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485A - 쓰레기 봉투 제품 - Google Patents

쓰레기 봉투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485A
KR20180035485A KR1020160125619A KR20160125619A KR20180035485A KR 20180035485 A KR20180035485 A KR 20180035485A KR 1020160125619 A KR1020160125619 A KR 1020160125619A KR 20160125619 A KR20160125619 A KR 20160125619A KR 20180035485 A KR20180035485 A KR 20180035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bag
garbage
bag
storag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열
Original Assignee
황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열 filed Critical 황준열
Priority to KR1020160125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5485A/ko
Publication of KR2018003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7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the slide fastener providing access to the bag through a bag wall, e.g. intended to be cut open by the consumer
    • B65D33/258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the slide fastener providing access to the bag through a bag wall, e.g. intended to be cut open by the consumer the slide fastener being attached to one wall only
    • B65D33/25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2583/082Details relating to container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상부에 형성되는 걸이부 및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 및 상기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를 수용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는 그것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를 수납하는 쓰레기 봉투 수용부; 상기 쓰레기 봉투 수용부에 수납된 상기 쓰레기 봉투를 하나씩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측면에 마련된 쓰레기 봉투 인출구;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를 피부착물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쓰레기 봉투의 하면에 결합되는 점착층; 및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면, 하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걸이부가 걸리게 하는 걸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은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를 수용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를 원하는 피부착물에 부착하고, 특히 차량과 같이 협소한 장소에 있는 피부착물에 부착하고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로부터 쓰레기 봉투를 하나씩 인출하여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 자체에 마련된 걸이수단에 걸어둠으로써 쓰레기 봉투를 준비하는데 그리고 발생된 쓰레기를 버리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쓰레기 봉투 제품{Garbage Bag Product}
본 발명은 쓰레기 봉투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를 수용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를 원하는 피부착물에 부착하고, 특히 차량과 같이 협소한 장소에 있는 피부착물에 부착하고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로부터 쓰레기 봉투를 하나씩 인출하여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 자체에 마련된 걸이수단에 걸어둠으로써 쓰레기 봉투를 준비하는데 그리고 발생된 쓰레기를 버리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 봉투 제품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 등과 같이 협소한 장소에 휴지통을 비치하는 것은 오히려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휴지통 대신에 비닐로 된 쓰레기 봉투를 차량 내부에 비치하기도 한다. 그런데 차량 내부에 비치된 쓰레기 봉투는 차량 내부 분위기를 어수선하게 하여 미관을 해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54815호(2011. 07. 22. 등록)는 간이 쓰레기봉투를 개시한다. 개시된 간이 쓰레기봉투는 후면부재의 배면에 설치된 포켓에 복수개의 봉지를 수용하고 인출통공을 통하여 봉지를 하나씩 인출할 수 있으며, 그렇게 인출한 봉지를 후면부재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부재로 형성된 수납부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후면부재의 상단부를 접착제에 의하여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특허공개 제10-2009-0026387호(2009. 03. 13. 공개)는 두루마리 자동차 쓰레기 봉투를 개시한다. 개시된 쓰레기 봉투는 두루마리식으로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가 연결된 것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하나씩 끊어서 사용하는 것이며, 각 쓰레기 봉투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필요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등록 제10-0842665호(2008. 06. 24. 등록)는 쓰레기봉투를 구비한 휴대용 티슈팩을 개시한다. 개시된 휴대용 티슈팩은 양측에 두 개의 포켓을 가지는 통상적인 휴대용 티슈팩의 구조에서 하나의 포켓에는 티슈를 수납하고, 다른 쪽의 포켓에는 티슈팩에 일체로 결합된 쓰레기봉투를 수납하며, 티슈가 수납된 포켓의 외면에 걸이 또는 부착 수단이 마련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하여, 걸이 또는 부착 수단에 의하여 휴대용 티슈팩이 피부착물에 설치되고 또한 쓰레기봉투가 포켓으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휴대용 티슈팩을 사용함으로써 사용하고 난 티슈나 다른 일반 쓰레기를 티슈팩에 구비된 쓰레기봉투에 버릴 수 있어 편리하다.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티슈팩이 특허공개 제10-2010-0028811호(2010. 03. 15. 공개), 특허등록 제10-1020457호(2011. 02. 28. 등록) 등에 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178840(2000. 02. 07. 등록)는 차량용 쓰레기 봉투를 개시하고, 실용신안공개 제1999-0037639호(1999. 10. 15. 공개)는 접착식 쓰레기 봉투를 개시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54815호가 제안한 간이 쓰레기봉투는 복수개의 봉지를 하나씩 뽑아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쓰레기 봉투를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다. 그러나, 봉지를 전면부재로 형성되는 수납부에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제안된 구조는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허등록 제10-0842665호가 제안한 쓰레기봉투를 구비한 휴대용 티슈팩은 사용하고 난 티슈를 구비된 쓰레기봉투에 버릴 수 있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휴대용 티슈팩은 단지 하나의 쓰레기봉투만을 포함할 수 있어 사용상 제약이 따른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더욱 편리한 쓰레기 봉투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 봉투의 사용 및 처리가 편리한 쓰레기 봉투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봉투 제품은 상부에 형성되는 걸이부 및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 및 상기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를 수용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는 그것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를 수납하는 쓰레기 봉투 수용부; 상기 쓰레기 봉투 수용부에 수납된 상기 쓰레기 봉투를 하나씩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측면에 마련된 쓰레기 봉투 인출구;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를 피부착물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쓰레기 봉투의 하면에 결합되는 점착층; 및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면, 하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걸이부가 걸리게 하는 걸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는 한 측면 또는 상면이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되는 측면 또는 상면을 인접하는 상면 또는 측면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 상에는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걸이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쓰레기 수용부 상단에 형성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한 측면에 마련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돌기 또는 걸고리일 수 있다.