 회전축 결합시 마운트 부재의 돌출을 방지할 수 있는 원뿔대 형상부(330)를 구비한다. 원뿔대 형상부(330)는 안착면(310)에서 가이드 홈(320)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데, 원뿔대 형성부(330)의 내부영역에 다수의 구멍(331)을 배치한다. 참고로, 다수의 구멍(331)은 가이드 홈(320)을 기준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관통공(331)은 회전축과 마운트 부재의 결합상태를 육안을 확인할 수 있는 윈도우(window)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생크(300)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돕는다. 이외에도, 다수의 구멍(331)은 압축공기 또는 냉각수 등의 유동경로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연삭 휠(1)은 신뢰할 수 있는 내구성과 탄성 변형을 보장하는 동시에 경량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생크(300)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도 제작가능하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생크(300)는 예컨대 사출성형을 통해 디스크(110)와 정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한편, 디스크(110)의 타면을 지지보유할 수 있도록 탄성에 의한 변형 및/또는 복원할 수 있는 탄성 변형을 갖추게 된다. 이는 피삭면과의 연접 상태를 유지하여 연삭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 휠(1)은 베이스(100)의 디스크(110)와 생크(300)의 안착면(310) 사이에 탄성 패드(200)를 개재할 수 있다. 탄성 패드(200)는 연삭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면서 탄성을 부여하는 박막의 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배열될 디스크(110)와 안착면(310)의 형상과 동일한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되었듯이 베이스(100)의 디스크(110)와 탄성 패드(200) 및 생크(300)의 안착면(310)을 적층배열하는데, 베이스(100)의 디스크(110)의 중심공과 탄성 패드(200)의 중심공은 생크(300)의 걸림턱(313)에 끼워 넣어져 각각의 구성부재들 간의 동축 배열을 가능하게 하고, 상호 간의 체결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걸림턱(313)의 고정단은 안착면(310)의 내주연 둘레에 배치되는 한편 걸림턱(313)의 자유단은 적층배열된 디스크(110)의 중심공 내주연과 중첩될 수 있도록 길이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패드(200)의 외주연과 생크(300)의 안착면(310)의 외주연은 베이스(100)의 결합돌기(113)에 의해 둘러싸여 각각의 구성부재들 간의 동축 배열을 가능하게 하고, 상호 간의 체결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결합돌기(113)의 고정단은 디스크(110), 더욱 구체적으로 디스크 형상부(111)의 외주연 둘레 혹은 디스크 형상부의 타면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한편 결합돌기(113)의 자유단은 적층배열된 안착면(310)의 외주연과 중첩될 수 있도록 길이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탄성 패드(200)를 수단으로 하여 금속 재질의 베이스(100)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생크(300)와 같이 이종(異種) 재질 간의 접합을 구현하여 상호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된 생크(300)는 표면이 매끄럽고 마찰계수가 작기 때문에, 고무 재질의 탄성 패드(200)를 통해 디스크(110)와 안착면(310) 사이에 고마찰 상태를 제공하여 연삭공구의 회전구동을 통해 회전하는 안착면(310) 상에서 베이스(100)의 공회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탄성 패드(200)는 양면에 점착층(미도시)을 도포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베이스(100)의 제1 관통공(111c)과 생크(300)의 제2 관통공(310c)에 삽입된 리벳(R;rivet)으로 베이스와 생크를 견고하게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 휠(1)은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개략적으로 도해되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 휠(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연삭 휠의 다른 변형예로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 휠(1)은 다수의 연삭 팁(T)을 구비한 베이스(100)와, 베이스의 안착과 연삭공구와의 결합을 돕는 생크(300), 및 베이스(100)와 생크(300) 사이에 개재된 탄성 패드(20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는 다수의 연삭 팁(T)을 디스크(110)의 외주연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한다. 디스크(110)는 디스크 형상부(111)와, 이 디스크 형상부(111) 일면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상방으로 돌출된 단차부(112), 디스크 형상부(111) 타면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된 링형상의 결합돌기(113)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단차부(112)는 연삭 팁(T)의 위치선정을 돕는 고정홈(112a)을 형성하고 있다.
단차부(112)는 예컨대 페인트, 에폭시, 우레탄 도장 등을 연삭 팁(T)의 회전으로 연삭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분진이나 연삭 찌꺼기를 용이하게 외부로의 이탈을 유도할 수 있는 제1 만곡홈(112b)을 구비한다. 제1 만곡홈(112b)은 단차부(112)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는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분진이나 연삭 찌꺼기는 통상적으로 원심력에 의해 연삭 휠로부터 이탈하게 되는데, 연삭 팁(T)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제1 만곡홈(112b)으로 난류 현상을 촉진시켜 분진이나 연삭 찌꺼기 등을 방사상방향으로 비산(飛散)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분진이나 연삭 찌꺼기로 인한 연삭 팁(T)의 연삭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110)의 외주연 측면, 더욱 구체적으로 단차부(112)과 결합돌기(113)의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만곡홈(112c)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연삭 휠(1)이 직각을 이루는 2개의 표면을 연삭하는 경우에 바닥 표면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연삭 찌꺼기는 제1 만곡홈(112b)을 지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바닥 표면과 직교되는 수직 표면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연삭 찌꺼기는 제2 만곡홈(112c)을 통해 동시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삭 휠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연삭 휠,
100 ----- 베이스,
113 ----- 결합돌기,
200 ----- 탄성 패드,
300 ----- 생크,
313 ----- 걸림턱,
T ----- 연삭 팁.

