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890B1 - 접철식 캣 타워 - Google Patents

접철식 캣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890B1
KR102139890B1 KR1020190121469A KR20190121469A KR102139890B1 KR 102139890 B1 KR102139890 B1 KR 102139890B1 KR 1020190121469 A KR1020190121469 A KR 1020190121469A KR 20190121469 A KR20190121469 A KR 20190121469A KR 102139890 B1 KR102139890 B1 KR 10213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t tower
support
fram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봉
Original Assignee
이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봉 filed Critical 이수봉
Priority to KR102019012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캣 타워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와 플레이트, 거울이 실린더와 경첩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캣 타워로 사용시에는 펼쳐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립과 분해의 번거로움이 없고, 실내 공간의 절약이 가능한 것이며, 또한, 벽걸이 형식과 스탠드 형식의 두 가지 형식으로 사용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식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 캣 타워의 전면에는 거울이 부착되어 캣 타워 이외에 거울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거울의 하단에는 화장품이나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이 설치되어 화장대로도 사용 가능한 접철식 캣 타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철식 캣 타워{Fording Type Cat Tower}
본 발명은 접철식 캣 타워에 관한 것으로, 캣 타워로 사용시에만 펼쳐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벽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벽걸이 형식과 벽면을 사용하지 않고 세워둘 수 있는 스탠드 형식의 두 가지 형식으로 사용 가능하며, 또한 전면에 거울이 부착되어 캣 타워의 용도 이외에 거울이나 화장대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접철식 캣 타워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와 핵가족 가구가 늘어나면서, 개나 고양이 등과 같은 반려동물들을 가족처럼 생각하고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반려동물들을 위한 물품들도 많이 출시되며,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캣 타워는 목재나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만든 고양이용 놀이터로, 고양이의 습성을 잘 반영하여 만든 인공 구조물이다. 기본적으로 고양이들은 야생에서 사냥을 하기 위해 주변을 살필 수 있는 높은 곳으로 오르고 싶어하는 습성이 있다. 사냥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나무 위와 같은 곳에 올라갔을 때 고양이들은 안정감을 느낀다. 이렇듯 고양이들에게 수직 공간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고양이들을 반려동물로 키우는 사람들은 캣 타워, 캣 트리 등을 설치하여 고양이들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수직 공간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그렇지만, 하기 특허문헌들과 같이 종래의 캣 타워나 캣 트리는 대부분 블록이나 플레이트 등을 조립하는 조립식으로 조립과 분해의 번거로운 문제와 더불어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캣 타워나 캣 트리의 용도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캣 타워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개의 패널이 조립된 박스 형상을 이루는 블록들을 패널의 모서리에 형성된 오목부와 돌출부를 서로 맞추어 끼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모듈 형식의 블록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규모 및 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은 여러 개의 패널과 블록들을 조립하여 조립체를 만드는 것으로, 조립과 분해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으로 인해 캣 타워를 조립체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캣 타워의 용도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조립식 캣 타워에 관한 갓이다.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단봉과 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단봉이 연결부재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단봉과 하단봉의 외측에는 고정유닛이 체결되며, 상기 고정유닛의 일측에는 여러 형태의 결합 모듈이 설치될 수 있는 조립식 캣 타워에 관한 것으로, 상판은 천정면에 고정되고, 하판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벽면 없이도, 실내 공간의 중간에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2는 조립식으로 캣 타워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때 분리한 후 다시 조립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캣 타워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계속 설치되어 있는 상태로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 등록특허공보 제10-1978647호 (2019.05.13)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829호 (2016.11.09)
