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594B1 - 회전식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회전식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594B1
KR101994594B1 KR1020180136836A KR20180136836A KR101994594B1 KR 101994594 B1 KR101994594 B1 KR 101994594B1 KR 1020180136836 A KR1020180136836 A KR 1020180136836A KR 20180136836 A KR20180136836 A KR 20180136836A KR 101994594 B1 KR101994594 B1 KR 101994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cooking
pot
unit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현
Original Assignee
서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승현 filed Critical 서승현
Priority to PCT/KR2019/0110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6765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회전식 조리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는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내솥 및 상기 내솥에 연결된 모터와 상기 내솥 외측으로 연결된 열원을 포함하는 외솥으로 이뤄진 조리부; 상기 외솥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리부를 기울이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열원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솥은 상기 외솥 상단부에 접하며, 상기 외솥의 외측방향과 멀어질수록 기울어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안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조리기구{ROTATING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회전식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식 조리기구는 열원 및 열원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 되어 위치하고, 내부에 식재료가 저장되는 조리부로 구성된다. 열원에서 발생한 열기는 조리부에 도달하게 되고, 조리부 내부의 식재료는 열원의 열기를 통해 가열되며 조리를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통상의 조리기구는 조리부 내부에 저장된 식재료에 열을 균등하게 공급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열원에 가깝게 위치한 식재료는 지나치게 가열됨으로 인해 탄화되고, 열원과 멀리 위치한 식재료는 열을 제대로 받지 못해 설익는 문제가 발생하곤 하였다.
또한, 조리기구를 사용한 조리 레시피나 노하우 등의 조리정보는 사용자가 무형의 지식의 형태로 소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조리 정보는 지식을 가진 사람이 블로그나 카페 등 온라인으로 글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곤 하였다.
그러나, 글을 작성하여 업로드하는 방식은 번거로움이 있고, 인터넷 등 온라인에 친숙하지 않은 중노년층 사용자에게는 접근이 어려워, 조리 정보를 용이하게 공유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리부 내부에 저장된 식재료를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고, 조리 정보를 용이하게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는,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내솥 및 상기 내솥에 연결된 모터와 상기 내솥 외측으로 연결된 열원을 포함하는 외솥으로 이뤄진 조리부; 상기 외솥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리부를 기울이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열원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솥은 상기 외솥 상단부에 접하며, 상기 외솥의 외측방향과 멀어질수록 기울어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안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부는, 상기 외솥 내부에서 상기 모터 주변에 위치하는 고주파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조리부는, 상기 내솥과 상기 외솥 사이에서 상기 내솥의 하면에 연결되는 배출탱크, 상기 내솥 저장공간과 상기 배출탱크을 연결하며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끼워지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부는, 상기 내솥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끼움부에 끼워지는 그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부재는, 중앙에 위치하며 홈이 형성된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연결되며, 측면이 상기 끼움부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된 제1 그릴부 및 상기 홈에 연결되는 제2 그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신호를 기반으로 연산을 실시하고 연산된 정보와 설정된 조리정보가 저장되는 연산저장모듈, 상기 연산저장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컨트롤러, 상기 연산저장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열원의 온도를 결정하는 히트컨트롤러, 상기 모터의 회전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 상기 내솥의 압력을 결정하는 압력컨트롤러, 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모듈과 외부 저장장치와 연결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저장모듈은, 상기 조리부의 온도, 압력, 습도, 회전속도 및 기울어진 정도의 조건 값들이 기록되는 유닛 및 상기 유닛이 복수개로 결합된 블록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그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연산저장모듈은, 상기 블록그룹을 구성하는 상기 유닛의 조건값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연산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블록그룹을 상기 통신망에 업로드하거나,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블록그룹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연산저장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내솥의 단부는,상기 내솥의 내부를 향해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원은, 상기 내솥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는 조리부 내부에 저장된 식재료를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고, 조리 정보를 용이하게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리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조리부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5에 도시한 그릴부재가 장착된 회전식 조리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혼합그릴 및 제2혼합그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조리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도 2에 도시한 제어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회전식 조리기구(1)는 조리부(10), 회전부(5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조리부(10) 중앙에는 뚜껑(150)이 연결될 수 있다. 조리부(10)는 회전부(500)에 의해 지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부(10)는 내부의 열기가 지면을 통해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솥(100)에 손잡이부(12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20)는 내솥(100)에 연결되며, 외솥(200)의 상단에 안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20)는 외솥(200) 상단부에 접하며 외솥(200)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20)는 외솥(20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파지가 용이하도록 조리부(10)의 상면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500)는 회전기둥(510)및 회전다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둥(51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면이 외솥(200)의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기둥(510)의 지면에서부터 외솥(200)과 연결된 부분까지의 길이는 외솥(200)이 회전기둥(510)과 연결된 부분에서부터 외솥(200)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회전기둥(510)은 외솥(200)과 연결되어, 외솥(200)을 포함하는 조리부(10)가 지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조리부(10)는 지면과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지면과 접하며 열원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지면에 직접적으로 빼앗기는 것을 방지하여, 보온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회전기둥(510)은 조리부(10)와 연결된 부분에 회전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기둥(510)의 내부에는 회전모터(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회전모터는 외솥(200)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조리부(10)의 기울기를 회전모터를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기울기를 조절하여 내솥 안에 있는 음식물을 쉽게 넣거나 꺼낼 수 있으며 조리과정에서 기울기를 조정해 조리할 수 있다.
