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237B1 -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 Google Patents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237B1
KR102004237B1 KR1020190039554A KR20190039554A KR102004237B1 KR 102004237 B1 KR102004237 B1 KR 102004237B1 KR 1020190039554 A KR1020190039554 A KR 1020190039554A KR 20190039554 A KR20190039554 A KR 20190039554A KR 102004237 B1 KR102004237 B1 KR 102004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racks
pair
locking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동성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오에이 filed Critical (주)동성오에이
Priority to KR1020190039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으로서, 각각의 내측에 물품 수납을 위한 수납부를 가지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호간에 밀착되거나 이격이 되는 한쌍의 랙과, 상기 한쌍의 랙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한쌍의 랙을 상호 고정하여 합체시킴으로써 한쌍의 랙을 합체랙으로 변형시키는 랙합체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랙의 합체를 통해 수납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Combination type mobile rack}
본 발명은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요에 따라 랙의 합체를 통해 수납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Mobile-rack)이라 함은 기존 물품 수납 공간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고정식 수납장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수납장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모빌랙의 활용으로 수납의 고밀도 및 고효율성이 이루어지고, 물품의 집중 보관이나 분산 보관 등 가장 효율적인 물품 보관을 구현할 수 있어 공간절약, 환경개선, 사무능률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과거에는 모빌랙이 주로 책, 서류와 같은 문서류를 보관하기 위한 서가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유통, 제조업을 막론하고 다양한 산업현장에 설치됨으로써 물류의 보관, 입출고, 나아가 재고관리를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물류산업의 자동화 구축과 함께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모빌랙은 사용자의 수동적인 핸들조작에 의해 랙을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들식 모빌랙과, 전원의 인가에 의해 전동으로 랙을 이동시키는 전동식 모빌랙으로 종류를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물품 수납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핸들식이든, 전동식이든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모빌랙은 각각 독립적인 수납부를 갖는 다수의 랙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모빌랙은 다수의 랙 각각의 수납부에 다양한 물품들을 독립적으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물품 수납이나 인출 등을 위하여 랙을 이동시킴으로써 수납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모빌랙이 다수의 랙으로 이루어지더라도 하나의 랙 자체는 그 크기가 일정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수납부의 크기 또한 일정 크기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지만, 수납공간보다 큰 물품의 경우에는 수납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즉, 랙은 전방에서 볼 때, 좌우 폭의 크기가 보통 500∼700mm 정도로 제작되며, 따라서 물품이 랙의 좌우 폭을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 경우에는 랙의 수납부에 수납시켜 보관할 수가 없는 제약이 따르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21108호 :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목적은 랙과 랙 상호간을 고정하여 합체시킬 수 있는 랙합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납공간의 확장을 통하여 다양한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각각의 내측에 수납부를 가지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호간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한쌍의 랙과, 상기 한쌍의 랙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한쌍의 랙을 상호 고정하여 합체시키는 랙합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랙합체수단은, 한쌍의 랙 중 제1랙의 전단측 포스트에 형성되는 록킹홀과, 제2랙의 전단측 포스트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록킹홀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록킹부재와, 제2랙의 프레임부 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록킹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프론트픽싱부와, 상기 록킹부재의 끼움방향 회전구간의 끝부분에 구비되는 감지핀과, 상기 감지핀의 눌림여부에 따라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단자를 포함하는 동작감지부와, 상기 제1랙의 후단측 포스트에 형성되는 록킹홀과, 제2랙의 후단측 포스트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록킹홀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동작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리어픽싱부와, 상기 록킹부재의 이탈방향 회전구간의 끝부분에 구비되는 스위치핀과, 상기 스위치핀의 눌림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제어부로의 전원 인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단자를 포함하여, 평상시 구동제어부로의 전원을 차단함과 함께 랙합체를 위해 록킹부재가 끼움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제어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이 개시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에 의하면,
필요한 경우 랙을 합체시켜 수납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수납이 어려운 크기나 부피의 물품도 랙의 합체 및 수납공간의 확대를 통하여 용이하게 수납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다양한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랙합체수단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랙합체수단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한쌍의 랙이 합체되기 전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한쌍의 랙이 합체랙으로 변형된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의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이하, “모빌랙”으로 약칭함.)은 기본적으로 상호간 합체의 대상이 되는 한쌍의 랙(100a, 100b)과, 상기 한쌍의 랙(100a, 100b)을 필요에 따라 합체시킬 수 있도록 하는 랙합체수단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한쌍의 랙(100a, 100b)은 모빌랙을 구성하는 다수의 랙 중 상호 간에 이웃하게 배치된 2개의 랙을 의미한다.
