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108B1 -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 Google Patents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108B1
KR101221108B1 KR1020120007366A KR20120007366A KR101221108B1 KR 101221108 B1 KR101221108 B1 KR 101221108B1 KR 1020120007366 A KR1020120007366 A KR 1020120007366A KR 20120007366 A KR20120007366 A KR 20120007366A KR 101221108 B1 KR101221108 B1 KR 101221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reading
reading table
document
mobil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a writ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모빌랙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모빌랙에서 문서를 편안한 자세로 열람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은, 종횡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납부(11)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를 통해 문서를 수용하는 랙(10)과; 상기 랙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에 세워지거나 상기 문서가 올려지는 열람 위치로 셋팅되어 문서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열람대(20)와; 양측이 상기 랙과 열람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열람대를 지지하는 링크(22)를 포함하고, 상기 열람대는 후방이 회전축(21)을 통해 상기 랙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에 세워지거나 상기 수납부를 개방하면서 상기 수납부 외부에 열람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링크는 일측이 상기 회전축 아래쪽의 랙에 연결되면서 타측이 상기 열람대에 연결되어, 상기 열람대가 자중에 의해 상기 랙에 붙도록 접힌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MOBILE RACK HAVING READING STAND}
본 발명은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랙의 수납부에 수납된 문서(서적 등)가 수납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모빌랙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곳(테이블 등)으로 이동하지 않고 모빌랙에서 문서를 편안한 자세로 열람할 수 있는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각종 서적이나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가구로서 파일박스, 이동서랍, 캐비닛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캐비닛은 고정식이라는 단점과 캐비닛 도어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열어야하는 불편과 공간 활용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물건 수납 기구인 캐비닛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 이동이 가능한 모빌랙(Mobile-rack)이다.
모빌랙은 종횡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납부가 구비된 다수의 랙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랙에 많은 양의 책이나 서류, 사무용품 및 각종 자료 등을 보관할 수 있고, 랙과 랙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데 장점이 있다.
즉, 모빌랙은, 고밀도의 수납으로 수납효율을 2~3배 상승시키며 자료의 집중 보관이나 분산 보관을 막론하고 가장 능률적이고 효율적인 자료보관을 할 수 있는 것으로, 공간 절약, 환경 개선, 사무능률 증대와 같은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모빌랙은 많은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공지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레일과, 레일에서 이동되는 로울러가 형성된 이동대가 하부에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동대에 의해 레일 위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의 일측에는 레일에서 이동되는 로울러를 회전시키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로울러가 레일에서 회전하면서 이동대와 함께 본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손잡이 대신 전자식으로 모터가 로울러를 회전시켜 이동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자식 모빌랙 제어시스템이 도입되기도 한다.
한편, 모빌랙은 대개 사이드벽과 선반을 통해 다단의 수납부가 구비되며, 전방 또는 전방과 후방 모두가 개방된 형태이다.
모빌랙은 수동과 전동식 등을 통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수납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문서를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동할 수밖에 없으며, 이와 같은 이동 과정 중에 진동이 발생됨으로써 수납부에 수납된 문서가 수납부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납부에 가로대를 설치할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가로대가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문서를 수납하고 꺼내는 것이 번거롭고 불편하다. 다른 방법으로 수납부에 도어를 설치할 수 있으나, 도어식에서는 문서를 수납하거나 꺼낼 때마다 매번 도어를 열고 닫아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매우 심하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못하다. 또한, 도어를 가지는 모빌랙은 무게가 무거워서 이동성이 떨어지고, 제작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모빌랙에 수납된 문서를 열람하는 경우 오랜 시간동안 열람을 하는 경우에는 모빌랙에서 문서를 꺼낸 후 문서고나 도서관 등에 갖추어진 테이블 등으로 이동하여 열람할 수 있겠으나, 짧은 시간동안만 문서를 열람하는 경우 다른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모빌랙 앞에서 문서를 열람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모빌랙에는 문서를 놓고 열람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문서를 사용자가 직접 들고 다른 장소의 테이블로 가져가서 열람할 수밖에 없으므로 문서의 열람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모빌랙은 아니지만 책장의 경우 서적을 올려놓을 수 있는 열람대가 적용된 기술(선행기술문헌)이 있으며, 선행기술들을 통해 문서를 모빌랙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대부분 열람대가 서랍식으로서 수납과 인출을 위해 구동할 때 큰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도서관과 같이 조용한 곳에 이러한 소음은 아주 크게 들리기 때문에 효용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서랍식 열람대의 경우 열람대가 선반 아래쪽에 숨어 있기 때문에 열람대를 인식하지 못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40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2532호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1-000242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빌랙에서 다른 테이블로 서류를 이동하지 않고 문서를 편안한 자세로 열람할 수 있는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은, 종횡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를 통해 문서를 수용하는 랙과; 상기 랙의 수납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에 세워지거나 상기 문서가 올려지는 위치로 셋팅되어 문서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열람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람대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랙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링크 등의 지지수단으로 지지된다.
