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823B1 - 피토출물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피토출물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823B1
KR102018823B1 KR1020170079801A KR20170079801A KR102018823B1 KR 102018823 B1 KR102018823 B1 KR 102018823B1 KR 1020170079801 A KR1020170079801 A KR 1020170079801A KR 20170079801 A KR20170079801 A KR 20170079801A KR 102018823 B1 KR102018823 B1 KR 102018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hole
nozzle
injection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01A (ko
Inventor
김준현
신명준
윤진현
황정민
이현길
장재영
설봉호
Original Assignee
참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참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참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07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823B1/ko
Priority to CN201810651062.7A priority patent/CN109109460B/zh
Publication of KR2019000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5/1608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electrically conductive
    • B05B5/16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electrically conductive and the arrangement comprising means for insulating a grounded material source from high voltage applied to the material
    • B05B5/165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25Correcting or repairing of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26Dispenser, e.g. for solder paste, for supplying conductive paste for screen printing or for fill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에 피토출물을 주입하는 장치로서, 피토출물이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가 장착될 수 있는 제1 관통구와 상기 노즐이 장착될 수 있는 제2 관통구를 구비하는 몸체부; 내부로 피토출물을 흡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노즐 내부로 용이하게 피토출물을 주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토출물 주입장치{Liquid Infusion Apparatus}
본 발명은 피토출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 내부로 용이하게 피토출물을 주입할 수 있는 피토출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FPD(Flat Panel Display)로 통칭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들은 고세정화 경향에 따라 단위면적당 더 많은 픽셀을 구현하기 위해 각 픽셀을 구동하는 회로소자들뿐만 아니라 회로소자들을 연결하는 배선의 폭도 더욱 작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 TV, 모니터, 노트북 등 각종 디스플레이기기들의 경량화 및 소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회로들이 집적된 PCB 기판에 형성되는 도선들도 복잡하고 미세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처럼 FPD, PCB 등에서 기판에 형성된 회로소자가 작아지고, 회로소자들을 연결하는 패턴라인의 폭이 좁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판들에 패턴라인을 형성하는 장치나 형성된 패턴라인에 발생한 결함을 수리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극미세한 패턴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균일한 선폭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수력학을 이용한 리페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전기수력학을 이용한 리페어 장치는, 노즐 내에 잉크를 주입하고, 노즐과 기판 사이에 전기장을 발생시켜 잉크를 토출시켰다. 따라서, 리페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노즐에 잉크를 주입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노즐에 잉크를 주입하였다. 이에, 노즐 내로 적정량보다 적거나 많은 양의 잉크가 주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노즐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잉크를 주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KR 2015-0049992 A
본 발명은 노즐 내로 피토출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피토출물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즐 내로 피토출물을 신속하게 주입하여 피토출물 주입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토출물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즐에 피토출물을 주입하는 장치로서, 피토출물이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가 장착될 수 있는 제1 관통구와 상기 노즐이 장착될 수 있는 제2 관통구를 구비하는 몸체부; 내부로 피토출물을 흡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관통구 상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관통구 상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주입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지지해주는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관통구나 상기 제2 관통구를 향하는 일측과, 상기 제1 관통구나 상기 제2 관통구의 외측을 향하는 타측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측의 직경이 타측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2 관통구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주입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노즐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주입기; 상기 주입기와 연결되는 펌프; 및 상기 주입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기는 적어도 일부분이 플랙시블(Flexible)하게 형성된다.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상기 위치 감지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주입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저장부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주입기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주입기가 상기 저장부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외부에 위치할 때 상기 주입기 내부에 대기압과 같거나 상기 음압보다 작은 양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주입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저장부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주입기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저장부 내에 위치한 상기 주입기 내부에 미리 설정된 양만큼의 피토출물이 유입되면 상기 주입기 내부에 대기압과 같거나 상기 음압보다 작은 양압을 발생시킨 후 이동시킨다.
