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619B1 - 서비스 플러그 - Google Patents

서비스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619B1
KR102008619B1 KR1020180068572A KR20180068572A KR102008619B1 KR 102008619 B1 KR102008619 B1 KR 102008619B1 KR 1020180068572 A KR1020180068572 A KR 1020180068572A KR 20180068572 A KR20180068572 A KR 20180068572A KR 102008619 B1 KR102008619 B1 KR 10200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lever
operating position
service plug
femal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155A (ko
Inventor
고 야마다
오사무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서비스 플러그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 상의 회전축을 둘레로 회전 가능한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는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2 커넥터 하우징은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비-결합 상태에 있다. 제2 커넥터 하우징은 레버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끼움 상태에 있다. 레버는 캠 홈의 종단부에 방지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플러그{SERVICE PLUG}
본 발명은 서비스 플러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7년 6월 2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12033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12-119292호는 차량 등에 장착되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제1 커넥터 하우징 상에 끼워지고 제거되도록 구성된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끼움 방향 및 제거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러그를 개시한다.
이러한 서비스 플러그는 차량 배터리와 부하 사이의 임의의 곳에 제공된다. 상기 서비스 플러그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작업자가 하중의 측에서 작업할 때 제2 커넥터 하우징이 레버와 함께 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일본공개특허 제2012-119292호의 서비스 플러그는 제2 커넥터 하우징과 레버로 구성된 그립 부분이 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전제로 설계되어, 그립 부분의 제거를 위해 서비스 플러그 상부에 공간이 요구된다.
더욱이, 제거되는 그립 부분을 설계하는 것은 그립 부분(제거부)이 떨어져서 이용불가능하게 손상될 위험 또는 내부가 노출된 제1 커넥터 하우징 내로 이물질이 침입할 위험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플러그는 제거 공간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제거부가 떨어지면서 이용불가능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물질이 제1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플러그는 캠 핀(cam pin)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하우징, 회전축이 제공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레버를 포함한다. 레버는 캠 핀이 끼워지는 캠 홈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는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제2 커넥터 하우징은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비-결합 상태(non-fitted state)에 있다. 제2 커넥터 하우징은 레버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끼움 상태(fitted state)에 있다. 레버는 캠 홈의 종단부에 방지벽을 포함한다. 상기 방지벽은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끼움 상태로부터 상기 비-결합 상태로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캠 홈으로부터 상기 캠 핀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의 분해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제1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레버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레버가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레버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레버가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그 구성의 일부의 도시 및 설명이 생략된다 하더라도, 생략된 기술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 또는 주지 기술이 이하의 설명에 대한 제한을 하지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된 기술 또는 기술에 적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는 차량 배터리와 부하(load) 사이의 어느 지점에 제공되며, 제1 커넥터 하우징(10),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레버(3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차량 등의 장착면(MS)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커넥터를 구성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워 맞춰지는 상대 커넥터(mating connector)를 구성한다. 레버(30)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끼움힘과 제거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우거나 분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30)를 조작하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장착면(MS)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하, 관련 구성 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본체부(10a) 및 커버 부재(10b)를 포함한다. 본체부(10a)에는 본체부(10a)가 장착면(MS)에 장착되는 4 개의 장착 개구들(11)(사시도에서는 2개만 도시됨)이 형성된다. 고리들(collars)(12)은 조여질 볼트용 장착 개구들(11)에 대하여 장착된다.
본체부(10)는 그 양 측면에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캠 핀들(13)을 포함한다. 캠 핀들(13)은 후술하는 레버(30)에 대응하는 캠 홈(참조 번호 34 참조)에 끼워 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2개의 암 단자(14)가 수용되어 있다.
2개의 암 단자(14)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선단 측에는 후술하는 수 단자(부호 22)가 삽입되는 실질적으로 사각의 통부(quadrangular tubular portions)(14a)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암 단자(14)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고정되도록 실장되어 통부(14a)가 동일한 축으로 정렬된다. 각 통부(14a)에는 통부(14a)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복수의 돌기(14b)(도 8에서 후술함)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14b)는 수 단자와의 접촉부를 구성한다.