또는 상기 열람대는 양쪽에 측판이 형성되어 상기 랙에 형성된 가이드핀과 상기 측판을 통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에 의하면, 모빌랙에 수납된 문서의 열람시 열람대가 모빌랙의 외부에 공간을 제공하여 열람대 위에 문서를 올려놓고 편안한 자세로 열람할 수 있으므로 열람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열람대가 회동식으로서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도서관과 같이 조용한 곳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열람대가 수납부 앞에 세워져 원거리에서도 열람대의 위치를 육안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열람대의 사용이 용이하다.
부가적으로, 열람대가 모빌랙의 수납부 앞에 세워져 모빌랙의 이동 중에 진동이 발생되어도 모빌랙에 수납된 문서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모빌랙에서 떨어진 문서를 수납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모빌랙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의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에 적용된 열람대의 폭조절 예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에 적용된 열람대에 받침대가 적용된 사시도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에 적용된 열람대의 다른 연결 상태도.
도 1과 도 2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100)은, 각종 서적이나 문서(이하 '문서'라 칭함)가 수납되는 수납부(11)가 구비된 다수의 랙(10), 랙(10)의 수납부(11)의 개방부(전방 또는 전후방)에 장착되어 수납부(11)에 수납된 문서(1)가 떨어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시 문서를 편안자세로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열람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10)은 수납부(11)를 갖는 공지의 랙과 동일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 및 수동과 자동에 의한 구동 역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의해 신규한 구성만을 위주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대개 랙(10)의 수납부(11)는 일측(전방)만 개방되는 방식, 양측(전방과 후방) 모두가 개방되는 방식이 있으며, 따라서, 열람대(20)는 랙(10)의 개방부에 장착되므로 랙(10)의 방식에 따라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된다.
열람대(20)는 평상시(문서(1)를 열람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납부(11)의 앞쪽에 세워져 수납부(11)를 막음으로써 수납부(11)에 수납된 문서(1)가 수납부(11)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단, 열람대(2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부(11)에 수납된 문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열람대(20)는 수납부(11) 전체를 막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열람대(20)는 전술한 것처럼, 문서(1)를 꺼내어 모빌랙으로부터 떨어진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랙(10)에서 문서(1)를 안정된 자세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따라서, 평평한 판상으로 구성되면서 일측이 회전축(21)을 통해 랙(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열람대(20)는 도면에 랙(10)의 중앙부 1개소에만 있는 것으로 적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축(21)은 랙(10)의 양측 벽(프로파일 등)에 결합될 것이며,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랙(10)에는 선반의 고정을 위하여 다단의 거치공이 이미 마련되어 있고, 따라서, 회전축(21)은 별도로 구멍 등을 천공하지 않고 선반을 거치하기 위하여 마련된 거치공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빌랙에 갖추어진 구성(거치공)을 이용함으로써 모빌랙의 구조 변경을 위한 작업과 비용을 없앨 수 있다.
열람대(20)는 열람대로 사용되는 경우 문서(1)의 하중과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젖히지 않도록 링크(22) 등의 지지수단을 통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22)는 2개의 링크바가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은 랙(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열람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a의 (A) 상태에서 링크(22)는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도 2a의 (B) 상태는 열람대(20)가 열람을 위해 펼쳐진 상태이다.
열람대(20) 및 이와 관련된 자재는 스틸(steel), 목재,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고, 열람대(20)는 문서(1)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투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a의 (A) 상태와 같이 랙(10)의 수납부(11)에 문서(1)를 수납한 상태에서 열람대(20)는 랙(10)의 선반(13)을 기준으로 할 때 예를 들어 직각으로 세워지게 되어 수납부(11)의 일부분을 폐쇄한다. 즉, 랙(10)이 흔들리게 되어 문서(1)가 움직이더라도 열람대(20)가 문서(1)의 이탈을 막게 되어 문서(1)가 쏟아지는 일이 없다.
한편, 문서(1)를 열람하는 경우, 도 2a의 (A) 상태에서는 열람대(20)가 문서(1)의 인출을 간섭하므로 열람대(20)를 도 2a의 (B) 상태로 젖힌다. 도 2a의 (A) 상태에서 열람대(20)를 잡고 돌리면 열람대(20)는 회전축(21)의 안내를 받아 도면 기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젖혀지게 되며, 링크(22)가 적용된 경우 링크(22)에 의해 일정 각도로만 젖혀지게 된다.
