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357B1 -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357B1
KR102017357B1 KR1020147015947A KR20147015947A KR102017357B1 KR 102017357 B1 KR102017357 B1 KR 102017357B1 KR 1020147015947 A KR1020147015947 A KR 1020147015947A KR 20147015947 A KR20147015947 A KR 20147015947A KR 102017357 B1 KR102017357 B1 KR 10201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eight
capacitor
condenser
is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593A (ko
Inventor
마사유키 모리
이쿠후미 혼다
Original Assignee
닛뽄 케미콘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케미콘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케미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2Vents or other means allowing expan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0Sealing, e.g. of lead-in w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3Electric condense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압력 밸브의 기능 저하를 방지한다. 콘덴서 소자(30)를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4)의 밀봉 가공부[컬링부(10)]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밸브 설치부[아일랜드부(16)]를 구비하는 밀봉 부재[밀봉판(6)]와, 상기 밸브 설치부[아일랜드부(16)]의 관통 구멍(22)에 설치되고, 상기 밀봉 가공부[컬링부(10)]의 높이를 초과하는 위치에 밸브 기능부[박막부(24)]가 설정된 압력 밸브(20)를 구비하여, 밸브 기능부[박막부(24)]에 대한 물이나 진애의 체류를 저감시킨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전기 이중층 콘덴서, 전해 콘덴서 등, 외장 케이스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압력 밸브를 구비하는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이중층 콘덴서, 전해 콘덴서 등의 콘덴서에서는, 외장 케이스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압력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압력 밸브는 가스 방출 기능이나 방폭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압력 밸브는 박막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박막으로부터 콘덴서 내의 발생 가스를 서서히 방출시킨다. 이것이 가스 방출 기능이다. 이에 대해, 콘덴서 이상으로 급격하게 발생한 가스는, 가스 방출 기능을 초과하기 때문에, 케이스 내압을 이상 상승시킨다. 이 경우에는 가스 압력에 의해 압력 밸브의 박막이 깨져, 즉, 압력 밸브의 개방에 의해 순식간에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킨다. 이에 의해 방폭 기능을 행한다.
이러한 압력 밸브를 구비하는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특허문헌 1에는, 콘덴서 소자를 수납하는 케이스의 덮개에 안전 밸브를 설치하고, 이 안전 밸브가 덮개의 두께 내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의 선단을 덮개의 면부에 일치시키고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3-110827호 공보
그런데, 차량 탑재 기기 등, 외기의 영향을 받는 기기에서는 콘덴서에 물방울이나 진애의 부착 우려가 있다. 티끌이나 물방울이 압력 밸브의 밸브 기능부에 부착되면, 가스 배출 기능이나 방폭 기능이 손상된다. 압력 밸브의 기능 저하는 안전성을 저하시키므로, 압력 밸브의 밸브 기능부는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밸브 기능부의 청정화에는 진애나 물방울의 제거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기에 탑재된 콘덴서에 대하여, 진애나 물방울의 제거 등, 유지 보수를 수시로 행하는 것은 이상적이기는 하지만, 현실적이지는 않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안전 밸브(압력 밸브)의 기능부가 덮개(밀봉판)의 외면에 일치하고 있고, 진애나 물방울의 부착을 회피할 수 없어, 진애나 물방울이 잔류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진애나 수분의 부착을 방치하면, 밸브 기능의 저하나 밸브 기능부를 열화시킬 우려가 있다. 밸브 기능부에 잔류하는 진애나 수분은 밸브 기능을 저하시키고, 나아가서는 밸브 기능부를 열화시키는 원인도 된다. 밸브 기능이 저하되면, 압력 밸브에 적정한 동작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압력 밸브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본 발명의 콘덴서는, 콘덴서 소자를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의 밀봉 가공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밸브 설치부를 구비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밸브 설치부의 관통 구멍에 설치되고, 상기 밀봉 가공부의 높이를 초과하는 위치에 밸브 기능부가 설정된 압력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2) 상기 콘덴서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설치부의 정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기능부를 포위하는 단일 또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해도 좋다.
