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112B1 - 차량용 범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112B1
KR102559112B1 KR1020210127818A KR20210127818A KR102559112B1 KR 102559112 B1 KR102559112 B1 KR 102559112B1 KR 1020210127818 A KR1020210127818 A KR 1020210127818A KR 20210127818 A KR20210127818 A KR 20210127818A KR 102559112 B1 KR102559112 B1 KR 102559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bumper beam
vehicle
absorbing memb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224A (ko
Inventor
최강희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21012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1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범퍼빔부와, 범퍼빔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1충격흡수부 및 범퍼빔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범퍼빔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장치{BUMPE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시 범퍼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범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범퍼는 충돌 시의 물리적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장치이다.
이러한 차량용 범퍼는 차량의 전, 후방에서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과, 범퍼빔과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양측 스테이 패널 및 마운팅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스테이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범퍼는 차량의 충돌 시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범퍼빔이 변형되고, 이로 인해 FEM 모듈이 뒤로 밀리면서 대쉬판넬에 영향을 미쳐 운전자 및 승객의 부상 위험이 커지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2703호(2017.06.26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의 범퍼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시 범퍼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범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범퍼빔부; 상기 범퍼빔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1충격흡수부; 및 상기 범퍼빔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범퍼빔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충격흡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충격흡수부는, 상기 범퍼빔부의 전방 둘레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범퍼빔부가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범퍼빔부의 둘레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충격흡수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범퍼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충격흡수부는, 상기 범퍼빔부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부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충격흡수부재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는 제1충격흡수부와 제2충격흡수부가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범퍼빔부로 가해지는 충격을 범퍼빔부의 전후에서 순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음에 따라 차량의 충돌로 인해 범퍼빔부가 변형되며 FEM 모듈 및 대쉬판넬의 밀림으로 인한 운전자 및 승객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는 제1충격흡수부재가 고정부재에 의해 범퍼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작은 충돌로 인해 제1충격흡수부만이 파손된 경우 제1충격흡수부를 범퍼빔부로부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구성을 도 1과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구성을 도 1과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1)는 범퍼빔부(100), 제1충격흡수부(200), 제2충격흡수부(300)를 포함한다.
범퍼빔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1)의 골격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제1충격흡수부(200), 제2충격흡수부(3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범퍼빔부(100)는 자체적인 강성에 의해 차량의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빔부(100)는 차량의 하측 전방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이 차량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범퍼빔부(100)는 적용되는 차체에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범퍼빔부(100)는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되고,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범퍼빔부(100)는 내부에 후술하는 제2충격흡수부(3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범퍼빔부(100)는 스틸 재질을 압출하거나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성형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수지의 주입으로 사출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범퍼빔부(100)는 장섬유 보강 복합재(G-LF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열가소성 올레핀(TPO), 폴리아미드(PA)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범퍼빔부(100)는 스테이(110)에 의해 차량의 전방 하측에서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110)는 범퍼빔부(100)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막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110)는 길이 방향이 차량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테이(110)는 전단부가 범퍼빔부(100)의 후면에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스테이(110)는 후단부가 차량의 서브프레임(미도시) 또는 크래시 박스(미도시) 등에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해 연결되어 범퍼빔부(100)를 지지한다. 스테이(1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범퍼빔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일 예로, 한 쌍의 스테이(110)는 범퍼빔부(1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범퍼빔부(100)에는 후술하는 제1충격흡수부(200)와 체결되는 체결홀부(12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홀부(120)는 범퍼빔부(100)의 상면과 하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부(12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홀부(120)는 범퍼빔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충격흡수부(200)는 범퍼빔부(100)의 일측에 결합되고,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충격흡수부(200)는 범퍼빔부(100)의 전방에 설치되고, 범퍼빔부(100)의 전방 강성을 보강하여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한다. 이에 따라 제1충격흡수부(200)는 차량의 충돌 시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범퍼빔부(100)로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거나, 범퍼빔부(100)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범퍼빔부(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충격흡수부(200)는 제1충격흡수부재(210), 안내부(220), 고정부재(230)를 포함한다.
제1충격흡수부재(210)는 제1충격흡수부(20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범퍼빔부(100)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충격흡수부재(210)는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범퍼빔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충격흡수부재(210)는 후술하는 안내부(220)를 통해 내부로 범퍼빔부(100)가 삽입된다.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상하 양단부는 각각 범퍼빔부(100)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후면은 범퍼빔부(100)의 전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충격흡수부재(210)는 자체적인 강성 뿐만 아니라 변형에 의해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1충격흡수부재(210)는 후술하는 고정부재(230)에 의해 범퍼빔부(100)의 둘레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충격흡수부재(21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재질로는 PA66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충격흡수부재(210)는 전체적인 중량이 절감됨과 동시에,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깨지지 않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충격흡수부재(210)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230)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홀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홀부(211)는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상면 및 하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부(211)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삽입홀부(211)가 이격되는 간격은 복수개의 체결홀부(120)가 이격되는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삽입홀부(211)는 제1충격흡수부재(210)가 범퍼빔부(100)의 전방 둘레면에 안착된 경우, 복수개의 체결홀부(120)와 각각 연통된다.
