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889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889B1
KR102191889B1 KR1020130118301A KR20130118301A KR102191889B1 KR 102191889 B1 KR102191889 B1 KR 102191889B1 KR 1020130118301 A KR1020130118301 A KR 1020130118301A KR 20130118301 A KR20130118301 A KR 20130118301A KR 102191889 B1 KR102191889 B1 KR 102191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using
rotation
coupl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917A (ko
Inventor
마재형
이선병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8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66Comprising two pivoting levers
    • H01R13/62972Wherein the pivoting levers are two leve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회로 접촉부 및 제1전원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 및 분리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결합되면 상기 제1회로 접촉부 및 제1전원 접촉부와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회로 접촉부 및 제2전원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상기 제2하우징에 제공하는 제1레버; 및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1레버가 회동하면,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가 서로 이격된 후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축부가 이격되고, 상기 제2레버에 의하여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면,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는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는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범위까지만 상기 제1레버가 회동하고, 상기 제2레버에 의한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의 제한이 해제되면,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는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는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가 이격되는 범위까지 상기 제1레버가 회동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E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근래 출시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는, 고전압용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전압 커넥터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의 아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전압 인터락 기능이 구비된다. 즉,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리 과정에서는 인터락 회로가 분리된 후 전원이 차단되고,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과정에서는 인터락 회로가 연결되기 전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의 인터락 기능의 구현과 실제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및 분리 사이의 시차가 짧아서 실질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의 아크의 발생이 효율적으로 방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아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회로 접촉부 및 제1전원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 및 분리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결합되면 상기 제1회로 접촉부 및 제1전원 접촉부와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회로 접촉부 및 제2전원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상기 제2하우징에 제공하는 제1레버; 및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1레버가 회동하면,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가 서로 이격된 후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축부가 이격되고, 상기 제2레버에 의하여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면,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는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는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범위까지만 상기 제1레버가 회동하고, 상기 제2레버에 의한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의 제한이 해제되면,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는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는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가 이격되는 범위까지 상기 제1레버가 회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회동이 선택적으로 제한되고, 상기 제2레버의 회동이 제한되면 상기 제2레버에 의하여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고, 상기 제2레버의 회동이 허용되면 상기 제2레버에 의하여 상기 제1레버의 회동 각도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체결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레버에는, 상기 체결 돌기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 후크가 상기 체결 돌기에 체결되면,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레버의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체결 후크가 상기 체결 돌기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레버의 회동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레버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2레버에는 스토핑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레버의 회동이 제한되면, 상기 스토핑 리브가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위치까지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연동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레버에는, 상기 연동 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슬롯이 구비되며, 상기 제1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회동하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상기 연동 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제1회로 접촉부 및 제1전원 접촉부가 구비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 및 분리되고, 상기 제1회로 접촉부 및 제1전원 접촉부와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회로 접촉부 및 제2전원 접촉부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상기 제2하우징에 제공하는 제1레버; 및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가 모두 접촉되는 록킹 위치,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는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는 접촉되는 제1해제 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가 모두 이격되는 제2해제 위치를 연결하는 궤적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를 록킹 위치 및 제1해제 위치 사이로 제한하는 회동 제한 위치, 및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의 제한을 해제하는 회동 허용 위치를 연결하는 궤적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2레버는, 회동 제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회동이 제한되고, 회동 허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회동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를 연결하는 제1핸들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는 한쌍의 회동축이 각각 관통하는 축 관통공;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는 한쌍의 연동 돌기가 관통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슬롯; 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그 일단이 상기 제1결합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결합부의 외부로 연통되며, 상기 연동 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타단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의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제2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연결하는 제2핸들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는 