(3) 상기 콘덴서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밀봉 가공부의 높이 위치 이상의 높이에 설정된 단자 설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설치부는 상기 단자 설치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이어도 좋다.
(4) 상기 콘덴서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기능부의 외주부에 테이퍼면 또는, 외부로 돌출한 곡면을 구비해도 좋다.
(5) 상기 콘덴서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설치부가 외측 테두리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해도 좋다.
(6) 본 발명의 콘덴서 제조 방법은, 콘덴서 소자를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를 밀봉하는 외장 케이스의 밀봉 가공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밸브 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장 케이스의 상기 밸브 설치부에 개구된 관통 구멍에 설치하는 압력 밸브의 밸브 기능부를 상기 밀봉 가공부의 높이 이상의 위치에 설정한다.
본 발명의 콘덴서 또는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외장 케이스의 밀봉 가공부보다 외측에 압력 밸브의 밸브 기능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밸브 기능부에 물이나 진애의 체류를 억제하고, 물이나 진애에 의한 밸브 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밸브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2) 밸브 기능의 유지에 의해, 신뢰성이 높은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각 실시 형태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콘덴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콘덴서의 밀봉판을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 및 압력 밸브의 설치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밸브 기능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아일랜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콘덴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콘덴서는 본 발명의 콘덴서의 일례이며,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콘덴서(2)는 전기 이중층 콘덴서, 전해 콘덴서 등, 구동 시에 가스를 발생하는 콘덴서이면 어느 것이든 좋다. 이 콘덴서(2)의 외장 케이스(4)는 밀봉판(6)으로 밀봉되어 있다. 이 밀봉판(6)은, 외장 케이스(4)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의 일례이다. 외장 케이스(4)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의 성형체이다. 밀봉판(6)은 이러한 외장 케이스(4)를 밀봉하는 부재이면 좋고, 고무나 합성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일례인 밀봉판(6)은, 경질의 합성 수지의 성형 가공체이다. 외장 케이스(4)의 개구부가 원형이기 때문에, 이 개구부에 맞춰서 밀봉판(6)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봉판(6)의 주연부에는 밀봉환(8)이 설치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4)의 개구 테두리부에는 컬링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컬링부(10)는, 외장 케이스(4)의 밀봉 가공부의 일례이다. 외장 케이스(4)는 밀봉판(6), 밀봉환(8) 및 외장 케이스(4)의 컬링부(10)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밀봉판(6)의 노출면부(12)는 컬링부(10)로 포위되어 있다. 이 노출면부(12)에는 아일랜드부(14, 16)가 형성되어 있다. 아일랜드부(14)는 단자 설치부의 일례이다. 아일랜드부(16)는 밸브 설치부의 일례이다. 아일랜드부(14)에는 양극 단자(18-1)와 음극 단자(18-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일랜드부(16)에는 압력 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아일랜드부(14)는 양극 단자(18-1)와 음극 단자(18-2)를 별개로 주회하는 원형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아일랜드부(14)는 아일랜드부(14-1, 14-2)를 포함하고, 아일랜드부(14-1)는 양극 단자(18-1)를 주회하는 원형부를 구비하고, 아일랜드부(14-2)는 음극 단자(18-2)를 주회하는 원형부를 구비하고 있다. 아일랜드부(14)는 좌우 대칭의 형상이다.
이 아일랜드부(14)에 대하여, 아일랜드부(16)는 양극 단자(18-1)와 음극 단자(18-2) 사이에 있는 중심선 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아일랜드부(16)에는 중심부에 관통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22)은 밀봉판(6)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원 구멍이다. 이 관통 구멍(22)에는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가 설치되고, 이 박막부(24)가 관통 구멍(2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압력 밸브(20)는 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압력 밸브(20)의 형성 재료는, 외장 케이스(4)의 내압 상승에 수반하는 가스 배출 기능이나, 급격한 내압 상승 시에 박막부(24)가 깨지는 방폭 기능이 얻어지는 재료이면 좋다. 박막부(24)를 형성하는 재료에는 예를 들어, 포화계 고무를 사용하면 된다. 이 포화계 고무에는 실리콘 고무, 부틸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비닐 변성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계 고무 또는 수소 첨가 니트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 포화계 고무에는 가교제, 충전제, 가소제 또는 노화 방지제 등을 적절히 배합해도 좋다.
