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669B1 -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669B1
KR101225669B1 KR1020120098674A KR20120098674A KR101225669B1 KR 101225669 B1 KR101225669 B1 KR 101225669B1 KR 1020120098674 A KR1020120098674 A KR 1020120098674A KR 20120098674 A KR20120098674 A KR 20120098674A KR 101225669 B1 KR101225669 B1 KR 10122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rtridge
liquid
dispen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상민
Original Assignee
함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상민 filed Critical 함상민
Priority to KR102012009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적식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면에 에어입력부와 공기입력부와 전원입력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공기입력부와 연결된 공압제어부와; 상기 공압부재에 상부가 연결되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하부 끝단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된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입력부와 에어라인으로 연결되된 에어공급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와 전원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공압제어부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부는 상기 안내관의 하부에 결합 되며, 하부에는 노즐공이 구비된 노즐부가 형성된 액제 카트리지와; 상단은 상기 공압제어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액제 카트리지의 노즐부에 형성된 노즐공에 위치되어 노즐공을 개폐하는 공이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제가 수용된 카트리지가 디스펜서에 교체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액제의 교체 및 부품의 청소 및 유지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액제의 정밀한 토출로 인하여 디스펜서를 이용한 작업의 정밀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Cartridge type Contactless dispenser by using air}
본 발명은 액제를 기판상에서 도포 또는 적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액제가 수용되는 카트리지를 디스펜서에 교체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서, 각 부품의 청소 및 유지와 관리를 저렴하면서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정확한 액체의 토출이 가능해지면서 디스펜서를 이용한 작업의 정밀도를 높이고, 공정의 효율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전기, 전자, 자동차, 반도체, 통신기기 등에 사용되는 인쇄회로 기판상에 칩이나 IC와 같은 부품의 고정과 IC 패키징에서 여러 층의 레이어를 쌓는 적층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CSP(Chip-Scale Package)형태의 반도체 공정중 에폭시나 실리콘, 우레탄, 열전도성 접착제, 도전성 에폭시 및 접착제와 같이 일정한 점도를 가지는 페이스트 상태의 물질을 노즐을 통해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니들(Needle)을 사용하는 도트(Dot) 방식의 접촉식 디스펜서와 제트(Jet) 분사 방식인 비접촉식 디스펜서로 구분되며, 특히 전자부품의 소형화로 인해 부품 간극과 크기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도트(Dot)방식에 비해 제트 분사 방식은 빠른 반응속도와 고정밀, 비접촉식이라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의 선행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802234호 "액제 토출 디스펜서" 와 같이 일단부에 노즐부를 갖는 시린지와, 상기 시린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시린지에 끼워 맞추어진 플런저와, 상기 시린지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의 부분에 접속된 관과, 상기 관의 타단부에 접속된 액제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액제 탱크의 액면이 상기 실린지보다 위가 되도록 배치된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리고 또한 다른 선행기술로서, 일본국 특공평05-42304호와 같이 디스펜서 본체 내부의 액 토출실의 하부가 액체 저류부, 또 그 상부가 가압 기체부인 것과, 상기 토출실내에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밸브스템이 설치되고, 또한 이 밸브스템의 하단에는 액체 토출 개폐용 밸브가, 또 그 상단에는 솔레노이드용 전기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액체 토출실의 상부에는 가압기체의 흡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전기자는 상기 액체 토출실 상부를 돌출하여 그 내부와 통기하는 밀봉통내에 수납되고, 또한 그 통의 바깥쪽에는 솔레노이드가 설치된 구성 또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펜서의 경우 액제가 담겨진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제가 디스펜서 본체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액제의 교체 및 청소시 디스펜서 본체를 전체적으로 분해한 후 청소를 해야 하므로 디스펜서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제에는 일정 농도의 공기가 용해되어 있을 수도 있고, 토출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액제 내부에 기포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기포가 액제의 토출 과정에서 함께 배출되는 경우 액제의 토출량에 변화가 생기면서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기 힘들고, 액제의 기능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액제가 수용되는 카트리지를 디스펜서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액제의 교체나 각 부품들의 청소 및 유지나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액제의 토출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토출되는 액제에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함에 따라 액제의 정밀한 토출을 통해 작업의 정밀도를 높이고, 작업의 효율성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면에 에어입력부와 공기입력부와 전원입력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기입력부와 연결된 공압제어부와; 상기 공압제어부의 하부에 수직하방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상측에는 실링부재에 의해 밀폐가 되도록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하단은 하우징의 저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돌출된 외주면에 실링부재가 