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201B1 -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201B1
KR102007201B1 KR1020190014340A KR20190014340A KR102007201B1 KR 102007201 B1 KR102007201 B1 KR 102007201B1 KR 1020190014340 A KR1020190014340 A KR 1020190014340A KR 20190014340 A KR20190014340 A KR 20190014340A KR 102007201 B1 KR102007201 B1 KR 10200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icrophone
holder
main frame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승
Original Assignee
(주)한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기술 filed Critical (주)한기술
Priority to KR102019001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줄이면서도 소리의 울림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와 마이크를 메인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홀더에 결합하고 체결부재를 통해 컨트롤 보드와 메인 프레임이 간편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은 크기가 작고 간단한 구조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또는 그 주변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협소한 공간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emergency call equipment for elevators}
본 발명은 좁은 설치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고 충분한 울림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장이 점차 커지면서 2018년 글로벌 신규 엘리베이터 시장은 연간 100만대 수준으로 추산되고 있다. 국내 또한 다수의 해외 기업과 국내 기업이 치열하게 경쟁하며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과거와 달리 엘리베이터는 내부 인테리어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시장 수요 및 추세에 따라 각종 버튼이 구비된 조작반의 형태가 점차 슬림해지고 있다. 따라서 조작반이 설치되는 공간이 좁고 얕아지면서 구성품들의 설치 시 제약이 커져 조작반을 비롯한 여러 전장품이 슬림화, 컴팩트화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는 정전이나 고장 등 운행 중 발행하는 긴급 상황을 대비해 내부의 탑승자가 경비실 또는 관리실과 비상통화를 할 수 있는 비상통화장치가 구비된다. 비상통화장치는 의무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엘리베이터의 내부 조작반에 설치된다. 비상통화장치의 일 예가 한국특허등록 제10-1339314호(등록일 2013.12.03)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에 개시된 비상통화장치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는 폰박스에 스피커와 마이크, 비상호출버튼이 구비된다. 비상통화장치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 내부에 각종 부품 및 신호선들이 실장되고, 마이크와 스피커, 비상호출버튼이 탑재되는 형태이다.
그런데 전술한 비상통화장치는 부피가 커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 전장품이 슬림화, 컴팩트화되고 있어 비상통화장치 역시 협소한 설치 공간에 장착되어야 하므로 스피커의 기구적 울림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조립 및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컴팩트한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줄이면서도 소리의 울림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은 엘리베이터의 탑승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 패널과, 상기 외부 패널 상에 설치되는 비상통화버튼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의 후방에 결합되며, 판면에 스피커 및 마이크가 결합되는 스피커홀 및 마이크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보드 지지대 및 스피커 홀더의 눌림 방지용 지지대가 형성된 일체형의 메인 프레임; 상기 스피커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스피커홀에 결합되되, 상기 스피커의 전면이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피커 홀더; 상기 마이크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마이크홀에 결합되되, 상기 마이크의 전면이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마이크 홀더;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외부 패널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홀더와 이격되며,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의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 탑재된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홀더는 상기 스피커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음샘 방지 및 밀착을 위하여 일체형 고무 재질로 만들어지며, 소리의 크기 및 설치공간의 협소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를 상기 수용 공간의 가장 안쪽에 배치하고, 상기 스피커 홀더의 높이를 높여 상기 스피커와 상기 외부 패널과의 간격을 최대로 하여 음량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눌림 방지용 지지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 판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스피커 홀더가 상기 외부 패널에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기구물에 장착 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휨에 따른 음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간의 하울링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의 길이는 상기 스피커 홀더의 단부가 상기 외부 패널에 밀착될 수 있는 길이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엘리베이터의 탑승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 패널과, 상기 외부 패널 상에 설치되는 비상통화버튼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의 후방에 결합되며, 판면에 관통 형성되어 스피커 및 마이크가 각각 결합되는 스피커홀 및 마이크홀과,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해 벤딩(bending)되며 판면에 볼트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고정부를 구비하는 금속 메인 프레임; 음샘 방지 및 밀착을 위하여 일체형 고무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스피커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스피커홀에 결합되되, 상기 스피커의 전면이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피커 홀더; 상기 마이크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마이크홀에 결합되되, 상기 마이크의 전면이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마이크 홀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외부 패널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홀더와 이격되며,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의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 탑재된 컨트롤 보드; 및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에 면접촉되고 판면에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장공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외부 패널에 결합되는 복수의 리브를 구비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공은 긴 직경 방향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지지 브래킷은 상기 고정부의 상기 고정홀과 상기 장공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스피커 홀더의 눌림 정도를 조절하되 상기 스피커 홀더가 상기 외부 패널에 밀착된 상태에서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와 마이크를 메인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홀더에 결합하고 체결부재를 통해 컨트롤 보드와 메인 프레임이 간편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은 크기가 작고 간단한 구조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또는 그 주변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협소한 공간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과 스피커의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스피커의 울림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비상통화장치용 스피커 모듈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을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통화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비상통화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을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을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통화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비상통화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편의상 스피커에서 음향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 컨트롤 보드 쪽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는 외부 패널(10)과 비상통화버튼(12), 스피커 모듈(100)을 포함한다(도 5 참조).
