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185B1 - 블로 성형 장치 및 블로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블로 성형 장치 및 블로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185B1
KR102017185B1 KR1020187018010A KR20187018010A KR102017185B1 KR 102017185 B1 KR102017185 B1 KR 102017185B1 KR 1020187018010 A KR1020187018010 A KR 1020187018010A KR 20187018010 A KR20187018010 A KR 20187018010A KR 102017185 B1 KR102017185 B1 KR 102017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ison
blow
supply position
mold
blow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851A (ko
Inventor
고우지 나가타
아츠시 요네다
에이치로 가네코
노부히로 사사지마
Original Assignee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8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49/2408In-mould 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29C49/32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moving "to and fr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69Means explicitly adapted for transporting blown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52Auxiliary operations prior to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08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inside the article
    • B29C2049/2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0Removing or ejecting blown articles from the mould
    • B29C2049/701Ej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6Blow-moulding plants, e.g. using several blow-moulding apparatuses coope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성형물의 다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양질의 패리슨을 금형에 공급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물을 얻는다. 블로 성형 장치(1)는, 패리슨을 토출하는 다이 헤드(2)와, 토출된 패리슨을 설정 길이로 잘라내어 반송하는 패리슨 공급부(3)와, 공급된 패리슨을 블로 금형(40)으로 샌드위치하여 블로 성형을 행하는 블로 성형부(4)를 구비하고, 패리슨 공급부(3)는, 다이 헤드(2)의 토출 중심(P0)에 대하여 좌우 중 일방 측에 설정되는 제1 공급 위치(S1)와, 토출 중심(P0)에 대하여 좌우 중 타방 측에 설정되는 제2 공급 위치(S2)에, 잘라진 패리슨을 교대로 반송하는 픽업척(10)을 구비하며, 블로 성형부(4)는, 제1 공급 위치(S1)와 제2 공급 위치(S2)의 각각에 배치한 블로 금형(40)으로 블로 성형을 행한다.

Description

블로 성형 장치 및 블로 성형 방법
본 발명은, 다이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패리슨을 블로 금형에 공급하여 블로 성형을 행하는 블로 성형 장치 및 블로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공 용기 등을 성형하는 블로 성형으로서, 다이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열가소성 용융 토출물(이하, 패리슨이라고 함)을 블로 금형으로 샌드위치하여, 금형 내의 패리슨 내부에 블로 에어를 불어넣는 성형 방법(다이렉트 블로 성형법)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블로 성형을 행하는 블로 성형 장치는, 금형의 이동 형식으로 크게 나누면, 복수의 금형을 환 형상 궤도를 따라 차례로 패리슨 공급 위치로 이동시키는 로터리식과, 1개 또는 복수의 금형을 패리슨 공급 위치에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셔틀식이 있다. 로터리식의 블로 성형 장치는, 다수의 금형이 환 형상 궤도에 배치되므로, 1종류의 중공 용기를 대량 생산하는 데에 적합하고, 소수의 금형을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있는 다종 소량 생산에는 셔틀식의 블로 성형 장치가 적합하다.
셔틀식의 블로 성형 장치에서는,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이 헤드를 복수 나열하여 복수의 금형에서의 동시 성형을 행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복수의 다이 헤드를 이용하면 토출되는 패리슨 자체의 품질에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균일한 성형물의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은, 복수의 금형을 효율적으로 패리슨 공급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셔틀식의 블로 성형 장치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따르면, 하나의 패리슨의 중심축(연직축)에 직교하는 X-Y 방향으로 이동하는 4개의 스테이지를 하나의 패리슨의 좌우에 2개씩 배치하고, 각 스테이지에 배치된 금형을 차례로 패리슨 토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금형 내에 패리슨을 공급하는 블로 성형 장치가 나타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3056호
로터리식의 블로 성형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있어서는, 환 형상 궤도에 다수 배치된 금형 중 하나가 한 바퀴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올 때까지의 시간 중에서, 패리슨을 금형에 공급하는 시간, 블로 시간, 성형물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시간 등의 공정 시간이 일정한 비율로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블로 시간을 길게 변경하는 데에는, 금형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써 생산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 금형 수와 회전 반경에 따라, 최적인 금형 사이즈가 규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품종에 대응하기 위하여 금형을 교환할 때에도, 다수의 금형이 1세트로 되어 있으므로, 교환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로터리식의 블로 성형 장치는 다종 소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셔틀식의 블로 성형 장치는, 블로 시간을 다른 공정의 동작 시간과는 관계 없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금형의 수도 적어서, 금형 교환에 필요로 하는 시간도 짧기 때문에, 다종 소량 생산에는 적합하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복수의 금형을 차례로 패리슨 공급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려고 해도, 중량이 큰 금형을 고속으로 복잡하게 이동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충분히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이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패리슨을 직접 금형으로 샌드위치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패리슨의 토출 속도에 따라서도 생산성이 제한되게 되어, 나아가서는, 다이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패리슨에 드로 다운이 발생하거나, 금형으로 패리슨을 샌드위치한 직후에 금형 상부에 패리슨의 체류가 발생하거나 함으로써, 양질의 패리슨을 금형에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며, 블로 성형에 있어서, 다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 또, 양질의 패리슨을 금형에 공급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물을 얻는 것, 등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블로 성형 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패리슨을 토출하는 다이 헤드와, 토출된 패리슨을 설정 길이로 잘라내어 반송하는 패리슨 공급부와, 공급된 패리슨을 블로 금형으로 샌드위치하여 블로 성형을 행하는 블로 성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리슨 공급부는, 상기 다이 헤드의 토출 중심에 대하여 좌우 중 일방 측에 설정되는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토출 중심에 대하여 좌우 중 타방 측에 설정되는 제2 공급 위치에, 잘라진 패리슨을 교대로 반송하는 픽업척을 구비하며, 상기 블로 성형부는, 상기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제2 공급 위치의 각각에 배치한 블로 금형으로, 공급된 패리슨을 샌드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장치.