아일랜드부(16)는 박막부(24)보다 대경이다. 이 아일랜드부(16)의 정상부에는, 복수의 돌기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아일랜드부(16)의 정상부 4군데에 돌기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판(6)의 중심축 방향으로 두개의 돌기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부(26)를 관통하는 중심축과 직교 방향으로 두개의 돌기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가 복수의 돌기부(26)로 포위되어 있음과 함께, 돌기부(26) 사이에 발생한 간극(28)에 의해 아일랜드부(16)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돌기부(26)의 수는, 4미만이어도 좋고, 5이상이어도 좋다.
이렇게 아일랜드부(14, 16)를 구비하는 밀봉판(6)의 노출면부(12)는 평탄면이다. 즉, 이 평탄면 상에 형성된 아일랜드부(14, 16)는 주회 형상의 컬링부(10)로 포위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외장 케이스(4)에는 콘덴서 소자(30)가 수납되어 있다. 이 콘덴서 소자(30)는, 콘덴서(2)가 전기 이중층 콘덴서이면, 전기 이중층 콘덴서 소자, 전해 콘덴서이면, 전해 콘덴서 소자이다. 일례로서, 콘덴서 소자(30)가 전기 이중층 콘덴서이면, 알루미늄 등의 집전체의 양면에 활성탄을 포함하는 분극성 전극층을 형성한 분극성 전극체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배치해서 권회한 기둥 형상의 소자체이며, 전해액을 함침한 권회 소자이다. 콘덴서 소자(30)가 전해 콘덴서이면, 양극 박과 음극 박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권회한 기둥 형상의 소자체이며, 전해액을 함침한 권회 소자이다.
콘덴서(2)가 전기 이중층 콘덴서이면, 양극 단자(18-1)에는 콘덴서 소자(30)의 한쪽의 분극성 전극체로부터 도출된 내부 리드부(32)가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음극 단자(18-2)에는 콘덴서 소자(30)의 다른 쪽 분극성 전극체로부터 도출된 내부 리드부가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2)가 전해 콘덴서이면, 양극 단자(18-1)에는 콘덴서 소자(30)의 양극 박으로부터 도출된 내부 리드부(32)가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음극 단자(18-2)에는 콘덴서 소자(30)의 음극 박으로부터 도출된 내부 리드부가 접속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4)에는 밀봉판(6)을 위치 결정해서 고정하는 단차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34)는 외장 케이스(4)의 코킹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34)에는, 밀봉판(6)의 단차부(36)가 걸어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외장 케이스(4)에 설치된 밀봉판(6)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밀봉판(6)에 대해서, 각 부재나 각 부의 높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밀봉판(6)의 노출면부(12)의 높이를 기준으로 취한다. 컬링부(10)의 정상부 높이를 H1, 아일랜드부(14)[아일랜드부(14-1)]의 높이를 H2, 아일랜드부(16)의 높이를 H3, 돌기부(26)를 포함하는 아일랜드부(16)의 높이를 H4로 한다. 이들 높이의 대소 관계는, H1≤H2≤H3<H4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H1<H2≤H3<H4이어도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H1<H2<H3<H4이어도 좋다. 이 경우, 돌기부(26)만의 높이 H5는, H5=H4-H3이다. 즉, 밸브 기능부인 박막부(24)의 위치가 컬링부(10)보다 높게 설정되고, 바꾸어 말하면 박막부(24)가 컬링부(10) 보다 외측에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박막부(24)가 아일랜드부(16)보다 돌출되므로, 박막부(24)의 표면에 있어서 물방울이나 진애의 체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각 아일랜드부[(14){아일랜드부(14-1)}, (16)]는 밀봉판(6)과 일체로 예를 들어, 합성 수지의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아일랜드부[(14){아일랜드부(14-1)}]의 높이 H2는 컬링부(10)의 높이 H1과 동등해도 좋고, 컬링부(10)보다 높게 설정해도 좋다. 도시하지 않은 아일랜드부(14-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4의 A는 도 2의 IVA부의 확대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B는 도 4의 A로부터 압력 밸브(20)를 제외하고 나타내고 있다.
