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565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565B1
KR102288565B1 KR1020180054012A KR20180054012A KR102288565B1 KR 102288565 B1 KR102288565 B1 KR 102288565B1 KR 1020180054012 A KR1020180054012 A KR 1020180054012A KR 20180054012 A KR20180054012 A KR 20180054012A KR 102288565 B1 KR102288565 B1 KR 10228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light emitting
emitting body
substra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200A (ko
Inventor
아키라 타가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305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196109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04N5/2252
    • H04N5/2254
    • H04N5/22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전자기기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서 집음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체와,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구성된 완충부재를 구비한다. 완충부재는, 베이스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향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발광체에 대향하는 제2부분을 갖는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의 절결부이다.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한 부분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과 발광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방수 방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와 감시 카메라는, 음성을 기록하기 위한 내장된 마이크로폰을 갖고 있다. 옥외에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마이크로폰의 방수 방진 구조를 채용하고 있을 경우가 있다. 마이크로폰의 방수 방진 구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4-143674호 공보와 같이, 통기성이 없는 방수 필터를 사용해서 하우징의 개구부를 가로막는 것이 있다. 더구나, 마이크로폰에 전해지는 진동 잡음을 막기 위해서, 전용의 마이크로폰 유지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의 전원상태와 녹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외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가 설치된 카메라 구조가 존재한다. 발광부는 빛의 확산과 방수성 확보를 위해 투광성을 가지는 전용부재로 덮어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5-216217호 공보에 기재된 발광부는, 투광성을 가지는 창 부재를 사용해서 빛의 확산을 행하고 있다. 또한, 창 부재의 플랜지부를 하우징에 접착해서 방수 방진 성능을 보증하고 있다.
마이크로폰과 발광부의 양쪽을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한 일본국 특개 2014-143674호 공보와 일본국 특개 2015-216217호 공보와 같은 방수 방진 구조를 적용해도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전용의 방수 방진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져 버린다. 이것은 디지털 카메라나 감시 카메라의 장치 본체가 대형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장치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마이크로폰 및 발광체의 방수 방진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전자기기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서 집음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체와,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구성된 제1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는, 베이스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향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발광체에 대향하는 제2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의 함몰부(recessed portion)이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한 부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폰 및 발광체 주변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완충부재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폰 및 발광체 주변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완충부재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완충부재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폰 및 발광체 주변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외관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전자기기의 일례로서의 역할을 하는 감시 카메라(100)는, 영상의 촬영과 기록과, 음성의 기록이 가능하다. 감시 카메라(100)는, 렌즈 보호부재(102)와, 어퍼 케이스(120)및 보텀 케이스(150)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렌즈 보호부재(102)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부품을 보호하고 있다. 렌즈 보호부재(102)는, 예를 들면,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다. 렌즈 보호부재(102)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O-링(140)을 사이에 끼워, 어퍼 케이스(120)에 고정되어 있다.
어퍼 케이스(120)에는, 기록할 음성을 집광하는 개구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 소리, 빛이 통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어퍼 케이스(120)와 보텀 케이스(150)는, 각각, 예를 들면, 금속 다이캐스팅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성형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어퍼 케이스(120)와 보텀 케이스(150)는, 패킹(180)을 사이에 끼워, 나사로 서로 체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내에 물과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막고 있다. 패킹(180)은,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우레탄 폼재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은 카메라부(200)를 수용하고 있다. 카메라부(200)는, 렌즈(202), 촬상소자(204), 센서 기판(206), 카메라 하우징(208)으로 구성된다. 더구나, 하우징은, 카메라부 유지 부재(240)와, 기판 유지부재(110)와, 제어 기판(250)과, 마이크로폰 기판(270)을 수용한다. 마이크로폰 기판은 기판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더구나, 하우징은 제1부재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완충부재(300)를 수용한다. 하우징은 마이크로폰(350)과 발광체(360)를 더 수용한다(도 3 참조).
