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122B1 -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 Google Patents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122B1
KR102021122B1 KR1020190016744A KR20190016744A KR102021122B1 KR 102021122 B1 KR102021122 B1 KR 102021122B1 KR 1020190016744 A KR1020190016744 A KR 1020190016744A KR 20190016744 A KR20190016744 A KR 20190016744A KR 102021122 B1 KR102021122 B1 KR 10202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take
liquefied petroleum
petroleum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돈영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티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티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이티오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석유가스를 운반하기 위한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은 동력인출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차량에 안착되어 액화석유가스가 충전되는 벌크탱크, 및 상기 벌크탱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벌크탱크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공급받아 외부로 공급하는 밸브박스부를 포함하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동력을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인출하는 동력측면인출기구,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의 측면으로 인출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벌크탱크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강제적으로 토출하는 측면배치펌프, 및 상기 측면배치펌프와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의 사이에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하는 전자클러치 없이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측면배치펌프로 손실없이 전달하도록 상기 측면배치펌프와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를 직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직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측면배치펌프를 구동하는 구동력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클러치의 고장에 따른 미작동을 방지하고,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에 따른 측면배치펌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A bulk lorry vehicle for LPG}
본 발명은 액화석유가스를 운반하기 위한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석유가스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액화석유가스가 충전되는 탱크가 설치된 차량에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하여 운반한다.
한편, 액화석유가스를 운반하는 차량을 탱크로리 또는 벌크로리 차량이라고도 불리워지는 데, 벌크로리 차량에는 엔진의 동력을 인출하는 동력인출장치가 설치되어 동력인출장치가 펌프를 구동시켜 탱크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토출하는 형태로 사용처에 공급한다.
이러한 벌크로리 차량의 일례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11443호(2018.10.24.공고)의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은 차량에 설치되어 액화석유가스가 충전되는 벌크탱크, 상기 벌크탱크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상기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밸브박스로 제공하도록 상기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박스와 상기 벌크탱크를 연결하는 메인배관, 상기 메인배관과 함께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벌크탱크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상기 메인배관을 통해 상기 밸브박스로 토출하는 토출펌프, 및 상기 차량의 동력인출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펌프로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동력을 제공하거나, 차단하는 전자클러치를 포함하는 펌프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은 차량의 PTO축에서 토출펌프로 공급되는 동력을 전자클러치가 연결 또는 차단시켜 차량에서 PTO축을 직접 제어하지 않고 전자클러치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토출펌프를 신속히 작동 및 정지시켜 메인배관의 압력 증대 및 충전 시작시 공급지연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은 전자클러치가 전자 또는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전자계통에 고장 또는 오류가 발생할 경우, 토출펌프를 작동시키지 못해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자클러치를 설치함에 따라 제작비용이 증대되고 전자클러치에 의해 동력이 감소되어 토출펌프의 구동력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계통의 고장에 따라 토출펌프의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계를 단순화시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력이 감소를 최소화시켜 토출펌프의 구동력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은 동력인출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차량에 안착되어 액화석유가스가 충전되는 벌크탱크, 및 상기 벌크탱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벌크탱크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공급받아 외부로 공급하는 밸브박스부를 포함하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동력을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인출하는 동력측면인출기구,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의 측면으로 인출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벌크탱크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강제적으로 토출하는 측면배치펌프, 및 상기 측면배치펌프와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의 사이에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하는 전자클러치 없이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측면배치펌프로 손실없이 전달하도록 상기 측면배치펌프와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를 직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직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배치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측면배치펌프의 토출력에 의해 상기 