한편, 회전다리(530)는 회전기둥(510)의 지면을 향한 단부에서 회전다리(5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회전다리(530)는 회전기둥(510) 및 회전기둥(510)과 연결된 조리부(1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회전부(500)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일측면에 제어패널(7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패널(710)은 제어부(700)의 일측면에서 회전식 조리기구(1)의 작동상태 및 센서부재(720)로 측정한 측정 정보를 모니터(713)를 통해 도시할 수 있다. 모니터(713)는 LED 모니터, LCD 모니터, 액정패널 등 전기 신호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는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패널(710)은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버튼(711)과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음성제어 마이크을 구비할 수 있다. 버튼(711)이나 음성제어는 사용자가 회전식 조리기구(1)의 조리온도나 조리시간, 회전속도, 기울기, 압력, 습도 등의 조절 범위를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리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조리부(10)는 내솥(100) 및 외솥(20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솥(100)은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조리공간(101)이 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내솥(100)의 개구를 통해 조리공간(101)에 식재료를 투입하거나, 조리가 끝난 요리를 개구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내솥(100)은 철(Fe),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Zn) 등의 금속 재질이거나 또는 이들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합금, 또는 와절류를 잘 발생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내솥(100)은 열전도율이 높아 열원(210)에서 공급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조리공간(101)에 저장된 식재료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이 높아 고압의 조리 과정에서도 내솥(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솥(100)의 하부에는 회전축(11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0)은 외솥(200)의 하부면에 위치한 모터(230)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230)와 연결된 회전축(110)은 모터(230)의 회전에 대응되어 같이 회전하며, 내솥(100)의 조리공간(101)에 위치한 식재료를 회전 또는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는 회전축(110)의 회전으로 조리공간(101)에 저장된 식재료를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다.
내솥(100)의 하방에는 배출탱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탱크(130)는 내솥(100)의 하방에서 내솥(100)과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부인 배출공간(13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탱크(130)는 내솥(100)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식 조리기구(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조리 전 배출탱크(130)를 내솥(100)의 하면에 결합시키고, 조리가 끝나면 배출탱크(130)를 분리하여 내솥(100)에서 배출된 부산물들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탱크(130)의 상방면에는 배출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13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탱크(130)의 상방면에서 돌출되어 내솥(1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배출탱크(130)의 배출공간(131)과 내솥(100)의 조리공간(101)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전식 조리기구(1)를 이용하여 조리를 시행할 경우, 조리과정에서 배출된 기름이나 물 등의 액상의 부산물들은 내솥(100)의 하부면에 고이게 된다. 내솥(100)의 하부면에 고인 액상 부산물들은 배출관(133)을 통해 조리공간(101)에서 배출공간(131)으로 이동하여 배출탱크(130)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는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액상형의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다.
