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530B1 -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 Google Patents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530B1
KR102005530B1 KR1020190062498A KR20190062498A KR102005530B1 KR 102005530 B1 KR102005530 B1 KR 102005530B1 KR 1020190062498 A KR1020190062498 A KR 1020190062498A KR 20190062498 A KR20190062498 A KR 20190062498A KR 102005530 B1 KR102005530 B1 KR 102005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pport
block
fram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to KR102019006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12Lateral beam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47B2200/0031Table with knee type tubular leg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각종 형태의 테이블, 식탁, 실험대 등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을 구성하되, 해당 선반을 채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향상은 물론 무엇보다 별도의 도구 없이도 신속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적극 개선함으로써 제작성과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설정크기를 가진 받침판(11)과, 받침판(11)에 연결되어 바닥으로부터 수평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프레임(15)을 구비하는 탁자(10); 위 받침판(11)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물건의 수납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선반(20); 위 프레임(15)상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부착되어 삽입과 끼움으로 선반(20)의 탈부착을 유도하는 조립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탁자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별도의 도구 없이도 선반을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공수를 절감하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Tables with one-touch assembly shelves}
본 발명은 물건의 수납 기능을 겸한 테이블의 기술사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각종 형태의 테이블, 식탁, 실험대 등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을 구성하되, 해당 선반을 채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향상은 물론 무엇보다 별도의 도구 없이도 신속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적극 개선함으로써 제작성과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 주거 공간 또는 사무실 공간 등에서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테이블이 사용된다. 이러한 테이블은 다양한 형식과 구조를 가지는데, 보편적으로 원형 또는 각형의 판과 이것을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에 테이블은 물건을 판 위에 단순히 올려놓고 거치하는 기능만 수행할 수 있고, 물건을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은 없어 별도의 수납함을 갖춰야만 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003호 (고안의 명칭: 회전식 선반을 구비한 책상)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6983호 (고안의 명칭: 실험기구 수납장을 구비한 과학실용 책상)를 제안한 바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테이블의 하방에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장을 구비하여 공간 활용은 물론이고, 테이블 상에서의 공부, 실험과 같은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하지만 전자나 후자는 그 구조가 다르지만, 통상의 수납장을 그대로 테이블에 복합 적용한 것이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무거워 특정 용도나 장소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있다.
즉,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작이 번거롭고 어려워 결과적으로 구입비용의 증가를 초래할뿐더러 사용자가 수납장의 적용유무를 선택할 수가 없어 소비자의 불만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코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596호 (발명의 명칭: 수납선반을 구비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형 이동 테이블)를 제안한 바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테이블의 하단에 미닫이 형태로 인출이 가능한 수납선반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미닫이 형태의 수납선반은 잦은 고장을 유발하고, 여전히 수납장의 적용유무를 선택할 수가 없어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003호 (고안의 명칭: 회전식 선반을 구비한 책상)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6983호 (고안의 명칭: 실험기구 수납장을 구비한 과학실용 책상)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596호 (발명의 명칭: 수납선반을 구비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형 이동 테이블)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별도의 도구 없이도 선반을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으로 구매비용을 낮출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은 적어도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설정크기를 가진 받침판과, 위 받침판에 연결되어 바닥으로부터 수평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탁자; 위 받침판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물건의 수납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선반; 위 프레임 상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부착되어 삽입과 끼움으로 선반의 탈부착을 유도하는 조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위 탁자는 프레임의 후면이나 좌우측에 각각 부착되어 착석자의 신체를 은폐시키는 가림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탁자는 받침판 또는 가림판 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콘센트를 더 구비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탁자의 프레임은 받침판의 양단에 상측을 감싸며 하향을 향해 기립되는 ㄷ형의 지지다리와, 위 지지다리 사이에 길이와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 개재되어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보조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선반은 원형 또는 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살대로 구성되거나, 수납홈을 가진 바구니의 양단으로 복수의 살대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조립부재는 프레임의 내측에 부착되어 선반의 단부를 파지하는 지지블록과, 위 지지블록의 상단에 부착되어 파지된 선반을 구속하는 고정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지지블록은 양측에 프레임과 체결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과, 중앙에 상측과 내측을 향해 개구되어 선반의 단부를 수용하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의 지지홈부와, 고정블록의 탈착으로 지지홈부의 개폐를 유도하는 구속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고정블록은 저면에 선반의 단부와 밀착되어 지지블록으로 구속시키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의 고정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지지블록의 구속슬롯과 고정블록 상에 상호 맞물려 슬라이드 삽입을 안내하는 레일홈부와 레일돌부 및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에 서로 맞물려 고정을 유도하는 걸림홈부와 걸림돌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조립부재는 프레임 상에 전방 측과 후방 측 또는 하측과 상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착되어 복수의 선반이 구성되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테이블은 받침판의 하단 중앙에 부착되어 전방 측 선반과 후방 측 선반으로 구획시키는 분할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탁자에 물건을 은폐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는 선반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도 향상할 수 있다.
