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173B1 -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173B1
KR101264173B1 KR1020100040721A KR20100040721A KR101264173B1 KR 101264173 B1 KR101264173 B1 KR 101264173B1 KR 1020100040721 A KR1020100040721 A KR 1020100040721A KR 20100040721 A KR20100040721 A KR 20100040721A KR 101264173 B1 KR101264173 B1 KR 10126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im
fixing
groove
coupling groove
absorben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224A (ko
Inventor
송준수
김삼영
곽성복
문찬성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17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1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는, 외측패널과 도어 트림 사이에 흡수패드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도어 트림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흡수패드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도어 트림 및 흡수패드는 고정홈에 일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결합홈에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되, 고정부재는, 바(bar) 형상의 고정부재 바디와, 고정부재 바디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며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 슬릿이 형성된 도어트림 고정부와, 고정부재 바디의 타단부에 마련되되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며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 슬릿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홈 및 결합홈은 각각, 도어 트림 고정부 및 고정부의 삽입시 그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도어 트림 고정부 및 고정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결합홈에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흡수패드와 고정부 상호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결합홈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결합홈의 내주면을 따라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트림에 설치되어 외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부재의 설치 용이성과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도어 트림, 흡수패드 또는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재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Impact absorbing structure of door trim for a car with improved maintenance}
본 발명은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어 트림에 설치되어 외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부재의 설치 용이성과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도어 트림, 흡수패드 또는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재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내측에는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된 도어트림이 설치되어 있으며, 탑승자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직물 또는 가죽 등으로 형성된 센터클로스가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이 중공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에 충격 전달시 탑승자에게 직접 충격이 전달되는 바, 도어와 근접된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어트림에는 충격흡수패드가 삽입된다. 즉, 측면 충돌 시 도어가 실내로 밀릴 때 충격흡수패드가 탑승자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일예로 도어 트림(10)의 충격 흡수를 위해 패드(form pat ; 2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를 위한 패드가 도어 트림상에 스크류(30)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이처럼 스크류를 이용한 종래기술은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조립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스크류가 유입되거나 빠질 경우 차량 주행 중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단순히 충격흡수패드를 도어트림에 복수 마련된 열융착보스 위에 위치시킨 후 열융착기의 고열로 열융착보스를 녹여 충격흡수패드를 도어트림에 고정하였다.
그런데, 열융착기로 열융착보스를 녹일 때 열융착기의 높은 온도에 의해 충격흡수패드 역시 녹아서 문드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충격흡수패드가 도어트림에 견고히 고정되지 않아 유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자동차의 주행 중 충격흡수패드와 도어트림 간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열융착 방법의 경우 부착을 위하여 별도의 부착 공간이 필요하고 융착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어 트림에 돌기를 형성하여 충격흡수패드에 돌기가 삽입고정되도록 한 일부 기술도 존재하나 이러한 기술은 돌기가 파손된 경우 도어 트림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유지보수 자체도 불편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데 있어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조립 공정의 간소화와 설계의 용이성을 가지는 충격 도어 트림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트림, 흡수부재 또는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재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측패널과 도어 트림 사이에 흡수패드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트림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흡수패드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 트림 및 상기 흡수패드는 상기 고정홈에 일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에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바(bar) 형상의 고정부재 바디와, 상기 고정부재 바디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며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 슬릿이 형성된 도어트림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재 바디의 타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며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 슬릿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 및 상기 결합홈은 각각, 상기 도어 트림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삽입시 그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트림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홈에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상기 흡수패드와 상기 고정부 상호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을 따라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융착 또는 스크류를 미 사용함에 따라 공정 간소화 및 부품수를 절감시킬 수 있고, 융착기와 같은 조립 공정에 필요한 부수적 조립기기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조립의 견고성 및 위치 제어를 판재를 통해 가공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으며, 도어 트림, 흡수패드 또는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재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트림 충격 흡수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트림, 흡수패드 및 고정부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흡수패드가 도어 트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이하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라 함)는,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패널과 내측에 구비되는 도어 트림을 포함하여 자동차 도어를 구성함에 있어 외측패널과 도어 트림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도어 트림에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도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소정크기의 흡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충격 흡수 구조는 조립의 용이성과 조립공정 간소화를 통한 생산비용 절감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격 흡수용 흡수패드를 조립하는 과정에 있어 별도의 조립장비나 조립부품이 필요 없이 끼움결합을 통해 조립하는 도어 트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안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충격 흡수 구조는 도어 트림, 흡수패드 또는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재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의 비용을 낮추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트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안하는데 특징이 있다.
