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659B1 -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659B1
KR102021659B1 KR1020170115449A KR20170115449A KR102021659B1 KR 102021659 B1 KR102021659 B1 KR 102021659B1 KR 1020170115449 A KR1020170115449 A KR 1020170115449A KR 20170115449 A KR20170115449 A KR 20170115449A KR 102021659 B1 KR102021659 B1 KR 102021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dried
extract
d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234A (ko
Inventor
문광철
정동춘
정혜진
신승택
박세희
박원훈
Original Assignee
정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춘 filed Critical 정동춘
Priority to KR102017011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6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7Poultry or ruminant f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 오리육 부산물, 작물 혼합 분말, 무기질 분말 및 약초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약초 추출물은 엄나무 건조물, 팽이 버섯 건조물, 삼백초 건조물 및 황칠 건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인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반려견의 영양을 균형있게 증진시키면서도, 기호성을 높이고,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우수한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FEED COMPOSITION FOR DOG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견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 반려동물 중에서도 개는 가축화된 동물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반려견을 키우는 인구의 수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현대사회에서는 특히 반려견의 동물권 및 동물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견의 동물권 및 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에는 반려견의 생명활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섭식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포함된다. 종래에는 단순히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을 반려견에게 공급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음식물과 반려견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반려견에게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도록 적합하게 영양이 제어된 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한편, 반려견용 사료는 사료에 대한 반려견의 기호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우수한 영양 가치를 가지더라도 기호성이 낮아 반려견에게 섭취되지 못하는 사료는 영양 증진을 목표로 하는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기 어렵다.
그러나, 반려견은 스스로 섭식량을 제어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사료를 과량으로 섭취하기 쉬우며, 이에 따라 피부질환, 비만, 고지혈, 관절염 등과 같은 개 식원병에 속하는 질환이 발생하기도 쉽다.
따라서, 반려견의 영양을 균형있게 증진시키면서도, 기호성이 우수하고, 또한 과량 섭취에 의해 발생하는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우수한 반려견용 사료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반려견의 영양을 균형있게 증진시키면서도, 기호성이 우수하고, 과량 섭취에 의해 발생하는 개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우수한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분쇄 오리육 부산물, 작물 혼합 분말, 무기질 분말 및 약초 추출물을 포함하고, 엄나무, 팽이 버섯, 삼백초 및 황칠의 열수 추출물인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엄나무 건조물, 팽이 버섯 건조물, 삼백초 건조물 및 황칠 건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9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조한 약초 추출물에, 분쇄 오리육 부산물, 작물 혼합 분말 및 무기질 분말을 첨가하여 반죽하고, 상기 반죽을 건조, 열처리 또는 동결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려견의 영양을 균형있게 증진시키면서도, 기호성을 높이고,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우수한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분쇄 오리육 부산물, 작물 혼합 분말, 무기질 분말 및 약초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약초 추출물은 엄나무, 팽이 버섯, 삼백초 및 황칠의 열수 추출물인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반려견의 영양을 균형있게 증진시키면서도, 기호성을 높이고,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우수한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쇄 오리육 부산물은 고품질의 단백질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반려견의 선호도를 향상시키면서도 탄수화물 과잉 섭취에 