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371B1 -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371B1
KR102243371B1 KR1020190045148A KR20190045148A KR102243371B1 KR 102243371 B1 KR102243371 B1 KR 102243371B1 KR 1020190045148 A KR1020190045148 A KR 1020190045148A KR 20190045148 A KR20190045148 A KR 20190045148A KR 102243371 B1 KR102243371 B1 KR 102243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amino acid
variable region
chain variable
acid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467A (ko
Inventor
우인옥
송재영
조수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45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37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081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DNA viruses
    • C07K16/084Papovaviridae, e.g. papillomavirus, polyomavirus, SV40, BK virus, JC vir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1DNA viruses
    • G01N2333/015Parvoviridae, e.g. feline panleukopenia virus, human Parvovi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체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Monoclonal Antibody specific for Canine Parvoviru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개파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CPV) 감염증은 1987년이래 전세계적으로 발생이 보고된 전염성 질병이며 우리나라에는 1980년대 경기도에서 최초로 유행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 후 전국적으로 발생되었다. 임상적으로나 병리학적으로 주로 3-8주령의 어린 강아지에서 볼 수 있는 심장형과 이유 후의 개에서 볼 수 있는 장염형의 2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장염형은 심한 구토, 출혈성 설사, 탈수, 백혈구 감소증이 주요 증상이며 폐사율이 높다.
임상증상과 병리소견은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Feline Panleukopenia: FPL)과 유사하고 이에 대한 치료는 대중요법이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심장형에서는 좌심실을 중심으로 비화농성 심근염을 특징으로 하고, 일반적으로 급성으로 진행되어 폐사율이 높고 예후도 불량하다.
파보바이러스는 감염된 개의 설사분변을 통해 입으로 감염되며 급성형의 경우 감염 후 1-2주간 엄청난 양의 바이러스가 분변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바이러스는 보통의 생활환경에서 수개월간 생존하며 병원성이 유지된다.
CPV는 파보바이러스 개 미니트 바이러스(CMV 또는 CPV-1)과 구분하여 "CPV-2"로 기재한다. CPV-2는 일반적으로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바이러스(feline panleukopenia virus: FPV)나 밍크 장 바이러스(mink enteric virus: MEV)의 유전자 변이체인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밍크, 여우, 라쿤 및 그외 육식 동물을 감염시키는 파보바이러스와 유전자 및 항원 측면에서 매우 가까운 관계이다. 개파보바이러스 캡시드는 대안적인 mRNA 스플라이싱으로 인해 4개 이상의 단백질이 코딩되지만 단지 2개의 ORF(open reading frame)를 가진 약 5,200개의 염기로 구성된 단일 가닥의 DNA 게놈을 포함하고 있다.
파보바이러스의 캡시드는 2종의 바이러스 단백질(Virus Protein: VP) VP1과 VP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VP2가 주요 면역원성 파보바이러스 캡시드 단백질이다. 오리지날 개파보바이러스 분리물에 대한 유전자 변이체들이 동정되어 개파보바이러스 타입 2a로 명명되었고, 또 다른 변이체인 타입 2b가 명명되었고, 최근에는 2c가 동정되었다.
개파보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백신접종이다. 약독화된 개파보바이러스 백신은 면역을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으며 유효하고 이상적이나 모체이행항체의 영향을 받아 백신의 효과가 반감될 수도 있어 주의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개파보바이러스 백신은 조직순화 생독백신으로서 개 디스템퍼, 개 전염성간염, 파라인플루엔자 및 렙토스파이라 등과 5종 혼합 백신의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진단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정확하고 간편한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진단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단일클론항체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 된 숙주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개파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CPV)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개파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CPV)는 대부분 개, 특히 강아지를 감염시키는 장내 병원체이다. 개파보바이러스 감염은 개와 4 내지 5주령이 지난 강아지에서는 급성 설사, 열 및 백혈구 감소증을, 보다 어린 강아지에서는 심근 질환을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개의 경우, 이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매우 높다. 개파보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이용할 수는 있지만, 개파보바이러스는 단일 가닥 DNA 바이러스이고 돌연변이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바이러스는 항원 측면에서 상당한 변형 능력을 나타내며, 따라서 백신에 의해서는 면역 예방이 되지 않는다.