형성된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면서 에어입력부와 연결된 에어라인과 연결되어 에어입력부로 공급된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안내관의 하부로 공급해주는 에어공급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와 전원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공압제어부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부는 상기 안내관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는 노즐공이 구비된 노즐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액제가 수용되는 액제 카트리지와; 상단은 상기 공압제어부에 고정되고,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단은 안내관을 통해 액제 카트리지의 노즐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공압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노즐공을 개폐하는 공이부재와;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압제어부를,
공기입력부와 연결되는 공압밸브와; 상기 공압밸브와 제1공압라인 및 제2공압라인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공이부재의 상단이 결합되는 작동구가 구비된 작동부;로 구성하여 상기 제1공압라인 또는 제2공압라인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공이부재와 함께 작동구가 승하강되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일측에는 상기 작동부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수직 하방으로 승하강부재가 연결되면서 상기 승하강부재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작동부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를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강부재로는 승하강의 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로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측 가이드와 하측 가이드로 구성된 설치부재를 연장시켜 형성하되, 상측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이격시켜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전면 중앙에는 액제 카트리지의 상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측 장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상측 가이드로부터 하부로 이격된 하측 가이드는 전면 중앙에 액제 카트리지의 하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측 장착홈을 형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제 카트리지의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된 고정부를 형성하여 액제 카트리지를 상기 설치부재의 상측 가이드와 하측 가이드의 상측 장착홈과 하측 장착홈에 각각 장착시킬 때 상기 고정부가 설치부재의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과 관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제 카트리지의 하부로부터 노즐부를 분리 형성하되, 액제 카트리지의 하부 내면에 체결부를 형성하고, 노즐부의 상부 외측둘레에 나선부를 형성하여 액제 카트리지의 하부에 노즐부가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부의 노즐공은 하부로 갈수록 구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이부재의 하단에 연속된 다수개의 단차부를 형성한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액제가 수용되는 카트리지를 디스펜서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공이부재를 통해 카트리지에 수용된 액제를 정밀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액제의 정밀한 토출을 통해 디스펜서를 이용한 액제 적하작업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액제의 토출시 기포가 포함되면서 액제의 토출량 변화에 따라 패턴이 단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액제의 점도 변화에 따른 토출량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고, 공이부재의 정밀한 승하강 조절을 통해 공이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진동으로 인하여 토출량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노즐부를 교체할 필요없이 최소 10 NL/min 에서 300 NL/min 까지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액제의 교체 및 각 부품간들의 청소 및 유지나 관리를 간편하면서 효과적으로 그리고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펜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펜서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펜서에 설치된 공이부재가 승하강되는 작동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제 카트리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액제 카트리지의 노즐부로부터 액제가 토출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도 1 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와 도 2 에 따른 디스펜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를 통해 디스펜서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디스펜서의 구성은 크게 디스펜서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0)과, 공압제어부(200)와, 상기 공압제어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300)의 하부에 연결되는 에어공급부(400)와, 상기 공압제어부(20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부(500)와, 액제(630)가 수용되는 액제 카트리지(600)와, 상기 공압제어부(200)의 제어를 통해 액제 카트리지(600)의 액제(630)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공이부재(700)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하우징(10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면서 그 전면은 체결수단(도면중 미도시)에 의해 덮개(140)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00) 상면 한쪽에는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입력부(110)가 형성된 것이며, 에어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에어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레귤레이터를 거치도록 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에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우징의 상면 다른쪽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입력부(120)가 형성된 것이며, 하우징(100)의 상면중 또 다른쪽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입력부(130)가 형성된 것이다.
