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89B1 - 식품용 냉동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용 냉동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89B1
KR102008289B1 KR1020180071621A KR20180071621A KR102008289B1 KR 102008289 B1 KR102008289 B1 KR 102008289B1 KR 1020180071621 A KR1020180071621 A KR 1020180071621A KR 20180071621 A KR20180071621 A KR 20180071621A KR 102008289 B1 KR102008289 B1 KR 10200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food
container
thicknes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미
Original Assignee
이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filed Critical 이정미
Priority to KR1020180071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89B1/ko
Priority to PCT/KR2018/007243 priority patent/WO2019245095A1/ko
Priority to JP2020570154A priority patent/JP2021533038A/ja
Priority to US17/252,882 priority patent/US20210122514A1/en
Priority to CN201880094763.3A priority patent/CN11231315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6Moulds with separate gri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6Spillage or flooding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된 내부 수납부에 양념, 식재료 또는 물 등을 담은 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하여 필요한 양만큼 간편하게 꺼내쓸 수 있도록 한 식품용 냉동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되, 탄성 및 복원력, 강도를 높이기 위해 원형의 제1돌출부와, 그 중앙에 도넛형태의 돌기부를 구성하고, 상기 돌기부의 중심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에 의해 수납부의 내측 중심에 볼록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바닥면에 평평하게 접촉되지 않아 상기 바닥면을 눌러 각 수납부에 수용된 냉동상태의 음식물을 깨지거나 갈라지지 않은 상태로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식품용 냉동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용 냉동용기{A food freezer}
본 발명은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된 내부 수납부에 양념, 식재료 또는 물 등을 담은 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하여 필요한 양만큼 간편하게 꺼내쓸 수 있도록 한 식품용 냉동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되, 탄성, 복원력 및 강도를 높이기 위해 원형의 제1돌출부와, 그 중앙에 도넛형태의 돌기부를 구성하고, 상기 돌기부의 중심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에 의해 수납부의 내측 중심에 볼록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바닥면에 넓은 면에서 연속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 식품용 냉동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용기는 물이나 음료 등을 담아 얼려서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용기로, 다수의 격실을 갖는 플라스틱판형으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냉동용기는 음료 종류의 냉동에 적합한 형태와 크기의 격실을 가짐으로 인해 식품류, 예컨대 다진 마늘이나 이유식, 죽과 같은 소용량 내지 대용량의 식재료 및 식품의 냉동용기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비교적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용기 전체를 뒤집어 내용물을 일괄적으로 탈거하는 방식으로 이용되므로, 격실 내의 내용물을 하나씩 꺼내쓰는 용도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9819호 얼음이나 음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재료를 냉동하고 필요한 분량만큼만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식품용 제빙용기를 출원하였으나, 냉동된 상태의 식재료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반구 형상을 가져 인출을 위하여 바닥면을 누르게 될 경우 쉽게 복원되지 않아 수납부의 바닥면을 반대방향으로 눌러서 복원해야하는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용 제빙용기는 냉동된 상태의 식재료의 인출을 위해 바닥면을 누르게 될 경우 식재료가 깨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인출되지 않고 부서진 상태로 인출되는 단점이 있다.
