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659B1 -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659B1
KR101996659B1 KR1020170086716A KR20170086716A KR101996659B1 KR 101996659 B1 KR101996659 B1 KR 101996659B1 KR 1020170086716 A KR1020170086716 A KR 1020170086716A KR 20170086716 A KR20170086716 A KR 20170086716A KR 101996659 B1 KR101996659 B1 KR 101996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chain variable
variable region
amino acid
acid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154A (ko
Inventor
구복경
나진주
유소윤
신문균
위성환
박경민
이혜영
이은선
장상호
오진식
정광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안디노스틱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안디노스틱,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안디노스틱
Priority to KR102017008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6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C07K16/1009Picornaviridae, e.g. hepatitis A vir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10Cell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 C12N5/12Fused cells, e.g. hybridomas
    • C12N5/16Anima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12N2510/02Cells for prod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01N2333/085Picornaviridae, e.g. coxsackie virus, echovirus, enterovirus
    • G01N2333/09Foot-and-mouth disease vi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제역바이러스 7종의 혈청형 중 O형에 대한 특이 단일클론항체, 상기 단일클론항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O형 탐지용 조성물 및 상기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구제역 바이러스 O형 탐지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제역바이러스 O형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클론항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구제역바이러스 O형 혈청형만을 감별할 수 있는 진단 키트를 개발함으로써 질병의 확산 방지를 위한 신속한 초기 예방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Monoclonal Antibodies for detecting Foot and Mouth Disease Virus serotype O 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상기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 방법 및 상기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이하, FMDV)는 Picornaviridae, aphthovirus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써 전 세계적으로 7종의 혈청형(O, A, Asia1, C, SAT1, SAT2, SAT3)과 70여 종의 아형 바이러스가 분포하고 있다. FMDV에 감염된 개체(우제류 등)는 혀, 점막, 발굽 사이에 수포 및 가피를 형성하며 이병율이 높아 OIE에서 List A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제1종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 이후 2 내지 5년을 주기로 8차례 구제역이 발생하여 막대한 경제적 피해(예를 들어, 2010년 안동에서 발생된 경우 직접적 피해규모 약 3조원 추정)가 초래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4월까지 7개 시도에서 약 185건, 2016년도 1월 내지 3월 사이 21건의 구제역이 발생된 바 있다.
현재 구제역바이러스 항원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유전자 검출 방법과 바이러스 단백질 항원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유전자 검출방법으로는 리얼타임 RT-PCR 또는 일반적인 RT-PCR 등이 있으며, 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항원 효소면역측정법(Antigen detecting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Ag-ELISA), 래피드 키트(immunochromatographic assay) 등을 들 수 있다.
리얼타임 RT-PCR의 경우, 구제역바이러스 검출 민감도가 가장 높은 방법으로써, 감염의심 시료(혈액, 타액, 정액, 조직 등)를 실험실로 수송하여, 특수 차폐 실험실 내(생물안전 3등급 실험실)에서 시료로부터 총 RNA를 채취하여, 형광 검출 리얼타임 PCR 기기로 구제역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증폭을 수행하여, 구제역 양성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나, RNA 추출부터 리얼타임 PCR을 작동하는 단계까지 상당한 숙련된 연구자가 요구되며, 특수 실험실 및 고가의 시약과 장비가 필요하다.
항원 효소면역측정법의 경우, 구제역 양성을 판정함과 동시에 혈청형까지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나, 특수 차폐 실험실 내에서 인큐베이터(incubator), 플레이트 와셔(plate washer), 리더(reader) 등의 장비가 필요하며, 숙련된 연구자가 요구되며, 3시간 이상의 검사 시간이 소요된다.
현장진단키트(immunochromatographic assay)의 경우, 니트로셀룰로오즈 막의 모세관력(capillary force)과 금 나노입자 등을 이용한 시그날링을 통해 구성된 진단시스템으로써, 별도의 장비나 숙련도 등이 필요 없으며, 구제역이 발생된 농장에서 이동하지 않고 바로 그 현장 내에서 시료 적용 후 10 내지 15분 이내에 결과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제역 임상 축이 발생된 현장에서 채취된 수포시료를 적용하여 구제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제역 공통 신속 진단키트는 기개발되어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구제역 바이러스는 7종의 혈청형으로 뚜렷이 구분되어 혈청형 상호 방어가 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질병의 확산 방지를 위한 신속한 초기 예방 조치를 위한 적정한 백신 선정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혈청형 분석까지 가능한 혈청형 감별 신속 진단키트 개발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며, 특히 국내에서는 8번의 발생 중 1건의 FMDV A형 혈청형과 7건의 FMDV 혈청형 O 혈청이 발생되어, 대부분의 구제역 발생이 O형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혈청형 O를 신속하게 감별할 수 있는 현장 진단 키트 개발이 방역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이하, FMDV) 혈청형(serotype)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FMDV 혈청형 O 탐지용 래피드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FMDV 혈청형 O 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혈청형(serotype)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혈청형(serotype)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 아프타바이러스(Aphthovirus)속에 속하며, 여과성 병원체로서 처음 발견된 동물바이러스로서 소 등 우제류 동물에 감염된다. 바이러스의 입자는 직경이 22 내지 28nm이고, 외피(envelope)가 없이 4종류의 구성 단백질 60분자로 구성된 캡시드(Capsid)단백질이 5′말단에 VPg 단백질이 공유 결합된 외가닥의 (+)RNA를 둘러싸고 있다.
구제역바이러스는 7종의 혈청형인 O, A, Asia1, C, SAT1, SAT2 및 SAT3으로 구성되며, 혈청형 간 상호 방어 면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감수성 동물에 구제역바이러스 A형 혈청형에 대한 백신을 접종하여 적정한 방어 면역이 형성되었더라도 다른 구제역바이러스 혈청형 O 바이러스가 침입하게 되면 방어되지 못하고 구제역이 발생하게 된다.
