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531B1 - 플렉소 인쇄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소 인쇄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531B1
KR102008531B1 KR1020130106513A KR20130106513A KR102008531B1 KR 102008531 B1 KR102008531 B1 KR 102008531B1 KR 1020130106513 A KR1020130106513 A KR 1020130106513A KR 20130106513 A KR20130106513 A KR 20130106513A KR 102008531 B1 KR102008531 B1 KR 10200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ographic printing
printing plate
liquid crystal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543A (ko
Inventor
쥰 오치
노부히코 다도코로
쇼지 구보타
야스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나칸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나칸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5/00Rotary letterpress machines
    • B41F5/24Rotary letterpress machines for flex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12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non-metallic other than stone, e.g. printing plates or foil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in an organic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12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non-metallic other than stone, e.g. printing plates or foil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in an organic matrix
    • B41N1/14Lithographic printing f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고정밀화, 고기능화에 대응한 새로운 액정 배향막의 기초가 되는 습윤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하여, 두께가 균일하며 또한 두께의 재현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핀홀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액정 배향막을, 플렉소 인쇄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플렉소 인쇄판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플렉소 인쇄판(16)은, 인쇄면(13)을,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가 0.9 이상이고 3.0 이하이며, 비표면적이 2.8 이상이고 4.9 이하가 되도록 조면화했다.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인쇄면(13)의 기초가 되는 부형면(3) 상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층(8)을 형성하고, 활성 광선을 조사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층을 경화 반응시킨다.

Description

플렉소 인쇄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FLEXOGRAPHIC PRINT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PANEL}
본 발명은, 예컨대 액정 패널용 기판의 액정 배향막 등을, 플렉소 인쇄에 의해 형성하기 위해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플렉소 인쇄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플렉소 인쇄판을 이용한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전극 형성면 상에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법, 특히 플렉소 인쇄법을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액정 배향막은, 가능한 한 두께가 균일하고 핀홀 등이 없고, 게다가 얇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렉소 인쇄에 이용하는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면(인쇄시에 잉크를 유지하는 면)은, 액정 배향막의 기초가 되는 잉크에 대하여 높은 유지성을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즉 인쇄면에는, 액정 배향막의 두께에 따른 소량의 잉크라도 튐이나 끊김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그 전면에 걸쳐 가능한 한 균일한 두께로 유지할 수 있는 양호한 유지성이 요구된다.
인쇄면의 잉크의 유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쇄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여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인쇄면의 잉크에 대한 습윤성을 높이면 된다.
예컨대 특허문헌 1, 2에는, 인쇄면에, 원형 등의 기하학적인 평면 형상을 갖는 미소 돌기를 다수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미소 돌기와 그 사이의 홈부에 의해 인쇄면을 요철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인쇄면의 잉크에 대한 습윤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2에는, 미소 돌기의 면 방향의 크기나 분포, 배열 등을 달리 함으로써, 습윤성을 인쇄면 내의 영역마다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미소 돌기는, 예컨대 포토리소그래프법에 의해 형성된다. 즉, 플렉소 인쇄판의 기초가 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층을 준비하고, 그 위에, 미소 돌기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미세한 패턴(도트 패턴 등)을 형성한 네거티브 또는 포지티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중첩한 상태에서 노광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마스크의 패턴에 대응시켜 선택적으로 경화시킨 후, 현상하여 미경화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거함으로써, 다수의 미소 돌기가 형성된다.
인쇄면에는, 인쇄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된 다수의 미소 돌기의 선단면이, 홈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요철 형상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인쇄면을, 예컨대 에칭이나 샌드 블라스트 등의 임의의 조면화(粗面化)법을 이용하여 조면화하여, 미소 돌기와 홈부와 같이 요철의 경계가 명료하지 않고, 또한 그 형상이나 크기가 미소 돌기와 같이 규칙적이지 않은 랜덤의 요철을 갖는, 예컨대 새틴 피니시면 등의 요철면으로 마무리함과 동시에, 그 표면 거칠기를,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로 나타내어 1∼5 ㎛로 규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304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293379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9-34913호 공보
최근, 액정 패널의 고정밀화, 고기능화가 진행되고, 그에 따라 여러가지 새로운 액정 배향막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들 새로운 액정 배향막의 기초가 되는 잉크의 대다수는, 종래의 것에 비해, 액정 패널용 기판의 기초가 되는 유리 기판 등에 대한 습윤성이 나쁜 경향이 있다.
예컨대 소다석회 유리 기판에 대한 접촉각이, 종래의 잉크는 15°정도였던 것에 대하여, 새로운 잉크의 대다수는 30°정도로 커, 새로운 잉크는 소다석회 유리 기판에 대한 습윤성이 나쁜 것이 확인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새로운 잉크는, 유리 기판 등의 표면에서의 셀프 레벨링성, 즉 건조 전의 유동에 의해 고르게 되어 자동적으로 두께가 균일화되는 특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많다. 유리 기판 등의 표면에 대하여 양호하게 젖는 것이, 셀프 레벨링에 의한 두께 균일화의 메카니즘의 대전제로, 습윤성이 나쁜 경우에는 메카니즘이 충분히 기능할 수 없다.
셀프 레벨링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쇄 직후의 잉크층의 두께에 불균일이 있으면, 그것이 충분히 수정되지 않은 채로 잉크가 건조되어, 액정 배향막의 두께가 불균일해지거나, 미리 설정한 두께를 재현하지 못하거나 한다.
