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362A -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 Google Patents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362A
KR20140037362A KR1020120102782A KR20120102782A KR20140037362A KR 20140037362 A KR20140037362 A KR 20140037362A KR 1020120102782 A KR1020120102782 A KR 1020120102782A KR 20120102782 A KR20120102782 A KR 20120102782A KR 20140037362 A KR20140037362 A KR 20140037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drawer
cabinet
foldabl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4633B1 (ko
Inventor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주)토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템 filed Critical (주)토템
Priority to KR1020120102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6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상기한 본 발명은, 서랍장의 측면판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측면판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제1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힌지부가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에 양단부가 힌지 조립되고, 중간부위에 접이부가 형성되는 접이식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에 의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에 의하여, 보관해야 할 물품이 서랍장의 보관용량을 초과하거나, 컴퓨터 본체와 같이 차지하는 부피가 서랍장 내부의 수납공간에 비해 다소 크더라도 접이식 수납장을 인출하여 물품을 손쉽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이식 수납장이 필요에 따라 서랍장의 측면에 수납되거나 인출되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서랍장 측면의 공간을 수납장의 인출시에는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고, 인입시에는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CHEST OF DRAWERS HAVING FOLDABLE CABINET}
본 발명은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장의 측면판에 접이식 선반을 가진 수납장이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접이식 선반이 접혀져서 서랍장 측면판에 밀착되게 수납되며, 필요에 따라 인출하면 접이식 선반이 펼쳐져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장이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가구로서, 내부에는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수개의 서랍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캐스터 등 이동수단이 조립되어 장소와 용도에 따라서 의류나 사무용품 또는 생활용품 등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납가구를 말한다.
그러나, 수납해야하는 물품이 서랍장의 보관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서랍장 주변의 책상이나 책장 또는 바닥에 물품을 쌓아놓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시각적으로 혼란스러운 느낌을 주고, 물품의 정리가 어려우며, 필요한 물품을 신속하게 찾아내기가 힘들고, 분실되는 물품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소에 필요한 보관용량보다 큰 서랍장을 비치하게 되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주거공간이나 사무공간을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여 서랍장 내부의 수납공간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서랍장 주변의 공간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 서랍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랍장의 측면에 접이식 선반이 구비되는 수납장이 설치됨으로써, 평상시에는 서랍장의 측면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추가적인 수납공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인출하여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서랍장의 측면판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측면판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제1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힌지부가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에 양단부가 힌지 조립되고, 중간부위에 접이부가 형성되는 접이식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이식선반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면판과 상기 제1힌지부 사이에 고정부재가 더 설치될 수가 있으며, 상기 수납장에 착탈식선반이 더 설치되되, 상기 착탈식선반이 설치되도록 상기 측면판과 상기 지지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서포터가 조립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하단에는 받침대 또는 캐스터가 구비되며, 상기 접이부의 일측에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접이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접이식선반의 일측 상단부에 형성되어 타측 상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접이부재의 처짐을 단속한다.
