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089U -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089U
KR20230000089U KR2020210003248U KR20210003248U KR20230000089U KR 20230000089 U KR20230000089 U KR 20230000089U KR 2020210003248 U KR2020210003248 U KR 2020210003248U KR 20210003248 U KR20210003248 U KR 20210003248U KR 20230000089 U KR20230000089 U KR 202300000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ealing
container body
airtight container
freez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964Y1 (ko
Inventor
김학수
우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셜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셜빈
Priority to KR2020210003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64Y1/ko
Priority to PCT/KR2022/009081 priority patent/WO2023075072A1/ko
Publication of KR20230000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089U/ko
Priority to KR2020240000732U priority patent/KR202400007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23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는, 상면이 개방되고 식품이 담기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고, 용기본체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에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덮개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외측을 감싸는 제1 밀폐돌부와, 결합돌기의 내측을 감싸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측벽의 상부 내측에 밀착되는 제2 밀폐돌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Description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FOR FREEZING FOOD}
본 고안은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된 식품을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면서 이중 밀폐 구조를 가지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용기는, 물 등을 담아 얼려서 사용하도록 제공된 용기로, 통상 격자 형태를 이루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면을 밀폐하는 덮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냉동용기를 구성하는 덮개는, 용기본체와 단순한 돌기홈 구조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는바, 용기본체에 식품이 수용되고 어는 과정에서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용기본체로부터 들뜸이 발생되어 냉동실 내에 식품 냄새가 배어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냉동용기는, 통상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져 액체를 냉동시키기에 적합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바, 이유식, 다진 마늘, 죽 등과 같은 식품(식재료 포함)을 냉동시키고 용기본체를 비틀어 빼냄에 있어, 냉동된 식품이 부서지게 되어, 온전한 상태로 빼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식품을 전용으로 냉동할 수 있는 냉동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중 밀폐 구조를 가져 냉동실 내의 식품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냉동된 식품을 손쉽게 꺼낼 수 있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는, 상면이 개방되고 식품이 담기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고, 용기본체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에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덮개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외측을 감싸는 제1 밀폐돌부와, 결합돌기의 내측을 감싸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측벽의 상부 내측에 밀착되는 제2 밀폐돌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본체는, 측벽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밀폐유도날개가 형성되고, 결합돌기는 밀폐유도날개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 밀폐돌부와, 제2 밀폐돌부의 일부가 밀폐유도날개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밀폐돌부는, 결합홈에 삽입된 결합돌기를 향해 걸림돌부가 돌출형성되고, 결합돌기는, 걸림돌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부가 삽입되는 걸림홈부가 함입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밀폐돌부는, 결합돌기의 내측을 감싸면서 밀폐유도날개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적어도 측벽의 상부 내측까지 형성된 밀폐부를 포함하고, 밀폐부는, 안착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본체는, 복수 개의 저장공간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돌기는,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한꺼번에 둘러싸게끔 형성되고, 밀폐부는, 각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의 상부 내측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본체는, 일단 측에 위치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밀폐유도날개로부터 용기본체의 일단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끔 제1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덮개는, 제1 손잡이부와 밀착되면서 제1 손잡이부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제2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손잡이부의 저면에는, 제1 손잡이부와 밀착되지 않는 부분에 횡방향으로 개방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는, 적어도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루도록 상면이 함입된 적층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본체 및 덮개는, 백금 촉매 공법으로 제조된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밀폐돌부와 제2 밀폐돌부에 의해 용기본체의 결합돌기의 양측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는 이중 밀폐 구조를 가지므로, 저장공간 내 담긴 식품이 어는 과정에서 덮개의 들뜸이 방지되는바, 냉동실 내에 식품 냄새가 