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걸이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쓰레기 수용부 상단에 형성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면에 마련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돌기 또는 걸고리일 수 있다.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걸이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쓰레기 수용부 상단에 형성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쓰레기 봉투 인출구가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하면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쓰레기 봉투 인출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돌기 또는 걸고리일 수 있다.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쓰레기 수용부의 입구에는 지퍼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는 상기 쓰레기 봉투를 리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은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를 수용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를 원하는 피부착물에 부착하고, 특히 차량과 같이 협소한 장소에 있는 피부착물에 부착하고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로부터 쓰레기 봉투를 하나씩 인출하여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 자체에 마련된 걸이수단에 걸어둠으로써 쓰레기 봉투를 준비하는데 그리고 발생된 쓰레기를 버리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제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에 적용되는 한 쓰레기 봉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에 적용되는 다른 쓰레기 봉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제품을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쓰레기 봉투 제품에서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가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 내부에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10)은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와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200)를 포함한다.
쓰레기 봉투(200)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 내부에 복수개로 수용되는 것으로서, 걸이부(210)와 쓰레기 수용부(220)를 포함한다. 쓰레기 봉투(200)는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로 된 얇은 두께의 비닐 재료로 만들어진다.
걸이부(2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 봉투(2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쓰레기 봉투(200)를 아래에서 설명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에 마련된 걸고리(150)에 걸기 위한 것이다. 걸이부(210)는 쓰레기 봉투(200)의 상단부에 소정 너비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210)에는 하나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걸이구멍(212)이 마련되어 있다.
쓰레기 수용부(220)는 걸이부(210)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쓰레기 수용부(220)는 상부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222)를 가지며, 개구부(222)를 제외하고는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폐쇄한다. 쓰레기 수용부(222)는 가장 간단한 형태로서, 두 겹의 비닐지가 개구부(222)를 제외하고 3개의 모서리부에서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쓰레기 수용부(222)는 동일한 단면적에 대하여 그것 내부의 수용공간을 더욱 크게 하기 위하여, 수납공간이 직육면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쓰레기 수용부(220)의 개구부(222)에는 지퍼백에 채용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지퍼(224)가 마련될 수 있다. 지퍼(224)가 채용되는 경우 쓰레기 수용부(220)에 냄새가 나는 쓰레기,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경우에 지퍼(224)로 쓰레기 수용부(220)를 폐쇄시키면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를 맡지 않을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쓰레기 봉투가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쓰레기 봉투(200)는 지퍼백과 유사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지고 있어 그것을 제조하는데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 도 3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쓰레기 봉투가 제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쓰레기 봉투(200)는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222)를 가지고,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쓰레기 수용부(220)와 쓰레기 수용부(220)의 정면과 배면 상단에서 각각 하나의 걸이구멍(212)을 형성하는 걸이부(21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쓰레기 봉투(200)는 현재 사용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 또는 물건을 담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닐봉투와 유사하므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쓰레기 봉투(200)는 접힌 상태에서 복수개로 적층되고, 하나씩 인출될 수 있도록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에 수용될 수 있다.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의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를 가진다.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내부에는 쓰레기 봉투(200)가 수용된다. 쓰레기 봉투(200)를 리필 방식으로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는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상면(112) 또는 한 측면(114)이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렇게 개방되는 상면(112) 또는 측면(114)을 인접한 측면 또는 상면에 체결하는 체결수단(160)이 마련될 수 있다. 채용되는 체결수단(160)은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수단(160)은 한 쪽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다른 쪽에 형성된 체결홈일 수 있다.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는 쓰레기 봉투 인출구(120)를 포함한다. 