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067B1 -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067B1
KR102004067B1 KR1020177022743A KR20177022743A KR102004067B1 KR 102004067 B1 KR102004067 B1 KR 102004067B1 KR 1020177022743 A KR1020177022743 A KR 1020177022743A KR 20177022743 A KR20177022743 A KR 20177022743A KR 102004067 B1 KR102004067 B1 KR 102004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ire
laser detector
tires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555A (ko
Inventor
요헤이 고지마
겐타 나카오
시게타카 후쿠자키
야스히로 야마구치
히로유키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wo or more types of vehicles, e.g. between motor-cars and cy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차선(L)을 주행하는 차량(A)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장치(10)는 차선(L)의 노면 위에 배치되어 차량(A)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디딤판(10B)과, 차선(L)의 적어도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 있어서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을 투광하는 동시에 당해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기(10C)와, 디딤판(10B) 및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주 제어부(10D)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본 발명은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2월 24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15-03391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援用)한다.
고속도로 등의 유료 도로에서는 일반적으로 요금수수(料金收受) 처리의 효율화를 위해, 통행권 자동 발행기나 요금 자동 수수기, 또는 전자식 요금 수수 시스템(ETC: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등록상표), 「자동 요금 수수 시스템」이라고도 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요금 수수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요금 수수 시스템에는 주행하는 차량의 차종 구분에 따라 과금(課金)을 수행하기 위해, 당해 차량의 차종 구분을 자동으로 판별하는 차종 판별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요금 수수 시스템은 이 차종 판별 장치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는 동시에 당해 차종 구분에 따라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차종 판별 장치에는 차량의 진입을 한대씩 분리하여 검지(檢知)하는 차량 검지기 외, 차량의 차축 수(車軸數)나 트레드 폭 등을 특정하기 위해,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디딤판(踏板)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을 투광(投光) 가능한 레이저 스캐너(레이저 검출기)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디딤판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타이어에 의해 상기 디딤판이 밟힌 회수를 검출함으로써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차종 판별 장치는 차체 전체가 디딤판을 통과한 후가 아니면 당해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할 수 없어서 차종 구분을 판별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고속도로 등에 설치된 요금 수수 시스템에 있어서는 모든 차량에 대한 차종 구분을 판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주행하는 차량의 최대 차 길이(예를 들어, 18m)를 고려하여, 차종 판별 장치와 요금 자동 수수기(또는 통행권 자동 발행기, 유인 부스(booth) 등)와의 간격이 최대 차 길이 이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7-265003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11-167694호
그러나, 고속도로의 입구·출구 요금소 등에서의 입지 조건의 형편상 차종 판별 장치와 통행권 자동 발행기 등과의 간격을 최대 차 길이 이상으로 하는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당해 입구·출구 요금소 등에 있어서는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할 수 없어서 충분히 세분화된 차종 구분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없다.
한편,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을 투광함으로써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주행 차량이나 쓰레기 등에 의한 오검출의 발생이 가정(想定)되어, 차량의 차축 수를 정밀하게 특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곳에도 설치 가능하며, 또한 정밀하게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 가능한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차선(L)을 주행하는 차량(A)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장치(10)는 상기 차선의 노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디딤판(10B)과, 상기 차선의 적어도 상기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la)을 투광하는 동시에 당해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기(10C)와, 상기 디딤판 및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차축 수 특정부(101)를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용자가 요금 수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차량의 진행 방향 앞쪽의 일부가 디딤판을 통과하지 않았을 경우라도, 당해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앞쪽 범위에서의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당해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부분에도 설치 가능하며, 또한 정밀하게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반사광의 오검출(誤檢出) 등에 의해, 레이저 검출기에 근거하여 일부의 차축이 특정되지 않았을 경우라도, 차량 중 디딤판을 통과한 부분에 대한 차축 수는 디딤판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차축 수의 특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디딤판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 중 상기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안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와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 중 상기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를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 중 디딤판을 통과한 부분에 대한 차축 수는 디딤판의 검출 결과(밟힌 횟수)를 채용하여 차축 수를 특정하므로 차량의 차축 수의 특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로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출 좌표(Q1, Q2)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형상 패턴(P1)에 들어맞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타이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부(110)를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쓰레기나 먼지 등이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로서 검출되었을 경우에, 당해 쓰레기나 먼지 등을 타이어로서 오인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의한 차축 수의 특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2개의 타이어(τ11, τ12)의 위치 관계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배치 패턴(P2)에 들어맞는 경우에, 상기 차량이 당해 2개의 타이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차축을 갖고 있다고 판정하는 차축 판정부(111)를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 있어서 복수의 타이어의 위치가 특정되었을 경우에, 각 타이어에 대응하는 차축의 존재를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의한 차축 수의 특정 정밀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가 복수의 시각(時刻)에서 검출한 복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기 타이어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와, 복수의 상기 타이어의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거리가 일치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타이어가 하나의 차량에 속해 있다고 판정하는 동일 차량 판정부(113)를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타이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동시에 당해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차선을 주행하는 하나의 차량과 다른 차량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하나의 차량에 대한 차축 수를 한층 정밀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복수의 상기 타이어의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 중, 상기 디딤판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를 특정하는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를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된 차축 중, 디딤판의 검출 결과(밟힌 회수)에 의해서도 계산된 것을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차축이 중복되어 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차량에 대한 차축 수를 한층 정밀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방법은 상기 차선의 노면 위에 배치된 디딤판을 통해 상기 차량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레이저 검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선의 적어도 상기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을 투광하는 동시에 당해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디딤판 및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차종 구분의 판별에 이용하는 정보인 당해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단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프로그램은 차선의 노면 위에 배치되어 차량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디딤판과, 상기 차선의 적어도 상기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을 투광하는 동시에 당해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기를 갖고, 상기 차선을 주행하는 상기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디딤판 및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차축 수 특정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장치는 상기 차선 위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을 투광하는 동시에 당해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기와,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차축 수 특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로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출 좌표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형상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타이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2개의 타이어의 위치 관계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배치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상기 차량이 당해 2개의 타이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차축을 갖고 있다고 판정하는 차축 판정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가 복수의 시각에서 검출한 복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기 타이어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와, 복수의 상기 타이어의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거리가 일치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타이어가 하나의 차량에 속해 있다고 판정하는 동일 차량 판정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곳에도 설치 가능하며, 또한 정밀하게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설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검출기의 기능을 설명하는 제 1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검출기의 기능을 설명하는 제 2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설비와 차량의 위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앞쪽 차축 수 특정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판정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축 판정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동일 차량 판정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앞쪽 차축 수 특정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축 수 특정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에 대하여 도 1~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설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설비(1)는 유료 도로인 고속도로의 출구 요금소(요금 형식에 따라서는 입구 요금소)에 설치되며, 고속도로의 이용자로부터 당해 이용자가 승차하는 차량의 차종 구분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고속도로의 이용자가 승차하는 차량(A)은 출구 요금소에 설치된 요금 수수 설비(1)에 있어서 고속도로 측에서 일반 도로 측으로 통하는 차선(L)을 주행하고 있다. 차선(L)의 양측에는 아일랜드(I)가 부설(敷設)되어 있고, 요금 수수 설비(1)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고속도로측(도 1에서의 +X 방향측)을 차선(L)의 「상류측」, 또는 차선(L)의 「진행 방향 앞쪽」이라고도 기재한다. 또한, 일반 도로측(도 1에서의 -X 방향측)을 차선(L)의 「하류측」, 또는 차선(L)의 「진행 방향 안쪽」이라고도 기재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 수수 설비(1)는 차종 판별 장치(10)와, 요금 자동 수수기(20)와, 발진 제어기(40)와, 발진 측 차량 검지기(50)를 구비하고 있다.
차종 판별 장치(10)는 차선(L)을 주행하는 차량(A)의 차종 구분(예를 들어, 「경자동차(이륜차를 포함한다)」, 「보통차」, 「중형차」, 「대형차」 및 「특대차」 등의 구분)을 판별하는 장치이다.
차종 판별 장치(10)는 차선(L)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아일랜드(I) 위에 설치된 각종 검출 센서(진입측 차량 검지기(10A), 레이저 검출기(10C))와, 차선(L)의 노면 위에 설치된 디딤판(디딤판(10B))을 갖고 이루어진다.