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밀폐돌부가 각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의 상부 내측을 둘러싸면서 밀착된 상태를 이루므로, 복수 개의 저장공간에 담긴 식품 간의 섞임이 발생되지 않아 깔끔한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일렬로 배치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냉동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적층홈을 통해 복수 개의 밀폐용기가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밀폐용기 전체가 백금 촉매 공법으로 제조된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구성이 뛰어나고 온도 변화에 강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본체의 측벽이나 바닥면을 가압함으로써 저장공간 내에 냉동된 식품을 손쉽게 꺼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에 적용된 용기본체와 덮개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에 적용된 용기본체와 덮개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에 적용된 빠짐유도돌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에 적용된 용기본체를 가압하여 냉동된 식품을 빼내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에 적용된 제1 손잡이부와 제2 손잡이부가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에 적용된 덮개의 저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가 복수 개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한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방향을 "외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외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 및 덮개(2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식품이 내부에 수용되는 저장공간(110)이 형성된다. 저장공간(110)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측벽(1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저장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면은, 용기본체(1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면이 용기본체(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경우, 저장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된 식품을 손쉽게 빼내기 위한 빠짐유도돌기(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빠짐유도돌기(160)는, 저장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냉동된 식품을 저장공간(110)으로부터 빼내고자 할 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빠짐유도돌기(160)으로 둘러싸인 바닥면 부분을 외측에서 가압함으로써, 빠짐유도돌기(160)가 냉동된 식품을 밀어올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빠짐유도돌기(160)로 인한 효과는, 용기본체(100) 전체 또는 용기본체(100) 중 저장공간(110)을 형성하는 측벽과 바닥면이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때 극대화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단일의 저장공간(11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복수 개의 저장공간(110)으로 이루어져, 한 번에 복수 개의 냉동된 식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저장공간(110)으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00)는, 복수 개의 저장공간(110)이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냉기가 저장공간(110) 내에 담긴 식품에 신속히 전달될 수 있으면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용기본체(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110)을 형성하는 측벽(120)의 상단에 덮개(2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30)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덮개(200)는 용기본체(100)와 결합 시, 결합돌기(130)의 외측과 내측을 모두 감싸면서 결합되는바, 견고하면서도 밀폐력 높은 결합을 위하여, 용기본체(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20)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밀폐유도날개(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30)는, 밀폐유도날개(140)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130)는, 용기본체(100)가 복수 개의 저장공간(110)으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저장공간(110)을 한꺼번에 둘러싸게끔 형성되어, 용기본체(100)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덮개(200)와 결합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하여 냉동실에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하면서 결합된 덮개(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저장공간(110)으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용기본체(100)는,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측에 위치한 저장공간(110)을 형성하는 측벽(120)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밀폐유도날개(140)로부터 용기본체(100)의 일단 외측을 향해 제1 손잡이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150)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하단이 용기본체(100)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덮개(200)는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면과 대응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덮개(200)는 용기본체(100)의 결합돌기(130)를 이중으로 밀폐한다. 즉, 덮개(200)의 가장자리에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30)가 삽입되는 결합홈(210)과, 결합돌기(130)의 외측을 감싸는 제1 밀폐돌부(220)와, 결합돌기(130)의 내측을 감싸는 제2 밀폐돌부(230)가 형성된다. 