공압제어부(200)는 상기 공기입력부(12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압밸브(210)와 상기 공압밸브(210)와 제1공압라인(221) 및 제2공압라인(222)으로 연결되는 작동부(230)와, 상기 제1공압라인(221)과 제2공압라인(222)에 선택되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작동부(230) 내부에서 승하강되는 작동구(231)로 구성된 것이며, 이때 작동구(231)의 승하강 범위는 공압밸브(2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안내관(300)은 작동부(230)의 하부에는 설치되고, 이때 안내관(300)의 하단은 하우징(100)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그 돌출된 하단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실링부재(320)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관(300)의 내부 상측에는 고정부재(310)가 설치된 것인데, 이때 상기 고정부재(310)의 외주면 또한 실링부재(311)가 설치된 것이다.
에어입력부(110)에는 에어라인(410)의 한쪽이 연결되고 에어라인(410)의 다른쪽은 안내관(30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에어공급부(400)와 연결됨에 따라 에어입력부(110)로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라인(410)을 통해 에어공급부(400)를 거쳐 안내관(300)의 하부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때 안내관(300)으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고정부재(310)에 의해 상부로는 이동되지 못하고 하부로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컨트롤부(5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30)와 연결된 전원케이블(510)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공압밸브(21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게 되고, 상기 컨트롤부(500)의 전기적 제어에 따라 공압밸브(210)와 연결된 제1공압라인(221) 또는 제2공압라인(222)을 통해 공기압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공기압의 절환에 따라 작동부의 작동구(231)가 승하강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컨트롤부(500)의 제어에 의해 제1공압라인(221) 또는 제2공압라인(222)으로 유입되는 공기압의 세기가 조절되면서 작동구(231)의 승하강 작동 범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연결부재(8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그 일측 상면으로 작동부(230)의 저면에 고정되고, 이때 상기 작동부(230)의 작동구(231) 하단은 연결부재(800)를 관통하게 되며, 상기 연결부재(800)의 타측에는 그 하단으로 하우징(100)의 일측 저면에 위치하는 승하강부재(810)의 상단과 연결됨에 따라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재(810)의 좌우회전에 따라 연결부재(800)와 작동부(230)가 함께 승하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동구(231)의 하단에는 후술되는 공이부재(700)의 상단이 고정됨에 따라 승하강부재(810)의 작동에 따라 연결부재(800)가 승하강 되면 작동부(230)와 함께 작동구(231)와 공이부재(700)도 함께 승하강되는 것이므로 승하강부재(810)를 이용하여 공이부재(7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는 상기 승하강부재(810)의 일 예로 미세한 조절을 위하여 마이크로미터로 예시한 것이며, 상기 승하강부재(810)는 미세한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수단으로 변형 가능한 것이다.
설치부재(90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이며, 상측 가이드(910)와 상기 상측 가이드(9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하측 가이드(92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상측 가이드(910)는 하우징(100)의 저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저면과 상측 가이드(910)의 상면 사이에 끼움홈(930)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상측 가이드(910)와 하측 가이드(920)의 전면 중앙에는 액제 카트리지(600)가 안착되는 상측 장착홈(911)과 하측 장착홈(921)이 각각 형성된 것이다.
