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819B1 - 식품용 제빙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용 제빙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819B1
KR101519819B1 KR1020130061342A KR20130061342A KR101519819B1 KR 101519819 B1 KR101519819 B1 KR 101519819B1 KR 1020130061342 A KR1020130061342 A KR 1020130061342A KR 20130061342 A KR20130061342 A KR 20130061342A KR 101519819 B1 KR101519819 B1 KR 10151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od
frozen
handl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457A (ko
Inventor
이정미
Original Assignee
이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filed Critical 이정미
Priority to KR1020130061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81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제빙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격자부(120)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수납부(110)가 마련되는 본체부(100); 및 탄성력을 갖고 상기 수납부(110)의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면(110b)이 마련되는 식품용 제빙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제빙용기에 따르면, 수납부의 바닥면이 탄성력을 갖고 구부러지도록 마련됨으로써 내용물을 각 수납부별로 독립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각종 양념이나 이유식, 죽, 약물 등을 1회분량만큼 냉동보관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다양한 용적의 수납부를 갖는 용기가 제공됨으로써, 다진마늘과 같은 소용량의 식재료부터 이유식과 같은 비교적 큰 용량의 식품까지 1회 제공분씩 냉동보관하여 필요 시마다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용 제빙용기{Frozen food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제빙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내용물을 격실별로 쉽게 분리할 수 있고, 밀폐용 뚜껑이 제공되어 다양한 식재료를 냉동보관하여 소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빙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용기는 물이나 음료 등을 담아 얼려서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용기로, 다수의 격실을 갖는 플라스틱판형으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제빙용기는 음료 종류의 제빙에 적합한 형태와 크기의 격실을 가짐으로 인해 식품류, 예컨대 다진 마늘이나 이유식, 죽과 같은 소용량 내지 대용량의 식재료 및 식품의 냉동용기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비교적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용기 전체를 뒤집어 내용물을 일괄적으로 탈거하는 방식으로 이용되므로, 격실 내의 내용물을 하나씩 꺼내쓰는 용도로는 사용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4-0001576 호(발명자 : 김교종)은 그 내부에 물을 수용하며 상부가 개구된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며 냉장고의 냉동실에 투입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얼음용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용기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얼음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은 냉장고 등의 냉동실에 넣어서 가정 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얼음을 만드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재료로 실리콘을 사용함으로써, 가요성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환경호르몬의 방출을 제거하며, 얼려진 얼음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실리콘 얼음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은 물이나 음료 등을 냉동시켜 얼음을 만들기 위한 용기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식재료나 식품의 냉동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065900 호(발명자 : 이정미)는 냉동실에 보관된 양념용기 내의 냉동양념을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냉동 양념 자동카터기에 있어서, 상부공간부(111)와 하부공간부(112)가 내부에 구비된 카터기몸체(11)와; 상기 상부공간부(111)에 구비되어 상하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된 왕복운동수단(12)과; 상기 하부공간부(112)에 구비되어 양념류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서랍형 양념용기(14)와; 상기 왕복운동수단(12)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왕복운동수단(12)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된 가로막플레이트(15)와;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5)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5)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서랍형 양념용기(14)의 내부로 하강하여 냉동된 양념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카터(17)와; 