카메라부(200)는, 렌즈 보호부재(102)와 렌즈(202)를 통해 수광한 빛을 촬상소자(204)를 사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촬상소자(204)는, 제어 기판(250)에 와이어(230a)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취득한 촬상 데이터를 제어 기판(250)에 전송한다. 카메라부 유지 부재(240)는, 카메라부(200)를 유지하고 있다. 기판 유지부재(110)는, 마이크로폰 기판(270)을 유지하고 있다. 기판 유지부재(110)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성형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제어 기판(250)은, 전원공급, 카메라 제어와, 네트워크에의 접속 등, 감시 카메라(100) 전체의 제어 기능을 갖는다. 제어 기판(250)은, 보텀 케이스(150)에 나사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마이크로폰(350)은,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음향부품이다. 마이크로폰(350)은, 개구부(122)와 완충부재(300)를 통과한 소리를 집음한다. 마이크로폰(350)은, 내부에 설치된 멤브레인(미도시)을 가지고 있다. 멤브레인은 집음된 소리로부터의 음압에 의해 진동한다. 마이크로폰(350)은, 멤브레인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발광체(360)는 발광하고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이다. 발광된 빛은 완충부재(300)를 투과해 개구부(122)의 외부로 통과한다. 이에 따라, 발광체(360)로부터의 빛이 하우징을 벗어난다. 발광체(360)는 카메라의 전원상태나 녹화 상태 등의 감시 카메라(100)의 상태를 유저에게 나타내기 위해 빛을 발광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마이크로폰(350) 및 발광체(360)의 영역에 있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폰(350) 및 발광체(360) 주변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판 유지부재(110)는, 돌기(112a, 112b)를 가지고 있다. 돌기(112a, 112b)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돌기(112a, 112b)는, 마이크로폰 기판(270)에 형성된 관통공 및 완충부재(300)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돌기(112a, 112b)를 관통공들 내부에 삽입하여 마이크로폰 기판(270)과 완충부재(300)를 고정하고 있다. 기판 유지부재(110)는, 마이크로폰(350)을 수용하는 제1 공간(114a)(에를 들어, 트렌치 또는 다른 종류의 함몰부)과, 발광체(360)를 수용하는 제2 공간(114b)(에를 들어, 트렌치 또는 다른 종류의 함몰부)을 가지고 있다.
마이크로폰 기판(270)은, 나사, 테이프 또는 기타 부착수단 등의 부재에 의해 기판 유지부재(110) 위에 고정되어 있다, 완충부재(300)는, 마이크로폰 기판(270)과 어퍼 케이스(120)의 저면(124) 사이에 유지된다.
마이크로폰(350)과 발광체(360)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폰 기판(270)의 동일 면(완충부재(300)에 대해 반대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350)과 발광체(360)는 개구(122)의 반대쪽에 있는 마이크포론 기판(270)의 측에 배치되는데, 예를 들어, 이들은 완충부재(300)의 반대쪽에 있으며 기판 유지부재(110)를 향하는 마이크포론 기판(270)의 측에 배치된다. 마이크로폰 구멍(280)은 마이크로폰 기판(270) 내부의 마이크로폰(350)이 배치되어 있는 개소에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구멍(280)은 마이크로폰(35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발광체 구멍(290)은 마이크로폰 기판(270) 내부의 발광체(360)가 배치되어 있는 개소에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발광체 구멍(290)은 발광체(360)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마이크로폰 기판(270)은 와이어(230b) 등의 부재에 의해 제어 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완충부재(3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완충부재(300)의 단면사시도다.