외부 패널(10)은 엘리베이터의 탑승 공간으로 노출되는 패널로, 전면에 비상시 탑승자가 조작할 수 있는 비상통화버튼(12)이 구비된다. 외부 패널(10) 상에는 스피커 모듈(100)의 스피커(120) 및 마이크(140)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패널(10)의 후면에 스피커 모듈(100)이 장착된다. 스피커 모듈(100)의 장착을 위해 외부 패널(10)의 후면에는 복수의 결합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4)는 원통형의 핀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함).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은 엘리베이터 내부의 설치 공간에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110)과, 메인 프레임(110) 상에 결합되는 스피커(120) 및 마이크(140)와,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컨트롤 보드(160)와, 메인 프레임(110) 및 컨트롤 보드(160)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체결볼트(180)를 포함한다. 또한, 스피커 모듈(100)은 스피커(120) 및 마이크(140)를 메인 프레임(110)에 각각 결합시키는 스피커 홀더(130) 및 마이크 홀더(150)를 더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판(plate) 형상이다. 메인 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전방에 스피커(120) 및 마이크(140)가 결합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의 후방에는 컨트롤 보드(16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메인 프레임(110)의 후방에는 복수의 보드 지지대(110a)가 구비된다. 메인 프레임(110)에는 스피커(120) 및 마이크(140)가 외부 패널(1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컨트롤 보드(160)의 형상 및 크기와 스피커(120) 및 마이크(140)의 크기에 따라 메인 프레임(110)의 크기와 형상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10)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판 형태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컨트롤 보드(16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거나 컨트롤 보드(16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의 판면에는 스피커홀(112) 및 마이크홀(114)이 관통된다. 메인 프레임(110)은 고정부(116)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설치 공간 내에 고정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복수의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보드 지지대(110a)가 형성된다. 스피커홀(112) 및 마이크홀(114), 고정부(116),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 및 보드 지지대(110a)는 모두 금속 재질이며, 메인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종래의 스피커 모듈은 일부 금속 재질에 일부는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제조 시간도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100)은 스피커 홀더(130) 및 마이크 홀더(15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메인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단축되어 제조 시간이 단축되며, 작업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요 구성들이 모두 금속이므로 제품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스피커홀(112)은 스피커(120)를 지지하는 스피커 홀더(13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스피커홀(112)은 메인 프레임(110)의 판면 일측에 관통된다. 스피커홀(112)에 스피커 홀더(130)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마이크홀(114)은 마이크(140)를 지지하는 마이크 홀더(15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마이크홀(114)은 스피커홀(112)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판면 타측에 관통된다. 마이크홀(114)에 마이크 홀더(150)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6)는 포크의 형상과 유사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리브(rib)로 구성된다. 고정부(116)는 메인 프레임(110)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메인 프레임(110)이 직사각형 형태이고, 고정부(116)는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고정부(116)는 외부 패널(10)에 형성된 결합부(14)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 모듈(100)을 장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리브 사이에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리브 간 이격된 틈새로 결합부(14)가 삽입된다. 결합부(14)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80)로 고정될 수도 있고, 외부 패널(10)과 메인 프레임(110)이 직접 체결볼트(180)로 고정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부(116)는 포크 형상이 아닌 핀에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부(116)는 메인 프레임(110)을 외부 패널(10)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메인 프레임(1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복수 개로 형성된다.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원통형, 육면체 형상 등으로 돌출될 수 있다.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스피커 홀더(130)가 외부 패널(10)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눌리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스피커(120)가 음향을 방출할 때 필요한 울림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다.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가 없으면 고무 재질의 스피커 홀더(130)가 외부 패널(10)에 밀착하여 눌리거나 과도하게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만큼의 울림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충분한 울림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면 스피커(120)를 통해 방출되는 소리가 작아지거나 소리가 반사되어 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스피커(120)와 외부 패널(10)이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메인 프레임(110) 상에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가 형성된다.