본 발명은 접철식 캣 타워에 관한 것으로, 사용 여부에 따라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는 접철식 캣 타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벽면에 부착하여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벽면의 공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스탠드 형식으로도 사용 가능한 접철식 캣 타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캣 타워의 전면에 거울과 받침판을 설치한 접철식 캣 타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철식 캣 타워에 관한 것으로, 상기 캣 타워의 프레임부는 수평 프레임들과 수직 프레임들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 수직 프레임 사이에는 플레이트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핀으로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은 고정판의 후면에 경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수직 프레임의 바깥쪽에는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수직 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과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의 사이에는 실린더가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거울이 부착되며, 상기 거울의 하단에는 핀으로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받침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에는 벽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가 결합되며, 상기 벽면에는 캣 타워를 받칠 수 있는 지지구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가 결합된 캣 타워는 지지구와 결합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는 받침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부는 프레임부의 각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캣 타워를 지지하는 받침 다리부와, 상기 받침 다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판으로 캣 타워를 더욱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판과, 상기 받침 다리부 사이에 연결되며,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 다리부와 연결판과 수납부에는 끼움홈과 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철식 캣 타워로, 접철되는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시에만 펼쳐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 보관할 수 있어 조립과 분해의 번거로움이 없고,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걸이 형식과 스탠드 형식의 두 가지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벽면에 부착하여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하면 실내 공간 절약이 가능하고, 벽면 없이도 받침부를 설치하면 스탠드 형식으로 세워둘 수 있어 사용자의 공간적 여유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전면에 거울과 받침판을 설치하여 캣 타워의 용도 이외에 거울이나 화장대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철식 캣 타워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철식 캣 타워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철식 캣 타워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철식 캣 타워가 접철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철식 캣 타워가 접철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에서 벽면에 걸리는 부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가 펼쳐진 상태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가 접철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의 받침부 부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의 받침부 부분이 조립된 조립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가 펼쳐진 상태의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가 접철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의 수납부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은 접철식 캣 타워(1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접철식 캣 타워(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철식 캣 타워(10)는 프레임부(12), 플레이트(20), 핀(22), 경첩(24), 브라켓(26), 실린더(30), 고정판(34), 거울(38), 받침판(39)으로 구성된다. 캣 타워(10)는 고양이(80)들이 쉬거나 놀기 위해 만들어진 인공 구조물로, 높은 곳을 좋아하는 고양이(80)들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프레임부(12)는 수평 프레임(13)들과 수직 프레임(17)들이 조립된 직사각형의 틀로, 플레이트(20)들과 브라켓(26)이 설치되는 곳이다. 수평 프레임(13)은 프레임부(12)의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상부의 수평 프레임(13)에는 끼움부(14)가 형성된다. 끼움부(14)는 접철식 캣 타워(10)를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할 때 고정구(15)가 끼워지는 곳이다. 고정구(15)는 캣 타워를 벽에 걸 수 있도록 한다. 고정구(15)의 상부에는 돌기부(16)가 형성되며, 하부는 경사진 면을 형성한다. 프레임부(12)의 수직 프레임(17)은 양 측면에 위치하는 프레임으로 외측 수직 프레임(17a)과 내측 수직 프레임(17b)으로 나누어진다. 내측 수직 프레임(17a)은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플레이트(20)의 수평 길이에 맞게 위치한다. 내측 수직 프레임(17a)은 플레이트(20)와 브라켓(26)이 설치되는 곳이다. 외측 수직 프레임(17b)은 외측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상부의 수평 프레임(13)의 양 끝단에 맞게 각각 위치하게 된다. 핀 구멍(18)은 내측 수직 프레임(17a)의 안쪽 부분에 형성되며, 플레이트(20)의 설치 간격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공간(19)은 수직 프레임(17)의 내측 수직 프레임(17a)과 외측 수직 프레임(17b)의 사이에 형성되는 곳으로, 실린더(30)가 들어가는 곳이다.