의한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오리육은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다른 육류에 비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 있으며, 고혈압, 심근 경색 등과 같은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쇄 오리육 부산물은 오리 머리, 오리 목, 오리 발, 오리 날개 및 오리 뼈 중 4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쇄 오리육 부산물은 오리의 체구성 성분에서 유래된 콜라겐, 무기질, 칼슘, 연골 조직 등을 더 포함하게 되어 영양성이 더욱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체온이 비교적 높은 반려견의 체액이 산성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분쇄 오리육 부산물의 혼합은 턱관절의 무는 힘이 사람에 비해 높은 반려견에게 적합한 정도의 굳기를 갖도록 하여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분쇄 오리육 부산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체 사료 조성물 중 40 중량% 내지 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고품질의 단백질원을 공급하고, 반려견의 선호도를 향상시키면서도 탄수화물 과잉 섭취에 의한 비만 및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작물 혼합 분말은 반려견의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에너지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급격하게 당화되지 않아 혈당이 빠르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 오리육 부산물이 반죽되는 과정 중에 더욱 우수한 형상성을 가질 수 있도록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작물 혼합 분말은 곡류 분말, 채소류 분말, 서류 분말, 견과 종실류 분말 중 2종 이상의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종류의 탄수화물 및 섬유질을 제공함으로써, 급격하게 당화되지 않아 혈당이 빠르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영양성 및 반려견에 대한 기호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쌀, 보리, 밀, 메밀, 조, 수수, 옥수수, 귀리, 호밀, 율무, 기장, 피, 퀴노아, 및 트리티케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류는 보리, 귀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급격하게 당화되지 않아 혈당이 빠르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질의 섬유소를 제공함으로써 포만감을 부여하고 과도한 섭취에 의한 비만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소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배추, 양배추, 브로콜리, 상추, 양상추, 시금치, 들깻잎, 쑥갓, 아욱, 근대, 머위, 무, 양파, 마늘, 당근, 생강, 연근, 우엉, 도라지, 더덕, 비트, 순무, 파스닢, 야콘, 취나물, 고춧잎, 참나물, 케일, 청경채, 갓, 냉이, 치커리, 앤디브 및 파슬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소류는 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다양한 종류의 무기질 예를 들면,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등과 함께 양질의 섬유소를 제공함으로써 포만감을 부여하고 과도한 섭취에 의한 비만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감자, 고구마, 토란, 마, 카사바, 및 곤약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류는 감자, 고구마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급격하게 당화되지 않아 혈당이 빠르게 상승하지 않는 고품질의 탄수화물을 에너지원으로 제공하면서도, 반려견의 사료에 대한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포만감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과 종실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밤, 호두, 은행, 잣, 땅콩, 아몬드, 피칸, 케슈너트, 개암, 마카다미아, 피스타치오, 도토리, 참깨, 면실, 해바라기씨, 호박씨, 들깨, 올리브, 달맞이꽃씨, 목화씨, 유채(카놀라)씨, 팜 및 홍화씨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과 종실류는 들깨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 있으며, 고혈압, 심근 경색 등과 같은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작물 혼합 분말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체 사료 조성물 중 5 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다양한 종류의 무기질 예를 들면,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등과 함께 양질의 섬유소를 제공함으로써 포만감을 부여하고, 급격하게 당화되지 않아 혈당이 빠르게 상승하지 않는 고품질의 탄수화물을 에너지원으로 제공하면서도 과도한 섭취에 의한 비만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질 분말은 난황 분말, 난각 분말, 비타민 분말 및 칼슘 분말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려견이 섭취하기 어려운 무기질 영양소를 공급하여 영양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무기질 분말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체 사료 조성물 중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영양 상태 개선에 대한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약초 추출물은 엄나무, 팽이버섯, 삼백초 및 황칠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로, 반려견의 성장 발육을 촉진하고,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약초 추출물 중 엄나무는 풍습 제거하고 경락을 잘 통하게 하며 통증을 완화하고, 염증을 치료하고 간기능을 회복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 성분이다. 