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821B1 -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821B1
KR101996821B1 KR1020170148219A KR20170148219A KR101996821B1 KR 101996821 B1 KR101996821 B1 KR 101996821B1 KR 1020170148219 A KR1020170148219 A KR 1020170148219A KR 20170148219 A KR20170148219 A KR 20170148219A KR 101996821 B1 KR101996821 B1 KR 101996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ode
vehicle
conso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497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8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3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occupant comf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율 주행 차량에서 탑승자로부터 탑승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수신 단계, 및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모드에 따라 차량의 전방에 구비된 제1시트 및 제2시트를 제어하는 전방 시트 제어 단계를 포함하여 휴식 모드에서는 운전자에게 넓은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홈 모드에서는 탑승자가 마주보며 대화를 나누며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사무실 모드에서는 탑승자가 마주보며 회의가 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RIDE MODE SWITCH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주행 중 탑승자 휴식을 취하거나 업무 수행 시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하여 차량의 시트와 콘솔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제어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자동차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수요자의 욕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의 하나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향휠을 잡고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더욱더 발전하여 운전자가 조향휠을 잡지 않고, 자동차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 시스템은 직접 운전자가 직접 운전할 수도 있지만, 졸리거나 운전자가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서 자동차가 스스로 주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자율주행 시스템 차량은 자율주행시 운전자가 조작해야 하는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에게 업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할 때 운전자 모드시에 운전자가 조작해야 하는 조향휠이 운전자 앞까지 위치되어 있어 운전자가 업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하는데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중에 회의를 진행할 경우 실내가 좁아서 매우 불편하고, 운전자는 회의에 거의 참여하지 못하는 것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에서는 여러 명이 탑승한 경우에 탑승자 전원이 차량의 전진 방향을 바라보도록 시트가 배치되었고, 특히 운전자는 후방의 탑승자와 마주보고 대화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자율주행 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전방의 좌석이 반드시 차량의 전진방향을 향하여 배치될 필요성이 감소하였으며, 레저용 차량 또는 이동 회의실과 같이 움직이는 집 또는 사무실의 개념으로 자율주행 차량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시키는 기술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공간적인 제한이 있는 차량의 실내에 있어서, 차량의 각 장치들을 재배치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80287호(2017.09.21 공고) 모터 컨트롤러, 상기 모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메모리 전동 시트 및 이의 동작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탑승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전방 시트,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및 후방 시트를 제어하여 공간을 재배치시키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은 자율 주행 차량에서 탑승자로부터 탑승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수신 단계, 및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모드에 따라 차량의 전방에 구비된 제1시트 및 제2시트를 제어하는 전방 시트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모드에 따라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제어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모드에 따라 차량의 콘솔을 제어하는 콘솔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모드에 따라 차량의 후방 시트를 제어하는 후방 시트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는, 탑승자가 휴식 모드, 홈 모드, 사무실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탑승자가 선택한 모드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휴식 모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시트 및 제2시트를 차량의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휴식 슬라이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제1시트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상기 제1시트의 시트백을 틸팅시키는 휴식 틸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홈 모드 또는 사무실 모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시트를 상기 제1시트보다 멀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간격 슬라이딩 단계, 및 상기 제1시트를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제1시트 회전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홈 모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 후에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를 교차시키도록 상기 제1시트를 차량의 후방(상기 제1시트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시트를 차량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교차 슬라이드 단계, 및 상기 제2시트를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제2시트 회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간격 슬라이딩 단계 전에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준비 슬라이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제2시트 회전 단계 후,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차량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배치 슬라이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는 상기 제1시트의 시트백을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0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틸팅시키는 제1회전 틸팅 단계, 상기 제1회전 틸팅 단계 후, 상기 제1시트의 시트쿠션을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제1회전 단계, 및 상기 제1회전 단계 후 상기 제1시트의 시트백 각도를 복귀시키도록 틸팅시키는 제1복원 틸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시트 회전 단계는 상기 제2시트의 시트백을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0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틸팅시키는 제2회전 틸팅 단계, 상기 제2회전 틸팅 단계 후 상기 제2시트의 시트쿠션을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제2회전 단계, 및 상기 제2회전 단계 후 상기 제2시트의 시트백 각도를 복귀시키도록 틸팅시키는 제2복원 틸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에서는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가 550mm 이상, 700mm 이하의 거리만큼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시트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시트 회전 단계에서는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가 550mm 이상, 700mm 이하의 거리만큼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시트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부로 넣는 스티어링 휠 제거 단계, 차량의 센터페시아를 회전시켜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는 상기 센터페시아의 면을 변경시키는 센터페시아 회전 단계, 및 차량의 카메라에 촬영되는 화면을 