또한, 커버 부재(10b)는 본체부(10a)의 상부에 장착된다. 후드부(15)는 커버 부재(10b) 위에 그의 끼움 방향 측으로 형성된다. 후드부(15)는 후드부(15)에 인터로크(interlock) 커넥터(16)가 삽입되어 끼움 방향 측으로부터 그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후드부(15)는 그의 제거 방향 측의 단부면에 삽입 개구(15a)를 갖으며, 따라서 후술하는 인터로크 단자(도면 부호 24로 참조됨)가 삽입 개구(15a)로부터 후드부(15) 내로 삽입되어 후드부(15)의 제자리에 고정된다. 인터로크 커넥터(16)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2개의 신호 단자가 제공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인터로크 커넥터(16) 내의 2개의 신호 단자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경로 상에 제공된 스위치부에 연결된다. 2개의 신호 단자가 전기적으로 함께 접속되어 통전되는 경우, 스위치부는 턴온되어 전류 경로를 통전한다. 한편, 2개의 신호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전원이 끊어지면, 스위치부는 턴오프되어 전류 경로를 비활성화시킨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본체부(20a) 및 후방 커버(20b)를 포함한다. 본체부(20a)는 그 양 측면에 회전축들(21)을 포함한다. 회전축들(21)은 레버(30)에 형성된 후술하는 대응하는 회전축베어링들(도면 부호 33 참조)에 끼워지고 레버(30)의 회전 중심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끼움 방향 측으로 개구하는 끼움 구획(OP)을 구비하고 있다. 수 단자(22)는 끼움 구획(OP)에 고정식으로 장착되어 수용된다. 수 단자(22)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2개의 암 단자(14)의 양 통부(14a)에 삽입 가능하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끼움 방향 및 제거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 단자(22)가 끼움 방향 및 제거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단자(22)가 양 통부(14a)로 삽입되고, 두개의 통부(14a)의 그 통부(14a)로부터 제거된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단자(22)가 통부 중 하나로부터 제거되나, 나머지 통부(14a)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또한 상부에 후드부(23)를 포함한다. 후드부(23)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드부(15) 상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인터로크 단자(24)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로크 단자(24)는 도전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끼움 방향 및 제거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인터로크 단자(24)가 끼움 방향 및 제거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터로크 단자(24)가 후드부(15)의 내부의 인터로크 커넥터(16)에 삽입되거나 제거된다. 인터로크 단자(24)가 인터로크 커넥터(16)에 삽입된 경우에는, 인터로크 단자(24)를 통해 2개의 신호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로 연장되는 전류 경로에 설치된 스위치부가 스위치되어 전류 경로가 통전된다.
후방 커버(20b)는 본체부(20a)의 제거 방향 측으로부터 장착되는 부재이다. 상기 후방 커버(20b)에는, 후술하는 탄성편(도면 부호 37 참조)이 후방 커버(20b)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퇴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30)는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와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의 단부들을 함께 연결하는 연결부(3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에는 개별적으로 회전축 베어링(33)이 형성되어 있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회전축(21)이 그 안으로 끼워진다. 또한,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에는 캠 홈(34)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형성된 캠 핀(13)이 그 안으로 끼워진다. 캠 핀(13)이 캠 홈(34)에 끼워진 상태에서 캠 핀(13)이 대응하는 캠 홈(34) 내에서 이동하면서 레버(30)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플레이트(31)에 형성된 캠 홈(34)은 회전축 베어링(33)과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곡선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레버(30)가 회전될 때, 상기 곡선 구조는 캠 핀(13)이 상기 회전축(21)을 향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즉,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는 상기 캠 홈(34)과 상기 캠 핀(13)의 협업으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결합력 및 제거력이 작용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도 5 참조)에 있을 때, 즉 레버(30)가 장착면(MS)에 수직인 경우, 캠 핀(13)은 캠 홈(34)의 종단부(E)(회전축들(21)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캠 홈(34)의 부분)에 위치하며, 이에 의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 위에 비-결합 상태로 남아있다. 한편,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도 6 참조)에 있을 때, 즉, 상기 레버(30)가 장착면(MS)과 평행하게 유지될 때, 캠 핀(13)은 캠 홈(34)의 다른 단부(S)(회전축들(21)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캠 홈(34)의 부분)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에 끼워 맞춰진다.
