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699B1 -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699B1
KR102167699B1 KR1020190039763A KR20190039763A KR102167699B1 KR 102167699 B1 KR102167699 B1 KR 102167699B1 KR 1020190039763 A KR1020190039763 A KR 1020190039763A KR 20190039763 A KR20190039763 A KR 20190039763A KR 102167699 B1 KR102167699 B1 KR 10216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storage space
partition plate
inne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533A (ko
Inventor
이충인
Original Assignee
이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인 filed Critical 이충인
Priority to KR102019003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69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페와 같이 개방된 장소에 비치되어 공부나 작업을 위한 자리를 제공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의 중간 하부에 개별수납공간이 좌측과 우측에 서로 독립되게 구획되어 휴대한 가방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고 중간 전측에 구획홈이 함몰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단 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외측다리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상기 구획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내측다리판; 상기 상판의 후단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측다리판과 상기 내측다리판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하는 후측지지판; 및 상기 구획홈의 하부에서 상기 내측다리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후측지지판의 전면에 밀착되며 상측에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수평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Desk type furniture with individual storage sp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
본 발명은 카페와 같이 개방된 장소에 비치되어 공부나 작업을 위한 자리를 제공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국적으로 카페의 수가 유행처럼 늘어나고 있고 늘어나는 카페의 수에 대응되게 카페에서 공부나 작업을 하는 사람인 '카공족'이 덩달아 늘어나고 있다.
카페에서 공부나 작업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이유는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는 현세대의 심리를 그대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현세대의 심리는 혼자 있고 싶으나 혼자 있기 싫은 것으로서 누군가 자신을 가까이서 쳐다보는 것은 부담스럽지만 그렇다고 집에 혼자 있기는 싫은 것이다.
현세대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카페는 완전히 개방되어 있고 독서실은 완전히 차단되어 있어 그 중간의 장소가 마땅치 않는 것이 현실이다.
카페는 독서실과 달리 자리가 개방되고 주변 사람들도 쉽게 볼 수 있으므로 소외감이나 고립감이 상대적으로 덜 할 수 있으므로 카페에서 공부나 작업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카페에서 공부나 작업에 필요한 노트북과 서적과 필기도구를 휴대하기 위해 가방을 소지하고 있다. 카페에 구비된 테이블에는 가방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휴대한 가방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빈 의자 위에 가방을 올려놓거나 빈 의자가 없는 경우 자신의 의자 등받이에 가방의 어깨끈이나 손잡이를 걸어놓을 수밖에 없다.
가방을 의자 위에 올려놓거나 의자 등받이에 걸어놓을 경우 가방이 고정되지 않아 바닥으로 쉽게 떨어지고 가방에서 물건을 넣고빼기가 매우 불편하며 가방의 무게로 인해 의자가 뒤로 넘어가면서 안전사고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카페에 마련된 테이블 대부분은 상판에 칸막이가 전혀 없어 상판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공부나 작업시 옆 테이블에 앉은 사람이 쉽게 볼 수 있으므로 현세대의 심리에 부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없다.
카페에 마련된 테이블에는 노트북이나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멀티콘센트도 구비되어 있는데, 대부분 테이블의 상판 상부면이나 하부면 가장자리에 멀티콘센트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멀티콘센트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멀티콘센트에 전원플러그를 결합하거나 전원플러그를 멀티콘센트에서 분리할 때 의자에 앉은 상태에 힘을 수직방향으로 가하기가 어려워 의자에서 엉덩이를 들고 일어선 자세에서 전원플러그를 결합 내지 분리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함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2527호, 2012.07.24.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317호, 2006.02.24.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카페에서 공부나 작업을 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되 현세대의 심리에 부합되게 독립된 공간과 개방된 공간이 함께 존재하는 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독립된 공간과 개방된 공간을 제공하고 가방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는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고 중간 전측에 구획홈이 함몰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단 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외측다리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상기 구획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내측다리판; 상기 상판의 후단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측다리판과 상기 내측다리판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하는 후측지지판; 및 상기 구획홈의 하부에서 상기 내측다리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후측지지판의 전면에 밀착되며 상측에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수평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은 상판과 한 쌍의 외측다리판과 한 쌍의 내측다리판과 후측지지판과 수평구획판과 수직구획판과 복수 개의 지지격판으로 조립되는 책상형 가구를 제조하는 것으로, 제1목판소재와 제2목판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목판소재의 일면에 상기 상판과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과 상기 수평구획판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절단안내선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목판소재의 일면에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과 상기 후측지지판과 상기 수직구획판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격판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2절단안내선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절단안내선을 따라 상기 제1목판소재를 절단 가공하여 상기 상판과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과 상기 수평구획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절단안내선을 따라 상기 제2목판소재를 절단 가공하여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과 상기 후측지지판과 상기 수직구획판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격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을 서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기립시키고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의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을 서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기립시키며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과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 모두를 후측지지판으로 연결하고 대향하는 상기 외측다리판과 상기 내측다리판을 각각 상기 지지격판으로 연결하는 단계;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을 상기 수평구획판으로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과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과 상기 후측지지판과 상기 지지격판의 상부에 상판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평구획판의 중심에 상기 수직구획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판의 중심에 수직구획판이 기립 설치되어 상판의 전측 상부공간과 전방 착석공간이 상판의 좌우로 서로 독립되게 구획됨에 따라 개방된 장소에서도 자기만의 독립된 공간에서 공부나 작업을 할 수 있다.