액제 카트리지(600)는 내부에 액제(630)가 수용되고, 상부에는 대향된 양측으로 고정부(640)가 돌출 형성된 것이며, 하부에는 액제(630)가 토출될 수 있도록 노즐공(611)이 구비된 노즐부(610)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액제 카트리지(600)를 하우징(100)에 장착할 때에는 고정부(640)를 전후방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를 설치부재(900)의 끼움홈(930)에 끼우면서 액제 카트리지(600)가 상측 가이드(910)와 하측 가이드(920)의 상측 장착홈(911) 및 하측 장착홈(921)에 각각 끼워지도록 한 후 90°회전시켜 상기 전후방향을 향하던 고정부(640)를 좌우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640)가 상기 끼움홈(9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측 가이드(910)의 상면에 걸리도록 하여 설치부재(900)에 설치된 액제 카트리지(600)가 회전 또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액제 카트리지(600)의 노즐부(610)는 도 4 에서와 같이 액제 카트리지(600)에 일체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노즐부(610)의 교체 및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위하여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액제 카트리지(600)의 하단 내주면에는 체결부(620)를 형성하고, 노즐부(610)의 상부에는 나선부(612)를 형성함에 따라 액제 카트리지(600)에 노즐부(610)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때 상기 노즐부(610)의 노즐공(611)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노즐부(610)의 노즐공(611)에서 상하작용을 하는 공이부재(700)의 끝단이 상기 노즐공(611)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공이부재(700)는 공압제어부(200)에 의해 승하강 작용을 하는 부재로서, 구체적으로는 공이부재(700)의 상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부(230)의 작동구(231) 하단에 연결되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는 고정부재(310)와 안내관(300)을 관통하여 설치부재(900)에 장착되는 액제 카트리지(60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그 끝단이 노즐부(610)의 노즐공(611)에 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구(231)의 작동에 따라 공이부재(700)가 하강을 하게 되면 공이부재(700)의 끝단이 노즐부(610)의 노즐공(611)에 채워진 액제(630)를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노즐공(611)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공이부재(700)의 끝단은 어느 정도 하강하다가 노즐공(611)의 작은 직경부위에 걸리게 되면서 노즐공(611)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디스펜서의 액제 토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액제 카트리지(600)에는 토출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에 따라 필요한 액제(630)가 수용되며, 상기 액제(630)가 수용된 액제 카트리지(600)는 고정부(640)를 하우징(100)의 저면과 설치부재(900)의 상측 가이드(910)가 이루는 끼움홈(930)에 끼워지도록 하여 액제 카트리지(600)가 설치부재(900)에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입력부(110)를 통해 에어가 입력되며, 공기입력부(120)에는 공기가 입력되고, 전원입력부(130)로는 전원이 인가되어 디스펜서가 작동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디스펜서는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로봇유닛과 같은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에어입력부(110)로 입력된 에어는 에어라인(410)을 통해 에어공급부(400)를 거쳐 안내관(300)을 따라 액제 카트리지(600)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액제 카트리지(600)의 내부에 수용된 액제(630)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압력의 크기나 시간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메인 제어부의 제어를 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기입력부(120)로 공급된 공기는 공압제어부(200)의 공압밸브(210)로 이동되며, 이때 전원입력부(130)로 전원이 인가되면서 전원케이블(510)로 연결된 컨트롤부(500)가 작동되고, 상기 컨트롤부(500)는 전기적으로 공압밸브(210)를 제어하여 상기 공압밸브(210)에 연결된 제1공압라인(221) 또는 제2공압라인(222)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즉, 컨트롤부(500)가 공압밸브(210)의 제1공압라인(221)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압이 작용되면 작동부(230)의 내부에 위치한 작동구(231)가 하강을 하게 됨에 따라 상기 작동구(231)에 하단에 고정된 공이부재(700)가 하강을 하게 되는 것이며, 컨트롤부(500)가 공압밸브(210)의 제2공압라인(222)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압이 작용되면 작동부(230)의 내부에 위치한 작동구(231)는 승강을 하게 됨에 따라 상기 작동구(231)에 하단에 고정된 공이부재(700) 또한 승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압밸브(210)에서 제1공압라인(221) 또는 제2공압라인(222)으로 공급되는 공기압의 세기 및 공급시간 또한 메인 제어부의 제어를 함께 받는 것이다.