조리부(10)는 배출관(133)에 끼워지면 배출관(133)의 개폐 유무를 결정하는 개폐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135)는 배출관(133)의 내솥(100)방향 단부에서 배출관(133)에 끼워지며 내솥(100)의 조리공간(101)과 배출탱크(130)의 배출공간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이나 찌개, 탕 등의 국물요리를 조리할 때는 개폐부재(135)를 배출관(133)에 끼워, 국물요리가 배출관(133)을 통해 배출탱크(13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기 등 부산물이 많이 생기는 식재료를 조리할 경우, 개폐부재(135)를 배출관(133)에서 제거하여 조리 중 부산물이 배출관(133)을 통해 배출탱크(13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폐부재(135)는 배출관(133)에 착탈되며 배출탱크(130)와 내솥(100)의 연통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내솥(100)에 연결되고, 뚜껑(150)이 연결되는 제1 안착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안착부(120a)는 내솥(100)의 내면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뚜껑(150)은 제1 안착부(120a)에 안착하여 내솥(10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제2 안착부(120b)는 외솥(200)의 상단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솥(200)은 제2 안착부(120b)에 삽입되며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솥(100)이 외솥(200)에 삽입되어 연결될 때, 제2 안착부(120b)에 의해 내솥(100)은 외솥(200)과 동심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120b)에 의해 내솥(100)은 보다 안정적으로 외솥(200)과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20c)는 외솥(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보다 용이한 파지가 가능할 수 있다.
외솥(200)은 상방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인 적재공간(203)이 형성되는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솥(100)과 외솥(200)사이에는 적재공간(2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솥(200)은 내솥(100)을 적재공간(203)에 적재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솥(100)을 보호할 수 있으며 내솥의 열을 밖으로 빼앗기지 않도록 보온 및 단열의 효과가 있다.
또한, 외솥(200)은 열원(210), 모터(230), 진동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솥(200)은 측벽의 내부에도 중공부인 열원공간(205)이 형성될 수 있다. 열원공간(205)의 내부에는 열원(210)이 위치하여, 외솥(200)의 내부에 위치한 내솥(10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열원(210)은 외솥(200)의 열원공간(205)에서 열원공간(205)의 외주면을 따라 감아 내려가는 나선 코일(Sprial Coil)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원(210)은 전도성 금속 또는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 열원(210)은 내부에 전류가 통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 코일 형태의 열원(210)에 전류를 공급하면, 패러데이 법칙(Faraday's Law)에 따라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된 자기장은 금속인 내솥(100)의 표면에 맴돌이 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키게 되고, 맴돌이 전류는 내솥(100)과의 저항으로 인해 저항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발생된 저항열은 내솥(100)에 저장된 식재료를 가열하게 된다.
한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해 열을 발생시킬 경우 고주파발생부(800)와 컨트롤러를 본 그릴 하단부에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열원(210)은 니켈(Ni), 크로뮴(Cr) 또는 이들의 합금인 니크롬(Nichrome)이나 탄소(C)로 구성된 탄소봉 등의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열선으로 구성된 열원(210)은 내부에 전류가 흐르며 발생하는 저항열을 통해 내솥(100)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는, 열원(210)은 내솥(100)의 일측면에 직접 열을 가할 수 있는 가스나 연탄 등의 연료를 연소하여 발생하는 불을 이용한 직화 장치이거나,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전열등 등의 가열 수단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원(210)을 열을 발생시켜 내솥(100)에 저장된 식재료의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열원(2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원공간(205)의 전체가 아닌, 적어도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조리 과정에서 열원(210)은 내솥(100)의 외측면 전체를 가열하는 것이 아닌, 내솥(100)의 외측면 중 일부만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10)를 열원(210)이 형성된 방향으로 기울여, 열원(210)이 내솥(10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내솥(100)의 하방에 위치한 열원(210)은 내솥(100)의 하방을 가열하게 되고, 국물요리(2)를 포함한 내솥(100)내부의 식재료는 대류 현상을 통해 내솥(100)의 식재료 전체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즉, 열원(210)은 내솥(100)의 측면 전체를 가열하는 대신, 회전하는 내솥(100)의 일부만을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원(210)은 내솥(100)의 일부만을 가열하여, 내솥(100)에 저장된 식재료가 지나치게 가열되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솥(200)은 하부면에 모터(2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터(230)는 내솥(100)의 회전축(110)과 결합하여, 회전축(110)을 통해 내솥(100)에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솥(100)은 모터(230)의 회전에 대응되어 외솥(200)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내솥(100)은 내부의 저장된 식재료 또한 같이 회전하도록 하여, 열원(210)에서 공급된 열이 식재료의 외측면을 골고루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외솥(200)의 내측면에는 내솥(100)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부재(240)가 위치할 수 있다.