따라서,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끼움력 및 제거력이 가해져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끼움 상태가 되고, 비-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레버(30)는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제3 작동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된다(도 7 참조). 또한, 레버(3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잠금 장치가 제공되어, 이들의 상대 위치가 제1 작동 위치, 제2 작동 위치 및 제3 작동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이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는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36)를 포함한다. 돌출부(36)는 아암 플레이트(31)의 평탄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는 끼움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7)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30)가 도 5에 나타낸 제1 작동 위치, 즉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비-결합 상태에서, 돌출부(36)는 대응 홈(27)에 끼워져, 돌출부(36) 및 홈(27)은 레버(30)를 제1 작동 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36)와 홈(27)의 결합은 작업자에 의한 레버(30)의 회전 조작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에는, 연결부(32) 근방의 부분에 잠금편(35)이 형성되어 아암 플레이트(31)의 평탄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거 방향 측에 옆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잠금 고리(locking claws)(26)를 포함한다.
레버(30)가 도 6에 도시된 제2 작동 위치, 즉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끼움 상태로 유지되면, 이들 잠금편(35) 및 잠금 고리(26)는 레버(30)를 제2 작동 위치에 유지시킨다.
잠금편(35)과 잠금 고리(26)의 결합은 작업자에 의한 레버(3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는 정도이다. 즉, 작업자는 레버(30)를 제2 작동 위치로부터 제1 작동 위치(제3 작동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잠금 고리(26)와 잠금편(35)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는 연결부(32)의 내면에 형성된 탄성편(37)을 포함한다. 탄성편(37)은 단면이 J자 형태를 가지며 연결부(32)를 향하여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플레이트 부재(후술하는 도 8 내지 도 10 참조)이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잠금 고리(26)보다 끼움 방향에서 약간 더 전방으로 위치되고, 잠금 고리(26)보다 더 상방에 위치된 2개의 잠금 고리(28)를 포함한다. 잠금 고리(28)가 제거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37)은 그 회전 중심에 가까운 쪽의 면에서 잠금 고리(28)에 걸리게 된다.
레버(30)가 도 7에 도시된 제3 작동 위치, 즉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절반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면, 이들 탄성편(37) 및 잠금 고리(28)가 레버(30)를 제3 작동 위치에 유지시킨다.
탄성편(37)과 잠금 고리(28)의 맞물림은 작업자에 의한 레버(3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맞물림이 해제될 수 없는 정도의 결합이다. 즉, 작업자가 레버(30)를 제3 작동 위치로부터 제1 작동 위치로 회동시키더라도 작업자는 탄성편(37)과 잠금 고리(28)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없다. 작업자가 레버(30)를 제1 작동 위치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탄성편(37)을 연결부(32)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직접 조작한다. 이로써 탄성편(37)과 잠금 고리(28)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작업자는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버(30)를 회전시킴으로써 레버(30)를 제1 작동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레버(30)는 방지벽(38)을 포함한다(도 3 참조). 방지벽(38)은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캠 홈(34)의 캠 핀(13)이 끼워진 상태로부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이동 방향으로 끼움 상태에서 비-결합 상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캠 홈(34)의 종단부(E)에 제공되는 벽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서비스 플러그(1)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과 레버(30)를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즉,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레버의 캠 홈의 종단부에는 캠 핀 입구 개구(얇은 부분)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입구 개구가 형성되어도 캠 핀(13)은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캠 홈(34)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레버(30)가 캠 핀(13)과 회전축(21)에 끼워짐으로써,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레버(30)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레버(3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일체로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계된 구조이다.
도 8은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에 나타낸 서비스 플러그(1)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의 서비스 플러그(1)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레버(30)가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에 나타낸 서비스 플러그(1)의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비-결합 상태로부터 끼움 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레버(30)의 연결부(32)의 대향 단부(회전 중심측 단부)를 강제로 개방한다. 그리고 레버(3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됨에 따라, 회전축(21)은 대응하는 회전축 베어링(33) 내에 끼워진다. 캠 핀(13)은 캠 홈(34)의 종단부(E)에 위치하도록 끼워진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이 시점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결합 상태이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레버(30)를 제2 작동 위치로 회전시킨다. 특히, 캠 홈(34)은 회전축 베어링(33)과의 거리가 타 단부(S)를 향하여 점차 짧아 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끼움 방향으로 끼움힘이 작용하여 레버(3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점차적으로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레버(30)가 제3 작동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편(37)은 잠금 고리(28)와 결합한다(도 10 참조). 이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2개의 암 단자(14)의 양 통부(14a)에 수 단자(22)가 삽입되어 2개의 암 단자(14)와 접촉하는 반 결합 상태가 된다. 한편, 반 결합 상태에서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드부(23)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드부(15)에 아직 끼워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후드부(23) 내의 인터로크 단자(24)는 후드부(15) 내의 인터로크 커넥터(16)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으며,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부가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즉,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경로는 차단 상태에 있다.
