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934B1 - 회전식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회전식 조리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4934B1 KR102154934B1 KR1020190103944A KR20190103944A KR102154934B1 KR 102154934 B1 KR102154934 B1 KR 102154934B1 KR 1020190103944 A KR1020190103944 A KR 1020190103944A KR 20190103944 A KR20190103944 A KR 20190103944A KR 102154934 B1 KR102154934 B1 KR 1021549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pot
- unit
- rotation shaft
- motor
- coo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는,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내솥 및 상기 내솥 외측으로 연결된 열원을 포함하는 외솥으로 이뤄진 조리부, 상기 외솥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리부를 기울이는 회전부, 상기 내솥과 상기 외솥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솥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2 회전축을 가지는 모터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열원 및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식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식 조리기구는 열원 및 열원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 되어 위치하고, 내부에 식재료가 저장되는 조리부로 구성된다. 열원에서 발생한 열기는 조리부에 도달하게 되고, 조리부 내부의 식재료는 열원의 열기를 통해 가열되며 조리를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통상의 조리기구는 조리부 내부에 저장된 식재료에 열을 균등하게 공급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열원에 가깝게 위치한 식재료는 지나치게 가열됨으로 인해 탄화되고, 열원과 멀리 위치한 식재료는 열을 제대로 받지 못해 설익는 문제가 발생하곤 하였다.
또한, 조리기구를 사용한 조리 레시피나 노하우 등의 조리정보는 사용자가 무형의 지식의 형태로 소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조리 정보는 지식을 가진 사람이 블로그나 카페 등 온라인으로 글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곤 하였다.
그러나, 글을 작성하여 업로드하는 방식은 번거로움이 있고, 인터넷 등 온라인에 친숙하지 않은 중노년층 사용자에게는 접근이 어려워, 조리 정보를 용이하게 공유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리부 내부에 저장된 식재료를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고, 조리 정보를 용이하게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는,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내솥 및 상기 내솥 외측으로 연결된 열원을 포함하는 외솥으로 이뤄진 조리부, 상기 외솥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리부를 기울이는 회전부, 상기 내솥과 상기 외솥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솥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2 회전축을 가지는 모터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열원 및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제2 회전축 외부를 감싸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 내부에서, 상기 제2 회전축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축과 자력으로 붙을 수 있는 자석부, 상기 제2 회전축이 상기 자석부에 붙었을 때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2 회전축을 상기 제1 회전축 내부로 이동시키는 커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부는, 외주면에 칼날이 형성된 칼날부 및 상기 몸체부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되며 베어링부를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에 연결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상기 베어링부가 연결되되, 상기 베어링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주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은, 상기 외솥 상단부에 접하며, 상기 외솥의 외측방향과 멀어질수록 기울어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안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신호를 기반으로 연산을 실시하고 연산된 정보와 설정된 조리정보가 저장되는 연산저장모듈, 상기 연산저장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컨트롤러, 상기 연산저장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열원의 온도를 결정하는 히트컨트롤러, 상기 모터부의 작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 상기 내솥의 압력을 결정하는 압력컨트롤러, 습도를 결정하는 습도컨트롤러 및 상기 내솥 내부 수분의 양을 결정하는 수량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모듈과 외부 저장장치와 연결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저장모듈은, 상기 조리부의 온도, 압력, 습도, 회전속도 및 기울어진 정도의 조건 값들이 기록되는 유닛 및 상기 유닛이 복수개로 결합된 블록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그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연산저장모듈은, 상기 블록그룹을 구성하는 상기 유닛의 조건값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연산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그룹을 상기 통신망에 업로드하거나,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블록그룹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연산저장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내솥은, 바닥면 외측에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내솥의 내부와 연통되는 중간연결부, 상기 중간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중간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연결부와 상기 회전모터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삽입연결부에 전달하는 제2 플레이트부를 가지는 회전모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는 조리부 내부에 저장된 식재료를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고, 조리 정보를 용이하게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조리부 내부에 저장된 식재료를 보다 용이하게 분쇄하면서 균일하게 가열하여 죽이나 두유와 같은 조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리부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터부와 내솥의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회전축과 내솥과의 연결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터부가 내솥과의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연결부와 내솥과의 연결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내솥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리부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터부와 내솥의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회전축과 내솥과의 연결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터부가 내솥과의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연결부와 내솥과의 연결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내솥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회전식 조리기구(1)는 조리부(10), 회전부(5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조리부(10) 중앙에는 뚜껑(150)이 연결될 수 있다. 