개파보바이러스 바이러스는 돌연변이 되어 새로운 항원성을 가진 변이체로 변이될 수 있기 때문에, 개파보바이러스 변이체의 유전자 구성을 살펴 현재의 개파보바이러스 변이체를 반영하는 백신 및 진단 테스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쇄 CDR(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경쇄 CDR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12 및 서열번호 1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쇄 CDR(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경쇄 CDR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및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체(antibody)"는 개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특이 항체로서, 개파보바이러스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완전한 항체 형태 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완전한 항체는 2개의 전장(full length) 경쇄 및 2개의 전장 중쇄를 가지는 구조이며 각각의 경쇄는 중쇄와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항체의 불변 영역은 중쇄 불변 영역과 경쇄 불변 영역으로 나눠지며, 중쇄 불변 영역은 감마(γ), 뮤(μ), 알파(α), 델타(δ) 및 엡실론(ε) 타입을 가지고, 서브클래스로 감마1(γ1), 감마2(γ2), 감마3(γ3), 감마4(γ4), 알파1(α1) 및 알파2(α2)를 가진다. 경쇄의 불변 영역은 카파(κ) 및 람다(λ) 타입을 가진다.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항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단일클론항체"는 상기 항체 분자가 단일 분자로 구성되도록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단일클론항체는 동일한 에피토프를 갖는 항원에 대해서만 반응하는 특이성을 가지며, 또한 특정 에피토프에 대해서만 친화성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쇄(heavy chain)"는 항원에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해 충분한 가변 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도메인 VH 및 3개의 불변 영역 도메인 CH1, CH2 및 CH3를 포함하는 전장 중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경쇄(light chain)"는 항원에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가변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도메인 VL 및 불변 영역 도메인 CL을 포함하는 전장 경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CDR(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은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및 경쇄의 고가변 영역(hypervariable region)의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중쇄 및 경쇄는 각각 3개의 CDR을 포함할 수 있다(CDRH1, CDRH2, CDRH3 및 CDRL1, CDRL2, CDRL3). 상기 CDR은 항체가 항원 또는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접촉 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원 결합 단편"은 면역글로불린 전체 구조에 대한 그의 단편으로, 항원이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의 일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F(ab')2, Fab', Fab, Fv 또는 scF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 중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불변 영역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 영역(CH1)을 가지는 구조로 1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진다.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C-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영역(hinge reg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Fab와 차이가 있다. F(ab')2 항체는 Fab'의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Fv는 중쇄 가변부위 및 경쇄 가변부위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조각으로 Fv 단편을 생성하는 재조합 기술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중쇄 Fv(two-chain Fv)는 비공유 결합으로 중쇄 가변부위와 경쇄 가변부위가 연결되어 있고 단쇄 Fv(single-chain Fv)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링커를 통하여 중쇄의 가변 영역과 단쇄의 가변 영역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C-말단에서 바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중쇄 Fv와 같이 다이머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서 얻을 수 있고(예를 들어, 전체 항체를 파파인으로 제한 절단하면 Fab를 얻을 수 있고 펩신으로 절단하면 F(ab')2 단편을 얻을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항체, 이특이적 항체, 비-인간 항체, 키메릭 항체, 단쇄 Fvs(scFV), 단쇄 항체, Fab 단편, F(ab')단편, 다이설파이드-결합 Fvs(sdFV) 및 항-이디오타입(항-Id) 항체, 그리고 상기 항체들의 에피토프-결합 단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키메릭"은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위가 2개의 상이한 종으로부터 유래한 서열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개파보바이러스를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첨부한 서열번호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예를 들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잔기의 결실, 삽입 및/또는 치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미노산의 변이는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상대적 유사성, 예를 들어,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와 같은 특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은 모두 양전하를 띤 잔기이고, 알라닌, 글리신과 세린은 유사한 크기를 가지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티로신은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 알라닌, 글리신과 세린; 및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티로신은 생물학적으로 기능 균등물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가장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y/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간의 교환이다.