확인하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접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폴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콘솔 제어 단계는 상기 간격 슬라이딩 단계 전 차량의 콘솔을 차량 실내의 후방 단부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콘솔 정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콘솔 제어 단계는 상기 콘솔 정리 단계를 거친 상기 콘솔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되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 및 차량의 후방 시트의 사이에 상기 콘솔이 배치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콘솔 재배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콘솔 제어 단계는 상기 콘솔 재배치 단계를 거친 상기 콘솔을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콘솔 상승 단계, 상기 콘솔의 측면에 내장된 테이블을 꺼내어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의 전면에 배치시키는 테이블 셋팅 단계, 및 상기 콘솔의 상판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콘솔에 내장된 컵홀더를 노출시키는 컵홀더 셋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간격 슬라이딩 단계 전에 차량의 두 개의 후방 시트를 차량의 후방으로 더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후방 시트 정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후방 시트 정리 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후방 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후방 시트 재배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홈 모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후방 시트 재배치 단계 후 상기 후방 시트의 탑승자가 다리를 펴고 등 뒤로 기대도록 상기 후방 시트의 시트 백과 시트 쿠션 및 레그레스트를 틸팅시키는 후방 시트 틸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시트, 상기 제2시트,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기 콘솔 및 상기 후방 시트를 미리 입력된 기본 모드의 위치 및 상태로 복귀시키는 모드 복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모드 복귀 단계는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 상기 인스트루먼트 제어 단계, 상기 콘솔 제어 단계 및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를 수행한 후, 탑승자로부터 새로운 모드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드 복귀 단계는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 상기 인스트루먼트 제어 단계, 상기 콘솔 제어 단계 및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를 수행한 후, 탑승자로부터 기본 모드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콘솔 제어 단계는 상기 콘솔을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콘솔 상승 단계, 상기 콘솔의 측면에 내장된 테이블을 꺼내어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의 전면에 배치시키는 테이블 셋팅 단계, 및 상기 콘솔의 상판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콘솔에 내장된 컵홀더를 노출시키는 컵홀더 셋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사무실 모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 후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차량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배치 슬라이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 의하면, 휴식 모드에서는 운전자에게 넓은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홈 모드에서는 탑승자가 마주보며 대화를 나누며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사무실 모드에서는 탑승자가 마주보며 회의가 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서 탑승 모드 전환시 동작되는 자율주행 차량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모드 관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서 모드 전환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서 탑승자가 휴식 모드를 입력하였을 경우의 모드 전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서 탑승자가 홈 모드를 입력하였을 경우의 모드 전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서 탑승자가 사무실 모드를 입력하였을 경우의 모드 전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서 탑승자가 휴식 모드를 입력하였을 경우의 차량 실내의 배치 전환에 대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서 탑승자가 홈 모드를 입력하였을 경우의 차량 실내의 배치 전환에 대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에서 탑승자가 사무실 모드를 입력하였을 경우의 차량 실내의 배치 전환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의 이해를 위하여 탑승 모드 전환시 동작되는 자율주행 차량의 구성을 블록도로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작동을 위한 자율주행 차량(1)은 제어부(100), 모드 입력부(200), 인스트루먼트 패널(300), 전방 시트(400), 콘솔(500) 및 후방 시트(6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드 입력부(200),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 상기 전방 시트(400), 상기 콘솔(500) 및 상기 후방 시트(600)는 상기 제어부(100)와 서로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어부(100)와 제어 신호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모드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 상기 전방 시트(400), 상기 콘솔(500) 및 상기 후방 시트(6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 상기 전방 시트(400), 상기 콘솔(500) 및 상기 후방 시트(600)로부터 위치 정보 및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드 입력부(200)에 현재의 모드 상태를 송신한다.
상기 모드 입력부(200)는 탑승자가 탑승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탑승 모드가 표시되어 있고, 탑승자가 탑승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에 탑승 모드에 대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모드 입력부(200)에는 현재의 탑승 모드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은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고 차량을 운전하도록 차량의 실내에서 전방(전진 방향)에 배치되고, 패널 본체(310), 스티어링 휠 커버(320), 스티어링 휠(330), 센터페시아(340) 및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350)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 본체(310)는 차량의 실내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 본체(310)에는 스티어링 휠 커버(320), 스티어링 휠(330), 센터페시아(340) 및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350)이 구비되며, 상기 스티어링 휠 커버(320)는 상기 패널 본체(310)에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휠 커버(320)가 열리면 내부에 상기 스티어링 휠(3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 상기 스티어링 휠(330)은 운전자가 차량을 진행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운전석 전방에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상기 스티어링 휠(330)은 상기 스티어링 휠 커버(320)가 열리면 내부의 공간으로 수용되도록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센터페시아(340)는 차량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버튼이 구비되고, 차량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터페시아(340)는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 또는 다각 기둥 형태로 구비되되, 일 면이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센터페시아(340)는 복수 개의 면을 가지고, 탑승자가 상기 센터페시아(340)를 회전시켜 다른 디자인의 면이 보이도록 제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350)은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도면 미기재)에서 촬영된 화면이 보여지도록 차량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350)은 힌지 축을 가지고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100)의 신호에 따라 접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방 시트(400)는 차량의 실내에서 전방(차량의 전진 방향)에 구비되고, 제1시트(410) 및 제2시트(42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시트(410)는 운전석 시트, 상기 제2시트(420)는 보조석 시트로 