한쌍의 회동축이 각각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핸들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는 체결 돌기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레버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2레버에는 스토핑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레버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스토핑 리브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2레버가 회동 제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레버가 제1해제 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만 상기 스토핑 리브가 상기 스토퍼에 걸리고, 상기 제2레버가 회동 허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레버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스토핑 리브가 상기 스토퍼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는, 제1커넥터; 인터락 회로의 연결 및 전원의 인가를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고, 인터락 회로 및 전원의 차단을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구동력을 상기 제2커넥터에 제공하는 제1레버; 및 상기 제1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에서는 인터락 회로의 연결 전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가 분리되는 과정에서는 인터락 회로의 차단 후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2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레버에 의한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의 제한 및 제한의 해제는, 기설정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레버의 순차적인 회동에 의하여 인터락 회로의 연결 및 차단과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의 아크의 발생이 효율적으로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레버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레버를 보인 사시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커넥터가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레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레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커넥터(100), 제2커넥터(200), 제1레버(300) 및 제2레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00)는, 예를 들면, 자동차 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200)는, 상기 제1커넥터(100)에 결합 또는 상기 제1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제1레버(300)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0)(200)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제2커넥터(200)에 외력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레버(400)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0)(200)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인터락 회로의 연결 및 차단과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이 소정의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외관을 제1하우징(110)이 정의한다. 상기 제1하우징(110)은, 예를 들면, 저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하우징(1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하우징(110)에는 제1회로 접촉부(120) 및 제1전원 접촉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회로 접촉부(120)는 인터락 회로의 연결을 위한 것이고, 제1전원 접촉부(130)는 전원의 인가를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10)에는 한쌍의 회동축(14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회동축(140)은, 상기 제1 및 제2레버(300)(400)의 회동 중심이 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축(140)이 상기 제1하우징(110)의 테두리면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10)에는, 체결 돌기(15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돌기(150)는, 상기 제2레버(4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 돌기(150)는, 상기 회동축(140)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테두리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커넥터(200)의 외관을 제2하우징(210)이 정의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하우징(210)은, 상기 제1하우징(110)과 형합되도록 일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제2회로 접촉부(220) 및 제2전원 접촉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로 접촉부(220)는 인터락 회로의 연결을 위한 것이고, 제2전원 접촉부(230)는 전원의 인가를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하우징(210)이 상기 제1하우징(110)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면, 즉,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0)(200)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서, 상기 제2회로 접촉부(220) 및 제2전원 접촉부(230)는, 상기 제1회로 접촉부(120) 및 제1전원 접촉부(130)와 각각 접촉 또는 상기 제1회로 접촉부(120) 및 제1전원 접촉부(130)로부터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가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120)(2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먼저 접촉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서로 분리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120)(220)가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먼저 이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는, 전원이 인가된 후 인터락 회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서로 분리되는 과정에서는, 인터락 회로가 차단된 후 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210)에는 한쌍의 연동 돌기(240)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 돌기(240)는, 상기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상기 제1레버(300)가 회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제2하우징(210)이 상기 제1하우징(110)에 결합 또는 상기 제1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연동 돌기(240)는, 상기 제2하우징(210)의 테두리면 양측에서 상기 회동축(140)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레버(300)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레버(300)는, 상기 제1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레버(300)는, 상기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회동하여, 록킹 위치(도 1 및 도 7참조), 제1해제 위치(도 8참조) 및 제2해제 위치(도 11참조)를 연결하는 회동 궤적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된다. 여기서 록킹 위치란,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120)(220) 및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가 모두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제1레버(300)의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1해제 위치란,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120)(220)는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는 접촉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레버(300)의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제2해제 위치란,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120)(220) 및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가 모두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제1레버(300)의 위치를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레버(300)가 록킹 위치, 제1해제 위치 및 제2해제 위치의 순서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레버(30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제공되고, 상기 제1레버(300)가 그 반대의 순서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레버(30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제공된다.