수직구획판의 상부 후측에 전방시야확보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판의 후측 상부공간이 좌우로 구획되지 않고 서로 연통됨에 따라 전방 시야가 넓게 확보되어 개방된 장소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는 기분으로 공부나 작업을 할 수 있다.
상판의 중심 하부에 수평구획판과 수직구획판에 의해 수납공간이 좌우로 독립되게 구획됨에 따라 휴대한 가방을 독립된 공간에 편리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내측다리판과 수직구획판의 하단면 면적을 최소화하고 후측지지판의 하단면이 바닥과 이격됨에 따라 상판 하부의 바닥을 청소할 때 청소도구가 쉽게 접근 가능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판에 스탠드조명을 설치하기 위한 수직설치공이 구비되고 내측다리판에 멀티콘센트의 전원플러그를 통과시키기 위한 수평배선공도 구비됨에 따라 스탠드조명도 미려하게 설치할 수 있고 멀티콘센트도 외부 노출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멀티콘센트가 후측지지판의 전면에 부착됨에 따라 전원플러그를 결합하고 분리할 때 힘을 가하기 쉬운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되므로 앉은 자세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길이와 너비가 2:1의 비율을 가진 목판소재 2장을 사용하여 상판과 외측다리판과 내측다리판과 지지격판과 후측지지판과 수평구획판과 수직구획판을 제조함에 따라 자재 수율이 높아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조된 상판과 외측다리판과 내측다리판과 지지격판과 후측지지판과 수평구획판과 수직구획판이 짜임 구조로 조립됨에 따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물량 확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에서 목판소재 준비 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에서 절단안내선 표시 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에서 목판소재 절단 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에서 1차 조립 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에서 2차 조립 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에서 3차 조립 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에서 스탠드조명 설치 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카페와 같이 개방된 장소에 비치되어 개인적으로 공부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공간을 제공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은 1인 가구가 늘어나는 현세대의 심리에 부합되는 독립된 공간과 개방된 공간이 함께 마련되어 공부나 작업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납공간도 구비되어 가방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100)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과 외측다리판(20)과 내측다리판(30)과 후측지지판(40)과 지지격판(50)과 수평구획판(60) 및 수직구획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판(10)은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고 중간 전측에 구획홈(11)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구획홈(11)은 상판(10)의 중간 전측에 빈공간을 형성하여 상판(10)의 상부 전측공간을 빈공간을 통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한다. 구획홈(11)이 없는 상판(10)의 상부 후측공간은 구획없이 좌측과 우측이 연통된다.
구획홈(11)은 상판(10)의 상부 전측공간이 상판(10)의 상부 후측공간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도록 상판(10)의 전후 너비에 대하여 적어도 절반 이상되는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구획홈(11)은 상판(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상판(10)의 상부 전측공간을 자연스럽게 좌우로 구획할 수 있도록 곡선부를 포함한다. 구획홈(11)은 양측면을 이루는 직선부과, 직선부를 곡선으로 잇는 곡선부를 포함하도록 "∩"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측다리판(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판(10)의 양측단 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판(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다리판(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판(10)의 하부 중간에 구획홈(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판(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후측지지판(40)은 상판(10)의 후단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한 쌍의 외측다리판(20)과 한 쌍의 내측다리판(30)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판(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한다.