구제역의 확산 방지를 위한 신속한 초기 예방 조치로서 적정한 백신 선정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혈청형 분석까지 가능한 혈청형 감별 신속 진단키트 개발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며, 특히 국내에서는 8번의 발생 중 1건의 FMDV A형 혈청형과 7건의 FMDV 혈청형 O 혈청이 발생되어 대부분의 구제역 발생이 O형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혈청형 O를 신속하게 감별할 수 있는 현장 진단 키트 개발이 방역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완전한 항체는 2개의 전장(full length) 경쇄 및 2개의 전장 중쇄를 가지는 구조이며 각각의 경쇄는 중쇄와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항체의 불변 영역은 중쇄 불변 영역과 경쇄 불변 영역으로 나눠지며, 중쇄 불변 영역은 감마(γ), 뮤(μ), 알파(α), 델타(δ) 및 엡실론(ε) 타입을 가지고, 서브클래스로 감마1(γ1), 감마2(γ2), 감마3(γ3), 감마4(γ4), 알파1(α1) 및 알파2(α2)를 가진다. 경쇄의 불변 영역은 카파(κ) 및 람다(λ) 타입을 가진다.
용어, "단일클론항체"는 상기 항체 분자가 단일 분자로 구성되도록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단일클론항체는 동일한 에피토프를 갖는 항원에 대해서만 반응하는 특이성을 가지며, 또한 특정 에피토프에 대해서만 친화성을 나타낸다.
상기 단일클론항체는 수탁번호 KCTC18508P 또는 KCTC18509P인 하이브리도마 세포에서 생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면역원인 FMDV 혈청형 O를 동물에 면역시키고, 상기 피면역 동물로부터 유래된 항체 생산세포인 B 세포를 골수종세포와 융합시켜서 하이브리도마를 제조한 다음, 그 중에서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피면역 동물은 실시예에서 사용된 마우스뿐만 아니라 염소, 양, 모르모트, 래트 또는 토끼와 같은 동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면역 동물을 면역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를 면역시키는 경우 1회에 1 내지 100 ㎍의 면역원을 동량의 생리 식염수 및/또는 프로인드 어주번트(Freund's adjuvant) 등의 항원 보조제로 유화시켜, 상기 피면역원 동물의 복부의 피하 또는 복강 내에 2 내지 5주마다 2 내지 6회 접종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피면역 동물을 면역시킨 후에는 최종 면역 3 내지 5일 후 비장 또는 림프절을 적출하여 당업계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세포 융합법에 따라서, 융합 촉진제의 존재 하에 이들의 조직에 포함되어 있는 B 세포를 골수종세포와 융합시키게 된다. 상기 융합 촉진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PEG)과 같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골수종세포는 예를 들어, P3U1, NS-1, P3x63. Ag 8.653, Sp2/0-Ag14와 같은 마우스 유래 세포, AG1, AG2와 같은 래트 유래 세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당업계에 공지된 세포 융합법은 예를 들어, B세포와 골수종세포를 1:1 내지 10:1의 비율로 혼합시켜, 이에 분자량 1,000 내지 6,000의 PEG를 10 내지 80%의 농도로 첨가하여, 30 내지 37에서 1 내지 10분 동안 배양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도마만이 생존 가능한 HAT 배지 등의 선택 배지에서 배양하고, 하이브리도마 배양 상층액 중의 항체 활성을 ELISA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선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는, 예를 들어,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에 대하여, 한계 희석 등의 방법에 의해 클로닝을 반복함으로써 선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일클론항체는 IgG1, IgG2a, IgG2b, IgG3, IgA, IgM 타입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gG1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체의 경쇄 불변 영역은 λ 또는 κ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쇄 CDR(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경쇄 CDR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으로 각각 표시되는 중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7로 각각 표시되는 경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쇄 CDR(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4 및 서열번호 1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경쇄 CDR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로 각각 표시되는 중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4 및 서열번호 15로 각각 표시되는 경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용어 "항체(antibody)"는 FMDV 혈청형 O에 대한 특이 항체로서, FMDV 혈청형 O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완전한 항체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완전한 항체에 대한 설명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용어, "중쇄(heavy chain)"는 항원에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해 충분한 가변 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도메인 VH 및 3 개의 불변 영역 도메인 CH1, CH2 및 CH3를 포함하는 전장 중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용어 "경쇄(light chain)"는 항원에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가변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도메인 VL 및 불변 영역 도메인 CL을 포함하는 전장 경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용어, "CDR(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은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및 경쇄의 고가변 영역(hypervariable region)의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중쇄 및 경쇄는 각각 3개의 CDR을 포함할 수 있다(CDRH1, CDRH2, CDRH3 및 CDRL1, CDRL2, CDRL3). 상기 CDR은 항체가 항원 또는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접촉 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용어, "항원 결합 단편"은 면역글로불린 전체 구조에 대한 그의 단편으로, 항원이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의 일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F(ab')2, Fab', Fab, Fv 또는 scF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 중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불변 영역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 영역(CH1)을 가지는 구조로 1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진다.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C-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영역(hinge reg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Fab와 차이가 있다. F(ab')2 항체는 Fab'의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Fv는 중쇄 가변부위 및 경쇄 가변부위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조각으로 Fv 단편을 생성하는 재조합 기술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중쇄 Fv(two-chain Fv)는 비공유 결합으로 중쇄 가변부위와 경쇄 가변부위가 연결되어 있고 단쇄 Fv(single-chain Fv)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링커를 통하여 중쇄의 가변 영역과 단쇄의 가변 영역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C-말단에서 바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중쇄 Fv와 같이 다이머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서 얻을 수 있고(예를 들어, 전체 항체를 파파인으로 제한 절단하면 Fab를 얻을 수 있고 펩신으로 절단하면 F(ab')2 단편을 얻을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항체, 이특이적 항체, 비-인간 항체, 인간 항체, 인간화 항체, 키메릭 항체, 단쇄 Fvs(scFV), 단쇄 항체, Fab 단편, F(ab')단편, 다이설파이드-결합 Fvs(sdFV) 및 항-이디오타입(항-Id) 항체, 그리고 상기 항체들의 에피토프-결합 단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체는 인간화 항체(humanized antibody) 또는 인간 항체(human antibody)일 수 있다. 비-인간, 예를 들어, 마우스의 인간화 항체는 마우스의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도되는 최소 서열을 포함하는 키메릭 면역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의 쇄 또는 그의 단편, 예를 들어, Fv, Fab, Fab', F(ab')2 또는 항체의 기타 항원-결합 서브서열일 수 있다.