상기 제1레버(300)는, 한쌍의 제1결합부(310) 및 제1핸들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31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1핸들부(320)는, 상기 제1레버(300)를 상기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회동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핸들부(320)의 양단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310)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레버(300)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310)에는 제1축 결합공(3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축 결합공(311)은, 상기 회동축(14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곳이다. 상기 제1축 결합공(311)은, 상기 제1결합부(310)의 일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310)에는 스토퍼(313)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313)는, 상기 제2레버(400)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313)가, 상기 제1결합부(310)의 테두리 일측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310)에는 가이드 슬롯(31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롯(315)은, 상기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상기 제1레버(300)가 회동하면, 상기 연동 돌기(240)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곳이다. 상기 가이드 슬롯(315)은, 상기 제1결합부(310)의 일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일단은 상기 제1결합부(3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타단은 상기 제1결합부(310)의 일측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연동 돌기(240)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타단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내외부로 입출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상기 제1레버(300)가 록킹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연동 돌기(240)가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일단 또는 이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300)가 제1해제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연동 돌기(240)가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양단 사이에 해당하는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제1레버(300)가 상기 제2해제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연동 돌기(240)는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타단 또는 이에 인접되게 위치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레버(400)는,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레버(400)도, 상기 제1레버(300)와 동일하게, 상기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레버(400)는 회동 제한 위치(도 1, 도 7 및 도 8참조) 및 회동 허용 위치(도 10 및 도 12참조)를 연결하는 회동 궤적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된다. 여기서 회동 제한 위치란,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 범위가 제한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2레버(400)의 위치를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레버(400)는, 회동 제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110)에 대한 회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회동 허용 위치란,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 범위의 제한되지 않은 상태, 즉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이 허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제2레버(400)의 위치를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회동 허용 위치는, 회동 제한 위치를 제외한 상기 제2레버(400)의 회동 궤적 상의 모든 위치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레버(400)는, 한쌍의 제2결합부(410) 및 제2핸들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410)는, 상기 제1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2핸들부(420)는, 상기 제2레버(400)를 상기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회동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2결합부(410)에 그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2결합부(410)에는 제2축 결합공(4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축 결합공(411)은, 상기 제1축 결합공(311)을 관통한 상기 회동축(140)의 선단이 결합되는 곳이다. 상기 제2축 결합공(411)은, 상기 제2결합부(410)의 일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410)에는 스토핑 리브(413)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핑 리브(413)는, 상기 제2결합부(410)의 테두리면 일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핑 리브(413)는, 상기 제1레버(300), 실질적으로 상기 스토퍼(313)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2레버(400)가 회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레버(400)가 회동 제한 위치에 위치되어 그 회동이 제한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313) 및 스토핑 리브(413)의 걸림에 의하여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 범위가 록킹 위치 및 제1해제 위치 사이로 제한된다. 그러나 상기 제2레버(400)가 회동 허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313) 및 스토핑 리브(413)가 걸리지 않거나, 양자가 걸리더라도,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2레버(400)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이 허용된다.
