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765A - 위생용품 수거함 - Google Patents

위생용품 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765A
KR20190088765A KR1020180007245A KR20180007245A KR20190088765A KR 20190088765 A KR20190088765 A KR 20190088765A KR 1020180007245 A KR1020180007245 A KR 1020180007245A KR 20180007245 A KR20180007245 A KR 20180007245A KR 20190088765 A KR20190088765 A KR 20190088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ste
weight
collection box
dra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947B1 (ko
Inventor
황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금속
Priority to KR102018000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947B1/ko
Priority to PCT/KR2019/000588 priority patent/WO2019143099A1/ko
Publication of KR2019008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 B21C23/085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9Illumin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전면 하부가 절개 형성되며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쓰레기가 수용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절개 형성된 전면 하부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상기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부재와; 상기 몸체의 개구 형성된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쓰레기에 의하여 중량이 가해지면 중앙 영역이 개방되면서 상기 쓰레기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탄성지지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판을; 포함한 위생용품 수거함을 제공함으로써, 알루미늄 압출 방식에 의하여 제작된 알루미늄 각관이나 판재를 이용하여 위생용품 수거함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위생용품 수거함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중량을 감소시키고 외형이 수려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생용품 수거함{COLLECTION BOX FOR SANITARY SUPPLIES}
본 발명은 위생용품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하고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생용품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가정이나 철도차량, 터미널 또는 역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휴지통 내지는 쓰레기통이 구비되어 있는데, 통행인의 사용이 빈번한 화장실에 설치하는 휴지통은, 주로 상면이 개방된 중공체의 수거함에 뚜껑이 결합되어 휴지 등 쓰레기를 버릴 경우에 별도의 발판을 밟아 뚜껑이 개방되도록 한 후에 쓰레기를 버리고 상기 발판에서 발을 떼면 뚜껑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한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실용 휴지통의 경우는 쓰레기를 휴지통에 버리기 위해서는 강제로 상기 뚜껑을 개방해야 하며, 이러한 별도의 뚜껑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정확하게 발판을 발로 밟지 않은 상태에서 쓰레기를 버리게 되면 쓰레기가 정확하게 휴지통의 내부로 투입되지 않아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휴지통의 외부로 심한 악취가 발생하여 많은 사람들이 함께 쓰는 공중화장실의 경우는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휴지통에 쓰레기가 가득 채워지게 되면 휴지통의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휴지통 전체를 거꾸로 들고 흔들어서 휴지통을 비워야 하므로 청소자의 입장에서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며 휴지통을 비우는 작업에 많이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지통이 배치된 장소가 화장실의 경우에 수시로 물이 사용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물에 의하여 녹이 발생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지통을 스텐인리스 재질로 제작하게 되면 휴지통의 제작에 많은 비용과 노력 및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장이 용이하지 않고 중량의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알루미늄 압출 방식에 의하여 제작된 알루미늄 각관이나 판재를 이용하여 위생용품 수거함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위생용품 수거함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중량을 감소시키고 외형이 수려한 위생용품 수거함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전면 하부가 절개 형성되며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쓰레기가 수용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절개 형성된 전면 하부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상기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부재와; 상기 몸체의 개구 형성된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쓰레기에 의하여 중량이 가해지면 중앙 영역이 개방되면서 상기 쓰레기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탄성지지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측면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관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전, 후, 좌, 우의 네 면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측면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판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에 상호 조립함으로써 전, 후, 좌, 우의 네 면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양측에는 상기 판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압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양측에는 상기 판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랍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판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힌지결합판의 개방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결합판의 판면 일측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락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은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서랍부재에 투입된 쓰레기의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서랍부재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로드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로드셀이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시에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쓰레기가 수용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알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알림부는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한 쓰레기의 중량이 커짐에 따라 발광되는 개수가 점진적으로 늘어나도록 복수로 설치된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 방식에 의하여 제작된 알루미늄 각관이나 판재를 이용하여 위생용품 수거함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위생용품 수거함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중량을 감소시키고 외형이 수려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위생용품 수거함은,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전면 하부가 절개 형성되며 일정한 수용공간(110)을 구비하여 쓰레기가 수용되도록 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절개 형성된 전면 하부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상기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부재(200)와; 상기 몸체(100)의 개구 형성된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쓰레기에 의하여 중량이 가해지면 중앙 영역이 개방되면서 상기 쓰레기가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도록 