또, 본 발명의 블로 성형 방법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다이 헤드로부터 토출된 패리슨을 설정 길이로 잘라내어 반송하는 패리슨 공급 공정과, 공급된 패리슨을 블로 금형으로 샌드위치하여 블로 성형을 행하는 블로 성형 공정을 갖고, 상기 패리슨 공급 공정은, 상기 다이 헤드의 토출 중심에 대하여 좌우 중 일방 측에 설정되는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토출 중심에 대하여 좌우 중 타방 측에 설정되는 제2 공급 위치에, 상기 다이 헤드로부터 토출된 패리슨을 교대로 반송하고, 상기 블로 성형 공정은, 상기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제2 공급 위치의 각각에 배치한 블로 금형으로, 공급된 패리슨을 샌드위치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방법.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블로 성형 장치 및 블로 성형 방법은, 다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양질의 패리슨을 금형에 공급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블로 성형 장치의 설비 구성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a)가 제1 공급 위치에 패리슨을 공급한 상태, (b)가 제2 공급 위치에 패리슨을 공급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픽업척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a)는 제1 공급 위치에 패리슨을 공급하고, 제2 공급 위치로의 패리슨 공급을 행하기 전의 상태, (b)는 제2 공급 위치에 패리슨을 공급하고, 제1 공급 위치로의 패리슨 공급을 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블로 성형 장치의 동작 공정(블로 성형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블로 성형 장치의 다른 설비 구성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블로 성형 장치의 동작 공정(블로 성형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블로 성형 장치에 있어서의 패리슨 공급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패리슨 공급부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a)~(e)는, 각 단계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취출 장치와 라벨 인서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보틀 취출 동작(보틀 파지)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보틀 취출 동작(형개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라벨 삽입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보틀 취출 동작(취출 완료)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은 블로 금형의 금형 개폐 동작과, 취출 장치의 지지암 이동 동작과, 라벨 인서터의 라벨 첩부 동작의 타임 차트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다른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 부호는 공통 부위를 가리키고 있으며, 적절히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 성형 장치(1)는, 패리슨을 토출하는 다이 헤드(2)와, 토출된 패리슨을 설정 길이로 잘라내어 반송하는 패리슨 공급부(3)와, 공급된 패리슨을 블로 금형(40)으로 샌드위치하여 블로 성형을 행하는 블로 성형부(4)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다이 헤드(2)로부터 토출되고 있는 패리슨을 "패리슨 P"라고 하고, 잘라진 패리슨을 "패리슨 P1"이라고 한다.
다이 헤드(2)는, 연직 하향으로 토출구를 갖고, 압출 성형된 중공 원통 형상의 패리슨 P를 소정의 토출 속도로 연직 하향으로 토출한다. 도시된 P0은, 다이 헤드(2)의 토출 중심을 가리키고 있으며, 토출되는 패리슨 P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패리슨 공급부(3)는, 토출되는 1개의 패리슨 P로부터 소정 길이로 잘라진 패리슨 P1을 파지하여 반송하는 픽업척(10)을 구비하고 있다. 픽업척(10)은, 잘라진 패리슨 P1을, 다이 헤드(2)의 토출 중심(P0)에 대한 좌우 중 일방 측에 설정되는 제1 공급 위치(S1)와, 토출 중심(P0)에 대한 좌우 중 타방 측에 설정되는 제2 공급 위치(S2)에, 교대로 반송한다. 여기에서는, 좌우에 한 개소씩 제1 공급 위치(S1)와 제2 공급 위치(S2)를 설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좌우 중 일방 측에 복수 개소, 타방 측에 복수 개소의 공급 위치를 설정해도 된다.
도시된 픽업척(10)은, 일단 측(선단 측)에 척부(10A)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척부(10A)에 의하여, 토출되고 있는 패리슨 P를 파지하여 유지한다. 또, 픽업척(10)은, 타단 측(기단 측)에 마련되는 회동 중심(10P)의 둘레를 회동함으로써, 척부(10A)가 원 궤도를 그리며 패리슨 P1을 반송한다.
토출 중심(P0)으로부터 제1 공급 위치(S1) 또는 제2 공급 위치(S2)까지의 패리슨 P1의 반송 경로는, 척부(10A)가 원 궤도를 그린 후에 직선 궤도를 그리도록, 픽업척(10)의 회동 중심(10P)을 10P'로 슬라이드시켜 반송해도 되고, 원 궤도만으로 반송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원 궤도를 그리면서 픽업척(10)의 회동 중심(10P)을 10P'로 슬라이드시켜 반송하거나, 픽업척(10)의 회동 중심(10P)을 슬라이드 중에 회동시키고, 회동 종료 후에 슬라이드를 10P'에서 정지하여 반송해도 된다. 또, 공급 위치를 토출 중심의 좌우에 각각 복수 마련하는 경우에는, 픽업척(10)의 반송 경로는 공급 위치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픽업척(10)은, 회동 중심(10P)의 둘레를 180° 회동함으로써, 다이 헤드(2)로부터 토출된 1개의 패리슨 P를 설정 길이로 잘라내어, 좌우의 제1 공급 위치(S1)와 제2 공급 위치(S2)로 배분하고 있지만, 그 회동 각도는, 제1 공급 위치(S1)와 제2 공급 위치(S2)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픽업척(10)을 회동 중심(10P)의 둘레에 설정 각도 θ(도시된 예에서는 90°)를 두고 마련되는 제1 픽업척(11)과 제2 픽업척(12)에 의하여 구성함으로써, 픽업척(10)의 회동 범위를 더 작게 할 수 있어, 패리슨 공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때에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픽업척(11)의 일단 측의 척부(11A)가 제1 공급 위치(S1)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 픽업척(12)의 일단 측의 척부(12A)가 패리슨 P의 토출 중심(P0)에 위치하고,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픽업척(12)의 일단 측의 척부(12A)가 제2 공급 위치(S2)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 픽업척(11)의 일단 측의 척부(11A)가 패리슨 P의 토출 중심(P0)에 위치한다. 이로써, 픽업척(10)의 회동 범위는 설정 각도 θ(90°)에 들어가 있다. 다만, 도 2에 나타낸 픽업척(10)의 회동(패리슨 P1의 반송 경로)은, 원 궤도에만 한정하지 않고, 상술한 도 1의 픽업척(10)과 동일하게 원 궤도와 직선 궤도를 조합한 것 등으로 패리슨 P1을 반송해도 된다.