따라서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메인 프레임(110)의 어느 한쪽이 가압되어 눌리지 않도록 메인 프레임(110)의 4개 모서리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40)와 스피커(120)에 인접하여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가 추가될 수도 있다.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스피커 홀더(130)의 단부가 외부 패널(10)의 후면에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즉,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메인 프레임(110)의 전면에서부터 외부 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는 스피커 홀더(130)의 단부 길이(후술할 W1)와 같거나 그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메인 프레임(110)을 외부 패널(10)에 조립할 때 조립자가 과도한 힘을 가해 메인 프레임(110)을 조이더라도 스피커 홀더(130)가 외부 패널(10)에 밀착되거나 살짝 눌려 밀착되는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조립을 위해 과도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스피커 홀더(130)가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 홀더(130)가 외부 패널(10)에 적절히 밀착될 수 있으므로 음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음샘 방지 효과).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지지대(110a)는 복수 개로 구비되되 메인 프레임(1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보드 지지대(110a)는 원통형의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드 지지대(110a)의 내측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보드 지지대(110a)에 컨트롤 보드(160)가 안착된 후 컨트롤 보드(160)를 관통해 체결 볼트(180)를 보드 지지대(110a)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컨트롤 보드(16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보드 지지대(110a)가 메인 프레임(110)의 후방에 형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보드 지지대(110a)는 컨트롤 보드(160)의 전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120)와 마이크(140)는 각각 스피커 홀더(130) 및 마이크 홀더(150)에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스피커(120) 및 마이크(140)는 설치 환경에 적합한 양산품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홀더(130)는 스피커(120)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스피커(120)를 수용하는 스피커 수용부(132)를 구비한다. 스피커 홀더(130)는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스피커홀(112)에 삽입되어 메인 프레임(110) 상에 지지된다. 스피커 홀더(130)는 메인 프레임(110) 상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스피커 홀더(130)는 이종접합, 이종사출 등의 방법으로 메인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 홀더(130)는 스피커(120)의 결합 및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고무나 우레탄 등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스피커 홀더(130)는 스피커(120)를 수용하는 부분 및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이 모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스피커 홀더(130)는 여러 부품이 결합되어 하나의 스피커 홀더(130)를 구성하는 것이 아닌, 사출 등의 방법으로 스피커 홀더(130) 전체의 형상을 한번에 제조함으로써 수용 공간 및 홈 등이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스피커 수용부(132)는 스피커 홀더(130)의 내주면 측에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110)은 스피커 홀더(130)의 외주면 측에 결합된다. 스피커 수용부(132)는 스피커(120)의 전면 쪽이 개방되는 형태를 갖는다. 스피커 홀더(130)의 내주면에는 스피커(12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132a)이 형성된다. 스피커 홀더(130)의 외주면에는 스피커홀(112)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제2 결합홈(134)이 형성된다.