요금 자동 수수기(20)는 차선(L)을 주행하는 차량(A)의 운전자 등(이용자)에게 과금액 등을 제시하여 요금 수수 처리를 수행하는 기계이다. 요금 자동 수수기(20)의 앞면(차선(L)측을 향하는 면)에는 과금액을 제시하는 디스플레이나 지폐, 동전 또는 신용 카드 등을 접수하는 접수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요금 자동 수수기(20)는 차종 판별 장치(10)의 하류측에서의 아일랜드(I) 위에 설치되며,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해 판별된 차량(A)의 차종 구분에 따른 금액을 과금한다.
발진 제어기(40)는 요금 자동 수수기(20)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차선(L)을 주행하는 차량(A)의 발진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발진 제어기(40)는 차선(L)에 진입한 차량(A)의 운전수 등이 요금 자동 수수기(20)를 통해 필요한 금액의 지불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 차량(A)을 발진시키지 않도록 차선(L)을 폐쇄한다. 또한, 지불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차량(A)을 퇴출할 수 있도록 차선(L)을 개방한다.
발진 측 차량 검지기(50)는 차선(L)의 가장 하류측에 설치되며, 차량(A)의 요금 수수 설비(1)로부터의 퇴출을 검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종 판별 장치(10)는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와, 디딤판(10B)과, 레이저 검출기(10C)와, 주 제어부(10D)를 구비하고 있다.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는 아일랜드(I) 위에 설치되며, 차선(L)을 차선 폭 방향(±Y 방향)으로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투광탑 및 수광탑을 통해 차선(L)을 주행하는 차량(A)(차체)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차량(A) 한대분의 통과(진입)를 검출한다.
디딤판(10B)은 차선(L)의 노면 위에 있어서 차선 폭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배치되며, 주행하는 차량(A)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검출한다.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와 디딤판(10B)의 차선 방향(±X 방향)에서의 위치는 동일하다. 디딤판(10B)은 밟힌 위치 및 범위를 검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의 검출 결과와 조합함으로써, 차량(A)의 차축 수, 트레드 폭 및 타이어 폭을 특정할 수 있다.
레이저 검출기(10C)는 차선(L)을 주행하는 차량(A)의 타이어 위치(풋 패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이다. 레이저 검출기(10C)는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예를 들어, 아일랜드(I)의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레이저 검출기(10C)의 구체적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주 제어부(10D)는 차종 판별 장치(10) 전체의 동작을 담당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구체적으로는 주 제어부(10D)는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 디딤판(10B) 및 레이저 검출기(10C)로부터의 각종 검출 신호를 접수하는 동시에 그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주행하는 차량(A)의 차종 구분을 일의(一意)로 판별한다.
또한, 주 제어부(10D)는 판별한 차종 구분을 즉시 요금 자동 수수기(20)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요금 자동 수수기(20)는 차량(A)과의 요금 수수 처리에 있어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해 판별된 차종 구분에 따른 금액을 과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 제어부(10D)는 차종 판별 장치(10)(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에 내장되어 있는 양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 제어부(10D)가 아일랜드(I) 위, 또는 원격지에 설치된 차종 판별 장치(10) 이외의 장치에 내장되어, 통신 네트워크 등으로 접속되는 양태일 수도 있다.
(레이저 검출기의 구조)
도 2, 도 3은 각각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검출기의 기능을 설명하는 제 1 도면, 제 2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는 차선(L) 및 차량(A)을 옆(-Y 방향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차선(L) 및 차량(A)을 위(+Z 방향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검출기(10C)는 아일랜드(I)의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고, 높이 방향(±Z 방향)에서의 차량(A)의 타이어만이 배치되는 높이(최저 지상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차선(L)의 노면을 따라 레이저 광(la)을 투광한다. 또한, 레이저 검출기(10C)는 차량(A)의 타이어 표면에서 생기는 레이저 광(la)의 반사광을 검출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검출기(10C)는 레이저 광(la)의 투광 각도(θ)를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레이저 검출기(10C)의 설치 위치에서 방사상으로 레이저 광(la)을 투광함으로써 레이저 스캔(주사)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레이저 검출기(10C)는 차선(L) 중 적어도,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소정 범위(스캔 범위(N))에 있어서, 당해 차선(L)을 주행하는 차량(A)의 타이어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레이저 검출기(10C)는 설치된 위치에서 10미터 정도 떨어진 차량의 타이어가 검출 가능해지도록 레이저 광(la)의 출력 강도 등이 조정되어 있다. 또한, 스캔 범위(N) 전체에 걸친 1회의 스캔 속도는 차량(A)의 이동 속도에 비해 충분히 빠르다.
또한, 레이저 검출기(10C)는 스캔 범위(N) 전체에 걸친 레이저 스캔을 소정 시간마다(예를 들어, 10밀리초마다) 반복 실행하여, 복수 회의 레이저 스캔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캔 데이터를 차례차례 취득한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설비와 차량과의 위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는 차체 사이즈가 큰 차종 구분(「대형차」, 「특대차」)에 속하는 차량(A)이 요금 수수 설비(1)에 진입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차량(A)은 차체의 진행 방향 안쪽(-X 방향측)에 설치된 차축(S1)에 대응하여, 진행 방향 왼쪽(-Y 방향측)에 타이어(T11)를 갖고, 진행 방향 오른쪽(+Y 방향측)에 타이어(T12)를 갖고 있다. 또한, 차량(A)은 차체의 진행 방향 앞쪽(+X 방향측)에 설치된 차축(S2, S3)에 대응하여 각각 진행 방향 왼쪽에 타이어(T21, T31)를 갖고, 진행 방향 오른쪽에 타이어(T22, T32)를 갖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설비(1)에 있어서, 요금 자동 수수기(20)와 그 상류측에 배치된 디딤판(10B)과의 간격은 간격 d1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딤판(10B)과 그 상류측에 배치된 레이저 검출기(10C)와의 간격은 간격 d2로 되어 있다.
여기서, 「대형차」(또는 「특대차」)인 차량(A)의 차 길이(D)가 간격 d1보다 큰 경우를 생각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 의하면, 차 길이(D)(>간격 d1)의 차량(A)의 운전 좌석(진행 방향 안쪽)이 요금 자동 수수기(20)에 도달한 단계에 있어서, 차량(A)의 진행 방향 앞쪽(+X 방향측)의 일부는 디딤판(10B) 위를 아직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그렇다면, 차종 판별 장치(10)는 운전자 등이 요금 지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디딤판(10B)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 전체의 차축 수를 특정할 수 없고, 나아가서는 차량(A)의 차종 구분을 판별할 수 없다.
그래서,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는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 중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
(차종 판별 장치의 기능 구성)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종 판별 장치(10)는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와, 디딤판(10B)과, 레이저 검출기(10C)와, 주 제어부(10D)를 구비하고 있다.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 디딤판(10B) 및 레이저 검출기(10C)의 구조적인 기능 및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도 1~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 제어부(10D)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함으로써, 차축 수 특정부(101) 및 차종 구분 판별부(102)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하, 차축 수 특정부(101) 및 차종 구분 판별부(102)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축 수 특정부(101)는 디딤판(10B) 및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축 수 특정부(101)는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와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를 갖고 있다.
차종 구분 판별부(102)는, 차축 수 특정부(101)가 특정한 차축 수에 근거하여 차량(A)의 차종 구분을 판별한다. 또한, 차종 구분 판별부(102)는 판별한 차종 구분을 요금 자동 수수기(20)에 통지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차종 구분 판별부(102)는, 차축 수 특정부(101)가 특정한 차량(A)의 차축 수만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디딤판(10B)의 검출 결과로부터 특정되는 차량(A)의 트레드 폭, 타이어 폭 등과의 조합에 의해 차량(A)의 차종 구분을 판별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는 추가로 차량(A)의 차 높이를 검출 가능한 차 높이 검출기나, 차량(A)의 번호판 정보를 검출 가능한 번호판 검출기 등의 검출 결과를 조합하여 차량(A)의 차종 구분을 판별할 수도 있다.