블로 성형부(4)는, 제1 공급 위치(S1)와 제2 공급 위치(S2)의 각각에 블로 금형(40)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에 공급된 패리슨 P1을 블로 금형(40)으로 샌드위치하여 블로 성형을 행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 공급 위치(S1)에는 제1 블로 금형(40(A))이 배치되고, 제2 공급 위치(S2)에는 제2 블로 금형(40(B))이 배치되어 있다. 각 블로 금형(40)은, 이동하지 않고, 고정 위치에서 개폐 동작만을 행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블로 성형 장치(1)의 동작 공정예를 나타내고 있다. 픽업척(10)은, 소정의 타이밍에 이동·정지를 반복하여, 토출 중심(P0)에서의 패리슨 P의 파지, 설정 길이로 잘라낸 패리슨 P1의 반송, 제1 공급 위치(S1)에서의 패리슨 P1의 해방, 토출 중심(P0)을 향한 복귀, 토출 중심(P0)에서의 패리슨 P의 파지, 설정 길이로 잘라낸 패리슨 P1의 반송, 제2 공급 위치(S2)에서의 패리슨 P1의 해방의 동작을 반복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제1 공급 위치(S1)와 제2 공급 위치(S2)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블로 성형부(4)에 있어서는, 픽업척(10)에 의하여 반송된 패리슨 P1을 블로 금형(40)에 공급하는 패리슨 공급 공정 T1과, 블로 성형 공정 T2가, 독립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패리슨 공급 공정 T1에 있어서는, 공급된 패리슨 P1을 형체결에 의하여 금형 내에 끼워넣는 동작이 이루어지고, 블로 성형 공정 T2에 있어서는, 금형 내에 끼워넣은 패리슨 P1에 대한 에어 블로 개시, 에어 블로 종료, 냉각, 형개방, 성형물 취출의 일련 동작이 행해진다.
여기서, 일방 측의 블로 성형부(4)에 있어서는, 픽업척(10)의 동작 타이밍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소정 회의 패리슨 공급 공정 T1로부터 다음 회의 패리슨 공급 공정 T1까지의 시간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그 사이의 시간 내에 블로 성형 공정 T2의 각 공정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므로, 블로 시간의 설정 등, 다종 소량 생산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각각의 블로 성형부(4)는, 제1 공급 위치(S1)에서 제1 블로 금형(40(A))에 패리슨 P1이 공급된 후, 제2 공급 위치(S2)에서 제2 블로 금형(40(B))에 패리슨 P1이 공급될 때까지의 사이에, 제1 블로 금형(40(A))의 블로 성형 공정 T2를 개시(제1 블로 금형(40(A))에 대한 에어 블로를 개시)할 수 있고, 제2 공급 위치(S2)에서 제2 블로 금형(40(B))에 패리슨 P1이 공급된 후, 제1 공급 위치(S1)에서 제1 블로 금형(40(A))에 패리슨 P1이 공급될 때까지의 사이에, 제2 블로 금형(40(B))의 블로 성형 공정 T2를 개시(제2 블로 금형(40(B))에 대한 에어 블로를 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복수의 블로 성형부(4)에 있어서의 블로 성형 공정 T2의 공정 시간을 일부 중복시켜 진행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블로 성형부(4)를 효율적으로 동작시켜,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블로 금형(40)의 이동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픽업척(10)의 동작 속도를 높여, 블로 성형 장치(1) 전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블로 성형 장치(1)에 의하면, 다이 헤드(2)로부터 토출되는 패리슨 P로부터 소정 길이로 잘라진 패리슨 P1을, 픽업척(10)에 의하여 파지하여 개개의 블로 금형(40)으로 공급하므로, 토출되는 패리슨 P를 직접 금형으로 샌드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금형 상방에서의 패리슨의 체류 등을 배제할 수 있어, 양질의 패리슨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성형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4에는, 블로 성형 장치(1)의 다른 설비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공급 위치(S1)와 제2 공급 위치(S2)의 각각에 있어서, 블로 성형부(4)가 복수의 블로 금형(40)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블로 금형(40)을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금형 이동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예는, 제1 공급 위치(S1)에 대하여, 제1 블로 금형(40(A))과 제3 블로 금형(40(C))을 배치하고, 제2 공급 위치(S2)에 대하여, 제2 블로 금형(40(B))과 제4 블로 금형(40(D))을 배치하고 있으며, 픽업척(10)이, 토출된 1개의 패리슨 P로부터 잘라진 패리슨 P1을, 제1 블로 금형(40(A)), 제2 블로 금형(40(B)), 제3 블로 금형(40(C)), 제4 블로 금형(40(D))에 차례로 반송한다.
금형 이동 기구(5)는, 제1 공급 위치(S1)에 대해서는, 제1 블로 금형(40(A))을 제1 공급 위치(S1)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3 블로 금형(40(C))을 제1 공급 위치(S1)로부터 이동(퇴피)시키고, 제1 블로 금형(40(A))을 제1 공급 위치(S1)로부터 이동(퇴피)시킴과 동시에 제3 블로 금형(40(C))을 제1 공급 위치(S1)로 이동시킨다. 또, 금형 이동 기구(5)는, 제2 공급 위치(S2)에 대해서는, 제2 블로 금형(40(B))을 제2 공급 위치(S2)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4 블로 금형(40(D))을 제2 공급 위치(S2)로부터 이동(퇴피)시키고, 제2 블로 금형(40(B))을 제2 공급 위치(S2)로부터 이동(퇴피)시킴과 동시에 제4 블로 금형(40(D))을 제2 공급 위치(S2)로 이동시킨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예의 동작 공정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픽업척(10)의 동작 공정을 생략하고 있지만, 제1 공급 위치(S1) 및 제2 공급 위치(S2)에 대한 픽업척(10)의 동작은, 도 3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다.