비-인간 항체를 인간화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화 항체는 비-인간인 공급원으로부터 도입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다. 인간화는 필수적으로 설치류 동물의 CDR 또는 CDR 서열을 인간 항체에 상응하는 서열 대신 치환시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간화 항체는 키메릭 항체이며, 실질적으로 온전한 인간 항체의 가변 영역보다 적은 영역이 비-인간 종으로부터 상응하는 서열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화 항체는 일부 CDR 잔기 및 가능하게는 일부 골격(framework, FR) 잔기가 설치류 동물의 항체에 있는 유사 부위로부터의 잔기로 대체된 인간화 항체일 수 있다.
상기 인간 항체는 중쇄 및 경쇄의 가변 및 불변영역의 서열이 인간으로부터 유래한 항체를 의미하며, 인간 항체는 파아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를 포함한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다양한 기술, 예를 들어, 유전적 재조합 기술과 세포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용어 "키메릭"은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위가 2 개의 상이한 종으로부터 유래한 서열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FMDV 혈청형 O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첨부한 서열번호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예를 들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잔기의 결실, 삽입 및/또는 치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미노산의 변이는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상대적 유사성, 예를 들어,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와 같은 특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은 모두 양전하를 띤 잔기이고, 알라닌, 글리신과 세린은 유사한 크기를 가지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티로신은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 알라닌, 글리신과 세린; 및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티로신은 생물학적으로 기능 균등물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가장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y/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간의 교환이다. 상기 생물학적 균등 활성을 갖는 변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에 기재된 서열과 실질적인 동일성(substantial identity)을 나타내는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한 서열번호의 아미노산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60%의 상동성, 최소 70%의 상동성, 최소 80%의 상동성 또는 최소 90%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서열일 수 있다. 서열의 비교를 위한 얼라인먼트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NCBI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blastp, blastx, tblastn 및 tblastx와 같은 서열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또는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로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서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태로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태로서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는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이다. RNA 게놈 서열, DNA(gDNA 및 cDNA) 및 이로부터 전사되는 RNA 서열을 포괄하며, 특별하게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천연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또는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뿐만 아니라, 그 서열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서열도 포함한다.
상기 상보적인 서열은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서열도 포함하며,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엄격 조건(stringent conditions) 하에서, 예를 들어, 상기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혈청형(serotype)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또는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혼성화될 수 있는 서열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중쇄 가변영역 및/또는 경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뉴클레오티드의 추가, 결실 또는 비보존적 치환 또는 보존적 치환을 포함한다.
상기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또는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대하여 실질적인 동일성을 나타내는 뉴클레오티드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80%의 상동성, 최소 90%의 상동성 또는 최소 95%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서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용어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및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와 같은 바이러스 벡터를 포함한다. 상기 재조합 벡터로 사용될 수 있는 벡터는 당업계에서 종종 사용되는 플라스미드 (예를 들면, pSC101, pGV1106, pACYC177, ColE1, pKT230, pME290, pBR322, pUC8/9, pUC6, pBD9, pHC79, pIJ61, pLAFR1, pHV14, pGEX 시리즈, pET 시리즈 및 pUC19 등), 파지 (예를 들면, λgt4λB, λ-Charon, λΔz1및 M13 등) 또는 바이러스(예를 들면, SV40 등)를 조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에서 상기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프로모터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용어 "작동적으로 연결된(operatively linked)"은 뉴클레오티드 발현 조절 서열(예: 프로모터 서열)과 다른 뉴클레오티드 서열 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에 의해 상기 조절 서열은 상기 다른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전형적으로 클로닝을 위한 벡터 또는 발현을 위한 벡터로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발현용 벡터는 당업계에서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에서 외래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원핵 세포 또는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벡터가 발현 벡터이고, 원핵 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전사를 진행시킬 수 있는 강력한 프로모터(예컨대, pL λ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lac 프로모터, tac 프로모터, T7 프로모터 등), 해독의 개시를 위한 라이보좀 결합 자리 및 전사/해독 종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벡터에 포함되는 진핵 세포에서 작동하는 복제원점은 f1 복제원점, SV40 복제원점, pMB1 복제원점, 아데노 복제원점, AAV 복제원점 및 BBV 복제원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유동물 세포의 게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또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프로모터 및 HSV의 tk 프로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전사 종결 서열로서 폴리아데닐화 서열을 일반적으로 갖는다.
한편, 상기 항체의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을 발현할 수 있는 벡터는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이 하나의 벡터에서 동시에 발현되는 벡터 시스템이거나 또는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을 각각 별도의 벡터에서 발현시키는 시스템 모두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두 벡터는 동시 형질전환 (co-transfomation) 및 표적 형질전환 (targeted transformation)을 통하여 숙주 세포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숙주세포는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숙주세포는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숙주 세포의 게놈 상에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포함된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주세포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숙주세포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숙주 세포의 게놈 상에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포함된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를 안정되면서 연속적으로 클로닝 또는 발현시킬 수 있는 숙주 세포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숙주 세포도 이용할 수 있으며, 원핵 세포로는, 예를 들어, E. coli JM109, E. coli BL21, E. coli RR1, E. coli LE392, E. coli B, E. coli X 1776, E. coli W3110,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츄린겐시스와 같은 바실러스 속 균주, 그리고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세라티아 마르세슨스 및 다양한 슈도모나스 종과 같은 장내균과 균주 등이 있으며, 진핵 세포에 형질 전환시키는 경우에는 숙주 세포로서, 효모(Saccharomyce cerevisiae), 곤충 세포, 식물 세포 및 동물 세포, 예를 들어, Sp2/0, CHO(Chinese hamster ovary) K1, CHO DG44, PER.C6, W138, BHK, COS-7, 293, HepG2, Huh7, 3T3, RIN 및 MDCK 세포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의 숙주 세포 내로의 운반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운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운반 방법은 예를 들어, 숙주 세포가 원핵 세포인 경우, CaCl2 방법 또는 전기 천공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숙주 세포가 진핵 세포인 경우에는, 미세 주입법, 칼슘 포스페이트 침전법, 전기 천공법, 리포좀-매개 형질감염법 및 유전자 밤바드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E. coli 등의 미생물을 이용하는 경우 생산성은 동물세포 등에 비하여 높은 편이나 당화(glycosylation) 문제로 인해 인택트(intact)한 Ig 형태의 항체 생산에는 적당하지 않지만, Fab 및 Fv와 같은 항원 결합 단편의 생산에는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를 선별하는 방법은 선택 표지에 의해 발현되는 표현형을 이용하여,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표지가 특정 항생제 내성 유전자인 경우에는, 상기 항생제가 함유된 배지에서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형질전환체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혈청형(serotype)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이프리도마 세포는 수탁번호 KCTC18508P 또는 KCTC18509P인 것인 하이브리도마 세포일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16년 11월 09일자로 수탁번호 KCTC18508P와 KCTC18509P로 기탁하였다.
