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738Y1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 Google Patents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738Y1
KR200388738Y1 KR20-2005-0003063U KR20050003063U KR200388738Y1 KR 200388738 Y1 KR200388738 Y1 KR 200388738Y1 KR 20050003063 U KR20050003063 U KR 20050003063U KR 200388738 Y1 KR200388738 Y1 KR 200388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bag
collection bag
food was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선중
Original Assignee
권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선중 filed Critical 권선중
Priority to KR20-2005-0003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speci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removabl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흡착판(6)이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본체(1)의 양쪽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3,13a)에 삽입되어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6,16a)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32,32a)과 가이드(17,17a)에 안내되는 이동편(33,33a)이 형성되어 상기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에 설치되는 수거용 봉투 더미(7)가 빠지지 않도록 수거용 봉투의 상부를 지지하여 주는 상부 이탈 방지판(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거용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이탈 방지판(4)과 수거용 봉투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주는 물받이(5)가 형성되어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Utensil for kitchen refuse disposal}
본 고안은 주방의 싱크대나 타일 등의 벽체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하기 위한 수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쓰레기로 채워진 수거용 봉투를 제거할 때에 제거되는 수거용 봉투와 연속적으로 인출되는 수거용 봉투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고, 또한 연속적으로 인출되어 새롭게 설치되는 하나의 수거용 봉투가 정확하게 낱장씩 펼쳐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흡착판이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쪽에서 나란하게 수평상태로 고정되는 수거용 봉투 걸이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거용 봉투 걸이대에 설치되는 수거용 봉투가 빠지지 않도록 수거용 봉투의 상부를 지지하여 주는 상부 이탈 방지판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거용 봉투 걸이대에 설치되는 수거용 봉투가 빠지지 않도록 수거용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여 주는 하부 이탈 방지판과,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물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수거용 봉투 걸이대는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진 하나의 수거용 봉투를 인출시킬 때에 또 다른 수거용 봉투가 연속적으로 펼쳐지면서 설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최근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는 문제가 첨예화되고 있다. 적절하게 분리 수거된 일반쓰레기는 그 자체로 재활용되거나 재가공 및 생산하여 2차적으로 새로운 기초 자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는 비료, 또는 사료로 재활용될 수 있어서 쓰레기 처리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자원을 재활용하는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와 혼합될 경우 자원을 재활용하기가 곤란할 뿐만이 아니라, 폐기하기도 곤란하고 그 처리 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각 가정이나 요식업소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일반 쓰레기가 분리된 상태로 수거되어야 쓰레기를 처리하기가 쉽고,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각종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쓰레기를 분리수거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수거용 봉투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거용 봉투는 낱장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사용자들은 보관 및 사용상의 불편함을 겪고 있다. 수거용 봉투를 편리하게 보관하고 또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수거용 봉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치의 일례로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10-462463호 '휴지통이 수거용 봉투 배출 장치 및 그 장치에 사용 가능한 수거용 봉투'가 알려져 있다.
상기한 장치는 수거용 봉투를 휴지통 본체에 씌우는 작업이 번거롭고 매번 새로운 낱장의 수거용 봉투로 교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함으로, 휴지통 내부에 서로 나란한 안내봉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봉에 다수개의 수거용 봉투를 매달아서 수거용 봉투가 낱개로 펼쳐져서 쓰레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량하여 수거용 봉투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주방의 싱크대에서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방안이 없어서 싱크대 한편에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놓게 됨으로써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일괄적으로 버리게 되는 과정에서 일상생활에서의 쓰레기들과 혼합되어 분리수거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수거용 봉투의 일정한 부위를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켜서 다수개로 적층된 상태에서 낱개로 분리되는 상태로 공급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수거용 봉투 일체를 휴지통에 내장하여 낱개로 분리되면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수거용 봉투의 입구를 개방시켜줄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폐기되는 수거용 봉투와 새롭게 인출되는 수거용 봉투가 자동적으로 분리되어 폐기되는 수거용 봉투가 분리될 수 있고, 수거용 봉투 더미로부터 새로운 하나의 수거용 봉투가 정확하게 인출될 수 있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를 제안한다.