플레이트(20)는 고양이(80)들이 올라가는 평평한 판으로, 발판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20)의 일측의 측면에는 프레임부(12)와 핀(22)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핀 구멍(18)이 형성되며, 플레이트(20) 타측의 하부에는 경첩(24)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나사 구멍(25)이 형성된다. 핀(22)은 프레임부(12)와 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것으로, 플레이트(20)가 펼쳐지고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경첩(24)은 플레이트(20)와 고정판(34)을 연결해주는 것으로, 플레이트(20)가 펼쳐지고 접히도록 해준다. 브라켓(26)은 실린더(30)를 연결해주는 것으로, 프레임부(12)의 내측 수직 프레임(17a)과 고정판(34)에 각각 설치된다. 브라켓(26)에는 나사(27)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 구멍(25)이 형성되며, 실린더(30)를 연결할 수 있는 돌출부(28)가 형성된다. 실린더(30)는 원통형의 관으로, 프레임부(12)와 고정판(34)을 서로 연결하여 캣 타워(10)가 접철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실린더(30)는 양 끝에 브라켓(26)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멍(32)이 형성된다.
고정판(34)은 직사각형의 평평한 판이다. 고정판(34)에는 플레이트(20)들과 고정판(34)을 연결하는 경첩(24)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나사 구멍(25)이 형성되며, 고정판(34)의 상부에는 브라켓(26)이 끼워지는 브라켓 끼움홈(35)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판(34)의 하부에는 지면(60)에 지지될 수 있도록 받침발(36)이 형성된다. 거울(38)은 형상을 비춰볼 수 있는 것으로, 캣 타워(1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받침판(39)은 화장품(90)이나 물건 등을 놓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받침판(39)의 양 측면에는 핀(22)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핀 구멍(18)이 형성되며, 거울(38)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2는 접철식 캣 타워(10)의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먼저, 프레임부(12)의 수평 프레임(13)에는 고정구(15)가 설치된다. 수평 프레임(13)에 형성된 끼움부(14)에 고정구(15)에 형성된 돌기부(16)가 끼워져 고정구(15)는 수평프레임(13)에 끼움 결합된다. 프레임부(12)의 수직 프레임(17)중 내측에 설치된 내측 수직 프레임(17a)의 사이에는 플레이트(2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20)들은 내측 수직 프레임(17a)의 사이에 핀(22)으로 연결된다. 핀(22)의 일측은 플레이트(20)의 각 측면에 형성된 핀 구멍(18)에 연결되고, 타측은 내측 수직 프레임(17a)에 형성된 핀 구멍(18)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플레이트(20)의 타측은 경첩(24)으로 고정판(34)과 연결된다. 경첩(24)은 중심핀을 기준으로 일측은 플레이트(2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나사(27)로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판(34)에 나사(27)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 고정되면, 플레이트(20)는 프레임부(12)와 고정판(34)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후, 브라켓(26)은 프레임부(12)와 고정판(34)에 각각 나사(27)로 고정 설치된다. 브라켓(26)은 프레임부(12)의 내측 수직 프레임(17a)에 설치되고, 고정판(34)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 고정판(24)의 상부에는 브라켓 끼움홈(35)이 형성되어, 브라켓(26)이 먼저 끼워진 후 나사(27)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브라켓(26)의 돌출부(28)에는 실린더(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실린더(30)는 일측은 프레임부(12)의 내측 수직 프레임(17a)에 설치된 브라켓(26)의 돌출부(28)에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판(34)에 설치된 브라켓(26)의 돌출부(28)에 연결된다. 즉, 실린더(30)는 프레임부(12)와 고정판(34) 사이에 연결된 상태가 되어 실린더(30)의 회전으로 인해 캣 타워(10)는 접히고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고정판(34)의 전면에는 거울(38)이 부착된다. 즉, 프레임부(12)와 플레이트(20)와 고정판(34)이 연결된 캣 타워(10)의 전면에는 거울(38)이 설치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부착된 거울(38)의 하단에는 받침판(39)이 설치된다. 받침판(39)은 핀(22)으로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도 3은 접철식 캣 타워(10)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캣 타워(10)의 사용시에는 거울(38)이 부착된 고정판(34) 부분을 잡고 사용자의 몸쪽 수평방향으로 당기면 접혀있던 플레이트(20)가 펼쳐지게 된다. 플레이트(20)는 일측이 프레임부(12)의 내측 수직 프레임(17a)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22)으로 연결되고, 플레이트(20) 타측의 하부는 경첩(24)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판(34)과 연결되어 캣 타워(10)를 펼치면, 플레이트(20)는 수직 상태에서 완전히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가 된다. 실린더(30)는 브라켓(26)의 돌출부(28)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캣 타워(10)가 펼쳐짐에 따라, 실린더(30)도 회전하면서 함께 움직여 사선방향으로 내려온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캣 타워(10)가 펼쳐지면 고정판(34)과 거울(38)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발(36)이 지면(60)과 맞닿은 상태가 된다.