그 후, 작업자가 레버(30)를 제2 작동 위치쪽으로 더 회전시키면, 레버(30)는 제2 작동 위치에 도달하고, 잠금편(35)은 대응하는 잠금 고리(26)와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끼움 상태에 있고, 2개의 암 단자(14)의 양 통부(14a)에 수 단자(22)가 삽입되어 암 단자(14)와 접촉한다(도 9 참조). 또한, 끼움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드부(23)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드부(15)에 끼워진다. 따라서, 후드부(23) 내의 인터로크 터미널(24)은 후드부(15)의 인터로크 커넥터(16)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며, 이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부가 턴온된다. 즉,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경로가 통전된다.
다음으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끼움 상태로부터 비-결합 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머무르는 상태로 끼움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 작업자는 레버(30)를 이 상태로부터 제1 작동 위치(제3 작동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특히, 캠 홈(34)은 회전축 베어링(33)과의 거리가 종단부(E)를 향하여 서서히 길어 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제거 방향으로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제거력이 작용하여 레버(3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점차 멀어지게 된다. 잠금 고리(26)와의 결합 및 돌출부(36)와 홈(27)의 결합은 레버(30)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 해제된다.
그 후, 레버(30)가 제3 작동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편(37)은 잠금 고리(28)와 결합된다(도 10 참조). 이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반 결합 상태에 있다. 수 단자(22)는 2개의 암 단자(14)의 양 통부(14a)에 삽입된 채로 남겨져 암 단자(14)와 접촉한 상태이지만 인터로크 커넥터(16)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지 않아 스위치부(도시되지 않음)은 오프된다. 즉,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경로는 차단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레버(30)를 제1 작동 위치로 회전시키더라도, 탄성편(37)과 잠금 고리(28)의 맞물림에 의해 작업자는 관련 구성 부품 사이에서 발생하는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없다. 그 후, 작업자는 탄성편(37)을 연결부(32)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직접 조작한다. 이로써, 탄성편(37)과 잠금 고리(28)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 후, 작업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버(30)를 제1 작동 위치쪽으로 회전시킨다.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도달하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비-결합 상태에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암 단자(14) 중 한 통부(14a)에 수 단자(22)가 삽입되어 2개의 암 단자(14) 중 하나와 접촉하게 되더라도, 상기 수 단자(22)는 다른 통부(14a)에 삽입되지 않음으로써 다른 쪽의 암 단자(14)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 단자(22)는 다른쪽의 암 단자(14)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동안 한쪽의 암 단자(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경로는 차단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인터로크 단자(24)는 인터로크 커넥터(16)에 삽입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부가 오프된다.