그래서, 새로운 잉크를 사용하여, 두께가 가능한 한 균일하며 또한 두께의 재현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얇은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플렉소 인쇄에 의한 인쇄 직후에 잉크층의 두께가 균일할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의 플렉소 인쇄판에서는, 새로운 잉크와 조합했을 때에, 이러한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플렉소 인쇄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잉크층의 두께가 작을수록, 상기 잉크층의 두께에, 인쇄면에 형성된 다수의 미소 돌기와 홈부로 이루어지는 요철이 영향을 미치기 쉽다. 즉 인쇄면의 요철 형상이 그대로 잉크층에 반영되어, 두께가 균일하며, 또한 두께의 재현성이 우수한 양호한 액정 배향막을 형성할 수 없다.
이것은, 인쇄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된 다수의 미소 돌기의 선단면이, 홈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미소 돌기와 홈부 사이의 요철의 경계가 명료하다는, 인쇄면의 요철 형상에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메인터넌스시에, 홈부에 들어간 잉크를 세정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플렉소 인쇄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인쇄면은 요철의 경계가 명료하지 않은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요철 형상이 그대로 잉크층에 반영되는 경우는 없는 데다가, 세정도 용이하다.
그러나, 잉크층의 두께가 인쇄면의 영역마다 변동되거나, 잉크층에 핀홀이 발생하거나 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어, 이들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두께가 균일하며 또한 두께의 재현성이 양호한 잉크층, 나아가서는 액정 배향막을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패널의 고정밀화, 고기능화에 대응한 새로운 액정 배향막의 기초가 되는 습윤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해도, 역시 두께가 균일하며 또한 두께의 재현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핀홀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액정 배향막을, 플렉소 인쇄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플렉소 인쇄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 플렉소 인쇄판을 사용한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편면이 인쇄면으로 된 플렉소 인쇄판으로서, 상기 인쇄면은 조면화되어 있음과 동시에,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가 0.9 이상이고 3.0 이하이며, 비표면적이 2.8 이상이고 4,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소 인쇄판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자는, 미소 돌기와 홈부와 같이 요철의 경계가 명료하지 않고, 요철이 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인쇄면의 요철 형상의 개량을 검토했다. 그리고, 잉크층의 두께가 인쇄면의 영역마다 변동되거나, 그 결과로서 두께의 재현성이 저하되거나, 게다가 핀홀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요철 형상을 검토했다.
그 결과, 인쇄면의 요철 형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본 공업 규격 JIS B0601: 2001 「제품의 기하 특성 사양(GPS)-표면 성상: 윤곽 곡선 방식-용어, 정의 및 표면 성상 파라미터」에 있어서 규정된,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 및 인쇄면의 비표면적을, 각각 상기 범위 내로 규정하면,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가 0.9 미만으로서, 요철의 경사가 완만한 인쇄면은, 인쇄시의 압력 분포가 불균일화되기 쉽기 때문에, 잉크층, 나아가서는 액정 배향막에 핀홀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가 3.0을 초과하여, 요철의 경사가 급격한 인쇄면은, 요철의 볼록부가 첨예화되어 잉크층을 관통하기 쉽기 때문에, 잉크층, 나아가서는 액정 배향막에 핀홀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대하여,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가 0.9 이상이고 3.0 이하로 규정된 인쇄면은, 요철이 적절한 경사를 갖고 있어, 인쇄시의 압력 분포가 균일하고, 게다가 볼록부가 잉크층을 관통하기 어렵기 때문에, 잉크층 및 액정 배향막에 핀홀을 잘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비표면적은, 인쇄면의, 잉크에 대한 습윤성, 및 잉크의 유지량과 인쇄면으로부터의 잉크의 이형성 및 유리 기판 등에 대한 잉크의 전사량과, 양의 상관 관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비표면적이 2.8 이상이고 4.9 이하이면, 플렉소 인쇄시에 적정한 전사 두께를 확보하여, 유리 기판 등의 표면에, 그 두께가 인쇄면의 영역마다 변동되지 않고 균일하며, 게다가 두께의 재현성도 우수한 적정한 잉크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활성 광선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편면이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면의 형상에 대응한 부형면(賦形面)으로 된 몰드재를 준비하는 공정, 몰드재의 부형면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접촉하도록, 몰드재의 부형면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층을 적층하는 공정, 몰드재를 통과시켜 활성 광선을 조사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층을 경화 반응에 의해 경화시키는 공정, 경화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층을 몰드재의 부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 및 박리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층을 플렉소 인쇄판으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면이 특정한 표면 상태로 규정된 플렉소 인쇄판을, 양호한 생산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플렉소 인쇄판으로 하는 공정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층의 몰드재의 부형면으로부터 박리된 면(부형면과 접촉하고 있었던 면)을 조면화된 인쇄면으로 하고, 인쇄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인쇄면의 조면을 기계적 또는 열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재를 준비하는 공정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고, 활성 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지지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지지 기판의 표면에, 몰드재의 부형면과 반대측의 면을 접촉시켜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플렉소 인쇄판의 기초가 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는, 프리폴리머, 적어도 1종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플렉소 인쇄판을 이용하여, 플렉소 인쇄에 의해, 액정 패널용의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인쇄면의 표면 형상에 기초하여, 두께가 균일하며 또한 두께의 재현성도 우수하고, 게다가 핀홀이 없는 액정 배향막을 구비한 액정 패널용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 패널의 고정밀화, 고기능화에 대응한 새로운 액정 배향막의 기초가 되는 습윤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해도, 역시 두께가 균일하며 또한 두께의 재현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핀홀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액정 배향막을, 플렉소 인쇄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플렉소 인쇄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플렉소 인쇄판을 사용한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c)는, 플렉소 인쇄판에서의 조면화된 요철면의 요철 형상의,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마다의 차이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의 (a)∼(c)는,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c)는, 도 2의 제조 방법에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 (b)는, 평판형의 지지 기판의 표면에 조면화 시트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의 (a)∼(c)는, 플렉소 인쇄판에서의 조면화된 요철면의 요철 형상의,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마다의 차이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편면이 인쇄면으로 된 플렉소 인쇄판이다. 