아울러, 상기 서랍장에 레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레일부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레일이 조립되고, 상기 수납장 또는 상기 서랍장에는 상기 수납장을 상기 서랍장에 고정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장에는 상기 접이식선반을 접기 위한 조작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에 의하여, 보관해야 할 물품이 서랍장의 보관용량을 초과하거나, 컴퓨터 본체와 같이 차지하는 부피가 서랍장 내부의 수납공간에 비해 다소 크더라도 접이식 수납장을 인출하여 물품을 손쉽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이식 수납장이 필요에 따라 서랍장의 측면에 수납되거나 인출되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서랍장 측면의 공간을 수납장의 인출시에는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고, 인입시에는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의 접이식 수납장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의 접이식 수납장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의 접이식 수납장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의 접이식 수납장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의 접이식 수납장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의 접이식 수납장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의 접이식 수납장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의 접이식 수납장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의 접이식 수납장(200)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의 접이식 수납장(200)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서랍장의 측면판(110)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31)와, 상기 제1힌지부(31)에 대응하는 제2힌지부(21)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손잡이(24)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캐스터(23)가 구비되어 측면판(110)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지지부재(20)와, 중간부위에 접이부(11)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힌지부(31,21)에 양단이 힌지조립되는 접이식선반(10)과, 서랍장에 설치되는 레일부(40)를 따라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레일식선반(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이식선반(10)은 양단부가 제1 및 제2힌지부(31,21)에 힌지 조립되며, 중간에 형성되는 접이부(11)를 중심으로 양측이 서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선반이 상기 접이부(11)를 기준으로 서로 힌지 연결됨으로써 중간이 절첩되는 접이식선반(10)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지지부재(20)가 서랍장의 측면에 수납되거나 인출됨에 따라 제1 및 제2힌지부(31,21)와 접이부(11)에서 각각 회전이 발생하여 상기 접이식선반(10)이 절첩되거나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13)는 접이부(11)를 중심으로 접이식선반(10)의 일측 상단부에 형성되어 접이식선반(10)의 좌,우측이 수평을 이루는 각도에서 타측 상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접이식선반(10)이 처지지 않고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접이식선반(10)의 좌,우측이 수평을 이루게 되면 접이식선반(10)의 윗면에 평평한 수납면적이 형성되도록 상기 걸림부재(13)의 상단부는 접이식선반(10)의 상단부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13)는 일측 상단부에 하나만 형성되거나 양측 상단부에 서로 겹치지 않게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힌지부(31)는 접이식선반(10)의 일단부가 측면판(110)에 연결되어 소정각도 이내에서 회전되도록 힌지(31a), 볼트(31b) 및 볼트홀(31c)로 구성된다. 상기 제1힌지부(31)는 접이식선반(10)이 측면판(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측면판(110)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접이식 선반(10)의 양단부가 각각 측면판(110)과 지지부재(20)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부재(20)의 이동에 따라 접이식 수납장(200)이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그 구성으로는, 접이식선반(10)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힌지로 이루어진 제2힌지부(21)와, 접이식선반(10)의 수납과 인출이 원활하도록 하단에 구비되는 캐스터(23)와, 외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힌지부(21)는 상기 접이식선반(10)의 타단부가 측면판(110)에 연결되어 소정각도 이내에서 회전되도록 제1힌지부(31)에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힌지(11a)와 볼트(11b) 및 볼트홀(11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힌지부(21)는 접이식선반(10)의 타단부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4)는 접이식 수납장(200)의 수납과 인출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지지부재(20)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캐스터(23)는 접이식 수납장(200)의 수납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지지부재(20)의 하단에 구비된다. 