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892B1 -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892B1
KR102000892B1 KR1020187006137A KR20187006137A KR102000892B1 KR 102000892 B1 KR102000892 B1 KR 102000892B1 KR 1020187006137 A KR1020187006137 A KR 1020187006137A KR 20187006137 A KR20187006137 A KR 20187006137A KR 102000892 B1 KR102000892 B1 KR 10200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learning
lock
current
detection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231A (ko
Inventor
도시미츠 아라키
세이지 가사하라
히데시 와카야마
히로야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3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42Control of clutches
    • B60Y2300/421Control of lock-up type clutches, e.g. in a torque conver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06Clutch position
    • F16D2500/10412Transmission line of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43Clutch type
    • F16D2500/1045Frictio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45Calibration or recalibration of the clutch touch-point
    • F16D2500/50251During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3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16H2061/146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for smoothing gear shift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Abstract

로크업 클러치(3)를 갖는 토크 컨버터(4)를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 로크업 클러치(3)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값(L_n)을 얻는 학습 제어를 행한다.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는, 금회의 학습 검지값(M_n)을 취득하면,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학습값(L_(n-1))과 금회의 학습 검지값(M_n)의 차에 기초하여 금회의 검지 오차(E_n)를 산출한다. 금회와 전회의 검지 오차(E_n), (E_n-1)의 정부의 부호가 동일할 때, 전회의 검지 오차(E_n-1)의 절댓값|(E_n-1)|이 큰 경우는 작은 경우보다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큰 값으로 한다. 전회의 학습값(L_(n-1))에,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가산한 것을 금회의 학습값(L_n)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로크업 클러치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값을 얻는 제어를 행하는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진 클러치를 서서히 체결해 갈 때의 엔진 회전수와 클러치 입력 회전수를 비교하여, 클러치 입력 회전수가 엔진 회전수에 비하여 소정 회전수만큼 떨어진 시점의 클러치 공급 유압을 토크 전달 포인트로서 학습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토크 컨버터에 설치되는 로크업 클러치에서도, 연비 향상의 요청으로 인하여 신속한 체결과, 체결 시의 차량 거동의 변화에 의한 운전자에 대한 위화감 경감의 양립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로크업 클러치에 있어서 토크 전달 포인트를 학습하는 것이 검토되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발진 클러치의 학습 제어를 적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학습 빈도를 확보하고자 주행 중에 로크업 클러치의 토크 전달 포인트의 학습 제어를 실시하려고 하면, 엔진 회전수가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 상태에 구애되지 않고 변화하는 경우가 있어, 오학습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학습 검지값에 소정값 이상의 검지 오차가 산출되면, 전회의 학습값에 일정한 학습값 보정량을 가산하여 금회의 학습값으로 한다는 일반적인 학습 제어를 행하면, 하기의 문제가 발생한다. 학습값 보정량을 큰 일정값으로 부여하면, 전회의 학습값이 참값에 가까운 값까지 수렴되는 데 비하여, 금회의 검지 오차가, 잘못된 학습 검지값에 기초하는 경우는, 금회의 학습값은 참값으로부터 보다 괴리되게 된다. 한편, 학습값 보정량을 작은 일정값으로 부여하면, 전회의 학습값이 참값으로부터 괴리되어 있는 경우는, 다수회의 학습 경험을 하지 않게 되면 학습값이 참값에 수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로크업 클러치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제어를 행할 때, 학습 빈도를 확보하면서도 학습값의 참값에 대한 유지성과 참값에 대한 수렴성을 달성하는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5529호 공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로크업 클러치를 갖는 토크 컨버터가 탑재된다. 이 차량에 있어서,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 제어를 행하는 로크업 제어부와, 로크업 클러치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값을 얻는 학습 제어를 행하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를 구비한다.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는, 주행 중에 로크업 클러치가 체결 상태로의 이행을 경험할 때에 금회의 학습 검지값을 취득하면,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학습값과 금회의 학습 검지값의 차에 기초하여 금회의 검지 오차를 산출한다. 금회의 검지 오차에 기초하여 금회의 기본 보정량을 산출한다. 금회의 검지 오차와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정부의 부호가 동일할 때,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큰 경우는 작은 경우보다, 보정 계수를 큰 값으로 한다. 금회의 기본 보정량에 보정 계수를 곱하여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산출한다. 전회의 학습값에,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가산한 것을 금회의 학습값으로 한다.
따라서, 금회의 검지 오차와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정부의 부호가 동일할 때,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큰 경우는 작은 경우보다, 보정 계수가 큰 값으로 되고, 금회의 기본 보정량에 보정 계수를 곱하여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이 산출된다. 그리고, 전회의 학습값에,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가산한 것이 금회의 학습값으로 된다. 즉, 금회의 학습값을 얻을 때, 전회의 학습값에 가산하는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금회와 전회의 검지 오차가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하였음을 조건으로 하고,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클수록 큰 값으로 부여하고, 작을수록 작은 값으로 부여한다. 이로 인해, 금회의 검지 오차가, 잘못된 학습 검지값에 기초하여 큰 오차가 되어도,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작으면 학습값 보정량이 작아지는 바와 같이, 금회의 학습값에 영향을 주지 않고, 참값에 가까운 값에 학습값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금회의 검지 오차도 전회의 검지 오차도 참값으로부터 괴리되어 있을 때는, 학습값 보정량이 커지고, 참값으로부터 괴리되어 있는 학습값을 보다 빠르게 참값에 수렴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로크업 클러치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제어를 행할 때, 학습 빈도를 확보하면서도 학습값의 참값에 대한 유지성과 참값에 대한 수렴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이 적용된 엔진 차를 도시하는 전체 시스템도이다.
도 2는 CVT 컨트롤 유닛의 변속 제어에서 사용되는 변속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변속 맵도이다.
도 3은 CVT 컨트롤 유닛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에서 사용되는 로크업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로크업 맵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CVT 컨트롤 유닛의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1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CVT 컨트롤 유닛의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2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CVT 컨트롤 유닛의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3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CVT 컨트롤 유닛의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4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주행 중에 로크업 클러치가 비체결 상태로부터 체결 상태로 이행할 때의 미트 포인트 검지 작용을 설명하는 LU 명령값 및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주행 중에 로크업 클러치가 비체결 상태로부터 체결 상태로 이행할 때의 첫회 학습 검지(1회째) 작용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첫회의 학습값 계산에 사용하는 첫회의 검지 오차에 대한 기본 보정압의 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 보정압 맵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주행 중에 로크업 클러치가 비체결 상태로부터 체결 상태로 이행할 때의 2회째 이후 학습 검지(n회째) 작용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금회(n회)의 학습값 계산에 사용하는 금회(n회)의 검지 오차에 대한 기본 보정압의 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 보정압 맵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에 있어서 금회(n회)의 학습값 계산에 사용하는 전회(n-1회)의 검지 오차에 대한 보정 계수의 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보정 계수 맵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에 있어서 학습 횟수에 대한 미트 포인트와 학습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초기 수렴 이미지(참값: 변화 없음)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에 있어서 학습 횟수에 대한 미트 포인트와 학습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렴 후 안정 이미지(참값: 변화 없음)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1에 있어서 학습 횟수에 대한 미트 포인트와 학습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렴 후 오검지 방지 이미지(참값: 변화 없음)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1에 있어서 학습 횟수에 대한 미트 포인트와 학습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렴 후 오검지 이미지(참값: 변화 없음)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1에 있어서 학습 횟수에 대한 미트 포인트와 학습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렴 후 안정 이미지(참값: 완만하게 변화)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1에 있어서 학습 횟수에 대한 미트 포인트와 학습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렴 후 안정 이미지(참값: 급격하게 변화)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최선의 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은, 로크업 클러치 부착 토크 컨버터 및 무단 변속기를 탑재한 엔진 차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엔진 차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의 구성을, 「전체 시스템 구성」,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 구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전체 시스템 구성]
도 1은 실시예 1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이 적용된 엔진 차를 나타낸다. 이하, 도 1에 기초하여, 전체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차량 구동계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1)과, 엔진 출력축(2)과, 로크업 클러치(3)와, 토크 컨버터(4)와, 변속기 입력축(5)과, 무단 변속기(6)(CVT)와, 드라이브 샤프트(7)와, 구동륜(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크업 클러치(3)는, 토크 컨버터(4)에 내장되고, 클러치 해방에 의해 토크 컨버터(4)를 개재시켜 엔진(1)과 무단 변속기(6)를 연결하고, 클러치 체결에 의해 엔진 출력축(2)과 변속기 입력축(5)을 직결한다. 이 로크업 클러치(3)는, 후술하는 CVT 컨트롤 유닛(12)으로부터의 LU 명령압에 기초하여 만들어낸 LU 실유압에 의해, 체결/슬립 체결/해방이 제어된다. 또한, 변속기 입력축(5)에는, 엔진(1)으로부터 토크 컨버터(4)를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펌프 구동되는 오일 펌프(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크 컨버터(4)는 펌프 임펠러(41)와, 펌프 임펠러(41)에 대향 배치된 터빈 러너(42)와, 펌프 임펠러(41)와 터빈 러너(42) 사이에 배치된 스테이터(43)를 갖는다. 이 토크 컨버터(4)는 내부에 채워진 작동유가, 펌프 임펠러(41)와 터빈 러너(42)와 스테이터(43)의 각 블레이드를 순환함으로써 토크를 전달하는 유체 커플링이다. 펌프 임펠러(41)는 내면이 로크업 클러치(3)의 체결면인 컨버터 커버(44)를 개재시켜 엔진 출력축(2)에 연결된다. 터빈 러너(42)는 변속기 입력축(5)에 연결된다. 스테이터(43)는 원웨이 클러치(45)를 개재시켜 정지 부재(변속기 케이스 등)에 설치된다.
상기 무단 변속기(6)는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에 대한 벨트 접촉 직경을 바꿈으로써 변속비를 무단계로 제어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이며, 변속 후의 출력 회전은 드라이브 샤프트(7)를 통하여 구동륜(8)으로 전달된다.