그리고, 인쇄면은 조면화되어 있음과 동시에,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가 0.9 이상이고 3.0 이하이며, 비표면적이 2.8 이상이고 4.9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면화된 인쇄면의 요철 형상을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정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고정밀화, 고기능화에 대응한 새로운 액정 배향막의 기초가 되는 습윤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하여, 두께가 균일하며, 또한 두께의 재현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핀홀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액정 배향막을, 플렉소 인쇄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의 (b)를 참조하여,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가 0.9 미만으로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의 경사가 완만한 인쇄면은, 인쇄시의 압력 분포가 불균일화되기 쉽기 때문에, 잉크층, 나아가서는 액정 배향막에 핀홀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도 1의 (c)를 참조하여,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가 3.0을 초과하여,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의 경사가 급격한 인쇄면은, 요철의 볼록부가 첨예화되어 잉크층을 관통하기 쉽기 때문에, 잉크층, 나아가서는 액정 배향막에 핀홀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대하여, 도 1의 (a)를 참조하여,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가 0.9 이상이고 3.0 이하로 규정된 인쇄면은,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이 적절한 경사를 갖고 있어, 인쇄시의 압력 분포가 균일하고, 게다가 볼록부가 잉크층을 관통하기 어렵기 때문에, 잉크층 및 액정 배향막에 핀홀을 잘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는, 1.2 이상이고 2.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는, 예컨대 주사형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얻은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JIS B0601: 2001의 4.4.1항 「윤곽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에 기재된 대로 기준 길이에서의 국부 경사(dz/dx)의 제곱 평균 제곱근으로서 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비표면적이 2.8 미만인 평활한 인쇄면은, 잉크의 습윤성이 낮기 때문에 잉크의 유지량이 지나치게 낮아진다. 한편, 비표면적이 4.9를 초과하는 요철이 큰 인쇄면은, 잉크의 습윤성이 지나치게 강하여 플렉소 인쇄시에 적정한 전사 두께를 확보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이 어느 쪽의 경우에도, 유리 기판 등의 표면에, 그 두께가 인쇄면의 영역마다 변동되지 않고 균일하며, 게다가 적정한 잉크층을 형성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비표면적을 2.8 이상이고 4.9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인쇄면에, 잉크에 대한 적절한 습윤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리 기판 등의 표면에, 그 두께가 인쇄면의 영역마다 변동되지 않고 균일하며, 게다가 두께의 재현성도 우수한 적정한 잉크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러한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표면적은, 3.0 이상, 특히 3.6 이상이고, 4.6 이하, 특히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비표면적은, 예컨대 형상 측정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인쇄면의 일정 면적(기준 면적)의 영역의 3차원 데이터로부터, 3차원 해석에 의해 구한 그 영역의 실표면적의 기준 면적에 대한 비율로서 구하는 것으로 한다.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면을,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의 범위, 및 비표면적의 범위를 모두 만족하는 요철 형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인쇄면에 대응하는 몰드재의 부형면을,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부형면을,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형면을, 예컨대 후술하는 엠보스 롤을 이용한 가압 시트 성형에 의해 조면화하여 형성하는 경우, 엠보스 롤의 외주면을,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엠보스 롤이 금속 롤인 경우에는, 에칭, 쇼트 블라스트, 레이저 조각 등에 의해, 또한 고무 롤인 경우에는, 본뜨기, 연마, 미세 혼입물 등에 의해, 수지 롤인 경우에는, 본뜨기, 연마, 에칭, 미세 혼입물 등에 의해, 그 외주면을 요철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중, 예컨대 금속 롤의 외주면을 쇼트 블라스트에 의해 요철 형상으로 할 때에는,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 및 비표면적을, 각각,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 사용하는 블라스트 가루의 입경(F600 이상) 및 블라스트 시간을 제어하면 된다.
플렉소 인쇄판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면이 특정한 표면 상태로 규정된 플렉소 인쇄판을, 양호한 생산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2의 (a)∼(c), 도 3의 (a)∼(c)는, 각각,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여, 이 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유리나, 혹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경질 수지 등의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고,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 반응시킬 수 있는, 자외선 등의 활성 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지지 기판(1)을 준비한다.
그리고 지지 기판(1)의, 도면에 있어서 상측 표면(2)에, 편면이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면의 형상에 대응한 요철 형상을 갖는 조면화된 부형면(3)으로 된 조면화 시트(4)를, 부형면(3)을 위, 반대측의 면(반대면)(5)을 아래로 하여, 반대면(5)을 표면(2)에 접촉시키면서, 예컨대 도 2의 (a)에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순서대로 중첩하거나 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또 도면에서는, 부형면(3)을 구성하는 요철을, 알기 쉽도록 크게 강조하여 그리고 있지만, 실제의 요철은, 인쇄하는 액정 배향막의 형상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본원발명에서 규정한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의 범위, 및 비표면적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한 조면화 시트(4)의 크기와 비교하면 판별하지 못할 정도의 미소한 것이다.