이때, 작업자는 레버(30) 또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잡고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시도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홈(34)의 종단부(E)에 캠 핀(13)이 이탈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벽(38)을 포함하므로, 캠 핀(13)은 대응하는 방지벽(38)과 접촉하여 홈(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레버(30)가 기본적으로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으므로, 제거를 위한 공간의 필요성이 제거된다. 또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레버(30) 등의 제거 부품이 떨어져 사용 불능으로 인해 손상을 입을 위험 및 제1 커넥터 하우징(10) 내로 이물질의 침입 위험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서비스 플러그(1)에 의하면, 캠 홈(34) 내에 캠 핀(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캠 홈의 종단부(E)에 방지벽(38)이 제공되며, 이로부터 상기 레버(30)는 제1 작동 위치에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제거하려 해도, 캠 핀(13)이 방지벽(38)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작업자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쉽게 제거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기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제거를 위한 공간의 필요성이 제거된다. 또한, 기본적으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거 부품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우려 또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이물질이 침입할 우려가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제거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고, 제거 부품이 떨어져서 사용 불능으로 인해 손해를 입을 위험 및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이물질이 침입할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장착되는 장착면(MS)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장착면(MS)에 수직으로 변위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이러한 구성은 서비스 플러그(1)에 필요한 공간을 더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수 단자(22)는 2개의 암 단자(14) 중 하나의 통부(14a)에만 삽입되어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다른 암 단자(14)로부터 분리된다. 이로써,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암 단자(14)의 통부들(14a)로부터 수 단자(22)가 이탈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평행 방향으로의 변위량이 감소되어, 서비스 플러그(1)의 둘레에 필요한 공간을 더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본 발명은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에 변형이 가해질 수도 있고, 또는 실시예에서 기술된 기술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필요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다른 가능한 또는 허용 가능한 기술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는 장착면(MS)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플러그(1)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 단자(22)는 비-결합 상태에서 다른쪽 암 단자(14)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한쪽의 암 단자(14)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 단자(22)는 비-결합 상태에서 양 암 단자(14)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플러그(1)는 캠 핀(13)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회전축(21)이 제공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회전축에 회전가능한 레버(3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30)는 캠 핀(13)이 끼워지는 캠 홈(34)을 포함한다. 레버(30)는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비-결합 상태에 있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끼움 상태에 있다. 레버(30)는 캠 홈(34)의 종단부(E)에 방지벽(38)을 포함한다. 레버(30)가 제1 조작 위치에 있을 때, 방지벽(38)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이동 방향으로 캠 홈(34)으로부터 캠 핀(13)이 끼움 상태에서 비-결합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된다.
이 서비스 플러그에 의하면, 작업자가 제1 작동 위치에 있는 레버로 제2 커넥터 하우징을 제거하려고 해도, 서비스 플러그가 캠 홈의 종단부에 위치하고, 캠 홈 내의 캠 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방지벽이 형성되어, 캠 핀의 이탈을 막는 방지벽에 의해 작업자가 제2 커넥터 하우징을 쉽게 제거 할 수 없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제거되는 것을 불가능하게하여, 제거하기 위한 공간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또한,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제거가 기본적으로 방지된 구성의 서비스 플러그로 인해, 제거 부품이 떨어지거나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이물질이 침입할 위험이 없다. 따라서, 제거를 위한 공간이 불필요해지고, 제거 부품이 떨어져서 사용불능으로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고, 이물질이 제1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비스 플러그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장착되는 장착면(MS)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방식으로 서비스 플러그가 구성되면,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제1 커넥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서비스 플러그의 구성은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장착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서비스 플러그의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키는데 더 기여할 수 있다.
서비스 플러그에 있어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2개의 암 단자(14)를 수용하고 있다. 2개의 암 단자(14)는 각각 평행 방향으로 개구하는 통부(14a)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암 단자(14)의 통부(14a)는 단일 축을 따라 배치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수 단자(22)를 수용한다.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수 단자(22)는 2개의 암 단자(14a)에 모두에 삽입되고 2개의 암 단자(14a) 모두와 접촉하게 된다.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수 단자(22)는 2개의 암 단자(14) 중 하나의 통부(14a) 내로 삽입되어 한쪽의 암 단자(14)와 접촉하게 되지만 다른 쪽의 암 단자(14)의 통부(14a) 내로 삽입되지 않아 다른 쪽의 암 단자와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 플러그를 구성하면, 2개의 암 단자 중 한쪽의 통부에만 수 단자가 삽입되어, 다른 쪽의 암 단자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는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양쪽 암 단자의 통부로부터 수 단자가 이탈된 경우에 비해 제2 커넥터 하우징의 평행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서비스 플러그가 그 주변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플러그는 제거 공간의 필요성을 없애고, 제거 부품이 낙하하여 사용불능으로 손상되거나 또는 제1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서비스 플러그
10 : 제1 커넥터 하우징
13 : 캠 핀
14 : 암 단자
14a : 통부
20 : 제2 커넥터 하우징
21 : 회전축
22 : 수 단자
30 : 레버
34 : 캠 홈
38 : 방지벽
E : 종단부
MS : 장착면

Claims (3)

  1. 서비스 플러그로서,
    캠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하우징;
    회전축이 제공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레버
    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캠 핀이 끼워지는 캠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비-결합 상태에 있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끼움 상태에 있고,
    상기 레버는 상기 캠 홈의 종단부에 방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방지벽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끼움 상태로부터 상기 비-결합 상태로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캠 홈으로부터 상기 캠 핀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며,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2개의 암 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2개의 암 단자 각각은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하는 통부를 가지고,
    상기 2개의 암단자의 상기 통부는 단일 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수 단자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레버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 단자는 상기 2개의 암 단자들 모두에 삽입되어 상기 2개의 암 단자들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 단자는 상기 2개의 암 단자 중 하나의 통부에 삽입되어 암 단자 중 하나와 접촉하고, 상기 암 단자 중 다른 하나의 통부에 삽입되지 않아 상기 암 단자의 다른 하나와는 단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러그.