압력 밸브(20)는 이미 설명한 박막부(24)를 정상부에 구비한다. 박막부(24)는 본체부(38)의 정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박막부(24)의 주위에는 플랜지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판(6)의 관통 구멍(22)은 박막부(24) 및 플랜지부(40)로 폐색된다.
이 본체부(38)의 중심부에는 수압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압 구멍(42)은, 박막부(24)측을 소경부(44)로 하고, 개구측이 대경부(46)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압 구멍(42)에서는, 압력 밸브(20)의 내측이, 박막부(24)를 향함에 따라서 구멍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고, 수압 구멍(42)이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8)의 측면부에는, 플랜지부(40) 측에 끼워맞춤 오목부(48)를 끼워, 삽입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부(50)는 끼워맞춤 오목부(48)보다 대경이며, 플랜지부(40)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50)의 후단부측에는 후방을 향해서 대경화하는 원뿔대 형상의 스토퍼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8)의 삽입부(50)의 플랜지부(40)와의 대향면부도 본체부(38)의 스토퍼를 구성한다.
관통 구멍(22)에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맞춤 돌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돌기부(54)는 압력 밸브(20)의 끼워맞춤 오목부(48)에 끼워 넣어진다. 끼워맞춤 돌기부(54)는 관통 구멍(22)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관통 구멍(22)의 최소 직경부를 구성하고 있다. 밀봉판(6)에는 노출면부(12)로부터 배면 방향을 향해서 끼워맞춤부(56), 테이퍼부(58) 및 개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56)는, 압력 밸브(20)의 삽입부(50)가 삽입되는 피 삽입부를 구성하고 있다. 끼워맞춤부(56)의 내경은, 압력 밸브(20)의 삽입부(50)를 고정하기 위해서, 압력 밸브(20)가 갖는 탄성의 수축성을 이용해서 장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좋다. 테이퍼부(58)는 스토퍼부(52)의 장착부이며, 스토퍼부(52)의 외형과 동일 또는 상사형이다. 그리고, 개방부(60)는 외장 케이스(4) 내의 내압 상승을 수압 구멍(42)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외장 케이스(4) 내에 개방된 개구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콘덴서 소자(30)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가스에 의한 외장 케이스(4) 내의 내압 상승이 개방부(60)로부터 수압 구멍(42)을 거쳐 박막부(24)에 작용한다. 내압 상승이 박막부(24)의 내력 이하이면 박막부(24)로부터 가스가 서서히 배출된다. 이에 의해, 외장 케이스(4)의 내압이 압력 밸브(20)에 의해 적정압으로 유지된다.
이상 시에는, 콘덴서 소자(30)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현저해진다. 이에 의해, 외장 케이스(4) 내의 내압이 이상 상승한다. 박막부(24)에 작용하는 내압 상승이 박막부(24)의 내력을 초과하면, 박막부(24)가 깨짐으로서, 압력 밸브(20)가 개방되고, 외장 케이스(4) 내의 가스가 외기로 개방된다. 이에 의해, 콘덴서(2)의 방폭 기능이 행해진다.
이어서, 이 콘덴서(2)의 제조 방법 일례를 설명한다.
이 콘덴서(2)의 제조 방법에는, 아일랜드부(16)의 형성 공정, 압력 밸브(20)의 설치 공정이 포함된다.
