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869A - 밀폐 큐브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 큐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869A
KR20220116869A KR1020210020250A KR20210020250A KR20220116869A KR 20220116869 A KR20220116869 A KR 20220116869A KR 1020210020250 A KR1020210020250 A KR 1020210020250A KR 20210020250 A KR20210020250 A KR 20210020250A KR 20220116869 A KR20220116869 A KR 20220116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container body
airtight
c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913B1 (ko
Inventor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최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혁 filed Critical 최준혁
Priority to KR1020210020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9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큐브에 보관되는 내용물이 인접한 수납 큐브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와 밀폐 뚜껑이 단단하게 결착할 수 있으면서도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 본체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부에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편평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 뚜껑; 및 일측 외벽에서 타측 외벽까지 용기 내측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하여 둘 이상의 수납 큐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착된 상기 밀폐 뚜껑의 편평부 하면에 밀착되는 높이로, 상기 격벽 상면을 따라 용기 일측 외벽에서 타측 외벽까지 길게 밀착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 큐브 용기{Airtight Cubic Compartmen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 큐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 큐브에 보관되는 내용물이 인접한 수납 큐브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와 밀폐 뚜껑이 단단하게 결착할 수 있으면서도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 큐브 용기는 격벽 등에 의하여 구획된 다수개의 사각의 수납 공간인 수납 큐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수납 큐브에 유아가 한 번 먹을 양의 이유식이나 한번 먹을 양의 음식을 요리하기 위한 식재료들을 소분한 후, 뚜껑을 덮어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밀폐 큐브 용기는 격벽 등으로 구획되는 횟수에 따라 2개, 4개, 9개 등 다양한 개수의 수납 큐브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 수납 큐브에 보관된 음식이나 식재료 등 내용물이 인접한 수납 큐브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의 하면에 격벽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한 제조업체에서 생산한 다수개의 밀폐 큐브 용기들이 너비와 길이 등 규격이 동일하더라도 구비된 수납 큐브의 수가 상이하면, 다른 밀폐 큐브 용기의 뚜껑을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만약 어느 한 밀폐 큐브 용기의 뚜껑을 분실하였거나 뚜껑이 파손된 경우, 보유하고 있는 다른 밀폐 큐브 용기의 뚜껑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없어 밀폐 큐브 용기의 수납 큐브 수에 맞는 뚜껑을 다시 구입하거나 밀폐 큐브 용기를 아예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조업체에서도 동일한 너비와 길이 등을 가지는 밀폐 큐브 용기라도 구비되는 수납 큐브의 수에 따라 뚜껑을 각각 제조하여야 하였으므로, 각 뚜껑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등도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등 제조 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밀폐 큐브 용기에는 음식이나 식재료 등을 수납하여 냉장실이나 냉동고에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뚜껑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조그만 충격에도 뚜껑이 쉽게 벗겨져 수납된 음식이나 식재료가 쏟아져 버리거나, 뚜껑과 용기 사이의 틈으로 액상의 음식이나 식재료가 누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수납 큐브에 보관되는 내용물이 인접한 수납 큐브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와 밀폐 뚜껑이 단단하게 결착할 수 있으면서도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밀폐 큐브 용기는, 용기 본체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부에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편평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 뚜껑; 및 일측 외벽에서 타측 외벽까지 용기 내측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하여 둘 이상의 수납 큐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착된 상기 밀폐 뚜껑의 편평부 하면에 밀착되는 높이로, 상기 격벽 상면을 따라 용기 일측 외벽에서 타측 외벽까지 길게 밀착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벽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 뚜껑에는, 상기 편평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다가 하방으로 라운드 되며 만곡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이 삽입 결착될 수 있는 결착홈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 돌기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벽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격벽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홈부에는, 상기 밀착 돌기와 걸림턱 사이의 간격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편평부의 가장자리에서 수평 연장되는 부분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결착 라인이 상기 결착홈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결림턱은, 상기 걸림턱의 상면이 상기 격벽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외벽 상단부에서 외측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홈부는, 상기 편평부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높이까지 상방으로 절곡된 후,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를 덮는 밀폐 뚜껑의 하면에 용기 본체의 격벽 상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밀착 돌기가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밀폐 