벌크탱크의 액화석유가스를 상기 밸브박스부로 제공하며,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바닥의 돌출물 또는 충격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배치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는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축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휠,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측면배치펌프를 구동하는 인출휠, 및 상기 동력휠과 상기 인출휠을 연결하여 상기 동력휠의 동력을 상기 인출휠로 인출하는 동력인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결부는 상기 인출휠에 결합되는 제1 직결부, 상기 측면배치펌프에 결합되는 제2 직결부, 및 상기 제1 직결부와 상기 제2 직결부를 일직선상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은 상기 동력인출장치로부터 인출되는 동력이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로 전달되고,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와 연결된 직결결부를 통해서만 상기 측면배치펌프로 전달되어 상기 측면배치펌프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직결부는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고장 또는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의 고장의 발생 시 상기 측면배치펌프를 별도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와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동력인출기구와 측면배치펌프를 직결부에 의해 연결하여 동력인출장치로부터 측면배치펌프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측면배치펌프의 구동력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클러치의 설치를 배제하여 전자클러치의 고장 또는 오작동에 따른 측면배치펌프의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자클러치를 미설치함으로써,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벌크탱크에서 밸브박스부로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하는 구성를 차량의 측면에 배치하여 차량의 주행 시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리 및 정비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직결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동력인출장치 또는 측면동력인출기구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측면배치펌프를 개별적으로 작동시켜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의 동력측면인출부가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의 동력측면인출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의 동력측면인출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의 동력측면인출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의 동력측면인출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의 직결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의 직결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100)은 엔진(E)의 구동력에 의해 주행할 수 있으며, 앞바퀴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향될 수 있다.
그리고, 앞바퀴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운전석(110)이 설치되어 조향할 수 있으며, 운전석(110)의 후방으로는 하기에 설명될 벌크탱크(120)가 안착되는 차량프레임(111)이 뒷바퀴가 위치된 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의 운전석(110)의 바닥부분에는 엔진(E)의 동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동력인출장치(PTO,115)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동력인출장치(115)는 운전석(110)에 설치된 동력인출스위치에 의해 작동이 ON 또는 OFF 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석(110)에는 인출클러치가 설치되어 동력인출스위치를 ON시킨 상태에서 동력인출장치(115)의 동력축이 회전하도록 엔진(E)의 동력이 전달 또는 차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100)은 벌크탱크(120)와 밸브박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벌크탱크(120)는 액화석유가스를 운반하기 위해 액화석유가스가 충전될 수 있으며, 운전석(110)의 후방에 위치된 차량프레임(111)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벌크탱크(120)에는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공급하는 공급구(121)와 액화석유가스가 외부에서 충전되는 충전구가 벌크탱크(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증기를 미리 설정된 압력에서 배출하는 증기배출밸브가 설치된 유증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박스부(130)는 벌크탱크(120)의 전방 또는 벌크탱크(12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밸브박스부(130)는 벌크탱크(120)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외부로 공급하거나, 충전하기 위한 기구, 계량기 및 액화석유가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각종 밸브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박스부(130)에 설치된 밸브 및 액화석유가스를 충전 또는 공급하기 위한 기구, 계량기 등은 박스하우징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100)은 동력측면인출기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동력측면인출기구(140)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100)의 동력인출장치(115)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차량(100)의 측면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측면인출기구(140)에 의해 동력이 인출되는 차량(100)의 측면은 차량프레임(111)의 측면이거나, 벌크탱크(120)의 측면일 수 있다.
동력측면인출기구(140)는 차량(100)의 바닥에 벌크탱크(120)에서 외부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들을 바닥에 위치시키지 않고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차량(100)의 주행하는 바닥의 돌출물 또는 바닥에서 튀어오르는 충격물에 의해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들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동력측면인출기구(140)는 동력휠(141), 인출휠(143), 및 동력인출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휠(141)은 동력인출장치(115)의 동력축에 결합되어 동력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인출휠(143)은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되어 하기에 설명될 측면배치펌프(150)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인출부재(145)는 동력휠(141)과 인출휠(143)을 서로 연결하여 동력휠(141)의 동력을 인출휠(143)로 인출할 수 있다.
