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940B1 -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940B1
KR102001940B1 KR1020180013854A KR20180013854A KR102001940B1 KR 102001940 B1 KR102001940 B1 KR 102001940B1 KR 1020180013854 A KR1020180013854 A KR 1020180013854A KR 20180013854 A KR20180013854 A KR 20180013854A KR 102001940 B1 KR102001940 B1 KR 10200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voltage winding
voltage
winding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진
박철준
이규호
Original Assignee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940B1/ko
Priority to US16/967,009 priority patent/US11817256B2/en
Priority to PCT/KR2018/016412 priority patent/WO201915164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변압기 외함(10)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 외함(10)의 내부공간(12)에 설치되는 권선(17)에 차단구(20)나 연결지지구(30)를 설치한다. 권선(17)을 구성하는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에서는 전류가 인가되면 자속의 흐름이 일어나고, 그에 따라 전자기력이 발생한다. 상기 전자기력은 외함(10) 내부의 절연유 등을 통해 외함(10) 표면으로 전달되어 진동과 소음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전자기력을 상쇄시켜 없애기 위해 상기 차단구(20)나 연결지지구(30)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력이 상쇄되어 소음과 진동발생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Noise reducing apparatus for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어에 감겨 있는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변압기 구성의 중요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변압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함(1)의 내부에는 코어(3)가 설치되고, 상기 코어(3)에는 권선(5,7)이 설치된다. 상기 권선(5,7)은 상기 코어(3)를 둘러싸도록 감아지는 저압권선(5)과 상기 저압권선(5)을 둘러싸도록 감아지는 고압권선(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압권선(5)과 고압권선(7)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감아진다. 상기 코어(3)와 권선(5,7)으로 된 조립체는 상기 외함(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함(1)의 내부에는 절연유가 채워진다.
상기 저압권선(5)과 고압권선(7)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속의 흐름이 발생하고, 상기 저압권선(5)과 고압권선(7)에는 전자기력이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압권선(5)에는 코어(3) 방향으로 전자기력이 발생하고, 상기 고압권선(7)에는 코어(3) 반대 방향으로 전자기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저압권선(5)과 고압권선(7)에는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절연유에 진동이 발생하면서 상기 외함(1)에서도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저압권선(5)과 고압권선(7)의 높이를 높게 하여, 누설자속밀도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하는 경우 저압권선(5)과 고압권선(7)의 크기가 커지면서, 이를 수용하는 외함(1)도 커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변압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본등록특허 제 1260866B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에 전류가 인가되어 변압기가 동작할 때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코어의 레그를 둘러 설치되는 저압권선과 상기 저압권선을 둘러 설치되는 고압권선을 포함하는 권선과, 상기 저압권선이나 고압권선의 단부면에 밀착되는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저압권선이나 고압권선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저압권선의 상단부와 하단부, 상기 고압권선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치되어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속의 흐름이 생길 때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대응되는 반발력을 제공하는 차단구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권선에서 상기 차단구의 지지편은 상기 저압권선의 외경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고압권선에서 상기 차단구의 지지편은 상기 고압권선의 내경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삭제
상기 밀착편이나 지지편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삭제
상기 저압권선에서 상기 차단구의 지지편은 저압권선의 두께를 기준으로 외경면에서 1/3지점에 삽입되고, 상기 고압권선에서 상기 차단구의 지지편은 고압권선의 두께를 기준으로 내경면에서 1/3지점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코어의 레그를 둘러 설치되는 저압권선과 상기 저압권선을 둘러 설치되는 고압권선을 포함하는 권선과, 상기 저압권선을 관통하여 양단부의 저압측연결부가 저압권선의 상단부와 하단부로 돌출되고, 상기 고압권선을 관통하여 양단부의 고압측연결부가 고압권선의 상단부와 하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고압측연결부와 저압측연결부가 결합되어 상기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상쇄하는 연결지지구를 포함한다.
상기 저압권선 상단부의 저압측연결부와 상기 고압권선 상단부의 고압측연결부가 서로 겹쳐지고 그리고 상기 저압권선 하단부의 저압측연결부와 상기 고압권선 하단부의 고압측연결부가 서로 겹쳐져서 열융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저압권선 상단부의 저압측연결부와 상기 고압권선 상단부의 고압측연결부가 서로 다수번 겹쳐지고 그리고 상기 저압권선 하단부의 저압측연결부와 상기 고압권선 하단부의 고압측연결부가 서로 다수번 겹쳐져서 결합된다.