이러한 엄나무를 포함하는 약초 추출물을 사료에 이용하는 경우, 반려견의 가려움증을 완화할 수 있으며, 항염 및 소염작용이 있어 피부 질환 예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약초 추출물 중 팽이버섯은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비만, 당뇨, 암에 효과가 있고, 습관성 변비나 대변 건조증에 좋으며 성장 발육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 성분이다. 이러한 팽이버섯을 포함하는 약초 추출물을 사료에 이용하는 경우, 반려견의 위의 유동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소화를 돕고 변비를 해소하고, 성장 발육을 촉진하면서, 혈지방을 낮추고,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비만, 당뇨 등과 같은 개 성인방을 예방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약초 추출물 중 삼백초는 해독, 항균, 소종, 소담, 심장질환, 당뇨, 동맥경화, 고혈압의 개선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 성분이다. 삼백초에는 퀘르세틴(quercetin), 퀘르세틴(quercitrin), 이소퀘르세틴(isoquercitrin), 루틴(rutin) 및 수용성 탄닌(tannin) 등이 함유되어 있어, 혈액의 순환을 돕고, 항산화 효과가 있어 과산화 지질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삼백초는 예를 들면 삼백초 줄기일 수 있다. 이러한 삼백초를 포함하는 약초 추출물을 사료에 이용하는 경우, 반려견의 위의 유동 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소화를 돕고 변비를 해소하고, 성장 발육을 촉진시키면서, 혈지방을 낮추고,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비만, 당뇨, 피부질환 등과 같은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약초 추출물 중 황칠은 혈액 내의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고 고밀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 성분이다. 황칠은 면역력 증진이 효능이 있고, 뼈의 재생을 촉진하고 항산화 성분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황칠을 포함하는 약초 추출물을 사료에 이용하는 경우, 반려견의 성장 발육을 촉진하고,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비만, 당뇨 등과 같은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엄나무, 팽이버섯, 삼백초 및 황칠의 열수 추출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각 재료의 건조물을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하거나, 상기 각 재료의 건조물을 별도로 열수 추출한 후 얻어진 추출액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초 추출물은 엄나무 건조물 60 중량% 내지 80 중량%, 팽이 버섯 건조물 5중량% 내지 10 중량%, 삼백초 건조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및 황칠 건조물 1 중량%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반려견의 성장 발육을 촉진하고,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초 추출물은 구기자, 황기, 목이버섯, 미나리, 진피, 사삼, 산사, 삼백초잎, 오미자, 은이버섯, 토마토, 인삼, 두충 및 익모초 중 3종 이상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계절 등과 같이 일정 주기로 변하는 환경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반려견의 선호도를 더욱 충족시키면서도, 영양 공급에 우수한 효과를 구현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약초 추출물과 생약 추출물의 중량비는 1:0.5 내지 1:2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계절 등과 같이 일정 주기로 변하는 환경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반려견의 선호도를 더욱 충족시키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초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구기자 10중량%, 황기 10중량%, 목이버섯 10중량% 및 미나리 7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1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료의 신맛을 낮추고 단맛을 향상시켜 반려견의 선호도를 더욱 향상시킨 봄 계절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봄 계절용 사료 조성물은 날씨 변화가 심하고, 일교차가 심한 봄 계절 환경에서 반려견의 선호도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약초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진피 10중량%, 사삼 10중량%, 목이버섯 10중량% 및 삼백초잎 7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1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료의 쓴맛을 낮추고 매운맛을 향상시켜 반려견의 선호도를 더욱 향상시킨 여름 계절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여름 계절용 사료 조성물은 낮이 길고 더우며, 습도가 높은 여름 계절 환경에서 반려견의 선호도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약초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산사 10중량%, 오미자 10중량%, 은이버섯 10중량% 및 토마토 