표현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석 시트와 보조석 시트가 서로 바뀌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시트(410)는 제1시트레일(411), 제1시트이송부(412), 제1시트쿠션(413), 제1시트백(414), 제1시트리클라이너(415) 및 제1시트회전부(41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시트(420)는 제2시트레일(421), 제2시트이송부(422), 제2시트쿠션(423), 제2시트백(424), 제2시트리클라이너(425) 및 제2시트회전부(4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시트레일(411)은 차량 실내의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제1시트이송부(412)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1시트이송부(412)는 상기 제1시트쿠션(413)과 결합되고, 상기 제1시트레일(4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시트이송부(412)는 상기 제1시트레일(4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휠 또는 기어 등이 구비되고, 동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시트쿠션(413)은 상기 제1시트이송부(412) 및 상기 제1시트회전부(416)와 결합되어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시트백(414)과 결합되어 탑승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시트백(414)은 탑승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시트리클라이너(415)를 통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제1시트쿠션(413)과 결합된다. 상기 제1시트리클라이너(415)는 상기 제1시트쿠션(413) 및 상기 제1시트백(414)의 결합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제1시트회전부(416)는 상기 제1시트백(414)에 결합되고, 상기 제1시트백(414)의 방향(차량의 전방 또는 차량의 후방)을 바꿀 수 있도록 회전 축 및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시트레일(421)은 차량 실내의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제2시트이송부(422)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2시트이송부(422)는 상기 제2시트쿠션(423)과 결합되고, 상기 제2시트레일(4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시트이송부(422)는 상기 제2시트레일(4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휠 또는 기어 등이 구비되고, 동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시트쿠션(423)은 상기 제2시트이송부(422) 및 상기 제2시트회전부(426)와 결합되어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시트백(424)과 결합되어 탑승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시트백(424)은 탑승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시트리클라이너(425)를 통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제2시트쿠션(423)과 결합된다. 상기 제2시트리클라이너(425)는 상기 제2시트쿠션(423) 및 상기 제2시트백(424)의 결합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제2시트회전부(416)는 상기 제2시트백(424)에 결합되고, 상기 제2시트백(424)의 방향(차량의 전방 또는 차량의 후방)을 바꿀 수 있도록 회전 축 및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시트레일(411) 및 상기 제2시트레일(421)의 길이는 650mm이상 800mm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70mm이나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콘솔(500)은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의 사이의 공간(차량의 좌우방향에서 중앙)에 배치되되, 콘솔 레일(510), 콘솔 이송부(520), 콘솔 본체(530), 테이블부(540), 콘솔 상판(550), 콘솔 디스플레이(560) 및 컵홀더(570)를 포함한다.
상기 콘솔 레일(510)은 차량의 실내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콘솔 이송부(5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콘솔 이송부(520)은 상기 콘솔 본체(530)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콘솔 레일(5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휠 또는 기어 등이 구비되고, 동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콘솔 이송부(520)는 상기 콘솔 본체(530)를 지면의 수직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콘솔 본체(530)는 다양한 물품을 수용하고,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가 구비되도록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콘솔 본체(5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테이블부(540)가 구비되고, 상기 콘솔 본체(530)의 상측 면에는 상기 콘솔 상판(550), 상기 콘솔 디스플레이(560) 및 상기 컵홀더(570)가 구비된다. 상기 테이블부(540)는 상기 콘솔 본체(530)의 양 측면에 구비되고, 제1테이블커버(541), 제1테이블(542), 제2테이블커버(543) 및 제2테이블(544)을 포함한다. 즉, 상기 콘솔 본체(530)의 양 측면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1테이블커버(541) 및 상기 제2테이블커버(543)가 덮고 있고, 상기 콘솔 본체(530)의 양 측면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제1테이블(542) 및 상기 제2테이블(544)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테이블(542) 및 상기 제2테이블(544)은 힌지 축에 의하여 상기 콘솔 본체(530)에 결합되어 축회전하면서 제1시트(410) 및 제2시트(420)의 전방에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1테이블커버(541) 및 상기 제2테이블커버(543)가 열리고 상기 제1테이블(542) 및 제2테이블(544)이 상기 제1시트(410) 및 제2시트(420)의 앞에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콘솔 본체(530)의 상측 면은 상기 콘솔 디스플레이(56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컵홀더(570)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콘솔 상판(550)에 의하여 덮여있다. 따라서, 상기 콘솔 상판(550)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컵홀더(570)가 외부로 노출되고, 컵 등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솔 디스플레이(56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이 표시되고 또한 차량의 환경에 대해서도 표시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드 입력부(200)가 상기 콘솔 디스플레이(560)에 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리적 버튼 또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솔 레일(510)의 길이는 1400mm이상 1600mm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430mm이나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방 시트(600)는 차량 실내의 후방에 구비되고, 후방시트레일(610), 후방시트이송부(620), 후방시트쿠션(630), 후방시트백(640), 후방시트리클라이너(650) 및 후방시트레그레스트(660)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시트레일(610)은 차량 실내의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시트이송부(62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후방시트이송부(620)는 상기 후방시트쿠션(630)과 결합되고, 상기 후방시트레일(6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후방시트이송부(620)는 상기 후방시트레일(6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휠 또는 기어 등이 구비되고, 동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후방시트쿠션(630)은 상기 후방시트이송부(620)와 결합되어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후방시트백(640)과 결합되어 탑승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후방시트백(640)은 탑승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후방시트리클라이너(650)를 통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시트쿠션(630)과 결합된다. 상기 후방시트리클라이너(650)는 상기 후방시트쿠션(630) 및 상기 후방시트백(640)의 결합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시트레일(610)의 길이는 220mm이상 300mm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40mm이나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은, 기본 모드 단계(S100), 모드 수신 단계(S200), 모드 전환 단계(S300) 및 모드 복귀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모드 단계(S100)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즉, 운전자에 의한 수동 주행 및 자율주행이 모두 가능한 상태이다. 상기 기본 모드 단계(S100)에서는 상기 스티어링 휠(320)이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어 운전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340)은 탑승자가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펼쳐져 있는 상태이다.