상기 저압측연결부와 고압측연결부는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의 단부면에 밀착되어 겹쳐진 상태에서 제1접착부를 형성하여 결합되고, 제1접착부가 형성되어 결합된 저압측연결부와 고압측연결부가 다시 저압측연결부나 고압측연결부에 밀착되어 제2접착부를 형성하여 결합된다.
저압권선에서 상기 연결지지구는 상기 저압권선의 외경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고압권선에서 상기 연결지지구는 상기 고압권선의 내경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저압권선에서 상기 연결지지구는 저압권선의 두께를 기준으로 외경면에서 1/3지점을 관통하고, 상기 고압권선에서 상기 연결지지구는 고압권선의 두께를 기준으로 내경면에서 1/3지점을 관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의 양단부에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구를 설치하는데, 상기 차단구는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에 밀착되는 밀착링과 상기 밀착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저압권선이나 고압권선의 단부를 보강하는 지지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차단구가 상기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의 양단부를 보강하여 줌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진동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서는 저압권선을 상하부로 관통하여 위치되는 저압측 연결지지구와 고압권선을 상하부로 관통하여 위치되는 고압측 연결지지구를 서로 연결하여 저압권선과 고압권선 사이를 연결하였고 이에 의해 저압권선측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과 고압권선측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이 서로 상쇄되도록 진동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서는 저압측 연결지지구와 고압측 연결지지구를 서로 접착하여 연결하는데, 이를 다수회 반복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접착하므로 저압측 연결지지구와 고압측 연결지지구가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어 진동방지효과가 커지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변압기의 중요부 구성에서 전자기력이 발생하는 것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변압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일부 구성과 전자기력이 발생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전자기력과 반발력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연결지지부를 구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변압기의 외관을 외함(10)이 형성한다. 상기 외함(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구성들이 위치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또한 절연유가 채워진다.
상기 외함(10)의 내부공간(12)에는 코어(14)가 설치된다. 상기 코어(14)는 상부요크(15)와 하부요크(15') 사이를 다수개의 레그(16)가 연결하는데, 상기 레그(16)들은 소정의 간격을 가진다. 상기 코어(14)의 레그(16)에는 권선(17)이 설치된다.
상기 권선(17)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상기 코어(14)의 레그(16)에 감아지는데,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저압권선(18)이 상기 레그(16)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저압권선(18)을 둘러싸도록 상기 고압권선(19)이 설치된다.
상기 저압권선(18)의 상단과 하단 그리고 상기 고압권선(19)의 상단과 하단에는 차단구(20)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구(20)는 도 4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밀착편(22)과 지지편(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편(22)은 저압권선(18)의 상단면과 하단면, 고압권선(19)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편(24)은 상기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차단구(20)는 전체가 하나로 되지 않고 180도 간격으로 2개로 나누어지거나, 120도 간격으로 3개로 나누어져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편(22)과 지지편(24)은 전체적으로 볼 때, 각각 링형상으로 된다.
