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832B1 -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832B1
KR102009832B1 KR1020170103445A KR20170103445A KR102009832B1 KR 102009832 B1 KR102009832 B1 KR 102009832B1 KR 1020170103445 A KR1020170103445 A KR 1020170103445A KR 20170103445 A KR20170103445 A KR 20170103445A KR 102009832 B1 KR102009832 B1 KR 102009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itting
conveyed
convey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234A (ko
Inventor
제태진
전은채
정지영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03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8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06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with punching tools moving with the work
    • B26F1/08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with punching tools moving with the work wherein the tools are carried by, and in operation move relative to, a rotative drum or simila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과 떨어져 상기 이송물의 이송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의 외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롤러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동작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을 타공하는 타격체;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체와 상기 이송수단이 접하는 접선속도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타공시 흠집 발생을 방지하여 깨끗한 타공면을 만들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타공하고자 하는 위치를 정확히 선정하여 연속적으로 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공 패턴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PUNCH/INDENTATION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STRIKE}
본 발명은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격하고자 하는 위치를 정확히 선정하여 타격시 흠집 발생을 방지하고, 정밀하고 깨끗한 타공면을 형성하여 타공 품질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타공 패턴을 손쉽게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 타격이 가능한 고성능 정밀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공은 타격장치를 이용하여 가공물의 면에 홀을 형성하거나 함몰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타공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컨베이어(1)를 통해 타공하고자 하는 이송물(3)이 이송되고, 컨베이어(1)의 상측에 위치하여 X축, Y축, Z축으로 이동 가능한 타격수단(2)이 하강 동작되어 이송물(3)을 타격하여, 즉 홀 또는 홈(3a)을 하나씩 순차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이송물(3)이 컨베이어(1)를 통해 이송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타격수단(2)이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타격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즉, 이송물(3)이 컨베이어(1)에 의해 계속 이송되어 움직이고 있는 상태에서, 타격수단(2)의 이동과 이송물(3)의 이동을 감안하여 타격할 위치를 선정해야 하므로 원하는 위치에 타격한다는 것이 어려웠다.
게다가, 타격수단(2)이 하강 동작되어 이송물(3)을 타격한 후 상승하는 동작은 이송물(3)이 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중에 이루어지므로, 도 1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듯이 이송물(3)의 이송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흠집(3b)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028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격시 흠집 발생을 방지하여 깨끗한 타공면을 만들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타공하고자 하는 위치를 정확히 선정하여 연속적으로 타격할 수 있는 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양한 타공 패턴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과 떨어져 상기 이송물의 이송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의 외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롤러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동작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을 타격하는 타격체; 및 상기 타격체가 이송물에 접하여 이송물을 타격할 때 상기 타격체의 접선속도와 상기 이송물의 이송속도가 동일하도록, 상기 타격체의 회전 및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롤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타격체가 돌출되면서 이송물과 접하는 순간의 접선속도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의 이송속도가 서로 동일하도록, 상기 롤러의 회전동작, 상기 타격체의 돌출동작 및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동작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멍 및 상기 타격체는, 상기 롤러의 둘레방향, 길이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롤러는, 상기 타격체가 상기 이송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타격체의 수평 단면 형상은, 반원, 원, 타원, 다각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물은 광학제품 제조용 금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격시 흠집 발생을 방지하여 깨끗한 타공면을 만들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가 제공된다.