상기 기본 모드 단계(S100)에서 상기 전방 시트(400)도 운전자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기본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의 위치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을 손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실내에서 전방 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의 전방 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60mm 이상, 100mm 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70mm로 설정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시트백(414) 및 상기 제2시트백(424)은 각각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23도 이상, 2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어 각각 상기 제1시트쿠션(413) 및 상기 제2시트쿠션(423)과 결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본 모드 단계(S100)에서 상기 콘솔(500)은 상기 제1테이블커버(541), 상기 제2테이블커버(543) 및 상기 콘솔 상판(550)이 모두 닫혀있다. 따라서, 상기 제1테이블(542), 상기 제2테이블(544) 및 상기 컵홀더(570)는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콘솔 디스플레이(560)는 탑승자가 볼 수 있고 제어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 모드 단계(S100)에서 상기 후방 시트(600)는 차량의 후방 쪽에 여유 공간을 두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 시트(600)는 차량의 내부의 후방 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후방 시트(600)의 후방 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180mm이상 200mm 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190mm로 설정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후방 시트 백(640)은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23도 이상, 2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어 상기 후방시트쿠션(630)과 결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모드 수신 단계(S200)에서는 상기 모드 입력부(200)를 통하여 탑승자가 선택한 모드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모드 입력부(200)를 통하여 탑승자가 선택 가능한 모드는 휴식 모드, 홈 모드, 사무실 모드를 포함한다. 이때, 탑승자가 휴식 모드, 홈 모드, 사무실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탑승자가 선택한 모드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100)가 수신한다.
상기 모드 전환 단계(S300)에서는 상기 모드 입력부(200)에 입력된 모드 신호를 상기 제어부(100)가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된 모드에 따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 상기 전방 시트(400), 상기 콘솔(500) 및 상기 후방 시트(600)를 제어한다. 즉, 상기 모드 전환 단계(S30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S310), 전방 시트 제어 단계(S320), 콘솔 제어 단계(S330) 및 후방 시트 제어 단계(S340)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수신 단계(S200)에서 수신된 모드에 따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S310),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S320), 상기 콘솔 제어 단계(S330) 및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S340)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S310)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을 제어하고, 스티어링 휠 제어 단계(S311), 센터페시아 회전 단계(S312) 및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폴딩 단계(S313)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 휠 제어 단계(S311)에서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 커버(320)가 열리고, 상기 스티어링 휠(330)이 상기 패널 본체(310)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하여 수용된다. 그 후 상기 스티어링 휠 커버(320)가 닫힌다. 상기 스티어링 휠 제어 단계(S311)에 의하여 차량 실내의 전방 공간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탑승자의 휴식 공간 및 상기 전방 시트(400)의 회전 공간이 확보된다.
상기 센터페시아 회전 단계(S312)에서는 상기 센터페시아(340)가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센터페시아(340)는 축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면으로 구성되므로, 자율 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노출시킬 필요가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센터페시아(340)를 회전시켜, 휴식이나 레져, 사무환경에 필요한 화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폴딩 단계(S313)에서는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350)이 접히게 된다. 자율 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의 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상을 모니터링 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350)이 접혀 주행 및 탑승 환경을 향상시킨다.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S320)는 상기 전방 시트(400)를 제어하고, 휴식 슬라이딩 단계(S321), 휴식 틸팅 단계(S322), 준비 슬라이딩 단계(S323), 간격 슬라이딩 단계(S324), 제1시트 회전 단계(S325), 교차 슬라이딩 단계(S326), 제2시트 회전 단계(S327), 배치 슬라이딩 단계(S328)를 포함한다.
상기 휴식 슬라이딩 단계(S321)에서는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시트이송부(412) 및 상기 제2시트이송부(421)가 각각 상기 제1시트레일(411) 및 상기 제2시트레일(421)을 따라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를 후방으로 320mm 슬라이드 이동시키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탑승자가 다리를 뻗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휴식 틸팅 단계(S322)에서는 상기 제1시트(410)가 후방으로 젖혀진다. 즉, 상기 제1시트리클라이너(415)에 의하여 상기 제1시트백(414)가 후방으로 젖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시트백(414)은 각각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탑승자의 등 뒤쪽 방향) 33도 이상, 3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어 상기 제1시트쿠션(413)과 결합되도록 젖혀지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탑승자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등받이 각도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시트(410)가 후방으로 젖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가 함께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준비 슬라이딩 단계(S323)에서는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의 회전을 준비하기 위하여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를 후방으로 50mm 슬라이드 이동시키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의 회전 시 탑승자의 무릎이 차량의 실내 부품에 부딪히지 않는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간격 슬라이딩 단계(S324)에서는 상기 제2시트(420)를 상기 제1시트(410)보다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시트(420)를 상기 제1시트(410)보다 후방으로 550mm 슬라이드 이동시키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시트(410)의 회전 시 상기 제1시트(410)의 탑승자와 상기 제2시트(420)의 탑승자가 서로 부딪히지 않는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S325)는 제1회전 틸팅 단계(S325a), 제1회전 단계(325b) 및 제1복원 틸팅 단계(325c)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 틸팅 단계(S325a)에서는 상기 제1시트백(413)이 후방을 향하여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0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1시트리클라이너(415)를 제어한다. 상기 제1시트백(413)이 후방을 향하여(탑승자의 등 뒤쪽)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10도 초과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제1시트(410)의 회전시 탑승자의 머리가 차량의 내장 부품에 부딪힐 수 있다. 상기 제1회전 단계(325b)에서는 상기 제1시트회전부(416)에 의하여 상기 제1시트쿠션(413)이 180도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시트(410)에 앉아있는 탑승자는 차량의 후방을 바라보도록 앉게된다. 상기 제1복원 틸팅 단계(325c)에서는 상기 제1시트백(413)의 각도를 상기 제1회전 틸팅 단계(S325a) 이전의 각도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제1시트리클라이너(415)를 제어한다.