조리부(10)는 회전부(500)에 의해 지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부(10)는 내부의 열기가 지면을 통해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솥(100)에 손잡이부(12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20)는 내솥(100)에 연결되며, 외솥(200)의 상단에 안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20)는 외솥(200) 상단부에 접하며 외솥(200)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20)는 외솥(20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파지가 용이하도록 조리부(10)의 상면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500)는 회전기둥(510)및 회전다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둥(51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면이 외솥(200)의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기둥(510)의 지면에서부터 외솥(200)과 연결된 부분까지의 길이는 외솥(200)이 회전기둥(510)과 연결된 부분에서부터 외솥(200)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회전기둥(510)은 외솥(200)과 연결되어, 외솥(200)을 포함하는 조리부(10)가 지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조리부(10)는 지면과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지면과 접하며 열원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지면에 직접적으로 빼앗기는 것을 방지하여, 보온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회전기둥(510)은 조리부(10)와 연결된 부분에 회전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기둥(510)의 내부에는 회전모터(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회전모터는 외솥(200)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조리부(10)의 기울기를 회전모터를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기울기를 조절하여 내솥 안에 있는 음식물을 쉽게 넣거나 꺼낼 수 있으며 조리과정에서 기울기를 조정해 조리할 수 있다.
한편, 회전다리(530)는 회전기둥(510)의 지면을 향한 단부에서 회전다리(5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회전다리(530)는 회전기둥(510) 및 회전기둥(510)과 연결된 조리부(1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회전부(500)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일측면에 제어패널(7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패널(710)은 제어부(700)의 일측면에서 회전식 조리기구(1)의 작동상태 및 센서부재(720)로 측정한 측정 정보를 모니터(713)를 통해 도시할 수 있다. 모니터(713)는 LED 모니터, LCD 모니터, 액정패널 등 전기 신호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는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패널(710)은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버튼(711)과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음성제어 마이크을 구비할 수 있다. 버튼(711)이나 음성제어는 사용자가 회전식 조리기구(1)의 조리온도나 조리시간, 회전속도, 기울기, 압력, 습도 등의 조절 범위를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조리부(10)는 내솥(100) 및 외솥(20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솥(100)은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조리공간(101)이 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내솥(100)의 개구를 통해 조리공간(101)에 식재료를 투입하거나, 조리가 끝난 요리를 개구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내솥(100)은 철(Fe),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Zn) 등의 금속 재질이거나 또는 이들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합금, 또는 와절류를 잘 발생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내솥(100)은 열전도율이 높아 열원(210)에서 공급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조리공간(101)에 저장된 식재료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이 높아 고압의 조리 과정에서도 내솥(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솥(100)의 하부 바닥면(100a)에 모터부(230)가 연결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내솥(100)과 외솥(200) 사이에 위치하여 외솥(200)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모터(236)와 제1 회전축(231) 및 제2 회전축(232)을 포함하며, 제2 회전축(232)이 내솥(100)과 연결되어 내솥(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는 조리공간(101)에 저장된 식재료를 회전시키면서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다.
내솥(100)의 하방에는 배출탱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탱크(130)는 내솥(100)의 하방에서 내솥(100)과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부인 배출공간(13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탱크(130)는 내솥(100)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식 조리기구(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조리 전 배출탱크(130)를 내솥(100)의 하면에 결합시키고, 조리가 끝나면 배출탱크(130)를 분리하여 내솥(100)에서 배출된 부산물들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탱크(130)의 상방면에는 배출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13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탱크(130)의 상방면에서 돌출되어 내솥(1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배출탱크(130)의 배출공간(131)과 내솥(100)의 조리공간(101)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전식 조리기구(1)를 이용하여 조리를 시행할 경우, 조리과정에서 배출된 기름이나 물 등의 액상의 부산물들은 내솥(100)의 하부면에 고이게 된다. 내솥(100)의 하부면에 고인 액상 부산물들은 배출관(133)을 통해 조리공간(101)에서 배출공간(131)으로 이동하여 배출탱크(130)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는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액상형의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다.