조면화 시트(4)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TPU),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활성 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시트의 표면을, 예컨대 엠보스 롤을 이용한 가압 시트 성형 등에 의해 조면화하여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 시트 성형에 의하면, 예컨대 대화면의 액정 표시 소자에 대응한 대면적의 조면화 시트(4)라도, 연속적으로 또한 다량으로 생산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 PE, PP, TPU 등의 비교적 연질인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또한 비교적 얇은(예컨대 150 ㎛ 이하 정도) 조면화 시트(4)는, 그 자체의 강성이 약하여, 편평한 지지 기판(1)의 표면(2)에 주름 없이 균일하게 밀착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조면화 시트(4)의 반대면(5)에, 예컨대 PET 등으로 이루어지고, 활성 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보강 시트를 접합시키거나 하면 된다.
조면화 시트(4)는, 상기 조면화 시트(4) 상에 액상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펴바를 때의 전단력이나, 혹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시의 수축력 등에 의해, 조면화 시트(4)가 지지 기판(1)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 후의 조면화 시트(4)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하기 (i)∼(ii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지지 기판(1)의 표면(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i) 활성 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약점착층을 통해, 지지 기판(1)의 표면(2)에 착탈 가능하게 점착 고정.
(ii) 지지 기판의 표면에 흡인 홈을 형성하여, 상기 흡인 홈을 통해 진공 흡인함으로써, 표면에 착탈 가능하게 흡착 고정.
(iii) 지지 기판(1)의 면 방향의 치수보다 간격을 벌린 한쌍의 척 지그 사이에 전장(展張)시킨 상태에서, 지지 기판의 표면에 착탈 가능하게 압접 고정.
(i)의 점착 고정에 이용하는 약점착층으로는, 지지 기판(1), 및 조면화 시트(4)의 형성 재료에 대하여 약점착성을 가지며, 또한 활성 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여러가지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이 어느 것이나 채용 가능하다. 약점착층은, 지지 기판(1)의 표면(2), 및 조면화 시트(4)의 반대면(5) 중의 적어도 일방에, 점착제를, 예컨대 스프레이 도포 등의 여러가지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약점착층을, 지지 기판(1)의 표면(2), 및/또는 조면화 시트(4)의 반대면(5)에 형성한 후, 도 2의 (a)에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면화 시트(4)를, 지지 기판(1)의 표면(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반대면(5)과 표면(2)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순서대로 중첩하면, 약점착층의 점착력에 의해, 조면화 시트(4)를 표면(2)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시킨 조면화 시트(4)를 표면(2)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면화 시트(4)를, 예컨대 도 2의 (a)의 화살표와는 반대로 지지 기판(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에 걸쳐, 약점착층의 점착력에 대항하면서 순서대로 벗겨내거나 하면 된다.
(ii)의 흡착 고정을 하기 위해서는, 지지 기판(1)의 표면(2)을 평활하게 마무리함과 동시에, 이러한 표면(2)의 대략 전면에 흡인 홈을 형성한다. 흡인 홈은, 진공 펌프 등을 포함하는 진공계에 접속한다.
그리고, 조면화 시트(4)를, 반대면(5)을 아래로 하여 지지 기판(1)의 표면(2)에 중첩한 상태에서 진공계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먼저 작동시켜 둔 진공계를 흡인 홈과 접속하거나 하여, 상기 흡인 홈을 통해 진공 흡인함으로써, 조면화 시트(4)를 표면(2)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시킨 조면화 시트(4)를 표면(2)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진공계를 정지시키거나, 혹은 진공계와 흡인 홈의 접속을 차단하면 된다.
도 4의 (a), (b)는, (iii)의 압접 고정의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양도면을 참조하여, 이 압접 고정법에 있어서는, 예컨대 액정 표시 소자의 화면의 형상에 대응시켜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조면화 시트(4)의, 서로 평행한 2변을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유지하는 한쌍의 척 지그(C)를 준비한다.
조면화 시트(4)로는, 2변 사이의 길이(L1)가, 동일하게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지지 기판(1)의, 대응하는 2변 사이의 치수(L2)보다 긴 것을 준비하고, 2변을,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척 지그(C)에 의해 유지한다. 조면화 시트(4)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부형면(3)을, 도면에 있어서 상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유지한다.
그리고 척 지그(C)를, 지지 기판(1)의 치수(L2)보다 간격을 벌려 배치함으로써, 양척 지그(C) 사이에, 조면화 시트(4)를 느슨함 없이 전장시킨 상태로 한다(도 4의 (a)).
계속해서 이 상태에서, 척 지그(C)를 도면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척 지그(C) 사이에 전장시킨 조면화 시트(4)를, 도 4의 (a)에 흰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기판(1)의 표면(2)의 방향으로 하강시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기판 표면(2)에 간극 없이 압접시키면, 조면화 시트(4)를 표면(2)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시킨 조면화 시트(4)를 표면(2)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면화 시트(4)를, 한쌍의 척 지그(C) 통째로, 도 4의 (a)의 화살표와는 반대로 표면(2)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도 2의 (b)를 참조하여, 이 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어느 방법으로 지지 기판(1)의 표면(2) 상에 고정시킨 조면화 시트(4)의 부형면(3) 상에, 소정량의 액상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6)을 공급한다.