도 4는 접철식 캣 타워(10)가 접철되는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캣 타워(10)를 사용하지 않아 접어 보관할 경우에는 거울(38)이 부착된 고정판(34)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위로 올려 사용자의 몸쪽 반대쪽 수평 방향으로 밀면 캣 타워(10)는 접철된다. 플레이트(20)는 일측이 프레임부(12)의 내측 수직 프레임(17a)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22)으로 연결되고, 플레이트(20) 타측의 하부는 경첩(24)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판(34)과 연결되어, 캣 타워(10)를 접철시키면 플레이트(20)는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함께 접철된다. 실린더(30)는 캣 타워(10)가 접철됨에 따라, 펼쳐질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함께 움직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된다.
도 5는 접철식 캣 타워(10)가 완전히 접철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캣 타워(10)가 완전히 접철된 상태가 되면, 플레이트(20)는 수직방향으로 완전히 접혀지게 된다. 플레이트(20)와 고정판(34) 사이에 연결된 실린더(30)는 프레임부(12)의 내측 수직 프레임(17a)과 외측 수직 프레임(17b)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19)에 수직 방향으로 완전히 들어가게 된다. 즉, 프레임부(12)와 고정판(34) 부분은 서로 완전히 맞닿은 상태가 된다.
도 6 내지 9는 접철식 캣 타워(10)를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은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10)에서 벽면(40)에 걸리는 부분을 분해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와 같이 조립된 접철식 캣 타워(10)를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할 때에는 지지구(50)가 사용된다. 지지구(50)는 접철식 캣 타워(10)를 받쳐주는 것으로, 벽면(40)에 설치되는 것이다. 지지구(50)에는 나사 구멍(25)이 형성되며, 지지구(50)의 상부는 고정구(15)의 하부와 결합 될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한다.
도 7은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10)가 벽면(40)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먼저, 벽면(40)에 지지구(50)를 설치한 다음 수평 프레임(13)의 끼움부(14)에 고정구(15)가 끼움 연결된 캣 타워(10)를 지지구(50)의 위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합시키면 고정구(15)의 하부의 경사진 부분과 지지구(50)의 상부의 경사진 부분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며, 접철식 캣 타워(10)는 벽면(40)에 걸린 상태가 된다.
도 8은 벽걸이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10)를 접은 상태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캣 타워(10)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플레이트(20) 부분이 완전히 접히도록 접철 가능하다. 따라서, 보관시 조립된 것을 따로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또한 실내 공간의 절약이 가능하여 캣 타워(10)를 설치할 공간적인 여유가 부족한 사람들도 고양이(90)들에게 중요한 수직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캣 타워(10)의 전면에는 거울(38)이 부착되어 일반 거울(38)을 걸어놓은 듯한 인테리어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캣 타워의 거울 하단에 설치된 받침판(39)을 열면 평평한 판의 상태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펼쳐진 받침판(39)에는 화장품(90) 등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어 일반 화장대와 같이 사용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2는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10)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9는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할 때의 접철식 캣 타워(10)의 받침부(70)부분을 분해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부(70)는 받침 다리부(72)와 연결판(77), 수납부(78)로 구성된다. 받침 다리부(72)는 캣 타워(10)의 프레임부(12)의 하부 양쪽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캣 타워(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 다리부(72)에는 각각 연결판(77)과 연결될 수 있도록 끼움홈(73)과 돌기(74)가 형성된다. 또한, 받침 다리부(72)의 수평 방향 끝 부분에는 고정판(34)과 거울(38)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발(36)이 끼워질 수 있도록 받침발 끼움홈(75)이 형성된다. 또, 받침 다리부에는 수납부를 받칠 수 있도록 경사부(76)가 형성된다. 연결판(77)은 평평한 판으로, 연결판(77)의 양 측면에는 받침 다리부(82)에 끼움 연결될 수 있도록 돌기(74)가 형성된다. 연결판(77)은 받침 다리부(72) 사이를 연결하여 더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수납부(78)는 물건들을 넣고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수납부(78)에는 수납공간(79)이 형성되며, 수납부(78)의 하단의 양 측면에는 받침 다리부(72)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돌기(74)가 형성된다.