상기 생물학적 균등 활성을 갖는 변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에 기재된 서열과 실질적인 동일성(substantial identity)을 나타내는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한 서열번호의 아미노산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60%의 상동성, 최소 70%의 상동성, 최소 80%의 상동성 또는 최소 90%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서열일 수 있다.
서열의 비교를 위한 얼라인먼트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NCBI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BLAST)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blastp, blastx, tblastn 및 tblastx와 같은 서열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또는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9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는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이다. RNA 게놈 서열, DNA(gDNA 및 cDNA) 및 이로부터 전사되는 RNA 서열을 포괄하며, 특별하게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천연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또는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뿐만 아니라, 그 서열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서열도 포함한다.
상기 상보적인 서열은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서열도 포함하며,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엄격 조건(stringent conditions) 하에서, 예를 들어, 상기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또는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혼성화 될 수 있는 서열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중쇄 가변영역 및/또는 경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뉴클레오티드의 추가, 결실 또는 비보존적 치환 또는 보존적 치환을 포함한다.
상기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또는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대하여 실질적인 동일성을 나타내는 뉴클레오티드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80%의 상동성, 최소 90%의 상동성 또는 최소 95%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서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인 것을 수 있으며,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인 것을 수 있다.
상기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9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인 것을 수 있으며,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인 것을 수 있다.
상기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벡터"는 숙주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및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와 같은 바이러스 벡터를 포함한다. 상기 재조합 벡터로 사용될 수 있는 벡터는 당업계에서 종종 사용되는 플라스미드(예를 들면, pSC101, pGV1106, pACYC177, ColE1, pKT230, pME290, pBR322, pUC8/9, pUC6, pBD9, pHC79, pIJ61, pLAFR1, pHV14, pGEX 시리즈, pET 시리즈 및 pUC19 등), 파지(예를 들면, λgt4λB, λ-Charon, λΔz1 및 M13 등) 또는 바이러스(예를 들면, SV40 등)를 조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에서 상기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프로모터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용어, "작동적으로 연결된(operatively linked)"은 뉴클레오티드 발현 조절 서열(예: 프로모터 서열)과 다른 뉴클레오티드 서열 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에 의해 상기 조절 서열은 상기 다른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전형적으로 클로닝을 위한 벡터 또는 발현을 위한 벡터로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발현용 벡터는 당업계에서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에서 외래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원핵세포 또는 진핵세포를 숙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벡터가 발현 벡터이고, 원핵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전사를 진행시킬 수 있는 강력한 프로모터(예컨대, pL λ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lac 프로모터, tac 프로모터, T7 프로모터 등), 해독의 개시를 위한 라이보좀 결합 자리 및 전사/해독 종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진핵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벡터에 포함되는 진핵세포에서 작동하는 복제원점은 f1 복제원점, SV40 복제원점, pMB1 복제원점, 아데노 복제원점, AAV 복제원점 및 BBV 복제원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유동물 세포의 게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예: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또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예: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프로모터 및 HSV의 tk 프로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전사 종결 서열로서 폴리아데닐화 서열을 일반적으로 갖는다.
