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103B1 -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103B1
KR102016103B1 KR1020190022912A KR20190022912A KR102016103B1 KR 102016103 B1 KR102016103 B1 KR 102016103B1 KR 1020190022912 A KR1020190022912 A KR 1020190022912A KR 20190022912 A KR20190022912 A KR 20190022912A KR 102016103 B1 KR102016103 B1 KR 102016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frame
mobile rack
moving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주)대원모빌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원모빌랙 filed Critical (주)대원모빌랙
Priority to KR1020190022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9/00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 F16D49/02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shaped as a helical band or coil with more than one turn, with or without intensification of the braking force by the tension of the band or contracting member
    • F16D49/04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shaped as a helical band or coil with more than one turn, with or without intensification of the braking force by the tension of the band or contracting member mechanically actu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선반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모빌랙에 구비되어 사람 등이 접촉될 경우 이동선반이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선반(20)의 하부프레임(25)의 폭방향 양측 및 두께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하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동프레임(210)과; 상기 이동선반의 이동 방향 전방에 위치한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되도록 제동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후 하부프레임의 앞쪽에서 이동선반의 중간 부분을 향해 90도 절곡되는 접촉부재(220)와; 상기 이동선반을 구성하는 양측 이동바퀴(30)의 바퀴축(35)을 연결하는 메인샤프트(235)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스프로킷(230)과; 상기 제동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며 스프로킷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샤프트 및 이동바퀴의 회전을 차단하는 제동핀(240)과;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동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동핀이 스프로킷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동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Emergency Braking System for Mobile Rack}
본 발명은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선반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모빌랙에 구비되어 사람 등이 접촉될 경우 이동선반이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빌랙(Mobile Rack)은 기존 보관 공간에 한계를 갖고 있는 고정식 책장에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의 책이나 서류 등의 물건을 보관하기 위하여 하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식 보관함을 말한다. 이러한 모빌랙을 활용하면 책이나 서류의 고밀도 수납이 가능해지고, 수납효율이 2배에서 3배 정도 향상됨으로써, 동일한 공간에 더 많은 책이나 서류 등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료의 집중 보관이나 분산 보관을 막론하고 가장 효율적인 자료보관을 구현할 수 있어 공간 절약, 환경개선, 사무능률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모빌랙은, 일정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선반과;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선반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선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선반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모빌랙은 손잡이를 이용하여 구동기어를 돌려 이동선반을 이동시키는 수동식 모빌랙과, 외부에서 전원공급을 받아 전기모터를 돌려 이동선반을 이동시키는 전동식 모빌랙으로 구분되며, 전동식 모빌랙의 경우는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힘을 들이지 않고 다수의 이동선반을 동시에 움직일 수 있으므로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의 모빌랙은 이동선반 사이 또는 고정선반과 이동선반 사이로 사람이 이동하도록 하고 있고 사람과 접촉할 경우 자동으로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이동선반을 이동시키는 도중 이동선반이 사람과 부딪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지면에 고정되는 레일과, 레일의 상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로울러와 회전축에 의해 이동가능한 이동대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이동대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며 수납공간을 갖되 측면에 일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이동대의 측면 개구를 커버하되 착탈 가능한 커버부를 포함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정비를 용이하게 한 모빌랙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기어부재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관통하는 체결홀과 내측면에 돌출되는 거치대가 형성되는 컨트롤 판체와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스토퍼부재 및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스토퍼부재의 작동을 허용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스토퍼부재 및 잠금장치의 설치 구조가 단순화되고 안전성이 개선된 모빌랙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레일 위를 이동하는 휠과 휠축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부와;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 또는 이동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구동브라켓과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하여,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전동구동부는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과; 구동브라켓에 지지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휠축에 설치되며, 구동스프라켓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스프라켓부와, 구동스프라켓부와 종동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구동부에 설치된 구동브라켓 및/또는 종동스프라켓부에 구동스프라켓부와 체인부를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동구동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구동부를 가진 모빌랙을 개시하고 있다.