7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1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료의 매운맛을 낮추고 신맛을 향상시켜 반려견의 선호도를 더욱 향상시킨 가을 계절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을 계절용 사료 조성물은 기압이 높고, 기온이 낮은 가을 계절 환경에서 반려견의 선호도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약초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인삼 10중량%, 두충 10중량%, 목이버섯 10중량%, 익모초 7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1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료의 짠맛을 낮추고 쓴맛을 향상시켜 반려견의 선호도를 더욱 향상시킨 겨울 계절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겨울 계절용 사료 조성물은 온도가 매우 낮아지고, 일조량 및 활동량이 낮은 겨울 계절 환경에서 반려견의 선호도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약초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체 사료 조성물 중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반려견의 성장 발육을 촉진하고, 개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전술한 분쇄 오리육 부산물, 작물 혼합 분말, 무기질 분말과 함께 반죽이 되기에 적합한 정도에 수분을 공급하고, 우수한 식감의 사료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분쇄 오리육 부산물 40 중량% 내지 85 중량%, 작물 혼합 분말 5 중량% 내지 40 중량%, 무기질 분말 0.1 중량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약초 추출물 1 중량%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반려견의 영양을 균형있게 증진시키면서도, 기호성을 높이고, 개 식원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엄나무 건조물, 팽이 버섯 건조물, 삼백초 건조물 및 황칠 건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9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조한 약초 추출물에, 분쇄 오리육 부산물, 작물 혼합 분말 및 무기질 분말을 첨가하여 반죽하고, 상기 반죽을 성형한 후 열처리 또는 동결 건조 처리 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을 통해 전술한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더욱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서 각 성분의 구체적인 예시, 예시적인 함량 등은 전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제조예 1 : 분쇄 오리육 부산물의 제조
오리 머리, 오리 발, 오리 날개 및 오리 뼈를 각각 분쇄한 후, 오리 머리 25 중량%, 오리 발 25 중량%, 오리 날개 25 중량% 및 오리 뼈 25 중량%로 배합하여 분쇄 오리육 부산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약초 추출물의 제조
엄나무 70중량%, 팽이버섯 10중량%, 삼백초줄기 19중량% 및 황칠 1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중량 10 배수의 물을 부어 15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100℃에서 1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용기에 옮긴 후, 남은 고형물에 상기 혼합물 중량 6 배수의 물을 부어 15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100℃에서 1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앞서 제조한 열수 추출물에 첨가한다.
실시예 1 : 일반 사료의 제조
분쇄 오리육 부산물 50 중량%, 작물 혼합 분말(귀리 분말 10 중량%, 익힌 당근 분말 5 중량%, 들깨 분말 2.5 중량%, 현미 분말 10 중량%, 브로콜리 분말 1 중량%, 양배추 분말 0.5 중량%, 보리 분말 9 중량%), 무기질 분말(난각 분말 2.5 중량% 및 비타민 D3 0.1 중량%), 향미 증진을 위한 건조 멸치분말 2.5 중량% 및 난황 분말 2 중량%를 약초 추출물 4.9 중량%에 투입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한 후, 절단된 반죽을 100℃의 찜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반죽을 성형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실시예 2 : 단미 생간식 사료의 제조
분쇄 오리육 부산물 85 중량%, 작물 혼합 분말(귀리 분말 4 중량% 및 양배추 분말 1.5 중량%, 당근 분말 2.1 중량%) 를 약초 추출물 7.4 중량%에 투입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한 후, 적절한 크기로 포장하여 급속 냉동하였다.
실시예 3 : 간식 사료의 제조
분쇄 오리육 부산물 80 중량%, 작물 혼합 분말(귀리 분말 4 중량%, 익힌 당근 분말 5 중량%, 브로콜리 분말 1 중량%, 양배추 분말 1.5 중량%), 무기질 분말(난각 분말 2.5 중량%), 난황 분말 2 중량%를 약초 추출물 4 중량%에 투입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한 후, 절단된 반죽을 100℃의 찜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반죽을 성형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실시예 4 : 계절용 사료의 제조(1)
분쇄 오리육 부산물 50 중량%, 작물 혼합 분말(귀리 분말 10 중량%, 익힌 당근 분말 5 중량%, 들깨 분말 2.5 중량%, 현미 분말 10 중량%, 브로콜리 분말 1 중량%, 양배추 분말 0.5 중량%, 보리 분말 9 중량%), 무기질 분말(난각 분말 2.5 중량% 및 비타민 D3 0.1 중량%), 향미 증진을 위한 건조 멸치분말 2.5 중량% 및 난황 분말 2 중량%를 혼합하여 고형분 혼합물을 제조 하였다.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약초 추출물에 구기자, 황기, 목이버섯 및 미나리 건조물을 1:1:1: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에서 1시간 열수 추출한 추출액을 1:1의 중량비로 투입하여 약초 추출물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약초 추출물 혼합액 4.9 중량%를 상기 고형분 혼합물에 투입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한 후, 100℃의 찜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반죽을 성형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실시예 5 : 계절용 사료의 제조(2)