(1) 아일랜드부(16)의 형성 공정
이 공정에서는, 이미 설명한 아일랜드부(16)를 구비한 밀봉판(6)을 형성한다. 아일랜드부(16)의 높이는, 외장 케이스(4)에 형성되는 컬링부(10)(밀봉 가공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로 설정한다.
(2) 압력 밸브(20)의 설치 공정
외장 케이스(4)의 아일랜드부(16)에 개구된 관통 구멍(22)에 설치하는 압력 밸브(20)의 밸브 기능부인 박막부(24)를 컬링부(10)의 높이 이상의 위치에 설정한다.
이러한 콘덴서(2) 또는 그 제조 방법에는 이하의 특징 사항, 기능 또는 변형예를 갖는다.
(a) 압력 밸브(20)는 밀봉판(6)의 아일랜드부(16)에 설치되어 있다. 즉, 아일랜드부(16)의 높이는 컬링부(10)의 높이 이상이다. 이로 인해, 컬링부(10)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아일랜드부(16)에 있는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에는 진애나 수분이 부착되어도, 그것들의 잔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진애나 수분에 의한 밸브 기능이 손상되는 일 없이, 안정된 밸브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있는 콘덴서(2)가 얻어진다.
(b) 외장 케이스(4)의 컬링부(10)의 정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아일랜드부(16) 또는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가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컬링부(10)로 포위된 밀봉판(6)의 노출면부(12)에 수분이 부착되고, 잔류해도, 아일랜드부(16) 또는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에 도달하는 일이 없다. 즉, 컬링부(10)의 포위부 내의 수분은 아일랜드부(16) 또는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에 도달하지 않고, 넘쳐 흐르거나 증발한다.
(c) 아일랜드부(16)의 정상부에는 복수의 돌기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아일랜드부(16)의 정상부 또는 정상부의 근방에 배치되는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가 방호되어 있다.
(d) 복수의 돌기부(26)의 사이에는 간극(28)이 형성되어 있다. 아일랜드부(16)의 정상부에 부착된 수분은, 간극(28)으로부터 흘러내려, 돌기부(26)의 사이에 머무르는 일이 없다. 즉,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에 수분의 잔류를 저감시킬 수 있어, 밸브 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e) 아일랜드부(16)에 설치된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에 대한 진애나 수분의 부착 또는 체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압력 밸브(20)에 필요한 가스 배출 기능이나 방폭 기능을 유지하여, 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f) 아일랜드부(16)의 외주부에 테이퍼면 또는, 외부로 돌출한 곡면을 구비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로의 수분의 부착이나 체류가 억제된다.
(g) 차량 탑재용 기기에 탑재되는 전해 콘덴서나 전기 이중층 콘덴서 등의 용도에 있어서도 외기에 노출되어 빗물이나 진애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정된 가스 방출 기능이나 방폭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h) 아일랜드부(16)에 의해, 진애나 수분의 잔류가 예측되는 공간부나 면부를 밀봉판(6)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박막부(24)의 수몰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아일랜드부(16)에 설치된 박막부(24)가 돌기부(26)에 의해 방호되어, 이송시 등의 손상 발생으로부터 박막부(24)를 방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력 밸브(20)의 박막부(24)가 평탄면 형상인 것에 대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부로 하강하는 단면 만곡 형상으로 해도 좋다. 무엇보다, 내압 상승에 의해 박막부(24)가 외부로 팽출하는 형태이어도 좋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부에 하강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플랜지부(40)의 주연부는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면(62)을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박막부(24)에 대한 진애나 수분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밀봉판(6)에 압력 밸브(20)를 설치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밀봉 부재는 밀봉판(6) 이외의 콘덴서 소자를 봉입하는 외장 부재의 일부이어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아일랜드부(16)가 평탄면 형상인 것에 대해, 도 6의 B에 나타내는 도면 6의 A의 VIB-VIB선 단면과 같이, 아일랜드부(16)가 외측 테두리를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사면은, 하향으로 경사지는 면이면 좋고, 테이퍼면이어도 곡면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물방울이 외측 테두리를 향해서 흘러, 아일랜드부(16)로부터 흘러 내려 떨어지기 쉬워지고, 진애가 외측 테두리를 향해서 이동하여, 아일랜드부(16)로부터 낙하되기 쉬워진다. 물방울이나 진애의 체류 저감 기능이 높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되고, 또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로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은, 외장 케이스의 밀봉 가공부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압력 밸브 또는 그 밸브 기능부를 배치했으므로, 진애나 수분의 부착이 억제되어, 안정된 밸브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유용하다.