상기 피토출물은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전기수력학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피토출물을 토출하는 노즐 내부로 용이하게 피토출물을 주입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직접 노즐 내로 피토출물을 주입할 때보다 신속하게 피토출물을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내로 피토출물을 주입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피토출물 주입 작업의 효율성과 노즐을 이용한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노즐 내로 피토출물을 주입할 때보다 노즐 내로 주입되는 피토출물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노즐로 피토출물이 적정량보다 많거나 적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이 손상되거나, 노즐을 이용한 공정을 수행하다가 노즐 내 피토출물이 부족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토출물 주입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입기가 가이드부에 의해 저장부에 진입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입기가 가이드부에 의해 노즐에 진입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토출물 주입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토출물 주입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입기가 가이드부에 의해 저장부에 진입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입기가 가이드부에 의해 노즐에 진입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토출물 주입장치(100)는, 노즐(50)에 피토출물을 주입하는 장치로서, 저장부(110), 몸체부(120), 주입부(140), 및 가이드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피토출물 주입장치(100)는 주입부(1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이송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토출물은 기판 상에 토출될 수 있는 약액 또는 잉크일 수 있다.
노즐(50)은 전기수력학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일 수 있다. 노즐(50)은 잉크를 토출하는 니들(51), 및 니들(51)을 지지해주는 홀더(52)을 포함한다. 이때, 노즐(50)은 상단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몸체부(120)의 제2 관통구(12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니들(5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 잉크의 토출구가 형성된다. 니들(51)은 잉크가 토출되는 부분의 면적을 원하는 만큼 작게 형성할 수 있도록 유리나 플라스틱 등 금속에 비해 가공처리가 용이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니들(51)의 표면은 금속재질로 코팅되어 니들(51)이 전극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홀더(52)는 니들(51)의 상부에 연결되고, 니들(51)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홀더(52)의 상부면에는 후술될 주입부(140)의 주입기(141)가 출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다. 이에, 주입부(140)가 주입구를 통해 니들(51) 내부에 잉크를 주입할 수 있다. 홀더(52)는 적어도 일부분이 몸체부(120)의 제2 관통구(122) 내로 직접 삽입될 수 있다. 후술될 몸체부(120)의 제2 관통구(122)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홀더(52)의 상단부의 직경은 제2 관통구(122) 내경 이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노즐(50)이 홀더(52)와 몸체부(120)의 제2 관통구(122)를 연결해주는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는 주입부(140)의 주입기(141)가 노즐(50)의 내부공간까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홀더(52) 내에서 주입기(141)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홀더(52)의 상부는 연결부재의 하부와 결합되고, 연결부재의 상부가 몸체부(120)의 제2 관통구(12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노즐(50) 내로 잉크를 주입할 때만 연결부재가 홀더(52)와 결합되고, 잉크를 주입하는 작업이 종료되면 연결부재는 홀더(52)와 분리될 수 있다. 몸체부(120)의 제2 관통구(122)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의 상단부의 직경은 제2 관통구(122) 내경 이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즐(50)은 이송기기(미도시)에 의해 잉크 주입장치(100)와 리페어 장치(미도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피토출물 주입장치(100)에서 노즐(50) 내부로 잉크가 주입되면, 노즐(50)을 리페어 장치에 장착되어 기판에 대한 리페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노즐(50)은 이송기기에 의해 몸체부(120)의 제2 관통구(122) 하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2 관통구(122)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노즐(50)의 구조, 재질, 및 노즐(50)을 몸체부(120)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피토출물이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주입부(140)의 주입기(141)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11)가 형성된 용기일 수 있다. 몸체부(120)의 상부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하부는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후술될 몸체부(120)의 제1 관통구(121)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저장부(110)의 출입구(111)가 형성된 부분의 직경은 제1 관통구(121)의 직경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저장부(110)는 별도의 지지장치(미도시)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장치에 의해 몸체부(120)의 제1 관통구(121) 하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1 관통구(121)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저장부(110)를 몸체부(120)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10)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관통구(121) 내벽에 그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10)를 제1 관통구(121)에 끼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저장부(110) 내부에 저장된 잉크를 모두 사용하면 저장부(110)를 몸체부(120)에서 분리하여, 저장부(110) 내에 잉크를 채워 넣고 몸체부(120)에 다시 장착하거나, 잉크가 저장된 다른 저장부(110)를 몸체부(120)에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부(110)의 구조와 형상 및 몸체부(120)에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몸체부(120)는 저장부(110)가 장착될 수 있는 제1 관통구(121)와 노즐(50)이 장착될 수 있는 제2 관통구(122)를 구비한다. 