도 10은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되는 접철식 캣 타워(10)의 받침부(70) 부분이 조립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받침 다리부(72)의 사이로 연결판(77)을 연결한다. 받침 다리부(72)에 형성된 끼움홈(73) 부분에 연결판(77)의 각 측면에 형성된 돌기(74) 부분을 끼우면 받침 다리부(72)와 연결판(77)은 서로 끼움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후, 수납부(78)를 받침 다리부(72)의 사이에 연결한다. 수납부(78) 하단의 양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73)을 받침 다리부(72)에 형성된 돌기(74) 부분과 끼움 연결하면 수납부(78)는 받침 다리부(72) 사이에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후, 형성된 받침 다리부(72)를 프레임부(12)의 수직프레임(17)의 하부와 연결 고정 시키면 받침부(70)가 설치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70)를 설치하면 벽면(40)의 여유 공간이 없거나, 벽걸이로 사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실내 공간에 세워 두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되는 접철식 캣 타워(10)를 펼쳐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캣 타워(10)로 사용시에는 거울(38)이 부착된 고정판(34) 부분을 몸쪽으로 당겨 아래로 내리면 플레이트(20)는 수평으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고, 고정판(34)과 거울(38)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발(36) 부분은 받침 다리부(72)에 형성된 받침발 끼움홈(75)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캣 타워(10)를 펼쳐 고정하면, 고양이(80)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도 12는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되는 접철식 캣 타워(10)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캣 타워(10)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반대로 거울이(38) 부착된 고정판(34)을 위로 올린 다음 몸쪽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면 플레이트(20)가 접히게 되고, 프레임부(12)와 고정판(34) 부분이 맞닿아 완전히 접철된 상태가 된다. 캣 타워(10)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 보관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의 절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캣 타워(10)의 전면에는 거울(38)이 부착된 상태로 캣 타워(10)의 용도 이외의 경우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거울(38)의 하단에 설치된 받침판(39)을 열면 화장품(90) 등을 놓아둘 수 있는 화장대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13 내지 도 14는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되는 접철식 캣 타워(10)의 수납부(78)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받침 다리부(72) 사이에 끼움 연결된 수납부(78)는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하다. 수납부(78) 부분을 몸쪽으로 당기면 받침 다리부(72)에 형성된 경사면(76)에 수납부(78) 부분이 받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납부(78)가 열린 상태가 되면 수납부(78)에 형성된 수납공간(79)이 나타나게 되어 수납공간(79)에는 고양이(80)의 사료나 다른 물건 등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수납공간(79)에 넣은 다음에는 수납부(78)를 다시 몸쪽의 반대쪽으로 밀면 수납공간(79)은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14는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되는 접철식 캣 타워(10)의 수납부(78)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부(78)는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받침 다리부(72)에 형성된 돌기(74) 부분과 끼움 연결된 수납부(78)를 분리한다. 이후, 거울(38)의 하단에 설치된 받침판(39)을 열어, 펼쳐진 받침판(39) 위에 상기 분리한 수납부(78)를 올려놓으면, 수납부(78)에 형성된 수납공간(79)에 화장품(90) 등 물건들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받침 다리부(72)에 연결한 수납부(78)에서 보관한 물건들을 꺼내 사용하는 것이 번거로운 사용자들은 상기와 같이 사용하면 수납부(78)에 보관한 물건들을 더욱 쉽게 꺼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캣 타워 12 : 프레임부
13 : 수평 프레임 14 : 끼움부
15 : 고정구 16 : 돌기부
17 : 수직 프레임 17a : 내측 수직 프레임
17b : 외측 수직 프레임 18 : 핀 구멍
19 : 공간 20 : 플레이트
22 : 핀 24 : 경첩
25 : 나사 구멍 26 : 브라켓
27 : 나사 28 : 돌출부
30 : 실린더 32 : 구멍
34 : 고정판 35 : 브라켓 끼움홈
36 : 받침발 38 : 거울
39 : 받침판 40 : 벽면
