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424B1 -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424B1
KR101996424B1 KR1020170052479A KR20170052479A KR101996424B1 KR 101996424 B1 KR101996424 B1 KR 101996424B1 KR 1020170052479 A KR1020170052479 A KR 1020170052479A KR 20170052479 A KR20170052479 A KR 20170052479A KR 101996424 B1 KR101996424 B1 KR 10199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diode
layer
manufacturing
barrier layer
wel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039A (ko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2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424B1/ko
Priority to PCT/KR2018/004692 priority patent/WO2018199577A1/ko
Publication of KR2018011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06Substrates, e.g. growth, shape, material, removal or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2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 H01S5/32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2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 H01S5/32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01S5/32308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emitting light at a wavelength less than 900 nm

Abstract

본 발명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은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버퍼층 상에 GaAs를 포함하는 배리어층 및 Ge를 포함하는 우물층이 서로 교번하도록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LASER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에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주요 파장은 850 nm, 980 nm, 1.3 um, 및 1.55 um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장거리용 롱-하울(long-haul) 또는 메트로네트워크(metro-network) 통신에 사용되는 파장은 1.55 um와 1.3 um이다.
일반적으로, 1.3 um 및 1.55 um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해서 InP(indium phosphide) 기판 위에 InGaAsP(indium gallium arsenide phosphide) 양자우물 구조를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열적 안정성이 취약하고, InP 기판 사용으로 인한 고비용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GaAs(gallium arsenide) 기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생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다양한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서 아직까지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8168호(2005.03.17.)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은,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버퍼층 상에 GaAs를 포함하는 배리어층 및 Ge를 포함하는 우물층이 서로 교번하도록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우물층을 성장시킴에 있어서, IBuGe을 Ge 전구체로 사용하여 MOCVD 또는 MBE로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 및 상기 우물층은 상기 버퍼층 상에서 초격자(superlattice) 구조 또는 양자 우물 구조를 갖도록 성장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15 도 이하로 기울어진 상기 기판 상에서 성장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은 In, P, 및 Al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물층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상기 배리어층을 성장시키는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상기 우물층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초당 0.01 내지 100 옹스트롬이고, 상기 배리어층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초당 0.01 내지 100 옹스트롬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 상에, 상기 우물층 및 상기 배리어층의 쌍(pair)이 1 내지 100 쌍이 되도록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우물층은 Sn 또는 C를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은 0.3 내지 500 nm 두께로 성장될 수 있다.
상기 우물층은 0.3 내지 100 nm 두께로 성장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을 성장시키기 전에 상기 기판을 1 내지 2000 sccm의 AsH3 유량 및 섭씨 500 내지 900 도에서 60분 이하로 열처리할 수 있다.
운반가스로 H2 또는 N2가 사용되고, 반응기(reactor)의 압력은 1013 mbar 이하로 설정되고, 성장온도는 섭씨 500 내지 900 도로 유지될 수 있다.
TMGa(trimethylgallium) 또는 TEGa(triethylgallium)가 Ga 전구체로서 사용되고, TMIn(trimethylindium) 또는 TEIn(triethylindium)가 In 전구체로서 사용되고, AsH3(arsine) 또는 TBA(tertiarybutylarsine)가 As 전구체로서 사용되고, PH3(phosphine), TBP(tertiarybutylphosphine), 및 DTBP(ditertiarybutylphosphine) 중 적어도 하나가 P 전구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위치하고, GaAs를 포함하는 배리어층 및 Ge를 포함하는 우물층이 서로 교번하도록 적층된 기능층을 포함한다.
상기 우물층은 IBuGe을 Ge 전구체로 사용하여 MOCVD 또는 MBE로 성장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계면은 15 도 이하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은 In, P, 및 Al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은 0.3 내지 500 nm 두께이고, 상기 우물층은 0.3 내지 100 nm 두께이고, 상기 버퍼층은 10 um 이하의 두께일 수 있다.