탄성지지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100)는 쓰레기를 내부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하면과 전,후,좌,우 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110)을 구비하여 쓰레기를 수용공간(110)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몸체(100)의 측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관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전, 후, 좌, 우의 네 면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판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에 상호 조립함으로써 전, 후, 좌, 우의 네 면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100)의 전, 후, 좌, 우의 네 면이 각관으로 구비되어 일체인 경우에는 위생용품 수거함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 후, 좌, 우의 네 면이 분리 가능하게 판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판재의 폭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위생용품 수거함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위생용품 수거함을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몸체(100)의 전, 후, 좌, 우 측면을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각관과, 전, 후, 좌, 우 측면이 분리된 형태로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판재는 모두 알루미늄 압출 방식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각관과 판재가 알루미늄 압출 방식에 의하여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용품 수거함의 제작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이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으로 각관과 판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갖는 위생용품 수거함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압출 성형은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고체 물질을 고온이나 저온에서 금형에 넣어 원하는 제품 형상을 연속적으로 만들어 내는 성형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위생용품 수거함을 구성하는 전, 후, 좌, 우 측면이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방식으로 가공되기 때문에 전, 후, 좌, 우 측면을 다량으로 신속하게 제조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전, 후, 좌, 우 측면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에 몸체(100)의 좌측면(120)과 우측면(130)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양측에는 상기 판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1, 131)이 압출 형성되고, 몸체(100)의 전면(140)과 후면(150)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양측에는 상기 판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21, 131)에 삽입됨으로써 몸체(100)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레일(141, 151)이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홈(121, 131)과 가이드레일(141, 151)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몸체(100)의 전, 후, 좌, 우 측면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공구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몸체(10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홈(121, 131)은 상기 판재 자체를 압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판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1, 13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홈(121, 131)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폭은 가이드레일(141, 151)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들이 조립시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0)의 상면(101)과 하면(102)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몸체(100)는 몸체(100)를 형성하는 폭이 하측이 상대적으로 크고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좌측면(103)과 우측면(104)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전면(106)과 후면(105)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압연 방식에 의하여 얇은 판재를 형성하여 이들 사이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위생용품 수거함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함의 상면(101)과 하면(102)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나 혹은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위생용품 수거함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서랍부재(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몸체(100)의 전면에는 몸체(100)의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판(160)이 설치되도록 하여 서랍부재(200)에 쓰레기가 서랍부재(200)의 높이 이상으로 채워져 있더라도 서랍부재(200)를 몸체(100)에서 인출시에 회동판(160)이 몸체(100)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용이하게 서랍부재(2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100)의 상면(101) 일측에는 힌지결합판(300)의 개방을 구속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판(300)의 판면 일측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락부재(170)가 설치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힌지결합판(300)이 회전하지 않고 상면(101)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락부재(170)에 의하여 힌지결합판(300)이 상면(101)과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용품 수거함의 상면을 세척시에 힌지결합판(300)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힌지결합판(300)의 세척도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서랍부재(200)는 몸체(100)의 절개 형성된 전면 하부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상기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서랍부재(200)의 상면은 쓰레기가 서랍부재(20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서랍부재(200)는 압연 방식에 의하여 제작되는 얇은 판재를 접합시켜 조립함으로써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압출 방식에 의하여 성형되는 'ㄷ'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판재가 상호 조립되도록 하여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서랍부재(200)가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ㄷ'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판재의 상호 접촉 영역에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각각 가이드홈(201)과 가이드레일(202)이 형성되어 이들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상호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0)의 내부로 인입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서랍부재(200)의 전면에는 별도의 전면판넬(210)이 추가로 설치되어 서랍부재(200)를 몸체(100)에 인입시에 전면판넬(210)의 둘레면이 개구된 몸체(100)의 전면과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별도의 전면판넬(210)을 서랍부재(200)의 전면에 설치되도록 하여 외적으로 수려함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전면판넬(210)의 중앙 영역에는 서랍부재(200)를 몸체(100)로부터 인출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하여 서랍부재(20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손잡이(2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힌지결합판(300)은 몸체(100)의 개구 형성된 상면(10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쓰레기에 의하여 중량이 가해지면 중앙 영역이 개방되면서 상기 쓰레기가 수용공간(110)으로 투입되도록 탄성지지되는 부재이다.