후측지지판(40)과 외측다리판(20)과 내측다리판(3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짜임 구조를 조립된다. 즉, 후측지지판(40)의 양측단에는 안착턱(41)이 각각 구비되고 외측다리판(20)의 상부 후단에는 후측지지판(40)의 안착턱(41)이 안착되는 지지턱(21)이 구비되고, 후측지지판(40)의 중간 양측에는 결합홈(42)이 각각 구비되고 내측다리판(30)의 상부 후단에는 후측지지판(40)의 결합홈(42)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턱(31)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격판(50)은 대향하는 외측다리판(20)과 내측다리판(30)의 사이에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어 외측다리판(20)과 내측다리판(30)을 좌우로 연결하고 상판(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한다.
지지격판(50)과 외측다리판(20)과 내측다리판(3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짜임 구조로 조립된다. 지지격판(50)의 양측단에는 결합턱(51)이 구비되고 외측다리판(20)과 내측다리판(30)의 상부면에는 지지격판(50)의 결합턱(51)이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22)(32)이 각각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구획판(60)은 구획홈(11)의 하부에서 한 쌍의 내측다리판(30)의 상하 중간 사이에 전후 수평으로 설치되고 양측단이 내측다리판(30)에 밀착되며 후단이 후측지지판(40)에 밀착되어 구획홈(11)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구획한다.
수납공간은 전방과 상부 전측이 개방되고 상부 후측이 상판(10)에 의해 폐쇄되며 양측부는 내측다리판(30)에 의해 폐쇄되고 후방은 후측지지판(40)에 의해 폐쇄된다.
수평구획판(60)과 내측다리판(30)과 후측지지판(4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짜임 구조로 조립된다. 즉, 수평구획판(60)의 양측단 전측과 후측에 각각 삽입턱(61)이 돌출 형성되고 내측다리판(30)의 중간 전측과 후측에는 수평구획판(60)의 삽입턱(61)이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33)이 각각 형성되고, 수평구획판(60)의 후단 양측에는 지지단(62)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후측지지판(40)의 하단 중간 양측에 각각 수평구획판(60)의 지지단(62)에 안착되는 안착단(43)이 함몰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직구획판(70)은 구획홈(11)과 수평구획판(60)의 좌우 중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판(10)의 전측 상부공간과 전방 착석공간 및 수납공간을 좌우로 구획시킨다.
수직구획판(7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전측에 상판(10)의 상부로 소정높이 돌출된 상방가림부(71)가 구비되고 하부에 바닥과 닿도록 수평구획판(60)의 하부로 돌출된 지지다리부(72)가 구비되며 전단에 상판(10)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전방돌출부(73)가 구비되고 상부 후측에 전방으로 함몰 형성된 전방시야확보홈(74)이 구비된다.
상판(10)의 전측 상부공간과 전방 착석공간은 수직구획판(70)의 상방가림부(71)와 전방돌출부(73)에 의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서로 독립적인 공간을 이루는 개별상부공간과 개별착석공간으로 구획된다.
수납공간은 수직구획판(70)에 의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서로 독립적인 공간을 이루는 개별수납공간(80)으로 구획된다. 상판(10)의 후측 상부공간은 수직구획판(70)의 전방시야확보홈(74)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연통된다.
상판(10)의 상부 전측공간과 전방 착석공간이 좌측과 우측의 개별상부공간과 개별착석공간으로 독립되게 구획되고 상판(10)의 상부 후측공간이 좌우로 연통됨에 따라 상판(10)의 전방 착석공간에 착석한 사용자는 옆 사용자의 시야가 차단되고 전방 시야가 넓게 확보되는 공간에서 공부나 작업을 할 수 있다.
수납공간도 좌측과 우측의 개별수납공간(80)으로 독립되게 구획됨에 따라 휴대한 가방을 자신만의 공간에 떨어질 우려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다. 수평구획판(60)의 높이에 따라 개별수납공간(80)에 수납된 가방의 입구 높이가 상판(10)의 높이와 근접함에 따라 앉은 자세에서도 가방의 물품을 편리하게 넣고뺄 수 있다.
수직구획판(70)과 수평구획판(6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짜임 구조로 조립된다. 즉, 수직구획판(70)의 하부 후단 중심에는 결합홈(75)이 수평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수평구획판(60)의 전단 중심에는 수직구획판(70)의 결합홈(75)과 교차하여 결합되는 결합홈(63)이 수평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바닥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판(10)의 하부 공간과 내측다리판(30)과 수직구획판(70)의 사이 공간으로 청소도구가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바닥과 닿는 내측다리판(30)과 수직구획판(70)의 하단면 면적이 최소화되고 후측지지판(40)의 하단면이 바닥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수직구획판(70)의 하부 전측에는 바닥과 접촉하는 하단면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전방면적감소홈(76)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내측다리판(30)의 하부 후측에는 바닥과 접촉하는 하단면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후방면적감소홈(34)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후측지지판(40)의 상하 길이는 내측다리판(30)과 외측다리판(20)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아 하단면이 바닥과 이격된다.