뚜껑의 하면에 격벽 상단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용기 본체의 수납 큐브에 보관된 음식이나 식재료 등이 인접한 수납 큐브로 넘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비된 수납 큐브의 개수가 상이하더라도 너비와 길이 등 동일한 규격을 가지는 용기 본체 상호 간에 밀폐 뚜껑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외벽 상단부 외측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과, 밀폐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결착홈부가 상호 결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밀폐 뚜껑을 용기 본체에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착홈부의 내측 하면을 따라 길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착 라인에 의하여 밀폐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폐 큐브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용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폐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폐 큐브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림턱과 결착홈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폐 큐브 용기(10)는 내측을 가로지르는 다수개의 격벽(110)에 의하여 구획되는 사각형 수납 공간인 수납 큐브(120)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편평부(210)가 폐쇄하며 용기 본체(100)에 결착되는 밀폐 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용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격벽(110)은 용기 본체(100)의 일측 측면에서 타측 측면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로 형성되어 있는 격벽(110)과 세로로 형성되어 있는 격벽(110)이 서로 교차하면서 용기 본체(100)의 외벽(101)과 함께 수납 큐브(120)에 해당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가로의 격벽(110) 하나와 세로의 격벽(110) 하나로 구획되는 4개의 수납 큐브(120)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00)가 제시되어 있지만, 가로의 격벽(110)과 세로의 격벽(110)을 임의의 개수로 형성하여 6개나 9개 등 다양한 개수의 수납 큐브(120)를 용기 본체(100)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격벽(110)의 상면에는 격벽(110)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길게 밀착 돌기(1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 돌기(111)의 높이는 상기 밀폐 뚜껑(200)이 상기 용기 본체(100)에 결착되었을 때 상기 밀폐 뚜껑(200)의 편평부(210) 하면에 밀착될 수 있는 높이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격벽(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밀착 돌기(111)와 상기 밀폐 뚜껑(200)의 편평부(210) 하면이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납 큐브(120)에 보관되는 음식이나 식재료 등 내용물이 인접한 수납 큐브(120)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밀폐 뚜껑(200)에 상기 격벽(11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동일한 규격의 용기 본체(100)라면 수납 큐브(120)의 개수에 상관없이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벽(101) 상단부에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걸림턱(1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턱(130)은 용기 본체(100)의 외벽(101)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외벽(101) 상면보다 약간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30)은 용기 본체(100)의 외벽(101) 상면 외측에서 상방으로 원호를 그리며 형성되다가 하방 외측으로 떨어지며 다시 외벽(101)과 만나는 원형의 단면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상기 밀폐 뚜껑(200)에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걸림턱(130)에 대응되는 결착홈부(220)가 밀폐 뚜껑(200)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착홈부(220)는 밀폐 뚜껑(200)의 편평부(210)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하방으로 라운드 되며 만곡하면서 길게 홈을 형성하고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착홈부(220)는 편평부(21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하방으로 원호를 그리며 형성하며 단면이 원형인 홈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홈의 단면은 상기 걸림턱(130)의 단면에 대응되는 유사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결착홈부(220)는 편평부(210)에서 바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겠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평부(210)에서 일정 높이까지 상방으로 절곡된 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결착홈부(220)를 상기 편평부(210)에서 상방으로 높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결착홈부(22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결착 라인(221)을 위한 것인데, 상기 결착 라인(221)은 상기 편평부(210)에서 수평 연장되는 결착홈부(220) 부분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결착홈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폐쇄된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결착홈부(220)가 상기 편평부(210)에서 바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더라도 상기 결착 라인(221)을 형성할 수는 있지만, 상기 결착홈부(220)가 일정 높이까지 상방으로 절곡된 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착 라인(221)을 하방으로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는 부분에 의하여 상기 결착홈부(220)가 하방으로 힘이 가해져 결착 라인(221)에 의한 밀착력과 밀폐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착홈부(220)의 하면에 결착 라인(221)이 길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100)의 격벽(110)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밀착 돌기(111)도 일측 외벽(101)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턱(130)에서 타측 외벽(101)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턱(130)까지 양 걸림턱(130)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 걸림턱(130)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즉, 상기 결착 라인(221)의 두께만큼 간격을 두고 걸림턱(130)과 밀착 돌기(111)를 형성하여야, 밀폐 뚜껑(200)을 용기 본체(100)에 결착하였을 때 상기 결착 라인(221)이 용기 본체(100)의 외벽(101) 상면에 벌어지는 틈이 없이 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 뚜껑(200)의 결착홈부(220)를 상기 편평부(210)에서 상방으로 절곡한 후 라운드되며 만곡하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결착홈부(220) 하면에 결착 라인(221)을 길게 돌출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벽(101) 상단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에 용이하게 결착 및 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높은 밀착력과 밀폐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 밀폐 큐브 용기