KR 20-0451352 (등록번호) 2010.12.06. KR 10-1248337 (등록번호) 2013.03.21. KR 10-1519819 (등록번호) 2015.05.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념, 식재료 또는 물 등의 음식물을 일정량씩 담은 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격자부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된 수납부의 바닥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되, 탄성 및 복원력, 강도를 높이기 위해 원형의 제1돌출부와, 그 중앙에 도넛형태의 돌기부를 구성하고, 상기 돌기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오목한 홈부에 의해 수납부의 내측 중심에 볼록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바닥면에 평평하게 접촉되지 않아 상기 바닥면을 눌러 각 수납부에 수용된 냉동상태의 음식물을 깨지거나 갈라지지 않은 상태로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식품용 냉동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보다 측면이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을 눌렀을 때 상기 측면이 변형되지 않아 수납부에 수용된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쉽게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에 변형을 가하더라도 쉽게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변형이 남게 되어 발생되는 불편함이 없는 식품용 냉동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돌기부의 두께와 제2돌출부의 두께가 같고, 상기 돌기부와 제1돌출부의 사이의 두께보다 돌기부와 제2돌출부의 두께가 두껍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닥면을 눌렀을 때 냉동상태의 음식물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식품용 냉동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이 수납 보관되는 용기의 내부 바닥면 중앙부가 연속적으로 음식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냉동된 음식물과 냉동 용기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식품용 냉동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이 수납 보관되는 용기의 내부 바닥면 중앙부를 내측으로 둥굴게 돌출시켜 그 두께를 두텁게 하여 냉동된 음식물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서 바닥면에 변형이 가해지더라도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식품용 냉동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부의 바닥면이 탄성력을 갖고 구부러지도록 마련됨으로써 내용물을 각 수납부 별로 독립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각종 양념이나 이유식, 죽, 약물 등을 1회 분량만큼 냉동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남은 식재료를 위생적으로 냉동하여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적의 수납부를 갖는 용기가 제공됨으로써, 다진마늘과 같은 소용량의 식재료부터 이유식과 같은 비교적 큰 용량의 식품까지 1회 제공분 씩 냉동보관하여 필요시마다 사용할 수 있는 식품용 냉동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념, 식재료 또는 물 등을 일정량씩 담은 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격자부(11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된 수납부(120)가 구비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수납부(120)를 덮어 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덮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납부(120)에 곡률을 갖고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 측으로 돌출된 바닥면(120a)이 탄성력을 갖고 상기 수납부(120)의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120a)에는 원형의 제1돌출부(121)와 그 중앙에 도넛형태의 돌기부(122)가 구성되고, 상기 돌기부(122)의 중심에 오목한 홈부(123a)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1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수납부(120)의 중심부에 상기 홈부(123a)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록한 제2돌출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1)와 돌기부(122)는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돌출부(121)와 상기 제2돌출부(123)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상기 돌기부(122)와 제1돌출부(121)의 사이의 두께보다 돌기부(122)와 제2돌출부(123) 사이의 두께가 더 두껍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수납부(120)는 상기 바닥면(120a)의 두께(t1)보다 상기 수납부(120)의 측면(120b)의 두께(t2)가 두껍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돌출부(121)의 외곽 테두리의 높이가 상기 제2돌출부(123)의 중심부보다 높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돌출부(123)의 두께(b)가 돌기부(122)와 제2돌출부(123) 사이의 두께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양념, 식재료 또는 물 등의 음식물을 일정량씩 담은 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격자부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된 수납부의 바닥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되, 탄성 및 복원력, 강도를 높이기 위해 원형의 제1돌출부와, 그 중앙에 도넛형태의 돌기부를 구성하고, 상기 돌기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오목한 홈부에 의해 수납부의 내측 중심에 볼록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바닥면에 