제1 결합홈(132a)은 스피커 홀더(130)의 내주면에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결합홈(132a)은 스피커(120)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결합홈(132a)이 스피커(12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므로 스피커(120)는 수용 공간의 가장 안쪽에 배치된다. 이는 설치 공간의 협소함을 극복하고 스피커 홀더(130)가 적절한 울림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높이를 높여주는 구조이다. 따라서 스피커(120)와 외부 패널(10)과의 간격이 최대가 될 수 있어 음량의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제2 결합홈(134)은 스피커 홀더(130)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 결합홈(134)은 스피커홀(112)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스피커 홀더(130)가 스피커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피커 홀더(130)가 이탈되지 않아야 하므로 스피커 홀더(130)의 외경은 스피커홀(1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단, 제2 결합홈(134) 쪽 외경은 스피커홀(112)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스피커 홀더(130)가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타입인 경우, 스피커 홀더(130)가 고무 등의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외경이 스피커홀(112)의 직경보다 커도 스피커 홀더(130)를 스피커홀(112)에 삽입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이 외부 패널(10)에 결합될 때, 외부 패널(10)과 스피커(120)의 사이에 충분한 울림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스피커 홀더(130)는 스피커(120)와 외부 패널(10) 사이가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스피커 홀더(130)는 스피커(120)의 전면과 외부 패널(10)의 후면 사이 거리(W2)가 메인 프레임(110)의 전면과 외부 패널(10)의 후면 사이 거리(W1)의 반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W1은 메인 프레임(110)의 전면에서부터 외부 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는 스피커 홀더(130)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동일하다. 또한,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의 길이 역시 W1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1이 10mm이면, W2는 6mm로 설정될 수 있다. 즉, W2는 W1의 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실험적인 수치로, 스피커(120)의 성능을 최대로 발휘하면서도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구적으로 충분한 울림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수치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홀더(150)는 마이크(140)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마이크(14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마이크 홀더(150)는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마이크홀(114)에 삽입되어 메인 프레임(110) 상에 지지된다. 마이크 홀더(150)는 메인 프레임(110) 상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마이크 홀더(150)는 이종접합, 이종사출 등의 방법으로 메인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 홀더(150)는 마이크(140)의 결합 및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고무나 우레탄 등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이크 홀더(150)의 외주면에는 마이크홀(114)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프레임홈(152)이 형성된다. 마이크 홀더(150) 역시 외경이 마이크홀(1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프레임홈(152) 쪽 외경은 마이크홀(114)의 직경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마이크 홀더(150)가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타입인 경우, 마이크 홀더(150)가 고무 등의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외경이 마이크홀(114)의 직경보다 커도 마이크 홀더(150)를 마이크홀(114)에 삽입할 수 있다.
전술한 마이크(140) 및 스피커(120)는 컨트롤 보드(160)에 탑재된 부품들(17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스피커 홀더(130) 및 마이크 홀더(150)의 후면에는 신호선의 연결을 위한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신호선들은 메인 프레임(110)의 후방 쪽으로 인출되어 컨트롤 보드(160)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컨트롤 보드(160)는 신호 처리 및 각종 제어 기능을 위한 복수의 부품들(170)이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이다. 컨트롤 보드(160)는 스피커 홀더(13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에 각종 부품들(170)이 실장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비상통화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모듈(100)의 결합 및 설치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탑승 공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부 패널(10) 및 비상통화버튼(12)은 탑승 공간으로 노출된 형태이다. 그러나 스피커 모듈(100)은 외부 패널(10)의 후방에 결합되므로 탑승 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때, 외부 패널(1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홈들은 스피커(120) 및 마이크(140)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피커 모듈(100)은 메인 프레임(110)에 스피커 홀더(130) 및 마이크 홀더(150)를 장착할 때 별도의 결합 수단이 불필요하다. 또한, 이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10)에 컨트롤 보드(160)를 안착시키고 체결볼트(180)를 조립함으로써 스피커 모듈(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조립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스피커 모듈(100)은 외부 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스피커 모듈(100)은 메인 프레임(110)과 외부 패널(10) 사이에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가 있으므로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의 길이만큼 외부 패널(10)과 이격된다.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는 스피커 모듈(100)의 장착 시 스피커 홀더(130)가 가압되어 과도하게 눌리지 않도록 하므로,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의 길이는 W1과 동일하거나 W1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의 길이는 W1보다 미리 설정된 크기만큼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의 길이는 W1보다 1~3mm 작을 수 있다(이것은 일 예일 뿐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모듈(100)을 외부 패널(10)에 장착할 때, 외부 패널(10)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부(14)에 메인 프레임(110)의 고정부(116)가 결합된다. 고정부(116)는 복수의 리브를 구비한 포크 형상을 가지므로 결합부(14)의 위치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볼트 체결로 스피커 모듈(100)을 외부 패널(1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피커 모듈(100)을 결합부(14)에 삽입해 볼팅하는 것만으로 스피커 모듈(100)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피커(120) 및 마이크(140)가 메인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110)과 컨트롤 보드(160)가 인접하여 결합되므로 박스 형태의 하우징 없이 스피커 모듈(100)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 모듈(100)을 소형화, 컴팩트화할 수 있으므로 좁은 설치 공간에도 스피커 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메인 프레임에 고정부와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지지대가 메인 프레임과 별도로 형성된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을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은 메인 프레임(110'),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스피커(120') 및 스피커 홀더(130'), 마이크(140') 및 마이크 홀더(150'), 메인 프레임(1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컨트롤 보드(16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0’)을 외부 패널(10)에 결합하는 구성은 고정부(116') 및 폭 조절부(190')이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고정부(116')가 구비된다. 고정부(116')에는 폭 조절부(190')가 결합되어 외부 패널(10)과 스피커 홀더(130')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고정부(116')는 메인 프레임(110’)의 판면에 수직하게 벤딩(bending)되되 전방을 향해 벤딩된다. 고정부(116')는 메인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부(116') 상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116a')이 관통 형성된다. 고정홀(116a')은 원형이고, 볼트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고정홀(116a')은 고정부(116')의 길이 방향 중앙에 배치된다.