상기 교차 슬라이딩 단계(S326)에서는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S325)를 거친 상기 제1시트(410)와 상기 제2시트(420)를 서로 교차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시트(410)를 차량의 후방(탑승자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시트(420)을 차량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시트(410)를 상기 제2시트(420)보다 차량의 후방으로 550mm 슬라이드 이동시키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시트(420)의 회전 시 상기 제2시트(420)의 탑승자와 상기 제1시트(410)의 탑승자가 서로 부딪히지 않는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2시트 회전 단계(S327)는 제2회전 틸팅 단계(S327a), 제2회전 단계(327b) 및 제2복원 틸팅 단계(327c)를 포함한다. 상기 제2회전 틸팅 단계(S327a)에서는 상기 제2시트백(423)이 후방을 향하여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0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2시트리클라이너(425)를 제어한다. 상기 제2시트백(423)이 후방을 향하여(탑승자의 등 뒤쪽)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1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제2시트(420)의 회전시 탑승자의 머리가 차량의 내장 부품에 부딪힐 수 있다. 상기 제2회전 단계(327b)에서는 상기 제2시트회전부(426)에 의하여 상기 제2시트쿠션(423)이 180도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2시트(420)에 앉아있는 탑승자는 차량의 후방을 바라보도록 앉게된다. 상기 제2복원 틸팅 단계(327c)에서는 상기 제2시트백(423)의 각도를 상기 제2회전 틸팅 단계(S327a) 이전의 각도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제2시트리클라이너(425)를 제어한다.
상기 배치 슬라이딩 단계(S328)에서는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를 차량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실내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시트(410) 및 상기 제2시트(420)의 차량의 전방 측 단부(회전된 시트의 후방 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60mm 이상, 100mm 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70mm로 설정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콘솔 제어 단계(S330)는 상기 콘솔(500)을 제어하고, 콘솔 정리 단계(S331), 콘솔 재배치 단계(S332), 콘솔 상승 단계(S333), 테이블 셋팅 단계(S334), 컵홀더 셋팅 단계(S335)를 포함한다.
상기 콘솔 정리 단계(S331)에서는 차량 실내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던 상기 콘솔(500)을 상기 후방 시트(600)의 사이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콘솔 이송부(520)에 의하여 상기 콘솔 본체(530)가 상기 콘솔 레일(510)을 따라 차량의 후방 끝까지 이동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솔 레일(510)의 길이가 1400mm이상 1600mm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430mm이므로, 상기 콘솔(500)은 상기 콘솔 레일(510)의 차량 후방 측 단부까지 슬라이드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두 개의 상기 후방 시트(6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콘솔 정리 단계(S331)에 의하여 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콘솔(500)이 치워지므로 상기 전방 시트(4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다.
상기 콘솔 재배치 단계(S332)에서는 상기 콘솔(500)을 상기 전방 시트(400)와 상기 후방 시트(600) 사이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솔(500)의 재배치 위치는 차량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550mm이상 65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90mm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전방 시트(400)에 앉은 탑승자 및 상기 후방 시트(600)에 앉은 탑승자가 용이하게 상기 콘솔(500)에 수용되거나 구비된 물건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콘솔 상승 단계(S333)에서는 상기 콘솔(500)이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상승한다. 즉, 상기 콘솔이송부(520)에 의하여 상기 콘솔 본체(530)가 수직 방향으로 상승한다. 상기 콘솔 상승 단계(S333)에 의하여 상기 콘솔(500)에 수용되거나 구비된 물건이 탑승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높이까지 상승하게된다.
상기 테이블 셋팅 단계(S334)에서는 상기 테이블부(540)가 제어된다. 즉, 상기 제1테이블커버(541) 및 상기 제2테이블커버(543)이 열리고, 상기 제1테이블(542) 및 상기 제2테이블(544)이 상기 콘솔 본체(530)의 양 측면에서 펼쳐져 상기 제1시트(400)의 탑승자 또는 상기 제2시트(600)의 탑승자가 사용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컵홀더 셋팅 단계(S335)에서는 상기 콘솔 상판(550)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콘솔 본체(530)에 내장되어 있던 상기 컵홀더(570)가 외부로 노출되고, 탑승자는 상기 컵홀더(570)에 컵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S340)는 두 개의 상기 후방 시트(600)를 제어하고, 후방 시트 정리 단계(S341), 후방 시트 재배치 단계(S342) 및 후방 시트 틸팅 단계(S343)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시트 정리 단계(S341)에서는 상기 후방 시트(600)를 차량의 후방 측 끝까지 이동시킨다. 즉, 상기 후방 시트 쿠션(630)은 상기 후방 시트 이송부(620)에 의하여 상기 후방 시트 레일(610)의 차량 후방 측 단부까지 이동된다. 상기 후방 시트 정리 단계(S341)에 의하여 상기 후방 시트(600)가 더욱 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방 시트(4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다.