인출휠(143)은 동력휠(141)과 나란하게 차량(100)의 측면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동력인출부재(145)는 인출휠(143)의 동력을 동력휠(141)로 전달하여 동력인출장치(115)의 동력을 차량(100)의 측면으로 인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동력측면인출기구(140)는 동력휠(141)과 인출휠(143)이 풀리로 구현되고, 동력인출부재(145)는 벨트로 구현되어 동력휠(141)과 인출휠(143)에 벨트가 걸쳐져 동력휠(141)의 회전시 인출휠(143)이 함께 회전하는 형태로 동력인출장치(115)의 동력을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된 인출휠(143)로 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동력측면인출기구(140)는 동력휠(141)과 인출휠(143)이 스프로킷으로 구현되고, 동력인출부재(145)는 체인으로 구현되어 동력휠(141)과 인출휠(143)에 체인이 걸쳐져 동력휠(141)의 회전 시 인출휠(143)이 함께 회전하는 형태로 동력인출장치(115)의 동력을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된 인출휠(143)로 인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동력측면인출기구(140)는 동력휠(141)과 인출휠(143)이 기어로 구현되고, 동력인출부재(145)는 막대형태의 동력축의 양단에 동력휠(141)과 인출휠(143)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동력휠(141)의 회전에 따라 기어맞물림에 의해 동력인출부재(145)가 회전하며 동력인출부재(145)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맞물림에 의해 인출휠(143)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동력인출장치(115)의 동력을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된 인출휠(143)로 인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동력휠(141)과 인출휠(143), 그리고, 동력인출부재(145)가 서로 맞물리는 기어는 동력을 직각된 방향으로 전환하는 베벨기어이거나, 웜과 웜기어의 형태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동력측면인출기구(140)는 동력휠(141)과 인출휠(143)이 기어로 구현되고, 동력인출부재(145)는 서로 맞물리는 복수 개의 기어로 구성되어 동력휠(141)의 회전에 따라 동력인출부재(145)의 기어들이 회전하여 인출휠(143)을 기어맞물림에 의해 인출휠(14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외 동력측면인출기구(140)는 인출휠(143)과 동력휠(141)이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동력인출부재(145)에 의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동력측면인출기구(140)의 동력인출부재(145)가 벨트 또는 체인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벨트 또는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구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장력조절기구는 벨트 또는 체인의 외면을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측면인출기구(140)에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동력휠(141)에서 인출휠(143)로 인출되는 동력인출장치(115)의 힘 또는 속도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출휠(143)에는 동력인출장치(115)의 고장 시 동력인출부재(145)를 제거한 상태에서 측면배치펌프(150)과 연결된 인출휠(143)을 수동조작하여 측면배치펌프(150)를 구동하기 위한 핸들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핸들홈은 인출휠(143)을 중심으로 측면배치펌프(150)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된 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핸들홈에는 인출휠(143)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끼워 결합하거나, 전동공구에 핸들홈에 끼워지는 공구를 설치하여 전동공구에 의해 인출휠(143)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인출휠(143)과 연결된 측면배치펌프(150)를 구동함으로써, 차량(100)의 엔진(E)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없는 고장상황에서도 밸브탱크(120)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물론, 핸들에는 핸들의 회전력을 변환하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핸들의 회전력을 변환하여 인출휠(143)을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100)은 측면배치펌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면배치펌프(150)는 벌크탱크(120)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강제적으로 토출하여 밸브박스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측면배치펌프(150)는 유체 또는 기체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는 공지된 펌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측면배치펌프(150)는 차량(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동력측면인출기구(140)에서 인출되는 인출휠(143)의 회전하는 동력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인출휠(143)에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이 결합되어 측면동력인출기구에 의해 인출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인출휠(143)에 의해 펌프축이 함께 회전하는 형태로 측면배치펌프(1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측면배치펌프(150)가 차량(100)의 바닥에 위치된 것이 아니라,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차량(100)이 주행하는 바닥에서 돌출되는 돌출물 또는 바닥에서 튀어오르는 충격물에 의해 측면배치펌프(150)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측면배치펌프(150)의 크랙과 파손 등의 손상에 따라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100)은 직결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직결부(155)는 동력측면인출기구(140)와 측면배치펌프(150)의 사이에 위치되어 동력측면인출기구(140)의 동력을 측면배치펌프(150)로 전달할 수 있다.