평평하게 접촉되지 않아 상기 바닥면을 눌러 각 수납부에 수용된 냉동상태의 음식물을 깨지거나 갈라지지 않은 상태로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보다 측면이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을 눌렀을 때 상기 측면이 변형되지 않아 수납부에 수용된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쉽게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에 변형을 가하더라도 쉽게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변형이 남게 되어 발생되는 불편함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돌기부의 두께와 제2돌출부의 두께가 같고, 상기 돌기부와 제1돌출부의 사이의 두께보다 돌기부와 제2돌출부의 두께가 두껍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닥면을 눌렀을 때 냉동상태의 음식물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음식물이 수납 보관되는 용기의 내부 바닥면 중앙부가 연속적으로 음식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냉동된 음식물과 냉동 용기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음식물이 수납 보관되는 용기의 내부 바닥면 중앙부를 내측으로 둥굴게 돌출시켜 그 두께를 두텁게 하여 냉동된 음식물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서 바닥면에 변형이 가해지더라도 크랙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상기 바닥면이 탄성력을 갖고 구부러지도록 마련됨으로써 내용물을 각 수납부 별로 독립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각종 양념이나 이유식, 죽, 약물 등을 1회 분량만큼 냉동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남은 식재료를 위생적으로 냉동하여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적의 수납부를 갖는 용기가 제공됨으로써, 다진마늘과 같은 소용량의 식재료부터 이유식과 같은 비교적 큰 용량의 식품까지 1회 제공분 씩 냉동보관하여 필요시마다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냉동용기의 본체부와 덮개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냉동용기의 본체부와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냉동용기의 본체부와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냉동용기의 본체부와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냉동용기의 본체부와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냉동용기의 본체부와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냉동용기를 뒤집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된 내부 수납부(120)에 양념, 식재료 또는 물 등의 음식물을 일정량씩 담은 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하여 필요한 양만큼 간편하게 꺼내쓸 수 있도록 한 식품용 냉동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격자부(11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된 수납부(120)가 구비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수납부(120)를 덮어 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덮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용기함체로서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20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격자부(110), 상기 격자부(110)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수납부(120), 단부(130) 및 손잡이부(140)로 구성되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폴리에틸렌과 같이 완제품 상태에서 유연성 및 탄성력을 유지하고, 사출성형에 유리하며 저온에 강한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0)는 양념, 식재료 또는 물 등의 음식물을 일정량씩 저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다수의 저장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납부(120)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 격자부(110)에 의해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자부(110)는 상기 격자부(110)의 상단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20)의 내용물이 넘쳤을 시 상기 격자부(110) 상단을 덮은 채로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분리용 돌기(111)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용 돌기(111)는 상기 수납부(120)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넘쳐서 타 수납부의 내용물과 섞인 상태에서 얼었을 때 해당 수납부(120)의 내용물만 탈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납부(120)와 타 수납부를 구분하는 격자부(110)의 중앙에 일정한 길이로 융기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리용 돌기(111)는 수납되는 음식물이 냉동될때에 부피가 커져 격자부의 형상에 변형을 가져오는 것을 방지하고 격자부에 강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분리용 돌기(111)로 인하여 내용물(음식물)이 상단까지 올라와 냉동되더라도 격자부의 형상이 변경되지 않으면서 격자부와 격자부 사이에 연결된 내용물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용 돌기(11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납부(120)에서 흘러 넘친 음식물이 타 수납부의 음식물과 섞여서 냉동되더라도 쉽게 음식물이 분리가능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20)의 구조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나타내며, 다양한 형상의 격자구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부(120)의 