쓰레기 봉투 인출구(120)는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에 수용된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200) 중에서 외부로 노출된 또는 외부 측에서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쓰레기 봉투(200)를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10)은 수용된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200)를 하나씩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쓰레기 봉투 인출구(120)는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상면(112) 또는 측면(114)에 마련된다. 도 1에는 쓰레기 봉투 인출구(120)를 통하여 쓰레기 봉투(200)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쓰레기 봉투(200)의 일부분이 반드시 외부로 노출될 필요는 없다. 쓰레기 봉투(200)가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고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 내부의 수납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있더라도 쓰레기 봉투 인출구(120)를 통하여 사용자가 쓰레기 봉투(200)를 인출할 수 있으면 족하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쓰레기 봉투 인출구(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 내부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는 점착층(130)을 포함한다. 점착층(130)은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하면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를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건물의 벽 등과 같은 피부착물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점착층(130)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한번 붙이면 점착층(130)이 파괴되지 않고는 분리되지 않는 매우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는 형태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접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적당한 점착력을 가지는 것이 좋다. 점착층(130)의 점착력은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가 충분히 담긴 상태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 점착층(130)의 점착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층(130) 상에는 이형지(140)가 덮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형지(140)는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의 유통 중에 점착층(130)의 점착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1의 장소에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를 부착하여 사용하다가 잠시 보관하거나 운반 중에 점착층(130)의 점착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는 또한 돌기 또는 걸고리(150)와 같은 걸이수단을 포함한다. 걸이수단은 쓰레기 봉투(200)의 걸이부(210)가 걸리게 하는 수단이다. 걸이수단은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상면(112), 측면(114) 또는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이수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측면(114)에 마련되는 걸고리(150)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걸고리(15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상면(112)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걸고리(150)는 쓰레기 봉투(200)의 걸이부(210)에 마련된 걸이구멍(212)이 편하게 끼워질 수 있으면서 쓰레기 봉투(200)가 걸린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적절한 형태를 가져야 한다. 걸고리(150)의 형태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100)가 피부착물에 부착되는 형태와 걸고리(150)가 어디에 설치되었는지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설치되는 걸고리(150)의 갯수는 쓰레기 봉투(200)에 형성된 걸이구멍(212)의 갯수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걸고리(1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하면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쓰레기 봉투 인출구(120)는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상면(112)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상면(112)이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면(112)이 개방되는 구조는 상면(112)이 덮개 형식으로 덮이는 구조이거나 상면(112)이 도어 형식으로 열리고 닫히는 구조일 수 있다. 걸고리(150)는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하면의 내면에 설치되고, 그 내면으로부터 쓰레기 봉투 인출구(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설치되는 걸고리(150)의 갯수는 쓰레기 봉투(200)에 형성된 걸이구멍(212)의 갯수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걸고리(150)를 설치하면,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 내부에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200)를 수용하기 위하여, 먼저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상면(112)을 개방한다. 그런 후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200)를 걸고리(150)에 차례로 끼워넣는다. 이때,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200)에 형성된 걸이구멍(212)은 서로 일치되도록 겹쳐져야 하며, 또한 각 쓰레기 봉투(200)는 걸이구멍(212)을 막지 않는 상태에서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수납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접혀져야 한다.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200)를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 내부에 마련된 수납공간에 모두 삽입한 후에는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의 상면(112)을 덮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쓰레기 봉투(200) 하나를 인출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쓰레기 봉투 인출구(120)를 통하여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 내부에서 가장 바깥에 수용된 쓰레기 봉투(200)를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 바깥으로 인출한다. 그러면, 쓰레기 봉투(200)는 걸고리(150)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쓰레기 봉투(200) 하나가 인출되어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 외부에서 걸고리(150)에 걸려 사용되는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쓰레기 봉투(20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쓰레기 봉투 인출구(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쓰레기 봉투 수용부(110) 내부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10)은 예를 들어 차량의 조수석 대시보드 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쓰레기 봉투(200)가 걸고리(150)에 걸려 사용된다.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10)은 하나의 제품에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200)를 수용하면서 제품 자체에 쓰레기 봉투(200)를 걸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 봉투(200)를 준비하는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발생된 쓰레기를 버리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쓰레기 봉투 제품(10)은 쓰레기 봉투(200)에 쓰레기가 찬 경우, 새로운 쓰레기 봉투(200)를 인출하여 제품 자체에 마련된 걸고리(150)에 걸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 봉투를 준비하고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향상된 편리성을 제공한다.