몸체부(120)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복수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20)는 'ㅁ' 또는 뒤집힌 'ㄷ'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50)과 저장부(110)는 몸체부(12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몸체부(120)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20)의 상부면에는 저장부(110)가 장착될 수 있는 제1 관통구(121)와, 노즐(50)이 장착될 수 있는 제2 관통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관통구(121)와 제2 관통구(122)는 좌우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저장부(110)와 노즐(50)은 몸체부(120)에 지지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주입부(140)가 몸체부(120)의 상측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저장부(110)나 노즐(5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1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주입부(140)는 내부로 피토출물을 흡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즉, 주입부(14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잉크를 흡입하여 노즐(50) 내에 주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주입부(140)는, 적어도 일부분이 저장부(110) 또는 노즐(5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주입기(141), 상기 주입기와 연결되는 펌프(142), 및 주입기(14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펌프(1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43)를 포함한다. 또한, 주입부(140)는, 주입기(14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기(14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주입기(141)는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배출구를 통해 주입기(141) 내부로 잉크가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주입기(141)의 하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주입기(141)의 폭은 제1 관통구(121), 제2 관통구(122), 저장부(110)의 상부(111)의 출입구, 노즐(50)의 주입구, 및 가이드 부재(16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기(141)의 끝단이 가이드 부재(161)를 용이하게 통과하여 저장부(110)나 노즐(50) 내부로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주입기(141)는 적어도 일부분이 플랙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입기(141)는 신축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주입기(141)가 가이드부(160) 내로 진입할 때 중심이 맞지 않아 주입기(141)의 끝단이 가이드부(160)와 충돌하더라도, 주입기(141)가 파손되지 않고 가이드부(160)에 의해 제1 관통구(121)나 제2 관통구(122)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기(141)의 수명이 향상되어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그러나 주입기(14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펌프(142)는 라인을 통해 주입기(141)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펌프(142)는 주입기(14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펌프(142)는 공압기일 수 있다. 주입기(141)의 끝단이 저장부(110) 내로 진입하면, 주입기(141)로 저장부(110) 내의 잉크가 유입되도록 펌프(142)가 주입기(141) 내부의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저장부(110) 내의 잉크가 주입기(14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주입기(141)의 끝단이 노즐(50) 내로 진입하면, 노즐(50)로 주입기(141) 내의 잉크가 주입되도록 펌프(142)가 주입기(141) 내부에 양압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10) 내의 잉크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노즐(5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위치 감지기는 주입기(141)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기는 주입기(141)를 이동시키는 이송부(150)와 연결되어, 이송부(150)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이송부(150)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주입기(14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위치 감지기는 위치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위치 감지기는 주입기(141)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어 주입기(141)가 어느 위치에 도달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기(141)의 위치를 확인하여 주입기(141)가 저장부(110)나 노즐(50) 내부에 삽입되었는지 또는, 주입기(141)가 이동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143)는 펌프(142)와 연결되어 펌프(142)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제어기(143)는 펌프(142)의 작동을 제어하여 주입기(141) 내부로 유입되는 잉크의 양을 조절하거나, 주입기(141) 내부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입기(141)의 위치에 따라 제어기(143)로 주입기(141) 내부의 압력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조절하면, 주입기(141) 