2 : 콘덴서
4 : 외장 케이스
6 : 밀봉판
8 : 밀봉환
10 : 컬링부
12 : 노출면부
14, 14-1, 14-2, 16 : 아일랜드부
18-1 : 양극 단자
18-2 : 음극 단자
20 : 압력 밸브
22 : 관통 구멍
24 : 박막부
26 : 돌기부
28 : 간극
30 : 콘덴서 소자
32 : 내부 리드부
34 : 단차부
36 : 단차부
38 : 본체부
40 : 플랜지부
42 : 수압 구멍
44 : 소경부
46 : 대경부
48 : 끼워맞춤 오목부
50 : 삽입부
52 : 스토퍼부
54 : 끼워맞춤 돌기부
56 : 끼워맞춤부
58 : 테이퍼부
60 : 개방부
62 : 테이퍼면

Claims (6)

  1. 콘덴서 소자를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의 밀봉 가공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밸브 설치부를 구비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밸브 설치부의 관통 구멍에 설치되고, 상기 밀봉 가공부의 높이를 초과하는 위치에 밸브 기능부가 설정된 압력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기능부의 외주부에 테이퍼면 또는, 외부로 돌출한 곡면을 구비하고 있는, 콘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설치부의 정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기능부를 포위하는 단일 또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콘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밀봉 가공부의 높이 위치 이상의 높이에 설정된 단자 설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설치부는 상기 단자 설치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인, 콘덴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밀봉 가공부의 높이 위치 이상의 높이에 설정된 단자 설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설치부는 상기 단자 설치부의 높이 이상의 높이인, 콘덴서.
  5. 제1항에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설치부가 외측 테두리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콘덴서.
  6. 삭제
KR1020147015947A 2011-11-17 2012-11-16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7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1667 2011-11-17
JP2011251667 2011-11-17
PCT/JP2012/007353 WO2013073192A1 (ja) 2011-11-17 2012-11-16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593A KR20140091593A (ko) 2014-07-21
KR102017357B1 true KR102017357B1 (ko) 2019-09-02

Family

ID=4842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947A KR102017357B1 (ko) 2011-11-17 2012-11-16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37368B2 (ko)
EP (1) EP2782109B1 (ko)
JP (1) JP6136931B2 (ko)
KR (1) KR102017357B1 (ko)
CN (1) CN103946939B (ko)
WO (1) WO2013073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6039A (zh) * 2013-10-21 2015-04-29 丹阳市米可汽车零部件厂 压力自适应电容器
US10586656B2 (en) * 2015-10-21 2020-03-10 Nichicon Corporation Pressure valve and electrolytic capacitor
US11393639B2 (en) 2017-12-20 2022-07-19 Nippon Chemi-Con Corporation Seal plate,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al plate
DE102018127263A1 (de) 2018-10-31 2020-04-30 Tdk Electronics Ag Kondensator
DE102019133565A1 (de) * 2019-12-09 2021-06-10 Tdk Electronics Ag Elektrolytkondensator mit Kontrollelement zur Gasdiffusion
CN213393710U (zh) * 2020-07-14 2021-06-08 东莞东阳光科研发有限公司 泄压阀及具有其的电解电容器
US20240170227A1 (en) * 2021-02-01 2024-05-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wer storage device
KR102686968B1 (ko) * 2023-01-20 2024-07-22 성남전기공업(주) 디스크를 가지는 콘덴서용 봉구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5070A (ja) 2004-11-05 2006-05-25 Nichicon Corp 圧力弁を有する封口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JP2010087137A (ja) * 2008-09-30 2010-04-15 Panasonic Corp キャパシ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0632A (en) * 1946-12-28 1950-03-14 Bell Telephone Labor Inc Electrolytic device