직결부(155)는 전기적으로 제어되어 동력측면인출기구(140)로부터 측면배치펌프(150)로 제공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전자클러치의 구성 없이 동력측면인출(140)의 동력을 측면배치펌프(150)로 직접 전달하여 동력손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클러치의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자클러치는 전기 또는 전자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쉽게 고장이 발생하고, 전기신호의 오류 또는 전기의 공급이 차단 또는 경우, 전자클러치가 미작동됨에 따라 동력인출장치(115)로부터 측면배치펌프(150)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기 때문에 벌크탱크(120)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외부로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직결부(155)는 동력측면인출기구(140)의 동력이 측면배치펌프(150)로 전달되도록 동력측면인출기구(140)과 측면배치펌프(150)를 직결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결부(155)는 측면배치펌프(150)를 구동하는 펌프축으로 구현되어 펌프축이 인출휠(143)에 직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직결부(155)의 변형예로서, 변형예의 직결부(155)는 일단에 인출휠(143)과 결합되는 제1 직결부(155a)와 측면배치펌프(150)에 결합되는 제2 직결부(115b)와 제1 직결부(155a)와 제2 직결부(155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55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직결부(155)가 펌프축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인출휠(143)에 결합되는 펌프축의 끝단이 제1 직결부(155a)가 될 수 있으며, 인출휠(143)과 반대방향에 위치되어 측면배치펌프(150)에서 액화석유가스를 이송하는 날개차 또는 피스톤이 결합되는 끝단이 제2 직결부(155b)가 될 수 있으며, 중간부분이 연결부(155c)가 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제1 직결부(155a)와 제2 직결부(155b)를 플랜지형태로 형성하고, 제1 직결부(155a)를 인출휠(143)에 겹친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하고, 제2 직결부(155b)를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에 설치된 플랜지에 겹친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하는 형태로 설치하여 동력측면인출기구(140)과 측면배치펌프(150)를 직결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55c)는 동력인출장치(115)의 동력축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인출휠(143)의 중심축과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을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예의 직결부(155)는 동력측면인출기구(140)의 인출휠(143)과 측면배치펌프(150)의 사이 거리와 대응되는 길이의 연결부(155c)를 갖는 직결부(155)를 설치함으로써, 인출휠(143)가 측면배치펌프(150)가 서로 이격되어 있다하더라도 둘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변형예에서 제1 직결부(155a)와 제2 직결부(155b)가 모두 플랜지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어느 하나만 플랜지 형상을 갖고 나머지 하나는 인출휠(143) 또는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에 끼워지는 형상을 갖거나, 둘 모두가 인출휠(143) 또는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변형예의 직결부(155)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인출휠(143)과 측면배치펌프(150)의 사이에 결합되기 때문에 탈착가능하여 동력측면인출기구(140)의 고장 또는 동력인출장치(115)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직결부(155)를 인출휠(143)과 측면배치펌프(150)에서 분리 한 후, 측면배치펌프(150)를 별도의 구동수단으로 작동시켜 벌크탱크(120)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구동수단은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에 결합되어 수동으로 펌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또는 펌프축에 결합되는 공구를 전동으로 회전시키는 전동공구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핸들에는 핸들의 회전력을 변환하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핸들의 회전력을 변환하여 펌프축을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직결부(155)는 꼭 볼트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인출휠(143)과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에 서로 끼움구조를 갖거나, 다른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직결부(155)의 다른 변형예로서, 양측이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인출휠(143)에 결합된 인출축이 끼워지고, 타단에는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이 끼워져 상호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직결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직결부(155)는 동력인출장치(115)의 갑작스런 구동 또는 정지 따라 측면배치펌프(150)에 순간적인 구동력 또는 정지력이 작용하여 측면배치펌프(150)의 갑작스런 구동 또는 정지에 따른 파손을 최소화하도록 회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직결부(155)는 코일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휠에 인출휠(143)에 결합되고, 타단은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에 결합되어 동력인출장치(115)에 의해 인출휠(143)이 회전하면, 직결부(155)가 회전방향으로 비틀어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하고, 탄성력의 한계에 다다르면, 직결부(155)가 펌프축을 회전시키면서 탄성력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원된다.