접이식 수납장(200)은 서랍장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만 수납과 인출이 이루어지므로, 고정형 캐스터(23)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캐스터(23)를 대체하여 받침대(2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200)은 비교적 중량이 가볍고 수납 및 인출경로가 짧으므로, 캐스터(23)를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손잡이(24)를 파지하여 접이식 수납장(200)을 살짝 들어올린 후 수납과 인출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 그리고, 바닥면에 미끄러지는 캐스터(23)를 대신하여 바닥면과 접촉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받침대(22)를 사용함으로써 수납 또는 인출이 완료된 뒤에 접이식 수납장(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수납과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수납 또는 인출이 이루어진 뒤에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형 캐스터(23)와 높이 조절형 받침대(22)가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일식선반(52)은 지지부재(20)의 상단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전,후면에는 서랍장(100)에 설치되는 레일부(4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51)이 구비된다. 측면판(110)의 상단부에는 레일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홀(111) 내측으로는 가이드레일(51)이 연결되는 레일부(40)가 설치되어 지지부재(20)의 이동에 따라 레일식선반(52)이 서랍장(100)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식선반(52)은 착탈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레일(51)이 조립되며, 레일식선반(52)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레일로드(50)가 지지부재(20)의 상단 좌,우 양측에 고정됨으로써 레일식선반(52)은 필요에 따라 레일로드(50) 상측에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식선반(52)은 지지부재(20)의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레일부(40)는 추가적으로 레일홀(111)이 형성되지 않도록 서랍장의 밑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부(40) 및 가이드레일(51)의 구성은 서랍장(100)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에 있어서, 접이식 수납장(200)을 서랍장(100)으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의 접이식 수납장(200)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의 접이식 수납장(200)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의 접이식 수납장(200)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이식 수납장(200)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측면판(110)에 밀착되는 형태로 수납된다. 즉, 접이부(11)가 위로 솟아있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접이부(11)를 기준으로 좌,우측 접이식선반(10)의 밑면이 서로 맞닿아 절첩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레일(51)은 서랍장 내에 설치된 레일부(40) 내에 삽입되며, 지지부재(20)는 접혀져 있는 접이식선반(10)에 대략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이식 수납장(200)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24)를 파지하여 지지부재(20)를 당기게 되면, 지지부재(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던 가이드레일(51)이 레일부(40)를 따라 인출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부재(20)와 제2힌지부(21)로 연결되어 있는 접이식선반(10)이 함께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위로 솟아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던 접이부(11)는 접이식선반(10)이 접이부(11)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이부(11)가 하강하여 걸림부재(13)가 상기 접이식선반(10)의 좌,우측이 평행을 이루는 각도에서 타측 상단부를 지지하게 되면 접이식선반(10)이 수평을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0)와 가이드레일(51)은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접이식 수납장(200)의 인출이 완료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걸림부재(13)와 맞닿는 접이식선반(10) 부위에 각각 자석이 구비되도록 하거나 자석 및 자성체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일정 크기의 흔들림 또는 충격에 저항하여 상기 접이식선반(10)의 수평이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레일(51)의 이동이 단속되도록 잠금수단을 설치하여 접이식선반(10)의 인출이 완료되면 잠겨짐으로써 흔들림 또는 충격에 저항하여 레일식선반(52)이 이동이 방지되고, 동시에 접이식선반(10)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접이식 수납장(200)을 서랍장(100)의 측면으로 수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인출되어 있는 상기 접이식 수납장(200)을 수납시키기 위해 상기 손잡이(24)를 파지하여 측면판(110)측으로 밀게 되면 지지부재(20)의 하단에 설치된 캐스터(23)가 구름으로써 지지부재(20)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지지부재(20)에 제2힌지부(21)로 연결된 접이식선반(10)은 좌,우측 선반의 회전이 일어남에 따라 접이부(11)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레일(51)은 레일부(40)를 따라 서랍장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0)를 측면판(110) 방향으로 미는 최초의 동작과 함께 수평으로 펼쳐진 상기 접이식선반(10)의 접이부(11)가 상측 방향으로 수월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상,하측에 위치하는 접이부(11)를 연결하는 조작레버(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손으로 상측 또는 하측 접이식선반(10)의 접이부(11) 주위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하측 접이부(11)를 연결하는 조작레버(14)가 구비됨으로써 상,하측 접이부(11)가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0)를 측면판(110) 방향으로 