상기 우물층은 Sn 또는 C를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은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의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의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의 3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의 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의 5 단계 및 제조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포토루미네슨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적층 구조를 TEM 사진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의 1 내지 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의 5 단계 및 제조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기판(100)을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 기판(100)을 MOCVD(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기판(100)은 GaAs, Si, 및 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OCVD는 고온의 기판 위에 원료 가스를 유출시켜, 그 표면상에서 분해반응을 일으켜 박막을 형성하는 화학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의 하나로서, 원료 가스 중에 유기 금속 착물을 포함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MBE(molecular beam epitaxy)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00)의 계면은 15 도 이하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판(100)의 계면은 [111] 방향으로 6 도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기판(100) 상에 버퍼층(200)을 성장시킬 수 있다. 버퍼층(200)은 GaAs 및 Si1 - xGex(x는 0 이상 1 이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이 GaAs를 포함하는 경우 버퍼층(200)은 GaA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100)이 Si(silicon)를 포함하는 경우 버퍼층(200)은 Si1 - xGex(x는 0 이상 1 이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100)이 Ge를 포함하는 경우 버퍼층(200)은 GaAs 및 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퍼층(200)을 성장시키기 전에 기판(100)을 1 내지 2000 sccm의 AsH3 유량 및 섭씨 500 내지 900 도에서 60분 이하로 열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버퍼층(200)을 성장시키기 전에 기판(100)을 30 sccm의 AsH3 유량 및 섭씨 670 도에서 5 분 동안 열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기판(100) 표면의 자연 산화막이 제거된 상태에서 박막을 성장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00) 상에 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운반가스(carrier gas)로 H2 또는 N2가 사용되고, 반응기(reactor)의 압력은 1013 mbar 이하로 설정되고, 성장온도는 섭씨 500 내지 900 도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응기의 압력은 100 mbar로 고정되고, 성장온도는 섭씨 650 도로 유지될 수 있다.
성장된 버퍼층(200)은 10 u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장된 버퍼층(200)은 200 nm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버퍼층(200)을 통해 후술하는 우물층과 배리어층은 양자 우물 구조 또는 초격자(superlattice) 구조를 갖도록 성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버퍼층(200) 상에 GaAs를 포함하는 배리어층(300, 300_1) 및 Ge(germanium)를 포함하는 우물층(400_1)이 서로 교번하도록 성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물층(400_1)은 배리어층(300, 300_1)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하게 되고, 배리어층(300, 300_1)의 에너지 갭(energy gap)과 우물층(400_1)의 에너지 갭의 차이로 인해서 전자가 우물층(400_1)에 속박됨을 이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리어층(300, 300_1)과 우물층(400_1)의 그룹을 기능층으로 명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우물층(400_1)을 성장시킴에 있어서, IBuGe(isobutylgermane)를 Ge 전구체로 사용하여 MOCVD로 성장시킬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Ge 층을 성장시킴에 있어서 주로 저메인 가스(germane gas)를 이용해 UHV-CVD(ultra-high vacuum chemical vapor deposition)로 성장시켰는데, UHV-CVD로는 III-V족 화합물 반도체를 성장시킬 수 없으므로, GaAs를 기반으로 하는 본 실시예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IBuGe를 Ge 전구체로 사용한 MOCVD를 이용하여 III-V족 화합물 위에 우물층(400_1)을 인사이투(in-situ)로 성장시킬 수 있는 점에 큰 특징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IBuGe를 Ge 전구체로 사용하여 MBE로 성장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우물층(400_1)을 성장시킴에 있어서, 저메인(germane), DiMAGeC(dimethylamino germanium trichloride), TMGe(tetramethylgermane), 및 TEGe(tetraethylgermane) 중 적어도 하나를 Ge 전구체로 사용하여 MOCVD 또는 MBE로 성장시킬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다른 종류의 금속유기 소스(metalorganic source)를 Ge 전구체로 이용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우물층(400_1)은 Sn(Tin) 또는 C(Carbon)를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우물층(400_1)은 적당량의 Sn 또는 C를 불순물으로 첨가하여 밴드갭 최적화를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10) 가 1200 내지 1700 nm 대역의 파장을 방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파장의 대역을 조절하기 위하여 각 우물층(400_1) 또는 배리어층(300, 300_1)의 두께 및 조성을 조절할 수도 있다.