조리부(10)는 배출관(133)에 끼워지면 배출관(133)의 개폐 유무를 결정하는 개폐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135)는 배출관(133)의 내솥(100)방향 단부에서 배출관(133)에 끼워지며 내솥(100)의 조리공간(101)과 배출탱크(130)의 배출공간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이나 찌개, 탕 등의 국물요리를 조리할 때는 개폐부재(135)를 배출관(133)에 끼워, 국물요리가 배출관(133)을 통해 배출탱크(13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기 등 부산물이 많이 생기는 식재료를 조리할 경우, 개폐부재(135)를 배출관(133)에서 제거하여 조리 중 부산물이 배출관(133)을 통해 배출탱크(13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폐부재(135)는 배출관(133)에 착탈되며 배출탱크(130)와 내솥(100)의 연통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내솥(100)에 연결되고, 뚜껑(150)이 연결되는 제1 안착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안착부(120a)는 내솥(100)의 내면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뚜껑(150)은 제1 안착부(120a)에 안착하여 내솥(10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제2 안착부(120b)는 외솥(200)의 상단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솥(200)은 제2 안착부(120b)에 삽입되며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솥(100)이 외솥(200)에 삽입되어 연결될 때, 제2 안착부(120b)에 의해 내솥(100)은 외솥(200)과 동심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120b)에 의해 내솥(100)은 보다 안정적으로 외솥(200)과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20c)는 외솥(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보다 용이한 파지가 가능할 수 있다.
외솥(200)은 상방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인 적재공간(203)이 형성되는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솥(100)과 외솥(200)사이에는 적재공간(2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솥(200)은 내솥(100)을 적재공간(203)에 적재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솥(100)을 보호할 수 있으며 내솥의 열을 밖으로 빼앗기지 않도록 보온 및 단열의 효과가 있다.
외솥(200)은 열원(210), 모터부(230), 진동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솥(200)은 측벽의 내부에도 중공부인 열원공간(205)이 형성될 수 있다. 열원공간(205)의 내부에는 열원(210)이 위치하여, 외솥(200)의 내부에 위치한 내솥(10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열원(210)은 외솥(200)의 열원공간(205)에서 열원공간(205)의 외주면을 따라 감아 내려가는 나선 코일(Sprial Coil)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원(210)은 전도성 금속 또는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 열원(210)은 내부에 전류가 통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 코일 형태의 열원(210)에 전류를 공급하면, 패러데이 법칙(Faraday's Law)에 따라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된 자기장은 금속인 내솥(100)의 표면에 맴돌이 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키게 되고, 맴돌이 전류는 내솥(100)과의 저항으로 인해 저항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발생된 저항열은 내솥(100)에 저장된 식재료를 가열하게 된다.
한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해 열을 발생시킬 경우 고주파 발생장치(800)와 컨트롤러를 본 그릴 하단부에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열원(210)은 니켈(Ni), 크로뮴(Cr) 또는 이들의 합금인 니크롬(Nichrome)이나 탄소(C)로 구성된 탄소봉 등의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열선으로 구성된 열원(210)은 내부에 전류가 흐르며 발생하는 저항열을 통해 내솥(100)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는, 열원(210)은 내솥(100)의 일측면에 직접 열을 가할 수 있는 가스나 연탄 등의 연료를 연소하여 발생하는 불을 이용한 직화 장치이거나,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전열등 등의 가열 수단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원(210)을 열을 발생시켜 내솥(100)에 저장된 식재료의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열원(2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원공간(205)의 전체가 아닌, 적어도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조리 과정에서 열원(210)은 내솥(100)의 외측면 전체를 가열하는 것이 아닌, 내솥(100)의 외측면 중 일부만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10)를 열원(210)이 형성된 방향으로 기울여, 열원(210)이 내솥(10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내솥(100)의 하방에 위치한 열원(210)은 내솥(100)의 하방을 가열하게 되고, 국물요리(2)를 포함한 내솥(100)내부의 식재료는 대류 현상을 통해 내솥(100)의 식재료 전체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즉, 열원(210)은 내솥(100)의 측면 전체를 가열하는 대신, 회전하는 내솥(100)의 일부만을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원(210)은 내솥(100)의 일부만을 가열하여, 내솥(100)에 저장된 식재료가 지나치게 가열되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솥(200)은 하부면에 모터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터부(230)는 내솥(100)의 바닥면(100a)과 제1 회전축(231) 및 제2 회전축(232)으로 연결되어, 내솥(100)에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솥(100)은 모터부(230)의 회전에 대응되어 외솥(200)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내솥(100)은 내부의 저장된 식재료 또한 같이 회전하도록 하여, 열원(210)에서 공급된 열이 식재료의 외측면을 골고루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외솥(200)의 내측면에는 내솥(100)과 접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부재(240)가 위치할 수 있다.
