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811B1 - 서비스 플러그 - Google Patents

서비스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811B1
KR102308811B1 KR1020197033999A KR20197033999A KR102308811B1 KR 102308811 B1 KR102308811 B1 KR 102308811B1 KR 1020197033999 A KR1020197033999 A KR 1020197033999A KR 20197033999 A KR20197033999 A KR 20197033999A KR 102308811 B1 KR102308811 B1 KR 102308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lever
cam groove
operating posi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323A (ko
Inventor
고 야마다
오사무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제1 커넥터 하우징,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레버(30)가 설치되는 서비스 플러그가 제공되며, 상기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30)는 캠 홈(34)의 종단부(E)에 정지벽(38)을 가지며, 상기 정지벽(38)은 상기 캠 홈(34) 내의 캠 핀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결합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 전이되는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서비스 플러그
본 발명은 서비스 플러그(service plug)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에 대한 장착측 상의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2 커넥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삽입/제거 방향으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힘을 가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러그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서비스 플러그는 차량 배터리와 부하(load) 사이에 제공되며, 로드측 상에서 일부 작업이 수행될 때, 조작자의 안전을 보장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레버와 함께 제2 커넥터 하우징을 제거하기 위해 레버 동작이 수행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19292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서비스 플러그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레버를 포함하는 파지 부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플러그에는 상기 파지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서비스 플러그에서는, 상기 파지 부분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 부분(제거측 구성 요소)의 떨어짐은 사용 시의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내부가 노출된 제1 커넥터 하우징 내로 이물질의 침입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제거를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또한 제거측 구성요소의 떨어짐으로 인한 사용 시의 고장 및 제1 커넥터 하우징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 서비스 플러그에 의해 달성된다.
(1) 서비스 플러그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자를 수용하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단자와 대면하고 또한 상기 제1 단자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자를 수용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 상에 제공된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상에 제공된 캠 핀(cam pin)이 결합되는 캠 홈(cam groove)에 제공되며, 또한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 상태로 되게 하고, 상기 캠 핀과 캠 홈의 협동에 의해 레버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하게 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는 캠 홈의 종단부에 정지 벽을 가지며, 이러한 정지벽은 상기 캠 홈 내의 캠 핀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결합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 전이되게 하는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1)을 갖는 서비스 플러그에 따라, 캠 홈의 종단부에는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캠 핀이 캠 홈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벽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조작자가 제2 커넥터 하우징측을 제거하려 해도 상기 캠 핀은 정지 벽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쉽게 제거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 하우징측에서의 제거가 기본적으로 불가능하며, 제거를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성이 기본적으로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제거측 구성요소의 떨어짐 또는 제1 커넥터 하우징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거를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제거측 구성 요소의 떨어짐으로 인한 사용 시의 고장 및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다.
(2) 상기 구성(1)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에 있어서,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면에 대해 평행 방향으로 변위된다.
상기 구성(2)을 갖는 서비스 플러그에 따라,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제1 커넥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면에 대해 평행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장착면에 직교하여 변위되는 경우에 비해, 서비스 플러그 상에 요구되는 공간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3) 상기 구성(1) 또는 구성(2)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에 있어서, 레버가 상기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에 위치된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는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반-결합(half-engagement) 상태로 되게 한다.
상기 구성(3)을 갖는 서비스 플러그에 따라, 레버가 제3 작동 위치에 도달 하였을 때,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반-결합 상태에 있다. 상기 반-결합 상태에서, 제1 단자와 제2 단자는 서로 접촉하지만, 그러나 전류 경로 상에 제공된 스위치 유닛이 꺼지는 반면에,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제공된 인터록 커넥터의 2개의 신호 단자가 비-도통되어,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까지의 전류 경로가 차단될 수 있다.
(4) 상기 구성(3)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은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는 해제될 수 없는 잠금(lock) 기구를 갖는다.
상기 구성(4)을 갖는 서비스 플러그에 따라, 조작자가 레버를 제3 작동 위치로부터 제1 작동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더라도, 잠금 기구의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실수로 레버가 제1 작동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게 분리 상태로 되게 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거를 위한 공간을 요구하지 않고 또한 제거측 구성요소의 떨어짐으로 인한 사용 시의 고장 및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 플러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제1 커넥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러그의 레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레버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레버가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레버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레버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레버가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재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의 일탈 없이 적절히 수정될 수 있다.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에서는, 일부 구성이 나타나지 않거나 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그러나 이하에 기재된 내용에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된 기술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알려진 또는 잘 알려진 기술이 적절히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는 차량 배터리와 부하 사이에 제공되고, 또한 제1 커넥터 하우징(10),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레버(30)를 포함한다.