배리어층(300, 300_1)은 GaAs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나, 다른 조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300, 300_1)은 In(indium)을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하여 InGaAs(indium gallium arsenide)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300, 300_1)은 P(phosphorus)를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하여 InGaAsP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300, 300_1)은 Al(aluminum)을 구성성분으로 더 포함하여 AlGaAs로 조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조성을 위해, TMGa(trimethylgallium) 또는 TEGa(triethylgallium)가 Ga(gallium) 전구체로서 사용되고, TMIn(trimethylindium) 또는 TEIn(triethylindium)가 In 전구체로서 사용되고, AsH3(arsine) 또는 TBA(tertiarybutylarsine)가 As 전구체로서 사용되고, PH3(phosphine), TBP(tertiarybutylphosphine), 및 DTBP(ditertiarybutylphosphine) 중 적어도 하나가 P 전구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우물층(400_1)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배리어층(300, 300_1)을 성장시키는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물층(400_1)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초당 0.01 내지 100 옹스트롬이고, 배리어층(300, 300_1)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초당 0.01 내지 100 옹스트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물층(400_1)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초당 4.4 옹스트롬이고, 배리어층(300, 300_1)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초당 5.2 옹스트롬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성장된 우물층(400_1)은 0.3 내지 100 nm 두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장된 우물층(400_1)은 5 또는 20 nm 두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성장된 배리어층(300, 300_1)은 0.3 내지 500 nm 두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장된 배리어층(300, 300_1)은 40 nm 두께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의 레이저 다이오드(10)는 하나의 양자 우물(300, 400_1, 300_1)을 갖는다. 하지만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20)는 복수의 양자 우물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레이저 다이오드(20)는, 하나의 우물층(400_1)과 하나의 배리어층(300_1)을 한 쌍(pair_1)으로 할 때, n 쌍(pair_1, ..., pair_n)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버퍼층(200) 상에 배리어층(300)이 먼저 위치하고, 그 위에 우물층 및 배리어층의 쌍이 n 쌍 위치할 수 있다. n은 자연수이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n은 1 내지 100 사이의 자연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은 5, 10, 또는 15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리어층(300)과 우물층(400_1)이 쌍을 이룰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상부 적층 구조가 달라 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포토루미네슨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5 nm의 Ge 우물층 및 20 nm의 GaAs 배리어층을 15 쌍으로 적층한 구조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포토루미네슨스(photoluminescence)가 제1 그래프(graph1)로 도시되어 있고, 5 nm의 Ge 우물층 및 20 nm의 InGaAs 배리어층을 15 쌍으로 적층한 구조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포토루미네슨스가 제2 그래프(graph2)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그래프(graph1, graph2)를 참조하면 1700 nm 파장 부근에서 강한 적외선을 상온에서 방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파장을 1550 nm로 맞추기 위해서 우물층에 적당량의 불순물을 첨가하거나, 우물층 및 배리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IBuGe를 Ge 전구체로 사용하여 MOCVD로 제작된 Ge 기반 우물층을 포함하는 레이저 다이오드(20)는 기존의 MBE(molecular beam epitaxy)를 이용하여 제작한 레이저 다이오드에 비해 매우 강한 포토루미네슨스를 발생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적층 구조를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사진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경우, 대략 20 nm 두께의 Ge 우물층(21.6 nm, 20.6 nm, 20.8 nm, 20.5 nm)과 대략 30 nm 두께의 GaAs 배리어층(29.3 nm, 25.7 nm, 29.8 nm, 30 nm, 30 nm)이 서로 교번하면서 깔끔하게 적층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레이저 다이오드
100: 기판
200: 버퍼층
300, 300_1, 300_n: 배리어층
400_1, 400_n: 우물층

Claims (20)

  1.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버퍼층 상에 GaAs를 포함하는 배리어층 및 Ge를 포함하는 우물층이 서로 교번하도록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우물층을 성장시킴에 있어서,
    IBuGe, germane, DiMAGeC(dimethylamino germanium trichloride), TMGe(tetramethylgermane), 및 TEGe(tetraethylgermane) 중 적어도 하나를 Ge 전구체로 사용하는 MOCVD 또는 MBE를 이용하여 상기 GaAs를 포함하는 배리어층 위에서 인사이투(in-situ)로 성장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 및 상기 우물층은 상기 버퍼층 상에서 초격자(superlattice) 구조 또는 양자 우물 구조를 갖도록 성장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15 도 이하로 기울어진 상기 기판 상에서 성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In, P, 및 Al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물층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상기 배리어층을 성장시키는 속도보다 느린,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물층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초당 0.01 내지 100 옹스트롬이고,
    상기 배리어층을 성장시키는 속도는 초당 0.01 내지 100 옹스트롬인,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 상에,
    상기 우물층 및 상기 배리어층의 쌍(pair)이 1 내지 100 쌍이 되도록 성장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물층은 Sn 또는 C를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0.3 내지 500 nm 두께로 성장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우물층은 0.3 내지 100 nm 두께로 성장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을 성장시키기 전에 상기 기판을 1 내지 2000 sccm의 AsH3 유량 및 섭씨 500 내지 900 도에서 60분 이하로 열처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운반가스로 H2 또는 N2가 사용되고, 반응기(reactor)의 압력은 1013 mbar 이하로 설정되고, 성장온도는 섭씨 500 내지 900 도로 유지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4. 제5 항에 있어서,
    TMGa(trimethylgallium) 또는 TEGa(triethylgallium)가 Ga 전구체로서 사용되고, TMIn(trimethylindium) 또는 TEIn(triethylindium)가 In 전구체로서 사용되고, AsH3(arsine) 또는 TBA(tertiarybutylarsine)가 As 전구체로서 사용되고, PH3(phosphine), TBP(tertiarybutylphosphine), 및 DTBP(ditertiarybutylphosphine) 중 적어도 하나가 P 전구체로서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5.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위치하고, GaAs를 포함하는 배리어층 및 Ge를 포함하는 우물층이 서로 교번하도록 적층된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우물층은 IBuGe, germane, DiMAGeC(dimethylamino germanium trichloride), TMGe(tetramethylgermane), 및 TEGe(tetraethylgermane) 중 적어도 하나를 Ge 전구체로 사용하는 MOCVD 또는 MBE를 이용하여 상기 GaAs를 포함하는 배리어층 위에서 인사이투(in-situ)로 성장된,
    레이저 다이오드.