그리고 감광성 수지 조성물(6)을, 조면화 시트(4)와, 보강층이 되는 보강 필름(7) 사이에 끼우면서, 도 2의 (b)에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기판(1)의 표면(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순서대로,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조면화 시트(4)의 부형면(3) 상에 펴발라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층(8)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위에 보강 필름(7)을 적층한다.
계속해서 도 2의 (c)를 참조하여, 보강 필름(7) 상에, 대향 기판(9)의 대향면(10)을 접촉시킨다.
그리고 대향 기판(9)의 대향면(10)을, 표면(2)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벌려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도 2의 (c)에 검정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 기판(9)을 지지 기판(1)의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층(8)을 조면화 시트(4)의 부형면(3)에 압착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층(8)을, 도 2의 (c)에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기판(1) 및 조면화 시트(4)를 통과시켜 활성 광선(LB)에 의해 노광하여, 층(8)을 형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6)을 경화 반응시킨다.
이 때, 지지 기판(1)의 표면(2)과, 대향 기판(9)의 대향면(10) 사이의 간격은, 제조하는 플렉소 인쇄판의 두께에 조면화 시트(4)의 두께를 더한 치수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 대향 기판(9)은, 금속, 유리, 경질 수지 등의 임의의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대향 기판(9)을, 지지 기판(1)과 동일한, 활성 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또한 보강 필름(7)도, 조면화 시트(4)와 동일한, 활성 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하여, 상기 대향 기판(9)의 측으로부터도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층(8)을 활성 광선에 의해 노광하여 가교 반응시키도록 해도 좋다.
계속해서 도 3의 (a), (b)를 참조하여, 보강 필름(7), 가교된 층(8), 및 조면화 시트(4)의 적층체(11)를, 지지 기판(1)과 대향 기판(9) 사이로부터 취출하고, 상하 역전시켜, 보강 필름(7)을 아래로 하여 작업대(12) 위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도 3의 (b)에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면화 시트(4)를, 적층체(1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순서대로 벗겨내면, 층(8)의 도면에 있어서 상면측이, 조면화 시트(4)의 부형면(3)의 요철 형상이 전사되어 조면화된 인쇄면(13)이 된다.
계속해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면(13)의, 인쇄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하여, 예컨대 레이저 헤드(14)로부터 탄산 가스 레이저(15) 등을 주사하면서 조사함으로써, 표면의 요철을 열적으로 제거한다. 이에 따라, 인쇄면(13)이 소정의 인쇄 패턴으로 패턴화되어, 플렉소 인쇄판(16)이 완성된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는, 자외선 등의 활성 광선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고, 게다가 경화 후에는, 예컨대 플렉소 인쇄 등에 사용하기에 알맞은 적절한 고무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 중에 포함되거나, 인쇄판의 청소에 사용하거나 하는 용제에 대한 내용제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여러가지 수지 조성물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2-부타디엔 구조를 가지며, 또한 말단에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프리폴리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인알킬에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형광등 등으로부터의 가시광에 의해 반응하여 인쇄용 수지 원판을 황변시키는 원인이 되는 벤조인의 함유 비율이,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총량의 500 ppm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에 따라, 단기간에 황변하지 않는 내광성이 우수한 인쇄용 수지 원판을 얻을 수 있다.
보강 필름(7)으로는, 조면화 시트(4)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또한 활성 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시트가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플렉소 인쇄판을 이용하여, 플렉소 인쇄에 의해, 액정 패널용의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설명한 인쇄면의 표면 형상에 기초하여, 두께가 균일하며 또한 두께의 재현성도 우수하고, 게다가 핀홀이 없는 액정 배향막을 구비한 액정 패널용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의 그 밖의 공정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즉, 소다석회 유리 기판 등의 투명 기판의 편면에, 소정의 매트릭스 패턴 등에 대응한 투명 전극층을 형성한 후에, 본 발명의 플렉소 인쇄판을 이용한 플렉소 인쇄에 의해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고, 액정 배향막의 표면을, 필요에 따라 러빙 등에 의해 더 배향 처리함으로써, 액정 패널용 기판이 제조된다.
또한 액정 패널용 기판을 2장 준비하고, 각각의 투명 전극층을 위치 맞춤한 상태에서, 사이에 액정 재료를 끼워넣고 서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적층체의 양외측에 편광판을 더 배치함으로써 액정 패널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의 고정밀화, 고기능화에 수반하여 개발되고 있는, 유리 기판 등에 대한 습윤성이 나쁜 잉크를 원재료로 하는 액정 배향막의 형성에 적합하다.
이러한 습윤성이 나쁜, 액정 배향막의 기초가 되는 잉크로는, 예컨대 용제로서 N-메틸-2-피롤리돈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N-메틸-2-피롤리돈의 비율이 큰 잉크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JSR(주) 제조의 오프토마(등록 상표) AL60702 등을, 유리 기판 등에 대한 습윤성이 나쁜 잉크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도면의 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보강 필름(7)은 생략해도 좋다. 또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층을, 대향 기판에 의해 지지 기판의 방향으로 압박하는 대신에, 조면화 시트의 롤러 등에 의해 펴발라 두께를 일정하게 하도록 해도 좋다.