상기 후방 시트 재배치 단계(S342)에서는 상기 후방 시트(600)를 상기 후방 시트 정리 단계(S341) 이전의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본 모드 단계(S100)에서 상기 후방 시트(600)의 위치는 차량의 내부의 후방 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후방 시트(600)의 후방 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180mm이상 200mm 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190mm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후방 시트 재배치 단계(S342)에 의하여 상기 기본 모드 단계(S100)에서 설정된 원위치로 복귀된다.
후방 시트 틸팅 단계(S343)에서는 탑승자가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상기 후방 시트 리클라이너(650)를 축으로 상기 후방 시트 백(640)이 탑승자의 머리 뒷쪽으로 틸팅되고, 상기 후방 시트 쿠션(630)도 상기 후방 시트 리클라이너(650)를 축으로 탑승자의 다리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틸팅되며, 상기 후방 시트 레그레스트(660)는 펼쳐지도록 틸팅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후방 시트(600)의 탑승자는 다리를 펴고 등 뒤로 기대어 누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방 시트 백(640)이 상기 기본 모드 단계(100)를 기준으로 탑승자의 머리 뒷쪽으로 30도 더 틸팅되고, 상기 후방 시트 쿠션(630)은 8도 만큼 탑승자의 다리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틸팅되며, 상기 후방 시트 레그레스트(660)는 60도 만큼 펼쳐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탑승자가 편안하게 다리를 펴고 등 뒤로 기대어 누울 수 있는 각도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복귀 단계(S400)에서는 상기 모드 입력부(200)에 새로운 모드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100)가 새로운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 상기 전방 시트(400), 상기 콘솔(500) 및 상기 후방 시트(600)를 상기 기본 모드 단계(S100)로 되돌리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모드 복귀 단계(S400)에서는 현재 배치된 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 전환 단계(S200)를 역순으로 수행한다. 다만, 상기 모드 복귀 단계(S400)에서는 탑승자는 기본 모드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모드 전환 방법은 아래와 같이 각 모드에 따라 상기한 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먼저, 도 1,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모드 수신 단계(S200)에서 휴식 모드가 선택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스티어링 휠 제거 단계(S311), 상기 센터페시아 회전 단계(S312) 및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폴딩 단계(S313)를 차례대로 수행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S310)의 수행 후, 상기 휴식 슬라이딩 단계(S321)를 수행하고, 상기 휴식 틸팅 단계(S322)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휴식 슬라이딩 단계(S321)가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콘솔 상승 단계(S333), 상기 테이블 셋팅 단계(S334) 및 상기 컵홀더 셋팅 단계(S335)를 차례로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식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은 상기 스티어링 휠(330)이 상기 패널 본체(310) 속으로 숨겨지고, 상기 센터페시아(340)는 회전하며,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350)은 접힌다. 또한 상기 제1시트(410)와 상기 제2시트(420)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제1시트백(414) 및 상기 제2시트백(424)는 뒤로 젖혀진다. 또한 상기 콘솔(500)에서는 상기 콘솔 본체(530)가 상승하고, 상기 제1테이블(542) 및 상기 제2테이블(544)가 탑승자의 앞에 펼쳐지며, 상기 컵 홀더(570)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휴식 모드에 의하면, 상기 전방 시트(400)의 탑승자는 자율주행 시에 넓은 공간 및 휴식을 위한 편의시설을 이용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도 1,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모드 수신 단계(S200)에서 홈 모드가 선택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스티어링 휠 제거 단계(S311), 상기 센터페시아 회전 단계(S312) 및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폴딩 단계(S313)를 차례대로 수행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S310)의 수행 후, 상기 콘솔 정리 단계(S331) 및 상기 후방 시트 정리 단계(S341)가 수행된다. 상기 콘솔 정리 단계(S331) 및 상기 후방 시트 정리 단계(S341)가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준비 슬라이딩 단계(S323), 상기 간격 슬라이딩 단계(S324),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S325), 상기 교차 슬라이딩 단계(S326), 상기 제2시트 회전 단계(S327) 및 상기 배치 슬라이딩 단계(S328)를 차례대로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배치 슬라이딩 단계(S328)가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콘솔 재배치 단계(S332), 상기 콘솔 상승 단계(S333), 상기 테이블 셋팅 단계(S334) 및 상기 컵홀더 셋팅 단계(S335)를 차례로 수행한다. 또한 상기 콘솔 재배치 단계(S332), 상기 콘솔 상승 단계(S333), 상기 테이블 셋팅 단계(S334) 및 상기 컵홀더 셋팅 단계(S335)와 독립적으로 상기 후방 시트 재배치 단계(S342) 및 상기 후방 시트 틸팅 단계(S343)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홈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은 상기 스티어링 휠(330)이 상기 패널 본체(310) 속으로 숨겨지고, 상기 센터페시아(340)는 회전하며,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350)은 접힌다. 또한 상기 제1시트(410)와 상기 제2시트(420)는 모두 180도 회전하여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콘솔(500)은 상기 전방 시트(400) 및 상기 후방 시트(6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콘솔 본체(530)는 상승하며, 상기 제1테이블(542) 및 상기 제2테이블(544)이 탑승자의 앞에 펼쳐지고, 상기 컵 홀더(570)가 나타난다. 또한, 상기 후방 시트(600)의 탑승자는 편안하게 기대어 누울 수 있다. 그러므로, 홈 모드에 의하면, 상기 전방 시트(400)의 탑승자와 상기 후방 시트(600)의 탑승자가 서로 마주보고 대화 및 여가를 즐길 수 있다.