규격은 잘게 다져진 생강이나 마늘 등과 같은 소량의 양념류를 보관하기에 비교적 작게 형성되거나, 파나 고추 등을 썰어서 보관하기 위해서 비교적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그 규격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20)의 규격은 각각의 저장공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20)는 가장자리에 단부(130)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양측에 손잡이부(14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20)는 실리콘이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과 같이 휨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에서 외력이 가해졌을때 상부방향(상방)으로 올라가도록 변형되는 제1돌출부(121)가 하부방향(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1)에 외력을 가하여 바닥면(120a)을 눌러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변형에 대하여 탄성 및 복원력, 높은 강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1돌출부(121)의 중앙에 돌기부(122), 상기 돌기부(122)의 중심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123a) 및 상기 홈부(123a)에 대응되게 내부 중앙부가 볼록한 제2돌출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120)는 그 바닥면(120a)이 일반적인 냉동용기와 달리, 하부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곡률을 갖고,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 측으로 돌출된 바닥면(120a)이 탄성력을 갖고 상기 수납부(120)의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120a)에는 원형의 제1돌출부(121)와 그 중앙에 도넛형태로 돌출된 돌기부(122)가 구성되고, 상기 돌기부(122)의 중심에 용기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123a)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1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수납부(120)의 중심부에 상기 홈부(123a)의 대응되는 부분이 볼록한 제2돌출부(123)가 형성된다. 즉, 제1돌출부(121)와 제2돌출부(123)의 돌출 방향이 반대이고, 제1돌출부(121)와 돌기부(122)의 돌출 방향이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20)는 상기 바닥면(120a)의 두께(t1)보다 상기 수납부(120)의 측면(120b)의 두께(t2)가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120a)을 눌렀을 때 상기 측면(120b)이 변형되지 않아 수납부에 수용된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쉽게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120)에 변형을 가하더라도 쉽게 복원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면(120a)에서 돌기부(122)의 두께(a), 제2돌출부(123)의 두께(b), 상기 돌기부(122)와 제2돌출부(123)의 사이의 두께(c)가 돌기부(122)와 제1돌출부(121) 사이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구비되어 상기 바닥면(120a)을 눌러 음식물을 냉동 용기에서 분리할때에 가장 이동거리가 많은 돌기부(122) 안쪽 중앙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돌기부(122)와 제2돌출부(123)로 이어지는 용기 내부가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음식물이 용기의 내부 바닥면에서 연속적으로 평평하게 접촉되지 않아, 적은 용기의 변형으로도 쉽게 음식물이 용기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돌출부(123)의 용기 내부로의 돌출된 두께(b)는 그 측면인 제2돌출부(123)와 돌기부(122) 사이의 두께(c)와 동일하다. 따라서, 용기 외부로 돌출된 돌기부(122)로부터 용기 내외부로 점차 상승하여 제2돌출부(123)와 돌기부(122) 사이의 가운데 정도부터 동일한 두께로 용기 내부로 상승하여 제2돌출부(123)까지 상승하여 정점에 이르게 된다. 한편, 돌기부(122)의 두께인 a는 일반적으로 b와 c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동된 음식물을 용기와 분리시키기 위한 외력이 제공되는 곳이어서 돌기부의 두께가 커서 외부로 많이 돌출되면 누를때 손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수납부가 크게 형성되어 돌기부만이 아닌 제1돌출부(121)와 같이 누를 수 있다면 돌기부(122)의 두께가 제2돌출부의 두께보다 약간 커도 관계없다.
한편, 돌기부(122)에서 제1돌출부(121) 사이의 두께보다 돌기부(122)에서 제2돌출부(123) 사이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돌기부에서 제1돌출부(121) 사이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고, 돌기부(122)에서 제2돌출부(123) 사이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냉동 용기는 변형되는 거리가 가장 큰 용기의 중심부인 제2돌출부(123)와 돌기부 사이가 변형되지 않아 크랙이 적으면서, 돌기부와 제1돌출부 사이가 쉽게 변형되어 음식물과 용기에 변형을 줄 수 있다. 또한, 돌기부(122)와 제2돌출부(123)의 용기 내측으로의 돌출로 인하여 원형인 제1돌출부(121)에서의 연속적인 평평함이 제거되어 음식물이 냉동 용기와 강한 접촉이 어려워져 용기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121)의 외곽 테두리의 높이가 상기 제2돌출부(123)의 중심부보다 높다. 원형의 제1돌출부(121)은 외곽 테두리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그 중앙에 제2돌출부(123)가 구비되며, 제2돌출부(123)에서 가장 높게 용기 내부로 돌출된다. 이때 제2돌출부(123)는 도 3과 같이 가장 높은 위치라도 제1돌출부(121)의 외곽 테두리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123)는 바닥면 중심에 위치하여 음식물과 용기가 넓은 면적으로 평평하게 접촉되지 못하도록 하여 제1돌출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 음식물이 쉽게 용기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나, 제2돌출부(123)가 너무 높게 형성되면 음식물이 제2돌출부에 끼여져 분리가 오히려 어려워진다.