기재의 편의상, 도 1에서 화살표(X)는 서비스 플러그(1)의 장착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Y)는 서비스 플러그(1)의 분리 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Z)는 서비스 플러그(1)의 상향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XY)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삽입 및 제거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차량 등의 장착면(MS)에 장착되어 고정측으로서 기능하는 커넥터이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정합(mating) 커넥터이다. 레버(30)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피팅력 (fitting force) 또는 분리력을 가함으로써, 제2 커넥터 하우징(20) 상에서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레버(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장착면(MS)에 대해 평행 방향[삽입/제거 방향(XY)]으로 이동 가능하다. 각각의 부분이 이하에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본체 부분(10a), 및 피팅 방향(Y) 측 상에서 상기 본체 부분(10a)에 장착되는 후방 커버(10b)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면(MS)에 장착하기 위한 2개의 장착 포트(11)(사시도에는 오직 하나만 도시되었다)가 상기 본체 부분(10a)에 형성된다. 상기 장착 포트(11)에는 칼라(12)가 장착되어, 볼트 체결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등이 수행된다.
상기 본체 부분(10a)은 그 양 측면 상에 캠 핀(13)을 포함한다. 상기 캠 핀(13)은 레버의 후술되는 캠 홈(도면 번호 34 참조) 내에 결합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소정 방향의 실시예인 삽입/제거 방향(XY)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부분(10a) 및 후방 커버(10b)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암형 단자[제1 단자(14)]를 수용한다.
상기 암형 단자(14)는 도전성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 및 굽힘으로써 형성되며, 또한 이하에 기재되는 수형 단자(도면 부호 22 참조)가 삽입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체 부분(10a)은 그 분리 방향(Y) 측 상에서 상기 암형 단자(14)의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개구(14a)를 갖는다. 이하에 기재되는 수형 단자는 상기 개구(14a)를 통해 암형 단자(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암형 단자(14)는 수형 단자와의 접촉부로서 동작하는 탄성 부재(14b)를 그 내부에 포함한다(이하에 기재되는 도 8 내지 10 참조).
상기 본체 부분(10a)의 상부 부분 상에는 후드 부분(15)이 형성된다. 인터록 커넥터(16)는 피팅 방향(X) 측으로부터 후드(1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후드 부분(15)은, 이하에 기재되는 인터록 단자(도면 부호 24 참조)가 분리 방향(Y) 측의 표면에 삽입되는, 삽입 개구(15a)를 갖는다. 또한, 2개의 신호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인터록 커넥터(16)에 제공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터록 커넥터(16)의 상기 2개의 신호 단자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경로 상에 제공된 스위치 유닛에 접속된다. 상기 2개의 신호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통되었을 때, 상기 스위치 유닛이 켜져 전류 경로를 도통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2개의 신호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비-도통되었을 때, 스위치 유닛이 꺼져 전류 경로를 차단한다.
도 1 및 3에 도시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본체 부분(20a), 및 분리 방향(Y) 측으로부터 상기 본체 부분(20a)에 장착되는 후방 커버(20b)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a)는 그 양 측면 상에 회전축(21)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1)은 레버(30)의 이하에 기재되는 회전 베어링에 결합되어(도면 부호 33 참조), 회전 가능하게 작동되는 레버(30)의 회전 중심으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장착 방향(X) 측 상에 개방된 피팅 챔버(OP)를 포함한다. 수형 단자(제2 단자)(22)가 상기 피팅 챔버(OP)에 고정 장착되어 수용된다. 이런 고정 상태(이하에 기재될 결합 상태, 분리 상태, 및 반-결합 상태)에서, 상기 수형 단자(22)는 동일한 방향으로[삽입/제거 방향(X-Y)]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암형 단자(14)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피팅 챔버(OP)는 분리 방향(Y) 측 상의 후방 커버(20b)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수형 단자(22)는 도전성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 및 굽힘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암형 단자(1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수형 단자(22)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이동에 따라 삽입/제거 방향(XY)으로 이동하여, 암형 단자(14)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암형 단자(14)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그 상부 부분 상에 후드 부분(23)을 포함한다. 상기 후드 부분(23)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드 부분(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그 내부에 인터록 단자(24)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록 단자(24)는 도전성 금속 재료로 제조되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이동에 따라 삽입/제거 방향(XY)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드(15)의 인터록 커넥터(16)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인터록 커넥터(16)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인터록 단자(24)가 인터록 커넥터(16) 내에 삽입되었을 때, 인터록 커넥터(16)의 2개의 신호 단자는 상기 인터록 단자(24)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까지의 전류 경로 상에 제공된 스위치 유닛이 켜져, 전류 경로를 도통시킨다.
