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855B1 -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855B1
KR101996855B1 KR1020180107781A KR20180107781A KR101996855B1 KR 101996855 B1 KR101996855 B1 KR 101996855B1 KR 1020180107781 A KR1020180107781 A KR 1020180107781A KR 20180107781 A KR20180107781 A KR 20180107781A KR 101996855 B1 KR101996855 B1 KR 10199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clad material
bending
unit
mand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철
Original Assignee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클래드코리아원주 주식회사
씨알에이파이핑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클래드코리아원주 주식회사, 씨알에이파이핑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 B23K9/0253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for the longitudinal seam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29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situated alongside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7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non-consumabl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06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6Composite materials, e.g. fibre reinforced
    • B23K2103/166Multilayer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작업 시 용접되는 부위의 양측을 견고하게 눌러 고정함으로써 진동에 따른 용접불량을 해소하면서 용접유닛과 파지유닛이 연동되어 굽힘 클래드재를 순차적으로 파지함으로써 용접부의 응력분산을 통한 안정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는 원통형의 굽힘 클래드재가 삽입되어 굽힘 클래드재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용접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하는 맨드릴,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맞대기면을 따라 용접을 진행하는 용접토치 및 상기 용접토치의 일측에 상기 맨드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용접토치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주행레일을 포함하는 용접유닛,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일정 구간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복수개의 파지유닛, 및 상기 굽힘 클래드재가 상기 맨드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맨드릴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맨드릴 및 상기 파지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CLAD PIPE}
본 발명은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래드 배관의 제작 시 원통형의 굽힘 클래드재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하고, 용접유닛과 파지유닛이 연동되어 일정 구간의 굽힘 클래드재를 순차적으로 파지함으로써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 클래드 배관의 제작 작업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래드 판재 또는 클래드재 라는 것은 서로 다른 재료의 판재를 면 접합한 것으로 용도에 따라 Cu-Al, STS-Al, STS-Cu, Ti-Al, Mg-Al 등의 2겹(ply)과 STS/Al/STS, Ti/Al/STS 등의 3겹 등 다양한 재료의 조합과 복수의 층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클래드 판재 또는 클래드재를 이용하여 배관 또는 튜브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용접 또는 접합을 실시해야 한다. 용접을 위하여 굽혀진 클래드 판재 또는 클래드재(이하, 굽힘 클래드재라 함)는 티그(TIG; tungsten insert gas) 방식으로 용접된다. 티그 용접은 용융점이 가장 높은 텅스텐 전극 봉과 판재 사이에 아크를 일으켜서 용접하고, 용접 중 이음매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용접부위의 산화와 질화를 막기 위하여 불활성 기체(inert gas)(예를 들어, 아르곤, 헬륨 등)를 용접부위로 분사하는 용접 방식이다.
이러한 티그 용접은 용접 작업과 용접부위에 대하여 높은 품질과 신뢰도가 요구되는 용접 구조물의 용접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굽힘 클래드재를 이용하여 클래드 배관을 제작하는 경우, 클래드 배관 제조설비의 맨드릴에 원통형으로 굽힘 클래드재를 삽입한 후, 상기 굽힘 클래드재를 파지장치로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용접토치가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연결부를 지나면서 용접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클래드 배관 제조설비에 의하면, 굽힘 클래드재를 용접하기 위해 상기 파지장치를 이용하여 용접기간과 용접기간을 전/후한 일정기간 동안 용접물이 움직이거나 유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히 잡아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관 제조설비는 용접물의 고정이 불안정하고, 파지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지장치는 단순히 굽힘 클래드재를 고정하고 있을 뿐 별다른 기능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클래드 배관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일정 길이를 갖는 굽힘 클래드재의 경우에는 굽힘 클래드재를 구간별로 효과적으로 파지를 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배관 제조설비로는 이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3214호(발명의 명칭 : 클래드재 파이프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공구, 2014. 02. 0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8046호(발명의 명칭 : 파이프 용접물 고정장치, 2017. 02. 1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작업 시 용접되는 부위의 양측을 견고하게 눌러 고정함으로써 진동에 따른 용접불량을 해소하면서 용접유닛과 파지유닛이 연동되어 굽힘 클래드재를 순차적으로 파지함으로써 용접부의 응력분산을 통한 안정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는 원통형의 굽힘 클래드재가 삽입되어 굽힘 클래드재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용접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하는 맨드릴,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맞대기면을 따라 용접을 진행하는 용접토치 및 상기 용접토치의 일측에 상기 맨드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용접토치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주행레일을 포함하는 용접유닛,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일정 구간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복수개의 파지유닛, 및 상기 굽힘 클래드재가 상기 맨드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맨드릴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맨드릴 및 상기 파지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를 용접하는 상기 용접유닛과 상기 파지유닛이 연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용접토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파지유닛이 순차적으로 상기 굽힘 클래드재를 파지하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용접토치의 이동거리를 계산한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용접토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파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용접유닛에 의한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 후,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냉각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파지를 해제하는 구조이다.