수평구획판(60)의 후단 모서리에는 개별수납공간(80)과 수평구획판(60)의 하부 공간을 수직으로 연통시키는 먼지배출홈(64)이 각각 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수평구획판(60)의 상부에 쌓이는 먼지나 이물질을 먼지배출홈(64)을 통해 바닥으로 내려보낼 수 있으므로 개별수납공간(80)의 청소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의 중심 전측에는 상판(10)의 상부공간과 개별수납공간(80)을 상하로 연통시키는 한 쌍의 수직설치공(12)이 수직구획판(7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좌우로 형성되고, 내측다리판(30)의 상부 후측에는 상판(10)의 좌우측 하부공간과 개별수납공간(80)을 각각 좌우로 연통시키는 수평배선공(35)이 각각 형성된다.
수평배선공(3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콘센트(C)가 개별수납공간(80)의 내부에서 후측지지판(40)의 전면에 부착될 때 멀티콘센트(C)의 전원플러그를 개별수납공간(80)에서 상판(10)의 좌우측 하부공간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직설치공(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의 좌우측 상부에 각각 스탠드조명(L)이 설치될 때 스탠드조명(L)의 기둥프레임 단부를 수용하여 스탠드조명(L)을 기립시키기 위한 것이다.
멀티콘센트(C)가 후측지지판(40)의 전면에 부착됨에 따라 멀티콘센트(C)에 노트북의 전원 공급이나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전원플러그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힘을 가하기가 쉬운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되므로 앉은 자세에도 무리 없이 전원플러그를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은 상판(10)과 한 쌍의 외측다리판(20)과 한 쌍의 내측다리판(30)과 후측지지판(40)과 수평구획판(60)과 수직구획판(70)과 복수 개의 지지격판(50)이 조립된 책상형 가구를 제조하는 것으로, 목판소재 준비 단계, 절단안내선 표시 단계, 목판소재 절단 단계, 1차 조립 단계, 2차 조립 단계, 3차 조립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목판 소재 준비 단계는 도 9와 같이 일정두께를 가진 제1목판소재(1)와 제2목판소재(2)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제1목판소재(1)와 제2목판소재(2)는 자재 수율을 높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전후 길이와 좌우 너비가 2:1의 비율을 가진 것으로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절단안내선 표시 단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목판소재(1)의 일면에 상판(10)과 한 쌍의 외측다리판(20)과 수평구획판(60)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절단안내선을 표시하고, 제2목판소재(2)의 일면에 한 쌍의 내측다리판(30)과 후측지지판(40)과 수직구획판(70)과 복수 개의 지지격판(50)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2절단안내선을 표시하는 공정이다.
제1목판소재(1)에 제1절단안내선을 표시할 때는 상판(10)의 형상을 제1목판소재(1)의 우측에, 외측다리판(20)의 형상을 제1목판소재(1)의 좌측 후단에, 수평구획판(60)을 제1목판소재(1)의 좌측 전단에 배치하여 표시한다.
제2목판소재(2)에 제2절단안내선을 표시할 때는 내측다리판(30)의 형상을 제2목판소재(2)의 좌측 후단에, 후측지지판(40)의 형상을 제2목판소재(2)의 우측에, 수직구획판(70)의 형상을 제2목판소재(2)의 좌측 전단에, 지지격판(50)을 제2목판소재(2)의 좌측 중간에 배치하여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목판소재 절단 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목판소재(2)를 제1절단안내선을 따라 절단 가공하고 제2목판소재(2)를 제2절단안내선을 따라 절단 가공하는 공정이다.