힌지결합판(300)이 상면(101)의 양측 가장자리에 탄성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결합판(300)이 힌지결합되는 영역에는 일단이 상면(101)의 일측과 접촉되고, 타단이 힌지결합판(300)의 일측과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는 압출코일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출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은 힌지결합판(300)에 전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힌지결합판(300)이 상면(10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가벼운 중량을 갖는 쓰레기라도 힌지결합판(300)의 상면에 올려놓은 동작만으로도 힌지결합판(300)이 몸체(100)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쓰레기가 몸체(100)의 수용공간(110)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힌지결합판(300)은 세척시에 유동하지 않도록 상술한 락부재(170)에 의하여 몸체(100)의 상면(10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힌지결합판(300)의 재질은 몸체(100)의 상면(110)과 동일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하여 외적인 수려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몸체(100)의 하면(102)에는 서랍부재(200)에 투입된 쓰레기의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4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측정부(400)는 서랍부재(200)로 투입된 쓰레기의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서랍부재(200)에 투입된 쓰레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서랍부재(200)를 몸체(100)의 외부로 인출하여 위생용품 수거함을 비워야할 시기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중량측정부(400)는 서랍부재(200)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판(410)과, 안착판(4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로드셀(420)로 구성되어 실시간으로 쓰레기의 양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00)의 일측에는 로드셀(420)이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시에 몸체(100)의 수용공간에 쓰레기가 수용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알림부(5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알림부(500)는 로드셀(420)에서 측정한 쓰레기의 중량이 커짐에 따라 발광되는 개수가 점진적으로 늘어나도록 복수로 설치된 엘이디(510)로 구성되는데, 복수의 엘이디(510)는 몸체(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서랍부재(200)에 투입된 쓰레기의 양에 따라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가면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서랍부재(200)의 투입된 쓰레기의 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용품 수거함을 비워야할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엘이디(510)는 쓰레기의 중량에 따라 발광하는 색상이 변화되는 형태가 사용될 경우에는 단일개로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 방식에 의하여 제작된 알루미늄 각관이나 판재를 이용하여 위생용품 수거함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위생용품 수거함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중량을 감소시키고 외형이 수려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몸체 101 : 상면
102 : 하면 110 : 수용공간
120 : 좌측면 121 : 가이드홈
130 : 우측면 131 : 가이드레일
140 : 전면 141 : 가이드레일
150 : 후면 160 : 회동판
170 : 락부재 200 : 서랍부재
210 : 전면판넬 220 : 손잡이
300 : 힌지결합판 400 : 중량측정부
410 : 안착판 420 : 로드셀
500 : 알림부 510 : 엘이디

Claims (11)

  1.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전면 하부가 절개 형성되며 일정한 수용공간(110)을 구비하여 쓰레기가 수용되도록 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절개 형성된 전면 하부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상기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부재(200)와;
    상기 몸체(100)의 개구 형성된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쓰레기에 의하여 중량이 가해지면 중앙 영역이 개방되면서 상기 쓰레기가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도록 탄성지지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판(3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측면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관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전, 후, 좌, 우의 네 면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측면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판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에 상호 조립함으로써 전, 후, 좌, 우의 네 면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좌측면(120)과 우측면(130)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양측에는 상기 판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1, 131)이 압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140)과 후면(150)을 구성하는 상기 판재의 양측에는 상기 판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21, 1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100)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레일(141, 1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재(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판(1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힌지결합판(300)의 개방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결합판(300)의 판면 일측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락부재(1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상면(101)과 하면(102)은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하면에는 상기 서랍부재(200)에 투입된 쓰레기의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부(400)는 상기 서랍부재(200)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판(410)과, 상기 안착판(4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로드셀(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로드셀(420)이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시에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에 쓰레기가 수용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알림부(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500)는 상기 로드셀(420)에서 측정한 쓰레기의 중량이 커짐에 따라 발광되는 개수가 점진적으로 늘어나도록 복수로 설치된 엘이디(5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함.
