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42Y1 - 좌변기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42Y1
KR200486442Y1 KR2020170000805U KR20170000805U KR200486442Y1 KR 200486442 Y1 KR200486442 Y1 KR 200486442Y1 KR 2020170000805 U KR2020170000805 U KR 2020170000805U KR 20170000805 U KR20170000805 U KR 20170000805U KR 200486442 Y1 KR200486442 Y1 KR 200486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garbage
toilet seat
cylinder member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승우
Original Assignee
류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승우 filed Critical 류승우
Priority to KR2020170000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개시한다. 개시된 좌변기용 쓰레기통은 쓰레기가 수납되는 쓰레기 수거부와, 쓰레기 수거부가 탈착되도록 변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변기 고정부를 포함하며, 쓰레기 수거부는 변기 고정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일면에서 절곡 형성되고, 변기 고정부는, 결합돌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장착부재와 변기에 장착되도록 결합부재에서 연장되어 변기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고정부재와, 결합부재에서 연장되어 변기에 걸림지지되는 걸림지지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부를 변기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사용중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용 쓰레기통{WASTEBASKET FOR TOILET BOWL}
본 고안은 좌변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수거를 위한 쓰레기 수거부를 변기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사용중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크기를 가변시켜 수용되는 쓰레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설의 욕구는 인간이 살아있는 한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나,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각종 질병과 스트레스로 많은 사람들이 배변의 장애를 갖고 있으며, 배변의 장애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질병으로 인한 환자나 노약자, 임신부등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변기에 바로 앉기가 힘든 경우가 많다.
통상 좌변기(양변기) 커버는 시트부가 좌변기 받침대 위에 덮개와 함께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받침대 뒤쪽에는 받침대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받이통이 설치된다. 물통에는 내부에 설치된 배수구마개를 들어올려 받침대 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물내림 스위치가 설치된다.
또한, 좌변기 커버는 섬유제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좌변기의 착좌면에 장치하여 화장실의 미감을 우수하게 함과 동시에 도자기의 재질로 되어 차가운 변기에 사용자가 착좌시에 차가운 느낌이 드는 이질감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한편, 화장실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휴지 등과 같은 쓰레기를 수납 및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쓰레기통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실용 쓰레기통은 한 곳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없으므로, 사용 중 쓰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6402호(등록일:1998년07월07일)에는 "화장실 전용 쓰레기통"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쓰레기 수거를 위한 쓰레기 수거부을 변기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사용중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은, 쓰레기가 수납되는 쓰레기 수거부와, 상기 쓰레기 수거부가 탈착되도록 변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변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 수거부는, 상기 변기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결합돌부를 구비하는 제1통부재와, 상기 제1통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통부재에서 신장되어 지지되는 제2통부재와, 상기 제2통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통부재에서 신장되어 지지되는 제3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 수거부는, 상기 변기 고정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일면에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돌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장착부재와, 상기 변기에 장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변기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고정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변기에 걸림지지되는 걸림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장착부재에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변기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면지지바와, 상기 상면지지바에서 상기 슬라이딩 장착부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변기의 내면에 지지되는 내면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일 측면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은, 종래 기술과 달리 쓰레기와 이물질 수거를 위한 쓰레기 수거부를 변기 고정부를 이용하여 변기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중 쓰레기 수거부가 쓰러지면서 쓰레기와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장실의 바닥을 물청소할 때 쓰레기 수거부가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고정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좌변기용 쓰레기통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고정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을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100)은 안정된 사용을 위하여 쓰레기 수거부(110)와, 변기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100)은 쓰레기 수거를 위한 쓰레기 수거부(110)가 변기 고정부(120)에 탈착되므로, 사용중 쓰레기 수거부(110)가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쓰레기 수거부(110)는, 수용되는 쓰레기의 양을 늘릴 수 있도록 크기가 가변된다. 이를 위하여 쓰레기 수거부(110)는, 변기 고정부(120)와 탈착되는 제1통부재(113)와, 제1통부재(113)에 신장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통부재(113)와, 제2통부재(113)에 신장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통부재(114)를 포함한다.