완충부재(30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부재이다. 완충부재(300)는, 하우징 외부로부터의 진동 소음을 저감하여 마이크로폰(350)의 신호대 잡음비(S/N)를 향상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300)의 배치는 S/N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완충부재(300)의 탄성도 S/N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구나, 완충부재(300)의 깊이는 S/N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완충부재(300)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과 마이크로폰 기판(270) 사이에 배치되고, 개구부(122)를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완충부재(300)는, 제1면(310)과 제2면(320)을 가지고 있다. 제1면(310)은, 개구부(1220을 향하고 바람직하게는 어퍼 케이스(120)의 저면(124)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1면(310)은, 바람직하게는, 개구부(122)를 가로막아(예를 들어, 밀봉하여), 하우징 외부에서의 물과 먼지의 침입을 막고 있다. 제2면(320)은, 마이크로폰 기판(270)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완충부재(300)은, 위치 결정용 구멍(380a, 380b)을 가지고 있다(도 4 참조). 위치 결정용 구멍(380a, 380b)은 이상적으로는 개구부(122)의 영역 외부에 배치되는데, 예를 들어, 위치 결정용 구멍(380a, 380b)은 개구부(122)의 측면인 개소에 배치된다. 기판 유지부재(110)의 돌기(112a, 112b)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이들 구멍에 삽입되어 완충부재(300)의 위치를 고정한다. 돌기들은 완충부재(300)의 제2면(320)측에서 구멍(380a, 380b)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폰(350)과 발광체(360)의 완충부재(300)에 대한 배치 어긋남을 막을 수 있어, 적절한 집음성능 및 발광부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300)는, 마이크로폰(350)에 대향하는 제1부분(330)과, 발광체(360)에 대향하는 제2부분(340)과, 베이스부로서의 제3부분(370)을 가지고 있다. 제3부분(370)은, 바람직하게는 평판 부분이다. 제2부분(340)은, 바람직하게는 제3부분(370)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이다. 제1부분(330)은, 바람직하게는 제3부분(370)보다 비교적 얇은 박육부(thin portion)이다. 제1부분(330)은 제3부분(370) 내부에 절결부(cut)를 획정하여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제1부분은 제3부분(370) 내부에 트렌치나 다른 종류의 함몰부에 의해 획정된다. 제1부분(330)의 두께를 t1, 제2부분(340)의 두께를 t2, 제3부분(370)의 두께(기본 벽 두께)를 t3로 했을 때, 이들 두께들 사이의 관계가 t1≤t2<t3로 주어진다. 제1부분(330)은 바람직하게는 소리를 전파하기 위해서 가장 얇은 부분이다. 제2부분(340)은, 빛을 투과 및 확산시키기 위해서, 제3부분(370)의 두께(기본 벽 두께)보다 얇은 것이 요구된다. 제3부분(370)은 진동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가장 두꺼운 부분이 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t1=2mm, t2=3mm 및 t3=100mm이다.
제1부분(330)은, 바람직하게는 완충부재(300)의 제1면(310)측에 형성되어 있다.(즉, 제1부분(330)은 바람직하게는 제1면(310)의 일부이다). 개구부(122)로부터의 음파는 제1부분(330)을 통해 마이크로폰(350)에 전파한다. 또한, 제1부분(330)은 통기성이 없기 때문에, 물과 먼지가 통과하지 않는다.
제2부분(340)은, 대략 반구 형상을 갖고, 완충부재(300)의 제1면(310)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부분(340)은 통기성이 없기 때문에, 물과 먼지가 통과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2부분(340)은 얇으므로(즉, t2=3mm) 투광성을 가진다(에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따라서, 제2부분(340)은, 완충부재(300)의 제2면(320)측에 배치되는 발광체(360)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확산한다. 또한, 제2부분(340)은, 천정부(342a)와 발(foot) 부분(342b)을 가지고, 발 부분(342b)으로부터 천정부(342a)의 방향으로 두꺼워지고 있다. 바꿔 말하면,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데, 즉 반구의 중심을 향해 두께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발광체(360)가 LED로 구성될 경우, 빛이 직하므로, 천정부(342a)의 빛이 강한 강도를 갖는 반면, 발 부분(342b)의 빛은 약한 강도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빛의 확산이 불균일해져 시인성과 외관을 손상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천정부(342a)는 큰 벽 두께를 가지므로, 투광성이 낮고, 발 부분(342b)은 작은 벽 두께를 가지므로 투광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빛의 확산이 균일화되어, 시인성과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부분(340)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강 리브(344)를 더 가지고 있다. 보강 리브(344)는, 제2부분(34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이때, 제2부분의 내면은 완충부재(300)의 제1면(310)의 반대쪽에 있는데, 즉 제2부분의 내면이 개구(122)의 반대측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강 리브(344)는, 하우징 외부로부터의 분류(jet flow) 등의 힘에 의해, 제2부분(340)이 변형하는 것을 막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1개의 부재로 마이크로폰(350) 및 발광체(360)의 방수 방진을 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마이크로폰(350) 및 발광체(360)의 방수 방진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부분(340)의 벽 두께는, 발 부분(342b)으로부터 천정부(342a) 방향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발광체(360)의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와 비교하여, 완충부재의 형상과 기판 유지부재의 형상이 다르다.
이하에서는 주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외관사시도다.