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용접토치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부 외측을 눌러 용접 시 상기 굽힘 클래드재를 고정하는 고정대, 및 상기 지지레일과 상기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가 상기 굽힘 클래드재를 탄력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지지레일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복수개의 위치감지센서, 상기 고정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크기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상기 고정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 및 상기 고정대에 연결 설치되고, 유압 모터의 동력으로 신장되어 상기 고정대를 상기 굽힘 클래드재에 밀어 고정하는 유압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에 따르면, 클래드 배관의 제작 시 굽힘 클래드재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하여 제작되는 클래드 배관의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접작업 시 발생하는 굽힘 클래드재의 진동을 잡아주어 용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이 용접유닛과 연동되어 굽힘 클래드재를 순차적으로 파지함으로써 용접부의 응력분산을 통한 안정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 시 정확한 파지유닛의 제어를 통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이 클래드 배관의 크기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클래드 배관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로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을 수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이 굽힘 클래드재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이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부 주변을 눌러 고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배관 용접용 제조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로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을 수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1)는 원통형의 굽힘 클래드재(P)를 이용하여 클래드 배관을 제작하는 것으로, 맨드릴(10)과, 용접유닛(20), 파지유닛(30), 및 지지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맨드릴(10)은 상기 굽힘 클래드재(P)가 삽입되어 굽힘 클래드재(P)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용접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맨드릴(10)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굽힘 클래드재(P)를 고정한 상태로 용접을 하게 되고, 용접작업 시 아르곤 가스를 용접부위에 공급할 수 있고, 용접 완료 후, 클래드 배관의 냉각을 위하여 냉각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용접유닛(20)은 상기 맨드릴(10)의 상부에 용접토치(21)가 배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P)의 맞대기면을 따라 용접을 진행하고, 상기 용접토치(21)의 일측에 상기 맨드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레일(22)이 설치되어 용접토치(21)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용접유닛(20)의 용접토치(21)가 주행레일(22)을 타고 상기 맨드릴(10)의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맨드릴(10)에 고정된 상기 굽힘 클래드재(P)의 맞대기면을 용접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유닛(30)은 상기 맨드릴(10)의 상부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P)의 일정 구간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파지유닛(30)은 상기 용접유닛(20)의 용접토치(21)와 연동되면서 용접토치(21)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굽힘 클래드재(P)의 파지 부위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파지유닛(30)은 용접되는 굽힘 클래드재(P)의 상부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굽힘 클래드재(P)의 용접구간에 따라 굽힘 클래드재(P)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파지유닛(30)은 굽힘 클래드재(P)의 맞대기면 용접 시 용접부위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굽힘 클래드재(P)의 맞대기면 양측을 눌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40)은 굽힘 클래드재(P)가 상기 맨드릴(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맨드릴(10)의 하부로 이동되어 맨드릴(10) 및 상기 파지유닛(30)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유닛(40)은 상기 맨드릴(10)에 굽힘 클래드재(P)가 삽입 고정되면, 초기 위치에서 상기 맨드릴(10)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굽힘 클래드재(P)의 용접작업이 완료되면 본래의 초기위치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1)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파지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P)를 용접하는 상기 용접유닛(20)과 파지유닛(30)이 연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용접토치(21)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파지유닛(30)이 순차적으로 상기 굽힘 클래드재(P)를 파지하도록 상기 제어부(50)가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지유닛(30)은 상기 용접토치(21)의 이동거리를 계산한 상기 제어부(5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용접토치(21)의 위치를 기준으로 굽힘 클래드재(P)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파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파지유닛(30)이 일정 구간을 갖는 굽힘 클래드재(P)의 전방과 후방을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균일한 용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파지유닛(30)은 굽힘 클래드재(P)의 용접 후, 굽힘 클래드재(P)의 냉각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50)의 신호에 의해 굽힘 클래드재(P)의 파지를 해제하는 구조로서, 상기 파지유닛(30)은 상기 제어부(50)의 신호로 굽힘 클래드재 전체에 대해 일정 구간의 굽힘 클래드재(P)를 순차적으로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용접이 완료된 후, 굽힘 클래드재(P)의 냉각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파지유닛(30)의 파지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파지상태의 해제는 굽힘 클래드재(P)의 구간별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50)를 통해 상기 파지유닛(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용접토치(21)의 위치에 따라 상기 파지유닛(30)이 순차적으로 굽힘 클래드재(P)를 파지할 수 있다. 일정한 구간의 굽힘 클래드재(P)를 상기 파지유닛(30)을 통해 견고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용접 시 발생하는 용접부위의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제작되는 클래드 배관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이 굽힘 클래드재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이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부 주변을 눌러 고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1)의 파지유닛(30)은 용접되는 굽힘 클래드재(P)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모아주는 것으로, 상기 파지유닛은 지지레일(31)과, 고정대(32), 및 연결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일(31)은 용접토치(2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어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레일(31)은 맨드릴(1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32) 및 연결부재(3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맨드릴(10)을 중심으로 그 상부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지지레일(31)은 상기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1)의 지지유닛(40)에 의해 지지되는 바, 상기 맨드릴(10)에 굽힘 클래드재(P)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유닛(40)이 맨드릴(10)의 하부로 이동되어 각각의 지지레일(31)과 맨드릴(10)을 동시에 지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대(32)는 지지레일(31)의 하부에 설치되어 굽힘 클래드재(P)의 용접부 외측을 눌러 용접 시 굽힘 클래드재(P)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대(32)는 직접 굽힘 클래드재(P)의 양측을 눌러 굽힘 클래드재(P)의 양 단부가 서로 접촉되게 한다.