10: 쓰레기 봉투 제품 100: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
110: 쓰레기 봉투 수용부 120: 쓰레기 봉투 인출구
130: 점착층 140: 이형지
150: 걸고리 160: 체결수단
200: 쓰레기 봉투 210: 걸이부
212: 걸이구멍 220: 쓰레기 수용부
222: 개구부 224: 지퍼

Claims (9)

  1. 상부에 형성되는 걸이부 및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 및 상기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를 수용하는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이고,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는 그것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쓰레기 봉투를 수납하는 쓰레기 봉투 수용부; 상기 쓰레기 봉투 수용부에 수납된 상기 쓰레기 봉투를 하나씩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측면에 마련된 쓰레기 봉투 인출구;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를 피부착물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쓰레기 봉투의 하면에 결합되는 점착층; 및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면, 하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걸이부가 걸리게 하는 걸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는 한 측면 또는 상면이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되는 측면 또는 상면을 인접하는 상면 또는 측면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상에는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걸이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쓰레기 수용부 상단에 형성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한 측면에 마련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돌기 또는 걸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걸이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쓰레기 수용부 상단에 형성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면에 마련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돌기 또는 걸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걸이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쓰레기 수용부 상단에 형성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쓰레기 봉투 인출구가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의 하면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쓰레기 봉투 인출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돌기 또는 걸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기 쓰레기 수용부의 입구에는 지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 수납용기는 상기 쓰레기 봉투를 리필하여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제품.
KR1020160125619A 2016-09-29 2016-09-29 쓰레기 봉투 제품 KR20180035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19A KR20180035485A (ko) 2016-09-29 2016-09-29 쓰레기 봉투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19A KR20180035485A (ko) 2016-09-29 2016-09-29 쓰레기 봉투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485A true KR20180035485A (ko) 2018-04-06

Family

ID=6197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619A KR20180035485A (ko) 2016-09-29 2016-09-29 쓰레기 봉투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54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812B1 (ko) * 2019-03-13 2019-07-15 김영택 재생원료를 이용한 친환경 종량제 봉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친환경 종량제 봉투
KR200493779Y1 (ko) * 2019-12-12 2021-06-02 최하영 포장봉지에서 하나씩 뽑아서 사용하는 간편한 쓰레기 봉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738Y1 (ko) * 2005-02-01 2005-07-07 권선중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US20160001973A1 (en) * 2015-02-05 2016-01-07 Deja S. Castro Trash receptacle garbage bag dispen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738Y1 (ko) * 2005-02-01 2005-07-07 권선중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US20160001973A1 (en) * 2015-02-05 2016-01-07 Deja S. Castro Trash receptacle garbage bag dispen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812B1 (ko) * 2019-03-13 2019-07-15 김영택 재생원료를 이용한 친환경 종량제 봉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친환경 종량제 봉투
KR200493779Y1 (ko) * 2019-12-12 2021-06-02 최하영 포장봉지에서 하나씩 뽑아서 사용하는 간편한 쓰레기 봉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915B2 (en) Rigid case with integrated pet waste bag dispenser, storage system and accessories storage
US7243811B1 (en) Trashcan assembly including bag engaging member
US7404499B1 (en) Trashcan assembly including bag engaging member
US20080011754A1 (en) Trashcan assembly including liner engaging portion
US20050263556A1 (en) Diaper bag with integral but removable moisture resistant pouch
JP5701534B2 (ja) パッケージ
US20160135432A1 (en) Waste disposal device
KR20180035485A (ko) 쓰레기 봉투 제품
US20060261072A1 (en) Refuse container with bag dispenser
US9908693B1 (en) Rigid trash receptacle with retractable strap
US9828733B2 (en) Pet waste collection apparatus
US6772903B1 (en) Trash-receiving shopping bag device
US20150230431A1 (en) Clean leash device for pet waste containment and disposal
JP2003062012A (ja) 自動車用の応急手当装置
WO2001002266A1 (en) Tissue dispenser container
US20210007454A1 (en) Cellular phone carrier cap
WO2008062197A1 (en) Refuse bin
US20150337510A1 (en) Pet waste bag dispenser
KR200454815Y1 (ko) 간이 쓰레기봉투
US20100051493A1 (en) Trash container liner dispenser package
JP2772931B2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収納装置
US20230019221A1 (en) Travel Suitcase Assembly
JP3160756U (ja) 二輪車用荷物運搬収納箱
JP2001046275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装置
KR20170000425U (ko) 종량제 봉투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