내부로 적정량의 잉크가 자동으로 흡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즉, 주입기(141) 내에 노즐(50)로 과도하거나 과소한 양의 잉크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기(143)가 자동으로 주입기(141) 내로 일정량의 잉크를 흡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즐(50)에 작업자가 직접 잉크를 주입할 때보다 잉크를 주입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불량 발생률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43)는 상기 위치 감지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어기(143)는 주입기(141)의 위치에 따라 주입기(141) 내부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43)는, 주입기(141)의 적어도 일부분이 저장부(110) 내에 위치할 때 주입기(141)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저장부(110) 내부에 저장된 잉크가 주입기(14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 다음, 주입기(141) 내부로 잉크가 흡입이 완료되면, 주입기(141)를 저장부(1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기(143)는 주입기(141) 내부에 대기압과 같거나 절대값으로 음압보다 작은 양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주입기(141)에 음압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주입기(141)를 저장부(110)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주입기(141) 내부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저장부(110) 내에 위치한 주입기(141) 내부에 미리 설정된 양만큼의 피토출물이 유입되면, 주입기(141) 내부에 대기압과 같거나 절대값으로 음압보다 작은 양압을 발생시킨 후 주입기(14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주입기(141)가 저장부(110) 내에서 외측으로 이동할 때, 주입기(14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43)는 주입기(141)가 저장부(110)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외부에 위치할 때 주입기(141) 내부에 대기압과 같거나 절대값으로 음압보다 작은 양압을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43)가 저장부(110)에서 나와 노즐(50) 내로 이동하는 동안, 주입기(141)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양력은 음압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절대값으로 양압이 음압보다 크면, 양력이 너무 크기 때문에 주입기(141)가 이동하는 도중에 주입기(141) 내부의 잉크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기(141)를 저장부(110)에서 노즐(50)로 이동시킬 때, 주입기(141) 내부의 잉크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 주입기(14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기(143)를 이용해 주입기(14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 다음, 주입기(141)를 이동시켜 주입기(141)의 끝단이 노즐(50) 내에 위치하면, 제어기(143)는 주입기(141) 내부에 양압(또는, 주입기(141)를 이동시킬 때 주입기(141) 내부에 발생시킨 대기압이나 양압, 또는 노즐(50) 내부의 압력보다 더 큰 양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주입기(141) 내부의 잉크가 배출구를 통해 노즐(5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송부(150)는 주입기(141)를 지지하고, 주입기(14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이송부(150)는 주입기(141)를 이동시키는 로봇일 수 있다. 이송부(150)는 주입기(14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주입기(141)를 상하로 이동시켜 주입기(141)의 끝단을 저장부(110)나 노즐(50)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부(150)는 몸체부(120)의 상측에서 주입기(141)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주입기(141)가 저장부(110)와 노즐(5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주입기(141)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가이드부(160)는 주입부(1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1 관통구(121)나 제2 관통구(12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160)는, 제1 관통구(121)와 제2 관통구(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60)는 몸체부(120)의 상부면에서 제1 관통구(121)와 제2 관통구(122)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60)는, 주입부(14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161), 및 몸체부(120)에 연결되고, 가이드 부재(161)를 지지해주는 바디(162)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부(160)는 바디(162)를 이동시키도록 바디(162)와 연결되는 구동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61)는 내부에 주입기(141)가 통과할 수 있는 경로(161a)를 형성하고, 상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61)는 제1 관통구(121)나 제2 관통구(122)를 향하는 일측(또는, 하단)과, 제1 관통구(121)나 제2 관통구(122)의 외측을 향하는 타측(또는, 상단)을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161)의 일측의 직경(D2)이 타측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61)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부재(161)가 형성하는 경로(161a)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기(141)와 가이드 부재(161)의 중심이 맞지 않더라도 주입기(141)가 가이드 부재(161)의 경사면을 따라 몸체부(120)의 제1 관통구(121) 또는 제2 관통구(122)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61)의 일측의 폭(D1)은 제1 관통구(121)의 직경(L1) 및 제2 관통구(122)의 직경(L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부재(161)의 타측의 폭(D2)은 제1 관통구(121)의 직경(L1) 및 제2 관통구(122)의 직경(L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부재(161)의 일측을 통과한 주입기(141)의 끝단이 제1 관통구(121) 