따라서, 도 2a의 (B) 상태와 같이 열람대(20)는 랙(10)의 선반(13)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납부(11)를 개방한다. 수납부(11)의 개방부를 통해 문서(1)를 꺼내거나 수납한다.
열람대(20)는 랙(10)의 수납부(11) 외부에 문서(1)를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열람대(20) 위에 문서(1)를 올려놓고 열람할 수 있다. 따라서, 문서(1)를 열람하기 위하여 모빌랙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곳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문서(1)를 들고 있지 않으므로 문서(1)의 열람이 매우 편안하고 쉽다.
문서(1)의 열람이 완료되거나 문서(1)의 수납이 완료되면 열람대(20)를 수납부 앞으로 세워 보관하며, 이를 위하여 열람대(20)를 수납부(11)측으로 젖히면, 열람대(20)가 회전축(21)을 매개로 하여, 도 2a의 (A) 상태로 회전하여 세워지게 된다.
도 2b는 열람대(20)의 링크(22) 방식의 다른 예로서, 전술한 도 2a의 방식에 따르면 랙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세워진 상태의 열람대(20)가 열람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회전된 후에는 사용자가 강제로 세우지 않으면 계속 열람 위치를 유지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b에서 보이는 것처럼, 열람대(20)는 선반과 동일 내지 유사한 높이로서 후방이 회전축(21)을 통해 랙(10)에 연결되고, 링크(22)는 일측(열람대(20)의 열람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하부)이 랙(10)에 연결되는데 회전축(21)보다 아래쪽의 랙(10) 부분에 연결되고, 타측(열람대(20)의 열람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상부)이 열람대(2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르면, 도 2b의 (A) 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열람대(20)가 자중에 의해 도 2b의 (A) 상태[열람대(20)가 랙(10)의 수납부를 향해 접혀 저면이 랙(10)에 붙는 상태를 말함]를 유지하며, 문서의 열람을 위하여 열람대(20)의 하부를 잡고 올리면 열람대(20)가 회전축(21)의 안내를 받아 위로 펼쳐지면서 열람 위치로 회전한다. 이때, 링크(22)는 일직선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열람대(20)는 링크(22)와 회전축(21)을 통해 열람 위치를 유지한다. 열람대(20)를 접기 위하여 링크(22)를 누르면 링크(22)가 접히면서 열람대(20)가 회전축(21)을 통해 랙(10)측으로 회동하여 수납된다.
한편, 열람대(20)는 전술한 것처럼 수납부(11)에 수납된 문서(1)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수납부(11)보다 작은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문서(1)를 올려놓기에 적은 크기일 수 있다. 따라서, 열람대(20)를 이용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로 문서를 올려놓고 열람할 수 있도록 도 3에서처럼, 열람대(20)는 보조선반(23)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선반(23)은 평평한 판상으로서 열람대(20)의 내부 또는 저부 등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이는 열람대(20)의 내부에 선반수납홈을 형성하는 방법, 열람대(20)의 저부에 보조선반(23)의 수납과 인출을 위한 가이드레일을 장착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즉, 열람대(20)만을 사용하여도 문서(1)를 올려놓고 열람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보조선반(23)을 열람대(20) 안에 수납하여 열람대(20)만을 사용하고, 열람대(20)만으로는 문서(1)를 올려놓을 수 없는 경우 보조선반(23)을 열람대(20)에서 인출하여 공간[문서(1)를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넓게 확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람대(20)를 열람대의 위치로 젖힌 후, 보조선반(23)이 필요한 경우 보조선반(23)을 꺼내면 열람대(20)와 보조선반(23)이 함께 공간을 형성하여 열람대(20)만의 공간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며, 이 공간에 문서(1)를 올려놓고 열람한다. 문서(1)의 열람이 끝나면 보조선반(23)을 열람대(20)의 안에 수납한다.
도 4와 도 5는 문서(1)를 열람대(20)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하도록 한 것으로, 즉, 문서(1)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는 최적의 위치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보조선반(23)을 사용하지 않는 이점, 보조선반(23)을 사용하는 것보다 사용자의 신장에 따른 최적 위치에 문서를 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열람대(20)의 상면에는 거치판(24)이 장착되는데, 거치판(24)은 일측이 회전핀을 통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며, 거치판(24)의 저부에는 거치판(24)을 지지하는 지지대(25)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부가적으로, 거치판(24)의 저부에는 다단의 각도조정홈(24a)이 형성되어, 지지대(25)가 다단의 각도조정홈(24a)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거치판(24)의 각도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거치판(24)은 판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대(25)는 판, 봉이 절곡된 형태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열람대(20)는 상면에 홈이 형성되어 거치판(24)과 지지대(25)가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람대(20)가 커버로 사용될 때 랙(10)의 흔들림 등으로 인하여 열람대의 위치로 펼쳐지지 않도록 잠금핀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핀은 예를 들어 일측이 랙(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의 자유단부가 열람대(20)의 앞에 배치되어 열람대(20)가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한다.