밀게 되면 지지부재(20)의 이동과 함께 수평으로 펼쳐진 상기 접이식선반(10)이 수월하게 접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레버(14)는 상기 접이식선반(10)의 전면에서 물품의 수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이부(11)의 후방 말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접이식선반(10)의 절첩이 완료됨에 따라 지지부재(20)의 이동 및 가이드레일(51)의 삽입도 함께 완료되어, 도 3과 같이, 접이식 수납장(200)은 수납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은 제1힌지부(31)와 측면판(110) 사이에 고정부재(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의 접이식 수납장(200)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의 접이식 수납장(200)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수납장(200)은 서랍장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기존 수납장의 측면판(110)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고정부재(30)를 더 구비함으로써 기존 수납장의 측면판(110)에 설치되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접이식 수납장(200)을 기존 수납장에 설치하려면 측면판(110)에 제1힌지부(31)를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볼트홀(31c)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에 따라 그 작업과정이 복잡해지고, 아울러 차후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이식 수납장(200)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서랍장(100)의 측면판(11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홀(31c)에 의하여 서랍장의 미관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제1힌지부(31)가 조립되도록 볼트홀(31c)이 형성되는 고정부재(30)가 따로 구비되도록 하고, 측면판(110)에는 상기 고정부재(30)가 결합되도록 2 내지 4개의 볼트홀(112b)을 형성시키고 볼트(112a)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접이식 수납장(200)을 기존 서랍장(100)에 설치하는 과정이 간소화될 뿐만 아니라 기존 서랍장(100)의 외관이 크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서랍장(100)에 본 발명의 접이식 수납장(20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측면판(110)에 레일홀(111)을 가공하여 레일부(40)를 조립함으로써 지지부재(20)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51)이 상기 레일부(40)를 따라 삽입,인출되도록 하여 접이식 수납장(200)의 상부에 레일식선반(52)을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7과 같이, 측면판(110)에 레일홀(111)을 따로 가공하지 않고 접이식 수납장(200)이 인출되면 추가적으로 조립되는 착탈식선반(7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접이식 수납장(200)이 수납되어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접이식 수납장(200)의 상부에 선반이 구비되지 않으며, 접이식 수납장(200)이 인출되었을 경우에만 따로 보관되어 있던 착탈식선반(70)이 지지부재(20)에 구비되어 있는 서포터(113)와 고정부재(30)의 상단에 얹혀짐으로써 상단에 수납면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접이식 수납장(200)의 상단부에 착탈식선반(70)이나 레일식선반(52)과 레일부(40)를 따로 형성시키지 않고 상부공간을 비워둠으로써 아래에서 수납면적을 형성하고 있는 접이식선반(10)에 컴퓨터 본체와 같이 높이가 있는 물품을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은 지지부재(20)의 가장자리를 연장하여 형성하거나 잠금장치(60)가 추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의 접이식 수납장(200)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100)은 접이식 수납장(200)이 닫힌 상태에서 전,후면과 상면이 가려지도록 지지부재(20)의 가장자리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이식 수납장(200)이 사용되지 않는 수납상태에서 전,후면과 상면이 개방되어 있게 되면, 종이 및 필기구와 같은 문구류가 내부로 떨어지거나 먼지나 이물질 등이 내부에 쌓일 수 있고, 또한 접이식 수납장(200)의 내부구조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서랍장(100)의 전체적인 외관과 조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20)의 전,후면과 상면을 서랍장(100)의 측면판(110) 및 상판(120)의 외곽선과 일치되도록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접이식 수납장(200)이 닫힌 상태에서 서랍장(100)의 측면판(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잠금장치(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닫힌 상태의 접이식 수납장(200)을 잠금장치(60)를 사용하여 측면판(110)에 고정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외력에 의해 접이식 수납장(200)이 흔들리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서랍장의 이동시에는 접이식 수납장(200)이 서랍장(100)과 일체를 이루게 됨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잠금장치(60)는 서랍장(100)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 서랍장 200 : 접이식 수납장
10 : 접이식선반 20 : 지지부재
30 : 고정부재 40 : 레일부
50 : 레일로드 60 : 잠금장치
70 : 착탈식선반 11 : 접이부
21 : 제2힌지부 12 : 힌지
22 : 받침대 13 : 걸림부재
23 : 캐스터 14 : 조작레버
24 : 손잡이 51 : 가이드레일
110 : 측면판 52 : 레일식선반
120 : 상판 31 : 제1힌지부
111 : 레일홀 32 : 볼트
112 : 고정부 33 : 볼트홀
113 : 서포터

Claims (12)

  1. 서랍장의 측면판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