따라서 도 5 와 같이 액제 카트리지(600)의 액제(630)에 에어의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공압제어부(200)에 의해 공이부재(700)의 끝단이 하강하여 경사진 노즐공(611)을 막아주게 되면 상기 액제(6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액제(630)가 노즐공(61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공압제어부(200)에 의해 공이부재(700)가 승강을 하게 되면 공이부재(700)의 끝단과 노즐부(610)의 내주면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면서 그 틈새로 액제(630)가 내려와 공이부재(700)의 끝단과 노즐공(611)의 끝단 사이의 공간에 액제(630)가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압제어부(200)에 의해 공이부재(700)가 하강을 하게 되면 공이부재(700)의 끝단과 노즐공(611)의 끝단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있던 일정량의 액제(630)가 노즐공(611)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이부재(700)의 승하강 길이 및 액제(630)에 가해지는 압력은 메인 제어부가 조절하게 되면서 그 조절에 따라 노즐공(611)을 통해 토출되는 액제(630)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이부재(700)가 노즐공(611)으로부터 승강될 때 액제(630)가 공이부재(700)의 하단과 노즐공(611)의 끝단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공이부재(700) 하단과 노즐공(611)의 끝단 사이의 공간을 차지고 있던 공기와 만나 기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기포가 토출되는 액제(630)에 포함될 경우 토출되는 액제(630)의 양이 서로 다를 수 있어 패턴이 단절될 수 있으며, 토출되는 액제(630)의 양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게 되면서 액제(630)를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공이부재(700)가 상승 되면서 기포가 발생하더라도 공이부재(70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공이부재(700)와 노즐공(611)의 내주면과에서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일정량의 액제(630)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비중이 작은 기포가 함께 상승됨에 따라 토출되는 액제(630)에 기포가 포함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공이부재(700)의 끝단에 연속된 단차부(710)를 형성하므로서, 공이부재(700)가 하강될 때 공이부재(700)의 하단과 노즐공(611)의 끝단 사이 공간에 형성된 기포가 액제(630)와 함께 신속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디스펜서는 여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모바일이나 디스플레이 및 FPD 분야, 소형모터, 소형이어폰, 소형스피커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를 다수개로 구성하여 디스펜서에 설치된 액제 카트리지(600)의 노즐부(610)로부터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액제(630)가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노즐부(610)를 수직형태가 아닌 경사진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원통형 대상물 내부에도 액제(630)를 토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에어입력부
120 : 공기입력부 130 : 전원입력부
140 : 덮개 200 : 공압제어부
210 : 공압밸브 221 : 제1공압라인
222 : 제2공압라인 230 : 작동부
231 : 작동구 300 : 안내관
310 : 고정부재 311, 320 : 실링부재
400 : 에어공급부 410 : 에어라인
500 : 컨트롤부 510 : 전원케이블
600 : 액제 카트리지 610 : 노즐부
611 : 노즐공 612 : 나선부
620 : 체결부 630 : 액제
640 : 고정부 700 : 공이부재
710 : 단차부 800 : 연결부재
810 : 승하강부재 900 : 설치부재
910 : 상측 가이드 911 : 상측 수용홈
920 : 하측 가이드 921 : 하측 수용홈
930 : 끼움홈

Claims (9)

  1. 기판상에 액상의 물질이나 점도를 가지는 페이스트 상태 물질을 적하하여 공급하는 디스펜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에 에어입력부와 공기입력부와 전원입력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기입력부와 연결된 공압제어부;
    상기 공압제어부의 하부에 수직하방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상측에는 실링부재에 의해 밀폐가 되도록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하단은 하우징의 저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돌출된 외주면에 실링부재가 형성된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면서 에어입력부와 연결된 에어라인과 연결되어 에어입력부로 공급된 일정한 압력의 에어를 안내관의 하부로 공급해주는 에어공급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전원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공압제어부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는 컨트롤부;
    상부는 상기 안내관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는 노즐공이 구비된 노즐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액제가 수용되는 액제 카트리지; 및
    상단은 상기 공압제어부에 고정되고,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단은 안내관을 통해 액제 카트리지의 노즐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공압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노즐공을 개폐하는 공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제어부는,