상기 레버(30)는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 및 상기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32)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에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회전축(21)이 결합되는 회전 베어링(33)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에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형성된 캠 핀(13)이 결합되는 캠 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캠 핀(13)이 캠 홈(34) 내에 결합되었을 때는, 레버(30)가 회전축(21)에 대해 회전하는 반면에, 상기 캠 핀(13)이 캠 홈(34)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 플레이트(31)에 형성된 캠 홈(34)은 회전 베어링(33)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곡선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곡선형 구조로 인해, 레버(30)가 회전되었을 때는, 상기 캠 핀(13)이 회전축(21)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즉, 캠 핀(13)과 캠 홈(34)의 협동에 의해, 피팅력 또는 분리력이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가해진다.
특히,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도 5 참조), 즉 레버(30)가 상기 장착면(MS)과 직교할 때, 상기 캠 핀(13)은 캠 홈(34)의 종단부(E)[회전축(21)으로부터 가장 먼 캠 홈(34)의 부분]에 위치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분리 상태에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도 6 참조)에 있을 때, 즉 레버(30)가 장착면(MS)에 평행할 때, 상기 캠 핀(13)은 캠 홈(34)의 타단(S)[회전축(21)에 가장 가까운 캠 홈(34)의 부분]에 위치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결합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었을 때, 피팅력 또는 분리력이 제2 커넥터 하우징(20) 상에 작용한다. 그 후,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결합 상태 또는 분리 상태에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30)는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의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잠금 기구는 레버(3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제공되어, 상기 레버(3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위치를 제2 작동 위치 및 제3 작동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런 점이 이하에 기재될 것이다.
도 1,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잠금 부재(35)가, 상기 한 쌍의 아암 플레이트(31)의 각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분리 방향(Y) 측의 양 측면 상에 잠금 클로(claw)(26)를 포함한다.
레버(30)가 도 6에 도시된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즉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결합 상태에 있을 때, 잠금 부재(35) 및 잠금 클로(26)는 상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잠금 기구를 형성한다.
상기 잠금 부재(35)와 잠금 클로(26) 사이의 결합은, 조작자에 의해 레버(30)를 회전시킴으로써 해제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된다. 즉, 조작자는 레버(30)를 제2 작동 위치로부터 제1 작동 위치(제3 작동 위치)를 향해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30)는 연결 부분(32)의 내측면 상에 탄성 부재(37)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37)는 실질적으로 V형 횡단면을 갖는 플레이트 부재이며(이하에 기재되는 도 8 내지 10 참조), 또한 상기 연결 부분(32)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잠금 클로(26)가 제공되는 위치에 대해 분리 방향(Y) 측 상에서 미세하게 상부 부분에 잠금 클로(28)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클로(28)는 분리 방향(Y) 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탄성 부재(37)에 있어서, 결합 부재(37a)(이하에 기재되는 도 8 내지 도 10 참조)는 V 형상의 정점 부분의 근처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 클로(28)에 포획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레버(30)가 도 7에 도시된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즉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반-결합 상태일 때, 상기 탄성 부재(37) 및 잠금 클로(28)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잠금 기구를 형성한다.