한편, 상기 항체의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을 발현할 수 있는 벡터는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이 하나의 벡터에서 동시에 발현되는 벡터 시스템이거나 또는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을 각각 별도의 벡터에서 발현시키는 시스템 모두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두 벡터는 동시 형질전환(co-transformation) 및 표적 형질전환(targeted transformation)을 통하여 숙주세포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 된 숙주세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재조합 벡터를 안정되면서 연속적으로 클로닝 또는 발현시킬 수 있는 숙주세포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숙주세포도 이용할 수 있으며, 원핵세포로는 예를 들어, E. coli JM109, E. coli BL21, E. coli RR1, E. coli LE392, E. coli B, E. coli X 1776, E. coli W3110,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츄린겐시스와 같은 바실러스 속 균주, 그리고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세라티아 마르세슨스 및 다양한 슈도모나스 종과 같은 장내균과 균주 등이 있으며, 진핵세포에 형질 전환시키는 경우에는 숙주세포로서, 효모(Saccharomyce cerevisiae), 곤충세포, 식물세포 및 동물세포, 예를 들어, Sp2/0, CHO(Chinese hamster ovary) K1, CHO DG44, PER.C6, W138, BHK, COS-7, 293, HepG2, Huh7, 3T3, RIN 및 MDCK 세포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의 숙주세포 내로의 운반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운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운반 방법은 예를 들어, 숙주세포가 원핵세포인 경우, CaCl2 방법 또는 전기 천공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숙주세포가 진핵세포인 경우에는 미세 주입법, 칼슘 포스페이트 침전법, 전기 천공법, 리포좀-매개 형질감염법 및 유전자 밤바드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E. coli 등의 미생물을 이용하는 경우, 생산성은 동물세포 등에 비하여 높은 편이나 당화(glycosylation) 문제로 인해 인택트(intact)한 Ig 형태의 항체 생산에는 적당하지 않지만, Fab 및 Fv와 같은 항원 결합 단편의 생산에는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형질전환 된 숙주세포를 선별하는 방법은 선택 표지에 의해 발현되는 표현형을 이용하여,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표지가 특정 항생제 내성 유전자인 경우에는, 상기 항생제가 함유된 배지에서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형질전환체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숙주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된 세포에서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포는 배지에서 배양할 수 있으며, 시판용 배지 등을 종류에 제한 없이 배양 배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공지된 기타 필수 보충물이 적절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배양 조건, 예를 들어, 온도, pH 등이 발현을 위해 선별된 세포에 대해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의 회수는 예를 들어 원심분리 또는 한외여과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그 결과물을 예를 들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통해 정제할 수 있다. 추가의 정제 기술, 예를 들어 음이온 또는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히드록실아파타이트 크로마토그래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면역반응성을 나타내어 개파보바이러스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바이러스 진단 시약의 항체로 적용하면 개파보바이러스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키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에는 항체의 활성 유지 및 항원-항체 결합을 확인하기 위한 보조물질 등 통상의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첨가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에는 검사대상의 시료를 채취 또는 진단 시약을 적용하기 위한 도구, 항원-항체 결합을 확인하기 위한 시약 또는 장치 등 항체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바이러스의 존재유무를 확인하는 통상의 진단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도구, 장치 또는 시약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단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도구/시약으로는 적합한 담체, 검출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지 물질, 용해제, 세정제, 완충제, 안정화제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표지 물질이 효소인 경우에는 효소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질 및 반응 정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가용성 담체, 예를 들어 당 분야에 공지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액, 예를 들어 PBS, 불용성 담체,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불소 수지, 가교덱스트란, 폴리사카라이드, 라텍스에 금속을 도금한 자성 미립자와 같은 고분자, 기타 종이, 유리, 금속, 아가로오스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사용하여 개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개파보바이러스의 항원 단백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파보바이러스의 항원 단백질 검출은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항원-항체 반응은 조직면역염색, 방사능면역분석법(RIA), 효소 면역분석법(ELISA), 웨스턴블럿(Western Blotting),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면역확산분석법(Immunodiffusion Assay), 보체고정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FACS(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및 단백질칩(protein chip)분석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개의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또는 뇨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개의 혈청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체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a는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세포와 개파보바이러스에 대한 양성대조군 단일클론항체(abcam anti-parvovirus antibody, ab140431)를 반응시켜 염색하여 개파보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b는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세포와 음성대조군 항체(음성 마우스 항체)를 반응시켜 염색하여 개파보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c는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세포와 실시예 1에서 얻은 개파보바이러스 단일클론항체 CPV-620을 반응시켜 염색하여 개파보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d는 개파보바이러스 감염 세포와 실시예 1에서 얻은 개파보바이러스 단일클론항체 CPV-330을 반응시켜 염색하여 개파보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CPV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1-1. 항체 제작
개파보바이러스(CPV 2a)로 면역화된 balb/c 마우스의 비장(spleen)을 적출하여 splenocytes를 얻은 후 myeloma cell(SP2/0AG14)과 fusion하였으며, HAT selection 후 cloning을 통해 2종(CPV-620, CPV-330)의 하이브리도마 클론을 확보하였다.