    공기입력부와 연결되는 공압밸브와, 상기 공압밸브와 제1공압라인 및 제2공압라인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공이부재의 상단이 결합되는 작동구가 구비된 작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공압라인 또는 제2공압라인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공이부재와 함께 작동구가 승하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작동부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수직 하방으로 승하강부재가 연결되면서 상기 승하강부재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작동부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강부재로는 승하강의 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측 가이드와 하측 가이드로 구성된 설치부재를 연장시켜 형성하되, 상측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이격시켜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전면 중앙에는 액제 카트리지의 상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측 장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상측 가이드로부터 하부로 이격된 하측 가이드는 전면 중앙에 액제 카트리지의 하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측 장착홈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제 카트리지의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된 고정부를 형성하여 액제 카트리지를 상기 설치부재의 상측 가이드와 하측 가이드의 상측 장착홈과 하측 장착홈에 각각 장착시킬 때 상기 고정부가 설치부재의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제 카트리지의 하부로부터 노즐부를 분리 형성하되, 액제 카트리지의 하부 내면에 체결부를 형성하고, 노즐부의 상부 외측둘레에 나선부를 형성하여 액제 카트리지의 하부에 노즐부가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노즐공은 하부로 갈수록 구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부재의 하단에 연속된 다수개의 단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KR1020120098674A 2012-09-06 2012-09-06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KR10122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674A KR101225669B1 (ko) 2012-09-06 2012-09-06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674A KR101225669B1 (ko) 2012-09-06 2012-09-06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669B1 true KR101225669B1 (ko) 2013-01-23

Family

ID=4784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674A KR101225669B1 (ko) 2012-09-06 2012-09-06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531B1 (ko) * 2022-06-29 2022-11-04 엠비디 주식회사 세포 배양용 필러 코팅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378A (ko) * 2003-07-16 2005-01-25 임창선 액체정량 토출장치
JP2006136864A (ja) 2004-11-15 2006-06-01 V Technology Co Ltd 液体材料供給装置
KR20080104729A (ko) * 2007-05-29 2008-12-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 압전작동기를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디스펜서 헤드
US8074467B2 (en) 2003-07-14 2011-12-13 Nords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discrete amounts of viscous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4467B2 (en) 2003-07-14 2011-12-13 Nords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discrete amounts of viscous material
KR20050009378A (ko) * 2003-07-16 2005-01-25 임창선 액체정량 토출장치
JP2006136864A (ja) 2004-11-15 2006-06-01 V Technology Co Ltd 液体材料供給装置
KR20080104729A (ko) * 2007-05-29 2008-12-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 압전작동기를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디스펜서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531B1 (ko) * 2022-06-29 2022-11-04 엠비디 주식회사 세포 배양용 필러 코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393B1 (ko) 분배 장치용 마그네틱 드라이브
TWI453069B (zh) 於基材上分散黏性材料之方法及設備
KR101457465B1 (ko) 탈포 기구를 구비한 액재 토출 장치
KR101822985B1 (ko) 유체 토출 장치, 유체 토출 방법 및 유체 도포 장치
KR20100116666A (ko) 액체 재료의 토출 장치, 및 그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JP2017523914A (ja) 供給システム用の遠隔バルク給送システム及び供給システムに粘性材料を供給する方法
KR20180032564A (ko) 고체 입자를 함유하는 액체 재료의 토출 장치 및 토출 방법, 및 도포 장치
KR101045754B1 (ko) 점성 유체 도포 장치
KR101225669B1 (ko) 에어를 이용한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디스펜서
JP2000312851A (ja) 接着剤吐出装置
JP2020526425A (ja) 音響トランスジューサを伴う噴射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TW201609269A (zh) 用於分注器的閥門座
KR20170015669A (ko) 디스펜싱 장치
KR20140118044A (ko) 반도체 및 led 제조용 리니어 디스펜서 펌프 장치
JP2017213487A (ja) 液体材料吐出装置、その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JP4505364B2 (ja) 樹脂封止型電気回路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樹脂注入装置
KR100597779B1 (ko) 정밀정량토출형 점 도포 장치
CN109109460B (zh) 液体灌注设备
WO2013121814A1 (ja) 塗布装置
KR20150113579A (ko) 솔더 자동공급장치
CN114602733B (zh) 点胶装置及其点胶方法
KR102424736B1 (ko) 기체 유로를 구비하는 전기수력학적 펌프 헤드 조립체
KR101615531B1 (ko) 용액 도포용 고속 디스펜싱 펌프
KR101063676B1 (ko) 인덕터 몰딩용 수지 도포 장치
KR100891962B1 (ko) 중공 압전작동기를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디스펜서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