도 1,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모드 수신 단계(S200)에서 사무실 모드가 선택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스티어링 휠 제거 단계(S311), 상기 센터페시아 회전 단계(S312) 및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폴딩 단계(S313)를 차례대로 수행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S310)의 수행 후, 상기 콘솔 정리 단계(S331) 및 상기 후방 시트 정리 단계(S341)가 수행된다. 상기 콘솔 정리 단계(S331) 및 상기 후방 시트 정리 단계(S341)가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준비 슬라이딩 단계(S323), 상기 간격 슬라이딩 단계(S324),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S325) 및 상기 배치 슬라이딩 단계(S328)를 차례대로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배치 슬라이딩 단계(S328)가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콘솔 재배치 단계(S332), 상기 콘솔 상승 단계(S333), 상기 테이블 셋팅 단계(S334) 및 상기 컵홀더 셋팅 단계(S335)를 차례로 수행한다. 또한 상기 콘솔 재배치 단계(S332), 상기 콘솔 상승 단계(S333), 상기 테이블 셋팅 단계(S334) 및 상기 컵홀더 셋팅 단계(S335)와 독립적으로 상기 후방 시트 재배치 단계(S342)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무실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은 상기 스티어링 휠(330)이 상기 패널 본체(310) 속으로 숨겨지고, 상기 센터페시아(340)는 회전하며,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350)은 접힌다. 또한 상기 제1시트(410)는 180도 회전하여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콘솔(500)은 상기 전방 시트(400) 및 상기 후방 시트(6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콘솔 본체(530)는 상승하며, 상기 제1테이블(542) 및 상기 제2테이블(544)이 탑승자의 앞에 펼쳐지고, 상기 컵 홀더(570)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사무실 모드에 의하면, 상기 제1시트(410)의 탑승자와 상기 후방 시트(600)의 탑승자가 서로 마주보고 회의 및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 복귀 단계(S400)를 수행하면, 상기 기본 모드 단계(S100)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 가능하도록 설정이 복귀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제어부
200 : 모드 입력부
300 : 인스트루먼트 패널
400 : 전방 시트
410 : 제1시트
420 : 제2시트
500 : 콘솔
600 : 후방 시트
S100 : 기본 모드 단계
S200 : 모드 수신 단계
S300 : 모드 전환 단계
S310 :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
S320 : 전방 시트 제어 단계
S330 : 콘솔 제어 단계
S340 : 후방 시트 제어 단계
S400 : 모드 복귀 단계

Claims (27)

  1. 자율 주행 차량에서 탑승자로부터 탑승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수신 단계;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모드에 따라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제어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 및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모드에 따라 차량의 전방에 구비된 제1시트 및 제2시트를 제어하는 전방 시트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는,
    상기 제1시트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회전할 공간을 마련하도록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부로 넣는 스티어링 휠 제거 단계; 및
    다각 기둥 형태의 차량의 센터페시아를 회전시켜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는 상기 센터페시아의 면을 변경시키는 센터페시아 회전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모드에 따라 차량의 콘솔을 제어하는 콘솔 제어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모드에 따라 차량의 후방 시트를 제어하는 후방 시트 제어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는,
    탑승자가 휴식 모드, 홈 모드, 사무실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탑승자가 선택한 모드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휴식 모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시트 및 제2시트를 차량의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휴식 슬라이딩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제1시트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상기 제1시트의 시트백을 틸팅시키는 휴식 틸팅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홈 모드 또는 사무실 모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시트를 상기 제1시트보다 멀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간격 슬라이딩 단계; 및
    상기 제1시트를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제1시트 회전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홈 모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 후에,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를 교차시키도록 상기 제1시트를 차량의 후방(상기 제1시트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시트를 차량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교차 슬라이드 단계; 및
    상기 제2시트를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제2시트 회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간격 슬라이딩 단계 전에,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준비 슬라이딩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제2시트 회전 단계 후,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차량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배치 슬라이딩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는,
    상기 제1시트의 시트백을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0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틸팅시키는 제1회전 틸팅 단계;
    상기 제1회전 틸팅 단계 후, 상기 제1시트의 시트쿠션을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제1회전 단계; 및
    상기 제1회전 단계 후, 상기 제1시트의 시트백 각도를 복귀시키도록 틸팅시키는 제1복원 틸팅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 회전 단계는,
    상기 제2시트의 시트백을 차량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0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틸팅시키는 제2회전 틸팅 단계;
    상기 제2회전 틸팅 단계 후, 상기 제2시트의 시트쿠션을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제2회전 단계; 및
    상기 제2회전 단계 후, 상기 제2시트의 시트백 각도를 복귀시키도록 틸팅시키는 제2복원 틸팅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에서는,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가 550mm 이상, 700mm 이하의 거리만큼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시트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 회전 단계에서는,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가 550mm 이상, 700mm 이하의 거리만큼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시트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는,
    차량의 카메라에 촬영되는 화면을 확인하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접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폴딩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17.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 제어 단계는,