  2. 삭제
  3. 삭제
KR1020180068572A 2017-06-20 2018-06-15 서비스 플러그 KR102008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0331A JP6580629B2 (ja) 2017-06-20 2017-06-20 サービスプラグ
JPJP-P-2017-120331 2017-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155A KR20180138155A (ko) 2018-12-28
KR102008619B1 true KR102008619B1 (ko) 2019-08-07

Family

ID=6445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572A KR102008619B1 (ko) 2017-06-20 2018-06-15 서비스 플러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65990B2 (ko)
JP (1) JP6580629B2 (ko)
KR (1) KR102008619B1 (ko)
DE (1) DE10201820985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3916A (ja) * 2017-06-20 2019-01-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サービスプラグ
WO2020026570A1 (ja) 2018-07-31 2020-02-06 株式会社親広産業 グルコース消費促進剤および解糖系促進剤
EP3819998A1 (en) 2019-11-11 2021-05-12 Connecteurs Electriques Deutsch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22079037A (ja) * 2020-11-16 2022-05-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用電気機器
CN116417860B (zh) * 2023-06-12 2023-08-18 深圳市天麟精密模具有限公司 电性连接插头及电性连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6754A (ja) * 2014-06-20 2016-0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6006757A (ja) 2014-06-20 2016-01-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4532B2 (ja) 1992-04-06 1997-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の誤作動防止機構
JP2595880Y2 (ja) 1993-11-05 1999-06-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EP0727846B1 (en) 1993-11-05 2001-01-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 type connector
JPH08313582A (ja) * 1995-05-17 1996-11-29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検査器
JP2000315549A (ja) * 1999-04-28 2000-11-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2319333A (ja) 2001-04-20 2002-10-31 Yazaki Corp 回路遮断装置
JP3601474B2 (ja) * 2001-05-29 2004-12-1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EP1418649B1 (en) * 2002-11-11 2007-08-2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JP5707166B2 (ja) 2010-11-09 2015-04-2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5753465B2 (ja) 2011-09-12 2015-07-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係合体
JP5858745B2 (ja) * 2011-11-21 2016-02-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5761035B2 (ja) 2012-01-10 2015-08-1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5060628A (ja) * 2013-09-17 2015-03-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24992B2 (ja) * 2013-12-09 2016-11-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6754A (ja) * 2014-06-20 2016-0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6006757A (ja) 2014-06-20 2016-01-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09857A1 (de) 2018-12-20
US20180366874A1 (en) 2018-12-20
US10665990B2 (en) 2020-05-26
JP2019003915A (ja) 2019-01-10
JP6580629B2 (ja) 2019-09-25
KR20180138155A (ko) 2018-12-28
DE102018209857B4 (de)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619B1 (ko) 서비스 플러그
JP5872824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US9666973B1 (en) Self-locking connector coupling
EP0895312A2 (en)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JP642419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793684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KR101712223B1 (ko) 단락 바아 작동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JP6492010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を備えた、ばね離間機能を有するアセンブリ
US11409050B2 (en) Plug-in connection
KR20190011271A (ko) 신속 분리될 수 있는 전기 플러그-인 접속부, 고정 가능한 플러그-인 접속부, 및 전기 콘택트 요소와 도전체 사이에 콘택트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JP2022190466A (ja) コネクタ装置
JP656475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940540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US9153908B2 (en) Lever-type connector
JP6135594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CN111525339B (zh) 杆式连接器
JP5503612B2 (ja) 車両用電気回路遮断装置
JP2012104338A (ja) 電源回路遮断装置
US20230155325A1 (en)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ssembly
KR102308811B1 (ko) 서비스 플러그
TWM541106U (zh) 開關裝置之扳動組合改良結構
CN111971858A (zh) 电插头插座装置
KR1022361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6308886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US20240097392A1 (en) Secured high power connector assembly and process of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