차량 제어계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컨트롤 유닛(11)(ECU)과, CVT 컨트롤 유닛(12)(CVTCU)과, CAN 통신선(13)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 정보를 얻는 센서류로서, 엔진 회전수 센서(14)와, 터빈 회전수 센서(15)(=CVT 입력 회전수 센서)와, CVT 출력 회전수 센서(16)(=차속 센서)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17)와, 세컨더리 회전수 센서(18)와, 프라이머리 회전수 센서(19)와, 다른 센서·스위치류(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엔진 컨트롤 유닛(11)은, 엔진(1)에 대한 연료 분사 제어나 연료 커트 제어 등과 같이, 엔진(1)에 관한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엔진 컨트롤 유닛(11)에서는, 엔진(1)의 회전수와 토크 관계 특성 및 그때의 엔진 회전수나 연료 분사량 등에 기초하여, 엔진 토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CVT 컨트롤 유닛(12)으로부터 요구가 있으면, CVT 컨트롤 유닛(12)에 대하여 엔진 토크 신호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CVT 컨트롤 유닛(12)은, 무단 변속기(6)의 변속비를 제어하는 변속 제어, 로크업 클러치(3)의 체결/슬립 체결/해방을 전환하는 로크업 클러치 제어 등을 행한다. 또한, 로크업 클러치(3)의 체결 시에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학습값(LU 명령압)을 취득하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를 행한다.
상기 변속 제어의 기본 제어는, CVT 컨트롤 유닛(12)에 갖는 변속 제어부(12a)에서 실시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변속 맵을 사용하여, 차속 VSP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에 의해 결정되는 운전점이 Low 변속비측이나 High 변속비측으로 이동했을 때, 변속 지시를 내려, 목표 입력 회전수(=목표 프라이머리 회전수)를 얻도록 변속비를 변경하는 제어에 의해 행하여진다.
상기 로크업 클러치 제어의 기본 제어는, CVT 컨트롤 유닛(12)에 갖는 로크업 제어부(12b)에서 실시되고, 액셀러레이터 답입에 의한 드라이브 주행 상태에서의 연비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로크업 맵을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즉, 저차속 영역에 있어서, 차속 VSP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에 의해 결정되는 운전점이 도 3의 OFF→ON선을 가로질렀을 때, LU 체결 요구를 발하여, 해방 상태의 로크업 클러치(3)를 체결한다. 한편, 차속 VSP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에 의해 결정되는 운전점이 도 3의 ON→OFF선을 가로질렀을 때, LU 해제 요구를 발하여, 체결 상태의 로크업 클러치(3)를 해방한다.
상기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는, CVT 컨트롤 유닛(12)에 갖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에서 실시된다. 이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에 의해 취득되는 미트 포인트 학습값(LU 명령압)은, 로크업 클러치 제어에 있어서, 로크업 클러치(3)의 체결을 개시할 때, 초기압(=미트 포인트 학습값-오프셋압)을 결정하는 정보로서 사용된다.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 구성]
도 4 내지 도 7은 실시예 1의 CVT 컨트롤 유닛(12)의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에서 실행되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수단). 이하,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 구성을 나타내는 도 4 및 도 5의 미트 포인트 검지 플로우(S1 내지 S20), 도 6의 용량 과다 검지 판정 플로우(S21 내지 S27), 도 7의 학습값 갱신 플로우(S28 내지 S39)의 각 스텝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는, 로크업 클러치 제어에 있어서, LU 체결 요구가 출력되면 처리를 개시하고, 해방 상태의 로크업 클러치(3)를 체결하는 LU 체결 동작을 경험할 때마다 실행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서 사용하는 「LU」는 「로크업」의 약칭이며, 「LU/C」는 「로크업 클러치」의 약칭이며, 「T/C」는 「토크 컨버터」의 약칭이다.
스텝 S1에서는, 스타트, 혹은, 스텝 S4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에지 검출 역치라는 판단, 혹은, 스텝 S11에서의 CAPA=0이라는 판단, 혹은, 스텝 S17에서의 LU/C는 체결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이어, LU 전달 토크를 추정하고, 스텝 S2로 진행한다. 여기서, LU 전달 토크의 추정값인 LU 전달 토크 추정값은, 기본적으로 엔진 토크와 토크 컨버터 전달 토크의 차분에 의해 구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의 식에 의해 연산된다.
LU 전달 토크 추정값=Te-τ×Ne2-OPLOS …(1)
Te: 엔진 토크 신호값
τ: 토크 용량 계수(기정값)
Ne: 엔진 회전 신호값(엔진 회전수 센서(14)로부터)
OPLOS: 오일 펌프 프릭션 로스 토크
또한, 엔진 토크 신호값 Te는 정보 요구를 발하여 엔진 컨트롤 유닛(11)으로부터 취득한다. 토크 용량 계수 τ는, 속도비에 대한 토크 용량 계수 특성을 사용하여, 그때의 속도비에 따른 값으로 부여한다. 엔진 회전 신호값 Ne는 엔진 회전수 센서(14)로부터 취득한다. (1) 식의 (τ×Ne2)는, 토크 컨버터 전달 토크이다. 오일 펌프 프릭션 로스 토크 OPLOS는,
OPLOS=PL×O/P 고유 토출량+Ne×엔진 회전 의존 계수…(2)
PL: 라인압
O/P 고유 토출량: 엔진축 상의 O/P 토출량
엔진 회전 의존 계수: 실험 등에 의해 구해진 계수
의 식에 의해 연산된다.
스텝 S2에서는, 스텝 S1에서의 LU 전달 토크의 추정에 이어,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은,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단위 시간당에 있어서의 변화량이며,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LU 전달 토크 추정값(현재)-LU 전달 토크 추정값(소정 시간 전)의 식에 의해 연산된다.
스텝 S3에서는, 스텝 S2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의 산출에 이어, 단조 증가 판정 플래그 TLUEDGEFLG가, TLUEDGEFLG=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TLUEDGEFLG=1)인 경우는 스텝 S7로 진행하고, "아니오"(TLUEDGEFLG=0)인 경우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여기서, 단조 증가 판정 플래그 TLUEDGEFLG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이 에지 검출 역치를 초과했을 때, 스텝 S5에서 세트된다.
스텝 S4에서는, 스텝 S3에서의 TLUEDGEFLG=0이라는 판단에 이어,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에지 검출 역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에지 검출 역치)인 경우는 스텝 S5로 진행하고, "아니오"(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에지 검출 역치)인 경우는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에지 검출 역치」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이, 엔진(1)의 회전수 변동이나 토크 변동 등의 영향에 관계없이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상승 경향에 들어갔다고 판정할 수 있는 값, 즉, 변동 변동분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을 조금 상회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스텝 S5에서는, 스텝 S4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에지 검출 역치라는 판단에 이어, 단조 증가 판정 플래그 TLUEDGEFLG를 세트하고(TLUEDGEFLG=1),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는, 스텝 S5에서의 단조 증가 판정 플래그 TLUEDGEFLG의 세트에 이어,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에지 검출 역치라고 판단되었을 때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EDGE와 LU 명령값 LUPRSEDGE를 기억하고,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스텝 S3에서의 TLUEDGEFLG=1이라는 판단에 이어,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단조 증가 판정 역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단조 증가 판정 역치)인 경우는 스텝 S8로 진행하고, "아니오"(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단조 증가 판정 역치)인 경우는 학습값 갱신 플로우(도 7)의 스텝 S4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단조 증가 판정 역치」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이 단조롭게 증가하고 있음을 판정하는 값, 즉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증가 구배가 낮은 경우나 증가가 보이지 않는 보합 상태인 경우를 배제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스텝 S8에서는, 스텝 S6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EDGE와 LU 명령값 LUPRSEDGE의 기억, 혹은, 스텝 S7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단조 증가 판정 역치라는 판단에 이어,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연산 변동을 계산하고, 스텝 S9로 진행한다. 여기서,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연산 변동」이란, 「엔진 토크 신호값 Te 변동」과 「토크 용량 계수 τ 변동에 의한 토크 컨버터 전달 토크(=τ×Ne2)의 변동」의 총합을 의미한다.
스텝 S9에서는, 스텝 S8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의 계산에 이어,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보다 커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LU 전달 토크 추정값>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인 경우는 스텝 S10으로 진행하고, "아니오"(LU 전달 토크 추정값≤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인 경우는 스텝 S11로 진행한다. 이 스텝 S9는, LU 용량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는 판단 스텝이다. 즉, 전회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이고, 금회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이 된 바와 같이,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을 통과하였음을 판단한다. 또한,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을 통과하였음을 판단함으로써, 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 이하에서 클러치 미트 포인트(=LU 용량의 발생 포인트)를 검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스텝 S10에서는, 스텝 S9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이라는 판단에 이어, 용량 확정 플래그 CAPAFLG를 세트하고(CAPAFLG=1),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스텝 S9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이라는 판단, 혹은, 스텝 S10에서의 용량 확정 플래그 CAPAFLG의 세트, 혹은, 용량 과다 검지 판정 플로우(도 6)의 스텝 S21, S22, S23에서의 "아니오"라는 판단에 이어, 용량 플래그 CAPAFLG가 CAPAFLG=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CAPAFLG=1)인 경우는 스텝 S12(도 5) 및 용량 과다 검지 판정 플로우(도 6)의 스텝 S21로 진행하고, "아니오"(CAPAFLG=0)인 경우는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S12(도 5) 이후의 처리와 용량 과다 검지 판정 플로우(도 6)의 처리는, 병렬 처리로 행하여진다.
스텝 S12에서는, 스텝 S11에서의 CAPAFLG=1이라는 판단에 이어,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T/C 입력 토크에 대하여, 소정 비율(하점)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인(하점을 통과한)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아니오"인(하점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여기서, 「하점」의 T/C 입력 토크에 대한 소정 비율은 CAPAFLG=1이라고 판단되는 비율보다도 높으며, 또한 후술하는 「상점」보다도 낮고, 「상점」과는 소정 비율폭만큼 괴리시킨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점으로 한다. 또한, 「하점」과 「상점」은, 모두 T/C 입력 토크의 50% 이하의 점으로 한다.