감시 카메라(400)는, 영상의 촬영과 기록과, 음성의 기록이 가능하다. 감시 카메라(400)는, 어퍼 케이스(420) 및 보텀 케이스(150)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의 개구부는, 마이크로폰(350)에 대한 소리 구멍(422)과, 발광체(360)에 대한 발광 구멍(424)으로 나뉘어져 있다. 어퍼 케이스(420)에는 소리 구멍(422)과 발광 구멍(424)이 형성되어 있다. 어퍼 케이스(420)에 형성된 소리 구멍(422)은,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와 소리를 통과시킬 수 있다. 발광 구멍(424)은,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에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어퍼 케이스(420)는, 예를 들면, 금속 다이캐스팅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성형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400)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다.
기판 유지부재(410)는, 마이크로폰(350)과 발광체(360)를 격리하기 위한 차광 벽(412)을 가지고 있다. 차광 벽(412)은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차광 벽(412)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부품을 관통하기 쉽도록 모따기가 형성된 선단을 갖는다. 기판 유지부재(410)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재료를 사용한 수지성형으로 제작 할 수 있다. 기판 유지부재(410)를 투광성이 거의 없는 색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 유지부재(410)의 투광성은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고, 색은 바람직하게는 검은색이다.
마이크로폰 기판(470)의 이면, 즉 하우징의 개구의 반대쪽에 있는 마이크로폰 기판 측에, 마이크로폰(350)과 발광체(36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폰 기판(470)은, 마이크로폰(350)과 발광체(360) 사이에 형성된 슬릿(472)을 갖는다. 슬릿(472)에는 차광 벽(412)이 삽입된다. 마이크로폰 기판(470)은, 기판 유지부재(410)에 나사, 테이프 또는 기타 고정수단 등의 부재로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완충부재(5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완충부재(500)의 전체사시도다. 완충부재(500)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직사각형의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된다. 완충부재(500)는 하우징 내외부로부터의 진동 소음을 저감하여 마이크로폰(350)의 S/N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완충부재(500)는 제1면(510)과 제2면(520)을 가지고 있다.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면(510)과 제2면(520)은 반대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1면(510)은 바람직하게는 어퍼 케이스(420)의 소리 구멍부 저면(414)과 발광 구멍부 저면(416)에 당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면(510)과 어퍼 케이스(420)의 접촉은 어퍼 케이스(420) 내부의 개구들(즉, 소리 구멍(422)과 발광 구멍(424))을 이상적으로 밀봉한다. 이에 따라, 소리 구멍(422)과 발광 구멍(424)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물과 먼지의 침입을 막고 있다. 제2면(520)은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폰 기판(470)에 당접하도록 배치된다.
완충부재(500)는 제1부분(504)과, 제2부분(506)과, 제3부분(508)을 더 가지고 있다. 제1부분(504)은, 제1면(510)측에 형성되어 있어, 소리 구멍(422)에서 집음된 음파진동을 마이크로폰(350)에 전파한다. 제2부분(506)은, 제1면(510)측에 형성되어 있다. 발광체(360)를 투과한 빛이 제2부분(506)을 통과하고 발광 구멍(424)을 통해 밖으로 나간다. 투과된 빛은 유저에게 감시 카메라(400)의 전원이나 녹화 상태를 알린다. 제2부분(506)은, 원통 형상이며, 발광 구멍(424)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제2부분(506)이 어퍼 케이스(420)의 외면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를 갖는다. 또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부분(504)의 두께를 t1, 제2부분(506)의 두께를 t2, 제3부분(508)의 두께(기본 벽 두께)를 t3로 했을 때, 두께들 사이의 관계는 t1≤t2<t3로 주어진다.
완충부재(500)는 제1부분(504)과 제2부분(506) 사이에 차광 벽용 슬릿(502)을 더 가지고 있다. 차광 벽용 슬릿(502)은, 사각형 형상이며, 기판 유지부재(410)의 차광 벽(412)이 관통한다.
이상과 같이, 기판 유지부재(410)에 차광 벽(412)을 설치한다. 따라서, 발광체(360)에서 발생한 빛이 차광 벽(412)에 의해 가로막아져, 소리 구멍(422)으로부터 빛이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의 시인성과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광 벽(412)은 마이크로폰 기판(470)과 완충부재(500) 각각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광 벽(412)은 적어도 2개의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1개의 부재로 마이크로폰(350) 및 발광체(360)의 방수 방진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마이크로폰(350) 및 발광체(360)의 방수 방진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폰 유지 구조와 비교하여, 완충부재와 기판 유지부재의 형상과, 마이크로폰의 유지 방식이 다르다.