또, 타격하고자 하는 위치를 정확히 선정하여 연속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타격 패턴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타공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에 사용되는 롤러를 나타낸 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타공이라는 용어는, 타격을 통해 홀을 형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타격을 통해 홈을 형성하는 것, 즉 압입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타공이라는 용어만 사용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에 사용되는 롤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100)는 크게 이송수단(10)과 롤러(20) 및 타격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수단(10)은 이송물(40)을 이송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어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물로서 금형, 특히 광학필름과 같은 광학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광학제품 제조용 금형(40; 이하, "금형" 이라 한다)을 이송수단(10)을 통해 이송시켜 타공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100)를 통해 타공하고자 하는 이송물은 금형(40) 외에 다양한 물품에 적용 가능하다. 이송수단(10)에는 타공시 금형(40)이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로, 금형(40)의 하측면을 공압 등을 이용하여 흡착하는 흡착부재나 금형(40)의 둘레측에 접하는 스토퍼부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송수단(10)에는 금형(40)을 공급하는 공급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금형(40)을 하기에 서술하는 롤러(20)측을 향해 보다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롤러(20)는 이송수단(10)에 의해 롤러(20)측으로 이송되는 금형(40)이 지나갈 수 있도록 이송수단(10)과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도면 상 이송수단(10)의 상측에 위치하고, 금형(40)의 이송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성요소이다. 롤러(20)는 별도로 마련되는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S)에 장착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100)가 설치되는 환경이나 이송물의 종류나 재질 등에 따라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구동기어(도시하지 않음)와 구동기어에 기어결합되어 회전축과 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연결하는 종동기어(도시하지 않음) 등이 더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롤러(20)는 금형(40)이 이송되어 롤러(20)측을 지나가는 방향측으로 회전, 다시 말해서 하기에 서술하는 타격체(30)가 금형(4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격체(30)는 롤러(20)의 내측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롤러(20)의 외면에 형성된 구멍(22)을 통해 롤러(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동작되어 이송수단(10)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40)을 연속적으로 타공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타격체(30)를 롤러(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동작시키고, 돌출 동작된 타격체(30)를 롤러(2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 동작시키는 구성이 사용된다. 즉, 타격체(30)는 타격체구동부(32), 예를 들어 타격체(30)를 왕복 운동시키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나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한 구성이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바꾸어 특정 위치에서 타격체(30)를 롤러(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동작시키는 캠(Cam, 도시하지 않음), 롤러(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동작된 타격체(30)를 다시 롤러(20)의 내측 방향으로 동작시켜 원위치시키도록 롤러(20) 내측면과 타격체(30) 사이에 배치되어 타격체(30)의 돌출 동작시 탄성력을 비축하는 탄성체(예를 들어 스프링 등, 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을 통해 타격체(30)를 돌출 또는 삽입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 롤러(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타격체(30)가 돌출되면서 금형(40)과 접하는 순간의 접선속도와, 이송수단(10)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40)의 이송속도가 서로 동일하도록, 제어부(도시 안됨)를 통해 롤러(20)의 회전동작(회전속도)과, 타격체구동부(32)의 타격체 돌출동작(돌출속도와 시점), 금형의 이송동작(이송속도) 등을 제어한다.
접선속도(接線速度)는 원형의 궤도 위를 움직이는 물질의 순간 직선 속도로서, 접선속도의 방향은 해당 관측 지점에 있어서 원형 궤도의 접선방향과 같다. 다시 말해서, 접선속도는, 물체가 곡선 운동을 하는 경우, 해당 물체의 임의의 한 점에 대한 접선 방향에 있어서 분속도(分速度)이다. 즉,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타격체(30)가 돌출되어 금형(40)과 접하는 순간에, 타격체(30)의 접선방향은 금형(40)의 이송방향과 동일하고, 타격체(30)의 접선속도는 직선으로 이동하는 금형(40)의 이송속도와 동일하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이송수단(10)에 의해 이송 중인 금형(40)의 타공 작업시 흠집없이 원하는 형상, 패턴의 홀(42)(또는 홈)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타격체(30)는 금형(40)을 다수 타공이 가능하도록 롤러(20)의 둘레방향, 길이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롤러(20)에 형성되는 구멍(22) 또한 타격체(30)의 개수나 위치에 맞게 롤러(20)의 둘레방향, 길이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따라 다수로 형성된다. 