상기 카터기몸체(11)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왕복운동수단(12)을 구동시켜줄 수 있도록 된 모터(18)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양념 자동카터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은 냉동된 양념을 일정한 양만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냉동 양념 자동카터기에 관한 것으로, 왕복운동수단과 구동모터 및 절단카터로 구성된 카터기를 구비하여, 생강이나 마늘 등과 같은 채소류를 갈아 만든 각종 양념류를 서랍형의 양념용기에 넣어 냉동실에 냉동 보관하면서 필요시에 상기 양념용기를 꺼내어, 이를 상기 카터기에 넣어 상기 왕복운동수단의 상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절단카터를 이용하여 절단시켜줌으로써 양념용기에 보관된 냉동양념을 필요한 양만큼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잘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냉동양념의 활용 효용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냉동 양념 자동카터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은 냉동된 식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분량만큼만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냉동된 양념 덩어리를 절단하기 위한 카터기가 구비되어야 하고, 소량의 양념을 보관 및 사용하고자 할 때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얼음이나 음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재료를 냉동하고 필요한 분량만큼만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남은 식재료를 위생적으로 냉동하여 보관할 수 있는 식품용 제빙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어 마련되고, 내측에 격자부(120)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수납부(110)가 마련되는 본체부(100); 및 상기 수납부(110)에 곡률을 갖고서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돌출된 면이 탄성력을 갖고 상기 수납부(110)의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닥면(110b)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110)는, 측벽(110a)의 두께(t1)가 상기 바닥면(110b)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b)의 바깥쪽을 포함하는 상기 수납부(110)의 외측 표면이 거칠게 처리되고, 상기 바닥면의 안쪽을 포함하는 내측 표면이 광택을 갖도록 매끄럽게 처리되어 마련되는 식품용 제빙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격자부는, 상기 격자부 상단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납부의 내용물이 넘쳤을 시 상기 격자부 상단을 덮은 채로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분리용 돌기; 및 상기 분리용 돌기가 형성되는 격자부 상단면의 반대면에 마련되고, 상기 다수로 마련되는 수납부의 측벽 외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보강 리브가 마련되는 식품용 제빙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납부를 둘러싸는 모서리부가 상기 수납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밀폐용 뚜껑이 결합되는 단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식품용 제빙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가 수직 하방으로 꺾여 연장됨으로써 마련되는 걸림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면 일측에 상기 수납부의 용적을 표시하는 문자표시부가 마련되는 식품용 제빙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제빙용기에 따르면, 수납부의 바닥면이 탄성력을 갖고 구부러지도록 마련됨으로써 내용물을 각 수납부별로 독립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각종 양념이나 이유식, 죽, 약물 등을 1회분량만큼 냉동보관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수납부 내측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어 내용물이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수납부 외측면이 거칠게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용 뚜껑이 제공되어 원하는 분량만큼 사용한 후 남은 냉동재료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밀폐용 뚜껑을 덮은 본 식품용 제빙용기를 다층으로 적재하여 냉동실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용적의 수납부를 갖는 용기가 제공됨으로써, 다진마늘과 같은 소용량의 식재료부터 이유식과 같은 비교적 큰 용량의 식품까지 1회 제공분씩 냉동보관하여 필요 시마다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식품용 제빙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식품용 제빙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식품용 제빙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식품용 제빙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식품용 제빙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식품용 제빙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식품용 제빙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식품용 제빙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부(100), 수납부(110), 격자부(120), 단부(130), 