본 고안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흡착판이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본체의 양쪽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수거용 봉투 걸이대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과 가이드에 안내되는 이동편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거용 봉투 걸이대에 설치되는 수거용 봉투 더미가 빠지지 않도록 수거용 봉투의 상부를 지지하여 주는 상부 이탈 방지판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거용 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이탈 방지판과 수거용 봉투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주는 물받이가 형성되는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명확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는 본체(1),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 상부 이탈 방지판(3), 하부 이탈 방지판(4), 물받이(5) 및 흡착판(6,6a)으로 구성된다.
본체(1)는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를 고정하기 위하여 양쪽 측면에 고정되는 수직 고정대(10,10a)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에는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에 설치되는 수거용 봉투 더미(7)가 정하여진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 이탈 방지판(3)과 하부 이탈 방지판(4)이 고정되고, 수거용 봉투더미(7)에서 인출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지는 하나의 수거용 봉투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낼 수 있도록 물받이(5)가 고정되고, 뒤쪽에는 상기한 수거용 봉투 걸이대(2), 상부 이탈 방지판(3), 하부 이탈 방지판(5), 물받이(5)가 결합된 본체(1)를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흡착판(6,6a)이 고정된다.
이러한 본체(1)는 수직 고정대(10,10a)를 고정하기 위하여 양쪽 측면에 제 1 고정 돌기(11,11a)가 형성된 삽입편(12,12)이 형성되며,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편(12,12a) 상부에 통공(130,130a)이 형성된 가이드 홈(13,13a)과 뒷면에 제2고정홈(14,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는 상부 이탈 방지판(3)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의 돌출부(15) 양쪽에 각각 가이드 돌기(16,16a)와 가이드(17,17a)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착판(6,6a)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두 개의 장공홈(18,1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홈(18,18a)은 흡착판(6,6a)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삽입공(180,180a)이 형성되고, 삽입된 흡착판(6,6a)이 고정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180,180a)의 상부에 삽입공(180,180a)보다 작은 두 개의 고정공(181,181a · 182,18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 측면에 고정되는 수직 고정대(10,10a)는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편(12,12a)이 삽입되는 두 개의 삽입홈(100,100a)이 형성되고, 안쪽면에는 제1고정돌기(11,11a)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101,10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나중에 결합되는 수거용 봉투 걸이대(2)가 안내되는 안내홈(102,102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이탈 방지편(4)과 물받이(5)를 설치하기 위하여 통공(103,103a)이 형성된 돌출편(104,104a)이 형성되어 있다.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는 수직 고정대(10,10a)에 안내되어 본체(1)의 가이드 홈(13,13a)에 결합되는 고정편(20,20a)과 수거용 봉투 더미(7)가 설치되는 봉체(21,12a)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20)은 일측이 개방되는 ⊂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단부에는 본체(1)의 가이드 홈(13,13a)에 형성된 통공(130,130a)에 삽입되는 단턱(22,22a)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22,22a)의 전면에는 본체(1) 뒷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고정홈(14,14a)에 삽입되는 제2 고정 돌기(23,2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체(21,21a)에는 수거용 봉투 더미(7)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동시에 제1 걸림 돌기(210,210a) · 제2 걸림 돌기(211,211a) · 제3 걸림 돌기(212,212a) 및 제4 걸림 돌기(213,213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돌기(210,210a)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체(21,21a)의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수거용 봉투 더미(7)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진 하나의 수거용 봉투(71)의 한쪽편 상부가 걸리게 되어 입구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제2 걸림 돌기(211,211a)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체(21,21a)의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걸림 돌기(210,210a)와 협력하여 수거용 봉투 더미(7)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진 하나의 수거용 봉투(71)의 한쪽편 상부가 걸리게 되어 입구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제3 걸림 돌기(212,212a)는 봉체(21,21a)의 선단부 측면에 형성되어 수거용 봉투 더미(7)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진 하나의 수거용 봉투(71)의 한쪽편 상부가 걸리게 되어 봉체(21,21a)의 선단부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한다.