다음에, 차축 수 특정부(101)가 갖는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 및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는 디딤판(10B)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 중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안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는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에 의한 차량(A)의 진입 검지 중에 있어서, 디딤판(10B)이 밟힌 회수를 계산한다. 디딤판(10B)이 밟힌 회수는, 즉 차량(A) 중 디딤판(10B)을 밟고 당해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안쪽으로 이동한 차축 수이다(도 4 참조).
한편,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는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 중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는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스캔 범위(N)에 속하는 타이어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
이하,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의 상세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쪽 차축 수 특정부의 기능 구성)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앞쪽 차축 수 특정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는 타이어 판정부(110)와, 차축 판정부(111)와,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와, 동일 차량 판정부(113)와,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타이어 판정부(110)는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로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출 좌표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형상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차량(A)의 타이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차축 판정부(111)는,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2개의 타이어의 위치 관계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배치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차량(A)이 당해 2개의 타이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차축을 갖고 있다고 판정하고, 당해 2개의 타이어를 대응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는, 레이저 검출기(10C)가 복수의 시각에서 검출한 복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의 타이어의 이동 벡터(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특정한다.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복수의 타이어에 대한 이동 벡터가 일치하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타이어가 하나의 차량에 속해 있다고 판정하여 당해 복수의 타이어를 대응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복수의 타이어에 대한 이동 벡터에 근거하여 레이저 검출기(10C)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 중, 디딤판(10B)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디딤판(10B)을 밟은 타이어)를 특정한다.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판정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검출기(10C)는 타이어 표면에서의 레이저 광(la)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레이저 검출기(10C)와 각 타이어와의 위치 관계(방향 및 거리)에 근거하는 스캔 데이터를 취득한다. 스캔 데이터는 수평면(XY 평면)에서의 레이저 광(la)의 투광 각도(θ)와, 각 투광 각도(θ)에 대응하는 계측 거리(r)에 의해 가상의 XY 좌표 평면 위에 특정되는 좌표(검출 좌표군(Q1, Q2))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타이어 판정부(110)는 스캔 범위(N)(도 3, 도 4 참조)에 대응하는 가상의 XY 좌표 평면을 규정하는 동시에 투광 각도(θ) 및 계측 거리(r)에 근거하여 당해 XY 좌표 평면 위에 좌표(검출 좌표군(Q1, Q2))를 플로팅한다.
여기서, 레이저 검출기(10C)가 검출한 반사광이 차량(A)의 타이어 표면에서 생긴 반사광인 경우, 그 스캔 데이터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A)의 각 타이어의 형상에 대응하는 특정 좌표 패턴(XY 좌표 평면 위에서의 각 검출 좌표의 배치 패턴)을 나타낸다. 즉, 레이저 검출기(10C)는 차량(A)의 진입 단계에 있어서, 진행 방향 안쪽이면서 진행 방향 왼쪽에서, 진행 방향 앞쪽이면서 진행 방향 오른쪽을 향해, 당해 차량(A)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레이저 광(la)을 투광한다(도 3, 도 4 참조). 그렇게 하면, 투광된 레이저 광(la)은 차량(A)의 타이어의 앞쪽(-X 방향측)을 마주 대하는 접지면, 및 진행 방향 왼쪽을 마주 대하는 측면에 걸쳐서 투광, 주사된다. 따라서, 타이어에 대한 투광에 따라 검출된 검출 좌표군(Q1, Q2)은 당해 타이어의 접지면 및 측면에 근거하여 90도로 접힌 (L자형의) 배열 패턴이 된다.
그래서, 타이어 판정부(110)는 먼저 가상의 XY 평면 위에 플로팅된 좌표 중,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플로팅된 군(검출 좌표군(Q1, Q2))을 특정한다. 그리고, 타이어 판정부(110)는 특정한 검출 좌표군(Q1, Q2)과 미리 규정된 타이어 형상 패턴(P1)을 조합(照合)하여, 각 검출 좌표군(Q1, Q2)이 스캔 범위(N) 내에 존재하는 타이어에 근거하여 검출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 판정부(110)는 검출 좌표군(Q1, Q2)이 90도로 접히도록 구획된 L자형 타이어 형상 패턴(P1)의 영역 내에 들어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검출 좌표군(Q1, Q2)이 타이어 형상 패턴(P1)의 영역 내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타이어 판정부(110)는 당해 검출 좌표군(Q1, Q2)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타이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 판정부(110)는 검출 좌표군(Q1)에 근거하여 가상의 XY 좌표 평면 위에 있어서 추정 타이어(τ11)의 위치를 특정하고, 또한 검출 좌표군(Q2)에 근거하여 가상의 XY 좌표 평면 위에 있어서 추정 타이어(τ12)의 위치를 특정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축 판정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차축 판정부(111)는 타이어 판정부(110)에 의해 가상의 XY 좌표 평면 위에 특정된 2개의 추정 타이어(τ11, τ12)의 위치 관계를 취득하고, 당해 2개의 추정 타이어(τ11, τ12)의 위치 관계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배치 패턴(P2)에 들어맞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레이저 검출기(10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A)의 진입 단계에 있어서, 당해 차량(A)에 대해, 레이저 광(la)을 진행 방향 안쪽이면서 진행 방향 왼쪽(-X, -Y 방향측)에서 진행 방향 앞쪽이면서 진행 방향 오른쪽(+X, +Y 방향측)을 향해 비스듬히 투광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레이저 검출기(10C)는 차량(A)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당해 차량(A)의 진행 방향 왼쪽에 배치되는 타이어(도 4에 나타내는 타이어(T11, T21, T31))와 진행 방향 오른쪽에 배치되는 타이어(도 4에 나타내는 타이어(T12, T22, T32)) 모두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요금 수수 설비(1)에 부설된 차선(L)에 의해 차량(A)의 주행 방향은 어느 정도 한정된 것이 된다. 따라서, 차량(A)이 갖는 동일한 차축에 대응하는 2개의 타이어의 위치 관계도 어느 정도 한정된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선 방향(±X 방향)의 위치가 거의 일치하고, 게다가 차선 폭 방향(±Y 방향)의 위치가 트레드 폭에 따른 거리(대략 1.5m~2.0m)만큼 상이한 2개의 타이어는 차량(A)이 갖는 동일한 차축(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차축(S1))에 대응하는 2개의 타이어(예를 들어, 타이어(T11, T12))일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차축 판정부(111)는 타이어 판정부(110)에 의해 XY 좌표 평면 위에 특정된 2개의 추정 타이어(τ11, τ12)와 차선 방향(±X 방향) 및 차선 폭 방향(±Y 방향)의 상대적 위치를 규정하는 타이어 배치 패턴(P2)을 조합하여, 당해 2개의 추정 타이어(τ11, τ12)가 차량(A)의 동일한 차축에 대응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타이어 배치 패턴(P2)은, 가상의 XY 좌표 평면 위에 있어서, 동일한 차축에 대응하는 2개의 타이어의 위치 관계에 근거하여 규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 배치 패턴(P2)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상의 XY 좌표 평면 위에 있어서, ±X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또한 ±Y 방향의 위치가 가정되는 트레드 폭에 따른 폭만큼 상이한 2개의 영역이 구획되어 이루어진다.
차축 판정부(111)는, 추정 타이어(τ11, τ12)가 타이어 배치 패턴(P2)의 영역 내에 들어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추정 타이어(τ11, τ12)가 타이어 배치 패턴(P2)의 영역 내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차축 판정부(111)는 당해 추정 타이어(τ11, τ12)의 각각에 대응하는 차축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차축 판정부(111)는 가상의 XY 좌표 평면 위에 있어서 추정 타이어(τ11, τ12)에 대응하는 추정 차축(σ1)을 특정하는 동시에 당해 추정 차축(σ1)으로 추정 타이어(τ11)와 추정 타이어(τ12)를 대응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도 9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검출기(10C)는 소정 시간(Δt)(예를 들어, Δt=10밀리초)마다 스캔 범위(N)의 레이저 스캔을 반복 실행한다.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는 복수 회의 레이저 스캔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스캔 데이터를 시계열(時系列)로 분석하고, 차량(A)의 주행에 따라 이동하는 각 타이어의 이동 벡터(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타이어 판정부(110)가 어느 시각(ta)에 취득된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XY 좌표 평면 위에 추정 타이어(τ11')를 특정하고, 이어서 다음의 타이밍(시각(ta)+Δt)에 취득된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일한 XY 좌표 평면 위에 추정 타이어(τ11)를 특정했다고 한다.