탄성 부재(37)와 잠금 클로(28) 사이의 결합은 조작자에 의해 레버(30)를 회전시킴으로써 해제될 수는 없다. 즉, 조작자가 레버(30)를 제3 작동 위치로부터 제1 작동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더라도, 결합이 해제될 수는 없다. 조작자가 레버(30)를 제1 작동 위치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 조작자는 결합 부재(37a)의 위치가 상기 연결 부분(32)을 향해 변위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37)를 굽히는 조작을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37)와 잠금 클로(28)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조작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버(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레버(30)를 제1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30)는 정지 벽(38)을 포함한다(도 3 참조). 상기 정지 벽(38)은 캠 홈(34)의 종단부(E)에 제공된 벽 부분이며, 캠 홈(34) 내의 캠 핀(13)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결합 상태에서 분리 상태로 전이하는, 방향[즉, 분리 방향(Y)]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레버(30)의 제거를 가정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캠 핀 입구(얇은 부분)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레버에서 캠 홈의 종단부에 형성되지만, 그러나 이러한 입구는 본 실시예에서는 형성되지 않으며, 기본적으로는 캠 핀(13)이 캠 홈(34)으로부터 나오지 않는다. 이에 따라, 레버(30)가 캠 핀(13)과 회전축(21) 모두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레버(30)를 통해 통합되어, 제거가 가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레버(30)가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다음에,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분리 상태로부터 결합 상태로의 작동이 기재될 것이다. 먼저, 조작자는 레버(30)의 단부(회전 중심측의 단부)를 가압하여 연결 부분(32)의 반대측으로 펼친다. 그 후, 레버(30)의 형상 복귀에 따라, 상기 회전축(21)이 회전 베어링(33)과 결합되고, 캠 핀(13)이 캠 홈(34) 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캠 핀(13)은 캠 홈(34)의 종단부(E)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도 5에 도시된 분리 상태에 있다.
이어서, 조작자는 레버(30)를 제2 작동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캠 핀(13)은 캠 홈(34)의 타단(S)을 향해 이동한다. 특히, 캠 홈(34)과 회전 베어링(33) 사이의 거리가 상기 타단(S)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피팅력이 피팅 방향(X)으로 제2 커넥터 하우징(20) 상에 동작하며,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레버(30)의 회전량에 따라 제1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결합된다.
레버(30)가 제3 작동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탄성 부재(37)의 결합 부재(37a)와 잠금 클로(28)가 결합된다(도 10 참조). 이런 상태에서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반-결합 상태에 있고, 수형 단자(22)는 아암 단자(14) 내에 삽입되어 접촉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반-결합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드 부분(23)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드 부분(15)에는 결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후드 부분(23)의 인터록 단자(24)는 후드 부분(15)의 인터록 커넥터(16) 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스위치 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꺼진다. 즉,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경로가 차단된다.
그 후, 조작자가 레버(30)를 제2 작동 위치를 향해 더욱 회전시키면,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도달하고, 잠금 부재(35)와 잠금 클로(26)가 결합된다. 이런 상태에서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결합 상태에 있고, 수형 단자(22)가 아암 단자(14) 내에 삽입되어 접촉된다(도 9 참조). 또한, 결합 상태에서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드 부분(23)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드 부분(15)에 결합된다. 따라서 후드(23)의 인터록 단자(24)가 후드(15)의 인터록 커넥터(16) 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스위치 유닛(도시되지 않음)이 켜진다. 즉,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경로가 도통된다.
다음에,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결합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의 작동이 기재될 것이다. 먼저,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있고,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결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런 상태로부터, 조작자는 레버(30)를 제1 작동 위치(제3 작동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따라서 캠 핀(13)은 캠 홈(34)에서 종단부(E)를 향해 이동한다. 특히, 캠 홈(34)과 회전 베어링(33) 사이의 거리가 종단부(E)를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분리 방향(Y)으로의 분리력이 제2 커넥터 하우징(20) 상에 동작하고,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레버(30)의 회전량에 따라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분리된다. 회전 작동 중에는, 잠금 부재(35)와 잠금 클로(26)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 후, 레버(30)가 제3 작동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는, 탄성 부재(37)의 결합 부재(37a)가 잠금 클로(28)와 결합된다(도 10 참조). 이런 상태에서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반-결합 상태에 있고, 수형 단자(22)가 아암 단자(14) 내에 삽입되어 접촉하지만, 그러나 상기 인터록 단자(24)는 인터록 커넥터(16) 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 스위치 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꺼진다. 즉,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까지의 전류 경로가 차단된다.
여기서, 조작자가 레버(30)를 제1 작동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더라도, 탄성 부재(37)의 결합 부재(37a)와 잠금 클로(28)가 결합되므로,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결합 부재(37a)의 위치가 연결 부분(32)을 향해 변위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37)를 굽히는 동작을 직접 수행한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37)의 결합 부재(37a)와 잠금 클로(28)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 후, 조작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레버(30)를 제1 작동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분리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단자(22)는 암형 단자(14) 내로 삽입되지 않고 접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차량 배터리로부터 부하까지의 전류 경로가 차단된다. 또한, 상기 인터록 단자(24)가 인터록 커넥터(16) 내에 삽입되지 않아, 스위치 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꺼진다.