자동차의 도어(400)를 구성함에 있어 크게 외측에 형성되는 금속재의 외측 패널(410)과, 내측 즉 차량 실내쪽으로 형성되는 도어 트림(1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 패널과 도어 트림(100) 사이에는 외부 충격 시 차량 내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기 위하여 후술할 흡수패드(30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충격 흡수를 위한 흡수패드(300)가 도어 트림(100)과 고정부재(200)에 의하여 상호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도어 트림(100) 및 흡수패드(300)는 고정부재(200)에 의하여 상호 연결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도어 트림(100)에는 고정부재(200)의 일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홈(230)이 형성되고, 흡수패드(300)에는 고정부재(200)의 타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310)이 형성된다. 고정홈(230) 및 결합홈(310)은 각각 고정부재(200)의 도어트림 고정부(230)와 고정부(2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고정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 바디(210)와, 고정부재 바디(21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도어트림 고정부(230)와, 고정부재 바디(210)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고정부(22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 바디(210)는 도어트림 고정부(230) 및 고정부(220)가 마련되기 위한 프레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고정부재 바디(210)는 일반적인 핀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또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고정부재 바디(210)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어트림 고정부(230)는 도어 트림(100)의 고정홈(23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 바디(21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며, 고정부(220)는 흡수패드(300)의 결합홈(31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 바디(210)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어트림 고정부(230) 및 고정부(220)는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 절개 슬릿이 형성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홈(230) 및 결합홈(310)은 각각 도어트림 고정부(230) 및 고정부(22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도어트림 고정부(230), 고정부(220), 고정홈(230) 및 결합홈(310)의 형상을 특정하는 것은 고정부재(200)에 의하여 연결되는 도어 트림(100) 및 흡수패드(30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즉, 도어트림 고정부(230) 및 고정부(220)에 형성된 절개 슬릿에 의해 이들 구성은 각각 고정홈(230) 및 결합홈(31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도어트림 고정부(230)의 일단부와 고정부(220)의 일단부가 각각 고정홈(230) 및 결합홈(310)에 걸림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임의 충격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2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가공 형성되는데 도어트림 고정부(230) 및 고정부(220)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제조됨으로써 고정부재(200) 생산에 요구되는 전체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는 도어트림 고정부(230), 고정부(220), 고정홈(230) 및 결합홈(310)이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도어 트림(100)과 흡수패드(3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고정부재(200)는 도어 트림(100)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결합되는 흡수패드(300)의 크기나 도어 트림(100)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설치 위치나 설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흡수패드(300)는 도어 트림(100)과 외측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며, 바람직한 재질로는 PU(폴리우레탄) 재질로 마련된다. 흡수패드(300)는 도어 트림(100)과 외측 패널간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적정한 크기로 성형된다.
삭제
삭제
흡수패드(300)에 형성되는 결합홈(310)은 앞서 설명한 고정부재(20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부(220)와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부재(200)의 길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고정부(2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걸림홈(320)이 구비된다. 따라서, 결합홈(310)과 걸림홈(320)이 형성된 흡수패드(300)를 도어 트림(10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부재(200)를 끼움 결합하여 고정부(220)가 걸림홈(32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결합홈(310)의 내주면을 따라서는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330)가 흡수패드(300)에 일체로 마련된다.
보강부재(330)는 흡수패드(300)의 성형시 인서트 사출성형에 따라 흡수패드(30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흡수패드(300)의 성형 완료 후 별도의 공정을 통해 흡수패드(300)에 고정되는 방법에 의해 결합홈(310)의 내주면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330)는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20)와 흡수패드(300) 사이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도어 트림(100) 및 흡수패드(3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흡수패드(300)는 탄성을 갖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바 만약 보강부재(330) 없이 고정부(220)를 결합홈(310)에 끼우는 형태로만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고정부(220)가 결합홈(310)이 형성된 방향으로 밀리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도록 하드(hard)한 재질의 보강부재(330)를 결합홈(310)에 일체로 마련함으로써 보강부재(330)와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20)가 밀착 고정됨에 따라 흡수패드(300)가 도어 트림(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에 따라 본 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는 도어 트림(100)과 흡수패드(300)가 고정부재(200)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며, 이와 함께 도어 트림(100) 또는 흡수패드(30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이 모두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품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도어 트림(100)에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20)만이 돌출되도록 한 후 흡수패드(300)에 결합시키게 되면 도어 트림(100)이 파손되거나 고정부(220)가 파손된 경우 전체 부품을 교체해야만 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고 유지보수 절차도 번거로워 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흡수패드(300)에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200)의 도어트림 고정부(230)만이 돌출되도록 하여 도어 트림(100)에 결합시키게 되면 흡수패드(300)가 파손되거나 고정부(220)가 파손된 경우 전체 부품을 교체해야만 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고 유지보수 절차도 번거로워 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게 된다.