이 경우,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는, 추정 타이어(τ11')에 대한 추정 타이어(τ11)의 위치가 미리 규정된 이동 방향 거리 가정 범위(P3)에 들어맞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동 방향 거리 가정 범위(P3)는 가상의 XY 좌표 평면 위에 있어서, 시각(ta)에 추정 타이어(τ11')가 배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추정 타이어(τ11')가 소정 시간(Δt) 경과 후에 위치한다고 가정되는 영역이 구획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차량(A)의 주행 방향은 차선(L)에 의해 어느 정도 제한되어 있다. 또한, 차량(A)의 주행 속도도 당해 차량(A)이 요금 자동 수수기(20) 앞에서 정차하는 것을 전제로 소정 범위 내(5km/h~20km/h 정도)에 들어가는 것이 가정된다. 이동 방향 거리 가정 범위(P3)는 이렇게 가정되는 차량(A)의 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에 근거하여 미리 규정된다.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는, 시각(ta)+Δt에 있어서 XY 좌표 평면 위에 특정된 추정 타이어(τ11)가 이동 방향 거리 가정 범위(P3)의 영역 내에 속하는 경우에, 당해 추정 타이어(τ11)가 추정 타이어(τ11')와 동일한 타이어에 근거하여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추정 타이어(τ11')에서 추정 타이어(τ11)까지의 이동 벡터(R11)를 특정한다.
도 10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동일 차량 판정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레이저 검출기(10C)는 스캔 범위(N)에서의 레이저 스캔을 소정 시간(Δt)마다 반복함으로써, 차량(A)의 주행에 따라 당해 스캔 범위(N)에 들어간 타이어의 위치를 차례차례 검출한다. 그리고, 상술한 타이어 판정부(110) 및 차축 판정부(111)는 차량(A)의 주행에 따라 차례차례 취득되는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A)이 갖는 복수의 차축(차축(S1) 등), 및 당해 차축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타이어(타이어(T11, T12) 등)의 위치 관계를 추정한다(도 7, 도 8에 나타내는 추정 차축(σ1) 및 추정 타이어(τ11, τ12) 등).
여기서, 어느 시각(tb)에 있어서, 타이어 판정부(110) 및 차축 판정부(111)는 추정 차축(σ1')으로 대응시킨 추정 타이어(τ11', τ12')와 추정 차축(σ2')으로 대응시킨 추정 타이어(τ21', τ22')를 XY 좌표 평면 위에 특정했다고 한다. 또한, 타이어 판정부(110) 및 차축 판정부(111)는 다음의 타이밍(시각(tb)+Δt)에 있어서, 추정 차축(σ1)으로 대응된 추정 타이어(τ11, τ12)와 추정 차축(σ2)으로 대응시킨 추정 타이어(τ21, τ22)를 XY 좌표 평면 위에 특정했다고 한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는 도 9에서 설명한 처리를 거쳐서 시각(tb)에 특정된 각 추정 타이어(τ11', τ12', τ21', τ22')의 각각에 대하여 시각(tb)+Δt에 특정된 각 추정 타이어(τ11, τ12, τ21, τ22)의 각각을 대응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는 각 추정 타이어(τ11, τ12, τ21, τ22)에 대한 이동 벡터(R11, R12, R21, R22)를 특정한다.
여기서,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추정 타이어(τ11, τ12, τ21, τ22)에 대한 각 이동 벡터(R11, R12, R21, R22)가 일치하는지 여부(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추정 타이어(τ11, τ12, τ21, τ22)는 동일한 차량(추정 차량(α))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즉, 타이어 판정부(110)에 의해 특정된 복수의 타이어가 시계열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당해 복수의 타이어는 동일한 차량(A)에 속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가상의 XY 좌표 평면 위에 추정 차량(α)을 특정하고,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가 일치하는 복수의 타이어(추정 타이어(τ11, τ12, τ21, τ22))를 당해 추정 차량(α)으로 대응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시각(tb)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어느 시각(tc)에 있어서, 타이어 판정부(110) 및 차축 판정부(111)가 추가로 추정 차축(σ3')으로 대응시킨 추정 타이어(τ31', τ32')를 XY 좌표 평면 위에 특정했다고 한다. 또한, 다음의 타이밍(시각(tc)+Δt)에 있어서, 타이어 판정부(110) 및 차축 판정부(111)가 추정 차축(σ3)으로 대응시킨 추정 타이어(τ31, τ32)를 XY 좌표 평면 위에 특정했다고 한다. 이 경우,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는 추가로 각 추정 타이어(τ31, τ32)에 대한 이동 벡터(R31, R32)를 특정한다.
이때,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새롭게 특정된 이동 벡터(R31, R32)가 이미 추정 차량(α)에 의해 대응되어 있는 각 이동 벡터(R11, R12, R21, R22)에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당해 추정 타이어(τ31, τ32)가 동일한 추정 차량(α)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상과 같이,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는 차례차례 취득되는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타이어에 대하여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이동 벡터(R11, R21, …))를 차례차례 특정해 간다. 그리고,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에 의해 차례차례 특정된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가 일치하는 타이어 군을 동일 차량(추정 차량(α))에 속하는 타이어로 간주하여 차례차례 대응시켜 간다.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는, 차축 판정부(111)가 특정한 차축 중 동일 차량(추정 차량(α))에 속하는 차축 수를 계산함으로써, 실제로 차선(L)을 주행하는 차량(A)이 갖는 차축 수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딤판(10B)은 레이저 검출기(10C)(스캔 범위(N)의 가장 하류)보다 간격 d2만큼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이저 검출기(10C)의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특정된 차량(A)의 타이어(타이어(T11, T12, …)) 중 적어도 일부는 차량(A)의 주행에 따라 간격 d2만큼 하류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디딤판(10B)에 의해서도 검출된다. 그러면,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가 특정한 차축(차축(S1, S2, …))과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도 5)가 특정한 차축이 중복되는 경우가 가정된다.
따라서,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가 특정한 각 타이어(추정 타이어(τ11, τ12, …))에 대한 이동 벡터(R11, R12, …)에 근거하여 레이저 검출기(10C)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 중, 디딤판(10B)에 의해서도 검출된 타이어를 특정한다.
여기서,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캔 범위(N)보다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레이저 검출기(10C)로부터 검출되지 않게 된 추정 타이어(τ11', τ12')(및 추정 차축(σ1'))의 위치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스캔 범위(N)에 속해 있는 다른 추정 타이어(τ21', τ22', …)의 이동 벡터(R21, R22, …)와 동일한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이동 벡터(R11*, R12*)를 추정 타이어(τ11', τ12') 각각에 적용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추정 타이어(τ21', τ22')는 스캔 범위(N)에 속해 있으므로,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에 의해 이동 벡터(R21, R22)를 특정 가능하다. 한편, 스캔 범위(N)에서 벗어난 추정 타이어(τ11', τ12')는 상기 추정 타이어(τ21', τ22')와 동일한 차량(추정 차량(α))에 속하는 것으로서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추정 타이어(τ11', τ12')는 스캔 범위(N) 밖으로 이동한 후에도, 추정 타이어(τ21', τ22')와 동일한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만큼 이동하고 있는 것이 가정된다.
이와 같이,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동일 차량에 속하는 것으로서 대응된 다른 타이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적용함으로써, 스캔 범위(N)를 지나간 타이어의 위치를 추적하여 특정할 수 있다.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스캔 범위(N)를 지나간 추정 타이어(τ11, τ12)의 XY 좌표 평면 위에서의 위치를, 후속 추정 타이어(τ21, τ22)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차례차례 특정하고, 그 위치가 XY 좌표 평면 위에 규정되는 디딤판(10B)의 위치보다 하류측으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XY 좌표 평면 위에 규정되는 디딤판(10B)의 위치는 실제의 디딤판(10B)과 레이저 검출기(10C)와의 간격 d2에 근거하여 규정된다.