50 : 지지구 60 : 지면
70 : 받침부 72 : 받침 다리부
73 : 끼움홈 74 : 돌기
75 : 받침발 끼움홈 76 : 경사부
77 : 연결판 78 : 수납부
79 : 수납공간 80 : 고양이
90 : 화장품

Claims (4)

  1. 벽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벽걸이형 또는 바닥에 세워 사용되는 스텐드형의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고양이(80)들이 놀 수 있는 캣 타워(10)에 있어서,
    상기 캣 타워(10)의 프레임부(12)는 수평 프레임(13)들과 수직 프레임(17)들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17)의 내측 수직 프레임(17a) 사이에는 플레이트(20)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핀(22)으로 연결하되, 상기 핀(22)의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20)의 각 측면에 형성된 핀 구멍(18)에 연결되고, 상기 핀(22)의 타측은 상기 내측 수직 프레임(17a)에 형성된 핀 구멍(18)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핀(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플레이트(20)의 타측은 고정판(34)의 후면에 경첩(24)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상기 경첩(24)은 중심핀을 기준으로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2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나사(27)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판(34)에 나사(27)로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20)가 상기 경첩(24)을 통해 회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고정판(34)을 당기거나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경첩(24)과 상기 핀(22)을 통해 회동하며 수평 상태로 펼쳐지거나 수직 상태로 접혀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판(34)의 상부와 상기 프레임부(12)의 내측 수직 프레임(17a)의 바깥쪽에는 브라켓(26)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12)의 내측 수직 프레임(17a)에 설치된 브라켓(26)과 고정판(34)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26)의 사이에는 실린더(30)가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실린더(30)는 상기 고정판(34)을 상기 프레임부(12)에서 당기거나 밀어주는 동작을 가이드하며 캣타워를 접힘 및 펼침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판(34)에는 거울(38)이 부착되며;
    상기 거울(38)의 하단에는 핀(22)으로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받침판(39)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17)은;
    외측 수직 프레임(17a)과 내측 수직 프레임(17b)으로 구성하며;
    상기 외측 수직 프레임(17a) 및 내측 수직 프레임(17b)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판(34)을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실린더(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19)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13)의 상부에는 끼움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14)에는 상기 캣타워(10)를 벽걸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캣타워(10)를 벽면(40)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15)가 결합되며, 상기 벽면(40)에는 캣 타워(10)를 받칠 수 있는 지지구(50)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15)가 결합된 캣 타워(10)는 지지구(50)와 결합되도록 하되;
    서로 맞대어지는 상기 지지구(50)의 상부 및 상기 고정구(15)의 하부는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15)를 상기 지지구(5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부(12)의 수직 프레임(17)의 하부에는;
    캣 타워(10)를 지지하는 받침 다리부(72);
    상기 받침 다리부(72) 사이를 연결하는 판으로 캣 타워(10)를 더욱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판(77);
    상기 받침 다리부(72) 사이에 연결되며,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79)이 형성된 수납부(78);