즉, 한쌍의 랙(100a, 100b)은 모빌랙을 구성하는 다수의 랙 중 특정한 랙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간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서로 합체가 될 수 있는 불특정한 2개의 랙을 지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쌍의 랙(100a, 100b)은 둘 다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랙일 수도 있고, 어느 하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랙이면서 다른 하나는 이동되지 않고 고정이 된 고정랙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한쌍의 랙(100a, 100b) 중 일측의 랙을 제1랙(100a), 제1랙(100a)과 이웃하는 타측의 랙을 제2랙(100b)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한쌍의 랙(100a, 100b)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호 간에 밀착되거나 이격이 이루어진다.
즉, 한쌍의 랙(100a, 100b)이 둘 다 이동이 가능한 이동랙일 경우에는 어느 한 쪽의 이동 또는 양쪽의 이동에 따라 상호 간에 밀착 또는 이격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반면 하나는 이동랙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랙일 경우에는 한쪽 랙 즉, 이동랙의 이동에 의해서만 상호 간에 밀착 또는 이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한쌍의 랙(100a, 100b) 그 자체는 특별한 구성이 아닌 통상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바, 도 1에 일 예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는 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110a, 110b)와,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부(110a, 110b)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납부(120a, 12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10a, 110b)의 하측에 설치되어 랙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이동수단은 이동랙인 경우에만 포함하며 고정랙인 경우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은 한쌍의 랙(100a, 100b)은 상호 독립적인 개체로서, 각각의 프레임부(110a, 110b) 내측의 수납부(120a, 120b)에 독립적으로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또한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하거나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랙합체수단은 위와 같이 독립적인 개체로 존재하는 한쌍의 랙(100a, 100b)을 필요에 따라 서로 고정하여 합체시킴으로써 하나의 개체로 변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랙합체수단은 상호 독립적인 개체인 한쌍의 랙(100a, 100b)을 합체시켜 하나의 개체인 합체랙(100)으로 변형시키는 것이며, 이렇게 변형된 합체랙(100)의 내측에는 각각의 독립적인 수납부(120a, 120b)가 하나로 합쳐짐으로써 수납공간이 확장된 확대수납부(120)가 새롭게 생성된다.
이렇게 한쌍의 랙(100a, 100b)을 합체시키는 랙합체수단의 제1 실시예가 도 1 및 도 2에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제1 실시예에 따른 랙합체수단은 프론트픽싱부(310)와, 리어픽싱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픽싱부(310)는 한쌍의 랙(100a, 100b) 각각의 전단측을 상호 고정시키는 요소이고, 리어픽싱부(320)는 한쌍의 랙(100a, 100b) 각각의 후단측을 상호 고정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프론트픽싱부(310)는 록킹홀(311)과, 록킹부재(312)와, 작동레버(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홀(311)은 한쌍의 랙(100a, 100b) 중 제1랙(100a)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312)와 작동레버(313)는 제2랙(100b)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록킹홀(311)은 제1랙(100a)의 프레임부(110a)를 구성하는 포스트 중에서 전단측 포스트(111a)의 측면, 즉 제2랙(100b)과 대향하는 면에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312)는 상기 록킹홀(311)에 대응하여 제2랙(100b)의 프레임부(110b)를 구성하는 포스트 중에서 전단측 포스트(111b)의 내부에 축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부재(312)는 제1랙(100a) 방향으로 수평하게 회동됨에 따라 제2랙(100b)의 포스트(111b)로부터 인출되어 제1랙(100)의 록킹홀(311)에 끼워져 결합되고, 반대방향으로 수직하게 회동됨에 따라 제1랙(100)의 록킹홀(311)로부터 이탈되면서 제2랙(100b)의 포스트(111b) 내부로 인입이 이루어진다.
즉, 록킹부재(312)는 평상시에는 포스트(111b) 내측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랙 합체시에만 록킹홀(311)에 끼워지도록 회동을 통해 포스트(111b)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레버(31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31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작동레버(313)는 록킹부재(312)와 결합되어 제2랙(100b)의 프레임부(110b) 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레버(313)에는 관리자와 같이 제한된 사용자만 작동레버(313)를 조작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키장치(도면 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프론트픽싱부(310)는 제1랙(100a)과 제2랙(100b)이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레버(313)를 돌려주면(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록킹부재(312)가 회동하여 제1랙(100a)의 록킹홀(31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1랙(100a)과 제2랙(100b) 각각의 전단부를 상호 고정시킨다.