한편 기탁된 하이브라도마 세포는 미생물 기탁에 대한 부다페스트 조약의 규정에 따라 보관되고 상기 수탁 번호를 참조하여 일반인들에게 분양이 가능하다. 즉, 기탁물들은 기탁 시료 관리를 위한 가장 최근의 요청 이후 적어도 5년의 기간 동안, 어떤 경우에는 기탁일 이후 적어도 30년의 기간 동안 또는 그 기탁물의 개시를 공표하는 어느 특허의 강제 가능한 시기 동안, 그 기탁물의 생존을 유지하고 오염되지 않도록 모든 주의를 다하여 보관한다.
기탁자에게는 기탁물의 상태 때문에 요청 시 수탁기관이 시료를 분양할 수 없을 경우에는 그 기탁물을 대체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대상이 되는 기탁물에 대한 일반인의 입수 가능성을 제한하는 모든 제약들은 그 기탁물을 개시하고 있는 특허가 허여되면 완전히 없어지게 된다.
상기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콘쥬게이트 패드, 샘플패드, 멤브레인 및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FMDV 혈청형 O 탐지용 래피드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콘쥬게이트 패드는 생물학적 시료,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1 단일클론항체 및 골드나노입자의 결합제(conjugate)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일클론항체는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으로 각각 표시되는 중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7로 각각 표시되는 경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일클론항체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 영역,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일클론항체는 수탁번호 KCTC18509P인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항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FMDV 혈청형 O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2 단일클론항체 및 대조군 항체에 결합하는 항체가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일클론항체는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로 각각 표시되는 중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4 및 서열번호 15로 각각 표시되는 경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일클론항체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 영역,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일클론항체는 수탁번호 KCTC 18508P인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항체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제역바이러스 항원 진단에 사용하고 있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은 일반적으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임신진단 또는 간염발병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의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진단법으로서 모세관 현상이 작용하는 다공성 박막을 고상(solid phase)으로 하고 금 콜로이드 또는 착색 폴리스티렌 나노 입자 등의 유색입자를 측정 라벨로 사용하는 신속 현장진단용 면역검사법의 일종이다.
본 발명의 키트는 FMDV 혈청형 O에 고 친화도를 가지면서 반응하는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구제역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 개체에서 유래한 다양한 시료에서 FMDV 혈청형 O 의 감염을 특이적으로 진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혈청형(serotype) O의 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제역 바이러스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상기 단일클론항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탐지용 조성물 및 상기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구제역 바이러스 탐지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7종의 혈청형으로 뚜렷이 구분되어 상호 방어가 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구제역 양성 판정 후 추가적인 혈청형 진단 과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을 통해 개발된 FMDV O 특이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여 구제역 혈청형 O를 조기에 신속하게 감별할 수 있는 현장 진단 키트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적합한 구제역 백신선정 등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한 보다 신속한 초기 예방 조치 수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효소면역측정법의 원리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7종의 단일클론항체의 SDS-PAGE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클론항체 매칭 테스트(matching test)의 반응원리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Manisa주(5.75 X 105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3039주(2.2 X 106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BFS1860주(2.3 X 106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타이완주(8.25 X 106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강화주(3.89 X 106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안동주(7.37 X 106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양주주(8.66 X 106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진천주(3.94 X 105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청주주(7.75 X 106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파주주(5.94 X 105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합천주(1.53 X 106 TCID50/ml) 검체에서의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MDV O 혈청형 외에 다른 FMDV 혈청형과의 교차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혈청형 A, Asia1, C, SAT1, SAT2 및 SAT3 바이러스를 이용한 교차반응성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래피드 테스트(Rapid test)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재조합 항원을 희석하여 만든 양성 검체 2종(중, 고역가)과 음성 검체 1종으로 3개의 스트립으로 재현성 시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이브리도마의 제작 및 단일클론항체 생산
1-1. 면역원 준비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를 제작하기 위해, FMDV 백신주(O1 manisa)와 구제역 국내 분리주 (Andong strain)을 BHK21 세포에 접종 후 37도에서 24시간 배양을 통해 증폭된 FMDV를 수거하였다. 그 다음, 바이너리 에칠렌이민(Binary Ethylenimine; BEI)을 0.003N 농도로 처리한 후 37도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여 불활화 후,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0.002N을 첨가하여 중화시킨다. 불활화 배양 상층액에 PEG6000(Poly Ethylene Glycol; PEG)과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을 각각 7.5%, 2.3% 첨가하고 24시간동안 4도에서 stirring incubation한다. PEG6000 처리 상층액은 11,000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한 후 pellet을 TN buffer(pH 7.6)로 다시 풀어준다. 11,000RPM에서 20분간 다시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설탕 밀도 기울기 원심 분리법(sucrose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으로 초원심 분리(30,000rpm, 4시간)하여 순도 높은 FMDV 분획을 수득하였다.
1-2. 면역화
1-1에서 수득한 불활화된 FMDV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에 면역(immunization)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항원으로서 각 불활화 FMDV(O1 Manisa 또는 Andong strain)을 0.25 mg/ml 농도로 준비하고, 재조합단백질 200ul와 Freund's Adjuvant(FA) 200ul를 혼합하여 Balb/C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복강에 2주 간격으로 1-3차 면역을 실시하였다. 퓨전 면역 검사를 위해 3차 면역 1주 후, 마우스 혈청을 이용하여 간접(indirect) ELISA 검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부스팅을 위해 재조합단백질 100ul를 복강으로 면역하고 4일 후 세포융합에 사용하였다.