    상기 간격 슬라이딩 단계 전, 차량의 콘솔을 차량 실내의 후방 단부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콘솔 정리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 제어 단계는,
    상기 콘솔 정리 단계를 거친 상기 콘솔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되,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 및 차량의 후방 시트의 사이에 상기 콘솔이 배치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콘솔 재배치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 제어 단계는,
    상기 콘솔 재배치 단계를 거친 상기 콘솔을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콘솔 상승 단계;
    상기 콘솔의 측면에 내장된 테이블을 꺼내어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의 전면에 배치시키는 테이블 셋팅 단계; 및
    상기 콘솔의 상판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콘솔에 내장된 컵홀더를 노출시키는 컵홀더 셋팅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2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간격 슬라이딩 단계 전에 차량의 두 개의 후방 시트를 차량의 후방으로 더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후방 시트 정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후방 시트 정리 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후방 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후방 시트 재배치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홈 모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후방 시트 재배치 단계 후, 상기 후방 시트의 탑승자가 다리를 펴고 등 뒤로 기대도록 상기 후방 시트의 시트 백과 시트 쿠션 및 레그레스트를 틸팅시키는 후방 시트 틸팅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2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 상기 제2시트,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기 콘솔 및 상기 후방 시트를 미리 입력된 기본 모드의 위치 및 상태로 복귀시키는 모드 복귀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복귀 단계는,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 상기 콘솔 제어 단계 및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를 수행한 후, 탑승자로부터 새로운 모드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복귀 단계는,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제어 단계, 상기 콘솔 제어 단계 및 상기 후방 시트 제어 단계를 수행한 후, 탑승자로부터 기본 모드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2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 제어 단계는,
    상기 콘솔을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콘솔 상승 단계;
    상기 콘솔의 측면에 내장된 테이블을 꺼내어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의 전면에 배치시키는 테이블 셋팅 단계; 및
    상기 콘솔의 상판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콘솔에 내장된 컵홀더를 노출시키는 컵홀더 셋팅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2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시트 제어 단계는,
    상기 모드 수신 단계에서 사무실 모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시트 회전 단계 후,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차량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배치 슬라이딩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KR1020170148219A 2017-11-08 2017-11-08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KR101996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219A KR101996821B1 (ko) 2017-11-08 2017-11-08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219A KR101996821B1 (ko) 2017-11-08 2017-11-08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97A KR20190052497A (ko) 2019-05-16
KR101996821B1 true KR101996821B1 (ko) 2019-07-08

Family

ID=6667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219A KR101996821B1 (ko) 2017-11-08 2017-11-08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192B1 (ko) * 2020-12-30 2023-02-06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파워 스위블 제어 방법 및 차량 시트의 파워 스위블 장치
KR102562223B1 (ko) * 2021-08-18 2023-08-03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무빙 콘솔의 제어방법
KR102586495B1 (ko) * 2022-12-23 2023-10-11 주식회사 금창 자동 회전 시트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0940A (ja) * 2016-03-18 2017-09-28 株式会社Subaru 車両用シ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140A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전후 이동형 콘솔박스
DE102014003023A1 (de) * 2014-03-07 2015-09-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r Fahrerassistenzvorrichtung
KR20150106590A (ko) * 2014-03-12 2015-09-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30034B1 (ko) * 2015-09-04 2021-11-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지능형 차량 제어 방법
KR101780287B1 (ko) 2015-12-15 2017-09-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컨트롤러, 상기 모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메모리 전동 시트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0940A (ja) * 2016-03-18 2017-09-28 株式会社Subaru 車両用シー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97A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821B1 (ko)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 모드 전환 방법
US20110109114A1 (en) Seat for a vehicle
KR100515785B1 (ko) 차량 시트
US8827367B2 (en) Vehicle seat
WO2014010364A1 (ja) 車両の運転席用シート装置
JP2024022609A (ja) 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2017210204A (ja) 車両用シート調節装置
CN113401015A (zh) 一种多功能车内娱乐和办公系统、方法及电子设备
JP2023160908A (ja) シートシステム
JP4241442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5289133A (ja) フットレスト装置およびオットマン装置付き乗物用シートの制御方法
JPS63284043A (ja) 自動車のリヤシ−トシステム
JP2022106427A (ja) 降車支援装置および該方法
CN115107593B (zh) 一种座舱布置结构、座舱布置控制方法以及汽车
JP2005247195A (ja) 車両用シート
WO2021187495A1 (ja) モード調整システム及びモード調整方法
JP7348471B2 (ja) シートシステム
JP3127904B2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2023526115A (ja) 階段昇降機用折り畳みシステム
JP2005247196A (ja) 車両用シートのオットマン装置
JP424477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421498B1 (ko) 시트 및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연동 조작 시스템
CN113677242A (zh) 座椅系统
JP2001347859A (ja) 車両用シート
US20240166104A1 (en)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