분쇄 오리육 부산물 50 중량%, 작물 혼합 분말(귀리 분말 10 중량%, 익힌 당근 분말 5 중량%, 들깨 분말 2.5 중량%, 현미 분말 10 중량%, 브로콜리 분말 1 중량%, 양배추 분말 0.5 중량%, 보리 분말 9 중량%), 무기질 분말(난각 분말 2.5 중량% 및 비타민 D3 0.1 중량%), 향미 증진을 위한 건조 멸치분말 2.5 중량% 및 난황 분말 2 중량%를 혼합하여 고형분 혼합물을 제조 하였다.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약초 추출물에 진피, 사삼, 목이버섯 및 삼백초잎 건조물을 1:1:1:7의 중량비로 혼합한 100℃ 1시간 열수 추출물을 1:1의 혼합하여 100℃에서 1시간 열수 추출한 추출액을 1:1의 중량비로 투입하여 약초 추출물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약초 추출물 혼합액 4.9 중량%를 상기 고형분 혼합물에 투입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한 후, 100℃의 찜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반죽을 성형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실시예 6 : 계절용 사료의 제조(3)
분쇄 오리육 부산물 50 중량%, 작물 혼합 분말(귀리 분말 10 중량%, 익힌 당근 분말 5 중량%, 들깨 분말 2.5 중량%, 현미 분말 10 중량%, 브로콜리 분말 1 중량%, 양배추 분말 0.5 중량%, 보리 분말 9 중량%), 무기질 분말(난각 분말 2.5 중량% 및 비타민 D3 0.1 중량%), 향미 증진을 위한 건조 멸치분말 2.5 중량% 및 난황 분말 2 중량%를 혼합하여 고형분 혼합물을 제조 하였다.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약초 추출물에 산사, 오미자, 은이버섯 및 토마토 건조물을 1:1:1: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에서 1시간 열수 추출한 추출액을 1:1의 중량비로 투입하여 약초 추출물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약초 추출물 혼합액 4.9 중량%를 상기 고형분 혼합물에 투입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한 후, 100℃의 찜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반죽을 성형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실시예 7 : 계절용 사료의 제조(4)
분쇄 오리육 부산물 50 중량%, 작물 혼합 분말(귀리 분말 10 중량%, 익힌 당근 분말 5 중량%, 들깨 분말 2.5 중량%, 현미 분말 10 중량%, 브로콜리 분말 1 중량%, 양배추 분말 0.5 중량%, 보리 분말 9 중량%), 무기질 분말(난각 분말 2.5 중량% 및 비타민 D3 0.1 중량%), 향미 증진을 위한 건조 멸치분말 2.5 중량% 및 난황 분말 2 중량%를 혼합하여 고형분 혼합물을 제조 하였다.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약초 추출물에 인삼, 두충, 목이버섯 및 익모초를 1:1:1: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에서 1시간 열수 추출한 추출액을 1:1의 중량비로 투입하여 약초 추출물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약초 추출물 혼합액 4.9 중량%를 상기 고형분 혼합물에 투입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한 후, 100℃의 찜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반죽을 성형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비교예 1
분쇄 오리육 부산물 50 중량%, 작물 혼합 분말(귀리 분말 10 중량%, 익힌 당근 분말 5중량%, 들깨 분말 2.5 중량%, 현미 분말 10 중량%, 브로콜리 분말 1 중량%, 양배추 분말 0.5 중량%, 보리 분말 9 중량%), 무기질 분말(난각 분말 2.5 중량%), 향미 증진을 위한 건조 멸치분말 2.5 중량% 및 난황 분말 2 중량%를 식용수 4.9 중량%에 투입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한 후, 절단된 반죽을 100℃의 찜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반죽을 성형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비교예 2
분쇄오리육 50 중량%, 작물 혼합 분말(귀리 분말 10 중량%, 익힌 당근 분말 5중량%, 들깨 분말 2.5 중량%, 현미 분말 10 중량%, 브로콜리 분말 1 중량%, 양배추 분말 0.5 중량%, 보리 분말 9 중량%), 무기질 분말(난각 분말 2.5 중량% 및 비타민 D3 0.1 중량%), 향미 증진을 위한 건조 멸치분말 2.5 중량% 및 난황 분말 2 중량%를 식용수 4.9 중량%에 투입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한 후, 절단된 반죽을 100℃의 찜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반죽을 성형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비교예 3
분쇄 오리육 부산물 50 중량%, 볶은 현미 분말 38 중량%, 무기질 분말(난각 분말 2.5 중량% 및 비타민 D3 0.1 중량%), 향미 증진을 위한 건조 멸치분말 2.5 중량% 및 난황 분말 2 중량%를 식용수 4.9 중량%에 투입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한 후, 절단된 반죽을 100℃의 찜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반죽을 성형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사료를 반려견에게 동시에 동량으로 급여 후 선호도를 평가하고, 이를 24시간 단위로 7회 반복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약초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에서 제조된 사료에 대한 선호도가 급여 사료 위치, 평가 횟수 등에 무관하게 더욱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Claims (21)