1-3. 세포융합 및 하이브리도마 제조
면역화된 마우스 몸통 좌측에 위치한 비장(spleen)을 적출하여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부유시켰다. 적출한 비장을 메쉬로 갈아서 세포를 분리하고, 배양배지 DMEM과 혼합하여 비장세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현탁액을 1,2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비장세포와 골수세포주(SP2/0 Ag14 (ATCC, USA))를 1:5의 세포 수 비율로 혼합한 후, 1,2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세포를 침전시켜 상층액은 제거하였다. 원심 분리된 세포를 천천히 분산시킨 후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PEG1500, Roche) 1.0 ml을 처리하고, 37에서 1분 동안 유지시킨 후 DMEM 1ml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DMEM 10 ml을 1분 동안 서서히 첨가하고, 37의 물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50.0 ml로 맞추고, 1,2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 분리하였다. 세포침전물을 분리배지(HAT배지)에 1 X 105 내지 2 X 105 cells/ml 농도로 재현탁시키고, 96웰 플레이트에 0.1 ml씩 분주한 후 37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제조하였다.
1- 4.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선별
상기 제조한 하이브리도마 세포군 중에서 FMDV 혈청형 O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선별하기 위하여 ELISA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목적으로 하는 불활화 FMDV(Manisa strain)을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한 웰당 각각 100 ul(1 ug/ml)씩 가하여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시키고, 반응하지 않은 항원은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그 다음, 0.1% casein-PBS blocking 용액을 웰 당 100ul씩 분주한 후 37에서 2 시간 동안 반응 후 인산 완충용액-트윈20(0.05% tween-20 (v/v)이 포함되어있는 인산완충용액, pH 7.4)(이하 PBS-T)로 3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배양액을 각 웰에 100 ul씩을 가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PBS-T 용액으로 3회 세척하여 반응하지 않은 배양액을 제거하였다. 여기에 염소 항-마우스 IgG-호스레디쉬 퍼옥시다제(Goat anti-mouse IgG-HRP)를 가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PBS-T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후 퍼옥시다제의 기질용액(TMB)을 가하여 반응시키고, 황산 0.5 M를 플레이트 각 웰에 50 ul씩 분주한 뒤 Sunrise ELISA reader(Tecan)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목적으로 하는 항원에 반응성이 높은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들을 선별하였다 (도 1).
선별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제한 희석하여 클로닝을 진행하여 단일클론화 하였고, 이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목적으로 하는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선별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불활화 FMDV에 반응하는 7가지 단일클론항체가 선발되었다. 선발된 항체의 결과는 아래 표 1와 같다.
Clone name O.D (450nm) in
ELISA screening plate
Isotype Immunogen
9D47 4.0 IgG1 FMDV O1 Manisa (inactivated)
9D54 3.88 IgG2b
5B68 3.72 IgG2b
4B14 2.31 IgG1
11C41 4.0 IgG1
7F32 0.91 IgG1 FMDV O Andong (inactivated)
7F49 0.93 IgG1
1-5. 복수제작 및 정제
선발된 7종 하이브리도마를 이용하여 생산된 복수(ascitic fluids)를 0.45um filter 후 protein G column(GE, Sweden)에 바인딩 시켰으며, elution buffer(100mM glycin HClr, pH 2.8)를 이용하여 단일클론항체 만 elution 한 후 dialysis(MWCO 12,000~14,000)를 통해 PBS(pH 7.0)로 버퍼 교환 하였으며, 10% SDS-PAGE를 통해 순도를 확인 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중쇄(약 50kDa)와 경쇄(약 25kDa)가 주로 염색되어 높은 순도로 정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단일클론항체 매칭 실험
2-1.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에 단일클론항체 부동화(immobilization)
총 7종의 정제된 단일클론항체를 각각 니트로셀룰로스 막(Millipore, 독일)에 2mg/ml의 농도로 분주(1ul/cm, test line)하고, 염소 항-마우스 IgG(goat anti-mouse IgG, Arista biological, USA)를 2mg/ml의 농도로 분주(1ul/cm, control line) 후 제습환경(습도 20% 이하)에서 밤새 부동화 하였다.
2-2. 금 나노입자-단일클론항체 접합체
또한 상기 7종의 정제된 단일클론항체를 각각 약 40nm의 콜로이드성 금(colloidal gold, 525nm, O.D 1.0, ㈜메디안디노스틱)에 단일클론항체 7ug/ml의 농도로 커플링 하였으며, BSA(Bovine Serum Albumin) 으로 블록킹하여, 단일클론항체가 축합되어있는 금 접합체를 제작하였다(O.D 7.0, 13ul 소요 / test strip).
2-3. 검체 희석버퍼 (specimen dilution buffer)
검역본부에서 준비된 FMDV 배양액을 희석하기 위한 검체 희석버퍼는 0.4% tween-20, 50mM sodium tetraborate 12H2O, pH 9.0으로 제작하였다.
2-4. 단일클론항체 매칭 테스트(matching test)
capture 단일클론항체와 conjugate 단일클론항체가 FMDV 와 함께 sandwitch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할 경우 conjugate 단일클론항체와 축합되어있는 금 나노입자에 의해서 붉은색 시험선이 형성되며, capture항체 또는 conjugate 항체 중 FMDV와 반응하지 않을 경우 검사선이 형성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FMDV 배양액 30ul를 각각의 단일클론항체 금 접합체 가 포함된 검체 희석버퍼 30ul와 혼합 후 각각의 단일클론항체가 분주되어있는 스트립에 5분 간 반응시킨 후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양액 내에 FMDV와 반응이 있을 경우 capture mAb - FMDV - 금 접합체 mAb의 sandwitch antigen-antibody 복합체가 형성되어 붉은색 검사선 이 형성되고, capture mAb 또는 금 접합체 mAb 중 어느 한 종이라도 배양액 내 FMDV와 반응성이 없을 경우 검사선 에서 항원-항체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붉은색 검사선이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면역크로마토그래피(Immunochromatographic) 스트립 제작
상기 항체 matching test를 통해 최종 선발된 4B14(capture용), 7F32(conjugate용) 클론을 이용하여 FMDV 혈청형 O 특이적 항원진단용 현장진단키트를 제작하였다.
3-1.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래피드 현장진단 키트 제조
1) Capture 분주 및 고정
산양 항 마우스 IgG (Arista, 2mg/ml, 대조선 용 항체)와 마우스 항 FMDV O 단일클론항체 (4B14(KCTC18508P), 1.5mg/ml, 검사선 용 항체)에 각각 0.5% sucrose (Sigma)와 0.1% NaN3 (Sigma)를 첨가하여 분주용 항체용액을 제조하였다. Plastic backing card (PJ상사)에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Millipore)을 접합시킨 후, 대조선(control line)으로써 산양 항마우스 IgG(goat anti-mouse IgG)를, 검사선(test line)으로써 4B14 단일클론항체를 각각 0.9ul/cm로 분주하였다. 항체가 분주된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제습 캐비닛(습도 20% 이하)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항체를 고정시켰다.
