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898B1 -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 Google Patents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898B1
KR102019898B1 KR1020170118584A KR20170118584A KR102019898B1 KR 102019898 B1 KR102019898 B1 KR 102019898B1 KR 1020170118584 A KR1020170118584 A KR 1020170118584A KR 20170118584 A KR20170118584 A KR 20170118584A KR 102019898 B1 KR102019898 B1 KR 102019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shock
impact pad
shock absorbing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931A (ko
Inventor
최병기
이운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1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8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28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doors or panels, e.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 및 상기 포켓부의 측면과 직접 연결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MAP POCKET INTERGRATED IMPACT PAD}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임팩트 패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맵포켓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임팩트 패드가 설치된다.
차량에 설치되는 임팩트 패드는 차량의 충격 방향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며, 전면, 후면, 측면 등에 설치된다.
특히, 차량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은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가해지는 충격에 비해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탑승자의 상해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측면 충돌 시 탑승자는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충돌에 의한 반작용으로 도어트림에 부딪친다.
즉, 측면 충돌 차량의 형상에 의하여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강타하는 것을 시작으로 트림의 암레스트가 탑승자의 복부 중간부분을 타격하며, 마지막으로 관성에 의하여 도어트림 상단부에 탑승자의 가슴이 부딪치게 된다.
이들 여러 부분의 타격 과정이 모두 탑승자의 상해치와 관련이 있으며, 탑승자의 반력이나 변위 등으로 인체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
따라서, 측면 충돌로 인한 인체의 손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국내의 거의 모든 도어트림에는 측면 충돌 흡수를 위하여 임팩트 패드가 부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임팩트 패드는 별도의 조립 공정을 통해 도어트림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임팩트 패드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264173 (2014.06.13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 및 상기 포켓부의 측면과 직접 연결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포켓부와의 사이에 단이 형성되도록 상기 포켓부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직접 연장된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와 충격 흡수부는 각각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충격 흡수부 내부로 들어온 물체가 중력에 의해 상기 포켓부 쪽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포켓부 쪽으로 중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와 충격 흡수부는 각각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충격 흡수부 내부로 들어온 물체가 중력에 의해 상기 포켓부 쪽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포켓부 쪽으로 중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는 일측의 제1 측면과 타측의 제2 측면 및 제3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제2 측면의 측단부 및 상기 제3 측면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는 포켓부의 측면에 충격 흡수부가 연결되기 때문에 임팩트 패드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는 충격 흡수부 내부에 진입방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물체가 충격 흡수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는 충격 흡수부가 경사지게 연결되기 때문에 충격 흡수부 내부로 들어온 물체가 중력에 의해 외부로 나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가 도어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의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는 차량 도어의 내측 패널과 트림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는 차량 도어의 트림에 설치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는 포켓부(110) 및 충격 흡수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포켓부(110)는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포켓부(110)는 사용자가 책, 물병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포켓부(110)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트림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포켓부(110)의 수용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
포켓부(110)는 도어의 내측 패널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켓부(110)는 도어의 내측 패널을 향하는 돌출면(111) 및 돌출면(111)과 연결되는 측면(112,113,114,1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112,113,114,115)은 제1 측면(112), 제2 측면(113), 제3 측면(114) 및 제4 측면(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측면(112), 제2 측면(113), 제3 측면(114) 및 제4 측면(115)은 돌출면(111)의 형태에 따라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112)은 돌출면(111)의 일측 옆에, 제2 측면(113) 및 제3 측면(114)은 돌출면(111)의 타측 옆에, 제4 측면(115)은 돌출면(111)의 아래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면(112), 제2 측면(113), 제3 측면(114) 및 제4 측면(115)의 높이는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측면(113)의 높이는 제3 측면(114)의 높이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측면(112), 제2 측면(113) 및 제4 측면(115)의 높이는 서로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측면(112), 제2 측면(113) 및 제4 측면(115)의 높이는 서로 같고, 제3 측면(114)의 높이는 제1 측면(112), 제2 측면(113) 및 제4 측면(115)의 높이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는 포켓부(110)의 측면과 직접 연결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충격 흡수부(120)는 별도의 연결부, 브릿지 등을 통하지 않고 포켓부(110)의 측면과 직접 연결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가 포켓부(110)의 측면과 직접 연결되는 경우 차량 충격 시 연결부, 브릿지 등의 파손으로 충격 흡수부(120) 자체가 포켓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 흡수 기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가 포켓부(110)와 직접 연결되지 않은 경우, 차량 충격 시 충격에 의해 충격 흡수부(120)가 포켓부(110)로부터 이탈되어 최종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위치가 변경될 위험이 있다.
최종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위치가 변경될 경우, 차량 충격 시 충격 흡수부(120)의 충격 흡수 부위가 사용자의 골반이 아닌 다른 곳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서의 충격 흡수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부(120)는 포켓부(110)의 측면과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차량 충격 시 충격 흡수부(120)가 이탈될 위험이 감소하며, 설계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서의 충격 흡수가 가능하다.
충격 흡수부(120)는 포켓부(110)의 측면에 포켓부(110)와 단이 형성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는 포켓부(110)와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는 도어의 내측 패널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는 도어의 내측 패널을 향하는 돌출면(121) 및 돌출면(121)과 연결되는 측면(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의 측면(122)은 제4 측면(115)에 대해 일정한 경사(θ)를 가질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는 제2 측면(113)의 측단부 및 제3 측면(114)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는 충격 흡수부(120)의 돌출면(121)이 제3 측면(114)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측면(122)이 제2 측면(113)의 측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의 돌출면(121)이 제3 측면(114)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측면(122)이 제2 측면(113)의 측단부와 연결되는 경우 충격 흡수부(120)를 경사지게 연결하더라도 충격 흡수부(120)의 설치 공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의 돌출면(121)이 제3 측면(114)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측면(122)이 제2 측면(113)의 측단부와 연결되는 경우 충격 흡수부(120)를 경사지게 연결하더라도 충격 흡수부(120)가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의 설치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다른 구조물들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120) 내부에는 진입방지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진입방지부(130)는 물체가 충격 흡수부(12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진입방지부(130)는 진입방지면(131) 및 경사면(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진입방지면(131)은 충격 흡수부(120)의 돌출면(121) 내측에 수직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진입방지면(131)의 높이는 제2 측면(11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진입방지면(131)과 제3 측면(114)의 높이의 합은 제2 측면(11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진입방지면(131)의 높이, 돌출면(121)의 두께 및 제3 측면(114)의 높이의 합은 제2 측면(113)의 높이와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면(132)은 진입방지면(131) 단부와 돌출면(121)의 내측을 경사지게 연결한다.
경사면(132)은 충격 흡수부(120) 내부로 들어온 물체가 경사면(132)을 따라 충격 흡수부(120) 외부로 나가도록 한다.
충격 흡수부(120)는 진입방지면(131)을 통해 물체가 충격 흡수부(12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만일 충격 흡수부(120) 내부로 물체가 들어온다 하더라도 경사(θ)에 의해 진입방지부(130) 측으로 이동된 물체가 경사면(132)을 따라 외부로 나가도록 한다.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의 테두리에는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를 도어트림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140)는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부(140)에는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를 도어트림에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설치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110), 충격 흡수부(120), 진입방지부(130) 및 설치부(140)를 포함하는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포켓부 120 : 충격 흡수부
130 : 진입방지부 140 : 설치부