여기서, 조작자는 레버(30) 또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잡고,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분리 방향(Y)으로 이동시키려고 시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30)는 캠 핀(13)이 분리 방향(Y)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캠 홈(34)의 종단부(E)에 정지 벽(38)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캠 핀(13)은 정지 벽(38)과 접촉하여, 분리 방향(Y)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레버(30)는 기본적으로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으며, 제거를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레버(30)와 같은 제거측 구성요소의 떨어짐으로 인한 사용 시의 고장, 및 제1 커넥터 하우징(10)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된다.
이런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에 따라,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캠 홈(34)의 종단부(E)에는 상기 캠 핀(13)이 캠 홈(34)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벽(38)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조작자가 제2 커넥터 하우징(20) 측을 제거하려고 시도하더라도, 상기 캠 핀(13)은 상기 정지 벽(38)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 측에서의 제거는 기본적으로 불가능하고, 제거를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기본적으로 상기 구성이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제거측 구성요소의 떨어짐 또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내로 이물질의 침입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거를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제거측 구성요소의 떨어짐으로 인한 사용 시의 고장 및 제1 커넥터 하우징(10)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장착되는 장착면(MS)에 대해, 평행 방향[삽입/제거 방향(X-Y)]으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장착면(MS)에 대해 직교하여 변위되는 경우에 비해, 서비스 플러그(1)상에 요구되는 공간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 기초하여 기재되었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의 일탈 없이 적절히 수정될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의 기술과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른 기술이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는 장착면(MS)에 대해 평행 방향[삽입 방향(XY)]으로 이동하지만,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그 내용이 여기에 참조 인용된, 2017년 6월 20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7-120332에 기초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의 실시예의 특징이 아래에 간략히 각각 요약되어 나열된다.
[1] 서비스 플러그(1)는 이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자[암형 단자(14)]를 수용하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제1 단자[암형 단자(14)]와 대면하고 또한 상기 제1 단자[암형 단자(14)]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자[수형 단자(22)]를 수용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 상에 제공된 회전축(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상에 제공된 캠 핀(13)이 결합되는 캠 홈(34)이 제공되며, 또한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분리 상태로 되게 하고 상기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캠 핀(13)과 캠 홈(34)캠의 협력에 의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결합 상태로 되게 하는 레버.
상기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레버(30)는 캠 홈(34)의 종단부(E)에 정지벽(38)을 가지며, 상기 정지벽(38)은 캠 홈(34) 내의 캠 핀(13)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결합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 전이되는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2] 상기 [1]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에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장착되는 장착면(MS)에 대해 평행 방향으로 변위된다.
[3] 상기 [1] 또는 [2]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에서,
상기 레버(30)는,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와 제1 작동 위치 사이에 위치된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반-결합 상태로 되게 한다.
[4] 상기 [3]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에서,
상기 레버(3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레버(3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는 해제될 수 없는 잠금 기구[탄성 부재(37) 및 잠금 클로(28)]를 갖는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서비스 플러그에 따라, 제거를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제거측 구성요소의 떨어짐으로 인한 사용 시의 고장 또는 제1 커넥터 하우징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으로 인한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1: 서비스 플러그 10: 제1 커넥터 하우징
13: 캠 핀 14: 암형 단자(제1 단자)
20: 제2 커넥터 하우징 21: 회전축
22: 수형 단자(제2 단자) 30: 레버
34: 캠 홈 38: 정지 벽
E: 종단부 MS: 장착면

Claims (4)

  1. 서비스 플러그로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자를 수용하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단자와 대면하고 또한 상기 제1 단자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자를 수용하는 제2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 상에 제공된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상에 제공된 캠 핀이 결합되는 캠 홈이 제공되며, 또한 레버가 상기 캠 핀이 상기 캠 홈의 종단부에 위치하는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 상태로 되게 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캠 핀이 상기 캠 홈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캠 핀과 상기 캠 홈의 협력에 의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결합 상태로 되게 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는 상기 캠 홈의 상기 종단부에 정지벽을 가지며, 상기 정지벽은 상기 캠 홈 내의 상기 캠 핀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결합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 전이되는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캠 핀이 정지 벽과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캠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캠 홈의 상기 종단부는 상기 정지벽에 의하여 닫혀져서 얇은 부분을 가지는 캠 핀 입구가 상기 캠 홈의 상기 종단부에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면에 대해 평행 방향으로 변위되는, 서비스 플러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작동 위치와 상기 제2 작동 위치 사이에 위치된 제3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반-결합 상태로 되게 하는, 서비스 플러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는 해제될 수 없는 잠금 기구를 갖는, 서비스 플러그.