손잡이(1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어 마련되고, 내측에 격자부(120)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수납부(11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폴리에틸렌과 같이 완제품 상태에서 유연성 및 탄성력을 유지하고, 사출성형에 유리하며 저온에 강한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110)는 그 바닥면(110b)이 일반적인 제빙 용기와 달리, 바깥쪽으로 볼록해지도록 곡률이 부여되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를 성형하는 재질의 특성에 따라, 상기 바닥면(110b)은 바깥쪽에서 손으로 눌렀을 때 상기 수납부(110) 내측으로 찌그러졌다가 탄성력을 갖고 다시 복원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바닥면(110b)이 굴신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바닥면(110b)을 눌러 상기 수납부(110)에 담겨져 냉동된 재료를 쉽게 탈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면(110b)의 이러한 굴신율을 높히기 위해, 상기 바닥면(110b)의 두께(t1)가 상기 수납부(110)의 측벽(110a)의 두께(t2)보다 얇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바닥면(110b)이 눌렸을 때 상기 수납부(110)의 측벽(110a)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수납부(110) 내의 냉동물이 쉽게 탈거된다. 또한 상기 측벽(110a)은 직각이 아닌 사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냉동물의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함으로써 상기 냉동물의 탈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선으로 기울어진 측벽(110a)이 상기 바닥면(110b)의 곡면과 접하면서 상기 수납부(110)의 모서리각이 평면각에 가까운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면(110b)을 눌렀을 시 상기 냉동물이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동물의 탈거를 돕기 위해, 상기 수납부(110)는, 상기 바닥면(110b)의 안쪽을 포함한 내측 표면거칠기가 매끄럽게 처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110)의 내측 표면이 광택을 가지도록 표면거칠기를 작게 처리함으로써 상기 바닥면(110b)을 눌렀을 때 상기 수납부(110) 내의 냉동물이 쉽게 미끄러져 탈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동물이 미끄러지는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냉동물이 외기와 접촉하면서 상기 수납부(110)의 내측 표면과 맞닿은 부분이 해동되어 수분막이 형성된다. 이 수분막이 상기 내측 표면과 냉동물 사이에서 윤활제 역할을 하여 상기 냉동물이 쉽게 미끄러지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 표면은 상기 수분막을 흡수하거나 상기 수분막의 표면장력을 높히는 재질 또는 표면거칠기를 가져서는 안 되고, 표면장력을 낮춤으로써 소수성 특성이 강해질 수 있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체의 표면은 표면거칠기가 높을수록 표면장력이 높아져 친수성이 증가한다.
PE 재질의 표면에 대한 이러한 소수성 처리를, 한정된 수치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비용을 증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상업적인 생산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육안과 촉감으로 확인했을 시 확연하게 광택이 감지되는 수준의 표면거칠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표면장력이 낮은 소수성 표면이 가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부(110)의 외측 표면은 표면거칠기를 크게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예컨대 육안으로 관찰 시 광택이 감지되지 않을 정도의 수준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격자부(120)는 상단 일측에 분리용 돌기(1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리용 돌기(121)는 상기 수납부(1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넘쳐서 타 수납부의 내용물과 섞인 상태에서 얼었을 시 해당 수납부(110)의 내용물만 탈거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납부(110)와 타 수납부를 구분하는 격자부(120)의 중앙에 일정한 길이로 융기되어 마련된다. 이렇게 상기 분리용 돌기(121)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수납부(110)에서 흘러 넘친 내용물이 타 수납부의 내용물과 섞여서 냉동되더라도 쉽게 파단 가능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용 돌기(121)가 형성되는 상기 격자부(120)의 반대면에는 보강리브(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21)는 상기 수납부(110)의 측벽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수납부(110) 사이가 지나치게 벌어져 본체부(100) 자체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분리용 돌기(121)의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싱크(sink)로 인해 본체부(100)의 인장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수납부(110)를 둘러싸는 모서리부가 상기 수납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밀폐용 뚜껑(150)이 결합되는 단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용 뚜껑(150)은 상기 단부(130)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110)를 밀폐시키도록 마련되고, 상측면에 타 제빙용기의 본체부(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모서리부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밀폐용 뚜껑(150)의 모서리 일측에는 상기 뚜껑(150)을 쉽게 열 수 있도록 모서리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뚜껑손잡이(151)가 마련된다. 