FR1344908A (fr) * 1962-07-03 1963-12-06 Yardney International Corp Dispositif de valve uni-directionnelle applicable en particulier aux boîtiers d'accumulateurs électriques
JPS4980333U (ko) * 1972-10-31 1974-07-11
US3874047A (en) 1972-11-21 1975-04-01 Allied Chem Process to provide narrow yarn width of transfer tails of multifilament yarn
JPS5520247U (ko) * 1978-07-24 1980-02-08
JPS5520247A (en) 1978-07-31 1980-02-13 Nippon Zeon Co Soil culture material
US4992910A (en) * 1989-11-06 1991-02-12 The Evans Findings Company, Inc. Electrical component package
JPH03110827U (ko) 1990-02-28 1991-11-13
JPH05291092A (ja) * 1992-04-14 1993-11-05 Nippon Chemicon Corp 電解コンデンサ
JPH11145015A (ja) * 1997-11-12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3539620B2 (ja) * 1999-02-04 2004-07-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
JP2004190802A (ja) * 2002-12-12 2004-07-08 Kokoku Intech Co Ltd 圧力調整弁、およびそれを備えたキャパシタ
JP2005116955A (ja) * 2003-10-10 2005-04-28 Nichicon Corp コンデンサ
JP2006294669A (ja) * 2005-04-06 2006-10-26 Nok Corp 圧力開放弁
EP1909299A4 (en) * 2005-07-26 2014-05-28 Panasonic Corp CAPACITOR
WO2008047597A1 (fr) * 2006-10-16 2008-04-24 Panasonic Corporation Condenseur
KR100919106B1 (ko) * 2008-02-04 2009-09-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5070A (ja) 2004-11-05 2006-05-25 Nichicon Corp 圧力弁を有する封口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JP2010087137A (ja) * 2008-09-30 2010-04-15 Panasonic Corp キャパシ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0900A1 (en) 2014-08-28
WO2013073192A1 (ja) 2013-05-23
EP2782109B1 (en) 2018-06-13
CN103946939B (zh) 2017-02-15
CN103946939A (zh) 2014-07-23
EP2782109A1 (en) 2014-09-24
EP2782109A4 (en) 2015-10-07
US9437368B2 (en) 2016-09-06
KR20140091593A (ko) 2014-07-21
JPWO2013073192A1 (ja) 2015-04-02
JP6136931B2 (ja)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357B1 (ko)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GB2533317A (en) Spark containment cap
JP2017091721A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10978685B2 (en) Sealing plug arrangement, housing and accumulator
JP5713789B2 (ja) ファスナ、航空機組立品、航空機組立品の製造方法、および治具
JP6104535B2 (ja) 防爆弁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94290A (ja) 鉛蓄電池
WO2016002220A1 (ja) コンデンサ
CN114730978A (zh) 铅蓄电池用液口栓以及铅蓄电池
JP2005302625A (ja) 電池
JP2006294291A (ja) 制御弁式鉛蓄電池
CN104600374A (zh) 一种铅酸蓄电池
JP2006108185A (ja) 電解コンデンサ
CN215070913U (zh) 用于户外密封型电气箱体的泄压装置
JP2014127692A (ja)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封口板
CN211314812U (zh) 汽车控制室盖板的密封机构
CN208461393U (zh) 便于安装固定的船用接线箱
JP2010034244A (ja) 圧力開放弁
JP2012059803A (ja) 圧力開放弁
KR20170050217A (ko) 축전지의 벤트캡
JP2020102541A (ja) 圧力開放弁
CN210443588U (zh) 一种盒盖及电池盒
JP2011119313A (ja) 圧力開放弁
JP2010232675A (ja) 電解コンデンサ
CN216671781U (zh) 防爆阀保护部件、防爆阀组件及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