둘째, 별도의 도구 없이도 선반을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으로 구매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
셋째,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선반이 미 적용된 테이블로도 판매할 수 있고, 선반을 별도로 구매하여 소비자가 직접 부착할 수가 있으므로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세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변형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물건의 수납 기능을 겸비하는 테이블과 관련되며, 도 1처럼 탁자(10)와 선반(20) 및 조립부재(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겸비하는 테이블이다.
본 발명의 테이블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선반을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공수를 절감하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탁자(10)는 테이블의 주요 기능인 식사, 응접, 회의, 실험, 공부 기능을 제공하는 본체이다. 이러한 탁자(10)는 도 1처럼 크게 받침판(11)과 복수의 프레임(15)으로 이루어진다. 받침판(11)은 철재, 목재, 수지재가 설정 크기의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되어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역할을 하고, 프레임(15)은 받침판(11)에 연결되어 바닥으로부터 설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수평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프레임(15)은 도 2 내지 도 4처럼 복수의 지지다리(15a)와 보조대(15b)가 틀 형으로 연결된다. 지지다리(15a)는 받침판(11)의 양단에 상측을 감싸며 하향을 향해 기립되는 ㄷ형으로 형성되고, 보조대(15b)는 지지다리(15a) 사이에 길이와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 개재되어 내구성을 증대시켜준다. 그리고 보조대(15b)는 후술하는 조립부재(30)의 부착을 유도하는 복수의 조립구멍이 형성된다.
이때, 탁자(10)는 프레임(15)의 후면이나 좌우측에 각각 부착되어 착석자의 신체를 은폐시키는 가림판(1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착석 위치가 일방향의 경우 프레임(15)의 후면에 가림판(12)이 부착된다. 물론, 착석 위치가 서로 마주보는 양방향일 경우 전면의 가림판(12)은 생략된다.
또한, 탁자(10)는 받침판(11) 또는 가림판(12)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콘센트(1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콘센트(13)는 통상의 기기 플러그의 연결을 유도하는 것으로, 건물에 배치된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해준다. 여기서 콘센트(13)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안전성과 함께 미감을 향상하기 위해 절첩 또는 슬라이드로 개폐되는 덮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20)은 사용자의 물건을 은폐된 상태로 수납을 유도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처럼 받침판(11)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된다. 이러한 선반(20)은 원형 또는 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살대로 구성될 수 있고, 물건이 수납되게 함몰된 수납홈을 가진 바구니(도면 미 도시)의 양단에 복수의 살대가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라면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자명한다.
조립부재(30)는 탁자(10)에 선반(20)을 원터치로 탈부착을 유도하는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4처럼 프레임(15)상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부착된다. 이러한 조립부재(30)는 프레임(15)의 내측에 부착되어 선반(20)의 단부를 파지하는 지지블록(31)과, 지지블록(31)의 상단에 부착되어 파지된 선반(20)을 구속하는 고정블록(3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블록(31)은 도 5와 같이 양측에 프레임(15)과 체결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31a)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측과 내측을 향해 개구되어 선반(20)의 단부를 수용하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의 지지홈부(31b)와, 고정블록(35)의 탈착으로 지지홈부(31b)의 개폐를 유도하는 구속슬롯(31c)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블록(35)은 도 6처럼 저면에 선반(20)의 단부와 밀착되어 지지블록(31)으로 구속시키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의 고정홈부(35a)가 형성된다.