이하에서는 주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완충부재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다.
완충부재(600)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외부에서의 진동 소음을 저감하여 집음시의 S/N을 향상시킨다. 완충부재(600)는 완충 리브(610a, 610b), 제1면(612)과, 제2면(614)을 가지고 있다.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면(612)과, 제2면(614)은 반대 방향을 향한다. 완충 리브(610a, 610b)는, 완충부재(60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완충 리브(610a, 610b)는 완충부재(60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 제1면(612)과 제2면(614)으로부터 뻗는다. 더구나, 완충부재(600)는 대략 원환 형상을 갖는 마이크로폰 유지부(62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원환 내부에는 지지부(630)와 언더컷부(6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폰 및 발광체 주변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어퍼 케이스(720)에는 소리 구멍(722)과 발광 구멍(724)이 형성된다. 소리 구멍(722)은,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공기와 소리를 통과시킬 수 있다. 발광 구멍(724)은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빛을 통과시킬 수 수 있다. 발광체 기판(770)에는 발광체(360)가 실장되어 있고, 기판 유지부재(710)에 나사 또는 기타 고정수단 등의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기판 유지부재(710)는 기판 유지부재(710)의 대향 단부들에 배치된 가이드 벽(712)을 가지고 있다. 완충부재(600)는 가이드 벽(712)들 사이에 배치되고 이상적으로는 가이드 벽(712)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벽들은 완충부재(600)를 제 위치로 안내하고, 완충부재(600)의 위치를 규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판 유지부재(710)는 마이크로폰 수납부(714)와 와이어 구멍(716)을 더 가지고 있다. 마이크로폰(750)은 완충부재(600)에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폰 유지부(620)에 파지되어 있다. 와이어 구멍(716)을 통과하는 마이크로폰 와이어(780)에 의해, 마이크로폰(750)이 제어 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완충부재(600)는 완충 리브(610a, 610b)를 사이에 끼워 다른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측 완충 리브(610a)(즉, 제1면(612)으로부터 뻗는 리브 610a)는 어퍼 케이스(720)에 접촉하고, 하측 완충 리브(610b)(즉, 제2면(614)으로부터 뻗는 리브(610a))는 기판 유지부재(710)에 접촉하고 있다. 리브(610a, 610b)와 어퍼 케이스(720)와 기판 유지부재(710)의 접촉은 소리 구멍(722)과 발광 구멍(724)을 통해 물 등의 물질이 하우징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막는 밀봉을 형성하고 있다. 완충 리브(610a, 610b)는 각각 얇은 리브로 형성되어 있고(바람직하게는 두께는 0.5mm 이상이고 기본 두께(t3)의 절반 이하이다), 다른 부재들과 접촉하는 완충 리브(610a, 610b)의 부분들(리브들의 선단) 각각은 대략 반원 형상을 갖는다. 다른 부재 720과 접촉하는 완충 리브(610a, 610b) 각각은, 각각의 부분들(리브들의 선단)이 표면일 때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갖는다. 그 때문에, 부재끼리의 접촉 면적이 적고, 또한 완충 리브(610a, 610b) 자체의 강성도 낮다. 그 결과, 하우징 내부의 진동과 외부에서의 충격을 완화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더구나, 완충 리브(610a, 610b)가 완충부재(600)의 외부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벽(712)에 의해 위치의 규제가 용이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완충 리브(610a, 610b)가 가이드 벽(712)과 접촉하여 밀봉을 형성한다. 충격흡수성과 조립성을 감안하여, 완충 리브(610a, 610b)를 완충부재(600)의 외부 표면 이외의 부분에 추가로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완충 리브는 얇은 리브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반구나 원통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완충부재의 제1 박육부(604)는 소리 구멍(722)에서 집음된 음파진동을 마이크로폰(750)에 전파하는데, 예를 들어, 제1 및 제2실시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박육부가 소리 구멍(722)에서 들어온 음파에 응답하여 진동하고, 이에 따라 제1 박육부(604)가 음파를 마이크로폰(750)에 전파한다. 제2 박육부(606)는 발광체(360)로부터 발생한 빛을 투과시켜 유저에게 카메라의 전원이나 녹화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지부(620)는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630)와 언더컷부(640)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폰(750)을 감싸 유지하고 있다. 지지부(630)는 마이크로폰(750)과 제1 박육부(604) 사이에 집음공간을 형성하고, 마이크로폰(750)과의 접촉 면적을 절감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언더컷부(640)(도 3 참조)는 중심에 구멍을 갖고, 마이크로폰 와이어(770)가 이 구멍을 통과한다. 이 구멍은 마이크로폰(750)을 완충부재(600)에 삽입하기 위한 구멍도 겸하고 있다. 이렇게 마이크로폰(750)을 지지함으로써, 하우징 내외부의 진동 잡음이 집음되는 것을 막고, 또한 마이크로폰(750)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있다. 마이크로폰 와이어(770)에 진동의 전파를 막기 위해서, 언더컷부(640)나 와이어 구멍(716)에 와이어 파지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언더컷부(640)는 마이크로폰(750)과의 접촉 면적을 한층 더 적게 하기 위한 형상을 가져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은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3개 혹은 그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렌즈 보호부재(102)는 구형이지만, 비구면 형상이나 평판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의 방수 방진 부품으로서 패킹(180)과 O-링(140)을 사용했지만, 양면 테이프나, 접착재, 실링재 등의 물질을 사용해서 방수 방진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렌즈 보호부재(102)는 나사나 다른 부품을 사용해서 고정해도 된다. 