안내부(220)는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범퍼빔부(100)가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220)는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개구된 측 즉,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안내부(220)는 양측이 각각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내부 및 외부 공간과 연통된다. 안내부(220)는 범퍼빔부(100)가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높이가 범퍼빔부(100)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230)는 제1충격흡수부재(210)를 범퍼빔부(100)의 전방 둘레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고정부재(23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고정부재(230)는 복수개의 삽입홀부(211)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230)는 플랜지부(231), 승강부(232), 고정날개부(233)를 포함한다.
플랜지부(231)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 경우, 플랜지부(231)는 삽입홀부(2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승강부(232)는 대략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플랜지부(23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승강부(232)는 플랜지부(231)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승강부(232)는 플랜지부(231)가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외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하단부가 삽입홀부(211) 및 체결홀부(120)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고정날개부(233)는 플랜지부(231)의 하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고정날개부(233)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승강부(2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복수개의 고정날개부(233)는 승강부(232)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되어 단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고정날개부(233)는 승강부(232)가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승강부(232)의 중심축을 향해 모아진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고정날개부(233)는 승강부(232)와 함께 삽입홀부(211) 및 체결홀부(12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날개부(233)는 승강부(232)가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승강부(232)의 중심축으로부터 벌어진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고정날개부(233)는 범퍼빔부(100)의 내측면에 간섭되어 삽입홀부(211) 및 체결홀부(120)를 통해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제2충격흡수부(300)는 범퍼빔부(100)의 타측에 결합되고, 범퍼빔부(10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충격흡수부(300)는 범퍼빔부(100)의 후방에 설치되고, 범퍼빔부(100)의 후방 강성을 보강하여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최종적으로 흡수한다. 즉, 제2충격흡수부(300)는 제1충격흡수부(200)와 함께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범퍼빔부(100)로 가해지는 충격을 범퍼빔부(100)의 전후에서 순차적으로 흡수한다. 이에 따라 제2충격흡수부(300)는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제1충격흡수부(200)를 통해 범퍼빔부(10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범퍼빔부(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충격흡수부(3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범퍼빔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충격흡수부(300)는 제1바디부(310), 제2바디부(320), 연결바디부(330), 제2충격흡수부재(340)를 포함한다.
제1바디부(310)는 제2충격흡수부(30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제2충격흡수부재(340)의 일측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부(310)는 대략 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범퍼빔부(100)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된다. 제1바디부(310)는 전면이 범퍼빔부(100)의 후방 내측면 중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1바디부(310)는 자체적인 강성에 의해 범퍼빔부(10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틸 등과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부(320)는 제2충격흡수부(30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제2충격흡수부재(340)의 타측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부(320)는 대략 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1바디부(310)와 평행하게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바디부(320)의 전면은 제1바디부(310)의 후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2바디부(320)는 제1바디부(310)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제2충격흡수부재(34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제2바디부(320)는 상하 양단부가 범퍼빔부(100)의 후방 내측면 중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2바디부(320)는 자체적인 강성에 의해 범퍼빔부(10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틸 등과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디부(330)는 제2충격흡수부(300)의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고, 제1바디부(310)와 제2바디부(320)를 상호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바디부(330)는 대략 막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바디부(310)와 제2바디부(3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바디부(330)는 양단부가 각각 제1바디부(310)의 후면과 제2바디부(320)의 전면에 결합된다. 연결바디부(330)는 용접 등에 의해 제1바디부(310)의 후면과 제2바디부(320)의 전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끼움 결합 등에 의해 제1바디부(310)의 후면과 제2바디부(32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바디부(330)는 중심축이 제1바디부(310)와 제2바디부(32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연결바디부(330)는 자체적인 강성에 의해 범퍼빔부(10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틸 등과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충격흡수부재(340)는 제1바디부(310)와 제2바디부(320)의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충격흡수부재(340)는 범퍼빔부(10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제1바디부(310)와 제2바디부(320)의 간격이 변경되는 경우, 자체적인 탄성복원력에 의해 해당 충격력을 상쇄시킨다. 이에 따라 제2충격흡수부재(340)는 범퍼빔부(10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제2충격흡수부(300)의 지지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충격흡수부재(340)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충격흡수부재(340)는 내주면이 연결바디부(3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2충격흡수부재(340)는 양단부가 각각 제1바디부(310)의 후면과 제2바디부(320)의 전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1)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의 충돌 시,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은 제1충격흡수부(200)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충격흡수부재(210)는 전면부가 범퍼빔부(100)의 전면을 향해 변형되며 자체적인 강성 및 변형량에 의해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한다.