상기 차단구(20)에서 상기 밀착편(22)과 지지편(24)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이는 상기 지지편(24)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에 대한 반발력을 최대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밀착편(22)과 지지편(24)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됨에 의해 상기 지지편(24)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밀착편(22)이 함께 버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구(20)에서 상기 지지편(24)이 상기 저압권선(18)이나 고압권선(19)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한다. 상기 저압권선(18)에서는 코어(14)의 레그(16)를 기준으로 먼쪽, 즉 저압권선(18)의 외경면에 인접한 위치이다. 상기 저압권선(18)의 내경면보다는 외경면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지지편(24)이 삽입된다. 이는,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압권선(18)에서는 전자기력이 외경면 근처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상기 고압권선(19)에서는 고압권선(19)의 내경면에 인접한 위치에 전자기력이 가장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고압권선(19)의 외경면보다는 내경면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지지편(24)이 삽입된다. 이는 상기 고압권선(19)에서는 발생하는 전자기력이 내경면 근처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반발력을 최대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저압권선(18)의 두께를 기준으로 외경면에서 1/3지점에 상기 지지편(24)이 삽입된다. 고압권선(19)의 경우 고압권선(19)의 두께를 기준으로 내경면에서 1/3지점에 상기 지지편(24)이 삽입된다. 이는 지지편(24)의 설치의 견고성과 전자기력의 발생위치에 따른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을 연결지지구(30)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함에 의해 저압권선(18)에 발생하는 전자기력과 고압권선(19)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서로 상쇄시켜서 제거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지지구(30)는 합성수지로 된 띠모양의 것으로, 상기 저압권선(18)에 설치된 저압측연결부(30')와 상기 고압권선(19)에 설치된 고압측연결부(30")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는 사각프레임형상으로 된다. 상기 연결지지구(30)는 상기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기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가 서로 연결됨에 의해 사각프레임형상으로 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4개의 연결지지구(30)가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을 코어(14)에 설치하기 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원통형으로 만든다. 이때, 상기 저압권선(18)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는 상기 연결지지구(30)의 저압측연결부(30')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압권선(19)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도 별도의 연결지지구(30)의 고압측연결부(30")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저압권선(18)을 고압권선(19)의 내부에 위치시켜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만든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14)의 일측 요크(15,15')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레그(16)에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을 동시에 삽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압권선(18)의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권선(19)의 고압측연결부(30")를 서로 연결하는 것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가 돌출되어 서로 겹쳐져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저압측연결부(30')를 저압권선(18)의 상단면이나 하단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고압측연결부(30")를 상기 저압측연결부(30')에 겹치게 한다.
다음으로, 겹쳐져 있는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가 소정 길이만큼 서로 접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가 접착되는 길이는 상기 저압권선(18)에서 돌출된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권선(19)에서 돌출된 고압측연결부(30") 사이의 거리만큼이다. 상기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제1접착부(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접착부(31)가 형성되어 서로 접착된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를 반대방향으로 접어 고압측연결부(30") 상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의 (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c) 상태가 만들어진 후에, 상기 제1접착부(31)를 형성하는 고압측연결부(30")의 부분과 상기 고압권선(19)에서 돌출된 고압측연결부(30")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접착부(3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의 (d)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접착부(31)에 의해 접착된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의 길이를 지금의 2배 또는 3배로 만들어서 제3접착부, 제4접착부를 만들어 상기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가 접착되는 부분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상기 저압측연결부(30')를 고압측연결부(30")를 향해 연장되게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의 단부면에 안착되게 하고, 또 상기 고압측연결부(30")를 저압측연결부(30') 상에 겹쳐지게 위치시키고, 열과 압력을 가해서 상기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가 서로 열융착되도록 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에서 저압측연결부(30')와 고압측연결부(30")를 제1접착부(31)와 제2접착부(32)를 형성하여 결합하였으나, 열융착방식으로 다수번 겹쳐진 부분을 한번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의 (a)에서는 저압측연결부(30')가 저압권선(18)의 단부면에 밀착되고 그 위에 고압측연결부(30")가 밀착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즉, 고압측연결부(30")가 고압권선(19)의 단부면에 밀착되고 그 위에 저압측연결부(30')가 밀착되어 제1접착부(31)를 형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에 의해 소음발생이 차단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변압기의 외함(10) 내부에 설치된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속의 흐름이 발생하고, 또한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코일의 권선방향에 따른 전류인가에 의해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압권선(18) 자체만 놓고 보면 저압권선(18)의 외경면 근처에서 가장 큰 전자기력이 상기 코어(14)의 레그(16) 방향으로 가해진다.