제1통부재(113)는 상하면이 개방된 중공체 형태를 가지며 측면에 변기 고정부(120)와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결합돌부(115)를 구비하며, 덮개(117)에 의해 개폐된다. 덮개(117)는 제1통부재(113)의 상면을 개폐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 가능하도록 중앙부 상면에 파지부(113a)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1통부재(113)는 하측 내면에 제2통부재(1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걸림면(112a)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로 제2통부재(113)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결합돌부(115)는 제1통부재(113)와 변기 고정부(120)가 안정되게 결합됨은 물론 결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제1통부재(113)에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부(115)는 변기 고정부(120)의 상측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제1통부재(113)에서 "┏ ┓"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제2통부재(113)는 제1통부재(11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통부재(113)에서 신장됨에 따라 제1걸림면(112a)에 지지되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제2통부재(113)는 중공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부 외면에 제1걸림면(112a)에 지지되어 걸리는 제1지지면(113a)이 경사시제 형성되고, 하단부 내면에 제2걸림면(113b)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2통부재(113)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제3통부재(114)는 제2통부재(11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제2통부재(113)에서 신장됨에 따라 제2걸림면(113b)에 지지되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제3통부재(114)는 제2걸림면(113b)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그 넓이가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부(110)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변기 고정부(120)는, 제1통부재(113)를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용이하고 안정되게 탈착함은 물론 좌변기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장착부재(121)와, 탄성고정부재(123)와 걸림지지부재(125)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기 고정부(120)는 제1통부재(113)의 안정된 고정을 위하여 좌변기에 이격되게 복수개 결합된다.
슬라이딩 장착부재(121)는 제1통부재(113)의 결합돌부(115)가 상측에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결합홈부(121a)가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장착부재(121)는 상단부에 탄성고정부재(123)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걸림지지부재(125)가 구비된다.
슬라이딩 결합홈부(121a)는 슬라이딩 장착부재(121)의 양측면에 "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고정부재(123)는 변기 고정부(120)를 좌변기에 탈착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장착부재(121)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좌변기의 상면과 내면에 탄성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탄성고정부재(123)는 슬라이딩 장착부재(121)의 상부에서 부채꼴 형태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굴곡부(123a)와, 굴곡부(123a)에서 연장 형성되어 좌변기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면지지바(123b)와, 상면지지바(123b)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좌변기의 내면에 지지되는 내면지지바(123c)를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고정부재(123)는 좌변기에 보다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내면지지바(123c)가 상면지지바(123b)에서 슬라이딩 장착부재(121)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탄성고정부재(123)는 굴곡부(123a)에 의해 좌변기에 보다 긴밀하게 접촉됨은 물론 걸림지지부재(125)를 좌변기의 굴곡진 외면에 긴밀하게 접촉시키게 된다.
걸림지지부재(125)는 슬라이딩 장착부재(121)의 하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좌변기의 외면에 안정되고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경사지지돌기(125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좌변기용 쓰레기통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좌변기의 시트부에 변기 고정부(120)를 이격되게 2개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장착부재(121)와 탄성고정부재(123)의 내면지지바(123c) 사이로 좌변기의 상단부가 삽입되면서 변기 고정부(120)가 좌변기에 고정된다. 여기서, 내면지지바(123c)는 좌변기의 내면에 탄성지지되고, 내면지지바(123c)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지지부재(125)가 좌변기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된다.