스텝 S13에서는, 스텝 S12에서의 하점을 통과했다는 판단에 이어, 하점을 통과했을 때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LOP와 LU 명령값 LUPRSLOP를 기억하고,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스텝 S12에서의 하점을 통과하지 않았다는 판단, 혹은, 스텝 S13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LOP와 LU 명령값 LUPRSLOP의 기억에 이어,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T/C 입력 토크에 대하여, 소정 비율(상점)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인(상점을 통과한) 경우는 스텝 S15로 진행하고, "아니오"인(상점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7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점」의 T/C 입력 토크에 대한 소정 비율은, 「하점」보다도 높으며, 또한 T/C 입력 토크의 50% 이하이고, 「하점」과는 소정 비율폭만큼 괴리시킨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점으로 한다.
스텝 S15에서는, 스텝 S14에서의 상점을 통과했다는 판단에 이어, 상점을 통과했을 때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HIP와 LU 명령값 LUPRSHIP를 기억하고,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스텝 S15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HIP와 LU 명령값 LUPRSHIP의 기억에 이어, 미트 포인트 추정압을 계산하고, 스텝 S17로 진행한다. 여기서, 「미트 포인트 추정압」은, 하점에 있어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LOP와 LU 명령값 LUPRSLOP와 상점에 있어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HIP와 LU 명령값 LUPRSHIP로부터 미트 포인트 시의 LU 명령값인 미트 포인트 추정압 LUPRSEDGE#을, LUPRSEDGE#=LUPRSLOP-(LUPRSHIP-LUPRSLOP)/(TLUHIP-TLULOP)*(TLULOP-TLUEDGE)라는 식에 의해 추정 계산한다. 이 계산식은, 하점과 상점을 연결했을 때에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상승을 개시하는 포인트에서의 LU 명령값을 계산하는 식이다.
스텝 S17에서는, 스텝 S14에서의 상점을 통과하지 않았다는 판단, 혹은, 스텝 S16에서의 미트 포인트 추정압의 계산에 이어, 로크업 클러치 LU/C는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인(LU/C는 체결된) 경우는 스텝 S18로 진행하고, "아니오"인(LU/C는 체결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LU/C는 체결된」이란, 로크업 클러치 LU/C가 체결을 완료했다는 판단이며, 이 판단은,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T/C 입력 토크에 대하여 체결 판정용 비율(예를 들어, 80% 이상의 값)에 도달함으로써 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스텝 S17에서의 LU/C는 체결되었다는 판단에 이어, 스텝 S6에서 기억한 LU 명령값 LUPRSEDGE를 미트 포인트 검지압으로 하고, 스텝 S19로 진행한다. 여기서, 미트 포인트 검지압이란, 미트 포인트의 검지압에 상당하는 LU 명령값으로서, 금회의 처리에 의해 가설정된 값을 의미한다.
스텝 S19에서는, 스텝 S18에서의 미트 포인트 검지압의 가설정에 이어,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은 갖추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 성립)인 경우는 스텝 S20으로 진행하고, "아니오"(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 불성립)인 경우는 학습값 갱신 플로우(도 7)의 스텝 S4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으로서는,
·하한 소정값<유온<상한 소정값(유온 조건)
·하한 소정값<스로틀 개방도<상한 소정값(스로틀 개방도 조건)
·엔진 토크 변화폭<토크 변화 역치(엔진 토크 안정 조건)
·스로틀 개방도 변화폭<개방도 변화 역치(스로틀 개방도 안정 조건)
·소정값<엔진 회전수(유량 수지 판정 조건)
가 있고,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에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 성립이라고 판단된다.
스텝 S20에서는, 스텝 S19에서의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 성립이라는 판단에 이어, 미트 포인트의 검증 결과는 타당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인(미트 포인트 검증 결과는 타당한) 경우는 학습값 갱신 플로우(도 7)의 스텝 S28로 진행하고, "아니오"인(미트 포인트 검증 결과는 타당하지 않은) 경우는 학습값 갱신 플로우(도 7)의 스텝 S4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미트 포인트의 검증은, 하한 소정값<|미트 포인트 추정압-미트 포인트 검지압|<상한 소정값에 의해 행한다. 그리고, 미트 포인트 추정압과 미트 포인트 검지압의 오차의 절댓값이 하한 소정값부터 상한 소정값까지의 범위 내일 때에 미트 포인트의 검증 결과는 타당하다고 판단한다.
스텝 S21에서는, 스텝 S11에서의 CAPAFLG=1이라는 판단에 이어, 체결 초기압을 지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초기압 지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인 경우는 스텝 S22로 진행하고, "아니오"(초기압 지시로부터 소정 시간 초과)인 경우는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
스텝 S22에서는, 스텝 S21에서의 초기압 지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라는 판단에 이어, 상기 (1) 식으로 산출된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용량 과다 판정 전달 토크 역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LU 전달 토크 추정값>용량 과다 판정 전달 토크 역치)인 경우는 스텝 S23으로 진행하고, "아니오"(LU 전달 토크 추정값≤용량 과다 판정 전달 토크 역치)인 경우는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
스텝 S23에서는, 스텝 S22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용량 과다 판정 전달 토크 역치라는 판단에 이어, 용량 과다 검지 허가 조건이 갖추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용량 과다 검지 허가 조건 성립)인 경우는 스텝 S24로 진행하고, "아니오"(용량 과다 검지 허가 조건 불성립)인 경우는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용량 과다 검지 허가 조건은, 엔진 토크와 스로틀 개방도의 변화 감시에 의해 행하는 것이고, 엔진 토크가 안정적이라고 판정되며, 또한 스로틀 개방도가 안정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용량 과다 검지 허가 조건이 성립되었다고 판단한다.
스텝 S24에서는, 스텝 S23에서의 용량 과다 검지 허가 조건 성립이라는 판단에 이어, 금회의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를, 전회까지의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에 1을 더하여 산출하고, 스텝 S25로 진행한다.
스텝 S25에서는, 스텝 S24에서의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의 산출에 이어,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가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역치)인 경우는 스텝 S26으로 진행하고, "아니오"(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역치)인 경우는 스텝 S27로 진행한다. 여기서,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의 역치는 2회 혹은 3회의 값으로 설정된다.
스텝 S26에서는, 스텝 S25에서의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역치라는 판단에 이어, 용량 과다 확정 시의 학습값 보정량을 산출하고, 학습값 갱신 플로우(도 7)의 스텝 S35로 진행한다. 여기서, 용량 과다 확정 시의 학습값 보정량은, 용량 과다를 확실하게 회피하도록 학습값을 저하시키기 위한 학습값 보정량이며, 용량 과다의 확정에 기초하여, 통상의 학습값 보정량 최댓값의 수배의 값(예를 들어, 5배)을 부여한다.
스텝 S27에서는, 스텝 S25에서의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역치라는 판단에 이어, 용량 과다 검지 시의 학습값 보정량을 산출하고, 학습값 갱신 플로우(도 7)의 스텝 S35로 진행한다. 여기서, 용량 과다 검지 시의 학습값 보정량은, 용량 과다를 회피하도록 학습값을 저하시키기 위한 학습값 보정량이며, 용량 과다의 검지에 기초하여, 통상의 학습값 보정량 최댓값 정도의 값을 부여한다.
스텝 S28에서는, 스텝 S20에서의 미트 포인트 검증 결과는 타당하다는 판단에 이어,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 갱신이 처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학습값 갱신 첫회)인 경우는 스텝 S29로 진행하고, "아니오"(학습값 갱신 2회 이상)인 경우는 스텝 S31로 진행한다.
스텝 S29에서는, 스텝 S28에서의 학습값 갱신 첫회라는 판단에 이어, 첫회의 검지 오차 E_1을 산출하고, 스텝 S3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첫회의 검지 오차 E_1은, 첫회의 검지 오차 E_1=학습 초기값 L_0-학습 검지값 M_1(미트 포인트)라는 식에 의해 산출된다.
스텝 S30에서는, 스텝 S29에서의 첫회의 검지 오차 E_1의 산출에 이어, 통상 학습 시의 학습값 보정량(첫회)을 산출하고, 스텝 S35로 진행한다. 여기서, 통상 학습 시의 학습값 보정량(첫회)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지 오차 E_1일 때, 예를 들어 ±10㎪ 정도의 기본 보정압 f(E_1)에 의해 부여한다.
스텝 S31에서는, 스텝 S28에서의 학습값 갱신 2회 이상이라는 판단에 이어, n회의 검지 오차 E_n을 산출하고, 스텝 S32로 진행한다. 여기서, n회의 검지 오차 E_n은, 검지 오차 E_n=전회 학습값 L(n-1)-학습 검지값 M_n(미트 포인트)라는 식에 의해 산출된다.
스텝 S32에서는, 스텝 S31에서의 n회의 검지 오차 E_n의 산출에 이어,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동일한 방향(동일 부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E_n과 E_n-1이 동일 부호)인 경우는 스텝 S33으로 진행하고, "아니오"(E_n과 E_n-1이 상이 부호)인 경우는 스텝 S34로 진행한다.
스텝 S33에서는, 스텝 S32에서의 E_n과 E_n-1이 동일 부호라는 판단에 이어, 통상 학습 시의 학습값 보정량(2회째 이후)을 산출하고, 스텝 S35로 진행한다. 여기서, 통상 학습 시의 학습값 보정량(2회째 이후)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회의 검지 오차 E_n에 기초하여, 기본 보정압 f(E_n)을 정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에 기초하여, 보정 계수 g(E_(n-1))을 정한다. 그리고, 학습값 보정량(2회째 이후)=f(E_n)×g(E_(n-1))이라는 식에 의해 구한다.
스텝 S34에서는, 스텝 S32에서의 E_n과 E_n-1이 상이 부호라는 판단에 이어, 학습값 보정량(2회째 이후)을, 학습값 보정량(2회째 이후)=0으로 하고, 스텝 S35로 진행한다.
스텝 S35에서는, 스텝 S26 또는 스텝 S27에서의 학습값 보정량의 산출, 혹은 스텝 S30, S33, S34의 어느 것에 의한 학습값 보정량의 산출에 이어,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가 증가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예"(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 증가)인 경우는 스텝 S38로 진행하고, "아니오"(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 변화 없음)인 경우는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6에서는, 스텝 S35에서의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 변화 없음이라는 판단에 이어,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를,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0으로 세트하여 초기화하고, 스텝 S37로 진행한다.