상기 수납부(120)는 냉동상태의 음식물의 탈거를 돕기 위해, 상기 바닥면(120a)의 안쪽을 포함한 내측 표면거칠기가 매끄럽게 처리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120)의 내측 표면이 광택을 가지도록 표면거칠기를 작게 처리함으로써, 상기 바닥면(120a)을 눌렀을 때 상기 수납부(120) 내의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쉽게 미끄러지며 탈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120)의 외측 표면은 표면거칠기를 크게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즉, 육안으로 관찰 시 광택이 감지되지 않은 정도의 수준으로 처리하여 상기 본체부(100)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수납부(120)를 둘러싸는 모서리부가 상기 수납부(120)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200)과 결합되는 단부(130)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140)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140)의 단부에는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걸림부(141)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140)를 손으로 잡았을 때 상기 손잡이부(14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부(140)의 상측면 일측에는 상기 수납부(120)의 용적을 표시하는 문자표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문자표시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에 따라 성형되거나 표면에 인쇄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120)의 용적은 다양한 부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문자표시부(미도시)는 상기 수납부(120)의 용적을 ㎖나 ㎎ 또는 스푼 단위로 표기하여 냉동상태의 음식물의 용량을 쉽게 개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200)는 가장자리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가장자리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단부(130)에 결합시 탄성적으로 압착 밀폐되어 물이나 국물 등이 새지 않고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수납부(120)의 상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부(12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며,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는 모서리 일측에 상기 덮개부(200)를 쉽게 열 수 있도록 모서리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덮개부 손잡이(210)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된 덮개부(200)를 덮개부 손잡이(210)를 이용해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수납부(120) 각각에 마늘이나 생강 등을 갈아서 다진 양념, 식재료 또는 물 등의 음식물을 담고, 상기 덮개부(200)를 닫고 냉동 또는 냉장실에서 보관할 수 있게 되며, 필요시에 상기 수납부(120)의 바닥면(120a)을 눌러 쉽게 음식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120)에 담기는 음식물은 상기 수납부(120)의 측벽을 형성하는 상기 격자부(110)의 상단면까지 담기더라도 덮개부(200)를 닫아 밀폐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모서리부에 마련되는 단부(130)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120)에 수납되는 음식물을 외기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격자부 사이에 구비되는 분리용 돌기(111)에 의하여 음식물이 상단부까지 올라와 냉동시 부피가 커져 격자부에 압력이 가해져도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격자부와 격자부에 연결된 음식물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덮개부(200)를 덮은 상기 본체부(100)를 다수로 구비하여 이를 상측 적재시 냉동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부(200)를 닫은 상기 본체부(100)를 냉동실에 넣고 냉동시키게 되면, 사용자는 필요 시마다 상기 본체부(100)를 꺼내 상기 덮개부(200)를 열고 냉동상태의 음식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으로 마련되는 손잡이부(140)를 잡고 상기 본체부(100)를 냉동실로부터 꺼내며, 상기 손잡이부(140)는 그 단부에 걸림부(141)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상기 손잡이부(140)를 잡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손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본체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냉동된 식재료를 상기 수납부(120)로부터 꺼내기 위해, 상기 수납부(120)의 바닥면(120a)을 상기 수납부(120)의 내측으로 눌러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상기 수납부(120)로부터 탈거되도록 하며, 상기 바닥면(120a)은 상기 수납부(120)의 측면(120b)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힘을 가했을 때 상기 바닥면(120a)은 쉽게 눌리는 동시에 측면(120b)은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수납부(120)의 내용물이 쉽게 탈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120)에 수용된 음식물이 냉동과정에서 부피가 증가하면서 상기 수납부(120)로부터 넘쳐 타 수납부의 내용물과 연결된 채 냉동될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120)의 