또한, 변기 고정부(120)를 좌변기에 이격되게 2개 설치하는 것은 쓰레기 수거부(110)를 보다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후, 쓰레기 수거부(110)의 제1통부재(113)를 슬라이딩 장착부재(121)에 슬라이딩 결합하게 된다. 그러면, 결합돌부(115)가 슬라이딩 장착부재(121)의 슬라이딩 결합홈부(121a)에 슬라이딩되면서 제1통부재(113)를 변기 고정부(12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쓰레기 수거부(110)에 수거되는 쓰레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제1통부재(113)에서 제2통부재(113)를 신장시키고, 제2통부재(113)에서 제3통부재(114)를 신장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쓰레기 수거부(110)의 수거 용량을 증가시키면서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100)은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쓰레기 수거부(110)가 변기 고정부(120)에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이용하게 탈부착되므로, 사용중 쓰레기 수거부(110)가 쓰러져서 쓰레기와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쓰레기통(100)은 쓰레기 수거부(110)가 화장실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화장실을 물청소할 때 쓰레기 수거부(110)가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110 : 쓰레기 수거부
112 : 제1통부재 113 : 제2통부재
114 : 제3통부재 115 : 결합돌부
117 : 덮개 120 : 변기 고정부
121 : 슬라이딩 장착부재 123 : 탄성고정부재
125 : 걸림지지부재

Claims (4)

  1. 크기가 가변되며, 쓰레기를 수납하는 쓰레기 수거부; 및
    상기 쓰레기 수거부가 탈착되도록 변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변기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거부는, 상기 변기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결합돌부를 구비하는 제1통부재;
    상기 제1통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통부재에서 신장되어 지지되는 제2통부재; 및
    상기 제2통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통부재에서 신장되어 지지되는 제3통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쓰레기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돌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장착부재;
    상기 변기에 장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변기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고정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변기에 걸림지지되는 걸림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쓰레기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장착부재에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굴곡부;
    상기 굴곡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변기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면지지바; 및
    상기 상면지지바에서 상기 슬라이딩 장착부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변기의 내면에 지지되는 내면지지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쓰레기통.
KR2020170000805U 2017-02-17 2017-02-17 좌변기용 쓰레기통 KR200486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05U KR200486442Y1 (ko) 2017-02-17 2017-02-17 좌변기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05U KR200486442Y1 (ko) 2017-02-17 2017-02-17 좌변기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442Y1 true KR200486442Y1 (ko) 2018-05-18

Family

ID=6229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805U KR200486442Y1 (ko) 2017-02-17 2017-02-17 좌변기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4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682A (ko) * 2001-02-13 2002-08-21 신오섭 공중거치형 간이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682A (ko) * 2001-02-13 2002-08-21 신오섭 공중거치형 간이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7283B2 (en) Trash can assembly
US20120210503A1 (en) Portable urine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US20100147865A1 (en) Step trash can having integrated base and base liner
US6179151B1 (en) Garbage container
KR20100006760U (ko)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KR20070025078A (ko) 기능성 쓰레받기
KR200486442Y1 (ko) 좌변기용 쓰레기통
US20060243731A1 (en) Waste container assembly
US20110094021A1 (en) Single-use sink strainer
KR102248021B1 (ko) 좌변기용 보조커버
KR200388738Y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KR20110018487A (ko) 다기능 휴지통
KR200486846Y1 (ko) 쓰레기통
KR101930712B1 (ko) 쓰레받기 일체형 쓰레기통
KR20160021008A (ko) 변기용 위생 시트 및 변기용 커버
KR102480617B1 (ko) 소변 비산 방지장치
KR200220652Y1 (ko) 봉걸레세척통
CN215127919U (zh) 抽屉式分体马桶底座
KR20090108890A (ko) 칸 서랍식 쓰레기통
KR101371404B1 (ko) 음식물쓰레기수거함용 뚜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수거함
KR100818893B1 (ko) 휴지함을 갖는 휴지통
JP2000220191A (ja) 流し排水口用水切り袋ホルダーリング
KR20050037833A (ko) 바닥판 개폐식 쓰레기통
KR20100079865A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CN112869619A (zh) 抽屉式分体马桶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