그리고,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추정 타이어(τ11, τ12)의 XY 좌표 평면 위에서의 위치가 디딤판(10B)의 위치보다 하류측으로 이동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당해 추정 타이어(τ11, τ12)가 디딤판(10B)에 의해서도 검출된 타이어로서 특정한다.
또한, 추정 타이어(τ11, τ12)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추정 타이어(τ21, τ22)가 스캔 범위(N)를 지나쳤을 경우는,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스캔 범위(N) 내에 위치하는 추정 타이어(τ31, τ32)와의 대응에 근거하여 상기와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여 추정 타이어(τ21, τ22)의 XY 좌표 평면 위에서의 위치를 특정한다.
(주 제어부의 처리 흐름)
도 1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 제어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처리 흐름은 요금 수수 설비(1)의 가동 중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반복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의 타이어 판정부(110)는 레이저 검출기(10C)의 레이저 스캔에 의해 얻어진 검출 결과(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스캔 범위(N)에 1개 또는 복수의 타이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1). 여기서, 타이어 판정부(11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의 XY 좌표 평면 위에 플로팅되는 검출 좌표군(검출 좌표군(Q1, Q2))과 타이어 형상 패턴(P1)을 조합하고, 그 조합 결과에 근거하여 당해 검출 좌표군에 대응하는 위치에 타이어(추정 타이어(τ11, τ12) 등)가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또한, 타이어 판정부(110)의 판정 결과로부터 스캔 범위(N)에 하나도 타이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는 즉시 처리 흐름을 종료하고, 다음의 타이밍에서 새롭게 취득된 스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의 차축 판정부(111)는 단계 S01에서 특정된 타이어의 위치 관계에 근거하여 2개의 타이어가 동일한 차축에 대응하는 쌍이 되는 타이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2). 여기서, 차축 판정부(11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XY 좌표 평면 위에 있어서 위치가 특정된 2개의 추정 타이어(τ11, τ12)가 타이어 배치 패턴(P2)에 들어맞는 경우에, 당해 2개의 추정 타이어(τ11, τ12)가 동일한 추정 차축(추정 차축(σ1))에 대응하는 쌍이 되는 타이어라고 판정한다.
다음에,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의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는 단계 S01에서 특정된 타이어의 위치와 지난번의 레이저 스캔으로 특정된 타이어의 위치에 근거하여 동일 타이어의 대응을 수행하는 동시에 당해 타이어에 대한 이동 벡터를 특정한다(단계 S03). 여기서,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번에(단계 S01에서) 특정된 타이어(추정 타이어(τ11))에 대하여, 지난번 특정된 타이어(추정 타이어(τ11'))를 기준으로 한 이동 방향 거리 가정 범위(P3)를 적용하여, 각 타이어가 동일 타이어라고 판정하는 동시에 당해 동일 타이어(추정 타이어(τ11))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이동 벡터(R11)를 특정한다.
다음에,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의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단계 S01에서 특정된 복수의 타이어가 동일 차량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당해 동일 차량이 갖는 차축 수를 계산한다(단계 S04). 여기서,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03에서 특정된 이동 벡터(이동 벡터(R11, R12, R21, R22) 등)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는 타이어(추정 타이어(τ11, τ12, τ21, τ22) 등)가 동일 차량(추정 차량(α))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동일 차량(추정 차량(α))에 속하는 타이어에 대응하는 차축(추정 차축(σ1, σ2…))의 수를 계산한다.
다음에,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의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스캔 범위(N)에서 하류측으로 벗어난 타이어 중, 당해 스캔 범위(N)의 하류측에 배치된 디딤판(10B) 위를 통과한 것을 특정한다(단계 S05). 여기서,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03에서 특정된 이동 벡터(예를 들어, 이동 벡터(R21, R22))와 동일한 이동 벡터(이동 벡터(R11*, R12*))를, 스캔 범위(N)에서 하류측으로 벗어난 타이어(추정 타이어(τ11', τ12'))에 대하여 적용한다. 그리고,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스캔 범위(N)에서 하류측으로 벗어난 타이어 중 디딤판(10B)보다 하류측으로 이동한 타이어를 특정한다.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는 단계 S04에서 계산된 차축 수로부터 단계 S05에 있어서 디딤판(10B)보다 하류측으로 이동한 타이어에 대응하는 차축 수를 감산(減算)하여, 디딤판(10B)보다 상류측(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 속하는 차량(A)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단계 S06).
다음에, 주 제어부(10D)는, 차량(A)의 운전 좌석이 요금 자동 수수기(20)에 도달하여 정차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7).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 제어부(10D)는 요금 자동 수수기(20)에 설치된 소정의 검지 센서(레이저식 검지 센서, 초음파 센서 등)를 통해 차량(A)의 운전 좌석이 요금 자동 수수기(20)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다. 여기서, 주 제어부(10D)는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 디딤판(10B),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 등에 근거하여 차량(A)이 정차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차량(A)이 주행 중인 경우(단계 S07: 아니오),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는 상술한 단계 S01~단계 S06을 반복 실행하고,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 중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
한편,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가 단계 S01~단계 S06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는 병렬하여, 디딤판(10B)이 밟힌 회수를 계산하여, 차량(A) 중 디딤판(10B)을 통과한 부분(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안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
차량(A)의 정차가 검출되었을 경우(단계 S07: 예), 차축 수 특정부(101)는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 및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 각각에 의해 특정된 차축 수를 서로 더하여 차량(A)의 전체 차축 수를 특정한다(단계 S08).
다음에, 차종 구분 판별부(102)는 차축 수 특정부(101)에 의해 특정된 차량(A) 전체의 차축 수와 기타 각종 정보(디딤판(10B)의 검출 결과에 근거한 트레드 폭, 타이어 폭 등)를 조합하여 차량(A)의 차종 구분을 일의로 판별하고, 당해 판별한 차종 구분(「대형」, 「특대」 등)을 요금 자동 수수기(20)로 출력한다(단계 S09). 이것에 의해, 요금 자동 수수기(20)는 차량(A)의 차종 구분에 따른 과금액을 특정할 수 있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하면, 레이저 검출기(10C)가 차선(L)의 적어도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차량(A)의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la)을 투광하고, 당해 레이저 광(la)의 반사광을 검출하여 얻어지는 스캔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차축 수 특정부(101)가 디딤판(10B) 및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A)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
여기서, 종래의 요금 수수 시스템에 있어서는 차량(A)의 운전석 부분이 요금 자동 수수기(20) 등에 도달했을 때에 당해 차량(A)의 차체 전체가 디딤판(10B)의 통과를 완료할 수 있도록, 요금 자동 수수기(20)와 디딤판(10B)과의 간격(간격 d1)이 최대 차 길이(예를 들어, 18m) 정도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고속도로의 입구·출구 요금소 등에서의 입지 조건에 따라서는 요금 자동 수수기(20)와 디딤판(10B)과의 간격을 최대 차 길이 이상으로 하는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차선(L)에 있어서 차량(A)의 운전 좌석이 요금 자동 수수기(20)에 도달한 단계에서, 차량(A)의 진행 방향 앞쪽의 일부가 디딤판(10B)을 통과하지 않았다고 해도,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 전체의 차축 수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요금 수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차량(A)의 진행 방향 앞쪽의 일부가 디딤판(10B)을 통과하지 않았을 경우라도, 당해 차량(A)의 차종 구분을 특정할 수 있어서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하면,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곳에도 설치 가능하며, 또한 정밀하게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하면, 만일 레이저 검출기(10C)에 있어서 반사광의 오검출이 돌발적으로 생기는 등의 요인으로, 당해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일부의 차축이 정확하게 특정되지 않았을 경우라도, 차량(A) 중 디딤판(10B)을 통과한 부분에 대한 차축 수는 디딤판(10B)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A)의 차축 수의 특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하면,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가 디딤판(10B)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 중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안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하고, 또한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가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 중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A) 중 디딤판(10B)을 통과한 부분에 대한 차축 수는 디딤판(10B)의 검출 결과(밟힌 회수)를 채용하여 차축 수를 특정하므로, 차량(A)의 차축 수의 특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차량(A)이 「경자동차」, 「보통차」 등인 경우, 당해 차량(A)의 운전 좌석이 요금 자동 수수기(20)에 도달한 단계에서, 모든 차축이 디딤판(10B)을 통과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당해 차량(A)의 차축 수는 오로지 디딤판(10B)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되므로, 종래와 같은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하면,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타이어 판정부(110))는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로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출 좌표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형상 패턴(P1)에 들어맞는 경우에, 복수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타이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쓰레기나 먼지 