각 블로 성형부(4)에 있어서는, 패리슨 공급 공정 T1과 블로 성형 공정 T2가 행해지고, 블로 성형 공정 T2와 평행하여 상술한 금형 이동 기구(5)를 동작시키는 금형 이동이 행해진다. 픽업척(10)의 동작과 금형 이동 기구(5)의 동작을 조합하여, 각 블로 금형(40)으로의 패리슨 공급이 행해지고, 도 5의 예에서는, 제1 공급 위치(S1)의 제1 블로 금형(40(A)), 제2 공급 위치(S2)의 제2 블로 금형(40(B)), 제1 공급 위치(S1)의 제3 블로 금형(40(C)), 제2 공급 위치(S2)의 제4 블로 금형(40(D))의 순서로, 차례로 블로 금형(40)에 패리슨 P1이 공급된다.
제1 공급 위치(S1)에서 제1 블로 금형(40(A))에 패리슨 P1이 공급된 후, 제2 공급 위치(S2)에서 제2 블로 금형(40(B))에 패리슨 P1이 공급되고, 제2 공급 위치(S2)에서 제4 블로 금형(40(D))에 패리슨 P1이 공급될 때까지의 사이에, 금형 이동과 금형 정지가 행해진다.
도 5는, 개개의 블로 금형(40)마다의 동작 공정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 공급 위치(S1) 측의 제1 블로 금형(40(A))의 패리슨 공급 공정 T1은, 제2 블로 금형(40(B))의 제2 공급 위치(S2)로의 이동, 제4 블로 금형(40(D))의 제2 공급 위치(S2)로부터의 이동(퇴피) 시에 행해진다. 패리슨 공급 공정 T1 이후, 금형 이동에 의하여 제1 공급 위치(S1)로부터 이동(퇴피)하고, 이 금형 이동과 평행하여 블로 성형 공정 T2가 개시되며, 각 공정(에어 블로 개시·종료, 냉각, 형개방, 성형물 취출)이 행해진다. 블로 성형 공정 T2 중의 블로 금형(40(A))의 동작은, 제1 공급 위치로부터 이동(퇴피)하여, 일단 정지하고, 그 후 제1 공급 위치(S1)로 되돌아오는 이동을 행하여, 제1 공급 위치에서 정지하여, 형개방·성형물 취출과, 패리슨 공급 공정 T1이 행해진다.
또, 제1 공급 위치(S1)의 제3 블로 금형(40(C))은, 제1 블로 금형(40(A))의 이동(퇴피)과 동시에 제1 공급 위치(S1)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3 블로 금형(40(C))으로의 패리슨 공급 공정 T1은, 제1 블로 금형(40(A))이 블로 성형 공정 T2 중에 정지하는 타이밍에 동시에 정지하고, 제2 블로 금형(40(B))의 제2 공급 위치(S2)로부터의 이동(퇴피), 제4 블로 금형(40(D))의 제2 공급 위치(S2)로의 이동 시에 행해진다. 그 후, 상술한 제1 블로 금형(40(A))과 동일하게 각 공정이 행해진다.
한편, 제2 공급 위치(S2) 측의 제2 블로 금형(40(B))의 패리슨 공급 공정 T1은, 제1 블로 금형(40(A))의 제1 공급 위치(S1)로부터의 이동(퇴피), 제3 블로 금형(40(C))의 제1 공급 위치(S1)로의 이동 시에 행해지고, 그 후, 상술한 제1 블로 금형(40(A))과 동일하게 각 공정이 행해진다.
또, 제2 공급 위치(S2)의 제4 블로 금형(40(D))은, 제2 블로 금형(40(B))의 이동(퇴피)과 동시에 제2 공급 위치(S2)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4 블로 금형(40(D))으로의 패리슨 공급 공정 T1은, 제2 블로 금형(40(B))이 블로 성형 공정 T2 중에 정지하는 타이밍에 동시에 정지하고, 제1 블로 금형(40(A))의 제1 공급 위치(S1)로의 이동, 제3 블로 금형(40(C))의 제1 공급 위치(S1)로부터의 이동(퇴피) 시에 행해진다. 그 후, 상술한 제1 블로 금형(40(A))과 동일하게 각 공정이 행해진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블로 금형(40)의 이동이 필요하게 되지만, 그 동작은 직선적인 왕복 동작뿐이기 때문에, 소정의 속도에 의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픽업척(10)에 의한 패리슨의 공급과 맞춤으로써, 블로 금형(40)의 이동을 단순화할 수 있어, 종래 기술과 같이 복잡하게 블로 금형을 이동시키는 것과 비교하면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예에 있어서도, 다이 헤드(2)로부터 토출되는 패리슨 P로부터 소정 길이로 잘라진 패리슨 P1을, 픽업척(10)에 의하여 파지하여 개개의 블로 금형(40)으로 반송하므로, 토출되는 패리슨 P를 직접 금형으로 샌드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금형 상방에서의 패리슨의 체류 등을 배제할 수 있어, 양질의 패리슨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성형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패리슨 공급부(3)의 구체적인 구성예와 동작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이 헤드(2)로부터 토출된 패리슨 P를 설정 길이로 잘라내어 반송하는 패리슨 공급부(3)는, 픽업척(10)을 상하 한 쌍 구비하고 있으며, 잘라진 패리슨 P1의 길이에 맞추어 설정되는 간격을 두고, 상측 픽업척(10(U))과 하측 픽업척(10(D))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는, 상측 픽업척(10(U))과 하측 픽업척(10(D))은, 모두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제1 픽업척(11)과 제2 픽업척(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픽업척(10(U))은, 패리슨 내로의 블로 핀의 삽입을 확보하기 위하여, 패리슨을 개구한 상태에서 파지하도록, 척부(11A, 12A)의 내측이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하측 픽업척(10(D))은, 패리슨을 압착한 상태에서 파지하도록, 척부(11B, 12B)의 내측이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상측 픽업척(10(U))과 하측 픽업척(D)은, 각각, 승강 기구(13)에 의하여, 연직 방향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구동부(14)에 의하여, 회동 제어된다.