또한 상기 제2핸들부(420)에는 체결 후크(421)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후크(421)는, 상기 체결 돌기(150)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 후크(42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후크(421)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탄성 변형시켜서 상기 체결 돌기(150)로부터 탈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 후크(421)는, 상기 제2레버(400)가 회동 제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돌기(150)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110)에 대한 상기 제2레버(400)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커넥터가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300)가 록킹 위치에 위치되고, 제2레버(400)가 회동 제한 위치에 위치되면, 제1 및 제2커넥터(100)(200),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동 돌기(240)가 가이드 슬롯(315)의 일단에 위치되고. 체결 후크(421)가 체결 돌기(150)에 체결된다. 그리고 스토핑 리브(413)는 스토퍼(313)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레버(300)가 록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120)(220) 및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2 참조)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120)(220)를 통한 신호의 전달 및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를 통한 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의 분리를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버(300)를 회동축(140)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실질적으로 작업자는 상기 제1핸들부(3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레버(30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버(300)는, 상기 제2레버(400)에 의하여 회동이 제한되어 제1해제 위치, 즉 상기 스토핑 리브(413)가 상기 스토퍼(313)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회동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버(300)가 제1해제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연동 돌기(240)가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일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315)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 돌기(240)가 상기 가이드 슬롯(315)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상기 제2하우징(210)이 상기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분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10)이 상기 제1하우징(110)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120)(220)가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는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인터락 회로는 차단되지만, 전원이 인가된 상태는 유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레버(400)의 회동 제한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 후크(421)를 상기 체결 돌기(150)로부터 탈거시킨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레버(400)를 상기 회동축(140)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회동 허용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레버(400)가 회동 허용 위치에 위치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레버(400)에 의한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 범위의 제한도 해제, 즉 상기 제1레버(300)의 회동이 허용됨으로써, 상기 제1레버(300)가 제1해제 위치에서 제2해제 위치까지 더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1레버(300)가 제2해제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연동 돌기(240)가 상기 가이드 슬롯(315)을 따라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타단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슬롯(315)을 따라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동 돌기(240)가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이 이동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가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가 이격됨으로써, 전원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연동 돌기(240)가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타단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315)의 외부로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 후크(421)를 상기 체결 돌기(150)로부터 탈거시키기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만큼,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120)(220)의 이격과,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의 이격이 소정의 시간적 간격을 두고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체결 후크(421)가 별도의 도구 등을 사용하여 상기 체결 돌기(150)로부터 탈거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120)(220)의 이격과,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130)(230)의 이격 사이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커넥터 110: 제1하우징
120: 제1회로 접촉부 130: 제1전원 접촉부
140: 회동축 150: 체결 돌기
200: 제2커넥터 210: 제2하우징
220: 제2회로 접촉부 230: 제2전원 접촉부
240: 연동 돌기 300: 제1레버
310: 제1결합부 311: 제1축 관통홀
313: 스토퍼 315: 가이드 슬롯
320: 제1핸들부 400: 제2레버
410: 제2결합부 411: 제2축 관통홀
413: 스토핑 리브 420: 제2핸들부
421: 체결 후크

Claims (15)

  1.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회로 접촉부 및 제1전원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 및 분리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결합되면 상기 제1회로 접촉부 및 제1전원 접촉부와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회로 접촉부 및 제2전원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상기 제2하우징에 제공하는 제1레버; 및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레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회동이 선택적으로 제한되고,
    상기 제2레버의 회동이 제한되면 상기 제2레버에 의하여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고, 상기 제2레버의 회동이 허용되면 상기 제2레버에 의하여 상기 제1레버의 회동 각도 제한이 해제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체결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레버에는, 상기 체결 돌기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 후크가 상기 체결 돌기에 체결되면,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레버의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체결 후크가 상기 체결 돌기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레버의 회동이 허용되고,
    상기 제1레버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2레버에는 스토핑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레버의 회동이 제한되면, 상기 스토핑 리브가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위치까지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되,
    상기 제1레버는, 한 쌍의 제1결합부 및 제1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핸들부의 양단은,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레버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제1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축 결합공은, 회동축이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축 결합공은, 상기 제1결합부의 일부가 상기 제1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는, 한쌍의 제2결합부 및 제2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핸들부는, 상기 제2결합부에 상기 제 2핸들부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제2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축 결합공은, 상기 제1축 결합공을 관통한 상기 회동축의 선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축 결합공은, 상기 제2결합부의 일부가 상기 제2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연동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레버에는, 상기 연동 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슬롯이 구비되며,