그 외,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조면화 시트)
조면화 시트로는, 편면에 두께 100 ㎛의 PET 시트를 보강 시트로서 접합시킨 TPU의 시트[오쿠라 공업(주) 제조의 실크론(등록 상표) SNESS80-150 ㎛]의, 보강 시트를 접합시킨 면과 반대측에 노출된 TPU의 표면을, 엠보스 롤을 이용한 가압 시트 성형에 의해 조면화한 부형면으로 한 것을 이용했다. 이러한 조면화 시트는, 활성 광선으로서의 자외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고 있다.
부형면의,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를, 주사형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의 LEXT(등록 상표) OLS(등록 상표) 3100]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얻은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JIS B0601: 2001의 4.4.1항 「윤곽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에 기재된 기준 길이에서의 국부 경사(dz/dx)의 제곱 평균 제곱근으로서 구한 바 2.0이었다. 또 기준 길이는 270 ㎛로 했다.
또한 부형면의 비표면적을, 형상 측정 레이저 현미경[(주)키엔스 제조의 VK-9510]을 이용하여 측정한 인쇄면의 일정 면적(기준 면적)의 영역의 3차원 데이터로부터, 3차원 해석에 의해 구한 이 영역의 실표면적의, 기준 면적에 대한 비율로서 구한 바 2.8이었다. 또 기준 면적은 약 0.06 mm2(59484.48 ㎛2)로 했다.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도 2의 (a)∼(c)를 참조하여, 지지 기판(1)으로서의, 자외선 투과성을 갖는 평활 투명 유리판과, 대향 기판(9)을 구비한 인쇄용 수지 원판의 제조 장치의, 지지 기판(1)의 표면(2)에, 조면화 시트(4)를, 그 부형면(3)을 위, 반대면(5)을 아래로 하여, 반대면(5)이 표면(2)에 접하도록, 스프레이 점착제의 층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켰다.
계속해서 부형면(3) 상에, 자외선 경화형의 액상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스미토모 고무 고교(주) 제조의 NK 수지](6)을 소정량 공급하고, 조면화 시트(4)와, 보강층이 되는 보강 필름(PET 필름, 스미토모 고무 고교(주) 제조의 BF/CF)(7) 사이에 끼우면서, 도 2의 (b)에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기판(1)의 표면(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순서대로,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조면화 시트(4)의 부형면(3) 상에 펴발라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층(8)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위에 보강 필름(7)을 적층했다.
계속해서 보강 필름(7) 상에, 대향 기판(9)의 대향면(10)을 접촉시켰다.
그리고 대향면(10)을, 표면(2)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벌려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도 2의 (c)에 검정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 기판(9)을 지지 기판(1)의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층(8)을 조면화 시트(4)의 부형면(3)에 압착시켰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층(8)을, 도 2의 (c)에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기판(1) 및 조면화 시트(4)를 통과시켜 자외선에 의해 노광하여, 층(8)을 형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6)을 경화 반응시켰다. 광원으로는 필립스사 제조의 UV 광원을 이용했다.
다음으로, 도 3의 (a), (b)를 참조하여, 보강 필름(7), 가교된 층(8), 및 조면화 시트(4)의 적층체(11)를, 지지 기판(1)과 대향 기판(9) 사이로부터 취출하고, 상하 역전시켜, 보강 필름(7)을 아래로 하여 작업대(12) 위에 올려 놓았다.
그리고 도 3의 (b)에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면화 시트(4)를, 적층체(1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순서대로 벗겨내어, 층(8)의 도면에 있어서 상면측을, 조면화 시트(4)의 부형면(3)의 요철 형상이 전사되어 조면화된 인쇄면(13)으로 했다.
계속해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면(13)의, 인쇄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레이저 헤드(14)로부터 탄산 가스 레이저(15)를 주사하면서 조사하여 열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인쇄면(13)을 소정의 인쇄 패턴으로 패턴화하여, 플렉소 인쇄판(16)을 제조했다.
패턴화의 조건은, 탄산 가스 레이저의 출력: 400 W×2 빔, 빔 직경: 20 ㎛, 이송 피치: 60 ㎛, 이송 속도 140 cm/초로 했다.
패턴화 후에는, 융제(融除) 비말 수지에 의한 오염을, 다이요 화학(주) 제조의 상품명 KS-HG 시너를 이용하여 세정한 후, 충분히 건조시켰다.
플렉소 인쇄판(16)의 인쇄면(13)의,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를, 상기 주사형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얻은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동일한 기준 길이에서의 국부 경사(dz/dx)의 제곱 평균 제곱근으로서 구한 바 2.0이었다.
또한 인쇄면(13)의 비표면적을, 상기 형상 측정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동일한 기준 면적의 영역의 3차원 데이터로부터, 3차원 해석에 의해 구한 영역의 실표면적의, 기준 면적에 대한 비율로서 구한 바 2.8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플렉소 인쇄판(16)의 인쇄면(13)의 요철 형상은, 조면화 시트(4)의 부형면(3)의 요철 형상을 충실히 베껴낸 것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9, 비교예 1∼4)
실시예 2∼9, 비교예 2, 3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TPU의 시트의, 보강 시트를 접합시킨 면과 반대측에 노출된 TPU의 표면을 가압 시트 성형에 의해 조면화하기 위한 엠보스 롤을 변경하여, 부형면의,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 및 비표면적이, 하기 표 1∼표 3에 나타내는 값인 조면화 시트(4)를 준비했다.
또한 비교예 1, 4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TPU의 시트를 대신하여, 부형면을 매트 처리하여 이루어지고,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 및 비표면적이, 하기 표 1, 표 2에 나타내는 값인 PET 필름[가이세이 공업(주) 제조, 클리어 베이스품]을, 조면화 시트(4)로서 준비했다.