제4 걸림 돌기(213,213a)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편(20,20a)에 근접한 위치에서 봉체(21,21a)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하여 펼쳐진 수거용 봉투(71)에 쓰레기가 일부만 차 있을 경우에 수거용 봉투를 제거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고자 할 때에 수거용 봉투(71)의 앞쪽 한편을 뒤로 밀어서 입구를 닫을 수 있게 한다.
상부 이탈 방지판(3)은 전면판(30)의 뒤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1)의 양쪽 측면에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16,16a)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32,32a)과 가이드(17,17a)에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이동편(33,33a)이 형성되고, 전면판(30)의 하부에는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에 설치되는 수거용 봉투(7)가 임의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하여주는 세 개의 이탈 방지편(34,34a,34b)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이탈 방지판(4)은 하부가 절개되어 수직 고정대(10,10a)의 돌출편(104,104a)이 삽입되는 양쪽 고정편(40,40a)을 연결하는 수직판(41)으로 형성되어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에 설치된 수거용 봉투 더미(7)의 하단부를 지지시켜준다.
물받이(5)는 수직 고정대(10,10a)의 돌출편(104,104)에 양쪽 단부가 삽입되는 ∪형상의 물받이 고정대(50)위에 안착되며, 배수판(51)이 형성될 수 있다.
흡착판(6,6a)은 연질의 고무로 제작되면서 고정홈(60,60a)이 형성되는 통상적인 구조로 형성된다.
수거용 봉투 더미(7)는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양쪽에 통공(70,70a)이 형성되고, 상단부의 한쪽면이 분리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접촉되는 공지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먼저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편(12,12a)과 수직 고정대(10,10a)의 삽입홈(100,100a)을 결합시키면, 삽입편(12,12a)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고정돌기(11,11a)가 수직 고정대(10,10a)의 뒷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00,100a)에 삽입되어 수직 고정대(10,10a)가 본체(1)에 고정된다.
이렇게 수직 고정대(10,10a)가 본체(1)에 고정되면 본체(1)의 가이드 홈(13,13a)과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의 가이드 홈(102,102a)이 나란하게 되어하나의 가이드 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여기에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의 고정편(20,20a)을 결합시키면 단턱(22,22a)이 통공(130,130a)을 통과하여 단턱(22,22a)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고정 돌기(23,23a)가 본체(1)의 뒷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고정홈(14,14a)에 각각 삽입되어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가 본체(1)의 전방으로 서로 나란하게 고정됨으로써 수거용 봉투(7)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이탈 방지판(3)은 슬라이드 홈(32,32a)이 본체(1) 상부의 가이드 돌기(16,16a)에 삽입되고, 이동편(33,33a)이 가이드(17,17a)에 안내되어 승강하게 됨으로써 수거용 봉투(7)를 설치할 때에는 상승하고, 설치된 다음에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이탈 방지판(3)이 상승하게 되면 수거용 봉투 더미가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에 안내되어 본체(1)의 전면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편(34,34a,34b)의 저촉을 받지 않게 되고, 수거용 봉투 더미가 본체(1)의 전면에 접촉된 다음 하강하면 이동편(34,34a,34b)이 수거용 봉투 더미(7)의 상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수거용 봉투 더미(7)의 상부가 임의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렇게 상승되는 상부 이탈 방지판(3)은 상승된 다음 뒤쪽으로 젖혀져서 돌출부(31)가 본체(1)의 돌출부(15) 위에 얹혀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수거용 봉투 더미(7)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하부 이탈 방지판(4)은 고정편(40,40a)이 수직 고정대(10,10a)의 돌출편(104,104a)과 결합되면서 수직 고정대(10,10a)와 수직판(4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수거용 봉투 더미(7)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의도하는 바에 따라서는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것이나, 설치하게 되면 수거용 봉투 더미(7)의 하단부를 가지런하고 간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받이(5)는 수직 고정대(10,10a)의 돌출편(104,104)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03,103a)에 삽입되는 물받이 고정대(50) 상부에 얹혀져서 설치되는데, 의도하는 바에 따라서는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것이나,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지는 수거용 봉투에서 흘러나올 수 있는 오수를 받아줄 수 있게 되어 싱크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수거용 봉투 더미(7)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흡착판(6,6a)을 이용하여 본체(1)를 주방의 적정한 장소에 설치한다.