상기 뚜껑손잡이(151)에는 식별용 탭을 달 수 있는 탭홀(151a)가 상기 뚜껑손잡이(15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수납부(110)에 수납된 음식물과 관련된 정보를 기재한 탭을 상기 탭홀(151a)에 끈으로 묶어 둘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다양한 식품들이 함께 보관되는 냉동실에서 쉽게 원하는 식재료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그 끝이 아래로 꺾여 연장됨으로써 손으로 잡았을 시에 상기 손잡이부(14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40)의 상측면 일측에는 상기 수납부(110)의 용적을 표시하는 문자표시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문자표시부(141)는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에 따라 성형되거나 표면 인쇄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10)의 용적은 다양한 부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문자표시부(141)는 상기 수납부(110)의 용적을 ㎖나 ㎎ 또는 스푼 단위로 표기함으로써 냉동물의 용량을 쉽게 개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제빙용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준비된 식재료, 예컨대 다진 마늘, 이유식, 양념장, 쥬스 등 냉동보관이 가능한 죽 또는 액체 형태의 식재료를 상기 본체부(100)에 다수로 마련되는 상기 수납부(110)에 담는다. 이때 상기 식재료는 상기 수납부(110)의 측벽을 형성하는 상기 격자부(120)의 상단면까지 담기도록 해야만 밀폐용 뚜껑(150)을 닫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밀폐용 뚜껑(150)은 상기 본체부(100)의 모서리부에 마련되는 단부(130)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110)에 수납되는 식품을 외기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밀폐용 뚜껑(150)을 덮은 상기 본체부(100)를 다수로 구비하여 이를 상층 적재하여 냉동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밀폐용 뚜껑(150)을 닫은 상기 본체부(100)를 냉동실에 넣고 냉동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필요 시마다 상기 본체부(100)를 꺼내 상기 밀폐용 뚜껑(150)을 열고 상기 냉동된 식재료를 꺼내 쓸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으로 마련되는 손잡이(140)를 잡고 상기 본체부(100)를 냉동실로부터 꺼낸다. 상기 손잡이(140)는 그 단부에 걸림부(142)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상기 손잡이(140)를 잡을 수 있도록 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사용자는 냉동된 식재료를 상기 수납부(110)로부터 꺼내기 위해, 상기 수납부(110)의 바닥면(110b)을 윗 쪽으로 눌러 상기 식재료가 상기 수납부(110)로부터 탈거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면(110b)은 상기 수납부(110)의 측벽(110a)보다 그 두께(t1)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힘을 가했을 시 바닥면(110b)은 쉽게 눌리는 동시에 측벽(110a)은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수납부(110)의 내용물이 쉽게 탈거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10)의 내측면은 표면거칠기가 매끄럽게 처리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110)의 바닥면(110b)을 눌렀을 시에 상기 수납부(110) 내의 냉동 식재료가 마찰 없이 상기 수납부(11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부(110)의 바깥면은 표면거칠기가 거칠게 처리되어 냉동 상태에서 외기에 접한 상기 수납부의 바깥면에 맺히게 되는 수분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동 식재료가 냉동과정에서 부피가 증가하면서 상기 수납부(110)로부터 넘쳐 타 수납부의 내용물과 연결된 채 냉동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110)의 바닥면(110b)을 눌렀을 시 원하는 수납부의 내용물뿐만 아니라 주변의 내용물까지 한 덩어리로 탈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자부(120)의 상측면에 마련되는 분리용 돌기(121)에 의해 내용물이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동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연결되어 동결되어 있는 내용물들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냉동 식재료가 분리된 후 상기 수납부(110)의 바닥면(110b)은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형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다시 상기 밀폐용 뚜껑(150)을 닫아 남은 식재료를 위생적으로 냉동실에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40)의 상측면에 마련되는 문자표시부(141)를 확인하여 상기 수납부(110)에 수납된 내용물의 용량을 파악할 수 있어 정량에 따라 요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부 110 : 수납부
110a : 측벽 110b : 바닥면
120 : 격자부 121 : 분리용 돌기
122 : 보강리브 130 : 단부
140 : 손잡이 141 : 문자표시부
142 : 걸림부 150 : 밀폐용 뚜껑
151 : 뚜껑손잡이 151a : 탭홀

Claims (4)