스텝 S37에서는, 스텝 S36에서의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0이라는 세트에 이어,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을, 전회의 검지 오차 E_n-1로서 기억하고, 스텝 S38로 진행한다.
스텝 S38에서는, 스텝 S37에서의 검지 오차의 기억, 혹은, 스텝 S35에서의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 증가라는 판단에 이어,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의 갱신 보정량을 선택하고, 스텝 S39로 진행한다. 여기서,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의 갱신 보정량 선택은, 「통상 학습 판정」과 「용량 과다 검지(확정) 판정」이 동시에 성립된 경우, 「용량 과다 검지(확정) 판정」에서의 학습값 보정량을 우선한다.
스텝 S39에서는, 스텝 S38에서의 학습값의 갱신 보정량 선택에 이어,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을 갱신하고, 스텝 S4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을 갱신한다는 것은, 전회까지 기억되어 있는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을, 전회의 학습값 L_n-1에 학습값 보정량을 가산함으로써 얻어진 새로운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 Ln으로 재기입하여, 기억시킴을 의미한다.
스텝 S40에서는, 스텝 S7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단조 증가 판정 역치라는 판단, 혹은 스텝 S19에서의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 불성립이라는 판단, 혹은 스텝 S20에서의 미트 포인트 검증 결과는 타당하지 않다는 판단, 혹은 스텝 S39에서의 학습값 갱신에 이어, 플래그를 클리어하고, 종료로 진행한다. 여기서, 클리어되는 플래그는, 단조 증가 판정 플래그 TLUEDGEFLG와 용량 확정 플래그 CAPAFLG이며, TLUEDGEFLG=1일 때는 TLUEDGEFLG=0이 되고, CAPAFLG=1일 때는 CAPAFLG=0이 된다.
이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실시예 1의 엔진 차에 적용된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작용을,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 작용」, 「미트 포인트 검지 작용」, 「학습값 갱신 작용」,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의 특징 작용」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 작용]
이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 작용을, (미트 포인트 검지 처리 작용: 도 4 및 도 5), (용량 과다 검지 판정 처리 작용: 도 6), (통상 학습 판정 처리 작용: 도 7)로 나누어 설명한다.
(미트 포인트 검지 처리 작용: 도 4 및 도 5)
정차로부터의 발진에 의해 차속 VSP가 상승되고, LU 체결 요구가 출력된 직후는, 단조 증가 판정 플래그 TLUEDGEFLG가 TLUEDGEFLG=0이며, 또한,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에지 검출 역치이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스텝 S2→스텝 S3→스텝 S4로 진행되는 흐름이 반복된다. 이 동안은, 스텝 S1에서 LU 전달 토크가 추정되고, 스텝 S2에서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변화량이 산출된다.
그 후,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이 상승되어, 스텝 S4에서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에지 검출 역치라고 판단되면, 스텝 S4로부터 스텝 S5→스텝 S6→스텝 S8→스텝 S9→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단조 증가 판정 플래그 TLUEDGEFLG가 TLUEDGEFLG=1로 세트되고, 스텝 S6에서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에지 검출 역치라고 판단되었을 때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EDGE와 LU 명령값 LUPRSEDGE가 기억된다.
다음의 제어 처리에서는, 스텝 S5에서 TLUEDGEFLG=1로 세트됨으로써, 스텝 S11로부터 스텝 S1→스텝 S2→스텝 S3→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단조 증가 판정 역치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단조 증가 판정 역치의 경우는, 스텝 S8로 진행하고, 미트 포인트 학습 처리를 계속한다.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단조 증가 판정 역치의 경우는, 스텝 S23→종료로 진행하고,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이 단조 증가되는 관계가 아닌 상황(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단조 증가 특성을 이용한 학습에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미트 포인트 학습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7에서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단조 증가 판정 역치라고 판단되고 있는 동안은, 스텝 S7로부터 스텝 S8→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8에서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연산 변동이 계산된다. 스텝 S9에서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보다 커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 S9에서 (LU 전달 토크 추정값≤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으로부터 (LU 전달 토크 추정값>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으로 이행하면,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즉, 스텝 S9에서 LU 전달 토크 추정값 연산 변동 이하에서 클러치 미트 포인트(=LU 용량의 발생 포인트)를 검지함이 확인되면, 스텝 S10에서는, 용량 플래그 CAPAFLG가 CAPAFLG=1로 세트된다. 다음 스텝 S11에서는, 용량 플래그 CAPAFLG가, CAPAFLG=1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CAPAFLG=1인 경우는, 스텝 S11로부터 도 5의 스텝 S12 이후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T/C 입력 토크에 대하여, 소정 비율(하점)을 통과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하점을 통과한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스텝 S13에서는 하점을 통과했을 때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LOP와 LU 명령값 LUPRSLOP가 기억된다. 하점을 통과한 후, 스텝 S14에서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T/C 입력 토크에 대하여, 소정 비율(상점)을 통과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상점을 통과한 경우는 스텝 S15로 진행하고, 스텝 S15에서는, 상점을 통과했을 때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HIP와 LU 명령값 LUPRSHIP가 기억된다. 그리고, 다음 스텝 S16에서는, 하점과 상점을 연결했을 때에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상승을 개시하는 포인트에서의 LU 명령값인 미트 포인트 추정압 LUPRSEDGE#이 계산되고,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서는, 로크업 클러치 LU/C는 체결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로크업 클러치 LU/C의 체결이 완료된 경우는 스텝 S18 이후로 진행한다. 또한, 로크업 클러치 LU/C의 체결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로 되돌아가, 스텝 S1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의 연산, 스텝 S2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의 산출이, 로크업 클러치 LU/C의 체결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계속된다.
스텝 S17에서 로크업 클러치 LU/C의 체결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텝 S18로 진행하고, 스텝 S18에서는, 스텝 S6에서 기억한 LU 명령값 LUPRSEDGE가 미트 포인트 검지압이 된다. 다음 스텝 S19에서는,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은 갖추어져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19에서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 불성립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40→종료로 진행하여, 미트 포인트 학습값이 오학습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트 포인트 학습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9에서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 성립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20으로 진행하고, 스텝 S20에서는, 미트 포인트의 검증 결과가 타당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20에서, 미트 포인트 검증 결과는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40→종료로 진행하여, 미트 포인트 학습값이 오학습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트 포인트 학습 처리를 종료한다.
(용량 과다 검지 판정 처리 작용: 도 6)
스텝 S11에서 CAPAFLG=1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11로부터 도 5의 스텝 S12 이후로 진행하는 것에 의한 미트 포인트 검지 처리와, 스텝 S11로부터 도 6의 스텝 S21 이후로 진행하는 것에 의한 용량 과다 검지 판정 처리가 병행하여 실시된다.
용량 과다 검지 판정 처리에서는, 스텝 S21에서의 체결 초기압을 지시하고 나서의 시간 조건과, 스텝 S22에서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용량 과다 판정 전달 토크 역치라는 토크 조건과, 스텝 S23에서의 용량 과다 검지 허가 조건 성립을 판단한다.
그리고, 3개의 조건 판단에서 하나의 조건이 "아니오"라고 판단되면, 반복 루프에 의한 처리가 되고, 용량 과다 검지 횟수도 카운트되지 않는다. 그러나, 3개의 조건 판단에서 모두 "예"라고 판단되면, 스텝 S24로 진행하여, 용량 과다 검지 횟수로서 카운트되고, 이미 용량 과다 검지 횟수가 카운트되어 있는 경우는, 1을 더하여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로서 카운트된다. 다음 스텝 S25에서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가 역치(2 내지 3회)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역치인 경우는 스텝 S27로 진행하고, 스텝 S27에서는, 용량 과다 검지 시의 학습값 보정량이 산출된다. 용량 과다 검지 시의 학습값 보정량은, 용량 과다를 회피하도록 학습값을 저하시키기 위한 학습값 보정량이며, 통상의 학습값 보정량 최댓값 정도의 값이 부여된다.
한편, 스텝 S25에서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가 역치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역치인 경우는 스텝 S26으로 진행하고, 스텝 S26에서는, 용량 과다 확정 시의 학습값 보정량이 산출된다. 용량 과다 확정 시의 학습값 보정량은, 용량 과다를 확실하게 회피하도록 학습값을 저하시키기 위한 학습값 보정량이며, 통상의 학습값 보정량 최댓값의 수배의 값(예를 들어, 5배)이 부여된다.
그리고, 용량 과다 검지(확정) 시의 학습값 보정량이 산출되면, 학습값 갱신 플로우(도 7)의 스텝 S35→스텝 S38로 진행하고, 스텝 S38에서는, 통상 학습 시의 학습값 보정량에 우선하여 갱신 보정량으로서 선택되고, 다음 스텝 S39로 진행하여, 학습값이 갱신된다.
(통상 학습 판정 처리 작용: 도 7)
스텝 S19에서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 성립이라고 판단되고, 또한 스텝 S20에서 미트 포인트 검증 결과는 타당하다고 판단된 경우는, 미트 포인트를 학습 검지값으로 하고, 스텝 S20으로부터는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28 이후로 진행하여, 통상 학습 판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스텝 S28에서는,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을 갱신하는 것이 처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학습값 갱신 첫회의 경우는, 스텝 S28로부터 스텝 S29→스텝 S30→스텝 S35→스텝 S36→스텝 S37→스텝 S38→스텝 S39로 진행한다. 스텝 S29에서는, 첫회의 검지 오차 E_1이 산출되고, 스텝 S30에서는, 통상 학습 시의 학습값 보정량(첫회)이 산출된다.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가 제로이기 때문에 스텝 S37로 진행하고, 스텝 S37에서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이, 전회의 검지 오차 E_n-1로서 기억되고, 다음 스텝 S38에서는,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의 갱신 보정량으로서, 스텝 S30에서 산출된 통상 학습 시의 학습값 보정량(첫회)이 선택된다. 그리고, 스텝 S39에서는, 초기 학습값에 학습값 보정량(첫회)을 가산하여 새로운 학습값이 산출되어,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이 새로운 학습값으로 갱신된다.