또한, 어퍼 케이스(120)와 렌즈 보호부재(102)를 초음파용착 등의 처리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방수구조의 확보 및 고정을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기판(250)은 1개의 기판이었지만, 전원관리용과 카메라 제어용 등의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이크로폰 기판(270)은 플렉시블 기판을 사용하고, 와이어(230b)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제어 기판(250)에 접속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이크로폰 기판(270)의 이면에 마이크로폰(350)과 발광체(360)가 배치되어 있었지만, 표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이크로폰(350)과 발광체(360)는 각각 1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다른 예에서는 스테레오 집음이나 복수의 발광 색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부품을 사용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충부재 300 및 500은 각각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디엔계 고무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다른 탄성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충부재(300)의 저면(124)과 접촉하는 부분에, 방수 방진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얇은 리브 형상을 형성해도 된다. 더구나, 완충부재(300)와 저면(124) 사이에 테이프제나 접착제 등의 물질을 사용하여 개구부(122)를 가로막아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충부재(3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위치 결정용 구멍 380a 및 380b와 기판 유지부재(110)의 돌기 112a 및 112b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완충부재(300)의 외부 형상을 사용하거나, 위치 고정용의 치구를 사용해도 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4)

  1.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서 집음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체와,
    상기 마이크로폰 및 상기 발광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기판 유지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구성된 제1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는, 베이스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향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발광체에 대향하는 제2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의 함몰부이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한 부분이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기판 유지부재와 걸어맞추는 적어도 1개의 걸어맞춤부를 갖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t1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2부분은 t2의 두께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t3의 두께를 갖고, t1≤t2<t3인 전자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부분의 두께가 반구의 중심을 향해 증가하는 전자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의 내측 또는 상기 제2부분의 내측에, 적어도 1개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유지부재는,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 벽을 갖는 전자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갖고, 상기 슬릿은 상기 차광 벽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자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발광체는 상기 기판의 동일 면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발광체는 상기 제1부재와 반대쪽에 있는 상기 기판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위한 소리 구멍과, 상기 발광체를 위한 발광 구멍을 구비한 전자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렌즈와, 촬상소자를 가지는 전자기기.
  11.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서 집음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체와,
    상기 마이크로폰 및 상기 발광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기판 유지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구성된 제1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향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발광체에 대향하는 제2부분과, 제3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부분, 상기 제2부분 및 상기 제3부분은 두께가 다르며,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기판 유지부재와 걸어맞추는 적어도 1개의 걸어맞춤부를 갖는 전자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은 평판 형상의 부분이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이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3부분의 함몰부인 전자기기.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t1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2부분은 t2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3부분은 t3의 두께를 갖고, t1≤t2<t3인 전자기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부분의 두께가 반구의 중심을 향해 증가하는 전자기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의 내측 또는 상기 제2부분의 내측에, 적어도 1개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유지부재는,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 벽을 갖는 전자기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갖고, 상기 슬릿은 상기 차광 벽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자기기.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발광체는 상기 기판의 동일 면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발광체는 상기 제1부재와 반대쪽에 있는 상기 기판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위한 소리 구멍과, 상기 발광체를 위한 발광 구멍을 구비한 전자기기.