Claims (8)

  1. 연삭공구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피삭재를 표면 연삭하는 연삭 휠(1)에 있어서,
    디스크 형상부(111)와, 상기 디스크 형상부(111) 일면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상방으로 돌출된 단차부(112), 및 상기 디스크 형상부(111) 타면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된 링형상의 결합돌기(113)를 구비한 디스크(110)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112) 상에 다수의 연삭 팁(T)을 이격 배치한 베이스(100)와;
    상기 디스크 형상부(111)의 타면을 지지하는 디스크형상의 안착면(310)과, 상기 연삭공구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가이드 홈(320), 상기 안착면(310)과 상기 가이드 홈(320) 사이에 배치된 원뿔대 형상부(330), 및 상기 안착면(31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된 링형상의 걸림턱(313)을 구비한 생크(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생크(300) 상에 적층배열되며,
    상기 디스크(110)는 상기 단차부(112)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만곡홈(11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 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형상부(111)와 상기 안착면(310) 사이에 고무 재질의 탄성 패드(200)를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 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패드(200)는 양면에 점착층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 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13)의 내경은 상기 안착면(31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고,
    상기 걸림턱(313)의 외경은 상기 디스크(110)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 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10)는 외주연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만곡홈(112c)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 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형상부(111)는 일면에 중심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111a)과 타면에 편평면(111b)으로 직각사다리꼴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 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생크(30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 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생크(300)는 리벳(R)을 수단으로 하여 상호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 휠.
KR1020180030990A 2018-03-16 2018-03-16 연삭 휠 KR102031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90A KR102031741B1 (ko) 2018-03-16 2018-03-16 연삭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90A KR102031741B1 (ko) 2018-03-16 2018-03-16 연삭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71A KR20190109071A (ko) 2019-09-25
KR102031741B1 true KR102031741B1 (ko) 2019-10-15

Family

ID=6806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990A KR102031741B1 (ko) 2018-03-16 2018-03-16 연삭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960B1 (ko) * 2022-03-04 2022-09-21 (주) 비티케이 그라인더용 바란스유지 원터치카플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43Y1 (ko) * 2005-02-14 2005-04-22 이중호 그라인딩 디스크 어셈블리
KR200424377Y1 (ko) * 2006-06-07 2006-08-22 이철기 핸드 그라인더용 연마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5560A (ja) 2000-01-28 2001-07-31 Disco Abrasive Syst Ltd 研削ホイール及び該研削ホイールの製造方法
KR101137486B1 (ko) * 2009-11-10 2012-04-20 코디아산업 주식회사 연마 및 도막제거용 다용도 다이아몬드 연마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43Y1 (ko) * 2005-02-14 2005-04-22 이중호 그라인딩 디스크 어셈블리
KR200424377Y1 (ko) * 2006-06-07 2006-08-22 이철기 핸드 그라인더용 연마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71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4113B2 (ja) ワークキャリア
WO2006070629A1 (ja) 研磨用パッド
US10710214B2 (en) Polishing or grinding pad with multilayer reinforcement
AU756920B2 (en) Fan-like grinding wheel
US20130225051A1 (en) Abrasive pad assembly
JP5730929B2 (ja) カップ型回転砥石
JPH06210571A (ja) ディスク状研削工具
KR102031741B1 (ko) 연삭 휠
JP2020512205A (ja) 砥石車アセンブリ
JP2007216330A (ja) ディスク状砥石
KR200467032Y1 (ko) 평면 및 곡면 연마용 디스크
US20140045414A1 (en) Surface machining tool
JP6494866B2 (ja) 砥石ディスク
JP2011177879A (ja) カップ型回転砥石
EP2248629A1 (en) Quick coupling system for an abrasive disc to the rotary shaft of a portable grinding machine
JPH1170475A (ja) 回転研磨具
KR101553991B1 (ko) 연마 장치용 휠 구조체
JP2007229879A (ja) 研削用カップホイール
JP3811463B2 (ja) 研磨工具
JPH11129148A (ja) 研削装置
US201502457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brasive pads to a drive plate
KR200473898Y1 (ko) 연삭기 휠 어셈블리
EP3437800A1 (en) Supporting device for abrasive elements
JP2015223691A (ja) カップホイール
JP2010046771A (ja) 超砥粒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