그리고, 상기 고압권선(19) 자체만을 놓고 보면 고압권선(19)의 내경면 근처에서 가장 큰 전자기력이 상기 코어(14)의 레그(16)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자기력은 상기 고압권선(19)의 내경면 측에서 외경면으로 작용하면서 상기 내부공간(12)에 채워진 절연유를 통해 상기 외함(10)으로 전달되어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단구(20)가 저압권선(18) 및 고압권선(19)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어 이들 전자기력에 대한 반발력을 발생시켜 전자기력을 상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저압권선(18)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저압권선(18)의 외경면 근처에서 가장 큰 전자기력이 발생하는데,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 상기 차단구(20)의 지지편(24)이 저압권선(18)의 외경면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권선(19)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고압권선(19)의 내경면 근처에서 가장 큰 전자기력이 발생하므로,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 상기 차단구(20)의 지지편(24)이 고압권선(19)의 내경면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구(20)의 지지편(24)이 상기 저압권선(18)의 상단부와 하단부, 고압권선(19)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면서 전자기력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서는, 상기 연결지지구(30)를 사용하여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 사이를 고정시켜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을 상쇄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저압권선(18)과 고압권선(19)이 상기 연결지지구(3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저압권선(18)에서 상기 코어(14)의 레그(16)쪽으로 작용하는 전자기력과 상기 고압권선(19)에서 상기 코어(14)의 레그(16) 반대쪽으로 작용하는 전자기력이 서로 상쇄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권선(17) 전체를 놓고 보면 전자기력이 상쇄되어 상기 내부공간(12)의 절연유를 통해 상기 외함(10)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발생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외함 3: 코어
5: 저압권선 7: 고압권선
10: 외함 12: 내부공간
14: 코어 15: 상부요크
15': 하부요크 17: 권선
18: 저압권선 19: 고압권선
20: 차단구 22: 밀착편
24: 지지편 30: 연결지지구
30': 저압측연결부 30": 고압측연결부
31: 제1접착부 32: 제2접착부

Claims (11)

  1. 코어의 레그를 둘러 설치되는 저압권선과 상기 저압권선을 둘러 설치되는 고압권선을 포함하는 권선과,
    상기 저압권선이나 고압권선의 단부면에 밀착되는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저압권선이나 고압권선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저압권선의 상단부와 하단부, 상기 고압권선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치되어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속의 흐름이 생길 때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대응되는 반발력을 제공하는 차단구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권선에서 상기 차단구의 지지편은 상기 저압권선의 외경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고압권선에서 상기 차단구의 지지편은 상기 고압권선의 내경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편이나 지지편은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권선에서 상기 차단구의 지지편은 저압권선의 두께를 기준으로 외경면에서 1/3지점에 삽입되고, 상기 고압권선에서 상기 차단구의 지지편은 고압권선의 두께를 기준으로 내경면에서 1/3지점에 삽입되는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6. 코어의 레그를 둘러 설치되는 저압권선과 상기 저압권선을 둘러 설치되는 고압권선을 포함하는 권선과,
    상기 저압권선을 관통하여 양단부의 저압측연결부가 저압권선의 상단부와 하단부로 돌출되고, 상기 고압권선을 관통하여 양단부의 고압측연결부가 고압권선의 상단부와 하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고압측연결부와 저압측연결부가 결합되어 상기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상쇄하는 연결지지구를 포함하는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권선 상단부의 저압측연결부와 상기 고압권선 상단부의 고압측연결부가 서로 겹쳐지고 그리고 상기 저압권선 하단부의 저압측연결부와 상기 고압권선 하단부의 고압측연결부가 서로 겹쳐져서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권선 상단부의 저압측연결부와 상기 고압권선 상단부의 고압측연결부가 서로 다수번 겹쳐지고 그리고 상기 저압권선 하단부의 저압측연결부와 상기 고압권선 하단부의 고압측연결부가 서로 다수번 겹쳐져서 결합되는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측연결부와 고압측연결부는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의 단부면에 밀착되어 겹쳐진 상태에서 제1접착부를 형성하여 결합되고, 제1접착부가 형성되어 결합된 저압측연결부와 고압측연결부가 다시 저압측연결부나 고압측연결부에 밀착되어 제2접착부를 형성하여 결합되는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압권선에서 상기 연결지지구는 상기 저압권선의 외경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고압권선에서 상기 연결지지구는 상기 고압권선의 내경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권선에서 상기 연결지지구는 저압권선의 두께를 기준으로 외경면에서 1/3지점을 관통하고, 상기 고압권선에서 상기 연결지지구는 고압권선의 두께를 기준으로 내경면에서 1/3지점을 관통하는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KR1020180013854A 2018-02-05 2018-02-05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KR10200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854A KR102001940B1 (ko) 2018-02-05 2018-02-05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US16/967,009 US11817256B2 (en) 2018-02-05 2018-12-21 Noise reduction device for transformer