진동부재(240)는 외솥(200)의 내솥(100)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위치하되, 일측면이 내솥(100)과 접할 수 있다.
진동부재(240)는 내솥(100)에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재(240)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는 인간의 가청주파수 이상의 20kHz 이상의 초음파일 수도 있고 이보다 낮은 주파수 일 수도 있다.
고속으로 진동하는 진동부재(240)는 접하고 있는 내솥(100) 또한 공진하도록 할 수 있다. 진동부재(240)에 의해 진동하는 내솥(100)은 조리되는 과정에서 내솥(100)의 내측면에 달라붙는 식재료를 내측면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동부재(240)는 조리 과정에서 내솥(100)에 식재료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식재료가 늘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150)에는 압력,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솥에서 발생하는 압력,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뚜껑(150)의 내솥(100)을 향한 면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재(7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재(720)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들의 뭉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재(720)는 후술할 제어부(700)와 연결되어,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조리부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피가 큰 식재료를 조리할 경우 뚜껑(150)을 제거하여 부피가 큰 식재료도 개구를 통해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뚜껑(150)의 폭 방향 단면적은 개구와 접한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커버개구(153)의 크기는 개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내솥(100)에는 국이나 찌개, 탕 등의 국물요리(2)가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국물요리(2)가 들어있는 상태에서 조리부(10)를 일측 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조리공간(101)에 저장된 국물요리(2)의 수평선은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된다.
이때, 조리부(10)를 지나치게 기울여 국물요리(2)의 수평선이 개구의 위치를 넘어서면, 국물요리(2)는 개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즉, 뚜껑(150)은 개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개구의 폭 방향 단면적보다 작은 커버개구(153)를 통해, 조리부(10)를 깊게 기울이더라도 조리공간(101)의 국물요리(2)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뚜껑(150)은 내솥(100)에 저장된 식재료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솥(100)의 내측면에는 내솥(100)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끼움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부(170)는 내솥(100)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끼움부(170)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5에 도시한 그릴부재가 장착된 회전식 조리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그릴부재(190)는 복수 개의 정공이 형성된 판재 형태의 제1 그릴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릴부(191)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제1 그릴부(191)는 포스트(193)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그릴부(191)는 내솥(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부(170)에 연결되는 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부(195)는 끼움부(17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릴부재(190)는 내솥(100)을 가로질러 끼워질 수 있으며, 내솥(10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그릴부(197)는 그릴부재(190)와 연결될 수 있다. 포스트(193)는 외면에 홈(193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릴부는 포스트(193)에 형성된 홈(193a)에 끼워지며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스트(193)에는 복수개의 홈(193a)이 형성될 수 있다. 홈(193a)이 2개일 경우, 2개의 제2 그릴부(197)가 포스트(193)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93a)이 4개일 경우 4개의 제2 그릴부(197)가 포스트(193)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솥(100) 내부를 4개 혹은 8개의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구역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수용하여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조리할 수 있다.
이때, 제1 그릴부(191)는 철(Fe)나 니켈(Ni), 주석(Sn),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제1 그릴부(191)는 제1 그릴부(191) 사이에 끼워진 식재료에 열에너지가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릴부재(190)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투입된 식재료는 내솥(10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식재료의 평균 회전반경은 그릴부재(190)가 없을 때보다는 적어지지만, 평균 회전속도는 그에 반비례하여 빨라지게 된다. 