  16. 삭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계면은 15 도 이하로 기울어진,
    레이저 다이오드.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In, P, 및 Al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0.3 내지 500 nm 두께이고,
    상기 우물층은 0.3 내지 100 nm 두께이고,
    상기 버퍼층은 10 um 이하의 두께인,
    레이저 다이오드.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우물층은 Sn 또는 C를 구성 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KR1020170052479A 2017-04-24 2017-04-24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79A KR101996424B1 (ko) 2017-04-24 2017-04-24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8/004692 WO2018199577A1 (ko) 2017-04-24 2018-04-23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79A KR101996424B1 (ko) 2017-04-24 2017-04-24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39A KR20180119039A (ko) 2018-11-01
KR101996424B1 true KR101996424B1 (ko) 2019-07-04

Family

ID=6392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479A KR101996424B1 (ko) 2017-04-24 2017-04-24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6424B1 (ko)
WO (1) WO20181995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355A (ja) * 1991-08-05 1993-02-19 Fujitsu Ltd 変調半導体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US7692182B2 (en) * 2001-05-30 2010-04-06 Cree, Inc. Group III nitride based quantum well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s with an indium containing capping structure
US7158545B2 (en) 2003-09-12 2007-01-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erahertz lasers and amplifiers based on resonant optical phonon scattering to achieve population inversion
US7596158B2 (en) * 2005-10-28 2009-09-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structure of germanium laser on silicon
JP2008263023A (ja) * 2007-04-11 2008-10-30 Sumitomo Electric Ind Ltd Iii−v族化合物半導体の製造方法、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発光ダイオード、レーザダイオード、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278117B1 (ko) * 2010-05-20 2013-06-2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작방법
US9396933B2 (en) * 2012-04-26 2016-07-19 Applied Materials, Inc. PVD buffer layers for LED fabrication
KR102329719B1 (ko) * 2015-02-23 2021-11-23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9577A1 (ko) 2018-11-01
KR20180119039A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331B1 (ko) 화합물 반도체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3332696A (ja) 長波長窒化インジウムガリウム砒素(InGaAsN)活性領域の製作方法
JP2005294866A (ja) 発光デバイスをp型ドーピングする方法
JP3251046B2 (ja) 化合物半導体の成長方法、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095260B2 (ja) 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4229900A (ja) Iii−v族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41863B (zh) 用於光活性裝置及相關結構之稀釋氮化物材料的形成方法
WO2013125309A1 (ja) 発光素子、エピタキシャルウエハ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96424B1 (ko)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JPH03116796A (ja) ヘテロエピタキシャル構造体の形成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装置
JP2004235632A (ja) 半導体材料の層を成長させる方法
JP529751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040310B2 (ja) 結晶の熱処理方法
JP3903182B2 (ja) 低格子不整合系における量子ドットの形成方法および量子ドット半導体素子
JP3859990B2 (ja) 化合物半導体の製造方法
JP3561243B2 (ja) 化合物半導体の成長方法及び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JP3432444B2 (ja) 半導体発光素子
JP4002323B2 (ja) 化合物半導体の製造方法
JP4256698B2 (ja) 多層薄膜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6086199A (ja) 半導体光デバイス及び半導体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991074B2 (ja) 有機金属気相成長方法
JP3109149B2 (ja) 化合物半導体結晶成長方法
Mori Lattice mismatched epitaxy of heterostructures for non-nitride green light emitting devices
JPH0714785A (ja) 半導体エピタキシャル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21479B1 (ko) 성장 시간 정지를 이용한 저밀도 화합물 반도체 양자점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