그리고 작동레버(313)를 반대로 돌려주면(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록킹부재(312)가 록킹홀(311)에서 이탈됨으로써 제1랙(100a)과 제2랙(100b) 상호간의 고정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러한 프론트픽싱부(310)는 한쌍의 랙(100a, 100b) 각각의 전단측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랙(100a, 100b)에 추가되는 요소이지만, 사용자 조작을 위한 작동레버(313)만이 랙(100a, 100b)의 전방으로 노출이 될 뿐, 나머지 부분은 전혀 노출되지 않는 구성이므로 종래에 비하여 랙(100a, 100b)의 외관을 거의 저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리어픽싱부(320)는 한쌍의 랙(100a, 100b) 각각의 후단측을 상호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한쌍의 랙(100a, 100b)은 프론트픽싱부(310)에 의한 전단측의 고정만으로도 합체가 가능하지만, 전단측의 고정만으로는 안정적인 합체를 담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특히, 전후방향의 길이가 긴 랙의 경우 전단측의 고정만으로는 안정적인 합체가 이루어질 수 없는 바, 따라서 리어픽싱부(320)에 의해 한쌍의 랙(100a, 100b) 각각의 후단측까지 상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한쌍의 랙(100a, 100b)은 보다 안정적으로 합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리어픽싱부(320)는 한쌍의 랙(100a, 100b) 각각의 후단측에 구비되는 차이만 있을 뿐, 전술한 프론트픽싱부(3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달리하되,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면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리어픽싱부(320)는 프론트픽싱부(310)와 동일하게 록킹홀(321)과, 록킹부재(322)와, 작동레버(323)를 포함하되, 록킹홀(321)은 제1랙(100a)의 후단측 포스트(112a) 측면에 천공되어 형성되고, 록킹부재(322)는 제2랙(100b)의 후단측 포스트(112b) 내부에 축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레버(323)는 록킹부재(322)와 결합되어 제2랙(100b)의 프레임부(110b) 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리어픽싱부(320)는 프론트픽싱부(310)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작동레버(323) 조작에 따라 록킹부재(322)가 록킹홀(321)에 끼움 결합 또는 이탈됨으로써 제1랙(100a)과 제2랙(200b) 각각의 후단부를 상호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도 3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랙합체수단이 예시되어 있는 바, 제2 실시예에 따른 랙합체수단은 리어픽싱부(320)가 프론트픽싱부(310)의 동작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랙합체수단은 프론트픽싱부(310) 및 리어픽싱부(320)가 모두 수동 조작되는 구성인 바, 랙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프론트픽싱부(310)를 조작한 후 랙의 후방까지 이동하여 추가적으로 리어픽싱부(320)를 조작해야만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점이 있는 반면,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랙의 전방에서 프론트픽싱부(310)를 조작하기만 하면 리어픽싱부(320)는 연동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위와 같은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시킨 것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랙합체수단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및 상이한 부분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바, 이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제2 실시예에 따른 랙합체수단은 프론트픽싱부(310)와, 리어픽싱부(320)와, 동작감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픽싱부(310)는 록킹홀(311)과, 록킹부재(312)와, 작동레버(313)를 포함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리어픽싱부(320)는 록킹홀(321)과, 록킹부재(322)와, 구동모터(324)와, 구동제어부(325)를 포함한다. 즉 제2 실시예의 리어픽싱부(320)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작동레버(323)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구동모터(324)와, 구동제어부(3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324)는 작동에 따라 록킹부재(322)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고, 구동제어부(325)는 후술할 동작감지부(330)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24)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동작감지부(330)는 프론트픽싱부(310)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부(325)로 감지신호를 제공함으로써 구동제어부(325)가 구동모터(32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동작감지부(330)는 록킹부재(312)의 끼움방향 회전구간의 끝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에 