Claims (4)

  1.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 및
    상기 포켓부의 측면과 직접 연결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포켓부와의 사이에 단이 형성되도록 상기 포켓부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직접 연장되며,
    상기 포켓부와 충격 흡수부는 각각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충격 흡수부의 내부에는 상기 포켓부와의 경계영역 내측으로 물체가 충격 흡수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진입방지부가 형성된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2. 삭제
  3.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 및
    상기 포켓부의 측면과 직접 연결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포켓부와의 사이에 단이 형성되도록 상기 포켓부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직접 연장되며,
    상기 포켓부와 충격 흡수부는 각각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충격 흡수부 내부로 들어온 물체가 중력에 의해 상기 포켓부 쪽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포켓부 쪽으로 중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일측의 제1 측면과 타측의 제2 측면 및 제3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제2 측면의 측단부 및 상기 제3 측면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KR1020170118584A 2017-09-15 2017-09-15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KR10201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584A KR102019898B1 (ko) 2017-09-15 2017-09-15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584A KR102019898B1 (ko) 2017-09-15 2017-09-15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931A KR20190030931A (ko) 2019-03-25
KR102019898B1 true KR102019898B1 (ko) 2019-09-11

Family

ID=6590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584A KR102019898B1 (ko) 2017-09-15 2017-09-15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09613A (ja) * 2020-01-15 2021-08-0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ドア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417A (ja) 2002-04-10 2003-10-21 Araco Corp 車両用ドアトリム
JP2010167935A (ja) 2009-01-23 2010-08-05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ポケット構造
JP2014040145A (ja) * 2012-08-21 2014-03-06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ドアの衝撃吸収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5658A (ja) * 1994-01-24 1995-08-0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ライニング構造
KR101264173B1 (ko) 2010-04-30 2013-05-14 덕양산업 주식회사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417A (ja) 2002-04-10 2003-10-21 Araco Corp 車両用ドアトリム
JP2010167935A (ja) 2009-01-23 2010-08-05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ポケット構造
JP2014040145A (ja) * 2012-08-21 2014-03-06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ドアの衝撃吸収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09613A (ja) * 2020-01-15 2021-08-0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ド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931A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0509A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to protect passengers during side collision
US10596994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KR102558599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20180134244A1 (en) Front airbag for vehicle
US20090289465A1 (en) Automobile Bumper Back Beam Structure
CN106184403A (zh) 车辆前部构造
US6641209B2 (en) Front-hood arrangement for a passenge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740293B2 (en) Combination bumper cover and stiffener for vehicles
KR102019898B1 (ko)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EP1371509B1 (en) Vehicle windshield mounting structure
JP2019038497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20140032775A (ko) 선 루프 차량의 상부 차체 구조
JP4457909B2 (ja) カウルルーバ
JP2019043419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US20050184502A1 (en) Detachment prevention device of seat rail for vehicle
JP3744063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6304279B2 (ja) 車両のバンパ支持構造
KR102047999B1 (ko) 공간 확장 주차 시스템
KR101219994B1 (ko) 시트 벨트 마운팅 구조
JP7305500B2 (ja) インナトリム
KR102019897B1 (ko)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RU2576645C2 (ru) Фурнитурная деталь
JP2002144988A (ja) 自動車用バンパ構造
KR101294436B1 (ko) 차량의 천정 강성 향상 구조
KR20030096501A (ko) 자동차용 필러 트림의 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