1-2. CPV 감염 확인
A72 세포에 개파보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세포를 고정한 후 개파보바이러스(CPV 2a)로 마우스를 면역화시킨 후 확보한 단일클론항체 2종을 반응시킨 다음 DAB 염색 후 확인한 결과, 2종(CPV-620, CPV-330)의 단일클론항체를 통해 개파보바이러스 감염이 특이적으로 확인되었다(도 1c 및 도 1d).
실시예 2. 혈구 응집 억제 시험(Hemagglutination Inhibition test: HI Test)
2-1. 검사방법
2-1-1. Kaoline 처리
56℃에서 30분간 비동화(inactivation)한 2종(CPV-620, CPV-330)의 단일 클론 하이브리도마 상층액을 Sorensen buffer로 1:5로 희석하였다. 희석한 가검혈청 0.1-0.4 ml를 튜브에 첨가하고, 동량의 Kaoline 현탁액을 첨가한 다음, 혼합하였다. 배양중 3-4회 혼합하면서 4℃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원심분리(1,000Хg, 15분, 4℃)한 다음, 상층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상태의 혈청은 1:10으로 희석된 상태이다.
상기 Sorensen buffer(pH 6.8)는 KH2PO4(9.078 g), NaCl(9.0 g) 및 증류수 1 L를 혼합하여 제조한 Solution A(M/15 KH2PO4)와 Na2HPO4(9.47 g), NaCl(9.0 g) 및 증류수 1 L를 혼합하여 제조한 Solution B(M/15 Na2HPO4)를 508:492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Kaoline 현탁액은 90 ml의 PBS에 시판되는 acid-washed kaoline 25 g을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24시간 동안 정치하여 침전시키고 상층액을 버린 다음, PBS를 첨가하여 100 ml가 되게 한 후 1N NaOH로 pH를 7.2로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2-1-2. 적혈구를 이용한 비특이 응집소 흡착
50% 돼지 적혈구 현탁액을 준비하고, Kaoline을 처리한 단일 클론 하이브리도마 상층액 1 ml에 대해 50% 적혈구 현탁액 0.1 ml을 첨가하였다. 4℃에서 1시간 흡착하고 원심분리(1,000Хg, 10분)한 다음, 상층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2-1-3. 판독
단일 클론 하이브리도마 상층액을 Sorensen buffer로 2배수 단계희석하고 VP2 재조합 항원이나 CPV(8 HA unit/50 μl)을 50 μl 첨가하였다. 항원의 back titration을 실시한 다음, plate를 부드럽게 혼합하고 실온에 1시간 배양하였다. 적혈구 현탁액 50 μl를 첨가한 다음, 부드럽게 혼합하고 4℃에서 1-2시간 배양한 다음, 판독하였다.
2종(CPV-620, CPV-330)의 단일 클론 하이브리도마 상층액을 가지고 돼지 적혈구를 이용하여 HI 시험을 실시한 결과, 개파보바이러스에 대하여 HI 반응을 확인하였다. CPV-620 단일 클론 하이브리도마 상층액의 HI 역가(titer)는 24, CPV-330 단일 클론 하이브리도마 상층액의 HI 역가는 25로 확인되었다.