또한, 스텝 S28에서 학습값 갱신 2회 이상이라고 판단되며, 또한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동일한 방향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28로부터 스텝 S31→스텝 S32→스텝 S33→스텝 S35→스텝 S36→스텝 S37→스텝 S38→스텝 S39로 진행한다. 스텝 S31에서는, n회의 검지 오차 E_n이 산출되어, 스텝 S32에서의 E_n과 E_n-1이 동일한 방향이라는 판단에 이어, 스텝 S33에서는, 통상 학습 시의 학습값 보정량(2회째 이후)이 산출된다.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가 제로이기 때문에 스텝 S37로 진행하고, 스텝 S37에서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이, 전회의 검지 오차 E_n-1로서 기억되고, 다음 스텝 S38에서는,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의 갱신 보정량으로서, 스텝 S33에서 산출된 통상 학습 시의 학습값 보정량(2회째 이후)이 선택된다. 그리고, 스텝 S39에서는, 전회의 학습값에 학습값 보정량(2회째 이후)을 가산하여 새로운 학습값이 산출되어,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이 새로운 학습값으로 갱신된다.
또한, 스텝 S28에서 학습값 갱신 2회 이상이라고 판단되며, 또한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상이한 방향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28로부터 스텝 S31→스텝 S32→스텝 S34→스텝 S35→스텝 S36→스텝 S37→스텝 S38→스텝 S39로 진행한다. 스텝 S31에서는, n회의 검지 오차 E_n이 산출되어, 스텝 S32에서의 E_n과 E_n-1이 상이한 방향이라는 판단에 이어, 스텝 S34에서는, 통상 학습 시의 학습값 보정량(2회째 이후)이 0(제로: 보정 없음)이 된다. 용량 과다 연속 검지 횟수가 제로이기 때문에 스텝 S37로 진행하고, 스텝 S37에서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이, 전회의 검지 오차 E_n-1로서 기억되고, 다음 스텝 S38에서는,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의 갱신 보정량으로서, 스텝 S34에서의 0(제로: 보정 없음)이 선택된다. 그리고, 스텝 S39에서는, 전회의 학습값을 그대로 유지하여 새로운 학습값으로서 갱신된다.
[미트 포인트 검지 작용]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미트 포인트 검지 작용을, 도 8에 도시하는 타임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시각 t1은 LU 체결 요구의 출력 시각이다. 시각 t2는 미트 포인트 추정압의 계산 시각이다. 시각 t3은 미트 포인트 검지압의 판단 시각, 시각 t4는 하점 통과 시각이다. 시각 t5는 상점 통과 시각이다. 시각 t6은 T/C 입력 토크에 대한 50% 통과 시각이다. 시각 t7은 로크업 클러치(3)의 체결 완료 판정 시각이다. 또한, LU 명령값을, LU 체결 요구가 출력되는 시각 t1(LU 명령값=초기압)로부터 비례적으로 상승시키고, 로크업 클러치(3)를 체결시킬 때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에 의한 미트 포인트 검지 작용을 예로서 설명한다.
LU 체결 요구가 출력되는 시각 t1로부터 LU 전달 토크 추정값 및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이 계산되어, 시각 t3에서 LU 전달 토크 추정값 변화량이 에지 검출 역치를 초과하면, 시각 t3에서의 LU 명령값이 기억된다. 또한, 기억된 LU 명령값은 시각 t3에 도달하면,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로 된다.
그리고, 시각 t4에서 하점을 통과하면, 그때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LOP와 LU 명령값 LUPRSLOP가 기억된다. 또한, 시각 t5에서 상점을 통과하면, 그때의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HIP와 LU 명령값 LUPRSHIP가 기억된다. 시각 t5에서 LU 전달 토크 추정값 TLUHIP와 LU 명령값 LUPRSHIP가 기억되면, 하점에서의 취득 정보와 상점에서의 취득 정보와 LU 명령값 LUPRSEDGE를 사용하여, 미트 포인트 추정압 LUPRSEDGE#이 계산된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점과 상점을 연결하여, 그 연장선과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제로인 좌표선의 교점(시각 t2)의 위치에서의 LU 명령값이, 로크업 클러치(3)가 토크 전달 상태로 전환되는 미트 포인트 추정압 LUPRSEDGE#로 된다.
미트 포인트 추정압 LUPRSEDGE#이 계산되고, 또한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이 성립된다고 판단되면,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의 검증 결과는 타당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와 미트 포인트 추정압 LUPRSEDGE#의 오차의 절댓값이 하한 소정값부터 상한 소정값까지의 범위 내일 때, 미트 포인트의 검증 결과는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미트 포인트 검증 결과가 타당하다고 판단되면, 금회 취득된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가 학습값의 갱신 처리에 도입되어, 전회까지 기억되어 있던 미트 포인트 학습값이 갱신된다. 또한, 미트 포인트 검증 결과가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금회 취득된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가 폐기되어, 미트 포인트 학습값의 갱신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학습값 갱신 작용]
이어서,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학습 검지값)을 미트 포인트 정보로서 도입했을 때의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 갱신 작용을, (첫회 학습 검지 작용: 도 9 및 도 10), (2회째 이후 학습 검지 작용: 도 11 내지 도 13), (학습값의 참값에 대한 수렴 이미지 작용: 도 14 내지 도 1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첫회 학습 검지 작용: 도 9 및 도 10)
도 9에 있어서, 시각 t0에서 브레이크 오프 조작을 행하면, 스탠바이압을 얻는 로크업 클러치(3)에 대한 LU 명령값(LUPRS)이 된다. 그리고, 시각 t0으로부터 조금 시간이 경과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답입되고(APO>0), 또한, 차속(VSP)이 L/U 차속에 도달하는 시각 t1이 되면, 초기압 P를 얻는 로크업 클러치(3)에 대한 LU 명령값(LUPRS)이 된다.
여기서, 「스탠바이압」이란, 로크업 클러치(3)의 스트로크 개시에 대비하여, 로크업 유압 회로에 작동유를 넣어 두기 위한 L/U 용량을 갖지 않는 유압이다. 「초기압 P」란, LU 체결 제어의 개시 시, 소정 시간 내에 로크업 클러치(3)의 스트로크를 종료할 수 있도록 스텝적으로 상승되는 LU 명령값으로 부여되는 유압이며, 미트 포인트보다도 아래의 유압이며, L/U 용량을 갖지 않는 유압이다. 이 초기압 P는, 초기압 P=미트 포인트 M(=학습값 L)-오프셋압이라는 식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학습값 L」은, 하드의 변동에 의해 취할 수 있는 상한값 내지 하한값의 값으로 설정하고, 학습 초기값은 변동 하한값으로 정한다. 「오프셋압」은, 초기압 P를 미트 포인트 M보다 얼만큼 낮출지로 정하는 상수(액셀러레이터 개방도마다의 적합값)이다.
시각 t1 이후는, 소정의 경사 구배(적합값)로 로크업 클러치(3)에 대한 LU 명령값(LUPRS)을 상승시킨다. 이때, 시각 t2에서의 LU 명령값(LUPRS)이 기억되어 있는 학습 초기값 L_0임에도 불구하고, 시각 t4에서의 LU 명령값(LUPRS)이 학습 검지값 M_1로서 미트 포인트 검지되면, 첫회의 검지 오차 E_1은, 첫회의 검지 오차 E_1=학습 초기값 L_0-학습 검지값 M_1이라는 식으로 구해진다.
그리고, 첫회의 검지 오차 E_1에 대한 기본 보정압 f(E_1)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한된 최대 학습값 보정량이기 때문에, 새로운 학습값 L_1은, 새로운 학습값 L_1=학습 초기값 L_0+기본 보정압 f(E_1)이라는 식으로 구해진다. 그리고, 새로운 학습값 L_1이, 시각 t3에서의 LU 명령값(LUPRS)으로 되고, 학습 초기값 L_0이, 새로운 학습값 L_1로 재기입하는 갱신 처리가 행하여져, 학습값 L_1이 기억된다. 따라서, 다음번의 LU 체결 제어에서의 초기압 P_1은, 다음번의 초기압 P_1=학습값 L_1-오프셋압이라는 식으로 구해진다.
(2회째 이후 학습 검지 작용: 도 11 내지 도 13)
도 11에 있어서, 시각 t1은 금회의 초기압 P_(n)의 명령 구동 시각, 시각 t2은 전회의 학습값 L_(n-1)에 대한 도달 시각, 시각 t3은 보정 계수 g(E_(n-1))을 더했을 때의 금회 학습값 L_(n)에 대한 도달 시각, 시각 t4는 보정 계수 g(E_(n-1))을 제외했을 때의 금회 학습값 L_(n)에 대한 도달 시각, 시각 t5는 금회의 학습 검지값 M_n에 대한 도달 시각이다.
시각 t1 이후는, 소정의 경사 구배(적합값)로 로크업 클러치(3)에 대한 LU 명령값(LUPRS)을 상승시킨다. 이때, 시각 t2에서의 LU 명령값(LUPRS)이 기억되어 있는 학습값 L_(n-1)임에도 불구하고, 시각 t5에서의 LU 명령값(LUPRS)이 학습 검지값 M_n으로서 미트 포인트 검지되면, n회째의 검지 오차 E_n은, n회째의 검지 오차 E_n=전회의 학습값 L_(n-1)-학습 검지값 M_n이라는 식으로 구해진다.
그리고,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동일한 방향(동일 부호)일 때에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에 대한 기본 보정압 f(E_n)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의 크기에 따라 제한된 값이 된다.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에 대한 보정 계수 g(E_(n-1))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절댓값이 작을수록 작은 값이 된다. 따라서, 금회의 학습값 L_n은, 금회의 학습값 L_n=전회의 학습값 L_n-1+기본 보정압 f(E_n)×보정 계수 g(E_(n-1))이라는 식으로 구해진다. 이때, 금회의 학습값 L_n은, 도 11의 시각 t3에서 도달한 LU 명령값(LUPRS)의 값이 된다. 그리고, 금회의 학습값 L_n이, 시각 t3에서의 LU 명령값(LUPRS)이 되고, 전회의 학습값 L_(n-1)이, 금회의 학습값 L_n으로 재기입되는 갱신 처리가 행하여져, 학습값 L_n이 기억된다. 덧붙여 말하면, 보정 계수 g(E_(n-1))을 제외했을 때, 금회의 학습값 L_n은, 도 11의 시각 t4에서 도달한 LU 명령값(LUPRS)의 값이 된다. 따라서, 다음번의 LU 체결 제어에서의 초기압 P_(n+1)은, 다음번의 초기압 P_(n+1)=금회의 학습값 L_n-오프셋압이라는 식으로 구해진다.