  1. 분쇄 오리육 부산물, 작물 혼합 분말, 무기질 분말 및 약초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약초 추출물은 엄나무 건조물, 팽이 버섯 건조물, 삼백초 건조물 및 황칠 건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이고,
    상기 약초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구기자, 황기, 목이버섯, 미나리, 진피, 사삼, 산사, 삼백초잎, 오미자, 은이버섯, 토마토, 인삼, 두충 및 익모초 중 3종 이상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 10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약 추출물은 구기자 10중량%, 황기 10중량%, 목이버섯 10중량% 및 미나리 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진피 10중량%, 사삼 10중량%, 목이버섯 10중량% 및 삼백초잎 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산사 10중량%, 오미자 10중량%, 은이버섯 10중량% 및 토마토 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또는 인삼 10중량%, 두충 10중량%, 목이버섯 10중량% 및 익모초 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분쇄 오리육 부산물 40 중량% 내지 85 중량%, 작물 혼합 분말 5 중량% 내지 40 중량%, 무기질 분말 0.1 중량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약초 추출물 1 중량%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초 추출물의 혼합물은 엄나무 건조물 60 중량% 내지 80 중량%, 팽이 버섯 건조물 5 중량% 내지 10 중량%, 삼백초 건조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및 황칠 건조물 1 중량%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오리육 부산물은 오리 생육, 오리 머리, 오리 목, 오리 발, 오리 날개 및 오리 뼈 중 4종 이상을 포함하는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혼합 분말은 곡류 분말, 채소류 분말, 서류 분말, 견과 종실류 분말 중 2종 이상의 분말을 포함하는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분말은 난황 분말, 난각 분말 및 칼슘 분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초 추출물과 생약 추출물의 중량비는 1:1인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엄나무 건조물, 팽이 버섯 건조물, 삼백초 건조물 및 황칠 건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9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조한 약초 추출물에,
    분쇄 오리육 부산물, 작물 혼합 분말 및 무기질 분말을 첨가하여 반죽하고, 상기 반죽을 성형한 후, 건조처리, 열처리 또는 동결처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반죽은 상기 약초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구기자, 황기, 목이버섯, 미나리, 진피, 사삼, 산사, 삼백초잎, 오미자, 은이버섯, 토마토, 인삼, 두충 및 익모초 중 3종 이상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 10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약 추출물은 구기자 10중량%, 황기 10중량%, 목이버섯 10중량% 및 미나리 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진피 10중량%, 사삼 10중량%, 목이버섯 10중량% 및 삼백초잎 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산사 10중량%, 오미자 10중량%, 은이버섯 10중량% 및 토마토 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또는 인삼 10중량%, 두충 10중량%, 목이버섯 10중량% 및 익모초 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을 포함하는 것인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은 분쇄 오리육 부산물 40 중량% 내지 85 중량%, 작물 혼합 분말 5 중량% 내지 40 중량%, 무기질 분말 0.1 중량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약초 추출물 1 중량%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오리육 부산물은 오리 머리, 오리 목, 오리 발, 오리 날개 및 오리 뼈 중 4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작물 혼합 분말은 곡류 분말, 채소류 분말, 서류 분말, 견과 종실류 분말 중 2종 이상의 분말을 포함하는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초 추출물의 혼합물은 엄나무 건조물 60 중량% 내지 80 중량%, 팽이 버섯 건조물 5 중량% 내지 10 중량%, 삼백초 건조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및 황칠 건조물 1 중량%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분말은 난황 분말, 난각 분말, 비타민 분말 및 칼슘 분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70115449A 2017-09-08 2017-09-08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1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449A KR102021659B1 (ko) 2017-09-08 2017-09-08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449A KR102021659B1 (ko) 2017-09-08 2017-09-08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234A KR20190028234A (ko) 2019-03-18