진동부재(240)는 외솥(200)의 내솥(100)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위치하되, 일측면이 내솥(100)과 접할 수 있다.
진동부재(240)는 내솥(100)에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재(240)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는 인간의 가청주파수 이상의 20kHz 이상의 초음파일 수도 있고 이보다 낮은 주파수 일 수도 있다.
고속으로 진동하는 진동부재(240)는 접하고 있는 내솥(100) 또한 공진하도록 할 수 있다. 진동부재(240)에 의해 진동하는 내솥(100)은 조리되는 과정에서 내솥(100)의 내측면에 달라붙는 식재료를 내측면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동부재(240)는 조리 과정에서 내솥(100)에 식재료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식재료가 늘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150)에는 압력,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솥에서 발생하는 압력,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뚜껑(150)의 내솥(100)을 향한 면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재(7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재(720)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들의 뭉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재(720)는 후술할 제어부(700)와 연결되어,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부피가 큰 식재료를 조리할 경우 뚜껑(150)을 제거하여 부피가 큰 식재료도 개구를 통해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뚜껑(150)의 폭 방향 단면적은 개구와 접한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커버개구(153)의 크기는 개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내솥(100)에는 국이나 찌개, 탕 등의 국물요리(2)가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국물요리(2)가 들어있는 상태에서 조리부(10)를 일측 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조리공간(101)에 저장된 국물요리(2)의 수평선은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된다.
이때, 조리부(10)를 지나치게 기울여 국물요리(2)의 수평선이 개구의 위치를 넘어서면, 국물요리(2)는 개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즉, 뚜껑(150)은 개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개구의 폭 방향 단면적보다 작은 커버개구(153)를 통해, 조리부(10)를 깊게 기울이더라도 조리공간(101)의 국물요리(2)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뚜껑(150)은 내솥(100)에 저장된 식재료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솥(100)의 내측면에는 내솥(100)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끼움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부(170)는 내솥(100)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끼움부(170)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터부와 내솥의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제2 회전축과 내솥과의 연결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모터부(230)는 모터(236), 제1 회전축(231), 제2 회전축(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231)은 모터(236)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축(231)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회전축(232)은 제1 회전축(23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모터(236)에 의한 제1 회전축(231)의 회전력은 제2 회전축(232)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회전축(232)과 제1 회전축(231) 사이에는 스프링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축(232)은 제1 회전축(23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회전축(231) 내부에는 자석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축(232)이 제1 회전축(231) 내부로 이동되면서 자석부(234)에 붙을 수 있다. 자석부(234)의 자력에 의해 제2 회전축(232)은 제1 회전축(231)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센싱부(235a)는 자석부(234)와 모터부(230) 사이에 위치하며, 제2 회전축(232)이 자석부(234)에 붙었을 때는 센싱하게 된다. 센싱부(235a)는 모터제어부(235)에 제2 회전축(232)의 상태를 전달하게 되며, 모터제어부(235)는 모터(236)의 감속 또는 가속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2 회전축(232)이 돌출되어 내솥(100)과 연결되었을 때는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제2 회전축(232)이 제1 회전축(231) 내부로 삽입된 경우에는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제2 회전축(232)에 커터부(300)가 연결되면서 제2 회전축(232)은 제1 회전축(231) 내부로 삽입되게 되며, 커터부(300)의 칼날부(310)에 의해 내솥(100)에 저장된 식재료 등을 분쇄시키게 된다. 이때, 모터(236)를 가속시켜 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빠르게 식재료를 분쇄할 수 있다. 