한편,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상이한 방향(상이 부호)일 때에는, 학습값 보정량=0으로 됨으로써, 금회의 학습값 L_n=전회의 학습값 L_n-1이라는 식에 의해 학습값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 L_n이 갱신되면, 이어서, 해방 상태의 로크업 클러치(3)를 체결하는 LU 체결 요구가 있으면, LU 명령값이, 다음번의 초기압 P_(n+1)까지 한번에 올라간다. 그리고, 다음번의 초기압 P_(n+1)까지 상승한 LU 명령값을, 로크업 쇼크를 억제하는 기울기에 의해 상승시키는 LU 체결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 LU 체결 제어를 행함으로써, 제조 변동이나 경년 변화가 있어도, LU 체결 요구부터 클러치 전달 토크의 발생까지 요하는 시간을 짧은 일정 시간으로 할 수 있도록, 안정된 로크업 클러치(3)의 체결 응답성이 확보된다.
(학습값의 참값에 대한 수렴 이미지 작용: 도 14 내지 도 19)
학습값의 초기 수렴(참값: 변화 없음)에 대해서는, 미트 포인트를 향하여 학습값을 일발 갱신하지 않고, 학습값은 참값을 향하여 응답성 높게 원활하게 수렴한다(도 14). 즉, 학습 초기에 있어서는, 참값에 대하여 학습값이 동일한 방향으로 크게 괴리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학습 초기값 L_0의 다음의 새로운 학습값 L_1은, 학습 초기값 L_0에, 최대 학습값 보정량에 의한 기본 보정압 f(E_1)이 가산된다. 다음부터의 학습값 L_n은,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동일한 방향(동일 부호)이기 때문에, 전회의 학습값 L_n-1에, {기본 보정압 f(E_n)×보정 계수 g(E_(n-1))}이 가산된다. 즉, 학습값의 학습값 보정량은, 학습 초기에 있어서 1회 갱신의 상한이 최대 학습값 보정량(예를 들어, 10㎪ 정도)이 되고, 그 후, 학습 횟수가 증가될 때마다 서서히 작아진다. 따라서, 참값의 변화가 없는 초기 수렴 시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 학습 횟수 영역에서 학습값이 참값에 대하여 응답성 높게 수렴되고, 그 후, 학습 횟수를 증가시킬 때마다,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에 따라 원활하게 수렴된다.
학습값의 수렴 후의 안정(참값: 변화 없음)에 대해서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동일한 방향(동일 부호)일 때에만 학습값을 보정한다(도 15). 즉, 참조 부호 15A, 15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가 상하 이동하는 경우(E_n과 E_n-1이 상이 부호)에는, 전회의 학습값을 유지한다. 그리고, 참조 부호 15C, 15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가 연속으로 동일한 측에 검지하는 경우(E_n과 E_n-1이 동일 부호)에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에 기초하여 학습값을 보정한다. 이때,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은 작은 값이 되므로, 기본 보정압 f(E_n)도 보정 계수 g(E_(n-1))도 작은 값으로 부여된다. 따라서, 참값의 변화가 없는 수렴 후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가 연속으로 동일한 측에 검지하지 않는 한, 전회의 학습값을 유지함으로써, 학습값이 참값에 가까운 값인 채로 안정된다.
학습값의 수렴 후에 있어서의 오검지 방지(참값: 변화 없음)에 대해서는, 1회의 오검지에 대하여 가드가 작용한다(도 16). 즉, 참조 부호 16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가 상하 이동하는 경우(E_n과 E_n-1이 상이 부호)에는, 전회의 학습값을 유지한다. 이때의 참조 부호 16F는 명백하게 오검지에 의한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이지만, 전후의 미트 포인트와 부호가 상이하기 때문에, 학습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참조 부호 16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가 연속으로 동일한 측에 검지하는 경우(E_n과 E_n-1이 동일 부호)에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에 기초하여 학습값을 보정한다. 이때의 참조 부호 16G는, 명백하게 오검지에 의한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이다. 그러나,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은 커지지만,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작기 때문에, 보정 계수 g(E_(n-1))이 작은 값으로 부여되고, 다음의 참조 부호 16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가 상하하기 때문에, 전회의 학습값이 유지된다. 그리고, 참조 부호 16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가 연속으로 동일한 측에 검지되는 경우(E_n과 E_n-1이 동일 부호)에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에 기초하여, 기본 보정압 f(E_n)도 보정 계수 g(E_(n-1))도 작은 값으로 부여하면서, 학습값을 보정한다. 따라서, 학습값이 수렴된 후, 오검지에 의한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를 포함하는 경우,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학습 경험 중에서 단독으로 오검지에 의한 미트 포인트가 나타날 때는, 학습값에 대한 오검지 영향이 방지된다.
학습값의 수렴 후에 있어서의 오검지(참값: 변화 없음)에 대해서는, 2회 이상의 오검지에 대해서는 가드할 수 없다(도 17). 즉, 참조 부호 17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가 상하 이동하는 경우(E_n과 E_n-1이 상이 부호)에는, 전회의 학습값을 유지한다. 이때의 참조 부호 17F는, 명백하게 오검지에 의한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이지만, 전후의 미트 포인트와 부호가 상이하기 때문에, 학습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참조 부호 17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명백하게 오검지에 의한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인 참조 부호 17G, 17H가 연속으로 동일한 측에 검지되는 경우(E_n과 E_n-1이 동일 부호)에는, 참조 부호 17G에 대해서는 오검지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참조 부호 17H에 대해서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모두 큰 값이 됨으로써, 오검지의 영향을 억제할 수 없다. 따라서, 학습값이 수렴된 후, 오검지에 의한 미트 포인트(학습 검지값)를 포함하는 경우,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학습 경험 중에서 연속하여 오검지에 의한 미트 포인트가 나타날 때는, 학습값에 대한 오검지 영향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오검지에 의한 미트 포인트로부터 정상 오검지에 의한 미트 포인트로 이행하면, 다시, 학습값은 참값을 향하여 응답성 높게 수렴된다.
학습값의 수렴 후에 있어서의 안정(참값: 완만하게 변화)에 대해서는, 완만하게 변화하는 참값을 따라 학습값이 추종한다(도 18). 즉, 참조 부호 18A로 나타내는 참값이 낮은 값인 상태로부터, 참조 부호 18B로 나타내는 참값이 높은 값인 상태로 완만하게 변화하면,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동일한 방향(동일 부호)이며, 또한,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작은 값이 된다. 이로 인해, 학습값 L_n은, 전회의 학습값 L_n-1에, {기본 보정압 f(E_n)×보정 계수 g(E_(n-1))}이 가산되어 구해지지만, 기본 보정압 f(E_n)도 보정 계수 g(E_(n-1))도 작은 값이 되고, 학습 횟수가 증가될 때마다 학습값 L_n이 서서히 커진다. 따라서, 참값이 완만하게 변화할 때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참값을 따라 학습값이 추종한다.
학습값의 수렴 후에 있어서의 안정(참값: 급격하게 변화)에 대해서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참값에 대하여 학습값이 응답성 높게 원활하게 수렴된다(도 19). 즉, 참조 부호 19A로 나타내는 참값이 낮은 값인 상태로부터, 참조 부호 19B로 나타내는 참값이 높은 값인 상태로 급격하게 변화하면, 참값의 급변 초기에 있어서는, 참값에 대하여 학습값이 동일한 방향으로 크게 괴리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참값의 급변 후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동일한 방향(동일 부호)이기 때문에, 학습값 L_n은, 전회의 학습값 L_n-1에, {기본 보정압 f(E_n)×보정 계수 g(E_(n-1))}이 가산된다. 즉, 학습값의 학습값 보정량은, 참값의 급변 초기에 있어서 1회 갱신의 상한이 최대 학습값 보정량(예를 들어, 10㎪ 정도)이 되고, 그 후, 학습 횟수가 증가될 때마다 서서히 작아진다. 따라서, 참값이 급감으로 변화할 때에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변 초기의 학습 횟수 영역에서 학습값이 참값에 대하여 응답성 높게 수렴되고, 그 후, 학습 횟수를 증가시킬 때마다,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에 따라 원활하게 수렴된다.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의 특징 작용]
일반적인 학습 제어로서, 학습 검지값에 소정값 이상의 검지 오차가 산출되면, 전회의 학습값에 일정한 학습값 보정량을 가산하여 금회의 학습값으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학습 제어예를 적용한 경우, 학습값 보정량을 큰 일정값으로 부여하면, 전회의 학습값이 참값에 가까운 값까지 수렴되고 있는 데 비하여, 금회의 검지 오차가 잘못된 학습 검지값에 기초하는 경우는, 금회의 학습값은 참값으로부터 보다 괴리되게 된다. 한편, 학습값 보정량을 작은 일정값으로 부여하면, 전회의 학습값이 참값으로부터 괴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수회의 학습 경험을 하지 않게 되면, 학습값이 참값에 수렴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1에서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정부의 부호가 동일할 때,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절댓값|E_n-1|이 큰 경우는 작은 경우보다, 보정 계수 g(E_(n-1))이 큰 값으로 되어, 금회의 기본 보정량에 보정 계수 g(E_(n-1))을 곱하여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이 산출된다. 그리고, 전회의 학습값 L_n-1에,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가산한 것을 금회의 학습값 L_n으로 하도록 했다. 즉, 금회의 학습값 L_n을 얻을 때, 전회의 학습값 L_n-1에 가산하는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금회와 전회의 검지 오차 E_n, E_n-1이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하였음을 조건으로 하고,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E_n-1|이 클수록 큰 값으로 부여한다. 이로 인해,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이, 잘못된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큰 오차가 되어도,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절댓값|E_n-1|이 작으면 학습값 보정량이 작아지도록, 금회의 학습값 L_n에 영향을 주지 않고, 참값에 가까운 값에 학습값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금회의 검지 오차 E_n도 전회의 검지 오차 E_n-1도 참값으로부터 괴리되어 있을 때는, 학습값 보정량이 커져, 참값으로부터 괴리되어 있는 학습값 L_n을 보다 빠르게 참값에 수렴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로크업 클러치(3)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제어를 행할 때, 학습 빈도를 확보하면서도 학습값 L_n의 참값에 대한 유지성과 참값에 대한 수렴성이 달성된다.