KR102021659B1 true KR102021659B1 (ko) 2019-11-04

Family

ID=6594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449A KR102021659B1 (ko) 2017-09-08 2017-09-08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65B1 (ko) * 2019-03-18 2021-11-04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오미자 줄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질 개선을 위한 가축 급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06792B1 (ko) * 2019-12-20 2022-06-10 주식회사 봄프렌즈 다이어트 기능성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2640147B1 (ko) * 2020-11-13 2024-02-26 서성원 배스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102273166B1 (ko) * 2020-11-25 2021-07-02 박진영 치즈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간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2255B1 (ko) * 2020-12-17 2023-09-26 대한민국 목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2025B1 (ko) * 2021-04-01 2021-08-24 두산펫푸드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리부산물을 이용한 펫푸드 제조방법
KR102378338B1 (ko) * 2021-08-19 2022-03-25 주식회사 마스코 애완동물용 영양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9824B1 (ko) * 2023-08-07 2024-03-20 이나윤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729B1 (ko) * 2014-05-19 2017-04-10 주식회사 알파벳 진생베리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반려동물 사료
KR101768806B1 (ko) * 2016-04-04 2017-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릅나무과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암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29802A4 (en) * 1999-09-06 2004-01-21 Effem Foods FOO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10096102A (ko) * 2010-02-12 2011-08-29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729B1 (ko) * 2014-05-19 2017-04-10 주식회사 알파벳 진생베리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반려동물 사료
KR101768806B1 (ko) * 2016-04-04 2017-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릅나무과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234A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659B1 (ko)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5958B1 (ko) 고구마와 육류 또는 어류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간편식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애완동물용 간편식
KR102180642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어묵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7771B1 (ko) 애완 동물 영양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1136B1 (ko) 반려동물용 기능성 습식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5996B1 (ko) 영양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CN104351500A (zh) 一种改善鸡蛋风味的蛋鸡饲料及其制作方法
CN105533258A (zh) 螃蟹饲料及其制作方法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989014A (zh) 家禽饲料
KR101831033B1 (ko) 꽃송이 버섯, 노루둥뎅이 및 동충하초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
KR20210051507A (ko) 동애등에 유충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nigwe et al. The nutritive profile of sun-dried paw-paw (Carica papaya) leaf meal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KR102296137B1 (ko) 반려동물용 영양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영양사료 제조방법
KR102640147B1 (ko) 배스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102041394B1 (ko) 단호박을 함유한 귀뚜라미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00641A (zh) 一种土鸡的养殖方法
KR102472777B1 (ko)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CN103918943A (zh) 能提高肉质的鸡饲料
CN105166918A (zh) 一种鲜香可口的粗粮同熟米及其制备方法
KR20210037864A (ko) 피모 개선 및 기호성이 증진된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KR20200134857A (ko) 친환경 현미와 고소애를 주요성분으로 하는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891823B1 (ko) 조류 사료와 그 제조방법
CN107318759A (zh) 一种七百弄鸡的养殖方法
CN103918945A (zh) 家禽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