또는 제2 관통구(122)와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161)의 일측은 저장부(110)의 상부(111)에 형성된 삽입구 및 노즐(50)의 상단부(51)에 형성된 주입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61)의 일측을 통과한 주입기(141)의 끝단이 제1 관통구(121) 및 저장부(110), 또는 제2 관통구(122) 및 노즐(50)과 충돌하지 않을 수 있고, 저장부(110)나 노즐(50) 내부에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161)의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61)의 일측 또는 하부면)은 제1 관통구(121) 내로 장착된 저장부(110) 또는, 제2 관통구(122) 내로 장착되는 노즐(5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주입기(141)의 끝단이 가이드 부재(161)를 통과한 후, 가이드 부재(161)에 의해 올바른 경로로 이동하여 곧바로 저장부(110)나 노즐(50) 내부로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부재(16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바디(162)는 가이드 부재(161)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바디(162)는 몸체부(120)의 상부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바디(162)는 좌우로 이동하여 가이드 부재(161)의 위치를 제1 관통구(121)의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제2 관통구(122)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62)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가이드 부재(161)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은 가이드 부재(161)의 형상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부재(161)가 바디(162)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고, 바디(162)는 가이드 부재(161)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바디(16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부재는 바디(162)와 연결되어 바디(16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는 실린더일 수 있고, 일단이 바디(162)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바디(162)와 바디(162)에 지지되는 가이드 부재(161)가 구동부재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제1 관통구(121) 상부에서 제2 관통구(122) 상부로 이동하거나, 제2 관통구(122) 상부에서 제1 관통구(121)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재가 바디(162)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주입기(141)가 이송부(150)에 의해 좌우로 이동할 때, 바디(162)도 구동부재에 의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61)의 상측에서 주입기(141)가 좌우로 이동할 때 바디(162)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기(141)의 끝단이 제1 관통구(121)의 상측으로 이동하면 바디(162)도 제1 관통구(121)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고, 저장부(110)로 진입하려는 주입기(141)의 끝단을 바디(162)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61)가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주입기(141)의 끝단이 제2 관통구(122)의 상측으로 이동하면 바디(162)도 제2 관통구(122)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고, 노즐(50)로 진입하려는 주입기(141)의 끝단을 바디(162)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61)가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해줄 수 있다. 그러나 주입기(141)와 바디(162)가 이동하는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16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160)는, 가이드 부재(161), 및 몸체부(120)에 연결되고, 바디(162) 및, 가이드 부재(161)가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161)와 연결되는 탄성부재(163)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부(160)는 바디(162)를 이동시키도록 바디(162)와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160)의 가이드 부재(161) 및 구동부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160)의 가이드 부재(161) 및 구동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62)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20)의 상부면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디(162)의 중심부에 가이드 부재(161)와 탄성부재(163)가 수납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관통홀은 서로 폭을 가지는 두 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62)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홀은 가이드 부재(161)의 하부 폭보다는 크고, 상부 폭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부재(161)가 바디(162) 내에 위치하지 않고 하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162)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홀은 제1 홀보다 큰 폭을 가진다. 따라서, 제1 홀과 제2 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63)는 가이드 부재(161)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63)는 스프링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161)의 폭이 넓은 상부와 연결되어, 가이드 부재(161)를 둘레를 감쌀 수 있다. 