KR 20-0430913 Y1 KR 10-2013-0041594 A KR 10-2015-0043190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선반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모빌랙에 있어서 하부프레임 전방에서 사람이 접촉될 경우 이동선반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선반과의 충돌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빌랙의 긴급제동장치는, 일정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선반과;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선반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선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선반과; 상기 이동바퀴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선반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작동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랙의 이동선반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선반의 이동 방향 전방에 위치한 사람 또는 동물이 접촉될 경우 이동선반을 긴급 정지시키는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로서, 상기 이동선반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의 폭방향 양측 및 두께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동프레임과; 상기 이동선반의 이동 방향 전방에 위치한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되도록 상기 제동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후 하부프레임의 앞쪽에서 이동선반의 중간 부분을 향해 90도 절곡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이동선반을 구성하는 양측 이동바퀴의 바퀴축을 연결하는 메인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스프로킷과; 상기 제동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로킷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샤프트 및 이동바퀴의 회전을 차단하는 제동핀과;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동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동핀이 스프로킷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동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에 따르면,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단은 이동선반의 하부프레임과 제동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제동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동프레임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평부 끝단에 힌지가 설치되고 수직부 끝단이 하부프레임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판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판재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판재의 일측면을 덮어주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동프레임은 판재가 메인샤프트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제동핀이 스프로킷의 홈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동핀이 설치된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재는 이동선반의 하부프레임 전방에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는 이동선반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선반이 이동하는 도중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부재에 접촉되는 경우 이동선반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므로 이동선반과의 충돌에 따른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에 따르면, 제동프레임을 구성하는 판재에 오목부가 형성됨에 따라 제동핀이 스프로킷의 홈에 삽입될 때 제동프레임과 메인샤프트 사이에서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에 따르면, 접촉부재가 이동선반의 하부프레임 전방에서 서로 연결될 경우에는 이동선반의 폭방향 전체에서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되는 순간 이동선반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안전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빌랙의 이동선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가 설치된 이동선반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가 설치된 이동선반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빌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빌랙의 이동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가 설치된 이동선반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가 설치된 이동선반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는, 모빌랙의 이동선반(20)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25)에 설치되어 이동선반(20)의 이동 방향 전방에 위치한 사람 또는 동물이 접촉될 경우 이동선반(20)을 긴급 정지시키는 것으로,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선반(20)의 하부프레임(25)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동프레임(210)과, 접촉부재(220), 스프로킷(230), 제동핀(240) 및 인장스프링(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동프레임(210)은 이동선반(20)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2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프레임(25)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동시에 두께 방향 양측에도 각각 배치되어, 하나의 이동선반(20)에 모두 4개의 제동프레임(210)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하부프레임(25)의 중간 부분에 이동바퀴(30)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바퀴(30)가 설치된 이동선반(20)의 중간 부분 앞쪽과 뒤쪽에도 상기 제동프레임(21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동프레임(21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평부 끝단에 힌지(215)가 설치되고 수직부 끝단이 하부프레임(25)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판재(211)와, 상기 접촉부재(22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판재(211)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판재의 일측면을 덮어주는 연결부재(212)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판재(211) 사이에 제동핀(240)이 설치되어 상기 스프로킷(230)의 홈(231)에 삽입되도록 상기 판재(211) 사이의 간격은 스프로킷(230)의 두께보다 커야 한다.
상기 접촉부재(220)는 이동선반(20)의 이동 방향 전방에 위치한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되었을 때 제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동프레임(210)의 하단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후 하부프레임(25)의 앞쪽에서 이동선반(20)의 중간 부분을 향해 90도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220)의 전방측 길이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선반(20)의 하부프레임(25) 전방에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로킷(230)은 제동핀(240)에 의해 고정되어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선반(20)을 구성하는 양측 이동바퀴(30)의 바퀴축(35)을 연결하는 메인샤프트(235)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동핀(240)은 제동프레임(210)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로킷(230)의 홈(231)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며, 상기 스프로킷(230)의 홈(230)에 삽입될 경우 상기 메인샤프트(235) 및 이동바퀴(30)의 회전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인장스프링(250)은 제동장치의 작동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2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동프레임(210)에 고정되어 상기 제동핀(240)이 스프로킷(23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동프레임(21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장스프링(250)의 일단이 이동선반(20)의 하부프레임(25)과 제동프레임(210)을 연결하는 힌지(215)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제동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접촉부재(220)에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되어 상기 접촉부재(220)와 제동프레임(210)이 스프로킷(230)을 향해 회동하는 경우 상기 인장스프링(250)이 인장되고 제동핀(240)은 스프로킷(230)의 홈(231)에 삽입되어 이동선반(2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220)에 아무것도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인장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장스프링(250)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접촉부재(220)와 제동프레임(210)은 이동선반(20)의 하부프레임(25)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동핀(250)이 스프로킷(23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선반(20)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동프레임(210)을 구성하는 판재(211)가 메인샤프트(235)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제동핀(240)이 스프로킷(230)의 홈(231)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판재(211)의 일측면 중 상기 제동핀(240)이 설치된 부분에는 오목부(2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는 이동선반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사람이나 동물이 이동선반의 하부프레임에 구비된 접촉부재에 접촉되는 경우 접촉부재와 제동프레임이 스프로킷을 향해 회동하여 제동핀이 스프로킷의 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선반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여 이동선반과 사람 또는 동물의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20...이동선반