상기 연결부재(33)는 지지레일(31)과 고정대(32)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대(32)가 굽힘 클래드재(P)를 탄력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3)를 통해 용접작업 시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잡아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배관 용접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1)의 파지유닛(30)은 상기 지지레일(31)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용접토치(21)의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제어부(50)에 신호를 보내는 복수개의 위치감지센서(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34)가 굽힘 클래드재(P)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용접토치(21)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에 신호를 보내줌으로써 제어부(50)가 상기 파지유닛(30)을 작동시켜 용접되는 굽힘 클래드재(P)를 구간별로 잡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유닛(30)은 상기 고정대(32)에 연결 설치되어 굽힘 클래드재(P)의 직경 크기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상기 고정대(32)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재(35)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굽힘 클래드재(P)를 고정하는 것으로, 대형 굽힘 클래드재(P(max))의 경우, 상기 위치조절부재(35)를 후진시켜 상기 고정대(32)와 고정대(32)의 사이 거리를 넓혀준 상태로 대형 굽힘 클래드재(P(max))를 고정할 수 있다. 소형 굽힘 클래드재(P(min))의 경우, 상기 위치조절부재(35)를 전진시켜 상기 고정대(32)와 고정대(32) 사이의 거리를 좁혀준 상태로 소형 굽힘 클래드재(P(min))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유닛(30)은 상기 고정대(32)에 연결 설치되고, 유압 모터(36)의 동력으로 신장되어 상기 고정대(32)를 굽힘 클래드재(P)에 밀어 고정하는 유압 실린더(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37)의 동작으로 상기 고정대(32)가 굽힘 클래드재(P)에 접촉되어 굽힘 클래드재(P)를 누르거나 굽힘 클래드재(P)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굽힘 클래드재(P)의 파지가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지유닛(30)을 이루는 유압 실린더(37)와 고정대(32)의 동작으로 굽힘 클래드재(P)의 양 단부를 눌러 굽힘 클래드재(P) 양 단부가 서로 밀착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용접토치(21)가 굽힘 클래드재(P)의 접촉된 부위인 용접부를 지나면서 용접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유닛(30)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부재(33)는 상기 지지레일(31)에 대해 상기 고정대(32)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3)는 상기 지지레일(31)에 연결되는 제1 연결로드(33a)와, 상기 고정대(32)에 연결되는 제2 연결로드(33b), 및 상기 제1 연결로드(33a)와 상기 제2 연결로드(33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32)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복귀 스프링(3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37)의 동작으로 상기 고정대(32)를 눌러 굽힘 클래드재(P)를 파지한 후, 용접작업이 마무리되어 굽힘 클래드재(P)의 파지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유압 모터(36)의 동력이 끊어지면서 유압 실린더(37)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귀 스프링(33c)의 복원력으로 상기 고정대(32)가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33)의 복귀 스프링(33c)을 통해 배관을 탄력적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 용접 시 발생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1)를 통해 굽힘 클래드재(P)의 용접 시 굽힘 클래드재(P)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하여 제작되는 클래드 배관의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접작업 시 발생하는 굽힘 클래드재(P)의 진동을 잡아주어 용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유닛(30)이 용접토치(21)와 연동되어 굽힘 클래드재(P)를 순차적으로 파지함으로써 용접부의 응력분산을 통한 안정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굽힘 클래드(P) 용접 시 정확한 파지유닛의 제어를 통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1)의 파지유닛(30)이 제작되는 클래드 배관의 크기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클래드 배관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10: 맨드릴
20: 용접유닛 21: 용접토치
22: 주행레일 30: 파지유닛
31: 지지레일 32: 고정대
33: 연결부재 33a: 제1 연결로드
33b: 제2 연결로드 33c: 복귀 스프링
34: 위치감지센서 35: 위치조절부재
36: 유압 모터 37: 유압 실린더
40: 지지유닛 50: 제어부
P, P(max), P(min): 굽힘 클래드재

Claims (6)