반면, 동력인출장치(115)의 정지에 따라 인출휠(143)이 정지하더라도 관성에 의해 측면배치펌프(150)가 직결부(155)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하며 비틀어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하고, 탄성력의 한계에 다다르면,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형태로 측면배치펌프(150)로 작용하는 급작스런 작동에 따른 구동력 및 정지력을 탄성력에 의해 일부 감소시켜 측면배치펌프(150)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100)은 측면배치공급관(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면배치공급관(160)은 벌크탱크(120)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밸브박스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측면배치공급관(160)은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측면배치공급관(160)에는 측면배치펌프(150)가 연결되어 측면배치펌프(150)의 토출력에 의해 벌크탱크(120)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밸브박스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배치공급관(160)이 위치되는 차량(100)의 측면은 차량프레임(111)의 측면이거나, 벌브탱크의 측면일 수 있다.
그리고, 측면배치공급관(160)은 벌크탱크(120)의 공급구(121)에서 차량(100)의 측면으로 연장되고, 다시 차량(100)의 측면에서 밸브박스부(130)가 위치된 부분으로 연장되어 밸브박스부(130)의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하는 공급기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측면배치펌프(150)는 벌크탱크(120)의 하부에 위치된 공급구(121)에서 차량(100)의 측면으로 연장된 부분과 차량(100)의 측면에서 밸브박스부(130)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측면배치공급관(160)이 차량(100)의 측면으로 위치되면 차량(100)이 주행하는 바닥에서 돌출되는 돌출물 또는 바닥에서 튀어오르는 충격물에 의해 측면배치공급관(160)이 충격되어 측면배치공급관(160)의 크랙 또는 파손에 따른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100)은 기구커버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기구커버부(170)는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배치펌프(150) 및 동력측면인출기구(140)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례의 기구커버부(170)는 동력인출장치(115)가 위치되는 차량프레임(111)의 측면에서 커버프레임(171)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동력측면인출기구(140)의 인출휠(143)과 측면배치펌프(150)가 설치되어 외력으로부터 동력인출기구 및 측면배치펌프(150)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프레임(171)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커버판(173)이 설치되어 이물질에 의한 동력측면인출기구(140) 및 측면배치펌프(1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일례의 기구커버부(170)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동력인출장치(115)가 위치되는 차량프레임(111)의 측면에 설치되어 박스의 내부에 인출휠(143)과 측면배치펌프(150)가 설치되는 형태로 외력에 의해 측면동력인출기구(140) 및 측면배치펌프(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100)은 벌크탱크(120)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외부에 공급할 때에는 차량(100)의 운전석(110)에 설치된 인출스위치를 ON시키고, 인출클러치를 작동하여 엔진(E)의 동력을 동력인출장치(115)로 공급한다.
물론, 반대로 운전석에 설치된 인출클러치를 먼저 작동하여 인출스위치를 ON시켜 엔진(E)의 동력을 동력인출장치(115)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인출클러치에 의해 동력인출장치(115)로 동력이 공급되면, 동력측면인출기구(140)에 의해 차량(100)의 측면으로 인출된다.