실시예 1에서는, 보정 계수 g(E_(n-1))을,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절댓값|E_n-1|이 큰 값으로부터 작은 값을 향함에 따라 작게 설정하는 보정 계수 설정부(도 13)를 갖는다. 즉,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절댓값|E_n-1|이 큰 값으로부터 작은 값을 향함에 따라 작은 보정 계수 g(E_(n-1))로 설정됨으로써, 학습값 L_n이 참값에 가까워지면, 학습값 보정량이 서서히 작아진다. 그리고, 학습값 L_n이 참값에 거의 일치하면,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절댓값|E_n-1|이 작아짐으로써 그 후, 학습값 L_n은 약간 변화하기만 해도 거의 유지된다. 따라서, 학습값 L_n이 참값으로부터 괴리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참값에 대한 수렴성이 향상되고, 학습값 L_n이 참값에 수렴된 후는 학습값 L_n의 변화가 억제된다. 실시예 1에서는, 보정 계수 g(E_(n-1))을,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절댓값|E_n-1|이 큰 값으로부터 작은 값을 향함에 따라 1차 함수적(직선적)으로 작게 설정하고 있지만, 곡선적(예를 들어, 이차함수적)으로 작게 설정해도 되고, 일부에 보정 계수 g(E_(n-1))이 변화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여, 단계적으로 작게 설정해도 되고, 이들을 복합적으로 설정해도 되고, 참값에 대한 유지성이나 참값에 대한 수렴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기본 보정량인 기본 보정압 f(E_n)을,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의 절댓값|E_n|이 소정값 이상인 영역일 때, 금회의 검지 오차 E_n보다 작은 일정 보정압에 의해 부여한다. 그리고,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의 절댓값|E_n|이 소정값보다 작은 영역일 때,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의 절댓값|E_n|이 작아질수록 일정 보정압으로부터 서서히 작아지는 가변 보정압에 의해 부여한다(도 12). 예를 들어, 금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소정값 이상일 때, 학습값 보정량을 일정값으로 부여하는 학습 제어를 행하면, 금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소정값보다 작은 영역일 때, 학습값의 보정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 경우, 학습값과 참값 사이에 학습 보정 불감대 레벨(소정값 정도)의 괴리폭을 갖는 것을 허용해 버린다. 이에 반하여,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의 절댓값|E_n|이 소정값보다 작은 영역일 때에도, 가변 보정압에 의해 학습값 L_n의 보정을 행함으로써, 학습값 L_n의 참값에 대한 수렴성이 향상되어, 참값과의 괴리폭을 억제한 학습값 L_n이 얻어진다.
실시예 1에서는,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정부의 부호가 상이한 경우, 학습값 보정량을 제로로 하고, 전회의 학습값 L_n-1을, 그대로 유지하여 금회의 학습값 L_n으로 하도록 했다. 즉, 학습 제어는, 참값에 변화가 없다고 하면, 참값에 대하여 학습값을 일 방향으로부터 서서히 접근시키는 제어이다.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이 상이한 방향의 부호일 때는, 검지 오차 E_n, E_n-1 중 어느 하나의 검지 오차를 구하는 학습 검지값 M_n, M_n-1에 오검지일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금회와 전회의 검지 오차 E_n, E_n-1이 상이한 방향의 부호일 때, 전회의 학습값 L_n-1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학습 검지값 M_n, M_n-1의 오검지가 배제되어, 학습값 L_n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실시예 1에서는, 주행 중에 로크업 클러치(3)가 비체결 상태로부터 체결 상태로 이행할 때, 엔진 토크(엔진 토크 신호값 Te)와 토크 컨버터 전달 토크(τ×Ne2)의 차분에 기초하여 LU 전달 토크를 추정한다. 그리고, 로크업 전달 토크 추정값이 상승 경향에 들어갔다고 판단되었을 때의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를,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에서의 미트 포인트 정보로 하도록 했다. 즉, 주행 중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가 변동하면, 토크 컨버터(4)의 전달 토크가 변화하고, 로크업 클러치(3)의 전달 토크도 변화한다. 이에 반하여,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는, 엔진 토크(엔진 토크 신호값 Te)와 토크 컨버터 전달 토크(τ×Ne2)의 차분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상승 경향이 된 유압, 즉, 로크업 클러치(3)의 전달 토크가 내려가지 않게 된 유압이다. 이와 같이, 로크업 전달 토크 추정값이 상승 경향에 들어갔다고 판단되었을 때의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를, 미트 포인트 정보로서 학습값 L_n이 결정되므로, 오학습이 방지된다. 그리고, 주행 중에 로크업 클러치(3)가 비체결 상태로부터 체결 상태로 이행하는 로크업 체결 제어를 경험하면,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처리가 개시된다. 따라서, 로크업 클러치(3)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제어를 행할 때, 학습 빈도를 확보하면서도 오학습이 방지된다.
이어서, 효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1의 엔진 차에 적용된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하기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엔진(1)과 변속기(무단 변속기(6)) 사이에 로크업 클러치(3)를 갖는 토크 컨버터(4)를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 로크업 클러치(3)의 체결 제어를 행하는 로크업 제어 수단(로크업 제어부(12b), 도 3)과, 로크업 클러치(3)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값 L을 얻는 학습 제어를 행하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수단(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 도 4 내지 도 7)을 구비하고,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수단(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 도 4 내지 도 7)은, 주행 중에 로크업 클러치(3)가 체결 상태로의 이행을 경험할 때에 금회의 학습 검지값 M_n을 취득하면,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학습값 L_(n-1)과 금회의 학습 검지값 M_n의 차에 기초하여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을 산출하고(도 7의 S31), 금회의 검지 오차 E_n에 기초하여 금회의 기본 보정량을 산출하고,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정부의 부호가 동일할 때,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절댓값|E_n-1|이 큰 경우는,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절댓값|E_n-1|이 작은 경우보다, 보정 계수 g(E_(n-1))을 큰 정의 값(보정 계수 g(E_(n-1))>0)이 되는 영역을 갖고(도 13), 금회의 기본 보정량에 보정 계수 g(E_(n-1))을 곱하여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산출하고(도 7의 S32→S33), 전회의 학습값 L_n-1에,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가산한 것을 금회의 학습값 L_n으로 한다(도 7의 S35→S36→S37→S38→S39). 이로 인해, 로크업 클러치(3)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제어를 행할 때, 학습 빈도를 확보하면서도 학습값 L_n의 참값에 대한 유지성과 참값에 대한 수렴성을 달성할 수 있다.
(2)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수단(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 도 4 내지 도 7)은, 보정 계수 g(E_(n-1))을,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절댓값|E_n-1|이 큰 값으로부터 작은 값을 향함에 따라 작게 설정하는 보정 계수 설정부(도 13)를 갖는다. 이로 인해, (1)의 효과 외에도, 학습값 L_n이 참값으로부터 괴리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참값에 대한 수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학습값 L_n이 참값에 수렴된 후는 학습값 L_n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3)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수단(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 도 4 내지 도 7)은, 기본 보정량(기본 보정압 f(E_n))을,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의 절댓값|E_n|이 소정값 이상인 영역일 때, 금회의 검지 오차 E_n보다 작은 일정 보정값에 의해 부여하고,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의 절댓값|E_n|이 소정값보다 작은 영역일 때,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의 절댓값|E_n|이 작아질수록 일정 보정값으로부터 서서히 작아지는 가변 보정값에 의해 부여한다(도 12). 이로 인해, (1) 또는 (2)의 효과 외에도, 금회의 검지 오차 E_n의 절댓값|E_n|이 소정값보다 작은 영역일 때에도, 가변 보정값에 의해 학습값 L_n의 보정을 행함으로써, 학습값 L_n의 참값에 대한 수렴성이 향상되고, 참값과의 괴리폭을 억제한 학습값 L_n을 얻을 수 있다.
(4)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수단(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 도 4 내지 도 7)은, 금회의 검지 오차 E_n과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정부의 부호가 상이한 경우, 학습값 보정량을 제로로 하고(도 7의 S32→S34), 전회의 학습값 L_n-1을, 그대로 유지하여 금회의 학습값 L_n으로 한다(도 7의 S34→S35→S36→S37→S38→S39). 이로 인해, (1) 내지 (3)의 효과 외에도, 금회와 전회의 검지 오차 E_n, E_n-1이 상이한 방향의 부호일 때, 전회의 학습값 L_n-1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학습 검지값 M_n, M_n-1의 오검지가 배제되어, 학습값 L_n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5) 로크업 제어 수단(로크업 제어부(12b), 도 3)은, 로크업 클러치(3)를 체결할 때, 로크업 클러치(3)에 공급할 다음번의 초기압 P_(n+1)을,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수단(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 도 4 내지 도 7)에 의해 취득된 금회의 학습값 L_n으로부터 오프셋압을 차감함으로써 산출한다. 이로 인해, (1) 내지 (4)의 효과 외에도, 제조 변동이나 경년 변화가 있어도, LU 체결 요구로부터 클러치 전달 토크의 발생까지 요하는 시간이 짧은 일정 시간이 되어, 안정된 로크업 클러치(3)의 체결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학습값 L_n을 오프셋하여 초기압 P_(n+1)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초기압 P_(n+1)이 로크업 클러치(3)의 체결압보다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로크업 클러치(3)의 급체결에 의한 차량 거동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6)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 수단(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 도 4 내지 도 7)은, 학습 검지값 M_n을, 엔진 토크(엔진 토크 신호값 Te)와 토크 컨버터 전달 토크(τ×Ne2)의 차분에 기초하여 로크업 전달 토크(LU 전달 토크)를 추정하여(도 4의 S1), 로크업 전달 토크 추정값(LU 전달 토크 추정값)이 상승 경향에 들어갔다고 판단되었을 때의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로 한다(도 5의 S18). 이로 인해, (1) 내지 (5)의 효과 외에도, 로크업 클러치(3)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제어를 행할 때, 학습 빈도를 확보하면서도 오학습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을 실시예 1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 실시예 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설계의 변경이나 추가 등은 허용된다.