KR1020180007245A 2018-01-19 2018-01-19 위생용품 수거함 KR10205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245A KR102050947B1 (ko) 2018-01-19 2018-01-19 위생용품 수거함
PCT/KR2019/000588 WO2019143099A1 (ko) 2018-01-19 2019-01-15 위생용품 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245A KR102050947B1 (ko) 2018-01-19 2018-01-19 위생용품 수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765A true KR20190088765A (ko) 2019-07-29
KR102050947B1 KR102050947B1 (ko) 2019-12-02

Family

ID=6730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245A KR102050947B1 (ko) 2018-01-19 2018-01-19 위생용품 수거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0947B1 (ko)
WO (1) WO2019143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988B1 (ko) * 2021-08-12 2022-03-29 삼원페트라 (주) 조인트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623U (ko) * 1993-02-22 1994-09-17 이재량 분리수거 쓰레기통
KR970048885U (ko) * 1996-01-12 1997-08-12 장정완 서랍장용 전면장식판
JPH107204A (ja) * 1996-06-25 1998-01-13 Bakuma Kogyo Kk ゴミ箱
JP2002332102A (ja) * 2001-05-08 2002-11-22 Tsubasa System Co Ltd ゴミ箱
JP2005053629A (ja) * 2003-08-01 2005-03-03 Kawakami Sangyo Co Ltd ゴミ箱
KR200441166Y1 (ko) * 2007-04-23 2008-07-25 김상복 신문 분리수거함
KR20090117966A (ko) * 2008-05-12 2009-11-17 박철수 악취 분해 제거 기능을 가지는 환경친화적 기능성 위생쓰레기통
KR20110002618U (ko) * 2009-09-08 2011-03-16 김봉경 서랍장
KR20130015346A (ko) * 2011-08-03 2013-02-14 전경찬 수납이 편리한 쓰레기통
KR20140037362A (ko) * 2012-09-17 2014-03-27 (주)토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KR20140135299A (ko) * 2013-05-15 2014-11-26 석낙완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20140136835A (ko) * 2013-05-21 2014-12-01 전원 봉투 자동 교체식 쓰레기통
JP2015020907A (ja) * 2013-07-23 2015-02-02 正親 矢口 回転式蓋付き収納容器
KR20160061800A (ko) * 2014-11-24 2016-06-01 윤안구 폐 생리대 수거함
KR101669394B1 (ko) * 2016-07-15 2016-10-25 (주)신우이엔지 서랍식 수거함을 구비한 클린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568B1 (ko) * 2012-11-23 2014-03-19 이후승 생리대 수거함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623U (ko) * 1993-02-22 1994-09-17 이재량 분리수거 쓰레기통
KR970048885U (ko) * 1996-01-12 1997-08-12 장정완 서랍장용 전면장식판
JPH107204A (ja) * 1996-06-25 1998-01-13 Bakuma Kogyo Kk ゴミ箱
JP2002332102A (ja) * 2001-05-08 2002-11-22 Tsubasa System Co Ltd ゴミ箱
JP2005053629A (ja) * 2003-08-01 2005-03-03 Kawakami Sangyo Co Ltd ゴミ箱
KR200441166Y1 (ko) * 2007-04-23 2008-07-25 김상복 신문 분리수거함
KR20090117966A (ko) * 2008-05-12 2009-11-17 박철수 악취 분해 제거 기능을 가지는 환경친화적 기능성 위생쓰레기통
KR20110002618U (ko) * 2009-09-08 2011-03-16 김봉경 서랍장
KR20130015346A (ko) * 2011-08-03 2013-02-14 전경찬 수납이 편리한 쓰레기통
KR20140037362A (ko) * 2012-09-17 2014-03-27 (주)토템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KR20140135299A (ko) * 2013-05-15 2014-11-26 석낙완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101470156B1 (ko) * 2013-05-15 2014-12-05 석낙완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20140136835A (ko) * 2013-05-21 2014-12-01 전원 봉투 자동 교체식 쓰레기통
JP2015020907A (ja) * 2013-07-23 2015-02-02 正親 矢口 回転式蓋付き収納容器
KR20160061800A (ko) * 2014-11-24 2016-06-01 윤안구 폐 생리대 수거함
KR101669394B1 (ko) * 2016-07-15 2016-10-25 (주)신우이엔지 서랍식 수거함을 구비한 클린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3099A1 (ko) 2019-07-25
KR102050947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4017A (en) Recycle and refuse container with continuous supply of bags
JPH10273202A (ja) ロールバックするふたをもつごみ容器
US9032566B2 (en) Combination sink and countertop with a drawer
US7757881B1 (en) Waste bin apparatus
US5857408A (en) Manual refuse compactor
US5251342A (en) Plastic portable toilet assembly
KR20190088765A (ko) 위생용품 수거함
US8757431B2 (en) Wipe dispenser and collector unit
US3263854A (en) Garbage receptacle
US8752706B2 (en) Combination waste receptacle and toilet tissue roll storage device
US6032819A (en) One piece molded container
US20200237583A1 (en) Sanitary Napkin Disposal Device
US10485390B2 (en) Bumperless toilet lid
JP2000044001A (ja) ゴミ容器
KR101967211B1 (ko) 위생용품 수거함
CN211843333U (zh) 一种用于广告清理的收集装置
CN108487404B (zh) 一种移动盥洗室储粪箱的导流结构
JPH0940101A (ja) ホッパー蓋付き分別ゴミ入れ
KR20190116711A (ko) 휴지통
USD536561S1 (en) Dispenser
CN214414474U (zh) 一种具有侧翻式垃圾桶的橱柜
KR200486442Y1 (ko) 좌변기용 쓰레기통
KR950006524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N220663647U (zh) 一种垃圾桶
KR102659695B1 (ko) 다기능 쓰레받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