  1. 원통형의 굽힘 클래드재가 삽입되어 굽힘 클래드재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용접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하는 맨드릴;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맞대기면을 따라 용접을 진행하는 용접토치, 및 상기 용접토치의 일측에 상기 맨드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용접토치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주행레일을 포함하는 용접유닛;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일정 구간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복수개의 파지유닛; 및 상기 굽힘 클래드재가 상기 맨드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맨드릴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맨드릴과 상기 파지유닛을 함께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용접토치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부 외측을 눌러 용접 시 상기 굽힘 클래드재를 고정하는 고정대, 및 상기 지지레일과 상기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가 상기 굽힘 클래드재를 탄력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레일에 연결되는 제1 연결로드와, 상기 고정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로드, 및 상기 제1 연결로드와 상기 제2 연결로드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를 용접하는 상기 용접유닛과 상기 파지유닛이 연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용접토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파지유닛이 순차적으로 상기 굽힘 클래드재를 파지하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용접토치의 이동거리를 계산한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용접토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파지하는 구조의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용접유닛에 의한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용접 후,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냉각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파지를 해제하는 구조의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지지레일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복수개의 위치감지센서, 상기 고정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굽힘 클래드재의 크기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상기 고정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 및 상기 고정대에 연결 설치되고, 유압 모터의 동력으로 신장되어 상기 고정대를 상기 굽힘 클래드재에 밀어 고정하는 유압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KR1020180107781A 2018-09-10 2018-09-10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KR10199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781A KR101996855B1 (ko) 2018-09-10 2018-09-10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781A KR101996855B1 (ko) 2018-09-10 2018-09-10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855B1 true KR101996855B1 (ko) 2019-07-05

Family

ID=6722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781A KR101996855B1 (ko) 2018-09-10 2018-09-10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8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840A (ja) * 2007-12-13 2009-07-02 Akihisa Murata パイプの溶接方法及びパイプの水平自動溶接装置
KR20140013214A (ko) 2012-07-20 2014-02-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클래드재 파이프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공구
KR20140050228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세탁기 드럼 접합용 티그 용접기
KR101708046B1 (ko) 2016-07-25 2017-02-17 주식회사 디에이치피 파이프 용접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840A (ja) * 2007-12-13 2009-07-02 Akihisa Murata パイプの溶接方法及びパイプの水平自動溶接装置
KR20140013214A (ko) 2012-07-20 2014-02-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클래드재 파이프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공구
KR20140050228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세탁기 드럼 접합용 티그 용접기
KR101708046B1 (ko) 2016-07-25 2017-02-17 주식회사 디에이치피 파이프 용접물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593B2 (en) Friction stir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5043625B2 (ja) パイプの溶接方法
US201802219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homogeneously welding two-dimensionally bent structures by friction stir welding
US119191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tt-welding workpieces
KR101331424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JP2018140428A (ja) 梯子製造装置及び梯子製造方法
KR101996855B1 (ko) 클래드 배관 제조장치
KR101996856B1 (ko) 파지장치를 이용한 클래드 배관 제조방법
JP2006051531A (ja) 水平型自動溶接装置
KR20200029346A (ko) 클래드 배관 용접용 파지장치
JPS60238089A (ja) ボイラヘツダ溶接ロボツト装置
KR101317324B1 (ko) 튜브 핀 결합체의 레일형 용접 장치
JP2012016897A (ja) 樹脂管融着装置
KR101327813B1 (ko) 파이프 자동 용접장치
CN215787656U (zh) 一种焊接装置
JP4646605B2 (ja) アーク溶接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2905355B2 (ja) 配管溶接装置
JP2524517B2 (ja) パネル形成装置及び方法
JP2552971B2 (ja) 溶接トーチ用ワイヤ送給ガイドパイプを有する溶接装置
JPH0242013B2 (ko)
JP2014124660A (ja) 自動ろう付け装置
KR101477227B1 (ko) 전기 압접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9980073187A (ko) 스트립의 용접부 자동점검장치
JP2001259890A (ja) 棒材溶接用治具
JP2000033476A (ja) パイプ状ワークの溶接方法及び自動溶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