25...하부프레임
30...이동바퀴
35...바퀴축
200...긴급 제동장치
210...제동장치 프레임
211...판재
212...연결부재
213...오목부
215...힌지
220...접촉부재
230...스프로킷
231...홈
235...메인샤프트
240...고정핀
250...인장스프링

Claims (5)

  1. 일정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선반과; 하부에 이동바퀴(3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선반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선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선반(20);을 포함하는 모빌랙에서 상기 이동선반(20)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25)에 설치되어 이동선반(20)의 이동 방향 전방에 위치한 사람 또는 동물이 접촉될 경우 이동선반(20)을 긴급 정지시키는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200)로서,
    상기 하부프레임(25)의 폭방향 양측 및 두께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동프레임(210)과;
    상기 이동선반(20)의 이동 방향 전방에 위치한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되도록 상기 제동프레임(210)의 하단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후 하부프레임(25)의 앞쪽에서 이동선반(20)의 중간 부분을 향해 90도 절곡되는 접촉부재(220)와;
    상기 이동선반(20)을 구성하는 양측 이동바퀴(30)의 바퀴축(35)을 연결하는 메인샤프트(235)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스프로킷(230)과;
    상기 제동프레임(210)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로킷(230)의 홈(231)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샤프트(235) 및 이동바퀴(30)의 회전을 차단하는 제동핀(240)과;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2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동프레임(210)에 고정되어 상기 제동핀(240)이 스프로킷(23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동프레임(210)을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250);을 포함하고,
    상기 제동프레임(21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평부 끝단에 힌지(215)가 설치되고 수직부 끝단이 하부프레임(25)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판재(211)와, 상기 접촉부재(22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판재(211)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판재(211)의 일측면을 덮어주는 연결부재(2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250)의 일단은 이동선반(20)의 하부프레임(25)과 제동프레임(210)을 연결하는 힌지(215)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제동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제동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프레임(210)은 판재(211)가 메인샤프트(235)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제동핀(240)이 스프로킷(230)의 홈(231)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동핀(240)이 설치된 부분에 오목부(2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220)는 이동선반(20)의 하부프레임(25) 전방에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KR1020190022912A 2019-02-27 2019-02-27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KR10201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12A KR102016103B1 (ko) 2019-02-27 2019-02-27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12A KR102016103B1 (ko) 2019-02-27 2019-02-27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103B1 true KR102016103B1 (ko) 2019-08-29

Family

ID=6777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912A KR102016103B1 (ko) 2019-02-27 2019-02-27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300B1 (ko) * 2021-03-22 2021-06-01 (주)대원모빌랙 긴급제동장치가 구비된 무궤도 모빌랙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08U (ko) * 1989-05-31 1991-01-16
JP2006132563A (ja) * 2004-11-02 2006-05-25 Kongo Co Ltd 免震装置
KR200430913Y1 (ko) 2006-08-21 2006-11-13 (주)대원모빌랙 모빌랙
JP2010264219A (ja) * 2009-04-13 2010-11-25 Kongo Co Ltd 移動棚用安全装置および移動棚
KR20130041594A (ko) 2011-10-17 2013-04-25 (주)대원모빌랙 모빌랙
KR20150043190A (ko) 2014-02-14 2015-04-22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하이브리드 구동부를 가진 모빌랙
JP2016116606A (ja) * 2014-12-19 2016-06-30 日本ファイリング株式会社 移動棚用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08U (ko) * 1989-05-31 1991-01-16
JP2006132563A (ja) * 2004-11-02 2006-05-25 Kongo Co Ltd 免震装置
KR200430913Y1 (ko) 2006-08-21 2006-11-13 (주)대원모빌랙 모빌랙
JP2010264219A (ja) * 2009-04-13 2010-11-25 Kongo Co Ltd 移動棚用安全装置および移動棚
KR20130041594A (ko) 2011-10-17 2013-04-25 (주)대원모빌랙 모빌랙
KR20150043190A (ko) 2014-02-14 2015-04-22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하이브리드 구동부를 가진 모빌랙
JP2016116606A (ja) * 2014-12-19 2016-06-30 日本ファイリング株式会社 移動棚用安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300B1 (ko) * 2021-03-22 2021-06-01 (주)대원모빌랙 긴급제동장치가 구비된 무궤도 모빌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3126A (en) Compact shelving apparatus
US4269285A (en) Lifting apparatus for electrical switchboards
US4458675A (en) Roller type finger-pressure apparatus
ZA963408B (en) Device for the variable division of a motor vehicle boot and for securing the loaded cargo
KR102016103B1 (ko)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US2857197A (en) Attachable trailer closet
US3535009A (en) Device for movably mounting cabinets or the like
CN208249083U (zh) 一种立体循环货柜
US5836256A (en) Apparatus for mo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between retracted and extended positions
US5129697A (en) Motor controlled, vertically expandable enclosure for pickup truck or trailer
CA1304700C (en) Mobile storage system with improved driving assemblies
JP4147128B2 (ja) トレー送り装置
US6422158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transport system
KR101903935B1 (ko) 저소음 무오류 모빌랙 손잡이
CN110300830A (zh) 垂直循环型停车设备
KR102259300B1 (ko) 긴급제동장치가 구비된 무궤도 모빌랙
CN217213812U (zh) 一种富氢水的自动售水机
JP2012091915A (ja) トレー移送設備
JPH03257265A (ja) 垂直循環式駐車設備
JPH0545234Y2 (ko)
CN220645612U (zh) 一种用于悬浮门的链条调节组件
CN212607605U (zh) 一种导轨式机箱行走机构
CN218894539U (zh) 一种电动大门
CN221073877U (zh) 一种用于悬浮门的夹持导向组件
CN213734959U (zh) 一种站台门防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