  1.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어 마련되고, 내측에 격자부(120)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수납부(110)가 마련되는 본체부(100); 및
    상기 수납부(110)에 곡률을 갖고서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돌출된 면이 탄성력을 갖고 상기 수납부(110)의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닥면(110b)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110)는, 측벽(110a)의 두께(t1)가 상기 바닥면(110b)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b)의 바깥쪽을 포함하는 상기 수납부(110)의 외측 표면이 거칠게 처리되고, 상기 바닥면의 안쪽을 포함하는 내측 표면이 광택을 갖도록 매끄럽게 처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격자부(120)는,
    상기 격자부(120) 상단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0)의 내용물이 넘쳤을 시 상기 격자부(120) 상단을 덮은 채로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분리용 돌기(121); 및
    상기 분리용 돌기(121)가 형성되는 격자부(120) 상단면의 반대면에 마련되고, 상기 다수로 마련되는 수납부(110)의 측벽(110a) 외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보강 리브(122)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수납부(110)를 둘러싸는 모서리부가 상기 수납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밀폐용 뚜껑이 결합되는 단부(130)가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밀폐용 뚜껑은,
    모서리 일측에 상기 밀폐용 뚜껑(150)을 쉽게 열 수 있도록 모서리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뚜껑손잡이(151)가 마련되고,
    상기 뚜껑손잡이(151)는,
    식별용 탭을 달 수 있는 탭홀(151a)이 상기 뚜껑손잡이(151)를 관통하여 형성하는 식품용 제빙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140);
    상기 손잡이부(140)의 단부가 수직 하방으로 꺾여 연장됨으로써 마련되는 걸림부(142); 및
    상기 손잡이부(140)의 상측면 일측에 상기 수납부(110)의 용적을 표시하는 문자표시부(141)가 마련되는 식품용 제빙용기.

KR1020130061342A 2013-05-29 2013-05-29 식품용 제빙용기 KR10151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342A KR101519819B1 (ko) 2013-05-29 2013-05-29 식품용 제빙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342A KR101519819B1 (ko) 2013-05-29 2013-05-29 식품용 제빙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457A KR20140140457A (ko) 2014-12-09
KR101519819B1 true KR101519819B1 (ko) 2015-05-13

Family

ID=5245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342A KR101519819B1 (ko) 2013-05-29 2013-05-29 식품용 제빙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289B1 (ko) 2018-06-21 2019-08-08 이정미 식품용 냉동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6560B2 (ja) * 2018-09-03 2022-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製氷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0393A (ja) * 2002-02-20 2003-08-27 Iwasaki Kogyo Kk 製氷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0393A (ja) * 2002-02-20 2003-08-27 Iwasaki Kogyo Kk 製氷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289B1 (ko) 2018-06-21 2019-08-08 이정미 식품용 냉동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457A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289B1 (ko) 식품용 냉동용기
US20180297742A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commercializing individual frozen food por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1130347A2 (en) Portable cooler
JP2010202262A (ja) 食品包装用トレー及び食品包装体
KR101519819B1 (ko) 식품용 제빙용기
KR20150003192U (ko) 다용도 냉동용기
US2549440A (en) Combination dish
KR101417382B1 (ko) 용기
JP2001114317A (ja) 食品保存容器
JP2008174278A (ja) 加工食品用容器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EP1659074A1 (en) Container for foods to be preserved with a preserving liquid
KR200444080Y1 (ko) 과일 포장용기
KR200471140Y1 (ko) 냉동식품 포장용기
KR100541265B1 (ko)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US20160100699A1 (en) Basket with handle
KR20150000881U (ko) 아이스 홍시 포장용기용 아이스 포장박스
KR200494627Y1 (ko) 냉동식품 보관함 칸막이
EP3381833A1 (en) Kimchi packing container having flexibility and standard form
KR200492398Y1 (ko) 개별 소포장 용기
JP3598249B2 (ja) 冷凍庫用容器
JP3124157U (ja) スライス容器
CN210417661U (zh) 一种冷饮食品包装盒
KR20110005645U (ko) 치킨 배달용 포장상자
KR100625935B1 (ko) 육류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