등이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로 검출되었을 경우에, 해당 쓰레기나 먼지 등을 타이어로서 오인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의한 차축 수의 특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하면,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차축 판정부(111))는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2개의 타이어의 위치 관계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배치 패턴(P2)에 들어맞는 경우에, 차량(A)이 당해 2개의 타이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차축을 갖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캔 범위(N) 내에 있어서 복수의 타이어의 위치가 특정되었을 경우에, 각 타이어에 대응하는 차축의 존재를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의한 차축 수의 특정 정밀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하면,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 및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레이저 검출기(10C)가 복수의 시각에서 검출한 복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타이어의 이동 벡터를 특정하는 동시에 복수의 타이어 이동 벡터가 일치하는 경우에, 하나의 차량이 당해 복수의 타이어를 갖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선(L)을 주행하는 하나의 차량(차량(A))과 다른 차량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당해 하나의 차량(차량(A))에 대한 차축 수를 한층 정밀하게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A)의 진행 방향 앞쪽에 후속 차량이 주행하고 있었을 경우라도, 당해 후속 차량의 주행 속도는 차량(A)의 주행 속도와 상이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 차량(A)이 갖는 타이어와 이동 벡터가 상이한 타이어는 당해 차량(A)과는 상이한 차량(후속 차량)이 갖는 타이어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이렇게 하여 하나의 차량에 속하는 타이어(차축)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게 차축 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하면,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복수의 타이어 이동 벡터에 근거하여 레이저 검출기(10C)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 중, 디딤판(10B)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를 특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된 차축 중, 디딤판(10B)의 검출 결과(밟힌 회수)에 의해서도 계산된 것을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차축이 중복되어 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차량(A)에 대한 차축 수를 한층 정밀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상,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하면,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곳에도 설치 가능하며, 또한 정밀하게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에,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의 구조, 기능 구성 등의 구체적 양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나의 차량(차량(A))에 대해 디딤판(10B)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는 모든 타이어가 레이저 검출기(10C)에 의해 검출 가능해지도록, 디딤판(10B)과 레이저 검출기(10C)와의 간격 d2(도 3참조)이 가능한 한 짧게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주 제어부의 처리 흐름)
도 13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축 수 특정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처리 흐름은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요금 수수 설비(1)의 가동 중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반복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는 디딤판(10B)이 밟힌 회수를 계산하여, 디딤판(10B)을 통과한 부분의 차축을 특정한다(단계 S11).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는, 차량이 정차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단계 S12), 차량(A)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단계 S12: 아니오), 디딤판(10B)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는 차축 수의 계산을 계속한다.
한편, 차량(A)이 정차했을 경우에는(단계 S12: 예), 레이저 검출기(10C)가 레이저 스캔을 실행한다. 그리고,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는 당해 레이저 스캔에 의해 얻어진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A) 중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단계 S13).
다음에, 차축 수 특정부(101)는 안쪽 차축 수 특정부(101A) 및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의 각각에 의해 특정된 차축 수를 서로 더하여 차량(A)의 전체 차축 수를 특정한다(단계 S14).
다음에, 차종 구분 판별부(102)는 차축 수 특정부(101)에 의해 특정된 차량(A) 전체의 차축 수와 기타 각종 정보(디딤판(10B)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는 트레드 폭, 타이어 폭 등)를 조합하고, 차량(A)의 차종 구분을 일의로 판별하여, 당해 판별한 차종 구분을 요금 자동 수수기(20)로 출력한다(단계 S15). 이것에 의해, 요금 자동 수수기(20)는 차량(A)의 차종 구분에 따른 과금액을 특정할 수 있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에 의하면, 레이저 검출기(10C)는, 차량(A)이 정차했다고 판정된 후에 레이저 스캔(레이저 광(la)의 투광)을 개시한다. 그리고, 앞쪽 차축 수 특정부(101B)는, 차량(A)이 정차한 후에 취득된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먼저 디딤판(10B)에 의해 당해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안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가 특정된 후, 레이저 검출기(10C)에 의해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의 검출 처리가 수행된다. 따라서, 레이저 검출기(10C)를 이용한 차축 수의 특정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기타 실시 형태>
이상,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의 구체적인 양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설계 변경 등을 가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위치가 특정된 타이어의 이동 벡터(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동일 차량에 속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 하나의 차량이 갖는 차축별 트레드 폭은 대체로 동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동일 차량 판정부(113)는 하나의 차축에 대응하는 2개의 타이어의 차선 폭 방향(±Y 방향)의 거리(트레드 폭)와 다른 차축에 대응하는 2개의 타이어의 차선 폭 방향의 거리(트레드 폭)가 크게 상이한 경우는, 당해 2개의 차축은 각각 상이한 차량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드 폭에 의해 동일 차량인지 여부를 분별하는 경우, 싱글 타이어인지 더블 타이어인지에 따라 트레드 폭의 검출 값(하나의 차축에 대응하는 2개의 타이어의 차선 폭 방향의 거리)에 편차가 생기는 것이 가정되지만, 타이어 폭만큼 정도의 오차를 허용함으로써, 대형차와 보통차의 추종 주행(追走)을 분리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통상 하나의 차량이 갖는 각 차축의 차축 중앙 위치는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차축 중앙 위치(하나의 차축에 대응하는 2개의 타이어의 차선 폭 방향 위치의 평균값)를 특정함으로써, 각 차축이 동일 차량에 속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A)이 피견인차를 견인하는 견인차인 경우, 견인차(차량(A))와 피견인차에서 트레드 폭이 크게 상이한 것이 가정된다. 그러나, 견인차가 피견인차를 똑바로 견인하고 있는 한, 당해 견인차 및 피견인차의 차축 중앙 위치는 거의 일치할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A)이 견인차인 경우라도, 특정된 각 차축이 (견인차, 피견인차를 일체로 한) 하나의 차량에 속하는지 여부를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축 판정부(111)는, 차량(A)의 진행 방향 왼쪽에 배치되는 타이어(추정 타이어(τ11))와 진행 방향 오른쪽에 배치되는 타이어(추정 타이어(τ12))와의 위치 관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차량(A)이 당해 2개의 타이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차축(추정 차축(σ1))을 갖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레이저 검출기(10C)와 차선(L)을 주행하는 차량(A)의 타이어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진행 방향 오른쪽에 배치되는 하나의 타이어가 진행 방향 왼쪽에 배치되는 다른 타이어의 배후에 숨어, 스캔 데이터 상에 (검출 좌표군(Q1, Q2) 등으로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가정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차량(A)의 진행 방향 오른쪽에 배치되는 타이어(T32)는 차량(A)의 진행 방향 왼쪽에 배치되는 타이어(T21)의 배후에 숨어, 스캔 데이터 상에 나타나지 않는 것이 가정된다.
그러나, 어느 타이밍에서 취득된 스캔 데이터에 있어서, 몇 가지 타이어가 다른 타이어의 배후에 숨어 검출되지 않았다고 해도, 차량(A)의 주행에 따라 각 타이어와 레이저 검출기(10C)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변화되므로, 다른 타이밍에 있어서는 상기 숨어 있던 타이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차축 판정부(111)는 차량(A)의 주행 중에 있어서 복수의 시각(타이밍)에서 취득된 복수의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A)이 갖는 모든 차축의 각각에 대해 동일 차축에 속하는 2개의 타이어의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축 판정부(111)는 추가로 동일한 차축(예를 들어, 추정 차축(σ1))으로 대응시킨 2개의 타이어(예를 들어, 추정 타이어(τ11, τ12))의 차선 폭 방향의 거리를 특정함으로써, 당해 차축에 대응하는 트레드 폭을 특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의 트레드 폭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A)의 차종 구분을 보다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판정부(110)는 추가로 검출 좌표군의 패턴에 근거하여 위치를 특정한 타이어의 타이어 폭(싱글 타이어인지 더블 타이어인지)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 판정부(110)는, 검출 좌표군(Q1, Q2)(도 7 참조)의 차선 폭 방향(±X 방향)의 폭이 미리 규정된 소정 값 미만이었을 경우는, 추정 타이어(τ11, τ12)가 「싱글 타이어」라고 판정하고, 소정 값 이상이었을 경우는, 추정 타이어(τ11, τ12)가 「더블 타이어」라고 판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타이어 폭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A)의 차종 구분을 보다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의 트레드 폭, 타이어 폭 및 차축 수를 특정 가능하게 했을 경우, 차종 판별 장치(10)는 디딤판(10B)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차량(A)의 차종 구분을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는 디딤판(10B)을 갖지 않는 양태일 수도 있다.