따라서, 커터부(300)의 연결 유무에 따라 모터(236) 회전속도의 범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제2 회전축(232)은 제1 회전축(231) 내부에 삽입되어 제1 회전축(23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회전축(232)은 내솥(100)의 바닥면(100a)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축(232)은 내솥(100)을 향해 제1 돌출부(23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32a)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터부(300)의 삽입부(322a)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232)은 외주면에 제2 돌출부(23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32b)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솥(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연결홈(100b)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돌출부(232b)와 연결홈(100b)의 결합을 통해, 제2 회전축(232)의 회전력은 내솥(100)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회전축(231) 내부에도 제2 돌출부(232b)가 끼워져 이동될 수 있는 이동홈(2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회전축(231)의 회전력이 제2 회전축(232)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터부가 내솥과의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2 연결부와 내솥과의 연결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커터부(300)는 칼날부와 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칼날부(310)는 몸체부(311)와 몸체부(311)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칼날(312)을 포함할 수 있다. 칼날(312)은 몸체부(311)에 경사져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재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연결부(320)는 몸체부(311)에 연결되며, 제2 회전축(232)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20)가 제2 회전축(232)을 제1 회전축(231) 내부로 밀어내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터(236)의 회전력의 대부분을 연결부(320)를 통해 칼날부(310)에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320)는 제1 연결부(320) 및 제2 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20)는 몸체부(311) 하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는 제1 연결부(320) 및 제2 회전축(2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의 외주면에는 베어링부(323)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의 직경은 베어링부(323)의 외주면이 제1 연결부(320)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어링부(323)는 내솥(100) 바닥면(100a)에 위치했던 제2 회전축(232)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베어링부(323)는 모터(236)의 회전력 일부를 내솥(100)에 전달하여 내솥(100)을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회전축(232)이 제1 회전축(231) 내부로 이동하게 되었을 때, 모터제어부(235)는 모터(236)를 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모터(236)의 회전력 대부분은 커터부(300)로 전달되어 커터부(300)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모터(236)의 회전력 일부분이 내솥(100)으로 전달되어 내솥(100)은 보다 저속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콩이나 야채 등의 식재료가 분쇄되면서 내솥(100)의 균일한 회전과 열원으로 인해 두유나 죽 등이 보다 용이하게 조리될 수 있다.
베어링부(323)와 내솥(100)의 연결홈(100b)사이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커터부(300)가 제거될 경우, 제2 연결부(320)는 제2 회전축(232)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 힘과 스프링에 의해 제2 회전축은 자석부(23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연결홈(100b)과 베이링부(323) 사이 빈 공간으로 식재료가 끼일 수 있으나, 제2 회전축(232)이 스프링(233)에 의해 돌출되어 내솥(100) 바닥면(100a)과 연결되면서, 제2 회전축(232)의 제2 돌출부(232b)는 식재료를 내솥(100)으로 다시 밀어 낼 수 있다. 즉, 제2 회전축(232)의 제2 돌출부(232b)에 의해 식재료가 제1 회전축(23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어패널(710)에서 입력된 정보는 제어부(700)의 연산저장모듈(730)로 전달될 수 있다. 연산저장모듈(730)은 제어패널(710)을 포함한 제어부(700)에서 전달된 정보를 수신하여 연산하거나, 연산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정보나 연산된 정보를 데이터의 형태로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나 플래시 디스크 등의 저장 수단(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어부(700)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제어패널(710)의 버튼(711)을 누르면 버튼(711)의 전기적 신호는 연산저장모듈(730)로 전달된다. 연산저장모듈(730)은 제어패널(71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회전식 조리기구(1)의 작동 상태를 연산하고, 연산된 값을 제어패널(710)의 모니터(713)로 전송한다. 모니터(713)는 전송된 값을 시각적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게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00)의 회전 속도와 열원(210)의 온도, 회전부(500)를 통한 조리부(10)의 기울기 정도 등을 사용자가 제어패널(710)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정한 작동 상태에 대한 값은 모니터(713)로 게시되어, 사용자가 현재 회전식 조리기구(1)의 작동상태를 설정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산저장모듈(730)은 제어패널(710)에서 입력된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유닛(Unit)의 형태로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된 유닛을 불러오는 것으로, 용이하게 식재료의 조리 방식을 세팅할 수 있다.