100 - 용기 본체 101 - 외벽
110 - 격벽 111 - 밀착 돌기
120 - 수납 큐브
130 - 걸림턱
200 - 밀폐 뚜껑
210 - 편평부
220 - 결착홈부 221 - 결착 라인

Claims (4)

  1. 용기 본체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부에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편평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 뚜껑; 및
    일측 외벽에서 타측 외벽까지 용기 내측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하여 둘 이상의 수납 큐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착된 상기 밀폐 뚜껑의 편평부 하면에 밀착되는 높이로, 상기 격벽 상면을 따라 용기 일측 외벽에서 타측 외벽까지 길게 밀착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큐브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벽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 뚜껑에는,
    상기 편평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다가 하방으로 라운드되며 만곡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이 삽입 결착될 수 있는 결착홈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큐브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착 돌기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벽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격벽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홈부에는,
    상기 밀착 돌기와 걸림턱 사이의 간격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편평부의 가장자리에서 수평 연장되는 부분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결착 라인이 상기 결착홈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큐브 용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림턱은,
    상기 걸림턱의 상면이 상기 격벽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외벽 상단부에서 외측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홈부는,
    상기 편평부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높이까지 상방으로 절곡된 후,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큐브 용기.
KR1020210020250A 2021-02-16 2021-02-16 밀폐 큐브 용기 KR10253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50A KR102534913B1 (ko) 2021-02-16 2021-02-16 밀폐 큐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50A KR102534913B1 (ko) 2021-02-16 2021-02-16 밀폐 큐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869A true KR20220116869A (ko) 2022-08-23
KR102534913B1 KR102534913B1 (ko) 2023-05-19

Family

ID=8309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250A KR102534913B1 (ko) 2021-02-16 2021-02-16 밀폐 큐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9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33Y1 (ko) * 2009-03-26 2011-05-27 주식회사 오색만찬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
US20180224177A1 (en) * 2017-02-08 2018-08-09 Kendra M. Gaines Enclosed measured food storage freezer tray for infants
KR102008289B1 (ko) * 2018-06-21 2019-08-08 이정미 식품용 냉동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33Y1 (ko) * 2009-03-26 2011-05-27 주식회사 오색만찬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
US20180224177A1 (en) * 2017-02-08 2018-08-09 Kendra M. Gaines Enclosed measured food storage freezer tray for infants
KR102008289B1 (ko) * 2018-06-21 2019-08-08 이정미 식품용 냉동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913B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6335A (en) Storage and serving container for foodstuffs such as chilled desserts and the like
US3424334A (en) Stacking box construction with interlock
CA2735903C (en) Container with two opposing lids
US6843062B2 (en) Food container having a separable refrigerant section
KR20220116869A (ko) 밀폐 큐브 용기
KR20150003192U (ko) 다용도 냉동용기
JP2001114317A (ja) 食品保存容器
CN109708354A (zh) 冰镇运输箱
KR20130080195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101613908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CN211650846U (zh) 制冰格及制冰组件
JP2002104542A (ja) 保冷容器
EP2004498B1 (en) Tap for food vessels with integral warranty seal
KR200491213Y1 (ko) 초밥용 포장용기
CN207737633U (zh) 一种丸子食品包装盒
KR102351533B1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KR20080043932A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RU2773990C1 (ru) Контейнер упаковочный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4827479B2 (ja) 包装用容器
JP3135618U (ja) 弁当箱
KR200494627Y1 (ko) 냉동식품 보관함 칸막이
JP5526412B2 (ja) 保冷容器
KR200478760Y1 (ko) 칸칸 밀폐 용기
JP7259276B2 (ja) 蓋付き容器
CN212814910U (zh) 高铁餐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