이때, 타격체(30)가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멍(22)과 구멍(22) 사이의 간격, 즉 타격체(30) 간의 간격이나, 타격체(30)가 롤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경우 열과 열 사이의 간격은 타공하고자 하는 금형(40)의 재질이나 크기 등에 따라 적당한 간격을 갖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 타격체(30)가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롤러(20)의 구멍(22)을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장공의 길이에 따라 타격체(30)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금형(40)에 형성하고자 하는 홀(42)의 형상에 따라 타격체(30)의 수평 단면 형상을 반원, 원, 타원,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나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타격체(30)의 크기나 타격체(30)의 타공 길이는 금형(40)의 재질이나 크기, 타공하고자 하는 홀(42)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금형(40)의 재질, 크기 등에 따라 타격체(30)가 롤러(20)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속도(후진속도)의 조절이나 타격체(30)의 타공력을 타격체구동부(32)를 통해 조절함으로서 다양한 패턴으로 타공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먼저, 도 4와 같이 이송수단(10)에 이송물, 즉 금형(40)이 공급되어 놓여진다. 이송수단(10)에 금형(40)을 공급하는 것은 별도의 공급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도 4 이전에 금형(40)이 공급되어 이송수단(10)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상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나는 것처럼, 금형(40)이 이송수단(10)에 의해 도면 상 좌측에서 우측방향, 즉 롤러(20)측으로 이송되고, 별도의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롤러(20)가 동작된다. 이때, 롤러(20)는 금형(40)이 이송되는 롤러(20)측 방향에 대해 순방향으로 회전, 즉 도면 상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 도 6을 살펴보면 금형(40)이 롤러(20) 근처로 이송되면서 롤러(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던 타격체(30) 중 어느 하나가 금형(40)측, 즉 롤러(20) 외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타격체(30) 중 어느 하나가 돌출되는 것은 금형(40)이 롤러(20)측으로 접근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타격체구동부(32) 등을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로 금형(40)이 롤러(20)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두고, 감지센서에 의해 금형(40)의 접근이 감지되면 타격체구동부(32)가 동작하여 타격체(30)의 돌출이 시작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하는 타격체(30) 중 어느 하나는 롤러(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돌출되어, 도 7과 같이 이송수단(10)에 의해 이송 중인 금형(40)에 접하여 금형을 타격하게 되고, 연속 타격을 위해 금형(40)을 타격하는 타격체(30)에 이웃하여 회전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다른 타격체(30)가 돌출되기 시작한다.
제어부(도시 안됨)는 롤러(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타격체(30)가 돌출되면서 금형(40)과 접하는 순간의 접선속도와, 이송수단(10)에 의해 이송되는 금형(40)의 이송속도가 서로 동일하도록, 롤러(20)의 회전동작(회전속도)과 타격체구동부(32)의 타격체 돌출동작(돌출속도 및 돌출시점) 및 금형(40)의 이송동작(이송속도) 등을 제어한다.
한편, 금형(40)에 형성하고자 하는 홀(42)의 간격(금형 이송방향에 따른 홀의 간격)이 멀 경우 회전방향 후방에 위치하여 이웃하는 다른 타격체(30)는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계속해서 롤러(20)의 회전과 금형(40)의 이송이 진행되며, 제어부에 의해, 금형(40)을 타격한 타격체(30)는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금형(40)의 이송방향쪽으로 계속 회전하면서 롤러(20)의 내부쪽으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100)를 이용하여 타공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타격체(30)가 금형(40)에 접하여 금형(40)을 타격하는 순간에, 타격체(30)의 접선속도와 금형(40)의 이송속도가 동일하게 되어, 홀(42)주위에 타격체(30)에 의한 흠집이 발생하지 않고 원하는 형상, 패턴의 타공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타격체(30)가 금형(40)을 타공함으로써 금형(40)으로부터 절단된 스크랩(도시하지 않음)은 별도로 마련되는 스크랩제거부재(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재나 공압 등을 이용하여 흡착하는 흡착부재 등을 두어 스크랩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처럼 타공 작업을 수행한 타격체(30)는 롤러(20)의 회전에 따라 금형(40)으로부터 이탈하여 롤러(20) 내측 방향으로 삽입 동작되고, 이렇게 삽입 동작되는 타격체(30)의 회전방향 후방에 위치하도록 이웃한 다른 타격체(30)가 금형(40)에 접하여 타공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회전하는 롤러(20)를 통해 다수의 타격체(30)가 순차적으로 돌출되어 금형(40)을 타공함으로써 타공하고자 하는 위치를 정확히 선정하여 연속적으로 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에서는 타격체(30)가 롤러(20)의 둘레를 따라 5개가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금형(40)에 형성하고자 하는 홀(42)의 간격이나 금형(40)의 크기 등에 따라 5개보다 적은 개수를 사용하거나, 5개보다 많은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100)는 타격체(30)가 금형(4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타격체(30)의 접선속도와 금형(40)의 이송속도가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타공시 흠집 발생을 방지하여 깨끗한 타공면을 만들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타공하고자 하는 위치를 정확히 선정하여 연속적으로 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롤러(20)의 회전속도와 이송수단(10)의 이송속도, 타격체(30)가 롤러(20)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속도(후진속도)의 조절, 타격체(30)의 크기, 타격체(30)의 타공 길이, 타격체(30)의 타공력을 조절하여 손쉽게 다양한 타공 패턴을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컨베이어 2: 타공수단