이때, 지지블록(31)의 구속슬롯(31c)과 고정블록(35)의 양측에는 상호 슬라이드 삽입을 안내하는 레일홈부(30a)와 레일돌부(30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구속슬롯(31c)의 상단과 고정블록(35)의 저면에는 고정블록(35)의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에 서로 맞물려 고정을 유도하는 걸림홈부(30c)와 걸림돌부(30d)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구속슬롯(31c)에는 레일홈부(30a)와 걸림홈부(30c)가 형성되고, 고정블록(35)에는 레일돌부(30b)와 걸림돌부(30d)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것에 반대로도 구성할 수가 있다.
즉, 지지블록(31)은 도 2와 같이 체결구멍(31a)과 보조대(15b)에 마련된 조립구멍에 일치된 상태에서 나사의 체결로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3 및 도 7과 같이 복수의 지지홈부(31b)에 선반(20)의 단부를 삽입시켜 거치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8처럼 고정블록(35)을 선반(20)의 상단에 위치시켜 고정홈부(35a)를 단부에 밀착시킨 다음, 고정블록(35)을 구속슬롯(31c)에 삽입시킨다.
이 과정에서 도 9와 같이 레일홈부(30a)와 레일돌부(30b)가 서로 맞물리면서 고정블록(35)은 지지블록(31)으로부터 상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지지홈부(31b)에 삽입된 선반(20)의 단부를 구속한다. 이어서 고정블록(35)의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걸림홈부(30c)와 걸림돌부(30d)가 서로 결착되어 지지블록(31)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가진다.
만일, 선반(20)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블록(35)을 지지블록(31)의 내측 방향으로 당기면, 걸림홈부(30c)와 걸림돌부(30d) 및 레일홈부(30a)와 레일돌부(30b)의 맞물림이 순차적으로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선반(20)을 상측으로 들어 지지홈부(31b)로부터 단부를 이탈시키면 된다. 선반(20)의 이탈이 완료되면, 분리된 고정블록(35)을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으로 지지블록(31)에 슬라이드 삽입시키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부재(30)는 도 10 및 도 11처럼 프레임(15)상에 전방 측과 후방 측에 독립적으로 부착시켜 선반(20)을 전후로 편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착석 위치가 서로 마주보는 양방향일 경우, 물건의 구분이나 개인화를 위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가림판(12)의 하단 중앙에 부착되어 전방 측 선반(20)과 후방 측 선반(20)으로 구획시키는 분할부재(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물론,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립부재(30)는 프레임(15)상에 하측과 상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착시켜 선반(20)을 다단으로 편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탁자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도구 없이도 선반을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으로 구매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 더불어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선반이 미 적용된 테이블로도 판매할 수 있고, 선반을 별도로 구매하여 소비자가 직접 부착할 수가 있으므로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10: 탁자 11: 받침판
12: 가림판 13: 콘센트
15: 프레임 15a: 지지다리
15b: 보조다리 20: 선반
30: 조립부재 30a: 레일홈부
30b: 레일돌부 30c: 걸림홈부
30d: 걸림돌부 31: 지지블록
31a: 체결구멍 31b: 지지홈부
31c: 구속슬롯 35: 고정블록
35a: 고정홈부 40: 분할부재

Claims (9)

  1. 적어도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설정 크기를 가진 받침판(11)과, 받침판(11)에 연결되어 바닥으로부터 수평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프레임(15)을 구비하는 탁자(10)와, 받침판(11)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물건의 수납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선반(20)과, 프레임(15) 상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부착되어 삽입과 끼움으로 선반(20)의 탈부착을 유도하는 조립부재(30)로 구성되는 테이블에 있어서,
    위 조립부재(30)는 프레임(15)의 내측에 부착되어 선반(20)의 단부를 파지하는 지지블록(31)과, 지지블록(31)의 상단에 부착되어 파지된 선반(20)을 구속하는 고정블록(35)으로 구성되고,