제1목판소재(1)를 절단 가공하면 상판(10)과 한 쌍의 외측다리판(20)과 수평구획판(60)을 얻을 수 있다. 제2목판소재(2)를 절단 가공하면 한 쌍의 내측다리판(30)과 후측지지판(40)과 수직구획판(70)과 복수 개의 지지격판(50)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차 조립 단계는 외측다리판(20)과 내측다리판(30)과 후측지지판(40)과 지지격판(50)을 조립하는 공정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측다리판(20)을 서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기립시키고 한 쌍의 외측다리판(20)의 사이에 한 쌍의 내측다리판(30)을 서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수직으로 기립시키며 한 쌍의 외측다리판(20)과 한 쌍의 내측다리판(30)의 후단을 후측지지판(40)으로 연결하고 대향하는 외측다리판(20)과 내측다리판(30)을 지지격판(50)으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2차 조립 단계는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다리판(30)을 수평구획판(60)으로 연결하고 한 쌍의 외측다리판(20)과 한 쌍의 내측다리판(30)과 후측지지판(40)과 지지격판(50)의 상부에 상판(10)을 안착시키는 공정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3차 조립 단계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구획판(60)의 중심에 수직구획판(70)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책상형 가구(100)의 제조를 완료하는 공정이다.
조명이 필요할 때는 3차 조립 단계 후에 스탠드조명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조명 설치 단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콘센트(C)와 스탠드조명(L)을 책상형 가구(100)에 설치하는 공정이다.
멀트콘센트(C)는 개별수납공간(80)의 내부에서 후측지지판(40)의 전면 양측에 각각 부착하고 스탠드조명(L)을 상판의 중간 양측에 각각 고정하는 공정이다.
멀티콘센트(C)의 전원플러그를 내측다리판(30)의 수평배선공(35)에 통과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콘센트에 꽂으면 된다. 스탠드조명(L)의 전원플러그는 상판(10)의 수직설치공(12)에 통과시켜 멀티콘센트(C)에 꽂으면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상판
11: 구획홈
12: 수직설치공
20: 외측다리판
21: 지지턱
22: 결합홈
30: 내측다리판
31: 결합턱
32: 결합홈
33: 결합홈
34: 후방면적감소홈
35: 수평배선공
40: 후측지지판
41: 안착턱
42: 결합홈
43: 안착단
50: 지지격판
51: 결합턱
60: 수평구획판
61: 삽입턱
62: 지지단
63: 결합홈
64: 먼지배출홈
70: 수직구획판
71: 상방가림부
72: 지지다리부
73: 전방돌출부
74: 전방시야확보홈
75: 결합홈
76: 전방면적감소홈
80: 개별수납공간
100: 책상형 가구

Claims (8)

  1.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고 중간 전측에 구획홈이 함몰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단 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외측다리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상기 구획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내측다리판;
    상기 상판의 후단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측다리판과 상기 내측다리판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하는 후측지지판; 및
    상기 구획홈의 하부에서 상기 내측다리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후측지지판의 전면에 밀착되며 상측에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수평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홈과 상기 수평구획판의 중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판의 상부 전측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을 각각 좌우로 구획하는 수직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획판은
    상부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판의 상부 전측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상방가림부와, 상부 후측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상부 후측공간이 구획되지 않게 좌우로 연통시키는 전방시야확보홈과, 하부에 구비되고 바닥과 닿도록 상기 수평구획판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다리부와, 전단에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상판의 전방 착석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전방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획판의 하부 전측에는
    바닥과 접촉하는 하단면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전방면적감소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내측다리판의 하부 후측에는
    바닥과 접촉하는 하단면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후방면적감소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후측지지판의 상하 길이는
    상기 내측다리판과 상기 외측다리판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아 하단면이 바닥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획판의 후단 모서리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상기 수평구획판의 하부 공간을 상하로 연통시키는 먼지배출홈이 각각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심 전측에는
    상기 상판의 상부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로 연통시키는 한 쌍의 수직설치공이 상기 수직구획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좌우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측다리판의 상부 후측에는
    상기 상판의 하부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을 좌우로 연통시키는 수평배선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7. 상판과 한 쌍의 외측다리판과 한 쌍의 내측다리판과 후측지지판과 수평구획판과 수직구획판과 복수 개의 지지격판으로 조립되는 책상형 가구를 제조하는 것으로,
    제1목판소재와 제2목판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목판소재의 일면에 상기 상판과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과 상기 수평구획판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절단안내선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목판소재의 일면에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과 상기 후측지지판과 상기 수직구획판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격판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2절단안내선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절단안내선을 따라 상기 제1목판소재를 절단 가공하여 상기 상판과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과 상기 수평구획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절단안내선을 따라 상기 제2목판소재를 절단 가공하여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과 상기 후측지지판과 상기 수직구획판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격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을 서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기립시키고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의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을 서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기립시키며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과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 모두를 후측지지판으로 연결하고 대향하는 상기 외측다리판과 상기 내측다리판을 각각 상기 지지격판으로 연결하는 단계;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을 상기 수평구획판으로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과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과 상기 후측지지판과 상기 지지격판의 상부에 상판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평구획판의 중심에 상기 수직구획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목판소재와 상기 제2목판소재는
    전후 길이와 좌우 너비가 2:1의 비율을 가진 것이고,
    상기 제1절단안내선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상판을 상기 제1목판소재의 우측에, 상기 한 쌍의 외측다리판을 상기 제1목판소재의 좌측 후단에, 상기 수평구획판을 상기 제1목판소재의 좌측 전단에 배치하여 표시하며,
    상기 제2절단안내선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내측다리판을 상기 제2목판소재의 좌측 후단에, 상기 후측지지판을 상기 제2목판소재의 우측에, 상기 수직구획판을 상기 제2목판소재의 좌측 전단에, 상기 복수 개의 지지격판을 상기 제2목판소재의 좌측 중간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의 제조방법.