복수개의 유닛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블록(Block)의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블록 내의 유닛을 시간 경과에 따라 최대 50단계까지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일 블록 내에는 시간에 따라 각 단계마다 온도, 회전속도, 기울어지는 정도, 압력, 습도 등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는 조리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산저장모듈(730)에 저장된 블록은 연산저장모듈(730)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되어 히트컨트롤러(750) 또는 모터컨트롤러(770), 압력컨트롤러, 습도 또는 수(물)량컨트롤러로 전달된다. 히트컨트롤러(750)는 열원(210)과 연결되어, 열원(21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나 전류의 주기 등을 제어하여 열원(2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터컨트롤러(770)는 모터제어부를 통해 모터(236)와 연결되어, 내솥(100)의 회전속도와 회전방식 등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력컨트롤러는 내솥 안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습도 또는 수량컨트롤러는 내솥 안의 습도나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재(720)는 조리 중의 회전식 조리기구(1)의 각종 정보를 연산저장모듈(73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재(720)는 회전식 조리기구(1)의 온도와 압력, 습도, 기울기, 수(물)량 등을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연산저장모듈(730)로 전송하고, 연산저장모듈(730)은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히트컨트롤러(750)및 모터컨트롤러(770), 타이머, 압력컨트롤러 습도컨트롤러, 수량컨트롤러 등을 제어하여, 설정된 블록 또는 유닛에 따라 조리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연산저장모듈(730)은 측정된 자료를 기반으로 조리부(10) 내부의 수면의 높이 등의 수치를 계산하여, 그 수치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여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거나 개폐부재(135)를 열고 닫는 컨트롤러가 있어 내솥 안에 있는 습도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700)는 조리 상태를 기 설정된 세팅 값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통신모듈(790)과 외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모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통신모듈(790)은 와이파이(Wi-Fi), LTE, 블루투스 등의 무선 또는 LAN이나 전화선 등의 유선으로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고, 외부 저장장치 를 연결하는 모듈은 USB 저장장치, IC칩 등의 정보를 불러와서 저장하고 이 정보를 읽어서 순차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어부(700)는 통신모듈(790)을 통해 인터넷 등 통신망과 연결되어, 서버에 연산저장모듈(730)에 저장된 블록을 업데이트하거나, 반대로 서버에서 블록을 다운로드 받아, 연산저장모듈(730)에 저장하거나 외부저장 장치로부터 블록을 읽어 들여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SNS나 카페, 블로그 등에 올라온 문자, 암호화된 코드(바코드나 QR 코드와 유사), 이미지, 영상 등의 형태로 된 블록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 하는 방식으로 조리법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니터, 핸드폰 앱, 인터넷??등을 통해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의 이미지나 영상을 찾아서 볼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형태를 선택하여 조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식 조리기구(1)는 설정값을 용이하게 다운로드 받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통신모듈(79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과 연결되어, 내부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 등에는 회전식 조리기구(1)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으로 회전식 조리기구(1)를 세팅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내솥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내솥(100)의 바닥면의 외측에는 제1 플레이트부(410), 회전모터(421) 및 제2 플레이트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410)는 바닥연결부(411) 및 중간연결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연결부(411)는 내솥(100)의 바닥면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닥연결부(411)의 중심부는 외솥(200)을 향해 돌출되며, 배출관(133)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중간연결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연결부(412)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배출관(133) 내로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부(410)의 외측면에 제1 플레이트부(410)와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부(4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420)는 직사각형의 단면일 수 있으며, 내부에 복수 개로 형성된 삽입연결부(422) 및 전달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420)의 우측에 형성된 삽입연결부(422)를 통해 회전모터(4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플레이트부(4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연결부(422)와 접하는 전달부(423)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제2 플레이트부(420) 내부에 위치하는 전달부(42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부(420)의 좌측에 형성된 삽입연결부(422)에는 배출관(133)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133)의 