도 6에 나타낸 패리슨 공급부(3)는, 다이 헤드(2)로부터 토출한 패리슨 P를 유지하고, 또한 소정의 타이밍에 절단하는 핀치 기구(20)를 더 구비하고 있다. 핀치 기구(20)는, 토출되는 패리슨 P를 유지하는 핀치부(21)와, 패리슨을 절단하는 커터부(22)와, 핀치부(21)와 커터부(22)를 일체로 이동시키는 동작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핀치 기구(20)는, 상측 픽업척(10(U))의 척 위치의 상방에서 패리슨 P를 유지하고, 토출되는 패리슨 P를 인장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타이밍에 패리슨을 절단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도 7에 의하여, 픽업척(10)과 핀치 기구(20)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핀치 기구(20)의 핀치부(21)와 커터부(22)는, 양자가 일체가 되어, 연직 방향을 따른 다이 헤드(2)에 가까운 제1 위치(I)와, 다이 헤드(2)로부터 떨어진 제2 위치(II)의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토출 중심(P0) 상에서 하향으로 이동하는 동작과, 토출 중심(P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핀치 기구(20)는, 제1 위치(I)에서 핀치부(21)가 패리슨 P를 유지한 후에 하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패리슨 P에 인장을 가한다. 즉, 제1 위치(I)로부터 제2 위치(II)를 향하여 이동하는 핀치부(21)의 이동 속도는, 패리슨 P의 강하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어 있다. 선행하는 핀치부(21)가 하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후속하는 핀치부(21)가 패리슨 P를 유지함으로써, 한 쌍의 핀치부(21)에 의하여 설정 길이의 패리슨 P가 유지된다((a) 참조).
이에 대하여, 상측 픽업척(10(U))과 하측 픽업척(10(D))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고, 핀치부(21)의 이동에 맞추어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핀치부(21)에 유지된 패리슨 P에 접근하도록 동작한다((a), (b) 참조). 그리고, 상측 픽업척(10(U))과 하측 픽업척(10(D))이 동시에 패리슨 P를 파지한 직후에, 핀치 기구(20)의 커터부(22)가 동작하여, 패리슨 P1이 잘라진다((c), (d) 참조). 그 후, 상측 픽업척(10(U))과 하측 픽업척(10(D))의 사이에 유지된 패리슨 P1은, 상측 픽업척(10(U))과 하측 픽업척(10(D))의 이동에 의하여, 제1 공급 위치(S1) 또는 제2 공급 위치(S2)에 배치되는 블로 금형(40)을 향하여 반송된다((e) 참조).
다음으로, 블로 금형으로부터 성형물(보틀)을 취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장치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8~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 금형(40)으로부터 성형물인 보틀(W)을 취출하기 위하여, 도시된 예에서는 취출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 장치(30)는, 블로 금형(40)에 의하여 성형된 성형물인 보틀(W)을, 성형 후에 블로 금형(40)으로부터 취출하는 장치이며, 파지 핸드(31), 지지암(32), 이동 기구(33), 라벨 유지부(50)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 핸드(31)는, 액추에이터(31A)에 의하여 구동되어, 블로 금형(40)으로부터 돌출하는 보틀(W)의 일부(파지부(W1))를 파지한다. 블로 금형(40)에 의하여 블로 성형되는 보틀(W)은, 블로 금형(40)으로 샌드위치되는 패리슨의 일부가 블로 금형(40)의 외측(상측)으로 돌출함으로써, 파지부(W1)가 블로 금형(4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파지 핸드(31)는, 이 파지부(W1)를 파지함으로써, 블로 금형(40)이 형개방하기 전에, 보틀(W)을 파지할 수 있다.
지지암(32)은, 파지 핸드(31)를 지지함과 함께, 라벨 유지부(50)를 지지하고 있다. 이 지지암(32)은, 이동 기구(33)에 의하여 직선적으로 이동하고, 블로 금형(40)에 대하여 근접·이간한다. 이동 기구(33)는, 직선적으로 뻗는 슬라이드 가이드(33A)와, 슬라이드 가이드(33A)를 따라 지지암(32)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3B)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암(32)에 지지되는 라벨 유지부(50)는, 블로 금형(40) 내에 보틀(W)에 첩부하는 라벨을 삽입하기 위하여, 라벨 묶음(La, Lb)으로부터 각각 한 장의 라벨(L1a, L1b)을 흡착하여 유지하는 것이며, 흡착 패드(51)와 신축 실린더(52)를 구비하고 있다.
도 8~도 12에 의하여, 취출 장치(30)의 동작을 설명한다. 취출 장치(30)에 있어서의 이동 기구(33)는, 지지암(32)을 도 8에 나타낸 제1 위치(홈 포지션)로부터 도 9에 나타낸 제2 위치(파지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도 11에 나타낸 제3 위치(라벨 삽입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위치(홈 포지션)로 이동시킨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기구(33)에 있어서의 지지암(32)의 제1 위치에서는, 라벨 유지부(50)는, 라벨 묶음(La, Lb)에 대향하고 있으며, 라벨 묶음(La, Lb)으로부터 개별의 라벨(L1a, L1b)을 유지한다. 라벨 유지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착 패드(51)와 신축 실린더(52)를 구비하고 있으며, 신축 실린더(52)가 신장한 위치에서 흡착 패드(51)가 라벨 묶음(La, Lb)에 당접하고, 따라서 한 장의 라벨(L1a, L1b)을 흡착 유지하여, 신축 실린더(52)가 수축한 상태가 된다.