2) 금 접합체 제조
금 접합체는 항체와 금 입자(40nm)가 결합한 결합체를 뜻하며, 접합체 제조를 위해 흡착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제조를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 완료된 7F32 항체(1mg/ml)를 준비하고, 금 용액(40nm 콜로이드성 금(colloidal gold))은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25nm 파장에서 OD값 1.0 및 pH는 9.0으로 보정하여 준비하였다. 그 후, 항체 농도가 5ug/ml이 되도록 금용액(colloidal gold, pH 9.0) 10ml에 7F32 항체를 첨가하고 37, 20분간 반응시켰다. 금입자 표면에 항체가 반응하지 못한 부분을 블로킹하기 위해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을 1%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원심 분리하였다(12,000rpm, 10분). 원심 분리 후 상층액을 버리고, 1% BSA 용액으로 금접합제를 세척하고 다시 12,000rpm, 10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초기 금 용액 부피의 약 1/10 (1ml)이 되도록 1% BSA 용액 1ml을 첨가하여 금접합체를 현탁한 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525nm 파장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O.D 10.0).
금접합체는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당, 카세인, BSA 및 NaN3를 첨가하여 유리 섬유(glass fiber)에 건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자당(sucrose) 5%(w/v), 카세인 0.1%(w/v), BSA 1%(w/v), NaN3 0.1%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후, 금 접합체를 분광 광도계(525nm) OD 값 7로 보정한 후 유리 섬유 패드에 분주(1ml/5mm x 300mm)하여 제습공간(습도 20%)에서 건조하였다.
3) 스트립의 제조
스트립은 샘플패드(Ahlstrom), 금접합체 패드(Ahlstrom), 멤브레인(Millipore) 및 흡수패드(Ahlstrom)를 중첩되게 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capture와 반응하도록 하는 형태를 갖는다. 멤브레인에 항체가 고정이 되면 금접합체 패드, 샘플패드와 흡수패드를 각각 정해진 위치에 중첩되도록 붙이고 로터리 슬릿터(rotary slitter)를 이용하여 4mm간격으로 절단한다. 완성된 스트립을 하우징에 넣어 조립하고 알루미늄 파우치에 실리카겔과 밀봉하여 포장한다.
4) 검출 용액 제조
50mM Borax buffer(pH 9.0)에 Tween-20 (Sigma) 0.4%(v/v), NaN3 0.01%(w/v) 가 되도록 검출 용액을 제조하였다.
5) 사용 방법 및 결과 판정 방법
희석 튜브에 희석 버퍼와 테스트하고자 하는 샘플을 50ul:50ul(1:1)로 잘 섞어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혼합용액 100ul를 래피드 현장진단키트의 검체투입구에 적하한다. 10분 후 육안으로 결과를 판정한다.
육안으로 보았을 때, 대조선과 검사선 위치에 붉은색 선이 나타나면 양성, 대조선에만 붉은색 선이 나타나면 음성으로 판정하고, 대조선에 붉은 색 선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재실험한다.
시험예 1. 양성 민감도 및 검출한계 측정
FMDV O 지역형(topotype)의 바이러스를 1/10, 1/100, 1/1000으로 희석하여 준비하고 각 키트의 용법용량에 따라 민감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2 및 도 5 내지 1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비고
검체 No. 희석비율 희석비율
1/10 1/100 1/1000 1/10 1/100 1/1000
1 ++ + +/- + - - FMDV O Manisa주
(5.75X105 TCID50/ml)
2 + + + + +/- - FMDV O 3039주
(2.2X106 TCID50/ml)
3 + + - + - - FMDV O BFS1860주
(2.3X106 TCID50/ml)
4 + + - + - - FMDV O 타이완주
(8.25X106 TCID50/ml)
5 + + - + - - FMDV O 강화주
(3.89X106 TCID50/ml)
6 + + - + - - FMDV O 안동주
(7.37X106 TCID50/ml)
7 + + - + - - FMDV O 양주주
(8.66X106 TCID50/ml)
8 + + - + +/- - FMDV O 진천주
(3.94X105 TCID50/ml)
9 + + - + - - FMDV O 청주주
(7.75X106 TCID50/ml)
10 + + + + - - FMDV O 파주주
(5.94X105 TCID50/ml)
11 + + + + +/- - FMDV O 합천주
(1.53X106 TCID50/ml)
표 2 및 도 5 내지 1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는 모든 지역형(topotype)에 대해 반응성이 있었으며,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약 10배 이상 민감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교차반응성 평가
FMDV O 혈청형(serotype) 외에 다른 FMDV 혈청형과의 교차반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형 A, Asia1, C, SAT1, SAT2 및 SAT3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표 3 및 도 16에 나타내었다.
혈청형 TCID 50 /ml 판정
O (manisa) 1.12 x 106 +
A (포천) 5.43 x 106 -
A (Iraq) 2.0 x 106 -
Asia (Shamir) 4.74 x 106 -
C 4.74 x 107 -
SAT1 2.0 x 107 -
SAT2 6.32 x 106 -
SAT3 5.2 x 106 -
표 3 및 도 1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FMDV 혈청형 O 이외 다른 6종의 혈청형과의 교차반응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즉, FMDV 혈청형 O 에만 반응성을 나타내며, 나머지 6종의 혈청형에는 반응성이 없어 국내에서 주요 발생 보고된 FMDV 혈청형 O에 대한 현장 감별 진단키트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재현성 시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재조합 항원을 희석하여 만든 양성 검체 2종(중, 고역가)과 음성 검체 1종으로 3개의 스트립으로 재현성 시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표 4 및 도 17에 나타내었다.