폭 조절부(190')는 고정부(116')에 면접촉되는 지지 브래킷(192')과, 지지 브래킷(192')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194')로 구성된다. 폭 조절부(190')는 고정부(116)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폭 조절부(190') 역시 전술한 실시 예의 눌림 방지용 지지대(118)와 마찬가지로 스피커 홀더(130')가 외부 패널(10)에 지나치게 밀착되어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리브(194')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고정부(116)에 형성된 리브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브래킷(192')은 고정부(116')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브래킷(192')의 판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장공(192a')이 관통 형성된다.
장공(192a')은 볼트 체결 시 볼트가 관통 삽입되는 홀로,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장공(192a')은 긴 직경 방향이 지지 브래킷(192')의 폭 방향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지지 브래킷(192')을 관통하는 홀이 장공(192a')이므로 볼트를 장공(192a')의 어디에 체결하느냐에 따라 지지 브래킷(192')의 위치가 달라진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어디에 체결하느냐에 따라 지지 브래킷(192')은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장공(192a')의 중앙이 고정부(116')의 고정홀(116a')에 위치하도록 볼트를 체결하면 고정부(116')와 지지 브래킷(192')은 판면이 서로 모두 면접촉된다. 만약 리브(194') 쪽에 가까운 장공(192a')의 우측 단부가 고정홀(116a')에 위치하도록 볼트를 체결하면 지지 브래킷(192')은 외부 패널(10)과 멀어지게 된다. 반대로 리브(194')에서 멀어지는 장공(192a')의 좌측 단부가 고정홀(116a')에 위치하도록 볼트를 체결하면 지지 브래킷(192')은 외부 패널(10)과 가까워지게 된다.
이렇게 장공(192a')에 체결하는 볼트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지지 브래킷(192')과 외부 패널(10) 사이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메인 프레임(110’)의 전면과 외부 패널(10) 후면 사이 거리(W1) 및 스피커(120')의 전면과 외부 패널(10)의 후면 사이 거리(W2)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브래킷(192')은 고정부(116')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고정부(116')는 미리 설정된 W1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브래킷(192')이 외부 패널(10)과 멀어지면 고정부(116')는 외부 패널(10)과 가까워진다. 따라서 W1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지지 브래킷(192')이 외부 패널(10)과 가까워지면 고정부(116')는 외부 패널(10)과 멀어진다. 따라서 W1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메인 프레임(110')을 설치할 때 스피커 홀더(130')가 외부 패널(10)에 지나치게 밀착되면 스피커 홀더(130')가 과도하게 눌릴 수 있으므로 고정부(116')가 외부 패널(10)에서 멀어지도록 지지 브래킷(192')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메인 프레임(110')을 설치할 때 스피커 홀더(130')가 외부 패널(10)에서 지나치게 멀어지면 소리가 외부 패널(10) 쪽으로 가지 않고 새어 나갈 수 있다. 이때는 고정부(116')가 외부 패널(10)에 가까워지도록 지지 브래킷(192')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음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와 마이크를 메인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홀더에 결합하고 체결부재를 통해 컨트롤 보드와 메인 프레임이 간편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은 크기가 작고 간단한 구조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또는 그 주변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협소한 공간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과 스피커의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스피커의 울림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비상통화장치용 스피커 모듈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외부 패널 100: 스피커 모듈
110: 메인 프레임 116: 고정부
118: 지지대 120: 스피커
130: 스피커 홀더 132: 스피커 수용부
132a: 제1 결합홈 134: 제2 결합홈
140: 마이크 150: 마이크 홀더
152: 프레임홈 160: 컨트롤 보드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탑승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 패널과, 상기 외부 패널 상에 설치되는 비상통화버튼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의 후방에 결합되며, 판면에 스피커 및 마이크가 결합되는 스피커홀 및 마이크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보드 지지대 및 스피커 홀더의 눌림 방지용 지지대가 형성된 일체형의 메인 프레임;
    상기 스피커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스피커홀에 결합되되, 상기 스피커의 전면이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피커 홀더;
    상기 마이크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마이크홀에 결합되되, 상기 마이크의 전면이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마이크 홀더;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외부 패널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홀더와 이격되며,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의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 탑재된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홀더는
    상기 스피커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음샘 방지 및 밀착을 위하여 일체형 고무 재질로 만들어지며, 소리의 크기 및 설치공간의 협소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를 상기 수용 공간의 가장 안쪽에 배치하고, 상기 스피커 홀더의 높이를 높여 상기 스피커와 상기 외부 패널과의 간격을 최대로 하여 음량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 방지용 지지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 판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스피커 홀더가 상기 외부 패널에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기구물에 장착 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휨에 따른 음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간의 하울링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 방지용 지지대의 길이는