특히 도어 트림(100)에 고정부(220)가 돌출되도록 하거나 흡수패드(300)에 도어트림 고정부(230)가 돌출되도록 하는 경우, 고정부(220) 또는 도어트림 고정부(230)만 파손되더라도 이에 일체로 연결된 값비싼 도어 트림(100) 또는 흡수패드(300)를 교체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전술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부각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트림(100) 및 흡수패드(300)가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호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재(20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부품이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의 비용을 낮추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어 트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안함에 있어 종래기술에 비해 부품수를 절감시키고 그에 따른 조립의 용이성과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유지보수의 비용을 낮추고 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삭제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도어 트림
200 : 고정부재
210 : 고정부
220 : 도어 트림 고정부
230 : 고정홈
300 : 흡수패드
310 : 결합홈
320 : 걸림홈
330 : 보강부재
400 : 도어
410 : 외측패널

Claims (6)

  1. 외측패널과 도어 트림 사이에 흡수패드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트림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흡수패드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 트림 및 상기 흡수패드는 상기 고정홈에 일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에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바(bar) 형상의 고정부재 바디와, 상기 고정부재 바디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며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 슬릿이 형성된 도어트림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재 바디의 타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며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중앙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 슬릿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 및 상기 결합홈은 각각, 상기 도어 트림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삽입시 그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트림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홈에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상기 흡수패드와 상기 고정부 상호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을 따라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40721A 2010-04-30 2010-04-30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 KR10126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721A KR101264173B1 (ko) 2010-04-30 2010-04-30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721A KR101264173B1 (ko) 2010-04-30 2010-04-30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224A KR20110121224A (ko) 2011-11-07
KR101264173B1 true KR101264173B1 (ko) 2013-05-14

Family

ID=4539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721A KR101264173B1 (ko) 2010-04-30 2010-04-30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1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931A (ko)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서연이화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KR20220055248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도어트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722B1 (ko) 2016-07-05 2017-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 유닛 및 그 제조방법, 멤버 연결구조
KR102281054B1 (ko) * 2021-04-09 2021-07-23 대우공업 (주) 차량 도어용 밀림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5464A (ja) * 2003-05-21 2004-12-09 Araco Corp 車輌のクッションパッドの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5464A (ja) * 2003-05-21 2004-12-09 Araco Corp 車輌のクッションパッドの固定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931A (ko)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서연이화 맵포켓 일체형 임팩트 패드
KR20220055248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도어트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224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4741B2 (en) Side shield structure for vehicle seat
KR101264173B1 (ko)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
KR101806722B1 (ko) 충격흡수 유닛 및 그 제조방법, 멤버 연결구조
EP3295831B1 (en) Protection member for coupling device
KR101471758B1 (ko) 프로펠러샤프트용 장착장치
JP5833905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5137248B2 (ja) 車両天井構造
KR200427520Y1 (ko) 자동차 도어트림용 충격흡수장치
WO2014103836A1 (ja) ヘッドレスト
KR102009795B1 (ko) 스티프너 일체형 프론트 범퍼
US9327631B2 (en) Seat cushion frame for vehic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0780550B1 (ko)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 조립체
KR102009809B1 (ko)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
KR101140172B1 (ko) 차량의 임팩트패드용 발포 금형구조
JP2018066435A (ja) 衝撃吸収部材、および該衝撃吸収部材を用いたフロントルーフクロスメンバ
KR101278901B1 (ko) 복판형 시트 백 프레임
JP2009161088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シールド
KR102545355B1 (ko) 차량용 도어트림
JP5179343B2 (ja) 衝撃吸収パッドの取り付け構造
KR100895245B1 (ko)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부재
KR102559112B1 (ko) 차량용 범퍼 장치
JP2015030422A (ja) 車両用ドアトリム構造
KR101575083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고정구
CN204978816U (zh) 转向装置
KR200271277Y1 (ko) 차량용 전방보조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