그리고 수거용 봉투 더미(7)를 설치하기 위해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이탈 방지판(3)을 위쪽으로 들어 올리면 슬라이드 홈(32,32a)과 이동편(33,33a)이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16,16a)와 가이드(17,17a)에 각각 안내되어 도 11a와 같이 상승되며, 이때 뒤쪽으로 회전시키면 도 11b와 같이 젖혀지게 된다.
이렇게 상부 이탈 방지편(3)이 젖혀진 상태에서 수거용 봉투 더미(7)의 통공(70,70a)을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에 끼우고 본체(1)의 전면으로 밀어 넣은 다음 상부 이탈 방지편(3)을 원위치 시키면 이탈 방지편(34,34a,34b)이 수거용 봉투 더미(7)의 상부 바깥쪽에 놓여져서 수거용 봉투 더미(7)에서 수거용 봉투기 임의로 풀려 나오지 않게 된다.
이때 수거용 봉투 더미(7)의 하단부는 수직 고정대(10,10a0와 하부 이탈 방지판(4) 사이의 공간에 넣어두면 수거용 봉투 더미(7)를 가지런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와 상부 이탈 방지편(3) 및 하부 이탈 방지편(4)에 의하여 보관되는 수거용 봉투 더미(7)에서 전면에 위치하는 하나의 수거용 봉투를 잡아당기면 수거용 봉투(71)의 전방 한쪽편이 이탈 방지편(34,34a,34b)을 넘어서 인출된다.
인출되는 수거용 봉투(71)의 전면은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에 안내되어 도 5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 제2 걸림 돌기(210,210a · 211,211a) 및 제3 걸림 돌기(212) 사이에 놓여지게 된다.
이렇게 인출된 수거용 봉투(71)의 한쪽편은 제1 · 제2 걸림 돌기(210,210a · 211,211a)에 의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의 안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의 성단부가 바깥쪽으로 경사지면서 제3 걸림 돌기(212)가 형성된 구조에 의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의 바깥쪽으로 이탈할 수 없게 되어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수거용 봉투(71)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된 상부를 본체(1)를 향하여 밀어주면 통공(70,70a)이 제4 걸림 돌기(213,213a)를 넘어서서 입구를 닫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수거용 봉투(71)를 제거하기 위하여 잡아당기면 수거용 봉투(70)의 통공(70,70a)이 제1 · 제2 걸림 돌기(210,210a · 211,211a) 및 제3 걸림 돌기(212) 사이에 놓여 있는 부위는 물론이고, 이탈 방지편(34,34a,34b)안쪽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부위까지 인출되어, 제3 걸림 돌기(212,212a)를 이탈하여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에서 완전히 이탈하여 폐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폐기되는 수거용 봉투(71)는 수거용 봉투 더미(7)가 다수개의 수거용 봉투가 적층되면서 한쪽편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안쪽에서 이탈 방지편(34,34a,34b)을 이탈하면서 새로운 수거용 봉투의 전방 한쪽편을 인출시키게 된다.