실시예 1에서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로서, 로크업 클러치(3)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를 미트 포인트 정보로 하고, LU 명령값에 의한 미트 포인트의 학습값 L_n을 얻는 학습 제어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로서는,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를 미트 포인트 정보로 하고, LU 명령값에 의한 초기압의 학습값을 얻는 학습 제어를 행하는 예로 해도 된다. 또한, LU 명령값의 기울기 학습값을 얻는 학습 제어를 행하는 예로 해도 된다. 또한, 초기압의 학습값 및 LU 명령값의 기울기 학습값을 얻는 학습 제어를 행하는 예로 해도 된다.
실시예 1에서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로서, 미트 포인트 추정압 LUPRSEDGE#에 의한 검증 결과로 타당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미트 포인트 검지압 LUPRSEDGE에 기초하여 학습값 L을 얻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로서는, 이미 기억되어 있는 미트 포인트 학습값과의 괴리폭 조건 등과 같이, 미트 포인트 추정압 이외의 조건에 의해 검증하고, 검증 결과로 타당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미트 포인트 검지압에 기초하여 학습값을 얻는 예로 해도 된다. 또한,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로서는,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을 엄격하게 함으로써 검증을 생략하고, 학습값 갱신 허가 조건이 성립되면 미트 포인트 검지압에 기초하여 학습값을 얻는 예로 해도 된다.
실시예 1에서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로서, 기본 보정압 f(E_n)과 보정 계수 g(E_(n-1))을 가변값에 의해 부여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12c)로서는, 기본 보정압 f(E_n)을 일정값으로 부여하고, 보정 계수 g(E_(n-1))을 가변값에 의해 부여하는 예로 해도 된다. 또한, 전회의 검지 오차 E_n-1의 크기에 의해, 단계적으로 학습값 보정량을 변화시키는 예로 해도 된다.
실시예 1에서는, 본 발명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을, 무단 변속기를 탑재한 엔진 차에 적용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은, 구동원에 엔진이 탑재된 차량이면, 하이브리드 차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고, 변속기로서도, 유단계의 자동 변속을 행하는 유단 변속기여도 된다. 요컨대, 로크업 클러치를 갖는 토크 컨버터를,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구비한 차량이면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로크업 클러치를 갖는 토크 컨버터를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 제어를 행하는 로크업 제어부와,
    상기 로크업 클러치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값을 얻는 학습 제어를 행하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는, 주행 중에 상기 로크업 클러치가 체결 상태로의 이행을 경험할 때에 금회의 학습 검지값을 취득하면,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학습값과 금회의 학습 검지값의 차에 기초하여 금회의 검지 오차를 산출하고,
    상기 금회의 검지 오차에 기초하여 금회의 기본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금회의 검지 오차와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정부의 부호가 동일할 때,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큰 경우는 작은 경우보다, 보정 계수를 큰 값으로 하고,
    상기 금회의 기본 보정량에 상기 보정 계수를 곱하여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전회의 학습값에, 상기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가산한 것을 금회의 학습값으로 하는,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는, 상기 보정 계수를, 상기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큰 값으로부터 작은 값을 향함에 따라 작게 설정하는 보정 계수 설정부를 갖는,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는, 상기 기본 보정량을, 금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소정값 이상인 영역일 때, 금회의 검지 오차보다 작은 일정 보정값에 의해 부여하고, 금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소정값보다 작은 영역일 때, 금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작아질수록 일정 보정값으로부터 서서히 작아지는 가변 보정값에 의해 부여하는,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는, 상기 금회의 검지 오차와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정부의 부호가 상이한 경우, 학습값 보정량을 제로로 하고,
    상기 전회의 학습값을, 그대로 유지하여 금회의 학습값으로 하는,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업 제어부는, 상기 로크업 클러치를 체결할 때, 상기 로크업 클러치에 공급하는 다음번의 초기압을, 상기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에 의해 취득된 금회의 학습값으로부터 오프셋압을 차감함으로써 산출하는,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는, 상기 학습 검지값을, 엔진 토크와 토크 컨버터 전달 토크의 차분에 기초하여 로크업 전달 토크를 추정하고, 로크업 전달 토크 추정값이 상승 경향에 들어갔다고 판단되었을 때의 미트 포인트 검지압으로 하는,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7.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로크업 클러치를 갖는 토크 컨버터를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체결 제어를 행하는 로크업 제어부와,
    상기 로크업 클러치가 토크 전달을 개시하는 미트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값을 얻는 학습 제어를 행하는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트 포인트 학습 제어부는, 주행 중에 상기 로크업 클러치가 체결 상태로의 이행을 경험할 때에 금회의 학습 검지값을 취득하면,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학습값과 금회의 학습 검지값의 차에 기초하여 금회의 검지 오차를 산출하고,
    상기 금회의 검지 오차에 기초하여 금회의 기본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금회의 검지 오차와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정부의 부호가 동일할 때, 전회의 검지 오차의 절댓값이 큰 경우는 작은 경우보다, 보정 계수를 큰 값으로 하고,
    상기 금회의 기본 보정량에 상기 보정 계수를 곱하여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전회의 학습값에, 상기 금회의 학습값 보정량을 가산한 것을 금회의 학습값으로 하는,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
KR1020187006137A 2015-09-11 2016-08-31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 KR102000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0175 2015-09-11
JP2015180175 2015-09-11
PCT/JP2016/075395 WO2017043381A1 (ja) 2015-09-11 2016-08-31 車両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及び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231A KR20180037231A (ko) 2018-04-11
KR102000892B1 true KR102000892B1 (ko) 2019-07-16

Family

ID=5823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137A KR102000892B1 (ko) 2015-09-11 2016-08-31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80648B2 (ko)
EP (1) EP3348879A4 (ko)
JP (1) JP6437124B2 (ko)
KR (1) KR102000892B1 (ko)
CN (1) CN107949732B (ko)
WO (1) WO2017043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2657B2 (ja) * 2017-03-29 2020-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制御装置
CA3069982C (en) * 2017-07-21 2023-08-0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body
KR20200113527A (ko) 2019-03-25 202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기 클러치토크 오학습 방지방법
CN111089166B (zh) * 2020-03-23 2020-07-10 盛瑞传动股份有限公司 液力变矩器的自学习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139A (ja) 2000-05-22 2001-11-3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2002295529A (ja) 2001-03-28 2002-10-09 Isuzu Motors Ltd クラッチのトルク点学習方法
JP2004183704A (ja) 2002-11-29 2004-07-02 Toyota Motor Corp 無段変速機構を含む駆動系統の制御装置
JP2004257297A (ja) 2003-02-25 2004-09-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JP2005291174A (ja) 2004-04-05 2005-10-20 Denso Corp 車両用エンジンのトルク制御装置
JP2006336740A (ja) 2005-06-01 2006-12-14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2007162810A (ja) 2005-12-13 2007-06-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JP2011161982A (ja) 2010-02-05 2011-08-25 Honda Motor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JP2012021549A (ja) 2010-07-12 2012-02-02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174A (en) * 1990-04-04 1994-08-02 Zexel Corporation Correcting method for data used for control operation of vehicular clutch
JP3191632B2 (ja) * 1995-08-09 2001-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直結クラッチ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4182972B2 (ja) * 2005-10-17 2008-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構を含む駆動系統の制御装置
JP5031052B2 (ja) * 2010-03-16 2012-09-19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8548699B2 (en) * 2010-05-25 2013-10-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control of transmission fluid operating pressures
JP5839396B2 (ja) * 2011-12-27 2016-01-0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
JP6187057B2 (ja) * 2013-09-09 2017-08-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6187058B2 (ja) * 2013-09-09 2017-08-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139A (ja) 2000-05-22 2001-11-3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2002295529A (ja) 2001-03-28 2002-10-09 Isuzu Motors Ltd クラッチのトルク点学習方法
JP2004183704A (ja) 2002-11-29 2004-07-02 Toyota Motor Corp 無段変速機構を含む駆動系統の制御装置
JP2004257297A (ja) 2003-02-25 2004-09-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JP2005291174A (ja) 2004-04-05 2005-10-20 Denso Corp 車両用エンジンのトルク制御装置
JP2006336740A (ja) 2005-06-01 2006-12-14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2007162810A (ja) 2005-12-13 2007-06-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JP2011161982A (ja) 2010-02-05 2011-08-25 Honda Motor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JP2012021549A (ja) 2010-07-12 2012-02-02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49732B (zh) 2019-09-27
KR20180037231A (ko) 2018-04-11
EP3348879A1 (en) 2018-07-18
EP3348879A4 (en) 2018-09-19
WO2017043381A1 (ja) 2017-03-16
JPWO2017043381A1 (ja) 2018-06-07
JP6437124B2 (ja) 2018-12-12
US10480648B2 (en) 2019-11-19
US20180245689A1 (en) 2018-08-30
CN107949732A (zh)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892B1 (ko)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
KR20180037248A (ko)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
US9897625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meter
EP3190316B1 (en) Lock-up clutch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2042951B1 (ko) 차량의 로크업 제어 장치
KR101565162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US8924106B2 (en) Control apparatus of automatic transmission
JP2005291345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5042742A (ja) 車両の発進制御装置
KR101992072B1 (ko) 차량의 로크업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 방법
JP5789839B2 (ja)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101749829B1 (ko) 타력주행 중 변속기의 중립제어방법 및 장치
JP4375796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2008267609A (ja) 車両の発進制御装置
JP2005106244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488993B2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5033006B2 (ja) 自動変速機のニュートラル制御装置
JP2004270814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04324893A (ja) 車両用直結クラッチ付流体伝動装置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2010164139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8256223A (ja) 車両の発進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