그리고 각 조면화 시트(4)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플렉소 인쇄판(16)을 제조했다.
상기 플렉소 인쇄판(16)의 인쇄면(13)의,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 및 비표면적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구한 바, 하기 표 1∼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소 인쇄판(16)의 인쇄면(13)의 요철 형상은, 조면화 시트(4)의 부형면(3)의 요철 형상을 충실히 베껴낸 것임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3081265640-pat00001
Figure 112019016225011-pat00011
Figure 112013081265640-pat00003
(실기 시험)
(플렉소 인쇄)
액정 배향막용의 플렉소 인쇄기[나칸 테크노(주) 제조의 형식 A45]에,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조한 플렉소 인쇄판(16)을, 아닐록스 롤 #400과 함께 내장했다.
그리고 액정 배향막용의 바니시[JSR(주) 제조의 오프토마(등록 상표) AL60702, 소다석회 유리 기판에 대한 접촉각: 30°]를, 두께 0.7 mm의 소다석회 유리 기판 상에 플렉소 인쇄한 후 1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바니시를 예비 건조시켜 액정 배향막을 형성했다.
플렉소 인쇄의 조건은, 예비 건조 후의 액정 배향막의 두께가 1000 Å이 되도록 설정했다.
(두께 재현성 평가)
예비 건조 후의 액정 배향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두께 재현성을 평가했다.
○○○: 두께가 정확히 1000 Å이었다.
○○: 두께가 1000 Å 이외이며, 또한 1000±50 Å 이내였다.
○: 두께가 1000±50 Å 이외이며, 또한 1000±100 Å 이내였다.
×: 두께가 1000±100 Å 이외였다.
(핀홀 평가)
예비 건조 후의 액정 배향막을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핀홀의 유무를 평가했다.
○○: 핀홀, 및 핀홀이 될 만한 패임 등은 보이지 않았다.
○: 핀홀은 보이지 않지만, 상기 핀홀이 될 만한, 국소적으로 두께가 얇아진 패임이 보였다.
×: 핀홀이 보였다.
(종합 판정)
두께의 재현성, 및 핀홀의 유무의 결과로부터, 하기의 기준으로 플렉소 인쇄판을 종합 판정했다.
○○○○: 두께의 재현성이 ○○○이며, 또한 핀홀의 유무가 ○○인 것.
○○○: 두께의 재현성이 ○○○이며, 또한 핀홀의 유무가 ○인 것, 또는 두께의 재현성이 ○○이며, 또한 핀홀의 유무가 ○○인 것.
○○: 두께의 재현성이 ○○이며, 또한 핀홀의 유무가 ○인 것, 또는 두께의 재현성이 ○이며, 또한 핀홀의 유무가 ○○인 것.
○: 두께의 재현성이 ○이며, 또한 핀홀의 유무가 ○인 것.
×: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이 ×인 것.
이상의 결과를 표 4∼표 6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81265640-pat00004
Figure 112013081265640-pat00005
Figure 112013081265640-pat00006
표 4∼표 6의 실시예 1∼9, 비교예 1∼4의 결과로부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면의,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를, 0.9 이상이고 3.0 이하로 하며, 또한 인쇄면의 비표면적을, 2.8 이상이고 4.9 이하로 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고정밀화, 고기능화에 대응한 새로운 액정 배향막의 기초가 되는 습윤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할 수 있고, 두께가 균일하며 또한 두께의 재현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핀홀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액정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특히 실시예 1∼5의 결과로부터, 상기 효과가 한층 더 향상된, 특히 두께의 재현성이 우수한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비표면적은, 3.0 이상, 특히 3.6 이상이고 4.6 이하, 특히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6∼9의 결과로부터, 상기 효과가 한층 더 향상된, 특히 핀홀이나 패임 등이 없는 양호한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는, 1.2 이상이고 2.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1: 지지 기판, 2: 표면, 3: 부형면, 4: 조면화 시트, 5: 반대면, 6: 감광성 수지 조성물, 7: 보강 필름, 8: 층, 9: 대향 기판, 10: 대향면, 11: 적층체, 12: 작업대, 13: 인쇄면, 14: 레이저 헤드, 15: 탄산 가스 레이저, 16: 플렉소 인쇄판, C: 척 지그

Claims (6)

  1.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편면이 인쇄면으로 된 플렉소 인쇄판으로서,
    상기 인쇄면은 조면화(粗面化)되어 있는 동시에,
    거칠기 곡선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RΔq)가 0.9 이상이고 3.0 이하이며,
    비표면적이 2.8 이상이고 4.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소 인쇄판.