탄성적인 눌림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감지핀(331)과, 상기 감지핀(331)의 눌림 여부에 따라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단자(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감지부(330)는 프론트픽싱부(310)의 록킹부재(312)가 록킹홀(311)에 끼워지도록 회전되면 감지핀(331)이 록킹부재(312)의 가압에 의해 눌리면서 구동제어부(325)로 감지신호를 제공하고, 또한 록킹부재(312)가 록킹홀(311)로부터 이탈되면 가압 해제에 따라 감지핀(331)이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구동제어부(325)로 감지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의 랙합체수단은 전원스위칭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칭부(340)는 프론트픽싱부(310)의 동작여부에 따라 스위칭 동작함으로써 구동제어부(325), 동작감지부(330)로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전원스위칭부(340)는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록킹부재(312)의 이탈방향 회전구간의 끝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에 탄성적인 눌림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위치핀(341)과, 상기 스위치핀(341)의 눌림 여부에 따라 구동제어부(325)로의 전원(P) 인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단자(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스위칭부(340)는 평상시에는 록킹부재(312)에 의한 스위치핀(341)의 눌림에 따라 스위치단자(342)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제어부(325)로 전원(P)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랙의 합체를 위해 록킹부재(312)가 끼움방향으로 회전되면 스위치핀(341)의 탄성적인 복원에 따라 스위치단자(342)가 온으로 스위칭됨으로써 구동제어부(325)의 전원공급을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한쌍의 랙(100a, 100b)이 합체되지 않은 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한쌍의 랙(100a, 100b)의 합체를 위해 프론트픽싱부(310)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만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이하에서 살펴본다.
도 4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모빌랙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한쌍의 랙(100a, 100b)은 합체되지 않은 채 독립적인 개체로 운용되며, 따라서 각각의 수납부(120a, 120b)에는 물품이 독립적으로 수납될 수 있고, 또한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되고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비합체 상태로 사용될 때, 한쌍의 랙(100a, 100b) 전방으로는 프론트픽싱부(310)의 작동레버(313)만 노출되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외관상 차이가 크게 느껴지지 않게 되며, 전원스위칭부(340)에 의해서 구동제어부(325)로의 전원공급은 차단 상태가 유지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 또한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위와 같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랙의 합체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예컨대 각각의 수납부(120a, 120b)에 수납하기 어려운 크기나 부피를 갖는 물품을 수납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먼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랙을 이동시켜 한쌍의 랙(100a, 100b)이 상호간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한쌍의 랙(100a, 100b)이 밀착된 상태에서, 프론트픽싱부(310)의 작동레버(313)를 돌려 록킹부재(312)를 끼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되는 록킹부재(312)가 록킹홀(31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한쌍의 랙(100a, 100b)은 프론트픽싱부(310)에 의해 전단측이 상호간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312)의 회전 동작시 전원스위칭부(340)가 스위칭 동작하여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록킹부재(312)가 록킹홈(311)에 끼워질 때 동작감지부(330)에서 감지신호가 구동제어부(325)로 제공된다.
그러면 구동제어부(325)는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24)를 작동시키고, 구동모터(324)의 작동에 따라 리어픽싱부(320)의 록킹부재(322) 또한 끼움방향으로 회전하여 록킹홀(32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한쌍의 랙(100a, 100b)은 리어픽싱부(320)에 의해 후단측도 상호간에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한쌍의 랙(100a, 100b)은 프론트픽싱부(310)에 의해 전단측 상호간이 고정됨과 함께 연동하는 리어픽싱부(320)에 의해 후단측까지 상호간에 고정됨으로써 하나로 완전하게 일체화되면서 합체랙(100)으로 변형된다.