반복횟수 #1 #2 #3
검체 음성 중양성 고양성 음성 중양성 고양성 음성 중양성 고양성
판정 - + ++ - + ++ - + ++
표 4 및 도 1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3회 반복테스트 모두 음성은 음성으로 판정되었고, 고양성이 중양성보다 높게 표현되며, 양성은 양성으로 모두 판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의 경우 3회 모두 감도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재현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TC18508P 201611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TC18509P 20161109
<110> MEDIAN Diagnostics Inc. REPUBLIC OF KOREA(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120> Monoclonal Antibodies for detecting Foot and Mouth Disease Virus serotype O and using the same <130> PN160481 <160> 3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1_7F32 <400> 1 Gly Phe Thr Phe Ser Asn Tyr Gly 1 5 <210> 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2_7F32 <400> 2 Ile Ser Ser Gly Gly Ser Tyr Thr 1 5 <210> 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3_7F32 <400> 3 Ser Ser Pro Tyr Tyr Asp Ser Ser Tyr Asp Tyr Ser Leu Asp Tyr 1 5 10 15 <210> 4 <211> 1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F32 Heavy chain V-region <400> 4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Asp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Lys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n Tyr 20 25 30 Gly Met Ser Trp Gly Arg Gln Thr Pro Asp Lys Arg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Thr Ile Ser Ser Gly Gly Ser Tyr Thr Tyr Tyr Pro Asp Ser Leu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Thr Ser Leu Lys Ser Glu Asp Thr Ala Met Tyr Tyr Cys 85 90 95 Ser Ser Pro Tyr Tyr Asp Ser Ser Tyr Asp Tyr Ser Leu Asp Tyr Trp 100 105 110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5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1_7F32 <400> 5 Lys Ser Val Ser Thr Ser Gly Tyr Ser Tyr 1 5 10 <210> 6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2_7F32 <400> 6 Leu Val Ser 1 <210> 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3_7F32 <400> 7 Gln His Ile Arg Glu Leu Thr 1 5 <210> 8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F32 Light chain V-region <400> 8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Ser Leu Ala Val Ser Leu Gly 1 5 10 15 Gln Arg Ala Thr Ile Ser Tyr Arg Ala Ser Lys Ser Val Ser Thr Ser 20 25 30 Gly Tyr Ser Tyr Met His Trp Asn Gln Gln Lys Pro Gly Gln Pro Pro 35 40 45 Arg Leu Leu Ile Tyr Leu Val Ser Asn Leu Glu Ser Gly Val Pro Ala 50 55 60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Asn Ile His 65 70 75 80 Pro Val Glu Glu Glu Asp Ala Ala Thr Tyr Tyr Cys Gln His Ile Arg 85 90 95 Glu Leu Thr Arg Ser Glu Gly Gly Pro Ser Trp 100 105 <210> 9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1_4B14 <400> 9 Gly Tyr Ser Phe Thr Gly Tyr Tyr 1 5 <210> 10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2_4B14 <400> 10 Ile Asn Pro Asp Asn Gly Ala Thr 1 5 <210> 1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3_4B14 <400> 11 Ala Arg Trp Leu Leu Ser Pro Tyr Val Met Asp Tyr 1 5 10 <210> 12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B14 Heavy chain V-region <400> 12 Glu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u Val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Met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Gly Tyr 20 25 30 Tyr Met Asn Trp Val Lys Gln Ser His Val Lys Ser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Arg Ile Asn Pro Asp Asn Gly Ala Thr Asn Tyr Asn Gln Asn Val 50 55 60 Lys Asp Lys Ala Ser Leu Thr Val Asp Lys Ser Ser Asn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His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Trp Leu Leu Ser Pro Tyr Val Met Asp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1_4B14 <400> 13 Lys Ser Val Ser Thr Ser Gly Tyr Ser Tyr 1 5 10 <210> 14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2_4B14 <400> 14 Leu Val Ser 1 <210> 1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3_4B14 <400> 15 Gln His Ile Arg Glu Leu Thr 1 5 <210> 16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B14 Light chain V-region <400> 16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Ser Leu Ala Val Ser Leu Gly 1 5 10 15 Gln Arg Ala Thr Ile Ser Tyr Arg Ala Ser Lys Ser Val Ser Thr Ser 20 25 30 Gly Tyr Ser Tyr Met His Trp Asn Gln Gln Lys Pro Gly Gln Pro Pro 35 40 45 Arg Leu Leu Ile Tyr Leu Val Ser Asn Leu Glu Ser Gly Val Pro Ala 50 55 60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Asn Ile His 65 70 75 80 Pro Val Glu Glu Glu Asp Ala Ala Thr Tyr Tyr Cys Gln His Ile Arg 85 90 95 Glu Leu Thr Arg Ser Glu Gly Gly Pro Ser Trp 100 105 <210> 1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1_7F32 <400> 17 ggattcactt tcagtaacta tggc 24 <210> 1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2_7F32 <400> 18 attagtagtg gtggtagtta cac 23 <210> 19 <211> 4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3_7F32 <400> 19 tcaagccctt actacgatag cagctacgac tattctttgg acta 44 <210> 20 <211> 36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F32 Heavy chain V-region <400> 20 gaggtgcagc tggtggagtc tgggggagac ttagtgaagc ctggagggtc cctgaaactc 60 tcctgtgcag cctctggatt cactttcagt aactatggca tgtcttgggg tcgccagact 120 ccagacaaga ggctggagtg ggtcgcaacc attagtagtg gtggtagtta cacctactat 180 ccagacagct tgaaggggcg attcaccatc tccagagaca atgccaaaaa caccctgtat 240 ttgcaaatga ccagtctgaa gtctgaggac acagccatgt attactgttc aagcccttac 300 tacgatagca gctacgacta ttctttggac tactggggtc aaggaacctc agtcaccgtc 360 tcctca 366 <210> 2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1_7F32 <400> 21 aaaagtgtca gtacatctgg ctatagttat 30 <210> 22 <211> 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2_7F32 <400> 22 cttgtatcc 9 <210> 2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3_7F32 <400> 23 cagcacatta gggagcttac acg 23 <210> 24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F32 Light chain V-region <400> 24 gacattgtgc tgacacagtc tcctgcttcc ttagctgtat ctctggggca gagggccacc 60 atctcataca gggccagcaa aagtgtcagt acatctggct atagttatat gcactggaac 120 caacagaaac caggacagcc acccagactc ctcatctatc ttgtatccaa cctagaatct 180 ggggtccctg ccaggttcag tggcagtggg tctgggacag acttcaccct caacatccat 240 cctgtggagg aggaggatgc tgcaacctat tactgtcagc acattaggga gcttacacgt 300 tcggaggggg gaccaagctg g 321 <210> 2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1_4B14 <400> 25 ggttactcat tcactggcta ctac 24 <210> 2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2_4B14 <400> 26 attaatcctg acaatggtgc tact 24 <210> 27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DR 3_4B14 <400> 27 gcgagatggt tattatcccc ctatgttatg gactac 36 <210> 28 <211> 3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B14 Heavy chain V-region <400> 28 gaggtccaac tgcaacagtc tggacctgag gtggtgaagc ctggggcttc agtgaagatg 60 tcctgcaagg cttctggtta ctcattcact ggctactaca tgaactgggt gaagcaaagc 120 catgtaaaga gccttgagtg gattggacgt attaatcctg acaatggtgc tactaattac 180 aatcagaatg tcaaggacaa ggccagcttg actgtggata agtcctccaa cacagcctac 240 atggagctcc acagcctgac atctgaggac tctgcagtct attattgtgc gagatggtta 300 ttatccccct atgttatgga ctactggggt caaggaacct cagttaccgt ctcctca 357 <210> 29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1_4B14 <400> 29 aaaagtgtca gtacatctgg ctatagttat 30 <210> 30 <211> 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2_4B14 <400> 30 cttgtatcc 9 <210> 3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DR 3_4B14 <400> 31 cagcacatta gggagcttac acg 23 <210> 32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B14 Light chain V-region <400> 32 gacattgtgc tgacacagtc tcctgcttcc ttagctgtat ctctggggca gagggccacc 60 atctcataca gggccagcaa aagtgtcagt acatctggct atagttatat gcactggaac 120 caacagaaac caggacagcc acccagactc ctcatctatc ttgtatccaa cctagaatct 180 ggggtccctg ccaggttcag tggcagtggg tctgggacag acttcaccct caacatccat 240 cctgtggagg aggaggatgc tgcaacctat tactgtcagc acattaggga gcttacacgt 300 tcggaggggg gaccaagctg g 321