바닥면(120a)을 눌렀을 때 원하는 수납부의 음식물 뿐만 아니라 주변의 음식물까지 한 덩어리로 탈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자부(110)의 상측면에 마련된 분리용 돌기(111)에 의해 내용물이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동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연결되어 동결되어 있던 내용물들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분리된 후 상기 수납부(120)의 바닥면(120a)은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형태로 돌아가게 되며, 이후 상기 덮개부(200)를 닫아 남은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냉동실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양념, 식재료 또는 물 등의 음식물을 일정량씩 담은 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격자부(11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된 수납부(120)의 바닥면(120a)에 돌출부를 형성하되, 탄성 및 복원력, 강도를 높이기 위해 원형의 제1돌출부(121)와, 그 중앙에 도넛형태의 돌기부(122)를 구성하고, 상기 돌기부(122)의 중심에 형성되는 오목한 홈부(123a)에 의해 수납부의 내측 중심에 볼록한 제2돌출부(123)가 형성되어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바닥면(120a)에 평평하게 접촉되지 않아 상기 바닥면(120a)을 눌러 각 수납부(120)에 수용된 냉동상태의 음식물을 깨지거나 갈라지지 않은 상태로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상기 수납부(120)의 바닥면(120a)보다 측면(120b)이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120a)을 눌렀을 때 상기 측면(120b)이 변형되지 않아 수납부(120)에 수용된 냉동상태의 음식물이 쉽게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120)에 변형을 가하더라도 쉽게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변형이 남게 되어 발생되는 불편함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상기 바닥면(120a)에서 상기 돌기부(122)의 두께와 제2돌출부(123)의 두께가 같고, 상기 돌기부(122)와 제2돌출부(123)의 사이의 두께보다 돌기부(122)와 제2돌출부(123)의 두께가 두껍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닥면(120a)을 눌렀을 때 냉동상태의 음식물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냉동용기는 상기 바닥면(120a)이 탄성력을 갖고 구부러지도록 마련됨으로써 내용물을 각 수납부(120) 별로 독립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각종 양념이나 이유식, 죽, 약물 등을 1회 분량만큼 냉동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남은 식재료를 위생적으로 냉동하여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적의 수납부(120)를 갖는 용기가 제공됨으로써, 다진마늘과 같은 소용량의 식재료부터 이유식과 같은 비교적 큰 용량의 식품까지 1회 제공분 씩 냉동보관하여 필요시마다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본체부
110 : 격자부 111 : 분리용 돌기
120 : 수납부 120a : 바닥면
120b : 측면 121 : 제1돌출부
122 : 돌기부 123 : 제2돌출부
123a : 홈부 130 : 단부
140 : 손잡이부 141 : 걸림부
200 : 덮개부
210 : 덮개부 손잡이

Claims (5)

  1. 양념, 식재료 또는 물 등을 일정량씩 담은 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격자부(11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된 수납부(120)가 구비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수납부(120)를 덮어 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덮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납부(120)에 곡률을 갖고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 측으로 돌출된 바닥면(120a)이 탄성력을 갖고 상기 수납부(120)의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120a)에는 원형의 제1돌출부(121)와 그 중앙에 도넛형태의 돌기부(122)가 구성되고, 상기 돌기부(122)의 중심에 오목한 홈부(123a)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1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수납부(120)의 중심부에 상기 홈부(123a)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록한 제2돌출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1)와 돌기부(122)는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돌출부(121)와 상기 제2돌출부(123)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식품용 냉동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2)와 제1돌출부(121)의 사이의 두께보다 돌기부(122)와 제2돌출부(123) 사이의 두께가 더 두껍게 구비되는 식품용 냉동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20)는 상기 바닥면(120a)의 두께(t1)보다 상기 수납부(120)의 측면(120b)의 두께(t2)가 두껍게 형성되는 식품용 냉동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121)의 외곽 테두리의 높이가 상기 제2돌출부(123)의 중심부보다 높은 식품용 냉동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제2돌출부(123)의 두께(b)가 돌기부(122)와 제2돌출부(123) 사이의 두께와 동일한 식품용 냉동용기.