이처럼 본 고안인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는, 제1 밀폐돌부(220)와 제2 밀폐돌부(230)에 의해 용기본체(100)의 결합돌기(130)의 양측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는 이중 밀폐 구조를 가지므로, 저장공간(110) 내에 감긴 식품이 어는 과정에서 부피의 증가로 인해 덮개(20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냉동실 내에 식품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폐돌부(220)는 결합돌기(130)의 외측에 위치하는 밀폐유도날개(140) 부분에 안착되며, 제2 밀폐돌부(230)의 일부는 결합돌기(13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밀폐유도날개(140) 부분에 안착될 수 있어, 제1 밀폐돌부(220) 및 제2 밀폐돌부(230) 각각의 하단과 밀폐유도날개(140) 사이의 틈새로 냉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밀폐돌부(230)는, 결합돌기(130)의 내측을 감쌈과 더불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저장공간(110)을 형성하는 측벽(120)의 상부 내측에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밀폐돌부(23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30)의 내측을 감싸면서 밀폐유도날개(140)에 안착되는 안착부(231)와, 안착부(231)로부터 연장되어 측벽(120)의 상부 내측까지 형성된 밀폐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밀폐부(232)는, 저장공간(110) 내에 담긴 식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안착부(231)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저장공간(110)이 일렬로 배치된 용기본체(100)에서의 밀폐부(2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저장공간(110)을 형성하는 측벽(120)의 상부 내측을 둘러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밀폐돌부(230)의 밀폐부(232)는, 각 저장공간(110)을 형성하는 측벽(120)의 상부 내측을 둘러싸면서 밀착된 상태를 이루므로, 복수 개의 저장공간(110)에 담긴 식품 간의 섞임이 발생되지 않아 깔끔한 보관이 가능하고, 측벽(120)과 밀폐부(232) 사이의 틈새로 냉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어, 이중 밀폐 구조에 따른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폐돌부(220)는, 결합홈(210)에 삽입된 결합돌기(130)를 향해 걸림돌부(221)가 돌출형성되고, 결합돌기(130)는, 걸림돌부(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부(221)가 상입되는 걸림홈부(131)가 함입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부(221)와 걸림홈부(131)는 결합돌기(130)와 제1 밀폐돌부(220) 간의 절곡 또는 굴곡된 지점을 중간에 형성함으로써 냉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직교하게끔 형성되어 있는바, 용기본체(100)와 덮개(2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에 제1 손잡이부(150)가 형성된 경우, 덮개(200)는, 제1 손잡이부(150)와 밀착되는 제2 손잡이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덮개(200)의 일단에는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2 손잡이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손잡이부(240)는 제1 손잡이부(150)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덮개(200)를 개방시, 제1 손잡이부(150)와 밀착되지 않은 부분을 파지한 상태로 덮개(200)를 용기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손잡이부(240)의 저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부(150)와 밀착되지 않는 부분에 횡방향으로 개방돌기(24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개방돌기(241)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1 손잡이부(150)와 밀착되지 않은 부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손가락의 걸림이 발생되도록 하여 제2 손잡이부(240)를 보다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용기본체(100)의 바닥면에 대응된느 크기를 이루도록 상면이 함입된 적층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밀폐용기를 적층함에 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밀폐용기의 용기본체(100)의 바닥면이, 일 밀폐용기의 하측에 위치하는 타 밀폐용기의 덮개(200)의 적층홈(250)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밀폐용기의 적층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바,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숭한 용기본체(100) 및 덮개(20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저장공간(110) 내에서 냉동된 식품을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00)의 측벽(120)을 가압하여 냉동된 식품이 빠져나오도록 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바닥면을 가압하여 냉동된 식품이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본체(100) 및 덮개(200)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의 실리콘 소재는, 주재료인 실리콘고무에 백금 촉매가 포함된 경화제를 혼합하여 상온 또는 가열하여 형성되는, 백금 촉매 공법으로 제조된 실리콘 소재일 수 있다. 용기본체(100) 및 덮개(200)를 백금 촉매 공법으로 제조된 실리콘 소재로 형성함에 있어, 프레스를 이용하여 약 10분 정도 170
Figure utm00001
에서 1차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븐을 이용하여 약 4시간 정도 200
Figure utm00002
에서 2차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폐용기 전체가 백금 촉매 공법으로 제조된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밀폐용기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온도 변화에 강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 용기본체 110 : 저장공간
120 : 측벽 130 : 결합돌기
131 : 걸림홈부 140 : 밀폐유도날개
150 : 제1 손잡이부 160 : 빠짐유도돌기
200 : 덮개 210 : 결합홈
220 : 제1 밀폐돌부 221 : 걸림돌부
230 : 제2 밀폐돌부 231 : 안착부
232 : 밀폐부 240 : 제2 손잡이부
241 : 개방돌기 250 : 적층홈

Claims (10)

  1.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로서,