즉,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차종 판별 장치(10)는 디딤판(10B)을 갖지 않고, 차선(L) 위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차량(A)의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la)을 투광하는 동시에 당해 레이저 광(la)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기(10C)와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A)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차축 수 특정부(101)를 구비하는 양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차축 수 특정부(101)는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로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출 좌표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형상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타이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부(11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딤판(10B)을 부설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차종 판별 장치(10)의 부품 점 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제조비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딤판(10B)을 갖지 않는 양태에 있어서, 차축 수 특정부(101)는,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2개의 타이어의 위치 관계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배치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차량(A)이 당해 2개의 타이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차축을 갖고 있다고 판정하는 차축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딤판(10B)을 갖지 않는 양태에 있어서, 차축 수 특정부(101)는, 레이저 검출기(10C)가 복수의 시각에서 검출한 복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타이어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112)와, 복수의 타이어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가 일치하는 경우에, 복수의 타이어가 하나의 차량에 속해 있다고 판정하는 동일 차량 판정부(113)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판정부(110)는, 복수의 검출 좌표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형상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타이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여기서, (타이어 형상 패턴에) 「들어맞는다」라는 어구는, "검출 좌표군(Q1, Q2) 모두가 타이어 형상 패턴(P1)으로 구획되는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검출 좌표군(Q1, Q2)의 일부(대부분)가 타이어 형상 패턴(P1)의 범위 내에 대략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즉, 타이어 판정부(110)는 쓰레기나 먼지에 기인하는 돌발적인 오검출 좌표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검출 좌표군(Q1, Q2) 전체로서 타이어 형상 패턴(P1)과의 패턴 조합을 수행하여, 당해 전체로서의 일치도가 높은 경우에 「타이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차축 판정부(111)에 의한, 검출된 2개의 타이어의 위치 관계와 타이어 배치 패턴(P2)과의 패턴 조합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레이저 검출기(10C)의 스캔 범위(N)는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소정 범위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검출기(10C)는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 추가로, 디딤판(10B)보다 진행 방향 안쪽의 범위도 포함시켜 레이저 스캔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이저 검출기(10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보다 광범위하게 타이어의 위치를 특정 가능해지므로, 차량(A)의 차축 수를 보다 정밀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레이저 검출기(10C)는 진행 방향 왼쪽의 아일랜드(I) 위에 하나만 배치되는 양태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이저 검출기(10C)는 차선(L)의 진행 방향 왼쪽 및 진행 방향 오른쪽의 아일랜드(I) 위에 하나(또는 복수)씩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검출기(10C)를 상이한 위치에 복수 배치함으로써, 당해 복수의 레이저 검출기(10C)에서 얻어진 스캔 데이터를 조합하여 사각(死角)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밀하게 타이어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검출기(10C)는, 차량(A)의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광을 조사 가능한 양태일 수도 있고, 수평 조사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레이저 검출기(10C)는 단일 장치로서 구성된 양태(하나의 케이스(筐)에 넣어진 양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이저 검출기(10C)는, 레이저 광(la)을 투광하는 투광기 및 레이저 광(la)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검출기가 아일랜드(I) 위에 따로따로 설치되어, 각각이 동기(同期)하여 동작하는 양태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복수의 타이어 이동 벡터(R21, R22 등(도 11))에 근거하여 레이저 검출기(10C)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 중, 디딤판(10B)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를 특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축 판정부(111)는 차선(L)으로의 진입 시로부터의 주행에 따라, 차량(A)의 선두로부터 차축(추정 차축(σ1, σ2, …))을 순차로 특정해 간다. 여기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특정된 각 차축 간의 차선 방향에서의 거리(차축 간격)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동일 차량(추정 차량(α))에 속한다고 판정된 새로운 차축이 특정될 때마다, 추정 차축(σ1)(제 1 축)과 추정 차축(σ2)(제 2 축)과의 간격 Δ12, 추정 차축(σ2)(제 2 축)과 추정 차축(σ3)(제 3 축)과의 간격 Δ23, … 등과, 인접하는 차축끼리의 차축 간격을 취득한다.
그리고, 차량(A)의 주행이 진행되어, 디딤판(10B)으로 제 1 축에 의한 압력이 검출되었을 경우,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당해 제 1 축의 위치(디딤판(10B)이 배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먼저 취득한 간격 Δ12, Δ23, …에 근거하여 제 2 축, 제 3 축, …이 배치되는 위치를 추정한다. 게다가 차량(A)이 주행하여, 디딤판(10B)에서 제 2 축에 의한 압력이 검출되었을 경우,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당해 제 2 축의 위치(디딤판(10B)이 배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간격 Δ23 등에 근거하여 제 3 축 이후가 배치되는 위치를 추정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순차 반복함으로써,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디딤판(10B) 위를 마지막으로 통과한 차축보다 진행 방향 앞쪽에 배치된 각 차축(디딤판(10B)을 통과하지 않은 각 차축)의 위치를 추정한다.
이와 같이,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114)는 디딤판(10B)에 의해 검출된 차축(타이어)을 기준으로, 레이저 검출기(10C)에서 검출된 차축(타이어)의 위치를 대응시킴으로써, 레이저 검출기(10C)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 중, 디딤판(10B)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를 정밀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07(제 1 실시 형태) 및 단계 S12(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 제어부(10D)는 주행 중의 차량(A)이 요금 자동 수수기(20)에서 정차했는지 여부의 판정을 수행하여, 당해 차량(A)이 정차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차종 판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 제어부(10D)는 진입측 차량 검지기(10A)가 차량(A)의 진입을 검지한 단계에서 차종 판별 처리를 개시하는 양태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축 수 특정부(101)는 레이저 검출기(10C) 및 디딤판(10B)을 통해 특정되는 차축 수가 차량(A)의 주행에 따라 갱신될 때마다 차종 구분 판별부(102)로 출력한다. 그리고, 차종 구분 판별부(102)는 차례차례 얻어지는 차축 수의 특정 결과로부터 가정되는 차종 중에서 최대 요금이 되는 차종 구분을 판별하여, 요금 자동 수수기(20)를 향하여 당해 판별 결과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차량(A)의 운전 좌석이 요금 자동 수수기(20)에 도달한 시점에서 차량(A)의 실제 차종 구분에 따른 지불 요금이 확정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종 판별 장치(10)에서의 주 제어부(10D)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여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주 제어부(10D)의 각종 처리의 과정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종 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DVD-ROM, 반도체 메모리 등을 말한다. 또한,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에 전송(配信)하고, 이 전송을 받은 컴퓨터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주 제어부(10D)의 각종 기능이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복수의 장치에 걸쳐서 구비되는 양태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실시 형태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생략, 치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상술한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부분에도 설치 가능하며, 또한 정밀하게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할 수 있다.