탄성부재(163)는 스프링이기 때문에, 상하로 신장수축할 수 있고,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63)의 폭은 제1 홀의 폭보다 크고, 가이드 부재(161)의 상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63)의 상부는 가이드 부재(16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홀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부재(161)가 탄성부재(163)에 의해 유동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61)는 제1 관통구(121)에 장착되는 저장부(110)나 제2 관통구(122)에 장착되는 노즐(50)과 밀착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61)와 저장부(110) 사이나, 가이드 부재(161)와 노즐(5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주입기(141)가 저장부(110)로부터 안정적으로 잉크를 흡입하거나, 주입기(141)가 노즐(50)에 잉크를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부재(161)와 저장부(110)의 중심이 맞지 않거나, 가이드 부재(161)와 노즐(50) 사이의 중심이 맞지 않는 경우, 저장부(110)나 노즐(50)이 가이드 부재(161) 하부면의 일부분과만 접촉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부재(161)의 저장부(110) 또는 노즐(50)과 접촉하는 부분은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고, 저장부(110) 또는 노즐(50)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61)에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161)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63)의 신장수축으로 가이드 부재(191)가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161)에서 저장부(110) 또는 노즐(50)과 접촉하는 부분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61)와 저장부(110) 또는, 가이드 부재(161)와 노즐(50) 사이의 중심이 맞지 않아도 둘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가이드 부재(161)에 피로가 가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16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토출물 주입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토출물 주입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토출물 주입장치(100)는, 저장부(110), 몸체부(120), 주입부(140), 이송부(150), 및 주입부(140)의 적어도 일부분을 몸체부(120)의 제1 관통구(121)나 제2 관통구(122)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토출물 주입장치(100)의 저장부(110), 몸체부(120), 이송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10), 몸체부(120), 이송부(15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주입부(1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1 관통구(121) 측으로 안내하도록 몸체부(120)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160a), 및 주입부(1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2 관통구(122) 측으로 안내하도록 몸체부(120)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부(160b)를 포함한다. 즉, 몸체부(120)의 제1 관통구(121) 상에 제1 가이드부(160a)가 고정 설치되고, 몸체부(120)의 제2 관통구(122) 상에 제2 가이드부(160b)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60a)와 제2 가이드부(160b)는, 주입부(140)가 관통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161), 및 몸체부(120)에 연결되고, 가이드 부재(161)를 지지해주는 바디(16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가이드부(160a)는 주입기(141)가 저장부(110)로 진입할 때, 주입기(141)의 끝단이 저장부(110) 상부의 삽입구를 향하도록 안내해줄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60b)는 주입기(141)가 노즐(50)로 진입할 때, 주입기(141)의 끝단이 노즐(50) 상부의 주입구를 향하도록 안내해줄 수 있다. 이에, 주입기(141)가 안정적으로 저장부(110)나 노즐(5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하나의 가이드부를 구비할 경우,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면서 노즐(50)에 잉크를 주입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지만,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주입기(141)가 삽입되어야 할 구멍들 각각에 위치시키면,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에,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면서 가이드부와 제1 관통구(121) 또는 가이드부와 제2 관통구(122) 사이의 중심을 맞추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노즐(50)에 잉크를 주입하는 작업의 시간이 단축되고, 주입기(141)를 저장부(110) 또는, 노즐(50) 내부로 더 안정적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잉크 주입장치(1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으며, 실시 예들 간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이처럼, 피토출물을 토출하는 노즐(50) 내부로 용이하게 피토출물을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노즐(50) 내로 피토출물을 주입할 때보다 신속하게 피토출물을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50) 내로 피토출물을 주입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피토출물 주입 작업의 효율성과 노즐(50)을 이용한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노즐(50) 내로 피토출물을 주입할 때보다 노즐 내로 주입되는 피토출물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노즐(50)로 피토출물이 적정량보다 많거나 적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50)이 손상되거나, 노즐(50)을 이용한 공정을 수행하다가 노즐(50) 내 피토출물이 부족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토출물 주입장치(100)를 이용한 노즐(50)에 대한 피토출물 주입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120)의 제1 관통구(121)에 저장부(110)를 장착하고, 제2 관통구(122)에 노즐(50)을 장착한다. 