    상면이 개방되고 식품이 담기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에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의 외측을 감싸는 제1 밀폐돌부와, 상기 결합돌기의 내측을 감싸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상기 측벽의 상부 내측에 밀착되는 제2 밀폐돌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측벽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밀폐유도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밀폐유도날개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밀폐돌부와, 상기 제2 밀폐돌부의 일부가 상기 밀폐유도날개에 안착되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폐돌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를 향해 걸림돌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걸림돌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돌부가 삽입되는 걸림홈부가 함입형성되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폐돌부는, 상기 결합돌기의 내측을 감싸면서 상기 밀폐유도날개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적어도 상기 측벽의 상부 내측까지 형성된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안착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복수 개의 저장공간이 일렬로 배치되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한꺼번에 둘러싸게끔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는, 각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측벽의 상부 내측을 둘러싸게 형성되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일단 측에 위치한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상기 밀폐유도날개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일단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끔 제1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손잡이부와 밀착되면서 상기 제1 손잡이부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제2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의 저면에는, 상기 제1 손잡이부와 밀착되지 않는 부분에 횡방향으로 개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적어도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루도록 상면이 함입된 적층홈이 형성되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 및 덮개는, 백금 촉매 공법으로 제조된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KR2020210003248U 2021-10-26 2021-10-26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KR200497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48U KR200497964Y1 (ko) 2021-10-26 2021-10-26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PCT/KR2022/009081 WO2023075072A1 (ko) 2021-10-26 2022-06-24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KR2020240000732U KR20240000762U (ko) 2021-10-26 2024-04-24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48U KR200497964Y1 (ko) 2021-10-26 2021-10-26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40000732U Division KR20240000762U (ko) 2021-10-26 2024-04-24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89U true KR20230000089U (ko) 2023-01-10
KR200497964Y1 KR200497964Y1 (ko) 2024-04-29

Family

ID=848925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48U KR200497964Y1 (ko) 2021-10-26 2021-10-26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KR2020240000732U KR20240000762U (ko) 2021-10-26 2024-04-24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40000732U KR20240000762U (ko) 2021-10-26 2024-04-24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497964Y1 (ko)
WO (1) WO202307507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697A (ja) * 1995-04-13 1996-10-29 M K Tec:Kk 開蓋防止機能付き密閉容器
KR102008289B1 (ko) * 2018-06-21 2019-08-08 이정미 식품용 냉동용기
US20200002062A1 (en) * 2016-09-05 2020-01-02 Free-Free Industrial Corp Food container with vents on handles
KR20210017349A (ko) *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플렉스앤락 도시락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74729Y (es) * 2011-05-03 2011-09-26 Lekue S L Utensilio para coccion de huevos sin cascara
KR20150003192U (ko) * 2014-02-17 2015-08-26 김준기 다용도 냉동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697A (ja) * 1995-04-13 1996-10-29 M K Tec:Kk 開蓋防止機能付き密閉容器
US20200002062A1 (en) * 2016-09-05 2020-01-02 Free-Free Industrial Corp Food container with vents on handles
KR102008289B1 (ko) * 2018-06-21 2019-08-08 이정미 식품용 냉동용기
KR20210017349A (ko) *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플렉스앤락 도시락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964Y1 (ko) 2024-04-29
KR20240000762U (ko) 2024-05-08
WO2023075072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27921A1 (en) Vacuum Contain, Twist and Lock Cap, and Pump
JP4665538B2 (ja) 電子レンジ用加熱容器
KR20230000089U (ko) 식품 냉동용 밀폐용기
JP2009078865A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JP3157861U (ja) 食品包装容器
KR101581017B1 (ko) 이물질 투입방지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KR101793903B1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JP2001114317A (ja) 食品保存容器
KR20070000578U (ko) 격벽에 의해 밀폐 기능을 가지는 식판 용기
JP2009179336A (ja) 包装用容器
KR101306572B1 (ko) 반찬용기 보관케이스
CN210870221U (zh) 分体式隔断铝箔盒
KR101091747B1 (ko) 식품보관용기
KR102074369B1 (ko) 밀폐용기 겸용 냄비
KR100828907B1 (ko)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JP3135618U (ja) 弁当箱
KR20200008689A (ko) 음식물 포장용기
JP3162961U (ja) インスタント食品用容器の湯切り構造
CN217337658U (zh) 折叠饭盒
KR102037511B1 (ko) 휴대가 가능한 보냉 진공필름 및 이를 사용한 진공포장방법
KR200420267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CN219970523U (zh) 一种一次性包装提手杯
KR20120096249A (ko) 안전 캔 용기
JP5188733B2 (ja) ツインタイプの包装容器
KR200478379Y1 (ko)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