    위 지지블록(31)은 양측에 프레임(15)과 체결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31a)과, 중앙에 상측과 내측을 향해 개구되어 선반(20)의 단부를 수용하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의 지지홈부(31b)와, 고정블록(35)의 탈착으로 지지홈부(31b)의 개폐를 유도하는 구속슬롯(31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위 탁자(10)의 프레임(15)은 받침판(11)의 양단에 상측을 감싸며 하향을 향해 기립되는 ㄷ형의 지지다리(15a)와, 위 지지다리(15a) 사이에 길이와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 개재되어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보조대(15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위 선반(20)은 원형 또는 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살대로 구성되거나, 수납홈을 가진 바구니의 양단으로 복수의 살대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위 고정블록(35)은 저면에 선반(20)의 단부와 밀착되어 지지블록(31)으로 구속시키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의 고정홈부(3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위 지지블록(31)의 구속슬롯(31c)과 고정블록(35)상에 상호 맞물려 슬라이드 삽입을 안내하는 레일홈부(30a)와 레일돌부(30b) 및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에 서로 맞물려 고정을 유도하는 걸림홈부(30c)와 걸림돌부(30d)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8. 제1항에 있어서,
    위 조립부재(30)는 프레임(15)상에 전방 측과 후방 측 또는 하측과 상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착되어 복수의 선반(20)이 구성되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9. 제8항에 있어서,
    위 탁자(10)는 프레임(15)의 후면이나 좌우측에 각각 부착되어 착석자의 신체를 은폐시키는 가림판(12)을 더 포함하고,
    위 가림판(12)에는 전방 측 선반(20)과 후방 측 선반(20)으로 구획시키는 분할부재(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KR1020190062498A 2019-05-28 2019-05-28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KR102005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498A KR102005530B1 (ko) 2019-05-28 2019-05-28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498A KR102005530B1 (ko) 2019-05-28 2019-05-28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530B1 true KR102005530B1 (ko) 2019-07-31

Family

ID=6747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498A KR102005530B1 (ko) 2019-05-28 2019-05-28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575B1 (ko) 2021-06-15 2021-12-06 이동주 조립용 테이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6001U (ko) * 1974-08-17 1976-02-26
JP3061162U (ja) * 1999-02-01 1999-09-17 リーベ株式会社 傾斜棚板を設けたラック
KR200246983Y1 (ko) 2001-06-05 2001-10-18 이재권 실험기구 수납장을 구비한 과학실용 책상
KR200349003Y1 (ko) 2003-08-14 2004-04-29 김상현 회전식 선반을 구비한 책상
KR20160072596A (ko) 2014-12-15 2016-06-23 구명화 수납선반을 구비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형 이동 테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6001U (ko) * 1974-08-17 1976-02-26
JP3061162U (ja) * 1999-02-01 1999-09-17 リーベ株式会社 傾斜棚板を設けたラック
KR200246983Y1 (ko) 2001-06-05 2001-10-18 이재권 실험기구 수납장을 구비한 과학실용 책상
KR200349003Y1 (ko) 2003-08-14 2004-04-29 김상현 회전식 선반을 구비한 책상
KR20160072596A (ko) 2014-12-15 2016-06-23 구명화 수납선반을 구비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형 이동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575B1 (ko) 2021-06-15 2021-12-06 이동주 조립용 테이블
KR20220168124A (ko) 2021-06-15 2022-12-22 이동주 조립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652Y1 (ko) 의자 일체형 가구
US8534752B2 (en) Reconfigurable table assemblies
US5536080A (en) Free standing work station
KR102005530B1 (ko)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KR20140037362A (ko)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JP2007143646A (ja) 洗面化粧台
JP6508810B2 (ja) 収納什器
JP4980790B2 (ja) 茶道用点前具
KR200363147Y1 (ko) 컴퓨터책상
JP2532877Y2 (ja) 作業台
JP2016209306A (ja) キャビネット
KR200447553Y1 (ko) 컴퓨터 겸용 독서실 책상
JP3208174U (ja) ラック
KR102167699B1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93042Y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침대 프레임
KR101649160B1 (ko) 평면부재를 이용한 입체형 엔틱 콘솔 및 이의 제조방법
CN212233687U (zh) 一种易于调节的书架
JP2004357738A (ja) スライド式補助カウンター
KR20140040573A (ko) 수납실이 형성된 책상
CN214548186U (zh) 一种多功能书柜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JP2014144133A (ja) 収納家具
JP7399677B2 (ja) 天板付き什器システム
KR102466402B1 (ko)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JP2014076389A (ja) アイランド型調理台の配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