KR1020180071621A 2018-06-21 2018-06-21 식품용 냉동용기 KR102008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621A KR102008289B1 (ko) 2018-06-21 2018-06-21 식품용 냉동용기
PCT/KR2018/007243 WO2019245095A1 (ko) 2018-06-21 2018-06-26 식품용 냉동용기
JP2020570154A JP2021533038A (ja) 2018-06-21 2018-06-26 食品用冷凍容器
US17/252,882 US20210122514A1 (en) 2018-06-21 2018-06-26 Food freezer container
CN201880094763.3A CN112313153B (zh) 2018-06-21 2018-06-26 一种食品冷冻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621A KR102008289B1 (ko) 2018-06-21 2018-06-21 식품용 냉동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89B1 true KR102008289B1 (ko) 2019-08-08

Family

ID=6761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621A KR102008289B1 (ko) 2018-06-21 2018-06-21 식품용 냉동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22514A1 (ko)
JP (1) JP2021533038A (ko)
KR (1) KR102008289B1 (ko)
CN (1) CN112313153B (ko)
WO (1) WO201924509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27Y1 (ko) 2019-12-26 2020-09-17 주식회사 단미푸드 큐브치즈 포장용기
KR20220001538U (ko) * 2020-12-21 2022-06-28 박순식 아이스 트레이
KR20220116869A (ko) * 2021-02-16 2022-08-23 최준혁 밀폐 큐브 용기
KR20230000089U (ko) * 2021-10-26 2023-01-10 주식회사 소셜빈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308163A1 (en) * 2017-07-27 2020-03-19 Johannes Nell A moul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52Y1 (ko) 2010-09-08 2010-12-13 이정미 양념 저장용 격자구조의 칸막이 용기
KR20120006175U (ko) * 2011-02-25 2012-09-05 김민기 실리콘 얼음 트레이
KR101248337B1 (ko) 2011-03-31 2013-04-01 이정미 양념 저장 용기
KR101519819B1 (ko) 2013-05-29 2015-05-13 이정미 식품용 제빙용기
KR20150003192U (ko) * 2014-02-17 2015-08-26 김준기 다용도 냉동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2454A (en) * 1937-08-09 1939-12-05 Alvin G Sherman Ice cube tray
US2341700A (en) * 1941-01-25 1944-02-15 Samuel L Diack Ice tray
US2558984A (en) * 1948-09-23 1951-07-03 Roethel Engineering Corp Ice tray
CH473719A (fr) * 1968-12-24 1969-06-15 Injection Plastiques Paul Hern Gobelet en plastique pour crème glacée
US3638903A (en) * 1970-01-09 1972-02-01 Gen Motors Corp Freezing container with spillguard
JPS594957Y2 (ja) * 1981-03-26 1984-02-14 雪印乳業株式会社 冷凍食品容器
JPS63152568A (ja) * 1986-12-16 1988-06-25 高島 晴彦 冷凍食品パツ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5393032A (en) * 1988-04-29 1995-02-28 Arctic Icewater, Inc. Non-reusable, peel off covered ice tray
US4899976A (en) * 1988-04-29 1990-02-13 Arctic Icewater, Inc. Ice cube tray
JPH0216968U (ko) * 1988-07-15 1990-02-02
US6196518B1 (en) * 1997-08-08 2001-03-06 World Kitchen, Inc. Ice cube having a slidable cover
IT251473Y1 (it) * 2000-04-13 2003-11-19 Annita Brugnera Perfezionamento a confezioni sigillate di prefissate dosi di liquidi congelati con provvedimenti per facilitare l'espulsione della massa
JP2003165526A (ja) * 2001-11-29 2003-06-10 Jun Kawahara 食品を小分けして収容する冷凍容器
JP2002302192A (ja) * 2002-01-18 2002-10-15 Ngk Spark Plug Co Ltd 電子部品用パッケージ本体の収容用の容器
JP2003322441A (ja) * 2002-04-25 2003-11-14 Ryohin Keikaku Co Ltd 製氷器
JP3100849U (ja) * 2003-10-03 2004-05-27 株式会社ニチロ 冷凍食品用トレイ
JP3673271B1 (ja) * 2004-06-07 2005-07-20 正雄 酒井 冷凍用容器
GB2428961A (en) * 2005-08-13 2007-02-14 Georgina Gail Johnson A weaning tray
JP3149489U (ja) * 2008-09-04 2009-04-02 松本 めぐみ フタ付きシリコン製氷皿
US20110005242A1 (en) * 2009-07-11 2011-01-13 Sciortino Ronald R Ice Mold
CN202063330U (zh) * 2011-03-17 2011-12-07 张国恩 一种多层保鲜盒