즉, 제1 관통구(121)의 하측에서 저장부(110)의 출입구(111)가 형성된 부분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1 관통구(121) 내에 위치시키고, 제2 관통구(122)의 하측에서 노즐(50)의 주입구가 형성된 부분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2 관통구(122)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몸체부(120) 상측에서 주입기(141)의 위치를 제1 관통구(121)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주입기(141)와 가이드부(160)의 경로(161a) 및 제1 관통구(또는, 저장부(110)의 출입구(111))의 상하방향 중심을 맞추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 주입기(141)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주입기(141)는 가이드부(160)에 의해 제1 관통구(121) 측으로 안내되고, 끝단이 저장부(1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주입기(141)의 끝단이 저장부(110) 내에 위치하면, 제어기(143)가 펌프(142)의 작동을 제어하여 주입기(141) 내부에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기(141) 내부로 저장부(110) 내부의 잉크가 흡입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143)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음압을 주입기(141) 내부에 발생시켜 정량의 잉크만 주입기(14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 다음, 주입기(14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주입기(141)를 저장부(110) 외측으로 이동시킨 후, 주입기(141)를 제2 관통구(122)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주입기(141)가 저장부(110) 외측에서 이동할 때부터 주입기(141)의 끝단이 노즐(50) 내에 위치할 때까지, 제어기(143)는 주입기(141) 내부에 대기압과 같거나 절대값으로 음압보다 작은 양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잉크가 유입된 주입기(14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기(141)가 제2 관통구(122) 상에 도착하면, 주입기(141)와 가이드부(160)의 경로(161a) 및 제2 관통구(또는, 노즐(50)의 주입구)의 상하방향 중심을 맞추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 주입기(141)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주입기(141)는 가이드부(160)에 의해 제2 관통구(122) 측으로 안내되고, 끝단이 노즐(5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그 다음, 주입기(141)의 끝단이 노즐(50) 내에 위치하면, 제어기(143)는 주입기(141) 내부에 양압(또는, 주입기(141)를 이동시킬 때 주입기(141) 내부에 발생시킨 대기압이나 양압, 또는 노즐(50) 내부의 압력보다 더 큰 양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주입기(141) 내부의 잉크가 배출구를 통해 노즐(5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노즐(50) 내에 잉크가 완전히 채워지거나 원하는 만큼 채워지면, 주입기(141)는 노즐(50) 외측으로 이동하고, 노즐(50)을 제2 관통구(122)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노즐(50)은 이송기기에 의해 리페어 장치로 이동하여 장착되고, 리페어 장치는 잉크가 채워진 노즐(50)을 이용한 기판에 대한 리페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 노즐 100: 피토출물 주입장치
110: 저장부 120: 몸체부
140: 주입부 150: 이송부
160: 가이드부 161: 가이드 부재
162: 바디 163: 탄성부재

Claims (13)

  1. 노즐에 피토출물을 주입하는 장치로서,
    피토출물이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가 장착될 수 있는 제1 관통구와 상기 노즐이 장착될 수 있는 제2 관통구를 구비하는 몸체부;
    내부로 피토출물을 흡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주입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지지해주는 바디, 및 상기 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바디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피토출물 주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관통구나 상기 제2 관통구를 향하는 일측과, 상기 제1 관통구나 상기 제2 관통구의 외측을 향하는 타측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측의 직경이 타측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피토출물 주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 직경은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2 관통구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피토출물 주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고, 신장수축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유동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피토출물 주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노즐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주입기;
    상기 주입기와 연결되는 펌프; 및
    상기 주입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피토출물 주입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적어도 일부분이 플랙시블(Flexible)하게 형성되는 피토출물 주입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하는 피토출물 주입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어기는 상기 위치 감지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주입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저장부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주입기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주입기가 상기 저장부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외부에 위치할 때 상기 주입기 내부에 대기압과 같거나 절대값으로 상기 음압보다 작은 양압을 발생시키는 피토출물 주입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주입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저장부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주입기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저장부 내에 위치한 상기 주입기 내부에 미리 설정된 양만큼의 피토출물이 유입되면 상기 주입기 내부에 대기압과 같거나 절대값으로 상기 음압보다 작은 양압을 발생시킨 후 이동시키는 피토출물 주입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토출물은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전기수력학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피토출물 주입장치.