KR1020197033999A 2017-06-20 2018-05-30 서비스 플러그 KR102308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0332 2017-06-20
JP2017120332A JP2019003916A (ja) 2017-06-20 2017-06-20 サービスプラグ
PCT/JP2018/020868 WO2018235555A1 (ja) 2017-06-20 2018-05-30 サービスプラ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323A KR20200004323A (ko) 2020-01-13
KR102308811B1 true KR102308811B1 (ko) 2021-10-05

Family

ID=6473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999A KR102308811B1 (ko) 2017-06-20 2018-05-30 서비스 플러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86665B2 (ko)
EP (1) EP3644454B1 (ko)
JP (1) JP2019003916A (ko)
KR (1) KR102308811B1 (ko)
WO (1) WO201823555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894A (ja) 2001-01-23 2002-08-02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7035593A (ja) * 2005-07-29 2007-02-08 Yazaki Corp 回転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301926A (ja) * 2008-06-16 2009-12-24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60379778A1 (en) 2014-01-24 2016-12-29 Yazaki Corporation Service Plu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4532B2 (ja) * 1992-04-06 1997-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の誤作動防止機構
DE69308993T2 (de) * 1992-11-27 1997-11-06 Sumitomo Wiring Systems Handhebelbetätigter Verbinder
JP2595880Y2 (ja) * 1993-11-05 1999-06-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6217354B1 (en) * 2000-03-20 2001-04-17 Molek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JP2006120535A (ja) * 2004-10-22 2006-05-11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0944009B1 (ko) * 2007-08-31 2010-02-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커넥터 및 레버타입커넥터의 결합방법
JP5650971B2 (ja) * 2010-09-30 2015-0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707166B2 (ja) * 2010-11-09 2015-04-2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5728211B2 (ja) * 2010-11-29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72824B2 (ja) * 2011-09-12 201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5753465B2 (ja) * 2011-09-12 2015-07-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係合体
JP5913874B2 (ja) * 2011-09-12 2016-04-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5858745B2 (ja) * 2011-11-21 2016-02-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6181329A (ja) * 2015-03-23 2016-10-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7120332A (ja) 2015-12-28 2017-07-06 AvanStrate株式会社 液晶用ガラス基板の洗浄液、及び、液晶用ガラス基板の洗浄方法
JP2018195441A (ja) * 2017-05-17 2018-12-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6580629B2 (ja) * 2017-06-20 2019-09-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サービスプラグ
JP6920164B2 (ja) * 2017-10-05 2021-08-1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894A (ja) 2001-01-23 2002-08-02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7035593A (ja) * 2005-07-29 2007-02-08 Yazaki Corp 回転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301926A (ja) * 2008-06-16 2009-12-24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60379778A1 (en) 2014-01-24 2016-12-29 Yazaki Corporation Service 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03916A (ja) 2019-01-10
EP3644454B1 (en) 2021-06-30
EP3644454A4 (en) 2020-05-20
KR20200004323A (ko) 2020-01-13
US10886665B2 (en) 2021-01-05
WO2018235555A1 (ja) 2018-12-27
US20200083641A1 (en) 2020-03-12
EP3644454A1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8045B2 (en) Power supply circuit breaker
US8986024B2 (en) Power supply circuit disconnection device
JP6580629B2 (ja) サービスプラグ
JP6793684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CN108879218B (zh) 杆式连接器
US7670158B2 (en) Connector engaging structure
EP3872936B1 (en) Connector
KR10150850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308811B1 (ko) 서비스 플러그
JP7028840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WO2012063598A1 (ja) 電源回路遮断装置
KR20047958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11525339B (zh) 杆式连接器
JP2023156650A (ja) サービスプラグ
KR10158586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9188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583343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H0575974U (ja) 離脱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2017016922A (ja) 回路遮断装置
KR20140087421A (ko) 레버타입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