동력측면인출기구(140)는 동력인출장치(115)에 의해 동력휠(141)이 회전하면, 동력휠(141)에 연결된 동력인출부재(145)에 의해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된 인출휠(143)이 회전하는 형태로 동력인출장치(115)의 동력이 차량(100)의 측면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인출된 동력에 의해 인출휠(143)이 회전하면, 인출휠(143)과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을 직결하여 연결하는 직결부(155)를 통해 측면배치펌프(150)로 동력이 전달되고, 측면배치펌프(150)의 작동에 의해 벌크탱크(120)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가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된 측면배치공급관(160)을 통해 밸브박스부(130)로 공급되고, 밸브박스부(130)로 공급된 액화석유가스는 공급기구에 의해 외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인출휠(143)이 직결부(155)에 의해 측면배치펌프(150)에 직결되어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클러치 등의 설치로 인한 제작비용의 증대 및 고장에 따른 작동의 불능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액화석유가스의 공급을 차단할 때에는 운전석(110)에 설치된 인출클러치 또는 인출스위치를 OFF로 작동시켜 엔진(E)에서 동력인출장치(115)로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측면배치펌프(15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벌크탱크(120)에서 밸브박스부(130)로 액화석유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동력인출장치(115)의 고장이 발생하여 동력을 측면배치펌프(150)로 동력을 제공하지 못할 때에는 동력측면인출기구(140)의 동력인출부재(145)의 연결을 제거하고, 인출휠(143)의 핸들홈에 핸들을 결합하거나, 전동공구의 공구를 끼운상태에서 인출휠(143)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인출휠(143)과 직결부(155)에 직결된 측면배치펌프(150)을 구동함으로써, 고장 또는 긴급상황에서도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인출휠(143)이 고장이 발생된 경우, 인출휠(143)과 측면배치펌프(150)의 펌프축을 연결하는 직결부(155)를 제거한 상태에서 펌프축에 핸들을 결합하거나, 전동공구를 결합하여 동력인출장치(115) 및 측면동력인출기구(140)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지 않더라도 측면배치펌프(150)를 작동시켜 벌크탱크(120)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100)은 측면동력인출기구(140)와 측면배치펌프(150)을 직결부(155)로 직결하여 연결함으로써, 동력인출장치(115)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측면배치펌프(150)를 구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클러치의 고장에 따른 측면배치펌프(150)의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자클러치의 미설치로 인해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인출장치(115)의 동력을 차량(100)의 측면으로 인출하고,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하는 측면배치펌프(150)와 측면배치공급관(160)이 차량(100)의 측면에 설치하여 차량(100)의 주행시 바닥에서 돌출되는 돌출물 또는 바닥에서 튀어오르는 충격물에 의해 측면배치펌프(150) 및 측면배치공급관(160)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가스의 누설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배치펌프(1500 및 측면배치공급관(160)이 차량(100)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시 가스누설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노후화 또는 파손에 따른 부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의 누설 시 초기대응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가스누설에 따른 폭발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직결부(155)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동력인출장치(115) 또는 측면동력인출기구(140)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측면배치펌프(150)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110: 운전석 111: 차량프레임
115: 동력인출장치 120: 벌크탱크
121: 공급구 130: 밸브박스부
140: 동력측면인출기구 141: 동력휠
143: 인출휠 145: 동력인출부재
150: 측면배치펌프 155: 직결부
155a: 제1 직결부 155b: 제2 직결부
155c: 연결부 160: 측면배치공급관
170: 기구커버부 171: 커버프레임
173: 커버판 E: 엔진

Claims (6)

  1. 동력인출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차량에 안착되어 액화석유가스가 충전되는 벌크탱크, 및 상기 벌크탱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벌크탱크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공급받아 외부로 공급하는 밸브박스부를 포함하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동력을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인출하는 동력측면인출기구,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의 측면으로 인출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벌크탱크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를 강제적으로 토출하는 측면배치펌프, 및