    상기 스피커 홀더의 단부가 상기 외부 패널에 밀착될 수 있는 길이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4. 엘리베이터의 탑승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 패널과, 상기 외부 패널 상에 설치되는 비상통화버튼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의 후방에 결합되며, 판면에 관통 형성되어 스피커 및 마이크가 각각 결합되는 스피커홀 및 마이크홀과,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해 벤딩(bending)되며 판면에 볼트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고정부를 구비하는 금속 메인 프레임;
    음샘 방지 및 밀착을 위하여 일체형 고무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스피커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금속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스피커홀에 결합되되, 상기 스피커의 전면이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피커 홀더;
    상기 마이크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마이크홀에 결합되되, 상기 마이크의 전면이 상기 외부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마이크 홀더;
    상기 금속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외부 패널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홀더와 이격되며,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의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 탑재된 컨트롤 보드; 및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에 면접촉되고 판면에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장공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외부 패널에 결합되는 복수의 리브를 구비하는 폭 조절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긴 직경 방향이 상기 금속 메인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은
    상기 고정부의 상기 고정홀과 상기 장공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스피커 홀더의 눌림 정도를 조절하되 상기 스피커 홀더가 상기 외부 패널에 밀착된 상태에서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KR1020190014340A 2019-02-07 2019-02-07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KR10200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40A KR102007201B1 (ko) 2019-02-07 2019-02-07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40A KR102007201B1 (ko) 2019-02-07 2019-02-07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201B1 true KR102007201B1 (ko) 2019-10-01

Family

ID=6820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340A KR102007201B1 (ko) 2019-02-07 2019-02-07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2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349A (ja) * 1993-03-09 1994-09-2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音響装置
KR20160109257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인터엠 인터콤
KR101671296B1 (ko) * 2014-01-02 2016-11-16 송종태 승강기 카 내 비상통화기
JP2017030901A (ja) * 2015-07-30 2017-02-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349A (ja) * 1993-03-09 1994-09-2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音響装置
KR101671296B1 (ko) * 2014-01-02 2016-11-16 송종태 승강기 카 내 비상통화기
KR20160109257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인터엠 인터콤
JP2017030901A (ja) * 2015-07-30 2017-02-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1668B2 (ja) 電気音響変換器の取付構造
WO2017169070A1 (ja) マイクロフォン
JP5429879B2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電気基板の支持部材
US7369673B2 (en) Speaker suppor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is speaker supporting device
US8374372B2 (en) Headset
KR102007201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스피커 모듈
KR102288565B1 (ko) 전자기기
JP5873747B2 (ja) 電子機器の押しボタン取付構造
JP3789701B2 (ja) 携帯機器用音響部品の組込み構造
US11102904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combination of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and adherend,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JP4606886B2 (ja) 電子機器
JP4404721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
KR200401427Y1 (ko) 스피커용 하우징
CN101335775B (zh) 对讲门铃子机装置
EP3741625A1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combination of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and adherend,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CN110891224B (zh) 防水扬声装置
JPH08298386A (ja) 防水型電子機器
JP3956488B2 (ja) 小型スピーカの固定構造
JP2022151070A (ja) 電子装置
JP6175120B2 (ja) 電子機器
JP2022057641A (ja) 通信端末用の押しボタンスイッチ構造
JPH1188975A (ja) 携帯用電子機器におけるスピーカーの保持構造
JP4505819B2 (ja) 携帯電子機器の部品実装構造及び折り畳み携帯電話機
TWI428080B (zh) 電子組件裝配結構
JPH0615249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