KR1020190039763A 2019-04-04 2019-04-04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16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763A KR102167699B1 (ko) 2019-04-04 2019-04-04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763A KR102167699B1 (ko) 2019-04-04 2019-04-04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533A KR20200117533A (ko) 2020-10-14
KR102167699B1 true KR102167699B1 (ko) 2020-10-19

Family

ID=7284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763A KR102167699B1 (ko) 2019-04-04 2019-04-04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6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46Y1 (ko) 2004-01-07 2004-03-25 김철호 독서실용 책상
JP2005143587A (ja) 2003-11-11 2005-06-09 Okamura Corp 収納家具
CN105747508A (zh) 2014-12-15 2016-07-13 哈尔滨金苹果橱柜有限公司 一种双人屏风式办公桌
CN206659436U (zh) 2016-12-22 2017-11-24 浙江传媒学院 一种图书馆阅览室双人用电脑桌
JP2018143317A (ja) 2017-03-02 2018-09-20 コクヨ株式会社 机のサイド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317Y1 (ko) 2005-11-21 2006-02-24 변수민 독서대 및 필기구 보관함이 구비된 책상
KR101369461B1 (ko) * 2010-04-02 2014-03-06 이영규 독서실용 책상 유닛
KR101268078B1 (ko) 2011-01-14 2013-05-29 장중익 책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3587A (ja) 2003-11-11 2005-06-09 Okamura Corp 収納家具
KR200345846Y1 (ko) 2004-01-07 2004-03-25 김철호 독서실용 책상
CN105747508A (zh) 2014-12-15 2016-07-13 哈尔滨金苹果橱柜有限公司 一种双人屏风式办公桌
CN206659436U (zh) 2016-12-22 2017-11-24 浙江传媒学院 一种图书馆阅览室双人用电脑桌
JP2018143317A (ja) 2017-03-02 2018-09-20 コクヨ株式会社 机のサイド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533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6080A (en) Free standing work station
CN106458330B (zh) 可展开的中央悬臂架搁架
KR101914900B1 (ko) 수납가구용 프레임
JP2017131574A (ja) 家具装置
KR102167699B1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책상형 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005530B1 (ko)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KR200437333Y1 (ko) 접이식 수납의자
JP7232982B2 (ja) テーブル
ITBZ20010008U1 (it) Mobile di seduta imbottito.
JP2002320527A (ja) キャビネット
CN211673241U (zh) 一种学生用组合书桌柜
KR102421552B1 (ko) 쿠션감을 갖는 접이식 의자
EP2340744B1 (en) Monoblock furniture system comprising a bed/sofa integrated with cabinets and /or bookcase; the bed / sofa slides under the cabinet and / or modular bookcase and allows to create different areas acting alternately as living / sleeping area
CN213720932U (zh) 一种多用组合式靠背椅
KR101378255B1 (ko) 의자 수납식 테이블
KR102493022B1 (ko) 의자 및 책상을 구비한 트레일러
CN213605442U (zh) 一种多功能沙发床
CN113142885B (zh) 组合床
CN217959438U (zh) 一种中区中空多功能沙发
CN211673231U (zh) 封闭式多功能办公组合桌柜
CN211154593U (zh) 一种多功能组合书架
CN217937696U (zh) 一种带储物空间的沙发
CN211483708U (zh) 一种新型实用pu皮沙发
CN209990185U (zh) 一种养生打坐舱
CN214386859U (zh) 一种多功能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