도 8에 나타낸 상태는, 블로 금형(40)에 끼운 패리슨 내에 도시 생략한 블로 핀이 삽입되어, 블로 성형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블로 중) 혹은, 블로 성형 후의 상태이다.
그 후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 금형(40)의 형개방이 이루어지기 전에, 이동 기구(33)가 지지암(32)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 위치에서 파지 핸드(31)가 보틀(W)의 파지부(W1)를 파지한다. 이때, 지지암(32)에 지지되어 있는 라벨 유지부(50)는, 지지암(32)의 이동에 따라 라벨(L1a, L1b)을 유지한 상태에서 블로 금형(40)의 근처까지 이동하고 있다.
그 후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암(32)을 제2 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블로 금형(40)의 형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보틀(W)은, 파지 핸드(31)에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의 금형으로부터 분리한다. 분리한 보틀(W)에는, 앞의 사이클에서 블로 금형(40) 내에 삽입된 라벨(L1a, L1b)이 첩부되어 있다.
그 후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암(32)이 제3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지지암(32)에 지지된 라벨 유지부(50)가 좌우의 금형 사이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서, 라벨 유지부(50)는, 수축한 상태의 신축 실린더(52)를 신장하여, 흡착 패드(51)에 흡착 유지된 라벨(L1a, L1b)을 금형 내에 각각 삽입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라벨 유지부(50)가 좌우 금형의 양방에 라벨(L1a, L1b)을 각각 삽입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방의 금형에만 라벨을 삽입하는 것이어도 된다. 지지암(32)이 제3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파지 핸드(31)는 보틀(W)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 후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암(32)이 제1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 위치에서 파지 핸드(31)는, 도시된 파지 상태로부터 개방되고, 동시에 보틀(W)을 도시하지 않은 이송 핸드에 의하여 반송 컨베이어에 이송하여 배출한다. 라벨 유지부(50)는, 라벨 묶음(La, Lb)에 대향한 상태가 되어, 다음 사이클에 있어서의 라벨 유지를 위한 대기 상태가 된다.
도 13은, 상술한 동작의 타임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동작예에서는, 타이밍 T1에서 라벨 유지부(50)가 라벨 묶음(La, Lb)으로부터 라벨(L1a, L1b)을 흡착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타이밍 T2에서 지지암(32)이 제1 위치(홈 포지션)로부터 제2 위치(파지 위치)로 이동하여, 파지 핸드(31)의 파지 동작이 개시되며, 타이밍 T3에서 블로 금형(40)의 개방 동작이 시작되고, 타이밍 T4에서 블로 금형(40)의 개방 동작이 완료된다. 그리고, 지지암(32)이 제2 위치(파지 위치)로부터 제3 위치(첩부 위치)로 이동을 개시하고, 타이밍 T5에서 지지암(32)이 제3 위치(첩부 위치)에 도달하여 라벨 유지부(50)의 첩부 동작이 개시되고, 타이밍 T6에서 지지암(32)이 제1 위치(홈 포지션)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는, 취출 장치(30)의 파지 핸드(31)가 보틀(W)을 파지하는 타이밍 T2를 금형 개방의 개시 타이밍 T3보다 앞에 둠으로써, 종래와 같이 블로 핀으로 보틀을 지지한 상태에서 형개방을 행하고, 그 후에 보틀을 파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형개방 후의 동작 타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지지암(32)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라벨 유지부(50)를 블로 금형(40)에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라벨 묶음(La, Lb)의 유지 위치를 블로 금형(40)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정한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라벨 첩부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지지암(32)을 제3 위치(첩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지지암(32)을 제2 위치(파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의 연장으로서, 하나의 이동 기구(33)에 의하여 파지 핸드(31)의 이동 동작과 라벨 유지부(50)의 이동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라벨 유지부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생략할 수 있음과 함께, 설비의 설치 스페이스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블로 성형 장치(1) 또는 그것을 이용한 블로 성형 방법은, 다이 헤드(2)로부터 하향으로 토출되는 1개의 패리슨 P로부터 소정 길이로 잘라지는 패리슨 P1을, 패리슨 공급부(3)에 있어서의 픽업척(10)의 이동에 의하여, 토출 중심(P0)의 좌우에 각각 마련되는 제1 공급 위치(S1)와 제2 공급 위치(S2)로 배분하여 반송하는 패리슨 공급 공정 T1을 행하고, 제1 공급 위치(S1)와 제2 공급 위치(S2)의 각각에 마련되는 블로 성형부(4)에서, 독립된 블로 성형 공정 T2를 행한다.