1: 요금 수수 설비
10: 차종 판별 장치
10A: 진입측 차량 검지기
10B: 디딤판
10C: 레이저 검출기
10D: 주 제어부
101: 차축 수 특정부
101A: 안쪽 차축 수 특정부
101B: 앞쪽 차축 수 특정부
102: 차종 구분 판별부
110: 타이어 판정부
111: 차축 판정부
112: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
113: 동일 차량 판정부
114: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
20: 요금 자동 수수기
40: 발진 제어기
50: 발진측 차량 검지기
L: 차선
I: 아일랜드
N: 스캔 범위
La: 레이저 광
P1: 타이어 형상 패턴
P2: 타이어 배치 패턴
P3: 이동 방향 거리 가정 범위
Q1, Q2: 검출 좌표군
R11, R12, R21, R22, R31, R32: 이동 벡터
A: 차량
T11, T12, T21, T22, T31, T32: 타이어
S1, S2, S3: 차축
α: 추정 차량
τ11, τ21, τ22, τ31, τ32: 추정 타이어
σ1, σ2, σ3: 추정 차축
d1, d2: 간격
D: 차 길이
θ: 투광 각도
r: 계측 거리

Claims (11)

  1.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장치로서,
    상기 차선의 노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디딤판과,
    상기 차선의 적어도 상기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을 투광하는 동시에 당해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기와,
    상기 디딤판 및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차축 수 특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 검출기는, 당해 레이저 검출기의 설치 위치보다 진행 방향 앞쪽을 향해 레이저를 투광하고, 당해 레이저 검출기의 설치 위치보다 진행 방향 앞쪽으로부터 입사하는 반사광을 검출하고,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스캔 방향이 상기 노면에 대해서 평행한
    차종 판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디딤판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 중 상기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안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안쪽 차축 수 특정부와,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 중 상기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범위에서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앞쪽 차축 수 특정부
    를 구비하는 차종 판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로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출 좌표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형상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타이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부를 구비하는
    차종 판별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2개의 타이어의 위치 관계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배치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상기 차량이 당해 2개의 타이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차축을 갖고 있다고 판정하는 차축 판정부를 구비하는
    차종 판별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가 복수의 시각에서 검출한 복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기 타이어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와,
    복수의 상기 타이어의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거리가 일치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타이어가 하나의 차량에 속해 있다고 판정하는 동일 차량 판정부
    를 구비하는 차종 판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복수의 상기 타이어의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 중, 상기 디딤판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를 특정하는 디딤판 검출 타이어 특정부를 구비하는
    차종 판별 장치.
  7.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방법으로서,
    상기 차선의 노면 위에 배치된 디딤판을 통해 상기 차량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레이저 검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선의 적어도 상기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을 투광하는 동시에 당해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디딤판 및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차종 구분의 판별에 이용하는 정보인 당해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단계
    를 갖고,
    상기 레이저 검출기는, 당해 레이저 검출기의 설치 위치보다 진행 방향 앞쪽을 향해 레이저를 투광하고, 당해 레이저 검출기의 설치 위치보다 진행 방향 앞쪽으로부터 입사하는 반사광을 검출하고,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스캔 방향이 상기 노면에 대해서 평행한
    차종 판별 방법.
  8. 차선의 노면 위에 배치되어 차량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디딤판과, 상기 차선의 적어도 상기 디딤판보다 진행 방향 앞쪽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을 투광하는 동시에 당해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기로서, 당해 레이저 검출기의 설치 위치보다 진행 방향 앞쪽을 향해 레이저를 투광하고, 당해 레이저 검출기의 설치 위치보다 진행 방향 앞쪽으로부터 입사하는 반사광을 검출하고,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스캔 방향이 상기 노면에 대해서 평행한 상기 레이저 검출기를 갖고, 상기 차선을 주행하는 상기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디딤판 및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차축 수 특정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차종 구분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장치로서,
    상기 차선 위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가 배치되는 높이에 레이저 광을 투광하는 동시에 당해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기와,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차축 수를 특정하는 차축 수 특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로서 얻어지는 복수의 검출 좌표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형상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타이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타이어 판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레이저 검출기는, 당해 레이저 검출기의 설치 위치보다 진행 방향 앞쪽을 향해 레이저를 투광하고, 당해 레이저 검출기의 설치 위치보다 진행 방향 앞쪽으로부터 입사하는 반사광을 검출하고,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스캔 방향이 노면에 대해서 평행한
    차종 판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2개의 타이어의 위치 관계가 미리 규정된 타이어 배치 패턴에 들어맞는 경우에, 상기 차량이 당해 2개의 타이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차축을 갖고 있다고 판정하는 차축 판정부를 구비하는
    차종 판별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수 특정부는,
    상기 레이저 검출기가 복수의 시각에서 검출한 복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기 타이어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이동 방향 거리 특정부와,
    복수의 상기 타이어의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거리가 일치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타이어가 하나의 차량에 속해 있다고 판정하는 동일 차량 판정부
    를 구비하는 차종 판별 장치.
KR1020177022743A 2015-02-24 2016-02-23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4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3917A JP6554744B2 (ja) 2015-02-24 2015-02-24 車種判別装置、車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5-033917 2015-02-24
PCT/JP2016/055203 WO2016136720A1 (ja) 2015-02-24 2016-02-23 車種判別装置、車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555A KR20170102555A (ko) 2017-09-11
KR102004067B1 true KR102004067B1 (ko) 2019-10-01

Family

ID=5678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743A KR102004067B1 (ko) 2015-02-24 2016-02-23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54744B2 (ko)
KR (1) KR102004067B1 (ko)
MY (1) MY187385A (ko)
WO (1) WO2016136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3722A (zh) * 2017-02-28 2019-07-1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载荷仪以及载荷测量方法
JP6803272B2 (ja) * 2017-03-14 2020-12-23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車体計測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車体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39078B1 (ko) * 2018-08-07 2024-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면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자동차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66098A1 (ja) * 2020-02-19 2021-08-26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1840A (ja) 2013-04-22 2014-11-13 富士電機株式会社 汚染物運搬車両、監視ゲートシステム及び汚染物広域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9700A (ja) * 1982-01-29 1983-08-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種判別装置
JPH0618908U (ja) * 1992-08-14 1994-03-11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転舵角変位量検出装置
JPH08293090A (ja) * 1995-02-23 1996-11-05 Omron Corp 車軸検知装置、車種判別装置、車両ゲートシステム、及び車両検知装置
JPH11167694A (ja) 1997-12-04 1999-06-22 Omron Corp 車輪検出装置
JP3606032B2 (ja) * 1998-02-16 2005-01-05 オムロン株式会社 車軸検出装置および通過料金算出装置
JP2007265003A (ja) 2006-03-28 2007-10-1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幅判別装置、進行方向判別装置、および車種判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1840A (ja) 2013-04-22 2014-11-13 富士電機株式会社 汚染物運搬車両、監視ゲートシステム及び汚染物広域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57224A (ja) 2016-09-01
MY187385A (en) 2021-09-22
WO2016136720A1 (ja) 2016-09-01
JP6554744B2 (ja) 2019-08-07
KR20170102555A (ko) 201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067B1 (ko)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U2628173C2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системы взимания дорожных сборов
KR0173698B1 (ko) 이동 통신 방법
US20150331105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Occupancy
CN106875498A (zh) 一种能精确定位车辆和动态设置通信区域的etc系统
KR20170109016A (ko) 차량 제원 계측 장치, 차종 판별 장치, 차량 제원 계측 방법 및 프로그램
RU2619506C2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системы взимания дорожных сборов
CN205334557U (zh) 一种能精确定位车辆和动态设置通信区域的etc系统
KR102049159B1 (ko) 차종 판별 장치,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매체
KR102001748B1 (ko) 차종 판별 장치, 요금 수수 설비, 차종 판별 방법 및 프로그램
RU2631132C2 (ru) Способ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8922395B2 (en) Method for detecting a wheel of a vehicle
CN106683211A (zh) 一种基于相控阵的智能etc车道收费系统及方法
JP6831223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62348B1 (ko) 다차로 기반의 통행료 부과 장치
JP6521294B2 (ja) 課金処理装置、課金処理システム、課金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1997050067A1 (en) A multilane traffic registration system, comprising multiple and gantry-mounted detector means
JP7362499B2 (ja) 車軸数検出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車軸数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71005B2 (ja) 車両検知器、車両検知方法及び料金収受設備
JP7161552B2 (ja) 課金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課金方法、プログラム、及び、料金収受システムの製造方法
JP6727885B2 (ja) 車種判別システム、車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77515B2 (ja) 車種判別装置、車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1232508A (ja) 料金徴収システム
JP7365254B2 (ja) 車軸数検出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車軸数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12896B2 (ja) 車種判別装置、車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