PCT/KR2018/016412 WO2019151647A1 (ko) 2018-02-05 2018-12-21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854A KR102001940B1 (ko) 2018-02-05 2018-02-05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940B1 true KR102001940B1 (ko) 2019-07-22

Family

ID=6746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854A KR102001940B1 (ko) 2018-02-05 2018-02-05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17256B2 (ko)
KR (1) KR102001940B1 (ko)
WO (1) WO201915164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2138A (ja) * 1999-03-04 2000-09-14 Fuji Electric Co Ltd 樹脂モールド変圧器
CN206116168U (zh) * 2016-10-25 2017-04-19 广东奥莱恩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x型排列抗短路变压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3058A (en) * 1925-04-02 1926-10-12 Gen Electric Transformer
US2937349A (en) * 1955-10-12 1960-05-17 Gen Electric Stationary induction electrical apparatus
US3353129A (en) * 1965-10-24 1967-11-14 Gen Electric High voltage electric induction apparatus
US6326877B1 (en) * 1999-06-16 2001-12-04 Square D Company Transformer coil support structure
KR100581872B1 (ko) * 2003-10-22 2006-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소음이 저감되는 구조를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변압기
DE602004026792D1 (de) * 2004-12-27 2010-06-02 Abb Technology Ag Elektrische induktionseinrichtung für hochspannungsanwendungen
CN101136281B (zh) * 2006-08-28 2011-10-26 Abb技术有限公司 具有屏蔽环的高压变压器、屏蔽环及屏蔽环的制造方法
KR101254155B1 (ko) * 2009-03-09 2013-04-18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외스터라이히 변압기 또는 리액터를 위한 권선 어레인지먼트
CN201741535U (zh) * 2010-05-28 2011-02-09 广东海鸿变压器有限公司 一种110kV及以上电压等级立体三角形卷铁心电力变压器
KR101339153B1 (ko) 2013-08-16 2013-12-10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변압기용 코일 고정 조립체
US10714258B2 (en) * 2015-08-10 2020-07-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US9837202B2 (en) * 2015-12-09 2017-12-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KR101596399B1 (ko) * 2016-01-11 2016-02-23 주식회사 케이피일렉트릭 변압기용 철심 권선 조립체
JP2018117052A (ja) * 2017-01-19 2018-07-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静止誘導電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2138A (ja) * 1999-03-04 2000-09-14 Fuji Electric Co Ltd 樹脂モールド変圧器
CN206116168U (zh) * 2016-10-25 2017-04-19 广东奥莱恩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x型排列抗短路变压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7938A1 (en) 2021-01-28
WO2019151647A1 (ko) 2019-08-08
US11817256B2 (en)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948B1 (ko) 초크 코일
JP4930596B2 (ja) トランスとこれを用いた電源装置
JP6578093B2 (ja) 磁気結合型リアクトル
US5841335A (en) Choke coil
WO2013027447A1 (ja) トランス
US5793273A (en) Choke coil for suppressing common-mode noise and normal-mode noise
JP2008244247A (ja) 巻線部品
JP6520335B2 (ja) 零相変流器
JP5842282B2 (ja) コイル部品
JP2016032069A (ja) トランス
US20150228393A1 (en) High-Voltage Transformer Apparatus with Adjustable Leakage
JP6283976B2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
KR102001940B1 (ko)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JP2018157094A (ja) 絶縁構造を有する三相リアクトル
JP2017163052A (ja) コイルボビン、コイル及びそのコイルを備えた変圧器
CA2495382C (en) Winding arrangement
JP6059458B2 (ja) チョークコイル
JP4008403B2 (ja) コア、ボビン及び搭載基板
JP2021019104A (ja) リアクトル装置
JP2021507534A (ja) 変圧器鉄心および変圧器
JP2019186296A (ja) コイル装置
JP3097484B2 (ja) チョークコイル
JP4371307B2 (ja) 零相変流器
KR102165499B1 (ko)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를 갖는 분할코어식 모터 고정자
JPH04184908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