    상기 제1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회동하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상기 연동 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회로 접촉부 및 제1전원 접촉부가 구비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 및 분리되고, 상기 제1회로 접촉부 및 제1전원 접촉부와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회로 접촉부 및 제2전원 접촉부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외력을 상기 제2하우징에 제공하는 제1레버; 및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가 모두 접촉되는 록킹 위치,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는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는 접촉되는 제1해제 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회로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전원 접촉부가 모두 이격되는 제2해제 위치를 연결하는 궤적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를 록킹 위치 및 제1해제 위치 사이로 제한하는 회동 제한 위치, 및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의 제한을 해제하는 회동 허용 위치를 연결하는 궤적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되되,
    상기 제1레버는, 한 쌍의 제1결합부 및 제1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핸들부의 양단은,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레버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제1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축 결합공은, 회동축이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축 결합공은, 상기 제1결합부의 일부가 상기 제1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는, 한쌍의 제2결합부 및 제2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핸들부는, 상기 제2결합부에 상기 제 2핸들부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제2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축 결합공은, 상기 제1축 결합공을 관통한 상기 회동축의 선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축 결합공은, 상기 제2결합부의 일부가 상기 제2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는, 회동 제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회동이 제한되고, 회동 허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회동이 허용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는 한쌍의 상기 회동축이 각각 관통하는 축 관통공;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는 한쌍의 연동 돌기가 관통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슬롯; 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은, 그 일단이 상기 제1결합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결합부의 외부로 연통되며,
    상기 연동 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타단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의 내외부로 입출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는 한쌍의 상기 회동축이 각각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핸들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는 체결 돌기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1레버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2레버에는 스토핑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핑 리브는, 상기 제1 및 제2레버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스토퍼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버가 회동 제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레버가 제1해제 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만 상기 스토핑 리브가 상기 스토퍼에 걸리고,
    상기 제2레버가 회동 허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레버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스토핑 리브가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1하우징을 갖는 제1커넥터;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 및 분리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어 인터락 회로의 연결 및 전원의 인가를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고, 인터락 회로 및 전원의 차단을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구동력을 상기 제2커넥터에 제공하는 제1레버; 및
    상기 제1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에서는 인터락 회로의 연결 전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가 분리되는 과정에서는 인터락 회로의 차단 후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2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레버에 의한 상기 제1레버의 회동 범위의 제한 및 제한의 해제는, 기설정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이루어지되,
    상기 제1레버는, 한 쌍의 제1결합부 및 제1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핸들부의 양단은,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레버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제1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축 결합공은, 회동축이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축 결합공은, 상기 제1결합부의 일부가 상기 제1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는, 한쌍의 제2결합부 및 제2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핸들부는, 상기 제2결합부에 상기 제 2핸들부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제2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축 결합공은, 상기 제1축 결합공을 관통한 상기 회동축의 선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축 결합공은, 상기 제2결합부의 일부가 상기 제2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30118301A 2013-10-04 2013-10-04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91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301A KR102191889B1 (ko) 2013-10-04 2013-10-04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301A KR102191889B1 (ko) 2013-10-04 2013-10-04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17A KR20150039917A (ko) 2015-04-14
KR102191889B1 true KR102191889B1 (ko) 2020-12-16

Family

ID=5303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301A KR102191889B1 (ko) 2013-10-04 2013-10-04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8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3423A2 (de) * 2003-07-19 2005-02-10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teil
JP2013062042A (ja) * 2011-09-12 2013-04-04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3423A2 (de) * 2003-07-19 2005-02-10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teil
JP2013062042A (ja) * 2011-09-12 2013-04-04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17A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5581B2 (en) Lever-type connector
JP498843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377425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3297482A (ja) プルタブを用いたロック解除機構及びコネクタ
WO2012046744A1 (ja) 電源回路遮断装置
KR101632557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KR102008619B1 (ko) 서비스 플러그
KR10150850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40073842A (ko) 고전압 배터리의 안전플러그 장치
KR20047958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2002778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89285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KR10219188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9188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2361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8586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6135594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KR10159354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0847932B2 (en) Lever-type connector
KR102308811B1 (ko) 서비스 플러그
JP2008262718A (ja) コネクタ
JP2014049360A (ja) コネクタの嵌合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
JP2010003526A (ja) 仮嵌合構造を有する一対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100995271B1 (ko) 레버타입 커넥터
JP4158912B2 (ja) パネル取付用レバー式嵌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