KR1020170079801A 2017-06-23 2017-06-23 피토출물 주입장치 KR102018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01A KR102018823B1 (ko) 2017-06-23 2017-06-23 피토출물 주입장치
CN201810651062.7A CN109109460B (zh) 2017-06-23 2018-06-22 液体灌注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01A KR102018823B1 (ko) 2017-06-23 2017-06-23 피토출물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01A KR20190000601A (ko) 2019-01-03
KR102018823B1 true KR102018823B1 (ko) 2019-09-06

Family

ID=6482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01A KR102018823B1 (ko) 2017-06-23 2017-06-23 피토출물 주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8823B1 (ko)
CN (1) CN1091094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9608B (zh) * 2022-04-29 2023-11-2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喷墨打印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148A (ja) * 2000-04-26 2001-10-31 Shimadzu Corp 試料注入装置
JP2015001457A (ja) * 2013-06-17 2015-01-05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電気泳動装置
KR101680292B1 (ko) * 2015-03-12 2016-12-12 참엔지니어링(주) 패턴 라인 형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397A (ja) * 1999-06-15 2000-12-26 Shibuya Kogyo Co Ltd 充填装置
EP2163867B1 (de) * 2008-09-11 2014-09-10 Mettler-Toledo AG Einwaagegefäss zum Einwägen von Substanzen
JP2010274966A (ja) * 2009-05-28 2010-12-09 Sharp Corp 液体充填装置、及び、待機方法
DE102010031873A1 (de) * 2010-07-21 2012-01-26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üllen von Behältnissen mit Reinigungseinrichtung
CN202182999U (zh) * 2011-07-29 2012-04-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灌注设备
DE102011055555A1 (de) * 2011-11-21 2013-05-23 Krones Ag Vorrichtung zum Sterilisieren eines Behältnisses, Getränkeabfüllanlage und/oder Getränkebehälterherstellanlage sowie Verfahren zum Sterilisieren eines ein von einer Innenwandung umgrenzten Volumen aufweisenden Behältnisses
CN102426261A (zh) * 2011-12-27 2012-04-25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微流控芯片多样品顺序加载装置及其样品加载方法
CN202968080U (zh) * 2012-10-17 2013-06-05 南京乐惠轻工装备制造有限公司 液体灌装阀的容器口部的导向密封装置
CN203241424U (zh) * 2013-05-10 2013-10-16 石家庄通标检测技术有限公司 全自动液体处理平台
US20150114515A1 (en) * 2013-10-31 2015-04-30 Oden Machinery Inc. Liquid filler using single motive force
KR20150049992A (ko) 2013-10-31 2015-05-08 참엔지니어링(주) 전기 수력학을 이용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 및 전기 수력학을 이용하여 패턴라인을 형성하는 방법
CN203587602U (zh) * 2013-11-21 2014-05-07 北京莱伯泰科仪器股份有限公司 用于自动进样器取液操作的液体供给装置
EP3078627B1 (en) * 2015-04-08 2017-11-29 Sidel Participations, S.A.S. Filling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a pourable product and corresponding fill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148A (ja) * 2000-04-26 2001-10-31 Shimadzu Corp 試料注入装置
JP2015001457A (ja) * 2013-06-17 2015-01-05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電気泳動装置
KR101680292B1 (ko) * 2015-03-12 2016-12-12 참엔지니어링(주) 패턴 라인 형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09460B (zh) 2021-04-30
KR20190000601A (ko) 2019-01-03
CN109109460A (zh)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985B1 (ko) 유체 토출 장치, 유체 토출 방법 및 유체 도포 장치
TWI442461B (zh) 處理液排出裝置
JP2009172585A (ja) 液晶滴下装置、その液晶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KR102018823B1 (ko) 피토출물 주입장치
KR20090080845A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 도포 방법 및 액정 도포 장치
JP2006026584A (ja) 液滴噴射装置及び表示装置製造方法
JP5067070B2 (ja) 充填装置
KR101011777B1 (ko) 노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토출 장치
US20160346795A1 (en) Nozzle,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substrate treating method
JP2009125656A (ja) 液滴吐出装置
US6886607B2 (en) Function liquid filling apparatus, liquid droplet ejec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60013616A (ko) 스크린 프린터
TW201422091A (zh) 頂朝下式基板印刷裝置及基板印刷方法
JP2013166134A (ja) 塗布装置
KR102150454B1 (ko) 잉크젯 프린팅 증착장치
KR101225669B1 (ko)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KR102571644B1 (ko)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KR20090032275A (ko) 기판 처리 설비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973187B1 (ko) 플렉시블 oled 모듈의 벤딩을 위한 디스펜싱 장치
KR20040091967A (ko) 액정 주입장치
KR101208958B1 (ko) 피에조 밸브를 이용한 액정 공급시스템
KR102323321B1 (ko) 헤드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KR102387276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160138845A (ko) 잉크젯 장치
KR101221010B1 (ko) 개선된 노즐장치의 비접촉식 세정장치, 세정 시스템 및 세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