  2. 제1항에 기재된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활성 광선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편면이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면의 형상에 대응한 부형면(賦形面)으로 된 몰드재를 준비하는 공정,
    몰드재의 부형면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접촉하도록, 몰드재의 부형면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층을 적층하는 공정,
    몰드재를 통과시켜 활성 광선을 조사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층을 경화 반응에 의해 경화시키는 공정,
    경화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층을 몰드재의 부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 및
    박리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층을 플렉소 인쇄판으로 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플렉소 인쇄판으로 하는 공정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층의 몰드재의 부형면으로부터 박리된 면(부형면과 접촉하고 있었던 면)을 조면화된 인쇄면으로 하고, 인쇄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인쇄면의 조면을 기계적 또는 열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몰드재를 준비하는 공정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고, 활성 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지지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지지 기판의 표면에, 몰드재의 부형면과는 반대측인 면을 접촉시켜 고정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서, 프리폴리머, 적어도 1종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기재된 플렉소 인쇄판을 이용하여, 플렉소 인쇄에 의해, 액정 패널용의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130106513A 2013-01-09 2013-09-05 플렉소 인쇄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08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01987 2013-01-09
JP2013001987A JP5727526B2 (ja) 2013-01-09 2013-01-09 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パネル用基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543A KR20140090543A (ko) 2014-07-17
KR102008531B1 true KR102008531B1 (ko) 2019-08-07

Family

ID=5103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513A KR102008531B1 (ko) 2013-01-09 2013-09-05 플렉소 인쇄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27526B2 (ko)
KR (1) KR102008531B1 (ko)
CN (1) CN103909757B (ko)
TW (1) TWI5613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2006B1 (ja) * 2014-02-17 2015-04-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6322871B2 (ja) * 2014-05-16 2018-05-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KR20170040118A (ko) * 2014-08-11 2017-04-12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JP6395301B2 (ja) * 2014-09-29 2018-09-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テスト用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CN104406520B (zh) * 2014-11-26 2017-11-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部件的检测装置及方法
JP6551737B2 (ja) * 2015-07-08 2019-07-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CN108454254B (zh) * 2017-02-20 2021-06-22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粗糙面化片材与其用途
CN108081634B (zh) * 2017-12-29 2020-09-08 河北澳科中意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钢制品成型工艺
CN111587185B (zh) * 2018-03-26 2022-03-11 株式会社小村技术 连结印刷版
CN109061949B (zh) * 2018-08-17 2021-07-23 武汉瑞普赛精密技术有限公司 配向膜印刷版的制作方法
JP6764576B2 (ja) * 2018-08-21 2020-10-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1174A1 (en) 2006-07-13 2008-0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inting plate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plate-making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283A (en) * 1986-11-13 1989-10-24 Johnston Jam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s
JP2933790B2 (ja) 1993-02-03 1999-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3376908B2 (ja) * 1998-02-09 2003-02-17 株式会社コムラテック 膜印刷適性等に優れた樹脂凸版
JP4623452B2 (ja) * 2000-02-09 2011-02-02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赤外線感受性層を形成する為の塗工液
JP2002293049A (ja) * 2001-03-29 2002-10-09 Komuratekku:Kk 薄膜形成用樹脂凸版
JP2002296774A (ja) * 2001-03-30 2002-10-09 Fuji Photo Film Co Ltd 平版印刷版用原版
JP2006145969A (ja) * 2004-11-22 2006-06-0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の配向膜形成用樹脂凸版
JP4203519B2 (ja) * 2006-03-23 2009-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描型印刷原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製版方法
CN100514185C (zh) * 2006-04-18 2009-07-15 清华大学 一种制作聚合物自支撑纳微米线的方法
EP2060405A4 (en) * 2006-09-06 2011-04-13 Asahi Kasei Chemicals Corp LIGHT-SENSITIVE RESIN COMPOSITION
JP5242033B2 (ja) * 2006-09-12 2013-07-2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凸版印刷原版及びレーザー彫刻印刷版
JP2009034913A (ja) * 2007-08-02 2009-02-19 Nakan Corp フレキソ印刷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薄膜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US20100173135A1 (en) * 2009-01-06 2010-07-08 Jonghan Choi Method of Controlling Surface Roughness of a Flexographic Printing Plate
TW201034301A (en) * 2009-03-09 2010-09-16 Hon Hai Prec Ind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573675B2 (ja) * 2009-07-30 2014-08-20 東洋紡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原版
CN102752954A (zh) * 2011-04-22 2012-10-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柔性印刷电路板及采用该柔性印刷电路板的电子装置
JP2014133336A (ja) * 2013-01-09 2014-07-24 Sumitomo Rubber Ind Ltd 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パネル用基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1174A1 (en) 2006-07-13 2008-0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inting plate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plate-mak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61383B (en) 2016-12-11
KR20140090543A (ko) 2014-07-17
CN103909757B (zh) 2018-01-09
CN103909757A (zh) 2014-07-09
TW201427822A (zh) 2014-07-16
JP5727526B2 (ja) 2015-06-03
JP2014133335A (ja)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531B1 (ko) 플렉소 인쇄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
JP6322871B2 (ja) 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5427225B2 (ja) 印刷用樹脂原版の製造方法
KR20140090542A (ko) 플렉소 인쇄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패널용 기판의 제조 방법
JP6551737B2 (ja)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KR20050074967A (ko) 플렉스 인쇄판, 플렉스 인쇄 장치, 플렉스 인쇄판의 제조방법 및 인쇄물의 제조 방법
JP4901173B2 (ja) フレキソ印刷方法
JP6395301B2 (ja) テスト用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CN110843373B (zh) 柔版印刷版与使用其的液晶显示元件的制造方法
KR20070066645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
WO2016024446A1 (ja)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2016126240A (ja) 印刷用樹脂原版の製造方法およびフレキソ印刷版
CN107867101B (zh) 树脂原版的制法、印刷版的制法及液晶显示元件的制法
CN108454254B (zh) 粗糙面化片材与其用途
JP2018051835A (ja) 粗面化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96506A (ko) 조면화 시트와 그것을 이용한 인쇄용 수지 원판의 제조 방법, 플렉소 인쇄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