이로써, 소수의 블로 금형(40)으로 다종 소량 생산에 대응한 다양한 양태의 블로 성형 공정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픽업척(10)의 채용으로 중량이 큰 블로 금형(40)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제1 공급 위치(S1)와 제2 공급 위치(S2)의 각각에서 행해지는 블로 성형 공정 T2의 공정 시간을 일부 중복 진행시켜, 효율이 높은 블로 성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다종 소량 생산에 적합한 설비 구성이면서, 생산성이 높은 블로 성형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블로 성형 장치(1) 및 블로 성형 방법에서는, 패리슨 공급부(3)에 의하여, 토출된 패리슨 P를 설정된 길이로 잘라내어 블로 금형(40)에 공급하므로, 변형이 적은 양질의 패리슨 P1을 블로 금형(40)에 공급할 수 있고, 블로 성형에 의하여 고품질의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픽업척(10)(상측 픽업척(10(U))과 하측 픽업척(10(D)))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하향으로 토출되는 패리슨 P를 파지하여 반송함으로써, 변형이 적은 패리슨 P1을 낭비없이 잘라낼 수 있게 되어, 양질의 패리슨 P1의 공급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블로 성형 장치(1) 및 블로 성형 방법은, 다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 양질의 패리슨을 금형에 공급함으로써 고품질의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상술의 각 실시형태는, 그 목적 및 구성 등에 특별히 모순이나 문제가 없는 한, 서로의 기술을 유용하여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블로 성형 장치
2: 다이 헤드
3: 패리슨 공급부
4: 블로 성형부
40(A, B, C, D): 블로 금형
5: 금형 이동 기구
10: 픽업척
10(U): 상측 픽업척
10(D): 하측 픽업척
11: 제1 픽업척
12: 제2 픽업척
10P: 회동 중심
10A, 11A, 12A, 11B, 12B: 척부
13: 승강 기구
14: 구동부
20: 핀치 기구
21: 핀치부
22: 커터부
23: 동작부
30: 취출 장치
31: 파지 핸드
31A: 액추에이터
32: 지지암
33: 이동 기구
33A: 슬라이드 가이드
33B: 액추에이터
50: 라벨 유지부
51: 흡착 패드
52: 신축 실린더
P, P1: 패리슨
P0: 토출 중심
S1: 제1 공급 위치
S2: 제2 공급 위치
W: 성형물(보틀)
La, Lb: 라벨 묶음
L1a, L1b: 라벨

Claims (13)

  1. 패리슨을 토출하는 다이 헤드와,
    토출된 패리슨을 설정 길이로 잘라내어 반송하는 패리슨 공급부와,
    공급된 패리슨을 블로 금형으로 샌드위치하여 블로 성형을 행하는 블로 성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리슨 공급부는, 상기 다이 헤드의 토출 중심에 대하여 좌우 중 일방 측에 설정되는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토출 중심에 대하여 좌우 중 타방 측에 설정되는 제2 공급 위치에, 잘라진 패리슨을 교대로 반송하는 픽업척을 구비하며,
    상기 블로 성형부는, 상기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제2 공급 위치의 각각에 배치한 블로 금형에 의하여, 공급된 패리슨을 블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 성형부는,
    상기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제2 공급 위치의 일방에 배치한 상기 블로 금형에 대한 에어 블로가, 상기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제2 공급 위치의 타방에 배치한 상기 블로 금형으로의 패리슨 공급 전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위치에 제1 블로 금형과 제3 블로 금형을, 상기 제2 공급 위치에 제2 블로 금형과 제4 블로 금형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 공급 위치로부터 블로 금형을 퇴피시키고, 상기 제1 공급 위치에 블로 금형을 이동시키는 금형 이동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공급 위치로부터 블로 금형을 퇴피시키고, 상기 제2 공급 위치에 블로 금형을 이동시키는 금형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업척은, 일단 측에서 패리슨을 파지하고, 타단 측에 마련한 회동 중심의 둘레를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제2 공급 위치에 패리슨을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픽업척은, 상기 회동 중심의 둘레에 설정 각도를 두고 마련되는 제1 픽업척과 제2 픽업척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픽업척의 일단 측이 상기 제1 공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픽업척의 일단 측이 상기 토출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픽업척의 일단 측이 상기 제2 공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픽업척의 일단 측이 상기 토출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업척은, 상하 한 쌍 구비되고, 상측 픽업척은, 패리슨을 개구한 상태에서 파지하고, 하측 픽업척은, 패리슨을 압착한 상태에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리슨 공급부는, 상기 픽업척의 척 위치의 상방에서 패리슨을 유지하고, 토출되는 패리슨을 인장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타이밍에 패리슨을 절단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핀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업척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하향으로 토출되는 패리슨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 금형으로부터 성형물을 취출하는 취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 장치는, 상기 블로 금형으로부터 돌출하는 성형물의 일부를 파지하는 파지 핸드와, 상기 파지 핸드를 지지하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을 상기 블로 금형에 대하여 근접·이간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지지암에 지지되어, 상기 블로 금형 내에 삽입되는 라벨을 유지하는 라벨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장치.
  10. 다이 헤드로부터 토출된 패리슨을 설정 길이로 잘라내어 반송하는 패리슨 공급 공정과,
    공급된 패리슨을 블로 금형에 의하여 블로 성형하는 블로 성형 공정을 갖고,
    상기 패리슨 공급 공정은, 상기 다이 헤드의 토출 중심에 대하여 좌우 중 일방 측에 설정되는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토출 중심에 대하여 좌우 중 타방 측에 설정되는 제2 공급 위치에, 상기 다이 헤드로부터 토출된 패리슨을 교대로 반송하고,
    상기 블로 성형 공정은, 상기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제2 공급 위치의 각각에 배치한 블로 금형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블로 성형 공정에서는,
    상기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제2 공급 위치의 일방에 배치한 상기 블로 금형에 대한 에어 블로가, 상기 제1 공급 위치와 상기 제2 공급 위치의 타방에 배치한 상기 블로 금형으로의 패리슨 공급 전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위치에서 제1 블로 금형과 제3 블로 금형에 패리슨을 공급하는 패리슨 공급 공정을 거쳐, 상기 제1 공급 위치로부터 블로 금형을 퇴피시키고, 상기 제1 공급 위치에 블로 금형을 이동하고,
    상기 제2 공급 위치에서 제2 블로 금형과 제4 블로 금형에 패리슨을 공급하는 패리슨 공급 공정을 거쳐, 상기 제2 공급 위치로부터 블로 금형을 퇴피시키고, 상기 제2 공급 위치에 블로 금형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블로 금형의 형개방 전에 성형물을 파지하고, 상기 블로 금형의 형개방 후에, 상기 성형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여 라벨을 블로 금형 사이에 이동시켜, 상기 라벨을 블로 금형 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 성형 방법.