KR20130098623A (ko) * 2012-02-28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DE112013002899A5 (de) * 2012-10-29 2015-08-06 Cstec Gmbh Kapsel zur Aufnahme eines Brühguts wie Kaffee, Tee und desgleichen, sowie Verfahren zum Verschließen einer solchen Kapsel
JP3183911U (ja) * 2013-03-26 2013-06-06 スケーター株式会社 製氷容器
KR20150028866A (ko) * 2013-08-19 2015-03-17 김남영 복수의 포장셀을 구성하고 있는 두부 포장용기 및 포장 방법
JP6390345B2 (ja) * 2014-10-27 2018-09-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冷凍にぎり寿司収納用二重容器及び冷凍にぎり寿司収納物
RU2672022C1 (ru) * 2014-11-27 2018-11-08 Компани Жервэ Данон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содержащий приводимый в действие вручную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DE102015016524B3 (de) * 2015-12-18 2017-02-09 Emz-Hanauer Gmbh & Co. Kgaa Eisbereiter zum Einbau in eine Tür eines Kühl- oder Gefriergerä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52Y1 (ko) 2010-09-08 2010-12-13 이정미 양념 저장용 격자구조의 칸막이 용기
KR20120006175U (ko) * 2011-02-25 2012-09-05 김민기 실리콘 얼음 트레이
KR101248337B1 (ko) 2011-03-31 2013-04-01 이정미 양념 저장 용기
KR101519819B1 (ko) 2013-05-29 2015-05-13 이정미 식품용 제빙용기
KR20150003192U (ko) * 2014-02-17 2015-08-26 김준기 다용도 냉동용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27Y1 (ko) 2019-12-26 2020-09-17 주식회사 단미푸드 큐브치즈 포장용기
KR20220001538U (ko) * 2020-12-21 2022-06-28 박순식 아이스 트레이
KR200496345Y1 (ko) * 2020-12-21 2023-01-06 박순식 아이스 트레이
KR20220116869A (ko) * 2021-02-16 2022-08-23 최준혁 밀폐 큐브 용기
KR102534913B1 (ko) * 2021-02-16 2023-05-19 최준혁 밀폐 큐브 용기
KR20230000089U (ko) * 2021-10-26 2023-01-10 주식회사 소셜빈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WO2023075072A1 (ko) * 2021-10-26 2023-05-04 주식회사 소셜빈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KR200497964Y1 (ko) * 2021-10-26 2024-04-29 주식회사 소셜빈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13153B (zh) 2022-08-05
JP2021533038A (ja) 2021-12-02
WO2019245095A1 (ko) 2019-12-26
CN112313153A (zh) 2021-02-02
US20210122514A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289B1 (ko) 식품용 냉동용기
US20130068772A1 (en) Container lid with detachable chamber or compartment
JP3187021U (ja) 冷熱凍カップ
US11008152B2 (en) Multi-chamber container
US2892595A (en) Portable storage and crushing device
US20150327702A1 (en) Cup with outwardly protruding straw channel and nestable food container and cover
EP2611710A2 (en) Adaptive cover for sealing multiple objects having irregular shapes and method of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KR20150003192U (ko) 다용도 냉동용기
TWM452728U (zh) 冷熱冰杯之改良(第四案)
KR101519819B1 (ko) 식품용 제빙용기
US3545642A (en) Compartmented dish
EP1659074A1 (en) Container for foods to be preserved with a preserving liquid
US20040211879A1 (en) Dripless ice cube making and bagging tray
US10174983B2 (en) Ice cube tray device
NL9400290A (nl) Warmte-isolerende transportinrichting voor voedsel.
US20100288773A1 (en) Pitcher
KR101388153B1 (ko) 보온 도시락
KR100541265B1 (ko)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KR200471140Y1 (ko) 냉동식품 포장용기
US3263840A (en) Method of dispensing embossed butter patties
KR20200015057A (ko) 음식물 보냉 용기
KR20160002645U (ko) 이중 컵
KR20230174465A (ko) 공장 제조 퓌레 큐브 제품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EP1431201B1 (en) Single-piece multi-compartment container for food products to be directly consum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