    상기 받침 다리부(72)와 연결판(77)과 수납부(78)에 끼움홈(73)과 돌기(74)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 연결되도록 구성한 받침부(70)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 다리부(72)의 수평 방향 끝 부분에는 받침발 끼움홈(75)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발 끼움홈(75)에는 상기 고정판(34)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발(36)이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받침 다리부(72)에는 경사면(76)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76)에는 상기 수납부(78)가 받쳐지도록 하여, 상기 수납부(78)에 마련되어 있는 수납공간(79)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캣 타워.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21469A 2019-10-01 2019-10-01 접철식 캣 타워 KR102139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469A KR102139890B1 (ko) 2019-10-01 2019-10-01 접철식 캣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469A KR102139890B1 (ko) 2019-10-01 2019-10-01 접철식 캣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890B1 true KR102139890B1 (ko) 2020-07-30

Family

ID=7183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469A KR102139890B1 (ko) 2019-10-01 2019-10-01 접철식 캣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3587B1 (en) 2022-03-02 2022-12-13 Glup Animal habitat and associated method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6238U (ja) * 1994-01-31 1995-01-24 モリタインテリア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式組み込み型ドレッサー
KR19990056700A (ko) * 1997-12-29 1999-07-15 김호강 투명거울
JP2010166869A (ja) * 2009-01-23 2010-08-05 Doggy Man H A Co Ltd ペット用遊戯装置
KR20140037362A (ko) * 2012-09-17 2014-03-27 (주)토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KR20140123157A (ko) * 2013-04-11 2014-10-22 김창섭 고양이 안착용 기구
KR200481829Y1 (ko) 2014-11-14 2016-11-15 김영욱 조립식 캣타워
JP3217778U (ja) * 2018-06-20 2018-08-30 康考 石原 キャットタワーセット、およびキャットタワー
KR101978647B1 (ko) 2016-11-16 2019-05-17 남예지 캣타워 조립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6238U (ja) * 1994-01-31 1995-01-24 モリタインテリア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式組み込み型ドレッサー
KR19990056700A (ko) * 1997-12-29 1999-07-15 김호강 투명거울
JP2010166869A (ja) * 2009-01-23 2010-08-05 Doggy Man H A Co Ltd ペット用遊戯装置
KR20140037362A (ko) * 2012-09-17 2014-03-27 (주)토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KR20140123157A (ko) * 2013-04-11 2014-10-22 김창섭 고양이 안착용 기구
KR200481829Y1 (ko) 2014-11-14 2016-11-15 김영욱 조립식 캣타워
KR101978647B1 (ko) 2016-11-16 2019-05-17 남예지 캣타워 조립체
JP3217778U (ja) * 2018-06-20 2018-08-30 康考 石原 キャットタワーセット、およびキャットタワ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06238 UR*
JP3217778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3587B1 (en) 2022-03-02 2022-12-13 Glup Animal habitat and associate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138B1 (en) Pet enclosure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CA2800414A1 (en) Modular walls incorporating recessed, extendable furniture
US7946543B2 (en) Closet carrousel
KR102139890B1 (ko) 접철식 캣 타워
JP3210778U (ja) ベッドフレーム用防虫網設置台
US7979926B1 (en) Collapsible outdoor shower kit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US6701996B1 (en) Assembled and convertible decorating assembly
CN210446325U (zh) 一种拉伸式沙发床
CN108784125B (zh) 一种易于收纳的可折叠蚊帐架
CN214015481U (zh) 一种可折叠的转角式猫爬架
KR20110118907A (ko) 다목적 조립형 가구
KR100522555B1 (ko) 천정 코너 고정형 수납 가구
KR101701823B1 (ko) 벽면 고정 접철식 건조대
KR20130089129A (ko) 접이''탁자와 의자''가 장착되는 인테리어 판재
KR200307623Y1 (ko) 빨래 건조대
CN219556700U (zh) 一种置物架
KR102476491B1 (ko) 낚시용 좌대의 다리 조립구조체
KR200493166Y1 (ko) 방묘문
KR100586923B1 (ko) 가구용 절첩식 지지 다리
RU219787U1 (ru) Стол с вращающейся круговой вешалкой карусельного типа
CN218683088U (zh) 一种用于墙槽内安装的折叠座椅
KR200211942Y1 (ko) 접이형 선반장
JP2504685Y2 (ja) 伸縮棒の支持手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