내부에 중간연결부(412)가 삽입될 수 있으며, 중간연결부(412)는 전달부(423)와 연결될 수 있어, 전달부(423)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모터(421)가 제2 플레이트부(420)의 삽입연결부(422)에 결합되어 회전모터(421)가 회전함에 따라, 전달부(423)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423)를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전달부(423)와 연결된 중간연결부(412)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중간연결부(412)에 연결된 제1 플레이트부(41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모터(421)에 의해 제1 플레이트부(410)가 회전함으로써, 내솥(100)의 바닥면에 조리과정에서 배출되어 고일 수 있는 기름이나 물 등의 액상의 부산물을 배출관(133)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회전식 조리기구
10: 조리부 100: 내솥
100a: 바닥면 100b: 연결홈
101: 조리공간 103: 개구
120: 손잡이부 120a: 제1 안착부
120b: 제2 안착부 120c: 손잡이
130: 배출탱크
131: 배출공간 133: 배출관
135: 개폐부재 150: 뚜껑
153: 커버개구
200: 외솥 203: 적재공간
205: 열원공간 210: 열원
230: 모터부 231: 제1 회전축
231a: 이동홈
232: 제2 회전축 232a: 제1 돌출부
232b: 제2 돌출부 233: 스프링
234: 자석부 235: 모터제어부
235a: 센싱부 236: 모터
240: 진동부재
300: 커터부
310: 칼날부 311: 몸체부
312: 칼날 320: 연결부
321: 제1 연결부 322: 제2 연결부
323: 베어링부 322a: 삽입부
410: 제1 플레이트부 411: 바닥연결부
412: 중간연결부 420: 제2 플레이트부
421: 회전모터 422: 삽입연결부
423: 전달부
500: 회전부 510: 회전기둥
530: 회전다리 700: 제어부
710: 제어패널 711: 버튼
713: 모니터 720: 센서부재
730: 연산저장모듈 750: 히트컨트롤러
770: 모터컨트롤러 790: 통신모듈
800: 고주파발생기
10: 조리부 100: 내솥
100a: 바닥면 100b: 연결홈
101: 조리공간 103: 개구
120: 손잡이부 120a: 제1 안착부
120b: 제2 안착부 120c: 손잡이
130: 배출탱크
131: 배출공간 133: 배출관
135: 개폐부재 150: 뚜껑
153: 커버개구
200: 외솥 203: 적재공간
205: 열원공간 210: 열원
230: 모터부 231: 제1 회전축
231a: 이동홈
232: 제2 회전축 232a: 제1 돌출부
232b: 제2 돌출부 233: 스프링
234: 자석부 235: 모터제어부
235a: 센싱부 236: 모터
240: 진동부재
300: 커터부
310: 칼날부 311: 몸체부
312: 칼날 320: 연결부
321: 제1 연결부 322: 제2 연결부
323: 베어링부 322a: 삽입부
410: 제1 플레이트부 411: 바닥연결부
412: 중간연결부 420: 제2 플레이트부
421: 회전모터 422: 삽입연결부
423: 전달부
500: 회전부 510: 회전기둥
530: 회전다리 700: 제어부
710: 제어패널 711: 버튼
713: 모니터 720: 센서부재
730: 연산저장모듈 750: 히트컨트롤러
770: 모터컨트롤러 790: 통신모듈
800: 고주파발생기
Claims (14)
-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내솥 및 상기 내솥 외측으로 연결된 열원을 포함하는 외솥으로 이뤄진 조리부;
상기 외솥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리부를 기울이는 회전부;
상기 내솥과 상기 외솥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솥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2 회전축을 가지는 모터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열원 및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솥은,
바닥면 외측에 연결되는 바닥연결부와 상기 바닥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내솥의 내부와 연통되는 중간연결부를 가지는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가 삽입되는 삽입연결부와 상기 회전모터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삽입연결부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가지는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제2 회전축 외부를 감싸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 내부에서, 상기 제2 회전축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축과 자력으로 붙을 수 있는 자석부;
상기 제2 회전축이 상기 자석부에 붙었을 때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2 회전축을 상기 제1 회전축 내부로 이동시키는 커터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외주면에 칼날이 형성된 칼날부; 및
몸체부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되며 베어링부를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에 연결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상기 베어링부가 연결되되, 상기 베어링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주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은,
상기 외솥 상단부에 접하며, 상기 외솥의 외측방향과 멀어질수록 기울어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안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신호를 기반으로 연산을 실시하고 연산된 정보와 설정된 조리정보가 저장되는 연산저장모듈;
상기 연산저장모듈과 연결되어, 모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컨트롤러;
상기 연산저장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열원의 온도를 결정하는 히트컨트롤러;
상기 모터부의 작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
상기 내솥의 압력을 결정하는 압력컨트롤러, 습도를 결정하는 습도컨트롤러; 및
상기 내솥 내부 수분의 양을 결정하는 수량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모듈과 외부 저장장치와 연결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저장모듈은,
상기 조리부의 온도, 압력, 습도, 회전속도 및 기울어진 정도의 조건 값들이 기록되는 유닛 및 상기 유닛이 복수개로 결합된 블록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그룹을 저장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저장모듈은,