도 5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일체화된 합체랙(100)에는 한쌍의 랙(100a, 100b) 각각의 수납부(120a, 120b)가 합쳐짐으로써 수납공간이 확장된 확대수납부(120)가 새롭게 생성되며, 따라서, 각각의 수납부(120a, 120b)에 수납하기 어려운 크기나 부피를 갖는 물품도 상기 확대수납부(120)를 통하여 용이하게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한쌍의 랙(100a, 100b)이 모두 이동랙인 경우라면, 합체랙(100)은 확대수납부(120)에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마치 하나의 랙처럼 자유롭게 이동하고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은 필요한 경우 랙을 합체시켜 수납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수납이 어려운 크기나 부피의 물품도 랙의 합체 및 수납공간의 확대를 통하여 용이하게 수납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다양한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쌍의 랙, 즉 2개의 랙 상호간을 합체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최소 갯수의 합체 대상을 일 예로서 설명한 것이며, 2개의 랙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랙들 상호간에 랙합체수단을 구성하여 3개, 4개, 5개 등과 같이 다양한 갯수의 랙 상호간을 합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a,100b: 랙 100: 합체랙
120a,120b: 수납부 120: 확대수납부
310: 프론트픽싱부 320: 리어픽싱부
311,321: 록킹홀 312,322: 록킹부재
313,323: 작동레버 324: 구동모터
325: 구동제어부 330: 동작감지부
340: 전원스위칭부

Claims (5)

  1. 각각의 내측에 수납부(120a, 120b)를 가지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호간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한쌍의 랙(100a, 100b)과, 상기 한쌍의 랙(100a, 100b)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한쌍의 랙(100a, 100b)을 상호 고정하여 합체시키는 랙합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랙합체수단은,
    한쌍의 랙(100a, 100b) 중 제1랙(100a)의 전단측 포스트(111a)에 형성되는 록킹홀(311)과, 제2랙(100b)의 전단측 포스트(111b)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록킹홀(311)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록킹부재(312)와, 제2랙(100b)의 프레임부(110b) 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록킹부재(31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작동레버(313)를 포함하는 프론트픽싱부(310)와,
    상기 록킹부재(312)의 끼움방향 회전구간의 끝부분에 구비되는 감지핀(331)과, 상기 감지핀(331)의 눌림여부에 따라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단자(332)를 포함하는 동작감지부(330)와,
    상기 제1랙(100a)의 후단측 포스트(112a)에 형성되는 록킹홀(321)과, 제2랙(100b)의 후단측 포스트(112b)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록킹홀(321)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록킹부재(322)와, 상기 록킹부재(32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24)와, 상기 동작감지부(33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24)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325)를 포함하는 리어픽싱부(320)와,
    상기 록킹부재(312)의 이탈방향 회전구간의 끝부분에 구비되는 스위치핀(341)과, 상기 스위치핀(341)의 눌림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제어부(325)로의 전원(P) 인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단자(342)를 포함하여, 평상시 구동제어부(325)로의 전원을 차단함과 함께 랙합체를 위해 록킹부재(312)가 끼움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제어부(325)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칭부(340)를 포함하는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39554A 2019-04-04 2019-04-04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KR102004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54A KR102004237B1 (ko) 2019-04-04 2019-04-04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54A KR102004237B1 (ko) 2019-04-04 2019-04-04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237B1 true KR102004237B1 (ko) 2019-07-29

Family

ID=6748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554A KR102004237B1 (ko) 2019-04-04 2019-04-04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2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212A (ja) * 2005-06-30 2007-01-18 Kokuyo Furniture Co Ltd 移動ラック装置
KR101221108B1 (ko) 2012-01-25 2013-02-06 피아산업 주식회사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KR101752783B1 (ko) * 2016-12-12 2017-06-30 박경한 이중 잠금 장치가 적용된 서랍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212A (ja) * 2005-06-30 2007-01-18 Kokuyo Furniture Co Ltd 移動ラック装置
KR101221108B1 (ko) 2012-01-25 2013-02-06 피아산업 주식회사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KR101752783B1 (ko) * 2016-12-12 2017-06-30 박경한 이중 잠금 장치가 적용된 서랍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379B1 (en) Extract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for hard disk drive
US6681926B2 (en) Integral keyboard and storage organizer
US7443668B2 (en) Hard disk drawing device
KR19990076319A (ko) 첨필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
US6563699B1 (en) Portable computer having locking apparatus
CN101364126A (zh) 电子设备
EP1944780B1 (en) Key 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2004237B1 (ko) 랙 합체가 가능한 모빌랙
US20100052484A1 (en) Face Panel for a Computer Housing
US6511139B2 (en) Modularized industrial console
CN106783318B (zh) 按键
CN112312717B (zh) 推拉杆模块
CN101345166B (zh) 脱扣装置模块及实现脱扣装置模块的断路器
CN101364130A (zh) 电子设备
US7054152B2 (en) Notebook computer with hidden multimedia controller
US10446338B2 (en) Linkage assembly and key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EP1990815B1 (en) Display device
US7786399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utton formed with a panel and flat panel display
US5924553A (en) Keyswitch assembly
US4820077A (en) Framing bar connector for a frame
KR20060095962A (ko)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CN213934745U (zh) 机箱侧板快拆结构
CN105788922A (zh) 一种墙壁开关
CN105788925A (zh) 一种开关按钮组件
JP4247312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