    상기 측면배치펌프와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의 사이에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하는 전자클러치 없이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측면배치펌프로 손실없이 전달하도록 상기 측면배치펌프와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를 직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직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배치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측면배치펌프의 토출력에 의해 상기 벌크탱크의 액화석유가스를 상기 밸브박스부로 제공하며,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바닥의 돌출물 또는 충격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배치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는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동력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축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휠,
    상기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측면배치펌프를 구동하는 인출휠, 및
    상기 동력휠과 상기 인출휠을 연결하여 상기 동력휠의 동력을 상기 인출휠로 인출하는 동력인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결부는
    상기 인출휠에 결합되는 제1 직결부, 상기 측면배치펌프에 결합되는 제2 직결부, 및 상기 제1 직결부와 상기 제2 직결부를 일직선상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은
    상기 동력인출장치로부터 인출되는 동력이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로 전달되고,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와 연결된 직결부를 통해서만 상기 측면배치펌프로 전달되어 상기 측면배치펌프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결부는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고장 또는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의 고장의 발생 시 상기 측면배치펌프를 별도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측면인출기구와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KR1020190016744A 2018-10-12 2019-02-13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KR102021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21890 2018-10-12
KR1020180121890 2018-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122B1 true KR102021122B1 (ko) 2019-11-04

Family

ID=6857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744A KR102021122B1 (ko) 2018-10-12 2019-02-13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1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379A (ja) * 1994-05-10 1995-11-21 Fuji Car Mfg Co Ltd 液化ガス充填用バルクローリ
JP2001277899A (ja) * 2000-03-31 2001-10-10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バルクローリの液送ポンプの駆動装置
KR101233394B1 (ko) * 2012-04-13 2013-02-15 (주)한서정공 차량 탑재형 분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379A (ja) * 1994-05-10 1995-11-21 Fuji Car Mfg Co Ltd 液化ガス充填用バルクローリ
JP2001277899A (ja) * 2000-03-31 2001-10-10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バルクローリの液送ポンプの駆動装置
KR101233394B1 (ko) * 2012-04-13 2013-02-15 (주)한서정공 차량 탑재형 분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122B1 (ko)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US7575015B2 (en) Secondarily contained in-dispenser sump/pa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monitoring leaks
CN103574023A (zh) 用于传动系的致动器装置
CN104302403B (zh) 驱动设备和工作机械设备
CN201560761U (zh) 开式传动的液压牵引采煤机
CN218368355U (zh) 管线加油车
CN110553013B (zh) 一种核电厂人员闸门传动系统
US9004100B2 (en) Tank container with a pump assembly
AU2013320649B2 (en) Drive unit for chain drives in mining
KR101911444B1 (ko) 탱크와 밸브박스가 분리된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KR101911443B1 (ko)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액화석유가스용 벌크로리 차량
CN103846060B (zh) 具有快速更换泵包组件的粘合剂熔化器和相关的方法
CN110550002A (zh) 无人驾驶方程式赛车的安全控制系统及其安全控制方法
CN218368351U (zh) 应用于管线加油车的输油管的提升装置及管线加油车
US20160257188A1 (en) Work machine having an electric drive
KR200397665Y1 (ko) 휴대용 주유 장치
CN114313013A (zh) 管线加油车的底盘大梁
KR200409760Y1 (ko) 2-행정 엔진용 기동 시스템 모듈
JP6371145B2 (ja) 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及び圧縮空気の供給方法
KR100978380B1 (ko) 유압 유니트 회로
CN206033208U (zh) 一种适用民航机场的柴油加油车
RU2798353C1 (ru) Комплект газодизель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самосвала БЕЛАЗ-75581
KR100761098B1 (ko) 휴대용 주유 장치
CN218703467U (zh) 管线加油车的底盘大梁
SU1638271A1 (ru) Гидропривод строительно-дорожной маш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