  2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완충 리브를 갖는 전자기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리브는 상기 제1부재의 외부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기.
  2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유지하는 마이크로폰 유지부를 갖는 전자기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유지부는, 원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로폰 유지부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폰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1개의 지지부를 갖는 전자기기.
KR1020180054012A 2017-05-18 2018-05-11 전자기기 KR102288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9065 2017-05-18
JP2017099065 2017-05-18
JPJP-P-2018-030504 2018-02-23
JP2018030504A JP2018196109A (ja) 2017-05-18 2018-02-23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200A KR20180127200A (ko) 2018-11-28
KR102288565B1 true KR102288565B1 (ko) 2021-08-11

Family

ID=6220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012A KR102288565B1 (ko) 2017-05-18 2018-05-11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34299B2 (ko)
EP (1) EP3407129A1 (ko)
KR (1) KR102288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7574B1 (en) * 2017-08-21 2019-07-31 Axis AB Camera and method for controlled dew formation inside a camera
EP3754423B1 (en) * 2019-06-20 2021-05-19 Axis AB Audio unit arrangement and a camer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6573A (ja) * 2004-02-18 2005-09-02 Olympus Corp 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2006154175A (ja) * 2004-11-29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20140152890A1 (en) * 2012-06-01 2014-06-05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object having a thin profi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783A (ja) 2002-02-13 2003-08-29 Seiko Instruments Inc 防水型電気音響変換器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JP2005311844A (ja) 2004-04-23 2005-11-04 Canon Inc 撮像装置
JP4413771B2 (ja) * 2004-12-28 2010-02-10 Hoya株式会社 防水機能を備えたカメラ
JP5710859B2 (ja) 2007-09-21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8971552B2 (en) * 2010-02-02 2015-03-03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JP2012160897A (ja) * 2011-01-31 2012-08-23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の防水構造
EP3863265A1 (en) 2011-03-21 2021-08-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9538052B2 (en) * 2012-07-26 2017-0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nput-output component mounting structures
JP2014099592A (ja) 2012-09-10 2014-05-29 Tree Frog Developments Inc 薄い外形を有する物体を収容するための筐体
KR20140036624A (ko) * 2012-09-17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213871B2 (ja) 2012-12-27 2017-10-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防水マイク装置
GB2519416B (en) 2013-08-21 2017-03-08 Canon Kk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216217A (ja) 2014-05-09 2015-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7407861B (zh) * 2015-03-26 2019-10-29 富士胶片株式会社 相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6573A (ja) * 2004-02-18 2005-09-02 Olympus Corp 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2006154175A (ja) * 2004-11-29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20140152890A1 (en) * 2012-06-01 2014-06-05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object having a thin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38075A1 (en) 2018-11-22
US10834299B2 (en) 2020-11-10
KR20180127200A (ko) 2018-11-28
EP3407129A1 (en)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2548B2 (ja) カメラ及び電子機器
KR102318935B1 (ko) 방수 케이스
EP1670240B1 (en) Fixing structure for camera module, fixing method therefo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ES2795286T3 (es) Estuche a prueba de agua
US20060139443A1 (en) Camera with waterproof function
US10534242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holding structure for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microphone that reduces sound noise due to photoelectric effect
JPH1079582A (ja) 筐体構造
US10225634B2 (en)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phone
EP2675140B1 (en) Electronic device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JP4562586B2 (ja) スピーカ保持具及び電気機器
KR102288565B1 (ko) 전자기기
KR102090629B1 (ko) 스피커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JP201119984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付き携帯式電子装置
CN108966062B (zh) 电子装置
JP2006129117A (ja) 電子機器の表示部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6352342A (ja) マイク付き電子機器
JP6301584B2 (ja) 音響素子を内蔵した電子機器
JP3818280B2 (ja) スピーカ取付構造
JP2007037188A (ja) イヤホン装置
JP2005251551A (ja) 操作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又は電子機器
JP2013157763A (ja) 録音装置
JP2004203187A (ja) 撮像装置の組付部構造
JP2005051644A (ja) スピーカの防塵構造
CN109764285B (zh) 智能探照灯
CN111083601A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