이후, 제1충격흡수부재(210)가 계속하여 변형되어 제1충격흡수부재(210)의 후면이 범퍼빔부(100)의 전면에 접촉되는 경우,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는 범퍼빔부(100)로 전달되고, 범퍼빔부(100)는 자체적인 강성에 의해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한다.
한편, 범퍼빔부(100)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2충격흡수부(300)로 전달되고, 제2충격흡수부(300)는 제1바디부(310), 제2바디부(320), 연결바디부(330)의 자체적인 강성 및 제2충격흡수부재(3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최종적으로 흡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범퍼빔부(100)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된 제1바디부(310)는 범퍼빔부(10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연동되어 제2바디부(320)를 향해 변형된다.
제1바디부(310)와 제2바디부(320)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짐에 따라 제2충격흡수부재(340)는 길이 방향으로 압축된다.
제2충격흡수부재(340)는 범퍼빔부(10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해 충격력을 상쇄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범퍼 장치 100 : 범퍼빔부
110 : 스테이 200 : 제1충격흡수부
210 : 제1충격흡수부재 211 : 삽입홀부
220 : 안내부 230 : 고정부재
231 : 플랜지부 232 : 승강부
233 : 고정날개부 300 : 제2충격흡수부
310 : 제1바디부 320 : 제2바디부
330 : 연결바디부 340 : 제2충격흡수부재

Claims (7)

  1.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범퍼빔부;
    상기 범퍼빔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1충격흡수부; 및
    상기 범퍼빔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범퍼빔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충격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충격흡수부는,
    상기 범퍼빔부의 전방 둘레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범퍼빔부가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범퍼빔부의 둘레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범퍼빔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승강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승강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되어 단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는 복수개의 고정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충격흡수부는,
    상기 범퍼빔부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부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2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에 결합되는 연결바디부; 및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바디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격흡수부재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충격흡수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범퍼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충격흡수부재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장치.
KR1020210127818A 2021-09-28 2021-09-28 차량용 범퍼 장치 KR102559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18A KR102559112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범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18A KR102559112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범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24A KR20230045224A (ko) 2023-04-04
KR102559112B1 true KR102559112B1 (ko) 2023-07-25

Family

ID=8592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818A KR102559112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범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1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645Y1 (ko) * 2003-09-26 2003-12-24 김의송 완충 스프링이 내입된 자동차용 범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309U (ko) * 1993-07-20 1995-02-16 사출 성형기의 배럴헤드 착탈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645Y1 (ko) * 2003-09-26 2003-12-24 김의송 완충 스프링이 내입된 자동차용 범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24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663B1 (ko) 차실내의 충격에너지흡수구조
EP2542450B1 (en) Energy absorber elements and vehicle systems
CN103802642B (zh) 车门后视镜的安装结构
US7201434B1 (en) Energy-absorbing bolster for an automotive instrument panel assembly
US8602448B2 (en) Frontal center curtain airbag for vehicle
US10457238B2 (en) Impact absorber
US8267428B2 (en) Energy absorbing countermeasure
CN107995903B (zh) 用于机动车辆的前端模块的支撑结构和前端模块
KR20160105895A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작 방법,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CN105584447A (zh) 用于车辆的护膝垫装置
KR102559112B1 (ko) 차량용 범퍼 장치
KR102009795B1 (ko) 스티프너 일체형 프론트 범퍼
US10442383B2 (en) Impact absorber
CN116601057A (zh) 具有经一体化吸收器的保险杠装置和包括这种装置的车辆
KR100461796B1 (ko)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JPH1178965A (ja) 自動車のピラーパネルに備えられる衝撃吸収用構造物
KR100926866B1 (ko) 언더 커버 지지 구조
CN107415787B (zh) 具有动态碰撞能量管理系统的车辆座椅和头枕
KR20190071988A (ko) 차량의 루프 패널 어셈블리
KR20170080875A (ko) 자동차용 범퍼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6985B1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KR20150107277A (ko) 차량용 범퍼
KR20220153966A (ko) 카울 크로스바
KR100427248B1 (ko) 자동차 리어 범퍼용 백 비임
KR102449929B1 (ko)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