<110> REPUBLIC OF KOREA(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120> Monoclonal Antibody specific for Canine Parvovirus and use thereof <130> PN190028 <160> 2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CDR1 <400> 1 Gly Phe Ser Leu Ser Thr Ser Gly Met Gly 1 5 10 <210> 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CDR2 <400> 2 Ile Trp Trp Asp Asp Asp Lys 1 5 <210> 3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CDR3 <400> 3 Ala Arg Ile Ala Glu Val Tyr Tyr Tyr Gly His Tyr Tyr Ala Met Asp 1 5 10 15 Tyr <210> 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CDR1 <400> 4 Gln Ser Leu Leu Asn Ser Ser Asn Gln Lys Asn Tyr 1 5 10 <210> 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CDR2 <400> 5 Phe Ala Ser 1 <210> 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CDR3 <400> 6 Gln Gln His Tyr Ser Ile Pro Trp Thr 1 5 <210> 7 <211> 1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AA SEQ <400> 7 Gln Val Thr Leu Lys Glu Ser Gly Pro Gly Ile Leu Gln Pro Ser Gln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Ser Phe Ser Gly Phe Ser Leu Ser Thr Ser 20 25 30 Gly Met Gly Val Gly Trp Ile Arg Gln Pro Ser Gly Lys Gly Leu Glu 35 40 45 Trp Leu Ala His Ile Trp Trp Asp Asp Asp Lys Arg Tyr Asn Pro Ala 50 55 60 Leu Lys Ser Arg Leu Thr Ile Ser Lys Asp Thr Ser Ser Asn Gln Val 65 70 75 80 Phe Leu Lys Ile Ala Ser Val Asp Thr Ala Asp Thr Ala Thr Tyr Tyr 85 90 95 Cys Ala Arg Ile Ala Glu Val Tyr Tyr Tyr Gly His Tyr Tyr Ala Met 100 105 110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125 <210> 8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AA SEQ <400> 8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Ala Met Ser Val Gly 1 5 10 15 Gln Lys Val Thr Met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Asn Ser 20 25 30 Ser Asn Gln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Ser Pro Lys Leu Leu Val Tyr Phe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Ile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Val Gln Ala Glu Asp Leu Ala Asp Tyr Phe Cys Gln Gln 85 90 95 His Tyr Ser Ile Pro Trp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100 105 110 Lys <210> 9 <211> 3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DNA SEQ <400> 9 caggttactc tgaaagagtc tggccctggg atattgcagc cctcccagac cctcagtctg 60 acttgttctt tctctgggtt ttcactgagc acttctggta tgggtgtagg ctggattcgt 120 cagccttcag ggaagggtct ggagtggctg gcacacattt ggtgggatga tgacaagcgc 180 tataacccag ccctgaagag ccgactgaca atctccaagg atacctccag caaccaggta 240 ttcctcaaga tcgccagtgt ggacactgca gatactgcca catactactg tgctcgaata 300 gctgaggttt attactacgg tcattactat gctatggact actggggtca aggaacctca 360 gtcaccgtct cctca 375 <210> 10 <211> 3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DNA SEQ <400> 10 gacattgtga tgacccagtc tccatcctcc ctggctatgt cagtaggaca gaaggtcact 60 atgagctgca agtccagtca gagcctttta aatagtagca atcaaaagaa ctatttggcc 120 tggtaccagc agaaaccagg acagtctcct aaacttctgg tatactttgc atccactagg 180 gaatctgggg tccctgatcg cttcataggc agtggatctg ggacagattt cactcttacc 240 atcagcagtg tgcaggctga agacctggca gattacttct gtcagcaaca ttatagtatt 300 ccgtggacgt tcggtggagg caccaagctg gaaatcaaa 339 <210> 1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CDR1 <400> 11 Gly Asp Ser Ile Thr Ser Gly Tyr 1 5 <210> 1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CDR2 <400> 12 Ile Ser Tyr Ser Gly Asn Thr 1 5 <210> 13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CDR3 <400> 13 Ala Arg Arg Pro Tyr Tyr Tyr Gly Ser Ser Tyr Phe Asp Tyr 1 5 10 <210> 1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CDR1 <400> 14 Asp His Ile Asn Asn Trp 1 5 <210> 1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CDR2 <400> 15 Gly Ala Thr 1 <210> 1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CDR3 <400> 16 Gln Gln Phe Trp Ser Thr Pro Pro Thr 1 5 <210> 17 <211> 1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AA SEQ <400> 17 Gln Val Gln Leu Glu Glu Ser Gly Pro Ser Leu Val Lys Pro Ser Gln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Ser Val Thr Gly Asp Ser Ile Thr Ser Gly 20 25 30 Tyr Trp Asn Trp Ile Arg Arg Phe Pro Gly Asn Lys Leu Glu Tyr Met 35 40 45 Gly Tyr Ile Ser Tyr Ser Gly Asn Thr Tyr Tyr Asn Pro Ser Leu Lys 50 55 60 Ser Arg Ile Ser Ile Thr Arg Asp Thr Ser Lys Asn Gln Tyr Tyr Leu 65 70 75 80 Gln Leu Asn Ser Val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Tyr Cys Ala 85 90 95 Arg Arg Pro Tyr Tyr Tyr Gly Ser Ser Tyr Phe Asp Tyr Trp Gly Gln 100 105 110 Gly Thr Thr Leu Thr Val Ser Ser 115 120 <210> 18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AA SEQ <400> 18 Asp Ile Val Met Thr Gln Ser Ser Ser Tyr Leu Ser Val Ser Leu Gly 1 5 10 15 Gly Arg Val Thr Ile Thr Cys Lys Ala Ser Asp His Ile Asn Asn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Asn Ala Pro Arg Leu Leu Ile 35 40 45 Ser Gly Ala Thr Ser Leu Glu Th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Lys Asp Tyr Thr Leu Ser Ile Thr Ser Leu Gln Thr 65 70 75 80 Glu Asp Val Ala Thr Tyr Tyr Cys Gln Gln Phe Trp Ser Thr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Arg 100 105 <210> 19 <211> 3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H DNA SEQ <400> 19 caggtgcagc tggaggagtc aggacctagc ctcgtgaaac cttctcagac tctgtccctc 60 acctgttctg tcactggcga ctccatcacc agtggttact ggaactggat ccggagattc 120 ccagggaaca aacttgagta catggggtac ataagctaca gtggtaacac ttactacaat 180 ccatctctca aaagtcgaat ctccatcact cgagacacat ccaagaacca gtactacctg 240 cagttgaatt ctgtgactac tgaggacaca gccacatatt actgtgcaag acggccctat 300 tactacggta gtagctactt tgactactgg ggccaaggca ccactctcac agtctcctca 360 360 <210> 20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 DNA SEQ <400> 20 gacattgtga tgacccagtc ttcatcctac ttgtctgtat ctctaggagg cagagtcacc 60 attacttgca aggcaagtga ccacattaat aattggttag cctggtatca gcagaaacca 120 ggaaatgctc ctaggctctt aatatctggt gcaaccagtt tggaaactgg ggttccttca 180 agattcagtg gcagtggatc tggaaaggat tacactctca gcattaccag tcttcagact 240 gaagatgttg ctacttatta ctgtcaacag ttttggagta ctcctccgac gttcggtgga 300 ggcaccaagc tggaaatcag a 321

Claims (12)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CPV)-2c(CPV-2c)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3. 서열번호 1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CDR1(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1),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2) 및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CPV)-2c(CPV-2c)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5.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9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재조합 벡터.
  7.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재조합 벡터.