Claims (18)

  1. 수탁번호 KCTC18508P 하이브리도마 세포 또는 수탁번호 KCTC18509P인 하이브리도마 세포에서 생산되는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혈청형(serotype)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클론항체는 IgG1 타입인 것인, 단일클론항체.
  3. 삭제
  4.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으로 각각 표시되는 중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7로 각각 표시되는 경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
    을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탐지용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6.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로 각각 표시되는 중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4 및 서열번호 15로 각각 표시되는 경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
    을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탐지용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8.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재조합 벡터.
  10.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숙주세포.
  11.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재조합 벡터.
  13.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숙주세포.
  14. 구제역 바이러스(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혈청형(serotype) O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수탁번호 KCTC18508P 또는 KCTC18509P인 하이브리도마 세포.
  15. 콘쥬게이트 패드, 샘플패드, 멤브레인 및 흡수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콘쥬게이트 패드는 생물학적 시료, FMDV 혈청형 O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1 단일클론항체 및 골드나노입자의 결합제(conjugate)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멤브레인은 FMDV 혈청형 O 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2 단일클론항체 및 대조군 항체에 결합하는 항체가 고정된 것이고,
    상기 제1 단일클론항체는,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으로 각각 표시되는 중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7로 각각 표시되는 경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단일클론항체는,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로 각각 표시되는 중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4 및 서열번호 15로 각각 표시되는 경쇄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FMDV 혈청형 O 탐지용 래피드 키트.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일클론항체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 영역,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단일클론항체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 영역,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FMDV 혈청형 O 탐지용 래피드 키트.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일클론항체는 수탁번호 KCTC18509P인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항체이고,
    상기 제2 단일클론항체는 수탁번호 KCTC 18508P인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단일클론항체인 것인, FMDV 혈청형 O 탐지용 래피드 키트.
KR1020170086716A 2017-07-07 2017-07-07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1996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716A KR101996659B1 (ko) 2017-07-07 2017-07-07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716A KR101996659B1 (ko) 2017-07-07 2017-07-07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154A KR20190006154A (ko) 2019-01-17
KR101996659B1 true KR101996659B1 (ko) 2019-07-05

Family

ID=6527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716A KR101996659B1 (ko) 2017-07-07 2017-07-07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896B1 (ko) * 2019-03-14 2020-12-17 주식회사 메디안디노스틱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진천주의 구조단백질에 대한 항체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241520B1 (ko) * 2019-04-15 2021-04-20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구제역 바이러스 o형에 면역반응성을 나타내는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KR102245325B1 (ko) * 2019-08-05 2021-04-2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구제역 바이러스 검출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CN116589564B (zh) * 2023-03-30 2024-01-09 恺佧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抗aav5抗体及快速aav5滴度测定elisa试剂盒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irology Journal, 2014, 제11권, 논문번호 13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154A (ko)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5256B2 (ja) 重症熱性血小板減少症候群ウイルスの外膜糖タンパク質に結合する抗体及びその用途
KR101996659B1 (ko)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1960968B1 (ko)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a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US9823251B2 (en) Anti-Uroplakin II antibodies systems and methods
CN110590943B (zh) 抗登革热病毒抗体及其应用
KR102243371B1 (ko)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1631054B1 (ko) 마이코박테리아 유래 CFP-10 또는 Ag85B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CN109942702B (zh) 一种人鼠嵌合抗HEV全分子IgG及其应用
KR101996660B1 (ko)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Asia1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168747B1 (ko) 구제역 바이러스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20230039786A (ko) 코로나바이러스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 c-말단 부위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314157B1 (ko) TGF-β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이용방법
KR102078879B1 (ko) 돼지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CN109206510A (zh) 与伪狂犬病病毒gB蛋白结合的单克隆抗体及其应用
KR102191896B1 (ko)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진천주의 구조단백질에 대한 항체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CN114957468A (zh) 一种抗Siglec15抗体及其用途
CN115362170A (zh) 腺病毒的免疫测定方法及免疫测定器具
KR20210116115A (ko)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CN111892657A (zh) 用于检测米田堡血型抗原的抗体及其片段、试剂盒及方法
KR102171950B1 (ko) 먹장어 유래 vlrb 검출용 단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601835B1 (ko) 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3n8형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를 이용한 말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KR102241520B1 (ko) 구제역 바이러스 o형에 면역반응성을 나타내는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CN114002427B (zh) 新型冠状病毒抗原检测的方法和试剂盒
KR102614002B1 (ko) 구제역 바이러스 a형에 면역반응성을 나타내는 항체,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a형 항체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a형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
KR102652398B1 (ko)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적인 단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