이렇게 새롭게 인출되는 수거용 봉투는 자연스럽게 상부가 개방되는데, 인출된 전방의 한쪽편이 제3 걸림 돌기(212)에 걸리는 순간에 약간의 힘을 더 가하면 폐기되는 수거용 봉투(71)와의 연결부위가 절취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주방의 싱크대나 타일 등의 벽체에 흡착판으로 고정되는 본체에 형성되는 수거용 봉투 걸이대에 수거용 봉투 더미를 설치하여 낱개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로 채워진 수거용 봉투를 제거할 때에 제거되는 수거용 봉투와 연속적으로 인출되는 수거용 봉투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고, 또한 연속적으로 인출되어 새롭게 설치되는 하나의 수거용 봉투가 정확하게 낱장씩 펼쳐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뒤쪽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 단면도
도 8은 도 4의 D-D 단면도
도 9는 도 4의 E-E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F-F 단면도
도 11, 11a,11b는 본 고안의 상부 이탈 방지편의 작동 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장공홈의 확대도

Claims (6)

  1. 흡착판(6)이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본체(1)의 양쪽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3,13a)에 삽입되어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6,16a)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32,32a)과 가이드(17,17a)에 안내되는 이동편(33,33a)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에 설치되는 수거용 봉투 더미(7)가 빠지지 않도록 수거용 봉투의 상부를 지지하여 주는 상부 이탈 방지판(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의 봉체(21,21a)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수거용 봉투 걸이대(2,2a)의 봉체(21,21a) 선단부에 제1 · 제2 걸림 돌기(210,210a)와 제3 걸림 돌기(211,21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4. 제 3 항에 있어서, 봉체(21,21,a)의 고정편(20,20a)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4 걸림 돌기(213,213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 하부에 한 쌍의 고돌출편(104,104a)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수거용 봉투 더미(7)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이탈 방지편(4)이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6. 제 5 항에 있어서, 돌출편(104,104a)에 삽입되는 물받이 고정대(50,50a)에 물받이(5)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지는 수거용 봉투(71)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주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KR20-2005-0003063U 2005-02-01 2005-02-01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KR200388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063U KR200388738Y1 (ko) 2005-02-01 2005-02-01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063U KR200388738Y1 (ko) 2005-02-01 2005-02-01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738Y1 true KR200388738Y1 (ko) 2005-07-07

Family

ID=4929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063U KR200388738Y1 (ko) 2005-02-01 2005-02-01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7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22B1 (ko) 2010-02-08 2010-03-29 (주)동명산업 콘크리트 수조 방수용 라이닝 패널, 콘크리트 수조 방수용 라이닝 장치 및 콘크리트 수조의 라이닝 시공 방법
KR20180035485A (ko) * 2016-09-29 2018-04-06 황준열 쓰레기 봉투 제품
US11447333B2 (en) 2019-12-27 2022-09-20 The Clorox Company Trash bag retain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22B1 (ko) 2010-02-08 2010-03-29 (주)동명산업 콘크리트 수조 방수용 라이닝 패널, 콘크리트 수조 방수용 라이닝 장치 및 콘크리트 수조의 라이닝 시공 방법
KR20180035485A (ko) * 2016-09-29 2018-04-06 황준열 쓰레기 봉투 제품
US11447333B2 (en) 2019-12-27 2022-09-20 The Clorox Company Trash bag retain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481B2 (en) Compacting bin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KR10085111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88738Y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KR101910255B1 (ko) 음식물 쓰레기 비닐봉지 분리장치
KR101954157B1 (ko) 분리수거함
KR100748615B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200405906Y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100462463B1 (ko) 휴지통의 수거용 봉투 배출 장치 및 그 장치에 사용 가능한 수거용 봉투
KR20160123045A (ko) 폐 생리대 수거함
KR200479861Y1 (ko)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CN113772205A (zh) 无接触便携式分类垃圾运送倾倒方法
KR920006248Y1 (ko)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CN214778274U (zh) 一种便于套垃圾袋的垃圾桶
KR101919238B1 (ko) 배수구 거름망용 집게
CN216661212U (zh) 手持垃圾桶
JP3229278U (ja) 衛生用紙容器ホルダー
CN218432975U (zh) 一种垃圾桶
CN211109224U (zh) 折叠悬挂垃圾桶
CN216806721U (zh) 一种抽屉式自动套袋垃圾桶
CN213769971U (zh) 一种新型便于撑袋、收袋、拎袋及开关桶盖的垃圾桶
KR20190026119A (ko) 1 회용 비닐봉투가 연속하여 제공되는 생리대 수거함
CN220843913U (zh) 一种干湿分离垃圾箱
CN215973294U (zh) 一种垃圾桶
CN211643127U (zh) 一种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