  9. 제 5 항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 된 숙주세포.
  10. 제 7 항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 된 숙주세포.
  11. 제 1 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2c(CPV-2c) 감염 진단용 조성물.
  12. 제 3 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개파보바이러스-2c(CPV-2c) 감염 진단용 조성물.
KR1020190045148A 2019-04-17 2019-04-17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24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48A KR102243371B1 (ko) 2019-04-17 2019-04-17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48A KR102243371B1 (ko) 2019-04-17 2019-04-17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467A KR20200122467A (ko) 2020-10-28
KR102243371B1 true KR102243371B1 (ko) 2021-04-23

Family

ID=7301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148A KR102243371B1 (ko) 2019-04-17 2019-04-17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35498B (zh) * 2023-04-03 2023-10-31 领地动物诊疗科技(厦门)有限公司 抗犬细小病毒vp2蛋白抗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6430051B (zh) * 2023-04-10 2023-09-08 哈尔滨元亨生物药业有限公司 一种犬细小病毒检测试剂盒及其应用
CN116735873B (zh) * 2023-08-09 2023-10-31 北京纳百生物科技有限公司 特异性结合犬细小病毒vp2蛋白的单克隆抗体在检测试剂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4372A1 (en) * 2011-06-01 2012-12-06 Indian Immunologicals Limited Recombinant anti-canine parvovirus antibody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324B1 (en) * 1996-12-14 1999-06-15 Rep Korea Nat Vet & Quarantine Recombinant baculovirus containing vp2 gene of canine parvovirus, a method for producing recombinant vp2 protein, and a vaccine containing recombinant vp2 protein
KR100574559B1 (ko) * 2004-04-14 2006-04-27 (주)에니젠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에 의한 개 파보바이러스 항체진단키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4372A1 (en) * 2011-06-01 2012-12-06 Indian Immunologicals Limited Recombinant anti-canine parvovirus antibody and use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ICAL AND DIAGNOSTIC LABORATORY IMMUNOLOGY, Vol. 10, No. 6, pp. 1085-1089(2003.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467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371B1 (ko) 개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CN112812178B (zh) PCV3 Cap蛋白抗原表位肽、抗PCV3 Cap蛋白的单克隆抗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60968B1 (ko)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a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1996659B1 (ko)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US8828400B2 (en) Antibody that binds to H-1 parvovirus
WO2022179535A1 (zh) 抗SARS-CoV-2核衣壳蛋白的单克隆抗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253979B (zh) 单克隆抗体10b10识别的口蹄疫病毒血清型共享性抗原表位及其应用
KR102450481B1 (ko) 돼지열병 바이러스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용도
KR20070103548A (ko)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에 대한 단클론항체 및 이것의 용도
KR102168747B1 (ko) 구제역 바이러스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078879B1 (ko) 돼지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1996660B1 (ko)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Asia1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269281B1 (ko) 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243368B1 (ko) 돼지파보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Hernández et al. Monoclonal and Polyclonal Antibodies as Biological Reagents for SARS-CoV-2 Diagnosis Through Nucleocapsid Protein Detection.
KR102298278B1 (ko)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191896B1 (ko) 구제역 바이러스 혈청형 o 진천주의 구조단백질에 대한 항체 탐지용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20210116115A (ko)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KR20070103547A (ko)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에 대한 단클론항체 및 이것의 용도
KR102652398B1 (ko)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적인 단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234834B1 (ko) 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의 뉴클레오단백질에 대한 항체 탐지용 단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241521B1 (ko) 구제역 바이러스 o형에 면역 반응성을 나타내는 항체를 이용한 구제역 백신 접종으로 생성된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
KR102604669B1 (ko)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a 단백질에 특이적인 단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CN116836270B (zh) 一种抗蓝舌病毒vp7蛋白的单克隆抗体及制备方法与用途
JP7359390B2 (ja) チクングニアウイルスに対する抗体またはその抗原結合断片、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