    상기 측면판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제1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힌지부가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에 양단부가 힌지 조립되고, 중간부위에 접이부가 형성되는 접이식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과 상기 제1힌지부 사이에 고정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선반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에 착탈식선반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선반이 설치되도록 상기 측면판과 상기 지지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서포터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하단에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하단에는 캐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의 일측에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접이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접이식선반의 일측 상단부에 형성되어 타측 상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접이부재의 처짐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장에 레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레일부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레일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 또는 상기 서랍장에는 상기 수납장을 상기 서랍장에 고정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에는 상기 접이식선반을 접기 위한 조작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KR1020120102782A 2012-09-17 2012-09-17 서랍장 KR10145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782A KR101454633B1 (ko) 2012-09-17 2012-09-17 서랍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782A KR101454633B1 (ko) 2012-09-17 2012-09-17 서랍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362A true KR20140037362A (ko) 2014-03-27
KR101454633B1 KR101454633B1 (ko) 2014-10-27

Family

ID=5064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782A KR101454633B1 (ko) 2012-09-17 2012-09-17 서랍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6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3366A (zh) * 2018-05-21 2018-08-24 上海仪旸制冷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易拉式伸缩储物柜
KR20190088765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미래금속 위생용품 수거함
CN111329247A (zh) * 2020-03-18 2020-06-26 中冶置业集团有限公司 存储空间可调的智能家居收纳装置
KR102139890B1 (ko) * 2019-10-01 2020-07-30 이수봉 접철식 캣 타워
CN114209158A (zh) * 2021-12-23 2022-03-22 中山市思进家具有限公司 一种可伸缩办公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874U (ko) 2015-02-10 2016-08-18 (주)건화지기 서랍 이탈방지기능을 가진 서랍장
KR20220164174A (ko) 2021-06-04 2022-12-13 유연순 폭 조절이 가능한 사이드 받침대가 구비된 이동식 보조서랍장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876Y1 (ko) * 2002-05-20 2002-08-24 (주)협동엔터프라이즈 절첩식 진열대
KR200390897Y1 (ko) * 2005-04-19 2005-07-28 (주)청룡인토스 도난 방지 기능이 있는 엘씨디 모니터 책상
JP4843808B2 (ja) * 2005-09-22 2011-12-21 コクヨ株式会社 折畳天板付家具
KR20110006702U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아발론교육 가변형 탁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765A (ko)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미래금속 위생용품 수거함
CN108433366A (zh) * 2018-05-21 2018-08-24 上海仪旸制冷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易拉式伸缩储物柜
KR102139890B1 (ko) * 2019-10-01 2020-07-30 이수봉 접철식 캣 타워
CN111329247A (zh) * 2020-03-18 2020-06-26 中冶置业集团有限公司 存储空间可调的智能家居收纳装置
CN114209158A (zh) * 2021-12-23 2022-03-22 中山市思进家具有限公司 一种可伸缩办公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633B1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633B1 (ko) 서랍장
US20160000221A1 (en) Cabinet
US20100117499A1 (en) Telescopic storage device
KR101715597B1 (ko) 복합형 가구
KR200486241Y1 (ko) 인출식 밥통장
JP2008113916A (ja) 床頭キャビネット
JP2012217852A (ja) 少なくとも1つのスライドドアを有する家具
KR101221108B1 (ko)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JP5086676B2 (ja) キャビネット
KR20110002618U (ko) 서랍장
JP5085167B2 (ja) キャビネット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CN110367709A (zh) 翻转折合凳
JP5193571B2 (ja) フロアユニット
KR20180043652A (ko) 공간 활용을 위한 틈새수납장
JP7241491B2 (ja) キャビネット
KR102125657B1 (ko) 신축형 수납함
KR200486255Y1 (ko) 인출 서랍
JP5289988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JP3213408U (ja) ベンチ付きキャビネット
KR20070063072A (ko) 다용도 수납장
KR20230143366A (ko) 실내의 공간 활용을 위한 수납장
JP6751334B2 (ja) ワゴン装置
KR200227748Y1 (ko) 다용도 수납장
US20200187640A1 (en) Work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