도 6은 열람대(20)의 다른 장착 예시도로서, 전술한 링크(22)를 사용하지 않고 열람대(20)의 구조 변경을 통해 열람대(20)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열람대(20)의 일측 바람직하게 양측에는 가이드장공(26a)이 구비된 측판(26)이 형성되고, 랙(10)에는 가이드장공(26a)에 결합되어 열람대(20)의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핀(12)이 결합된다.
가이드핀(12)은 랙(10)에 끼움식으로 결합되거나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파손시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전술한 회전축(21)과 마찬가지로 랙(10)에 마련되어 있는 거치공을 통해 장착될 수도 있다.
측판(26)을 갖는 경우 측판(26)이 랙(10)에 지지됨에 따라 시각적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랙(10)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열람대(20)를 사용할 수 있고, 열람대(20) 위에 올려진 문서(1)가 떨어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측판(26)을 갖는 열람대(20)도 전술한 보조선반(23), 거치판(24)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10 : 랙, 11 : 수납부
12 : 가이드핀, 13 : 선반
20 : 열람대, 21 : 회전축
22 : 링크, 23 : 보조선반
24 : 거치판, 25 : 지지대
26 : 측판, 26a : 가이드장공

Claims (9)

  1. 종횡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납부(11)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를 통해 문서를 수용하는 랙(10)과;
    상기 랙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에 세워지거나 상기 문서가 올려지는 열람 위치로 셋팅되어 문서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열람대(20)와;
    양측이 상기 랙과 열람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열람대를 지지하는 링크(22)를 포함하고,
    상기 열람대는 후방이 회전축(21)을 통해 상기 랙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에 세워지거나 상기 수납부를 개방하면서 상기 수납부 외부에 열람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링크는 일측이 상기 회전축 아래쪽의 랙에 연결되면서 타측이 상기 열람대에 연결되어, 상기 열람대가 자중에 의해 상기 랙에 붙도록 접힌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007366A 2012-01-25 2012-01-25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KR101221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366A KR101221108B1 (ko) 2012-01-25 2012-01-25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366A KR101221108B1 (ko) 2012-01-25 2012-01-25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108B1 true KR101221108B1 (ko) 2013-02-06

Family

ID=4789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366A KR101221108B1 (ko) 2012-01-25 2012-01-25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1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543A (ko) * 2016-12-30 2018-07-10 장희수 책보관공간 확장모듈 및 책보관공간 확장모듈이 구비된 책장
CN108991763A (zh) * 2018-07-21 2018-12-14 合肥职业技术学院 一种学生管理档案储存装置
KR102004237B1 (ko) 2019-04-04 2019-07-29 (주)동성오에이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9165A (ja) * 2002-06-13 2004-01-22 Itoki Crebio Corp 間仕切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9165A (ja) * 2002-06-13 2004-01-22 Itoki Crebio Corp 間仕切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543A (ko) * 2016-12-30 2018-07-10 장희수 책보관공간 확장모듈 및 책보관공간 확장모듈이 구비된 책장
CN108991763A (zh) * 2018-07-21 2018-12-14 合肥职业技术学院 一种学生管理档案储存装置
KR102004237B1 (ko) 2019-04-04 2019-07-29 (주)동성오에이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3303B2 (en) Built-in sliding rotating element for modular corner cabinets
US5588727A (en) Desktop organizer for an office workstation
US20160000221A1 (en) Cabinet
US20110187250A1 (en) Drawer box display container
KR101454633B1 (ko) 서랍장
KR101221108B1 (ko)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KR20110004902U (ko) 모니터 받침 겸용 독서대
US5282679A (en) Article of furniture
US20100096527A1 (en) Slidable elevated display and storage apparatus
KR101486288B1 (ko) 책상 위에 설치하는 보조책상
JP4518815B2 (ja) 収納棚およびそれを備える実験台
KR200415288Y1 (ko) 키보드 수납 트레이
KR200409404Y1 (ko) 모니터 수납용 책장
CN113796653A (zh) 一种基于互联网的多功能信息技术咨询服务装置
US20140083958A1 (en) Shelf with integrated book/object holder
JP3178672U (ja) 折り畳みデスク
CN214340926U (zh) 一种新型办公室折叠柜
KR200325103Y1 (ko) 책상
CN219537818U (zh) 一种床头柜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KR101747952B1 (ko) 수납의자를 구비한 서가
CN212815195U (zh) 一种开放型储物床头柜
CN209660806U (zh) 一种新型办公桌
KR200486255Y1 (ko) 인출 서랍
CN210158257U (zh) 一种可折叠古典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