즉, 각 운동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되, 회전반경을 좁혀 내부의 식재료가 조금 더 빠른 주기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는 조리부(10) 내부에 저장된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식재료를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그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회전식 조리기구(1)는 끼움부(170)에 끼워지는 혼합그릴(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혼합그릴(300)은 제1 혼합그릴(310)및 제2 혼합그릴(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혼합그릴(31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제1 끼움기둥(311)및 복수개의 제1 끼움기둥(311)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양 단부가제1 끼움기둥(311)의 외측면과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1 혼합기둥(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혼합그릴(310)은 내솥(100)의 끼움부(170)에 제1 끼움기둥(311)이 끼워지며 내솥(100)과 결합될 수 있다. 내솥(100)과 결합된 제1 혼합그릴(310)은 내솥(10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며, 내솥(100)에 저장된 식재료를 제1 혼합기둥(313)을 통해 휘저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물요리 속의 국수나 볶음밥, 스프 등의 혼합 과정이 필수적인 요리를 조리할 경우, 제1 혼합그릴(310)을 내솥(100)에 결합하여 제1 혼합그릴(310)으로 식재료들을 지속적으로 휘저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혼합그릴(310)은 식재료를 자동으로 휘저을 수 있어, 조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혼합그릴(33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끼움기둥(331) 및 복수개의 제2 끼움기둥(331)의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양단부가 제2 끼움기둥(331)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제2 혼합기둥(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혼합그릴(330)은 제1 혼합그릴(310)과 동일하게 끼움부(170)에 제2 끼움기둥(331)이 끼워지며 내솥(100)과 결합될 수 있다. 내솥(100)과 결합된 제2 혼합그릴(330)은 내솥(10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돼지고기나 소고기, 양고기 등의 육고기류나 빵이나 밥 등의 탄수화물류의 요리는 조리 과정에서 내솥(100)의 내측면에 늘어붙을 수 있다. 제2 혼합그릴(330)은 제1 혼합그릴(310)과 마찬가지로 제2 혼합기둥(333)으로 내솥(100)의 하부면에 위치한 식재료를 혼합하는 동시에, 내솥(100)의 하부면에 늘어붙을 수 있는 식재료를 사전에 떼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혼합그릴(330)는 식재료가 내솥(100)의 내측면에 늘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그릴(300)은 갈고리 형태의 혼합 갈고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 갈고리는 제1혼합그릴(310) 또는 제2혼합그릴(330)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내솥(100)의 내부 식재료가 혼합갈고리에 걸려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어패널(710)에서 입력된 정보는 제어부(700)의 연산저장모듈(730)로 전달될 수 있다. 연산저장모듈(730)은 제어패널(710)을 포함한 제어부(700)에서 전달된 정보를 수신하여 연산하거나, 연산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정보나 연산된 정보를 데이터의 형태로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나 플래시 디스크 등의 저장 수단(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어부(700)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제어패널(710)의 버튼(711)을 누르면 버튼(711)의 전기적 신호는 연산저장모듈(730)로 전달된다. 연산저장모듈(730)은 제어패널(71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회전식 조리기구(1)의 작동 상태를 연산하고, 연산된 값을 제어패널(710)의 모니터(713)로 전송한다. 모니터(713)는 전송된 값을 시각적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게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00)의 회전 속도와 열원(210)의 온도, 회전부(500)를 통한 조리부(10)의 기울기 정도 등을 사용자가 제어패널(710)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정한 작동 상태에 대한 값은 모니터(713)로 게시되어, 사용자가 현재 회전식 조리기구(1)의 작동상태를 설정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산저장모듈(730)은 제어패널(710)에서 입력된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유닛(Unit)의 형태로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된 유닛을 불러오는 것으로, 용이하게 식재료의 조리 방식을 세팅할 수 있다.
복수개의 유닛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블록(Block)의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블록 내의 유닛을 시간 경과에 따라 최대 50단계까지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일 블록 내에는 시간에 따라 각 단계마다 온도, 회전속도, 기울어지는 정도, 압력, 습도 등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는 조리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산저장모듈(730)에 저장된 블록은 연산저장모듈(730)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되어 히트컨트롤러(750) 또는 모터컨트롤러(770), 압력컨트롤러, 습도 또는 수(물)량컨트롤러로 전달된다. 히트컨트롤러(750)는 열원(210)과 연결되어, 열원(21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나 전류의 주기 등을 제어하여 열원(2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터컨트롤러(770)는 모터(230) 또는 회전부(500)의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내솥(100)의 회전속도와 회전방식, 조리부(10)의 기울어진 정도 등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력컨트롤러는 내솥 안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습도 또는 수량컨트롤러는 내솥 안의 습도나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재(720)는 조리 중의 회전식 조리기구(1)의 각종 정보를 연산저장모듈(73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재(720)는 회전식 조리기구(1)의 온도와 압력, 습도, 기울기, 수(물)량 등을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연산저장모듈(730)로 전송하고, 연산저장모듈(730)은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히트컨트롤러(750)및 