3, 40: 이송물(금형) 3a, 42: 홀
3b: 흠집 10: 이송수단
20: 롤러 22: 구멍
30: 타격체 32: 타격체구동부
100: 타공장치 S: 회전축

Claims (5)

  1.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과 떨어져 상기 이송물의 이송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의 외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롤러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동작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을 타공하는 타격체; 및
    상기 타격체가 이송물에 접하여 이송물을 타격할 때, 상기 롤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타격체가 돌출되면서 이송물과 접하는 순간의 상기 타격체의 접선속도와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이송물의 이송속도가 동일하도록, 상기 롤러의 회전동작, 상기 타격체의 돌출동작 및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동작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상기 타격체의 회전 및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양한 타공 패턴을 제조하도록 타격체 구동부를 통해 상기 타격체의 돌출여부, 상기 타격체가 상기 롤러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속도, 및 상기 타격체의 타공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및 상기 타격체는,
    상기 롤러의 둘레방향, 길이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타격체가 상기 이송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의 수평 단면 형상은,
    반원, 원, 타원, 다각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KR1020170103445A 2017-08-16 2017-08-16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KR102009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445A KR102009832B1 (ko) 2017-08-16 2017-08-16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445A KR102009832B1 (ko) 2017-08-16 2017-08-16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234A KR20190019234A (ko) 2019-02-27
KR102009832B1 true KR102009832B1 (ko) 2019-08-13

Family

ID=6556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445A KR102009832B1 (ko) 2017-08-16 2017-08-16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8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6313B2 (ja) * 1992-06-03 2002-03-18 株式会社安川電機 印刷絵柄連続打抜装置のセクショナルドライブ方法
JP2009137045A (ja) * 2007-12-04 2009-06-25 Bridgestone Corp 未加硫タイヤ製造装置、製造方法、及び穿孔押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89B1 (ko) 2015-02-13 2015-06-19 주식회사금성산업 강재 자동 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6313B2 (ja) * 1992-06-03 2002-03-18 株式会社安川電機 印刷絵柄連続打抜装置のセクショナルドライブ方法
JP2009137045A (ja) * 2007-12-04 2009-06-25 Bridgestone Corp 未加硫タイヤ製造装置、製造方法、及び穿孔押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234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368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hing or perforating moving material webs
US20160236293A1 (en) Apparatus for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and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US8910551B2 (en) Apparatus for punching moving material webs
US10130997B2 (en) Main shaft device and machine tool provided with same
TWI657058B (zh) 玻璃板之製造裝置
KR101536983B1 (ko) 스프링용 레이저 마킹 시스템
KR102009832B1 (ko) 연속 타격이 가능한 타공장치
US1925034A (en) Prick punching machine
JP6564442B2 (ja) プレス装置
CN109070313B (zh) 孔内表面处理装置及孔内表面处理方法
JP2020032457A (ja) 線材成形機及び線材成形品の製造方法
JP6542081B2 (ja) ガイド装置およびスカーフ加工面形成方法
CN101745930A (zh) 用于切割装饰元件的机器以及包括该机器的组件
JPH04322767A (ja) コーティング機のためのブレード保持装置
WO2016160464A3 (en) Multi-station reciprocating die roll forming machine and method of patterning blanks
JP5647939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が形成された缶体の製造方法
JP2011131226A (ja) パンチプレス
JP6468788B2 (ja) バリ除去装置
KR101364110B1 (ko) 냉매관 절단 장치
JP6793375B2 (ja) 間欠搬送装置
KR20130038136A (ko) 스크라이브 장치
US201500966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tubular shrink sleeve material to containers
JP6543299B2 (ja) 缶胴ワークのエキスパンド成形装置
JP2016028841A (ja) 外形カット装置
CN218699590U (zh) 一种外胎裁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