상기 블록그룹을 구성하는 상기 유닛의 조건값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리를 실시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연산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그룹을 상기 통신망에 업로드하거나,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블록그룹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연산저장모듈에 저장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3944A KR102154934B1 (ko) | 2019-08-23 | 2019-08-23 | 회전식 조리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3944A KR102154934B1 (ko) | 2019-08-23 | 2019-08-23 | 회전식 조리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4934B1 true KR102154934B1 (ko) | 2020-09-10 |
Family
ID=7245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3944A KR102154934B1 (ko) | 2019-08-23 | 2019-08-23 | 회전식 조리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493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6821B1 (ko) * | 2022-09-23 | 2024-02-15 |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 자동 조리 장치 |
KR102636819B1 (ko) * | 2022-09-23 | 2024-02-15 |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 자동 조리 장치 |
KR102636820B1 (ko) * | 2022-09-23 | 2024-02-15 |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 자동 조리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4663A (ja) * | 1994-10-27 | 1996-05-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回転調理機 |
KR101331289B1 (ko) * | 2013-05-29 | 2013-11-20 | 김인호 | 드럼식 조리기 |
WO2014021420A1 (ja) * | 2012-08-01 | 2014-02-06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調理器具 |
US20140134305A1 (en) * | 2007-04-20 | 2014-05-15 | Amy Wolfe |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
KR101994594B1 (ko) * | 2018-09-28 | 2019-09-30 | 서승현 | 회전식 조리기구 |
-
2019
- 2019-08-23 KR KR1020190103944A patent/KR1021549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4663A (ja) * | 1994-10-27 | 1996-05-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回転調理機 |
US20140134305A1 (en) * | 2007-04-20 | 2014-05-15 | Amy Wolfe |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
WO2014021420A1 (ja) * | 2012-08-01 | 2014-02-06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調理器具 |
KR101331289B1 (ko) * | 2013-05-29 | 2013-11-20 | 김인호 | 드럼식 조리기 |
KR101994594B1 (ko) * | 2018-09-28 | 2019-09-30 | 서승현 | 회전식 조리기구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6821B1 (ko) * | 2022-09-23 | 2024-02-15 |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 자동 조리 장치 |
KR102636819B1 (ko) * | 2022-09-23 | 2024-02-15 |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 자동 조리 장치 |
KR102636820B1 (ko) * | 2022-09-23 | 2024-02-15 |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 자동 조리 장치 |
WO2024063237A1 (ko) * | 2022-09-23 | 2024-03-28 | 주식회사 크레오코리아 | 자동 조리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4934B1 (ko) | 회전식 조리기구 | |
US9439530B2 (en) | Intelligent cooking apparatuses and methods | |
US20220287152A1 (en) | Wirelessly operable cooking appliance | |
US20160374501A1 (en) | Intelligent Cooking Apparatuses and Methods | |
CN103108576B (zh) | 多功能烹调器 | |
JP2019070516A (ja) | 高度調理器具による自動調理制御 | |
CN102763051A (zh) | 用于控制烹饪过程的方法 | |
KR101181717B1 (ko) | 커피로스터 | |
CN111329358A (zh) | 烹饪电器的控制方法、烹饪电器及可读存储介质 | |
CN106724812A (zh) | 智能煮蛋器 | |
US20150037471A1 (en) | Wireless temperature sensing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 |
CN111061202A (zh) | 烹饪方法、烹饪电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101994594B1 (ko) | 회전식 조리기구 | |
CN113197491B (zh) | 烹饪时间的控制方法和相关的烹饪设备 | |
CN112806826A (zh) |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 |
CN113647841A (zh) | 一种烘烤设备及其控制方法 | |
CN109620014A (zh) | 滚筒式烹饪机的工作模式选择方法及滚筒式烹饪机 | |
US20240085027A1 (en) | Heating apparatus | |
JP7075200B2 (ja) | 炊飯器 | |
EP4395128A1 (en) | Method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cooking applian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for | |
US20210042130A1 (en) | Cooking management method, cooking management system, cooking management server and cooking appliance | |
CN107920686A (zh) | 与烹饪炉箅直接接触的烹饪器具 | |
JP6257496B2 (ja) | 加熱調理器 | |
JP4311148B2 (ja) | 加熱調理器 | |
EP3020305B1 (fr) | Mobilier et ensemble de maintien en température d'un plat ou d'une assiette, par ind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