모터컨트롤러(770), 타이머, 압력컨트롤러 습도컨트롤러,수량컨트롤러 등을 제어하여, 설정된 블록 또는 유닛에 따라 조리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연산저장모듈(730)은 측정된 자료를 기반으로 조리부(10) 내부의 수면의 높이 등의 수치를 계산하여, 그 수치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여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거나 개폐부재(135)를 열고 닫는 컨트롤러가 있어 내솥 안에 있는 습도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700)는 조리 상태를 기 설정된 세팅 값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통신모듈(790)과 외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모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통신모듈(790)은 와이파이(Wi-Fi), LTE, 블루투스 등의 무선 또는 LAN이나 전화선 등의 유선으로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고, 외부 저장장치 를 연결하는 모듈은 USB 저장장치, IC칩 등의 정보를 불러와서 저장하고 이 정보를 읽어서 순차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어부(700)는 통신모듈(790)을 통해 인터넷 등 통신망과 연결되어, 서버에 연산저장모듈(730)에 저장된 블록을 업데이트하거나, 반대로 서버에서 블록을 다운로드 받아, 연산저장모듈(730)에 저장하거나 외부저장 장치로부터 블록을 읽어 들여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SNS나 카페, 블로그 등에 올라온 문자, 암호화된 코드(바코드나 QR 코드와 유사), 이미지, 영상 등의 형태로 된 블록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 하는 방식으로 조리법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니터, 핸드폰 앱, 인터넷?등을 통해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의 이미지나 영상을 찾아서 볼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형태를 선택하여 조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는 설정값을 용이하게 다운로드 받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통신모듈(79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과 연결되어, 내부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 등에는 회전식 조리기구(1)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으로 회전식 조리기구(1)를 세팅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조리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내솥(100)의 단부는 내솥(100)의 내측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솥(100)의 단부에서 내솥(100)과 외솥(200)사이의 거리는 내솥(100)의 측면에서 내솥(100)과 외솥(200)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내솥(100)과 외솥(200)사이의 공간은 단부에서 손잡이부(120)를 통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솥(100)에 담겨진 음식물은 조리부(10)가 회전하더라도 내솥(100)의 외부로 넘쳐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은 도 2에 도시한 제어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조리부(10)의 열원(210)은 내솥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솥(100) 내부에 유체가 담겨질 경우, 기울어져 회전하는 내솥(100)의 일부분에 유체가 접촉되지 않아 내솥(100)이 파손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회전식 조리기구
10: 조리부 100: 내솥
101: 조리공간 103: 개구
110: 회전축
120: 손잡이부 120a: 제1 안착부
120b: 제2 안착부 120c: 손잡이
130: 배출탱크
131: 배출공간 133: 배출관
135: 개폐부재 150: 뚜껑
153: 커버개구 170: 끼움부
190: 그릴부재 191: 제1 그릴부
193: 포스트 193a: 홈
195: 측면부 197: 제2 그릴부
200: 외솥 203: 적재공간
205: 열원공간 210: 열원
230: 모터 240: 진동부재
300: 혼합그릴 310: 제1혼합그릴
311: 제1끼움기둥 313: 제1혼합기둥
330: 제2혼합그릴 331: 제2끼움기둥
333: 제2혼합기둥
500: 회전부 510: 회전기둥
530: 회전다리 700: 제어부
710: 제어패널 711: 버튼
713: 모니터 720: 센서부재
730: 연산저장모듈 750: 히트컨트롤러
770: 모터컨트롤러 790: 통신모듈
800: 고주파발생부

Claims (15)

  1.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내솥 및 상기 내솥에 연결된 모터와 상기 내솥 외측으로 연결된 열원을 포함하는 외솥으로 이뤄진 조리부;
    상기 외솥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리부를 기울이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열원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솥은 상기 외솥 상단부에 접하며, 상기 외솥의 외측방향과 멀어질수록 기울어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안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재;
    상기 센서부재에서 전달된 신호를 기반으로 연산을 실시하고 연산된 정보와 설정된 조리정보가 저장되는 연산저장모듈;
    상기 연산저장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컨트롤러;
    상기 연산저장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열원의 온도를 결정하는 히트컨트롤러;
    상기 모터의 회전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
    상기 내솥의 압력을 결정하는 압력컨트롤러, 습도를 결정하는 습도컨트롤러 및
    상기 내솥 내부 수분의 양을 결정하는 수량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외솥 내부에서 상기 모터 주변에 위치하는 고주파발생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내솥과 상기 외솥 사이에서 상기 내솥의 하면에 연결되는 배출탱크;
    상기 내솥과 상기 배출탱크를 연결하며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끼워지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내솥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끼움부에 끼워지는 그릴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재는,
    중앙에 위치하며 홈이 형성된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끼움부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된 측면부를 가지는 제1 그릴부; 및