KR1020187018010A 2016-02-04 2017-01-31 블로 성형 장치 및 블로 성형 방법 KR102017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9965A JP6274230B2 (ja) 2016-02-04 2016-02-04 ブロー成形装置及びブロー成形方法
JPJP-P-2016-019965 2016-02-04
PCT/JP2017/003384 WO2017135242A1 (ja) 2016-02-04 2017-01-31 ブロー成形装置及びブロー成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851A KR20180088851A (ko) 2018-08-07
KR102017185B1 true KR102017185B1 (ko) 2019-09-02

Family

ID=5949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010A KR102017185B1 (ko) 2016-02-04 2017-01-31 블로 성형 장치 및 블로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39278A1 (ko)
EP (1) EP3412426A4 (ko)
JP (1) JP6274230B2 (ko)
KR (1) KR102017185B1 (ko)
CN (1) CN108472856B (ko)
WO (1) WO2017135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7763B2 (ja) * 2016-06-30 2021-03-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器製造方法
US11597133B2 (en) * 2017-08-30 2023-03-07 Nissei Asb Machine Co., Ltd. Molded article extracting device
JP7083579B2 (ja) 2018-10-17 2022-06-13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装置
JP6801141B1 (ja) * 2020-08-27 2020-12-16 徹夫 関根 中空成形機
CN114147941B (zh) * 2021-11-30 2023-12-08 优之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吹塑打磨处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360A (ja) 2001-10-04 2003-04-15 Toyo Seikan Kaisha Ltd 中空容器のブロー成形法
JP2014213513A (ja) 2013-04-24 2014-11-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パリソン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17745A (fr) * 1966-08-04 1968-03-22 Mecaplast Sa Extrudeuse mobile
FR2000572A1 (ko) * 1968-01-23 1969-09-12 Voith
US4372910A (en) * 1980-06-23 1983-02-08 Van Dorn Company Method for molding hollow plastic articles
US4679997A (en) * 1985-11-25 1987-07-14 Owens-Illinois, Inc. Apparatus for delivering labels to blow molds of a plastic container blowing machine and removing the blown containers with the labels thereon
CN1039293C (zh) * 1992-01-06 1998-07-29 张金山 二工位吹塑成型装置
JPH05185497A (ja) * 1992-01-09 1993-07-27 Japan Steel Works Ltd:The 中空成形機のパリソン切断方法及び装置
JP2565100B2 (ja) * 1993-07-26 1996-12-18 東洋製罐株式会社 ロータリ式押出しブロー成形機
JPH09225996A (ja) * 1996-02-27 1997-09-02 Japan Steel Works Ltd:The 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432729B2 (ja) * 1997-12-02 2003-08-0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押出成形法による中空体製造装置
JP2000062012A (ja) * 1998-08-25 2000-02-29 Kao Corp ブロー成形方法
JP4433513B2 (ja) 1999-04-28 2010-03-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ブロー成形法およびその装置
FR2868727B1 (fr) * 2004-04-08 2007-10-05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rocede et dispositif d'extrusion-moulage de corps creux en matiere thermoplastique
DE102005009276B4 (de) * 2005-02-25 2014-07-10 Extraplast Maschinen Gmbh Blasform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hlkörpern
DE102006006244B4 (de) * 2006-02-09 2010-01-21 Bekum Maschinenfabriken Gmbh Blasmaschine mit zwei Schließeinheiten
ITBO20060268A1 (it) * 2006-04-12 2007-10-13 Techne Technipack Engineering Macchina per la termoformatura per soffiaggio di flaconi od altri contenitori ricavati da parison prodotti da un estrusore
FR2918046B1 (fr) * 2007-06-28 2009-09-18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de transfert d'objets avec un bras de transfert a tete de prehension mobile sensiblement vertical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360A (ja) 2001-10-04 2003-04-15 Toyo Seikan Kaisha Ltd 中空容器のブロー成形法
JP2014213513A (ja) 2013-04-24 2014-11-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パリソン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851A (ko) 2018-08-07
EP3412426A4 (en) 2019-10-30
EP3412426A1 (en) 2018-12-12
WO2017135242A1 (ja) 2017-08-10
CN108472856B (zh) 2020-07-03
JP6274230B2 (ja) 2018-02-07
US20190039278A1 (en) 2019-02-07
JP2017136764A (ja) 2017-08-10
CN108472856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185B1 (ko) 블로 성형 장치 및 블로 성형 방법
CN101479091B (zh) 用于后处理半成品的辅助装置以及方法
CN102555192B (zh) 一种瓶坯传送装置
WO2014175311A1 (ja) パリソン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WO2016021435A1 (ja) パリソン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これらを用いたブロー成形機及びブロー成形方法
US6692686B1 (en) Blow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US57440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cturing hollow objects, in particular plastic preforms
US6217819B1 (en) Universal single-row and multi-row insert stretch blow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6713013B2 (en) Single-row and multi-row stretch blow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EP2470347B1 (en) High-speed takeout system
JP2006315189A (ja) 成形型移動式ブロー成形方法
TWI763919B (zh) 吹塑成型裝置
JP3616484B2 (ja) 把手付き容器の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CN110271166A (zh) 吹塑成型自动化产线
US6787096B2 (en) Device for treating preforms to obtain containers made of plastics
JP2001334567A (ja)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その設備
CN113665075B (zh) 一种模塑制品的预压及快速冷却的工艺方法
JP3777200B2 (ja) 成形装置および供給装置
JP3638991B2 (ja) 成形装置
JP6256640B1 (ja) ブローボトル取り出し装置
EP1392488B1 (en) Method and machine for blowing plastic bottles
JP3510936B2 (ja) 成形装置
TWM520978U (zh) 同步旋轉式射拉吹瓶機
EP2479019A1 (en) Method of planting a handle and a bottle parison to a mold of blow-molding modules for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JP2023012316A (ja) 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と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