    상기 홈에 연결되는 제2 그릴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모듈과 외부 저장장치와 연결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저장모듈은,
    상기 조리부의 온도, 압력, 습도, 회전속도 및 기울어진 정도의 조건 값들이 기록되는 유닛 및 상기 유닛이 복수개로 결합된 블록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그룹을 저장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저장모듈은,
    상기 블록그룹을 구성하는 상기 유닛의 조건값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리를 실시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연산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블록그룹을 상기 통신망에 업로드하거나,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블록그룹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연산저장모듈에 저장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단부는,
    상기 내솥의 내부를 향해 기울어져 형성된 회전식 조리기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상기 내솥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KR1020180136836A 2018-09-28 2018-11-08 회전식 조리기구 KR101994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1059 WO2020067652A1 (ko) 2018-09-28 2019-08-29 회전식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16238 2018-09-28
KR1020180116238 2018-09-28
KR20180120467 2018-10-10
KR1020180120467 2018-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594B1 true KR101994594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836A KR101994594B1 (ko) 2018-09-28 2018-11-08 회전식 조리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4594B1 (ko)
WO (1) WO20200676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34B1 (ko) * 2019-08-23 2020-09-10 서승현 회전식 조리기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806B1 (ko) * 1989-12-14 1995-05-10 미쓰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조리기
JPH08124663A (ja) * 1994-10-27 1996-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調理機
KR100802517B1 (ko) * 2006-11-28 2008-02-13 양건태 액상음식물 조리장치
KR20100034749A (ko) * 2007-06-19 2010-04-01 에이엠씨 인터내셔날 알파 메탈크래프트 코포레이션 아게 조리 용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KR101331289B1 (ko) *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US20140134305A1 (en) * 2007-04-20 2014-05-15 Amy Wolfe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KR101640493B1 (ko) * 2015-10-08 2016-07-19 주식회사 에버그린코리아 드럼식 조리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806B1 (ko) * 1989-12-14 1995-05-10 미쓰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조리기
JPH08124663A (ja) * 1994-10-27 1996-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調理機
KR100802517B1 (ko) * 2006-11-28 2008-02-13 양건태 액상음식물 조리장치
US20140134305A1 (en) * 2007-04-20 2014-05-15 Amy Wolfe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US9609975B2 (en) * 2007-04-20 2017-04-04 Amy Wolfe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KR20100034749A (ko) * 2007-06-19 2010-04-01 에이엠씨 인터내셔날 알파 메탈크래프트 코포레이션 아게 조리 용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KR101331289B1 (ko) *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KR101640493B1 (ko) * 2015-10-08 2016-07-19 주식회사 에버그린코리아 드럼식 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34B1 (ko) * 2019-08-23 2020-09-10 서승현 회전식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7652A1 (ko)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7152A1 (en) Wirelessly operable cooking appliance
US9439530B2 (en) Intelligent cooking apparatuses and methods
US3908111A (en) Multiple purpose cooking appliance
US20160374501A1 (en) Intelligent Cooking Apparatuses and Methods
US20170135159A1 (en) Wirelessly operable slow cooker
EP2592974B1 (en) Multi cooker
JP2019070516A (ja) 高度調理器具による自動調理制御
KR102154934B1 (ko) 회전식 조리기구
KR101482117B1 (ko) 조리기기 및 온도 제어 방법
KR101181717B1 (ko) 커피로스터
KR101994594B1 (ko) 회전식 조리기구
CN113647841A (zh) 一种烘烤设备及其控制方法
CN107920686A (zh) 与烹饪炉箅直接接触的烹饪器具
JP6257496B2 (ja) 加熱調理器
JP5982646B2 (ja) 加熱調理器
CN203483302U (zh) 一种煎烤机
JP4311148B2 (ja) 加熱調理器
CN208784499U (zh) 一种新型互联网中式智能炒锅
TWI548381B (zh) Rotating Barbecue Driving Method and Device
JP57959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8336467A (ja) 電気魚焼き器
KR101319222B1 (ko) 균일한 굽기가 가능한 생선구이장치
US20240085027A1 (en) Heating apparatus
JP2004186164A (ja) 外部温度センサー付き加熱調理器
WO2018006021A1 (en) Wirelessly operable slow coo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